맨위로가기

말레이시아의 지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레이시아의 지리는 열대 우림 기후, 다양한 지형, 풍부한 생물 다양성, 그리고 천연 자원과 관련된 특징을 가진다. 말레이시아는 적도 근처에 위치하여 덥고 습한 기후를 보이며, 연중 많은 비가 내린다. 지형은 순다판 위에 놓여 있으며, 석회암 지형으로 인해 동굴이 발달했다. 말레이시아는 말레이 반도와 보르네오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산맥과 숲, 강, 호수, 그리고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여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며, 열대 우림과 홍수림이 중요한 생태계를 이룬다. 주요 천연 자원으로는 석유, 천연 가스, 주석, 목재, 팜유 등이 있다. 말레이시아는 13개의 주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변 국가들과의 국경을 공유하고 해상 경계에 대한 분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시아의 지리 - 동말레이시아
    동말레이시아는 보르네오섬 북부에 위치한 말레이시아의 지역으로 사바주, 사라왁주, 라부안 연방 직할지로 구성되며, 서말레이시아보다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가지고 출입국 관리를 시행하며,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천연자원이 풍부하지만 필리핀 남부 무슬림 세력의 테러 위협이 지속되고 있다.
  • 말레이시아의 지리 - 말레이반도
    말레이 반도는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3개국이 영토를 나누어 통치하는 동남아시아의 반도로,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으로 덮여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며 해상 무역의 요충지이자 말라카 해협을 중심으로 중요한 해상 교통로 역할을 한다.
말레이시아의 지리
지도
일반 정보
대륙아시아
지역동남아시아
좌표북위 2°30' 동경 112°30'
면적 순위67위
면적330803 km²
육지 비율99.63%
물 비율0.37%
해안선 길이4675 km
국경총 육지 국경: 2669 km
국경 - 태국506 km
국경 - 인도네시아1782 km
국경 - 브루나이281 km
최고 지점키나발루산 (4,095.2 m)
최저 지점인도양 (0 m)
가장 긴 강라장강
가장 큰 호수인공 호수: 케니르호
자연 호수: 베라호
배타적 경제 수역334671 km²

2. 기후

말레이시아 지역의 위성 사진


쾨펜–가이거 기후 구분 지도,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적도 부근에 위치하여 일 년 내내 덥고 습한 열대 우림 기후를 나타낸다. 연평균 강수량은 약 2mm에 달하며,[71][1] 평균 기온은 약 25.4°C이다.[1]

말레이시아 반도(서말레이시아)와 동말레이시아의 기후는 차이가 있다. 반도의 기후는 대륙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아 계절 간 강수량 차이가 나타나는 반면, 동말레이시아는 상대적으로 해양성 기후의 특징을 보인다. 또한 엘니뇨 현상의 영향을 받아 건기에는 강수량이 감소하기도 한다.[3]

말레이시아는 두 번의 계절풍(몬순) 시기를 경험한다. 5월 말(또는 5월)부터 9월까지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사막에서 불어오는 남서 몬순이 영향을 주고, 10월(또는 11월)부터 이듬해 3월(또는 4월)까지는 중국과 북태평양에서 발원하는 북동 몬순이 불어온다. 북동 몬순 시기에 남서 몬순 시기보다 더 많은 비가 내리는 경향이 있다.[4][54] 3월과 10월은 두 몬순 사이의 전환기에 해당한다.[3] 두 계절풍 기간 외에도 연중 비가 많이 내린다. 예를 들어 1992년 쿠알라룸푸르에서는 200일, 사바주코타키나발루에서는 153일, 사라왁주쿠칭에서는 253일 동안 비가 내렸다.[74]

말레이시아 내 산맥의 존재는 지역 기후에 영향을 미쳐, 고지대, 저지대, 해안 지역으로 기후를 구분할 수 있다.[3]

  • 해안 지역: 비교적 맑은 날씨를 보이며, 기온은 23°C에서 32°C 사이이고, 월 강수량은 100mm에서 300mm 정도이다.[3]
  • 저지대: 해안 지역과 비슷한 기온을 보이지만, 뚜렷한 강수 패턴과 함께 매우 높은 습도를 나타낸다.[3]
  • 고지대: 저지대나 해안보다 서늘하고 습하며, 기온 변화가 더 크다. 구름이 많이 끼며 습도는 보통 75%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다.[3]


말레이시아에서 기록된 극값은 다음과 같다.[5][55]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습한 곳은 사라왁주 쿠칭으로, 연평균 강수량이 4mm이고 연간 강우일이 279일에 달한다. 반면 가장 건조한 곳은 페락주 시티아완으로, 연평균 강수량은 1mm이다.[5]

2. 1. 기후 변화

말레이시아는 기후 변화로 인해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다. 주요 문제로는 해수면 상승과 강수량 증가가 있으며, 이는 홍수 위험을 높이고 대규모 가뭄을 초래할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3][73] 말레이시아는 엘니뇨 현상에 노출되어 건기에는 강수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3]

3. 지형

말레이시아 반도(서말레이시아)의 지형


동말레이시아(보르네오)의 지형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시아순다판 위에 자리 잡고 있으며, 지각 변동이 비교적 적은 안정된 지역에 속한다.[75][3] 국토의 기반암은 주로 고생대에 형성된 퇴적암이며, 특히 석회암이 흔하게 발견된다. 가장 오래된 암석은 약 5억 4천만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73][3] 물에 잘 녹는 석회암의 특성 때문에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하여 동굴이 많이 형성되었는데, 이는 특히 동말레이시아 지역에서 두드러진다.[76][3] 제3기에 동말레이시아 지역에 쌓인 석회암은 이후 침식 과정을 거치면서 석유천연가스가 풍부한 퇴적 분지를 만들었다.[3] 말레이시아의 산맥들은 중생대조산 운동으로 형성되었다.[3]

말레이시아의 총 면적은 330803km2[72] 한반도의 약 1.5배 크기이며, 세계에서 66번째로 넓은 국가이다.[14] 말레이시아는 아시아 본토와 말레이 제도 양쪽에 영토를 가진 유일한 국가이기도 하다.[3] 총 면적 중 약 40%인 132090km2는 말레이시아 반도 지역(서말레이시아)이 차지하고, 나머지 약 60%인 198847km2동말레이시아 지역이 차지한다.[53] 전체 육지 면적의 약 0.37%인 1200km2는 강이나 호수 등 내륙 수역이다.[53] 해안선의 총 길이는 4675km로 세계에서 29번째로 길며,[79] 말레이시아 반도 지역의 해안선은 2068km, 동말레이시아 지역의 해안선은 2607km이다.[53][78]

남중국해를 사이에 두고 나뉜 말레이시아 반도 지역과 동말레이시아 지역은 지형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공유한다. 두 지역 모두 해안가를 따라 평야가 펼쳐져 있고, 내륙으로 갈수록 구릉과 산지로 이어지는 구조를 보인다.[53]

말레이시아 반도 지역은 말레이 반도의 남쪽 절반을 차지하며,[3] 남북 길이는 약 740km, 동서 최대 폭은 약 322km이다.[73][1] 반도 면적의 절반 이상이 해발 150m 이상의 산악 지형이다.[3] 지질학적으로는 반도의 약 절반이 화강암 및 기타 화성암으로 덮여 있고, 3분의 1 이상은 화강암보다 오래된 층상 암석, 나머지는 충적토로 구성되어 있다.[15] 주요 항구는 대부분 반도 서쪽에 집중되어 있으며,[1] 말라카 해협에 접한 서쪽 해안 평야는 강 하구 주변의 비옥한 토양 덕분에 말레이시아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수도인 쿠알라룸푸르도 이곳에 위치한다.[3]

보르네오섬 북부에 위치한 동말레이시아 지역은 해안선 길이가 2607km에 달한다.[53] 이 지역은 크게 해안 지대, 내륙의 언덕과 계곡 지대, 그리고 산악 지대로 나눌 수 있다. 사라왁주 남부는 비교적 저지대가 많지만, 북쪽으로 갈수록 고도가 높아져 일련의 고원을 이루다가 사바주의 산악 지형으로 이어진다.[3] 동말레이시아의 주요 도시로는 쿠칭코타키나발루가 있다.

말레이시아에는 수많은 섬이 있다. 말레이시아 영토 내에 완전히 속한 섬 중 가장 큰 섬은 사바주의 방기섬(440.7km2)이며,[20] 그 다음으로는 사라왁주의 브루잇섬, 케다주의 랑카위섬, 페낭주의 페낭섬 순이다. 다른 나라와 국경을 공유하는 섬 중 가장 큰 것은 보르네오섬이고, 세바틱섬이 그 뒤를 잇는다. 또한 말레이시아는 세계적인 산호초 분포 지역에 속하며,[21] 시파단섬, 스와로우 환초, 레당섬 등 여러 섬 주변에서 아름다운 산호초를 볼 수 있다.[22] 수중 화산 위에 형성된 시파단섬은 말레이시아 유일의 대양섬이다.[23]

최근의 원격 탐사 분석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에는 약 1713km2갯벌이 분포하며, 이는 갯벌 면적 기준으로 세계 19위에 해당한다.[24]

말레이시아의 극점은 다음과 같다. 최남단 지점은 사라왁주 세리안구에 위치한다. 조호르주 남쪽 끝에 있는 탄중 피아이는 말레이 반도의 최남단 지점이자, 대륙으로서의 유라시아 전체에서 가장 남쪽에 있는 지점이기도 하다.[28][29] 최동단 지점은 사바주 라하드 다투구에 있는 덴트 반도의 끝이다. 최북단 지점은 방기섬의 북쪽 끝이며, 최서단 지점은 말라카 해협에 있는 케다주 소속의 사암 암초인 페락섬이다.

3. 1. 산맥



키나발루 산, 말레이시아 최고봉은 사바 주에 위치해 있다.


말레이시아의 산맥은 중생대부터 시작된 조산 운동을 통해 형성되었다.[3] 말레이시아는 순다 선반에 위치하여 지각 변동이 거의 없는 지역이다.[3]

동말레이시아, 즉 보르네오 섬 북부에 위치한 산맥들은 주로 북-남 또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일부는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사이의 국경을 형성한다. 이 지역의 산들은 톱니 모양의 석회암 봉우리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3]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높은 산맥은 사바주에 있는 크로커 산맥으로, 이 산맥은 사바 주를 둘로 나눈다. 크로커 산맥에는 말레이시아 최고봉인 키나발루산[16]과 세 번째로 높은 산인 탐부유콘 산이 있다. 키나발루 산의 높이는 4095.2m이며,[80] 키나발루 국립공원 안에 위치해 있고, 이 공원은 2000년 UNESCO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81][17] 사바 주에는 트루스 마디 산맥도 있으며, 이 산맥에는 말레이시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인 트루스마디 산이 있다. 또한, 사바 주의 봄발라이 언덕은 말레이시아의 유일한 활화산이다.

말레이시아 반도에는 여러 산맥이 남북 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어 있다.[3] 이 중 가장 주요한 산맥은 티티왕사산맥으로, 태국 남부에서 시작하여 말레이시아 반도 전체를 가로질러 서남부 해안까지 이어진다.[82] 티티왕사 산맥은 반도를 동해안과 서해안으로 나누는 역할을 하며,[18] 반도에서 두 번째로 높은 봉우리인 코르부산 (2183m)을 포함하고 있다.[83] 이 산맥들은 울창한 숲으로 덮여 있고 주로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말레이시아 반도의 여러 주요 강들의 발원지가 된다.[19] 티티왕사 산맥의 동쪽에는 빈탕 산맥이 위치한다.[1] 말레이시아 반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타한 산맥에 있는 타한 산이다.

3. 2. 숲

말레이시아의 숲은 대부분 열대 우림으로 분류되며, 국토의 약 58.2%를 차지한다.[84][1] 이 숲들은 주로 해발 760m 이하의 저지대에 분포한다.[1]

조호르주 세가맛구의 반탕 강 레크리에이션 숲.


조호르주의 소가 페르다나 레크리에이션 숲


과거 동말레이시아는 2,000종 이상의 나무가 서식하는 보르네오 저지대 우림으로 덮여 있었으며[25][3], 일부 지역에서는 1 ha 당 240종 이상의 다양한 나무가 자생하기도 했다.[85] 말레이시아 열대 우림의 주요 수종은 딥테로카르푸스과(Dipterocarpaceae) 나무이며[25], 특히 보르네오 섬에는 155종의 딥테로카르푸스과 나무가 자생하는 것으로 보고되는 등[86] 이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26] 해안가에는 홍수림(맹그로브)이 발달하여 1425km2 이상 분포하며[87][1], 저지대 곳곳에는 지대도 형성되어 있다.[87][25]

그러나 1960년대 이후 상업적 벌목과 이동 경작이 증가하면서 많은 숲이 사라졌다.[25][57] 특히 사라왁주에서는 숲의 80% 이상이 벌채되었고, 이러한 삼림 벌채는 동말레이시아 전역에서 수질 오염, 토양 침식 증가, 농업 피해 등을 야기했다.[3][57] 보르네오 저지대 우림의 파괴로 인해 야생 동물들은 내륙의 보르네오 산지 우림으로 서식지를 옮겨야 했다.[25] 이에 일부 주 정부는 열대 우림의 추가적인 황폐화를 막기 위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25][57]

일부 숲 지역은 산림 보호 구역, 주립 공원, 국립 공원 등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야생 동물 및 국립 공원부, 사라왁 산림부, 사바 산림부, 사바 재단, 사바 공원 등에서 관리한다.[1][58] 2000년 기준으로 키나발루 공원과 구눙물루 국립공원 두 곳이 유네스코 세계 자연 유산으로 등재되었다.[88]

말레이시아는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국가 중 하나로, 다양한 생물 종과 높은 비율의 고유종을 보유하고 있다.[35] 이 숲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꽃인 라플레시아가 서식한다.[25]

말레이시아는 여러 열대 우림 생태 지역으로 나뉜다.

말레이시아의 주요 열대 우림 생태 지역[27]

지역생태 지역
말레이시아 반도말레이 반도 우림
말레이 반도 산악 우림
말레이 반도 늪지대 우림
테나세림-남태국 반 상록 우림
동말레이시아보르네오 저지대 우림
보르네오 산악 우림
보르네오 늪지대 우림
남서 보르네오 담수 늪지대 우림
순다랜드 황무지 숲
해안 맹그로브미얀마 해안 맹그로브 (반도 서해안)
인도차이나 맹그로브 (반도 동해안)
순다 선반 맹그로브 (보르네오 섬 해안)


3. 3. 동굴

말레이시아 반도에도 여러 동굴이 있지만, 물이 석회암을 침식하여 만들어진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한 동말레이시아 지역에 특히 수많은 동굴이 밀집되어 있다.[76][3]

동말레이시아의 구눙 물루 국립공원에 위치한 물루 동굴은 세계에서 가장 큰 동굴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페남보 산맥(Penambo rangeeng)과 브루나이 사이에 자리 잡고 있는 주요 관광 명소이다.[3] 물루 동굴 내부에 있는 사라왁 체임버(Sarawak Chambereng)는 길이 700m, 높이 70m에 달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동굴 챔버(지하 공동)이다.[3] 이 외에도 1.6km 길이를 자랑하는 사슴 동굴과 랑 동굴 등이 유명하다.[3]

3. 4. 수계

말레이시아 반도와 동말레이시아 사이에는 말레이시아 주변에서 가장 큰 수역인 남중국해가 있다. 말레이시아 반도의 서쪽 해안에는 남쪽으로 말라카 해협이 있고 북쪽으로는 안다만 해가 있다. 수마트라와 말레이시아 반도 사이에 있는 말라카 해협은 세계에서 중요한 해상 수송로 중 하나이다.[30] 이 해협은 인도양의 연안해이다.

말레이시아 반도의 동쪽 해안은 남중국해에 접하며,[3] 북쪽의 일부는 타이만에 속한다. 이들은 태평양의 연안해를 형성한다. 반도 남쪽의 조호 해협은 말레이시아싱가포르 사이의 해상 국경 역할을 한다. -- 동말레이시아에서는 사바와 사라왁의 서쪽 해안이 남중국해를 향하고 있다. 사바의 북동쪽 해안은 술루 해를, 남동쪽 해안은 셀레베스 해를 향하고 있다.[3]

말레이시아는 해안선으로부터 12 해리( 22km )를 영해로 선언하고 있으며,[31] 이는 산호 삼각지대까지 확장된다.[32] 또한 해안선으로부터 200 해리를 기준으로 334671km2배타적 경제 수역을 가지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순다랜드로 알려진 남중국해 아래 지역의 대륙붕에 대해 깊이 200m 또는 탐사 가능한 깊이까지 권리를 주장한다.[33] 1970년 인도네시아와 체결한 '말라카 해협 영해 경계선 설정 조약'에 따라 해협의 영유권을 공유한다.[34]

말레이시아의 총 해안선 길이는 4675km이며, 말레이시아 반도의 해안선 길이는 2068km이고, 동말레이시아의 해안선 길이는 2607km이다.[53] 총 육지 면적의 0.37%인 1200km2는 호수, 강 등 내수면이다.

파항주의 베라 호와 치니 호는 말레이시아에 있는 두 개의 자연 호수이며, 베라 호는 그중 더 크다. 케다주의 페두 호수는 말레이시아-태국 국경에서 약 5km 떨어져 있으며, 길이는 12km에 달한다. 트렝가누주의 케니르 호수는 면적 260km2의 인공 호수로,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크다.

말레이시아에는 다양한 강 시스템이 존재한다. 가장 긴 강은 사라왁주의 라장강으로, 길이는 760km이다.[89] 이 강은 인도네시아와 경계를 이루는 이란 산맥에서 발원하여 사라왁 주를 지나 남중국해로 흐른다. 두 번째로 긴 강은 사바주의 키나바탕안 강으로, 길이는 560km이다. 반도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긴 강은 파항강으로, 길이는 435km이다.

4. 생태계

말레이시아는 생물 다양성이 매우 높은 메가다이버스 국가 중 하나이다.[63][90] 국토의 58.2%가 열대 우림으로 덮여 있으며[57], 맹그로브(홍수림)와 함께 수많은 동식물이 서식하는 풍부한 생태계를 이룬다.[90] 확인된 종만 해도 포유류 210종, 조류 620종, 파충류 250종, 개구리 150종에 달하며, 해양 생태계 또한 풍부하다.[57]

말레이시아의 열대 우림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중 하나인 라플레시아가 자생하며[87][57], 보르네오 섬을 대표하는 오랑우탄[57]고양이과 맹수인 인도차이나호랑이, 말레이호랑이, 인도차이나표범, 구름표범 등이 말레이시아 반도의 최상위 포식자로 서식한다.[91] 그러나 20세기에 들어 동남아시아의 호랑이 아종들은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91]

말레이시아의 숲은 주로 해발 750m 미만 지역에 형성된 열대 우림으로 분류된다.[57] 내륙에는 디프테로카르푸스가, 해안부에는 1425km2에 걸쳐 맹그로브 습지가 주로 분포한다.[58] 특히 보르네오 섬의 저지대 열대 우림에는 2,000종이 넘는 식물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7] 말레이시아는 다음과 같은 여러 열대 우림 및 맹그로브 생태 지역으로 나뉜다.[27]


  • 반도 말레이시아: 말레이 반도 우림, 말레이 반도 산악 우림, 말레이 반도 늪지대 우림, 테나세림-남태국 반 상록 우림. 서해안에는 미얀마 해안 맹그로브, 동해안에는 인도차이나 맹그로브가 분포한다.
  • 동 말레이시아 (보르네오): 보르네오 저지대 우림, 보르네오 산악 우림, 보르네오 늪지대 우림, 남서 보르네오 담수 늪지대 우림, 순다랜드 황무지 숲. 해안선에는 순다 선반 맹그로브가 이어진다.


그러나 1960년대 시작된 농지 개척 등으로 인한 삼림 벌채는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다.[57] 1990년부터 2010년까지 약 1920000ha에 달하는 숲이 사라졌는데, 이는 말레이시아 전체 숲 면적의 8.2%에 해당한다.[92] 특히 보르네오 섬의 사라왁 주에서는 80% 이상의 숲이 벌채되어 하천 오염과 토양 침식 증가 등 농업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57], 이는 생태계 파괴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57]

이에 말레이시아 연방 정부와 사라왁 주, 사바 주 등 각 주 정부는 국립공원과 주립공원을 지정하여 삼림 보호 및 야생 동물 관리에 나서고 있다.[57] 현재 키나발루 자연 공원과 구눙 물루 국립공원 두 곳이 유네스코 세계 자연 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57]

5. 인문 지리

2010년 7월 기준 말레이시아의 인구는 28,334,000 명이며,[93] 이 중 약 22,500,000 명이 말레이시아 반도에 거주한다.[94] 실제로 말레이시아 반도는 전체 인구의 약 79.2%(2002년 기준)가 밀집되어 동말레이시아보다 인구가 훨씬 많다.[49] 2008년 UN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59%가 도시권에서 생활하고 있다.[95]

가장 큰 도시는 수도인 쿠알라룸푸르로, 2010년 기준 시내 인구는 1,627,172 명이다.[96] 클랑 밸리(Klang Valley)로 알려진 수도권 지역에는 약 700만 명이 거주한다.[49] 그 외 주요 도시로는 조지 타운, 이포, 조호르 바루, 쿠칭, 코타키나발루 등이 있다.[49]

6. 천연 자원

말레이시아는 석유를 생산하며 순수출국이다.[43][67] 또한 액화 천연 가스와 기타 관련 제품을 생산하며, 이들 대부분은 트렝가누, 사바, 사라왁 해안에서 발견된다.[67] 다른 주요 천연 자원으로는 주석, 목재, 구리, 철광석, 보크사이트가 있다.

말레이시아는 1980년대 산업 전반의 붕괴 이전까지 세계 최대의 주석 수출국이었다. 주석 매장량은 슬랑고르, 페락 주의 킨타 계곡, 파항 및 조호르 지역에서 발견된다.[44][68][69] 상당한 양의 매장량도 파항 주의 라웁, 쿠알라 립스와 켈란탄 주의 구아 무상 지역에 존재한다.[45] 석탄은 주로 사라왁 주의 카피트, 무카, 실란텍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목재는 말레이시아, 특히 동말레이시아의 광대한 정글에서 얻을 수 있다. 말레이시아의 목재 및 기타 목재 제품의 총 수출액은 2007년에 234억말레이시아 링깃에 달했다.[46]

넓은 지역의 토지는 팜유 농장, 고무 농장, 으로 사용된다. 말레이시아는 세계 최대의 팜유 수출국으로, 2007년에 1580만ton의 팜유를 생산했다.[43][46] 말레이시아는 또한 고무 및 기타 고무 제품의 주요 생산국이자 수출국이기도 하다.[47]

2011년 기준으로 말레이시아의 경작 가능 토지 비율은 5.44%이다. 경작지는 17.49%를 차지하며, 기타 토지 이용은 77.07%를 차지한다.[48] 2009년 기준으로 관개 시설이 갖춰진 토지는 3800km2에 달한다. 2011년 기준 총 재생 가능한 수자원은 580 입방 킬로미터이다.

지질학적으로 말레이시아는 순다 선반에 위치해 있다.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은 5억 4천만 년 전에 형성되었으며, 그 대부분이 퇴적암이다. 이들 중 상당수는 고생대에 형성된 석회암이지만, 동말레이시아에서는 제3기 무렵부터 침식되어 석유나 천연 가스를 많이 포함하는 퇴적암이 되었다. 말레이시아의 산맥은 중생대의 조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7. 행정 구역

말레이시아 주 지도


말레이시아는 13개의 주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구성된다. 이 중 11개의 주와 2개의 연방 직할구는 말레이 반도에 위치한 '''말레이시아 반도 지역'''에 속하며, 나머지 2개의 주와 1개의 연방 직할구는 보르네오섬 북부의 '''동말레이시아 지역'''에 있다.

각 주는 다시 하위 행정 구역(district)으로 나뉜다. 다만, 동말레이시아에 속하는 사바사라왁의 경우에는 주 아래에 먼저 구역(division)을 두고, 그 아래에 다시 행정 구역(district)을 두는 차이가 있다. 한편, 행정 구역과는 별개로 투표를 위한 선거구 구분이 존재한다.

8. 국제 관계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시아에 위치하며, 말레이 반도 지역과 보르네오섬 북부의 동말레이시아 지역으로 나뉜다. 말레이 반도 지역은 북쪽으로 태국, 남쪽으로 싱가포르와 국경을 접하며, 말라카 해협을 사이에 두고 인도네시아수마트라섬과 마주한다. 동말레이시아 지역은 인도네시아 및 브루나이와 국경을 접한다. 말레이시아 반도와 동말레이시아 사이에는 남중국해가 있으며, 이는 말레이시아의 가장 넓은 영해를 이룬다.

말레이시아의 육상 국경은 잘 확립되어 있다. 태국과의 국경은 1909년 영국-시암 조약을 통해 샴(현재의 태국)이 케다, 클란탄, 페를리스, 트렝가누를 영국에 할양하면서 설정되었다. 싱가포르와는 조호 해협이 자연 국경이다. 브루나이와의 국경 문제, 특히 브루나이가 림방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던 문제는 20년간의 협상 끝에 2009년 3월 16일 양국 간 서신 교환을 통해 해결되었다.[50]

해상 국경의 경우, 일부 주변국과 분쟁이 존재한다. 인도네시아와는 특히 사바 주변 해역에서 해상 경계가 일부 겹쳐, 이를 해결하기 위한 회담이 진행 중이며, 2010년 9월까지 16개의 국경 협정이 체결되었다.[51][52] 싱가포르와도 일부 해상 경계를 두고 분쟁이 있다.[53]

필리핀은 말레이시아 사바주의 동부 지역에 대해 역사적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53] 또한 말레이시아는 베트남, 브루나이, 중국, 필리핀, 중화민국(타이완) 등과 스프래틀리 군도(남사 군도) 영유권 분쟁 당사국이다.[53]

말레이시아 정부는 주변 22해리를 영해로 주장하며, 주변 200해리배타적 경제 수역(EEZ)으로 선포했다. 말라카 해협의 영해는 인도네시아와의 조약으로 정해졌다.

참조

[1] 서적 The Population of Peninsular Malaysia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 뉴스 Malays Travel Guide:Climate of Malaysia http://www.circleofa[...] Circle of Asia 2008-07-28
[3] 서적 World and Its Peoples: Eastern and Southern Asia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4] 웹사이트 Weather phenomena http://www.kjc.gov.m[...] Malaysian Meteorological Department 2008-07-31
[5] 뉴스 General Climate Information https://web.archive.[...] 2016-12-03
[6]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10-19
[7] 웹사이트 Climate of Kuala lumpur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13-10-08
[8] 웹사이트 Kuala Lumpur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5-04-24
[9] 웹사이트 Climate: Klang https://en.climate-d[...] Climate-Data.org 2020-08-01
[10]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odc.no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3-10-19
[11] 웹사이트 CLIMAT summary for 96413: Kuching (Malaysia) – Section 2: Monthly Normals https://www.ogimet.c[...] Ogimet 2021-01-21
[12] 웹사이트 Station Kuching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16-10-14
[13] 웹사이트 Klimatafel von Kuching / Insel Borneo (Kalimantan) / Malaysia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10-17
[14] 웹사이트 Laporan Kiraan Permulaan 2010 https://web.archive.[...] Jabatan Perangkaan Malaysia 2023-08-02
[15] 문서 The Land (West Malaysia). Encyclopædia Britannica
[16] 서적 Malaysia, Singapore & Brunei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17] 웹사이트 Mount Kinabalu – revered abode of the dead http://www.ecologyas[...] Ecologyasia.com 2010-09-17
[18] 서적 A comprehensive Indonesian-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PT Mizan Publika
[19] 백과사전 Main Range (mountains, Malaysia) http://www.britannic[...] 2010-10-01
[20] 웹사이트 Top 5 Largest Islands in Malaysia https://web.archive.[...] 2011-05-16
[21] 웹사이트 Coral reef image https://web.archive.[...] NASA 2008-07-31
[22] 논문 Coral reef studies and threats in Malaysia: A mini review. https://doi.org/10.1[...] 2012
[23] 뉴스 Go: A diver's paradise https://web.archive.[...] 2010-12-15
[24] 간행물 The global distribution and trajectory of tidal flats https://www.nature.c[...] 2019
[25] 웹사이트 The Malaysian Rainforest http://www.wwf.org.m[...] Wwf.org.my 2010-10-01
[26] 서적 Terrestrial ecoregions of the Indo-Pacific: a conservation assessment https://books.google[...]
[27] 서적 Terrestrial Ecoregions of the Indo-Pacific: a Conservation Assessment. Island Press 2002
[28] 웹사이트 Asia's southernmost tip http://www.nst.com.m[...] 2007-07-03
[29] 웹사이트 Tanjung Piai, The End of Asia http://www.emedia.co[...] 2003-08-22
[30] 잡지 Waterway To the World - Summer Journey https://web.archive.[...] 2006-07-31
[31] 웹사이트 Malaysia Maritime claims - Geography https://www.indexmun[...] 2018-01-29
[32] 웹사이트 WWF – Coral Triangle http://wwf.panda.org[...] Wwf.panda.org 2010-09-14
[33] 웹사이트 Maritime Claims https://web.archive.[...] CIA The World Factbook 2008-07-31
[34] 웹사이트 Indonesia-Malaysia Territorial Sea Boundary https://2009-2017.st[...] The Geographer, Department of State, USA 2008-07-31
[35] 웹사이트 Biodiversity Theme Report https://web.archive.[...]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Water, Heritage and the Arts 2009-01-24
[36] 간행물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SEAN International Affairs: Risk and Opportunity Multiplier https://www.research[...] Norwegian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NUPI) and Myanmar Institute of International and Strategic Studies (MISIS) 2017
[37] 뉴스 Flood and Drought Management in Malaysia http://www.met.gov.m[...]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Malaysia 2007-06-21
[38] 논문 Revisiting seismic hazard assessment for Peninsular Malaysia using deterministic and probabilistic approaches https://www.research[...] 2018-09
[39] 뉴스 Keseismikan Malaysia http://www.met.gov.m[...] Meteorological Department of Malaysia
[40] 논문 The 1922 Peninsula Malaysia Earthquakes: Rare Intraplate Seismicity within the Sundaland Block in Southeast Asia https://pubs.geoscie[...] 2020-05-27
[41] 웹사이트 Recent Earthquake Near Sabah, Malaysia http://earthquaketra[...] 2015-07-16
[42] 뉴스 Dealing with a restless planet http://www.nst.com.m[...] 2006-04-26
[43] 뉴스 Malaysia export growth slows to 16.9%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5-01-04
[44] 뉴스 Tin Mine Operators in Malaysia http://www.jmg.gov.m[...] Geoscience and Minerals Department of Malaysia
[45] 뉴스 Gold Mine Operator in Malaysia Minerals and Geoscience Department of Malaysia
[46] 웹사이트 Key Statistics of Malaysia http://www.statistic[...]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2008-07-30
[47] 뉴스 Malaysia Chemical Reports 2008 http://www.businessm[...] Business Monitor International
[48] 웹사이트 Environment at a Glance 2004: Malaysia http://siteresources[...] World Bank 2008-07-31
[49] 웹사이트 FACT Sheet Malaysia: Rural Women in the Malaysian Economy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or the United Nations 2008-07-30
[50] 뉴스 Border Issues Between Malaysia, Brunei Solved: Official http://english.cri.c[...] CRIENGLISH.com
[51] 뉴스 Indonesia, Malaysia to discuss border issues in September http://news.xinhuane[...]
[52] 웹사이트 Malaysia, Indonesia ministers meet to soothe tensions http://www.channelne[...] Channel NewsAsia 2010-09-06
[53] 문서 "The World Fact Book": Malaysia https://www.cia.gov/[...] CIA 2019-04-04
[54] 웹사이트 Weather phenomena http://www.kjc.gov.m[...] Malaysian Meteorological Department 2008-07-31
[55] 뉴스 General Climate Information http://www.met.gov.m[...] Malaysia Meteorological Department 2008-07-28
[56] 웹사이트 Main Range (mountains, Malaysia)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2010-10-01
[57] 웹사이트 The Malaysian Rainforest http://www.wwf.org.m[...] Wwf.org.my 2010-10-01
[58] 서적 Terrestrial ecoregions of the Indo-Pacific: a conservation assessment https://books.google[...]
[59] 웹사이트 Coral reef image http://www.nasa.gov/[...] NASA 2008-07-31
[60] 뉴스 Waterway To the World - Summer Journey http://www.time.com/[...] Time.com 2006-07-31
[61] 웹사이트 WWF — Coral Triangle http://wwf.panda.org[...] Wwf.panda.org 2010-09-14
[62] 웹사이트 Maritime Claims https://www.cia.gov/[...] CIA The World Factbook 2008-07-31
[63] 웹사이트 Biodiversity Theme Report http://www.environme[...]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Water, Heritage and the Arts 2009-01-24
[64] 뉴스 Flood and Drought Management in Malaysia http://www.met.gov.m[...]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Malaysia 2007-06-21
[65] 뉴스 Keseismikan Malaysia http://www.met.gov.m[...] Meteorological Department of Malaysia 2008-07-30
[66] 뉴스 Dealing with a restless planet http://www.nst.com.m[...] New Straits Times 2006-04-26
[67] 뉴스 Malaysia export growth slows to 16.9%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5-01-04
[68] 뉴스 Tin Mine Operators in Malaysia http://www.jmg.gov.m[...] Geoscience and Minerals Department of Malaysia 2008-08-04
[69] 뉴스 Gold Mine Operator in Malaysia Minerals and Geoscience Department of Malaysia 2008-08-04
[70] 서적 말레이시아 휘슬러 2005년
[71] 서적 The population of Peninsular Malaysia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07
[72] 웹사이트 말레이시아 개황 http://mys.mofa.go.k[...]
[73] 서적 World and Its Peoples: Malaysia, Philippines, Singapore, and Brunei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Corporation 2008
[74] 서적 말레이시아 휘슬러 2005
[75] 서적 The Ecology of Java and Bali Periplus Editions Ltd 1996
[76] 서적 지구의 생명을 보다 휘슬러 2005
[77] 웹사이트 World Fact https://www.cia.gov/[...] CIA
[78] 웹사이트 World Fact:Malaysia https://www.cia.gov/[...] CIA
[79] 웹사이트 World Fact:Coast Line https://www.cia.gov/[...] CIA
[80] 간행물 Globetrotter Visitor's Guide – Kinabalu Park New Holland Publishers (UK) Ltd 2000
[81] 뉴스 Chilling out in a tropical destination http://www.thejakart[...] Jacarta Post 2011-06-12
[82] 서적 Kamus Lengkap Indonesia Inggris Ohio University Press 2004
[83] 웹사이트 Gunung Korbu http://www.mountain-[...]
[84] 간행물 The population of Peninsular Malaysia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85] 웹사이트 Southeastern Asia: Indonesia and Malaysia http://www.worldwild[...]
[86] 웹사이트 Sulu Sea. Encyclopedia of Earth http://www.eoearth.o[...] 2011
[87] 웹사이트 The Malaysian Rainforest http://www.wwf.org.m[...]
[88] 웹사이트 Gunung Mulu National Park http://whc.unesco.or[...]
[89] 간행물 A Faunal Study of Rajang River Basin http://www.sarawakfo[...] Institute of Biodiversity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Universiti Malaysia Sarawak) 2004
[90] 웹사이트 Biodiversity Hotspots http://www.biodivers[...]
[91] 서적 신의 괴물, 인간을 먹고 산 식인동물에 대한 문화생태학적 고찰 푸른숲 2004
[92] 웹사이트 Malaysia Forest Information and Data http://rainforests.m[...]
[93] 웹사이트 Population (Updated 2 July 2010) https://www.statisti[...] 2010-07-02
[94] 간행물 Population, Household and Living Quarters (2010)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2010
[95] 웹사이트 FACT Sheet Malaysia: Rural Women in the Malaysian Economy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or the United Nations
[96] 간행물 Laporan Kiraan Permulaan 2010 Jabatan Perangkaan Malays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