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박은 개인 주택을 활용하여 숙박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를 의미하며, 전 세계적으로는 바케이션 렌탈이라는 용어로 사용된다. 숙소 유형에 따라 빌라, 아파트, 팜스테이 등 다양하게 분류되며, 호텔 숙박에 만족하지 못하는 여행객들에게 대안을 제공한다. 2000년대 이후 에어비앤비와 같은 플랫폼 기업의 등장으로 온라인 예약이 활성화되었으며, 각 국가 및 자치단체는 민박 관련 법률을 제정하여 규제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민박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주거 환경 문제, 안전 및 위생 관리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숙박 시설 - 빌라
    빌라는 고대 로마 시대 상류층의 시골 저택에서 유래하여 로마 제국 시대 부와 권력의 상징이었으며, 시대에 따라 의미와 형태가 변화하여 현대에는 단독주택, 고급 숙박 시설, 소규모 공동주택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 숙박 시설 - 리조트
    리조트는 숙박, 음식, 오락 시설을 제공하며, 스키, 해변, 골프, 스파 등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올인클루시브, 레크리에이션 리조트, 리조트 타운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민박
숙박 시설 정보
유형숙박 시설
다른 이름단기 임대
자가 취사식 숙소
휴가용 임대 숙소
특징
설명완전히 가구를 갖춘 집, 아파트 또는 콘도
단기 숙박을 위해 임대
편의 시설
일반적인 편의 시설가구
생활 공간
침실
욕실
주방
세탁 시설
추가 편의 시설 (선택 사항)수영장
온수 욕조
야외 공간
게임 룸
목적
주요 목적여행객에게 호텔의 대안 제공
휴가, 레저 또는 임시 숙박
계약
일반적인 계약 조건임대 계약
숙박 기간
요금
규칙 및 규정
관련 산업
관련 산업 분야관광 산업
부동산 산업
숙박 산업
법률 및 규제
일반적인 법률 및 규제지역 조닝 법규
라이센스 요구 사항
안전 규정
플랫폼 및 서비스
온라인 플랫폼Airbnb
Booking.com
Vrbo
장점
장점 (임차인)호텔보다 넓고 개인적인 공간
자가 취사 시설
비용 효율성 (단체 여행 시)
장점 (소유자)추가 수입
부동산 활용
단점
단점 (임차인)호텔 서비스 부족
표준화된 품질 관리 부족
사기 위험
단점 (소유자)유지 보수 및 관리 필요
공실 위험
법적 및 규제 문제

2. 세계의 민박

세계적으로 민박은 바케이션 렌탈(Vacation rental)이라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며, 일본의 민박과 유사한 서비스가 서구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다.[22] 바케이션 렌탈은 다양한 형태와 규모로 운영된다.

2000년대 이후 인터넷상에서 호스트(대여인)와 게스트(차용인) 간의 임대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이 나타나면서, 바케이션 렌탈은 새로운 전개를 보였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Airbnb(에어비앤비)가 있다. 이 외에도 익스피디아트립어드바이저 등 여행 사이트 운영 기업이 산하에 바케이션 렌탈에 특화된 자회사를 갖는 경우, 부킹닷컴 등 호텔 예약과 바케이션 렌탈 모두에 관여하는 경우[23], 아코르 호텔처럼 호텔 운영 기업이 바케이션 렌탈 운영 자회사를 갖는 경우[24] 등이 있다. 이러한 기업에서는 공유 경제에 기반한 에어비앤비, 개인 주택·별장의 임대를 취급하는 HomeAway, 법인에 의한 임대 물건을 많이 취급하는 부킹닷컴 등, 취급하는 물건에 따른 차이도 보인다.[25]

이러한 서비스의 법적 위치에 관해서 서구에서는 최근, 국가 또는 각 자치단체가 법률을 제정하여 운용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대응은 합법화, 금지를 명문화하여 단속을 강화, 숙박 일수의 제한·호스트의 동거·호텔세 징수 및 자치단체나 세무 당국에의 보고 등을 요건으로 하는 조건부 합법화와 같이 다양하게 나뉘어져 있다.[26]

각 국가별 법률 제정 현황은 다음과 같다.

국가 및 지역법률 제정 현황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퀸즐랜드주, 2013년 12월 제정), 영국 전역 (연간 90일까지, 2015년 5월 제정)대여인의 재실 부재에 관계없이 단기 임대를 합법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2014년 2월 제정), 프랑스 전역 (2014년 3월 제정), 미국 샌프란시스코 (거주자 부재의 경우, 연간 90일까지, 2014년 10월 제정)대여인이 거주하는 경우에 단기 임대를 합법화
미국 필라델피아 (2015년 7월 제정)주거 전용 지역에서의 단기 임대를 합법화. 단, 180일 이상의 영업은 금지. 호텔세 과세 대상.
미국 뉴욕 (2011년 5월 제정)부재중인 자택의 단기 임대(30일 미만) 금지를 법제화
덴마크 (2018년 5월 제정)세무 당국에 플랫폼 사업자가 수입을 보고, 영업일수는 1개 물건당 연간 70일 이내[27]


2. 1. 유형

민박은 숙소 유형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빌라, 아파트, 코티지, 콘도미니엄, 타운홈, 단독 주택과 같이 가구가 완비된 형태가 일반적이다. 팜스테이는 농장에서의 체험이나 농장 근처의 숙소를 포함한다. 예산에 따라 스튜디오 아파트부터 고급 빌라까지 선택할 수 있으며, 일부는 전담 직원, 전용 해변 등 호텔 수준의 편의 시설을 제공하기도 한다.[1] 캠핑카 대여 및 모터홈 대여도 민박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일본의 민박과 유사한 서비스는 서구에서 널리 퍼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바케이션 렌탈(Vacation rental영어)'이라는 용어로 불린다.[22] 바케이션 렌탈의 대상 시설은 미국 하와이주플로리다주, 지중해 연안 등의 별장부터 뉴욕이나 런던과 같은 대도시의 콘도미니엄까지 다양하다. 거래 형태도 개인이 소유한 자산을 활용하는 (C to C형) 홈스테이나 팜스테이부터, 부동산 기업 등 법인이 실시하는 대규모 렌탈 사업(B to C형)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사업은 호텔 숙박에 만족하지 못하는 여행객이나 호텔 시설로 충족할 수 없는 수요를 보충하는 선택지로 이용된다.

2. 2. 지역

유럽에서는 민박이 매우 인기 있으며, 미국령 버진 아일랜드,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독일, 그리스, 튀르키예 등이 주요 목적지이다. 프랑스에서는 민박을 지트라고 부른다.

미국에서는 플로리다, 하와이, 캘리포니아와 같은 주요 관광 지역뿐만 아니라 해변이 있는 다른 해안 지역에서도 민박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이곳에서는 해변 주택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대부분이 임대 숙소이다. 민박 시장은 미국보다 유럽에서 훨씬 더 크며, 플로리다는 유럽인들에게 인기 있는 민박 목적지이다.[22]

각 국가별 법률 제정 현황은 다음과 같다.

국가 및 지역법률 제정 현황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퀸즐랜드주, 2013년 12월 제정), 영국 전역 (연간 90일까지, 2015년 5월 제정)대여인의 재실 부재에 관계없이 단기 임대를 합법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2014년 2월 제정), 프랑스 전역 (2014년 3월 제정), 미국 샌프란시스코 (거주자 부재의 경우, 연간 90일까지, 2014년 10월 제정)대여인이 거주하는 경우에 단기 임대를 합법화
미국 필라델피아 (2015년 7월 제정)주거 전용 지역에서의 단기 임대를 합법화. 단, 180일 이상의 영업은 금지. 호텔세 과세 대상.
미국 뉴욕 (2011년 5월 제정)부재중인 자택의 단기 임대(30일 미만) 금지를 법제화
덴마크 (2018년 5월 제정)세무 당국에 플랫폼 사업자가 수입을 보고, 영업일수는 1개 물건당 연간 70일 이내[27]


2. 3. 다른 숙박 시설과의 비교

타임셰어는 여러 소유자가 공동으로 소유하는 부동산의 일부를 사용하는 권리를 갖는 형태라는 점에서 민박과 다르다. 타임셰어는 각 소유자가 재산의 일부를 책임지고, 일정 기간 동안 단독으로 사용할 권리를 가진다.[2]

일반적인 호텔은 민박 시설을 포함하지 않지만, 일부 현대적인 리조트는 호텔을 통해 임대하거나 소유자가 직접 또는 대행사를 통해 임대할 수 있는 빌라콘도미니엄을 포함하기도 한다.

2. 4. 시장 규모 및 온라인 플랫폼

에버코어(Evercore)는 전 세계 민박 시장 규모를 1조달러로 추산하며, 이 중 3분의 2가 "자체 소유주 임대" 시장이라고 추정한다.[3] 2000년대 이후 인터넷 상에서 호스트(대여인)와 게스트(차용인) 간의 임대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이 나타나면서, 민박은 새로운 전개를 보였다.

Airbnb(에어비앤비)가 대표적인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익스피디아, 트립어드바이저 등 여행 사이트 운영 기업이 산하에 민박에 특화된 자회사를 갖는 경우, 부킹닷컴 등 호텔 예약과 민박 모두에 관여하는 경우[23], 아코르 호텔처럼 호텔 운영 기업이 민박 운영 자회사를 갖는 경우[24] 등이 있다. 이러한 기업에서는 공유 경제에 기반한 에어비앤비, 개인 주택·별장의 임대를 취급하는 HomeAway, 법인에 의한 임대 물건을 많이 취급하는 부킹닷컴 등, 취급하는 물건에 따른 차이도 보인다.[25]

2015년 11월, 익스피디아(Expedia)는 에어비앤비(Airbnb)와 경쟁하기 위해 홈어웨이(HomeAway)(VRBO 및 기타 여러 휴가 임대 브랜드를 소유)를 인수했다.[5] HomeAway와 VRBO는 Vrbo라는 단일 브랜드로 통합되었다.[6]

2. 5. 법적 규제

많은 국가와 도시에서 지역 주민이나 경쟁 숙박업체의 불만 제기 이후 민박에 대한 규제를 시도하거나 금지하고 있다. 미국의 뉴욕시, 시카고 등에서는 단기 임대에 대한 제한을 도입했지만, 규제가 항상 엄격하게 시행되는 것은 아니다.[15]

샌디에이고는 2022년부터 단기 휴가 임대로 사용될 수 있는 부동산 수에 1%의 제한을 두었으며, 이는 캘리포니아 해안 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17] 이 제한은 소유주가 영구 거주자가 아닌 주택에만 적용되며, 소유주가 거주하는 주택에서 사용 가능한 공유 객실은 제한 대상이 아니다.[18] 또한, 단기 휴가 임대로 주택을 임대하는 사람은 일시적 점유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18]

일본의 민박에 해당하는 서비스는 서구에서 바케이션 렌탈(Vacation rental영어)이라는 용어로 널리 행해지고 있다.[22] 2000년대 이후 Airbnb(에어비앤비)와 같은 임대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이 나타나면서 바케이션 렌탈은 새로운 전개를 보였다.

이러한 서비스의 법적 위치에 관해 서구에서는 국가 또는 각 자치단체가 법률을 제정하여 운용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대응은 합법화, 금지, 조건부 합법화 등 다양하게 나뉜다.[26]

  • 대여인의 재재 부재에 관계없이 단기 임대를 합법화: 오스트레일리아(빅토리아주퀸즐랜드주, 2013년 12월 제정), 영국 전역 (연간 90일까지, 2015년 5월 제정) 등.
  • 대여인이 거주하는 경우에 단기 임대를 합법화: 네덜란드암스테르담(2014년 2월 제정), 프랑스 전역 (2014년 3월 제정), 미국 샌프란시스코(거주자 부재의 경우, 연간 90일까지, 2014년 10월 제정) 등.
  • 주거 전용 지역에서의 단기 임대를 합법화 (180일 이상 영업 금지, 호텔세 과세 대상): 미국 필라델피아(2015년 7월 제정).
  • 부재중인 자택의 단기 임대(30일 미만) 금지: 미국 뉴욕(2011년 5월 제정)
  • 플랫폼 사업자가 세무 당국에 수입을 보고, 영업일수는 1개 물건당 연간 70일 이내[27]: 덴마크(2018년 5월 제정)


2013년 12월, 국가전략특별구역법이 성립[56]되었고, 2015년 10월, 민박을 추진하는 조례가 오사카부 의회에서 가결, 성립[57]되었다. 같은 해 10월, 국가전략특별구역으로 지정된 도쿄도 오타구에서 여관업법상의 특례 취급이 인정되었다.[58] 2016년 10월에는 특구 민박의 최저 숙박일수 요건을 2박 3일 이상으로 완화하는 정령이 각의 결정되었다.[59] 특구 제도에서는 외국인 여행자의 체류에 적합한 시설일 것이 요건이지만, 이용자에 대한 규정은 없으며, 일본인도 숙박할 수 있다.[60]

정부는 2015년 6월, 민박 관련 규제 완화에 대해 2016년 내에 결론을 내릴 것을 각의 결정[61]하고, 개인 대여자에 의한 민박과 기업이 사업으로 하는 민박을 모두 2016년부터 2018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전국 규모로 해금하는 방침을 표명했다.[29] 2016년 6월, 민박 신법 제정을 시야에 둔 최종 보고서 초안이 정리되었으며,[62] "일정 요건" 범위 내에서 유상이며 반복적으로 계속되는 민박을 합법으로 하고, 등록제 또는 신고제로의 전환, 영업일수 상한 설정, 주거 전용 지역에서의 영업 합법화가 포함되었다.[62] 무허가 민박에 대해서는 벌금액을 인상하고,[63] 각 자치단체의 조례로 민박을 실시 불가로 하는 것도 가능하게 했다.[64] 민박 신법(주택숙박사업법) 법안은 2017년 3월에 각의 결정[65], 국회에 제출되었으며, 6월 9일에 성립되었다.[66] 시행일은 2018년 6월 15일이다.[67]

2. 6. 여행객의 우려 사항

일부 여행객들은 실제 숙소가 설명과 다른, 이른바 'SNAD'(Significantly Not As Described|시그니피컨틀리 낫 애즈 디스크라이브드영어)라고 불리는 상황을 우려하여 민박을 꺼리기도 한다. 사진으로는 완벽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지붕에서 물이 새거나 전망이 가려진 숙소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많은 민박 회사들은 사용자 후기를 제공한다.[11]

또한, 가짜 계정을 만들어 존재하지 않는 숙소를 광고하는 경우도 주요 우려 사항 중 하나이다. 이 경우, 고객은 휴가를 예약하고 비용을 지불했지만 도착하면 해당 숙소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숙소 예약과 비용 지불이 몇 달 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범인은 이미 사라진 후여서 고객은 금전적 손실을 보게 될 수 있다.[12]

3. 한국의 민박

대한민국에서 민박은 농어촌 지역 주민의 소득 증대를 위해 시작된 숙박업의 한 형태이다. 2005년 농어촌 정비법 제정 전에는 법적 규제 없이 민박을 운영할 수 있었으나, 제정 이후에는 민박 사업자 등록이 의무화되었다.[74] 2007년 기준으로 14,805명이 농어촌 민박 사업자로 등록했다.[74]

최근에는 에어비앤비와 같은 숙박 공유 서비스의 등장과 함께 민박이 도시 지역으로 확대되는 추세이다.

3. 1. 정의 및 법적 위치

대한민국에서 민박은 숙박업의 일종으로, 2005년 농어촌 정비법에 의해 정의되었다. 농어촌 정비법은 민박을 농어촌 및 준농어촌 지역 주민이 거주하는 단독주택을 이용하여 농어촌 소득 증대를 목적으로 숙박 및 취사 시설 등을 제공하는 사업으로 규정한다.[73][74] 농어촌은 , 지역이나 그 외 농어업 관련 지역의 농어민 구역, 그리고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이 해양수산부 장관과 협의하여 고시하는 지역을 포함한다.[75]

2005년 법 제정 이전에는 민박 영업에 법적 규제가 없었으나, 법 제정 이후에는 민박 사업자 지정을 받아야 한다.[74] 2007년 기준 14,805명이 농어촌 민박 사업자로 등록되었다.[74]

일반적으로 민박은 "주택 (단독주택, 공동주택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활용하여 숙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32] 주택을 활용한 숙박 시설에서 "숙박료를 징수하고, 반복적으로 계속 제공"하는 경우 여관업법 적용을 받으며, 간이숙소 영업 허가가 필요하다.[35]

일본에서는 2013년 12월 국가전략특별구역법에 따른 여관업법 특례로 "특구 민박"이 법제화되었다.[30] 2017년에는 전국 대상 주택숙박사업법이 성립, 2018년 6월 15일 시행되었다.[31] 여관업법이 적용되지 않는 민박으로는 국가전략특구 인정 구역에서 정령으로 정해진 범위 내(최저 숙박일수 3일 이상 등)에서 각 자치단체 조례에 의해 규정되는 "특구 민박"[37], 연 1회(수일 정도) 이벤트 개최 시 자치단체 등의 요청으로 자택을 활용한 숙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이벤트 민박"[38], 자원봉사 활동 무상 민박 "자원봉사 민박" 등이 있다.

3. 2. 최근 동향

2008년에어비앤비(Airbnb)가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민박이 과열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기존 홈스테이 수요와 더불어 투자 목적의 임대인들이 Airbnb 서비스를 통해 대거 참여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42]

개인 투자자들의 빈 방을 활용한 민박이 늘어나면서, 부동산업, 관광업, 예약웹사이트 운영 IT업체 등이 민박 시장에 진출했다. 이들은 신축 아파트 한 동 전체를 민박으로 전환하는 등 적극적인 사업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전국 고가옥 재생 협회는 고택을 활용한 민박을 장려하고 있으며, 한계 집락에서는 빈집이나 폐가를 민박으로 활용하여 마을 유지에 기여하고 있다.[45] 철도버스 사업자들도 승객 증가를 기대하며 민박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편의점은 민박 이용객의 열쇠 수령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열쇠 전달 대행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는 식사나 어메니티 제공이 없는 민박의 특성상, 열쇠를 찾으러 오는 고객의 식료품 등 추가 구매를 유도하는 효과도 노리고 있다.[46]

2016년 구마모토 지진 발생 후, Airbnb 일본 운영자는 피해자에게 임시 숙소를 무상으로 제공하는 호스트를 모집했다. 이후 발생한 에콰도르 지진에서도 유사한 지원이 이루어졌다.[47]

전국 임대 주택 신문사의 2016년 8월 조사에 따르면, 도쿄도, 가나가와현, 오사카부, 효고현, 후쿠오카현의 23구 18시에 등록된 Airbnb 물건 3375건 중 85%인 2872건이 불법 영업이었다.[48] 국가 전략 특별 구역인 오타구에서도 게재 물건의 약 60%가 무허가로 의심되었다.[48] 각지 보건소는 불법 민박의 실태를 인지하고 있지만, 단속 권한 부재 등의 이유로 방치하고 있는 상황이다.[48]

주택 숙박 사업법 시행 이후에도 법이나 조례를 위반하거나, 아파트 관리 규약을 무시하는 "암(闇) 민박"이 여전히 존재한다.[49]

규제 강화로 인해 민박 영업을 포기하는 소유자나 임차인도 나타나고 있으며, 이들을 위한 민박 철수 대행 서비스도 등장했다.[50]

민박 관련 기업들은 시장 건전화를 위해 2018년 12월 11일, 업계 단체 "주택 숙박 협회"(JAVR)를 2019년에 설립한다고 발표했다.[51]

3. 3. 법적 규제 변화

2016년 4월, 여관업법 시행령이 개정되어 10명 미만 시설의 객실 연면적 기준 완화 및 프런트 설치 의무 면제 등 간이 숙소 요건이 일부 완화되었다[52][36]。 그러나 가루이자와정 등 일부 지자체는 독자적인 관광 기준으로 민박을 금지하거나, 하쿠바촌이나 노자와온센촌처럼 별장 등을 실태 파악하여 지도를 철저히 하는 방침을 세우는 등 규제를 하고 있다[55]

2013년 12월, 국가전략특별구역법이 성립되어[56] 오사카부도쿄도 오타구 등에서 특구 민박이 운영되기 시작했으며[57][58], 2016년 10월에는 특구 민박의 최저 숙박일수 요건이 2박 3일 이상으로 완화되는 정령이 각의 결정되었다[59]

2018년 6월 15일, 주택숙박사업법(민박 신법) 시행으로 민박이 전국적으로 합법화되었으며[31], 등록제 또는 신고제를 통해 운영된다[62]。 민박 신법은 결격 조항을 두어 부적격 사업자의 진입을 제한하고 있다[65]

민박 신법 시행 이후 무허가 민박에 대한 단속이 강화되고 있으며, 벌금 상한액이 3만 엔에서 100만 엔으로 인상되었다[63]

3. 4. 지자체별 규제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주거 환경 보호, 관광객과의 마찰 등을 이유로 민박에 대한 독자적인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나가노현 기타사쿠군 가루이자와정은 2016년에 "민박은 선량한 풍속 유지와 양호한 자연환경 보전에 지장이 되며, 풍기를 문란하게 할 우려가 있다"라며 민박 전면 금지 방침을 명시했다.[68] 그러나 호시노 리조트는 "오프 시즌에 사용되지 않는 별장을 방치하면 오히려 별장지 전체의 환경을 악화시킨다", "민박으로 가옥 관리가 잘 되면 별장의 가치가 올라가고, 별장 구매자도 증가한다", "더 매력 넘치는 지역이 된다"라고 주장하며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72]

도쿄도 신주쿠구 의회는 2017년 12월 11일, 평일 민박 영업을 금지하는 조례를 가결했다.[69][70][71] 오타구는 주택 지역 및 공업 지역에 대한 민박 영업을 전면 금지하는 조례안을 추진하고 있다.

교토시는 빈집을 민박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례를 추진하고 있다.

4. 평가 및 논점

민박은 경제 활성화, 빈집 문제 해결 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지만, 주거 환경 악화, 안전 문제, 탈세 등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79] 더불어민주당은 민박 산업의 긍정적인 면을 극대화하고 부정적인 면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 경제적 효과: 민박은 일반 주택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 이용자가 지역에서 음식, 구매 등을 함으로써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민박 개설 자체로 가구, 가전, 비품, 소모품 구매가 이루어져 경제적인 이점이 크다.
  • 빈집 문제 해결: 민박은 전국적인 빈집 증가와 숙박 시설 부족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수단으로도 기대된다.[79]
  • 주거 환경 문제: 불법 민박으로 인한 주민 피해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단속 강화 및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 2017년 1월 13일 오사카 지방 재판소에서는 아파트 소유주의 불법 민박 영업으로 발생한 쓰레기, 소음 등의 문제가 다른 주민에 대한 불법 행위에 해당한다며 소유주에게 500000JPY 배상을 명령하는 판결이 내려졌다.[80]
  • 도시재생기구(UR)나 각 도시의 지방 주택 공급 공사 임대 물건은 내규에 의해 민박이 금지되어 있지만, 불법 민박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태가 밝혀졌다.[81][82][83]
  • 공동 주택 민박 금지: 아파트 등 공동 주택에서는 치안 악화, 자산 가치 하락을 우려해 민박 금지를 명확히 하는 추세이며,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 2016년 1월 27일, 아파트 관리 조합이 오사카 지방 재판소에 제기한 민박 금지 가처분 신청에 대해 법원이 관리 조합의 주장을 인정하여 민박 중지를 명령했다.[84]
  • 안전 문제: 숙박자의 안전 확보, 위생 관리 등 민박 운영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숙박자가 체류 중 열쇠를 복사하여 빈집털이를 하거나, 범죄자나 테러리스트의 은신처가 될 우려가 있으며, 실제로 범죄 행위가 일어난 예가 있다.[87][88]
  • 보건소 지도에 의해 위생관리로서 목욕이나 침구소독을 포함한 정기적인 청소·세탁이 의무화되어 있지만, 개인 경영 민박에서는 집주인·관리인의 재량에 맡겨져 있어 숙박자가 불이익(감염증 등)을 받을 위험성이 있다.[89]
  • 화재, 지진, 해일 등의 재해 발생 시 숙박자를 피난 유도해야 하지만, 스태프가 상주하지 않는 민박에서는 일본어가 서투른 방일 외국인 여행자의 안전 확보가 과제이다.

4. 1. 세계

민박에서는 기존 숙박업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몇 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차별은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Airbnb에서는 숙박자가 흑인이나 LGBT인 경우, 이를 이유로 숙박을 거절당한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미국 하버드 대학교에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예약자가 흑인인 경우 백인에 비해 예약 성공률에 16%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4] 이러한 차별은, 기존 숙박업에서는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시민권법에 근거하여 금지되어 있지만, 민박은 개인 간의 거래이므로 문제가 재발하고 있다. Airbnb는 차별적인 행동을 한 호스트를 금지하거나, 2016년 9월에는 차별 방지책을 마련하는 등의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주택 사정의 압박이 문제시되고 있는 미국 뉴욕에서는, 그 원인이 본래 주거용인 주택이 셰어링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점에 있다고 논의가 되고 있다.

4. 2. 한국

민박은 경제적 효과, 빈집 문제 해결 등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주거 환경 악화, 안전 문제, 탈세 등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더불어민주당은 민박 산업의 긍정적인 측면을 극대화하고, 부정적인 측면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힘쓰고 있다.

  • 경제적 효과: 민박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일반 주택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 이용자가 지역에서 음식, 구매 등을 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좋은 효과를 미치며, 민박 개설 자체로 가구, 가전, 각종 비품, 소모품 구매가 이루어져 경제적인 이점이 크다.
  • 빈집 문제 해결: 전국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빈집 증가와 숙박 시설 부족 문제를 모두 해결하는 수단으로도 기대된다.[79]
  • 주거 환경 문제: 불법 민박으로 인한 주민 피해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단속 강화 및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 2017년 1월 13일 오사카 지방 재판소에서는 아파트 소유주의 불법 민박 영업으로 발생한 쓰레기, 소음 등의 문제가 다른 주민에 대한 불법 행위에 해당한다며 소유주에게 500000JPY 배상을 명령하는 판결이 내려졌다.[80]
  • 도시재생기구(UR)나 각 도시의 지방 주택 공급 공사 임대 물건은 내규에 의해 민박이 금지되어 있지만, 불법 민박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태가 밝혀졌다.[81][82][83]
  • 공동 주택 민박 금지: 아파트 등 공동 주택에서는 치안 악화, 자산 가치 하락을 우려해 민박 금지를 명확히 하는 추세이며,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86]
  • 2016년 1월 27일, 아파트 관리 조합이 오사카 지방 재판소에 제기한 민박 금지 가처분 신청에 대해 법원이 관리 조합의 주장을 인정하여 민박 중지를 명령했다.[84]
  • 안전 문제: 숙박자의 안전 확보, 위생 관리 등 민박 운영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숙박자가 체류 중 열쇠를 복사하여 빈집털이를 하거나, 범죄자나 테러리스트의 은신처가 될 우려가 있으며, 실제로 범죄 행위가 일어난 예가 있다.[87][88]
  • 보건소 지도에 의해 위생관리로서 목욕이나 침구소독을 포함한 정기적인 청소·세탁이 의무화되어 있지만, 개인 경영 민박에서는 집주인·관리인의 재량에 맡겨져 있어 숙박자가 불이익(감염증 등)을 받을 위험성이 있다.[89]
  • 화재, 지진, 해일 등의 재해 발생 시 숙박자를 피난 유도해야 하지만, 스태프가 상주하지 않는 민박에서는 일본어가 서투른 방일 외국인 여행자의 안전 확보가 과제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hocuswright 2015: Vacatia launches family resort holiday rental marketplace http://www.travoluti[...] Travolution 2015-11-18
[2] 웹사이트 2015 State of the Industry http://www.nxtbook.c[...] Developments 2015-07-01
[3] 웹사이트 How The Vacation Rental Land Grab Stacks Up: HomeAway Vs. Priceline Vs. Airbnb http://skift.com/201[...] Skift 2015-04-07
[4] 문서 How to find and book a holiday apartment online http://www.theguardi[...] The Guardian 2013-06-28
[5] 웹사이트 Expedia to Buy Vacation Rental Site HomeAway for $3.9 Billion http://www.wsj.com/a[...] Wall Street Journal 2015-11-04
[6] 뉴스 HomeAway, the world's largest vacation rental site, is rebranding itself as Vrbo https://www.statesma[...] 2019-05-03
[7] 웹사이트 S.F. startups Tripping.com, Vacatia join Airbnb, Booking.com in the online travel booking fray http://www.bizjourna[...] San Francisco Business Times 2015-11-17
[8] 웹사이트 Investopedia http://www.investope[...] 2014-06-30
[9] 웹사이트 HomeAway http://community.hom[...] 2014-06-30
[10] 서적 Urban Planning and Real Estate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01-19
[11] 뉴스 Renting a Villa, Not a Dump http://online.wsj.co[...] Wall Street Journal 2008-11-05
[12] 뉴스 Warning over holiday villa scams http://www.bbc.co.uk[...]
[13] 웹사이트 Affordable Housing and the Impact of Short-Term Rentals https://mrsc.org/Hom[...] 2022-11-28
[14] 웹사이트 Tourism Economics Study Boosts Vacation Rentals and Downplays Local Concerns https://skift.com/20[...] 2022-11-28
[15] 웹사이트 Travel News, Tips, and Guides - USATODAY.com https://www.usatoday[...]
[16] 웹사이트 Changes in Portland rental rules don't go far enough: Guest opinion https://www.oregonli[...] 2014-07-02
[17] 웹사이트 The Coast News Group https://thecoastnews[...] 2022-05-24
[18] 웹사이트 Transient Occupancy Tax (TOT)/Tourism Marketing District (TMD) https://www.sandiego[...] 2022-05-24
[19] 웹사이트 For subscribers: New regulations capping San Diego short-term rentals now on track to go into effect next spring https://www.sandiego[...] 2022-05-24
[20] 웹사이트 住宅宿泊事業法 https://www.mlit.go.[...] 観光庁 2018-07-02
[21] 뉴스 杉岡昭子さん 民泊留学はどうぞサッポロへ(人きのうきょう) 1987-04-20
[22] 웹사이트 Vacation Rental and Time Share Industry News by Skift http://skift.com/roo[...] Skift 2015-12-31
[23] 웹사이트 Airbnb, HomeAway, TripAdvisor, Booking, and Rented talk vacation rentals http://www.tnooz.com[...] Tnooz 2015-12-31
[24] 웹사이트 仏アコーホテルズが「民泊」事業に参入、高級住宅レンタルの英ワンファインステイ社を買収 http://www.travelvoi[...] トラベルボイス 2016-05-07
[25] 웹사이트 Booking Site CEOs’Most Quotable Moments of 2015 http://skift.com/201[...] Skift 2016-01-02
[26] 웹사이트 民泊サービスに係る諸外国における関連規制の概要 https://www8.cao.go.[...] 内閣府 2016-05-07
[27] 웹사이트 In Denmark, Airbnb to report hosts’ rent to tax authorities https://apnews.com/5[...] AP通信 2018-05-20
[28] 웹사이트 民泊:訪日客向け拡大 米社に登録、3倍 住宅空室活用 大半無許可、政府調査へ http://mainichi.jp/a[...] 毎日新聞 2015-12-31
[29] 웹사이트 民泊を段階的解禁へ=小規模は来年、営利は18年までに-政府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5-12-31
[30] 웹사이트 国家戦略特区/旅館業法の特例(特区民泊)について https://www.chisou.g[...] 内閣府 2018-07-02
[31] 웹사이트 「住宅宿泊事業法の施行期日を定める政令」及び「住宅宿泊事業法施行令」を閣議決定 https://www.mlit.go.[...] 観光庁 2018-07-02
[32] 웹사이트 民泊サービスと旅館業法に関するQ&A Q3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7-02-22
[33] 웹사이트 民泊サービスと旅館業法に関するQ&A Q9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7-02-22
[34] 웹사이트 民泊サービスと旅館業法に関するQ&A Q1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7-02-22
[35] 웹사이트 民泊サービスと旅館業法に関するQ&A Q1、Q4、Q8、Q12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7-02-22
[36] 간행물 民泊サービスと旅館業法に関するQ&A Q12、Q13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7-02-23
[37] PDF 国家戦略特区 特区民泊について(平成29年2月24日更新) https://www.chisou.g[...]
[38] PDF イベント民泊ガイドラインについて(平成28年4月1日) http://www.mhlw.go.j[...]
[39] PDF 旅館業法施行規則の一部を改正する省令の施行について(平成28年3月31日) https://www.mhlw.go.[...]
[40] 간행물 民泊サービスと旅館業法に関するQ&A Q5、Q6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7-02-22
[41] PDF 農家等民泊の手引き2601改訂 https://www.pref.miy[...]
[42] 웹사이트 クローズアップ現代 過熱する“民泊”~新たなおもてなしのかたち~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 2015-10-26
[43] 웹사이트 日本市場に吹き荒れる「中国民泊」旋風 最大手「自在客」CEO独占インタビュー 「Airbnbは射程圏内にある」 http://blogos.com/ar[...] BLOGOS 2016-03-25
[44] 웹사이트 民泊仲介サイトに行政から正式要請、旅館業法改正の周知など、欧米・中国系事業者などに http://www.travelvoi[...] トラベルボイス 2016-04-12
[45] 웹사이트 古民家「再生」で地方創生、なぜ「限界集落」に観光客が殺到したのか https://www.sbbit.jp[...] SBクリエイティブ 2017-01-16
[46] 뉴스 民泊いよいよ解禁 コンビニが狙う相乗効果 https://www.j-cast.c[...] J-CASTニュース 2018-06-10
[47] 웹사이트 Airbnbの緊急災害支援 https://www.airbnb.j[...] Airbnb
[48] 뉴스 Airbnb物件 85%が無許可 http://www.zenchin.c[...] 2016-08-01
[49] 뉴스 「ヤミ民泊」対策に誰も手が回らない!外国人誘致合戦の恐ろしさ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社 2018-03-09
[50] 뉴스 「民泊撤退ビジネス急増 会議室転用や家具処分」 https://www.nikkei.c[...] 2018-06-23
[51] 뉴스 「健全な住宅宿泊市場へ 民泊仲介9社が協会設立」 https://www.nikkan.c[...] 日刊工業新聞 2018-12-12
[52] 웹사이트 民泊の「旅館業法改正」が4月1日施行へ、簡易宿所「面積3.3平方メートル」など意見募集スタート http://www.travelvoi[...] トラベルボイス 2016-02-09
[53] PDF 農林漁業者が農林漁業体験民宿業を営む施設について(平成26年3月31日) https://www.mhlw.go.[...]
[54] PDF 旅館業法施行規則の一部を改正する省令の施行について(平成28年3月31日) https://www.mhlw.go.[...]
[55] 뉴스 2016-06-04
[56] 웹사이트 国家戦略特別区域法(平成二十五年法律第百七号) https://laws.e-gov.g[...] 総務省行政管理局 2019-12-06
[57] 웹사이트 「民泊」条例が大阪府で全国初成立 松井知事は「大阪市もなければ効果は半減」 https://www.sankei.c[...] 産經新聞/産経デジタル 2015-10-27
[58] 웹사이트 「民泊」解禁で「シェアリング・エコノミー」拡大なるか ホテル逼迫、国家戦略特区で実現 http://business.nikk[...] 日経BP社 2015-10-23
[59] 뉴스 民泊、「6泊7日以上」から「2泊3日以上」に緩和 閣議で決定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6-10-25
[60] 간행물 旅館業法の特例について http://www.kantei.go[...] 地方創生推進事務局 2016-04-10
[61] 웹사이트 個人宅への宿泊サービス(民泊)の規制緩和、2016年に結論へ、政府が「規制改革実施計画」を閣議決定 http://www.travelvoi[...] トラベルボイス 2015-07-02
[62] PDF 「民泊サービス」の制度設計のあり方について(「民泊サービス」のあり方に関する検討会最終報告書(案))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6-06-20
[63] 뉴스 無許可民泊罰金、3万円から100万円に引き上げへ。MINPAKU.Biz MINPAKU.Biz 2017-02-15
[64] 웹사이트 民泊の新法へ最終案が固まる、住宅専用地域でも可能、仲介業者は旅行業法とは別枠組みに http://www.travelvoi[...] トラベルボイス 2016-06-20
[65] 웹사이트 「住宅宿泊事業法案」を閣議決定 https://www.mlit.go.[...] 観光庁 2017-03-10
[66] 뉴스 民泊「解禁」法が成立 届け出義務付け、18年1月にも施行 https://www.nikkei.c[...] 2017-06-09
[67] 웹사이트 「住宅宿泊事業法の施行期日を定める政令」及び「住宅宿泊事業法施行令」を閣議決定 https://www.mlit.go.[...] 観光庁
[68] 웹사이트 民泊施設は認めません http://www.town.karu[...] 軽井沢町
[69] 뉴스 民泊 東京・新宿区が独自条例案 住宅地の平日営業認めず https://mainichi.jp/[...] 2017-11-20
[70] 뉴스 【社会】住宅地は金土日のみ 新宿区が初、民泊営業条例案 http://www.tokyo-np.[...] 2017-11-16
[71] 뉴스 東京都新宿区の民泊規制条例が可決・成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12-11
[72] 뉴스 星野リゾートが「民泊」参入へ 軽井沢の別荘を活用 http://www.shinmai.c[...] 信濃毎日新聞 2018-01-18
[73] 웹사이트 법제처 생활법령정보 - 민박 사업자 개요 http://oneclick.law.[...]
[74] 간행물 韓国南沿岸部における民泊経営の展開 https://doi.org/10.1[...] 日本地理学会 2009-06-22
[75] 법률 농어업ㆍ농어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76] 웹사이트 Airbnbで相次ぐ差別 シェアリング・エコノミーに息づく闇 https://www.buzzfeed[...] BuzzFeed 2016-09-19
[77] 웹사이트 New York City poised to join Airbnb crackdown https://www.politico[...] POLITICO 2018-05-15
[78] 웹사이트 経済効果は年間10兆円超――宿泊施設不足の切り札は「民泊」 http://www.itmedia.c[...] 産経新聞([[ITmedia]]ビジネスオンライン) 2015-12-02
[79] 웹사이트 空き家のある街、丸ごと「ホテル」に 民泊導入も安心 大阪・西九条の住宅街、フロントで一元管理 https://style.nikkei[...] 日本経済新聞 2017-06-28
[80] 뉴스 民泊 トラブル、所有者に賠償命令…大阪地裁判決 http://mainichi.jp/a[...] 毎日新聞 2017-01-13
[81] 뉴스 UR物件、民泊に転貸80件…内規に違反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6-07-21
[82] 뉴스 不正民泊、大阪市公社物件でも…本人居住と偽り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16-07-26
[83] 뉴스 公社物件の不正民泊、尼崎でも2件判明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16-07-27
[84] 뉴스 マンション「民泊」差し止め、大阪地裁が初判断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6-05-24
[85] 웹사이트 民泊:35自治体、緩和せず…フロント設置義務付け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6-05-22
[86] 웹사이트 分譲マンション住民 「民泊」お断り続々 大田区の認定条例あす施行 http://www.tokyo-np.[...] 『東京新聞』(中日新聞東京本社) 2016-01-28
[87] 뉴스 「民泊拠点に滞在「毎日のように盗み」韓国で転売」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8-01-18
[88] 뉴스 民泊拠点に特殊詐欺 リーダー29歳男を逮捕 甘い本人確認利用か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9-02-17
[89] 웹사이트 旅館業における衛生等管理要領 https://www.mhlw.go.[...]
[90] 웹인용 법제처 생활법령정보 - 민박 사업자 개요 https://web.archive.[...] 2014-12-23
[91] 법률 농어업ㆍ농어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