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벨기에 식민제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기에 식민 제국은 1830년 벨기에 독립 이후, 콩고 자유국을 비롯하여 르완다-우룬디, 과테말라 산토 토마스, 톈진 조계, 탕헤르 국제 구역, 코마치나 섬 등을 포함하는 식민지 및 조차지를 통해 형성되었다. 레오폴드 2세는 콩고 분지를 개인적으로 지배하며 상아와 고무를 착취했고, 이 과정에서 수백만 명의 콩고인이 사망하는 등 잔혹한 행위가 자행되었다. 1908년 벨기에령 콩고로 편입된 후에도 벨기에는 콩고를 '식민지의 삼위일체'를 기반으로 통치하며 자원 착취와 인종 차별을 지속했다. 르완다-우룬디에서는 투치족 우대 정책으로 갈등을 유발했으며, 1960년 콩고 독립 이후 콩고 내전과 르완다 독립 과정에서 내전이 발생하는 등 벨기에 식민주의는 여러 지역에 걸쳐 깊은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근대 유럽 식민주의사 - 포르투갈 제국
    포르투갈 제국은 1415년 세우타 정복으로 시작하여 1999년 마카오 반환으로 해체된 포르투갈 왕국의 식민 제국이며, 대항해 시대를 주도하며 브라질, 아프리카, 아시아 등지에 식민지를 건설했고, 20세기 후반 식민지 독립과 마카오 반환을 거쳐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로 문화적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
  • 근대 유럽 식민주의사 - 파쇼다 사건
    파쇼다 사건은 1898년 아프리카 분할 시기, 수단의 파쇼다에서 영국과 프랑스가 제국주의적 야망으로 충돌한 사건으로, 프랑스군의 파쇼다 점령 후 영국군의 도착으로 군사적 충돌 위기가 있었으나 프랑스의 철수로 종결되었고, 이후 영불 협약의 계기가 되어 유럽 열강의 식민지 경쟁과 국제 정세에 영향을 미쳤다.
  • 벨기에의 역사 -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합스부르크 네덜란드는 1482년부터 1795년까지 현재의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부르고뉴 공작령 상속으로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를 받았으나 스페인의 가톨릭 박해와 전제정치로 80년 전쟁을 겪으며 북부 7개 주는 독립하고 남부 지역은 합스부르크의 지배를 받았다.
  • 벨기에의 역사 - 워싱턴 회담
    워싱턴 회담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미국 주도로 1921년부터 1922년까지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9개국 국제 회의로, 해군 군비 제한, 태평양 지역 질서 재편, 중국 문제 등을 논의하여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등 일련의 조약을 체결하고 만주사변 이전까지 동아시아 국제 질서를 규정하는 워싱턴 체제를 성립시켰다.
벨기에 식민제국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벨기에 식민 제국 지도
벨기에의 식민지 지도 (1920년경)
공식 명칭프랑스어: Colonies belges
네덜란드어: Belgische koloniën
통용 명칭벨기에 식민 제국
수도브뤼셀
공용어프랑스어 (주요 식민지 언어), 네덜란드어 (일부)
종교로마 가톨릭교 (공식)
정치
정치 체제입헌 군주제
국왕1908년–1909년: 레오폴드 2세
1909년–1934년: 알베르 1세
1934년–1951년: 레오폴드 3세
1951년–1962년: 보두앵 (마지막)
역사
시작콩고 자유국 합병: 1908년
루안다-우룬디 합병: 1916년
종말르완다와 부룬디 독립 (1962년 7월 1일)
면적
면적2,430,270 km2
통화
통화벨기에 프랑, 콩고 프랑, 르완다-우룬디 프랑
현재 국가
현재 국가벨기에
콩고 민주 공화국
르완다
부룬디
중화인민공화국

2. 역사적 배경

벨기에는 1830년 벨기에 혁명을 통해 네덜란드 연합 왕국으로부터 독립하여 1839년에 국제적인 승인을 받았다. 독립 당시 영국,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국가들은 이미 해외에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고, 세력권을 형성하기 시작했다.[3]

레오폴 1세는 해외 영토 획득을 위한 여러 시도를 하였다. 1843년 하와이 왕국을 식민지화하는 계약을 체결했지만, 협력하던 회사의 재정 문제로 무산되었다.[3] 벨기에 상인들은 서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확장하려 했으나, 리오 누네즈 사건과 영국 및 프랑스의 경쟁 심화로 인해 실패했다.

레오폴 2세가 즉위할 무렵에는 벨기에 내에서 식민주의에 대한 열정이 줄어들었다. 벨기에 정부는 식민지 확장을 경제적, 정치적으로 위험하다고 판단했으며, 비공식 제국을 통한 무역 확대를 더 유망하게 여겼다. 결과적으로 레오폴 2세는 벨기에 정부의 지원 없이 식민 야망을 추구해야 했다.[4]

2. 1. 독립과 초기 식민지 시도 (1830-1885)

벨기에는 1830년 벨기에 혁명을 통해 네덜란드 연합 왕국으로부터 독립하여 1839년에 국제적인 승인을 받았다. 독립 당시 영국, 프랑스 등 유럽 열강들은 이미 해외에 식민지를 보유하고 있었고, 스페인, 포르투갈, 네덜란드도 식민지 경쟁에 참여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레오폴 1세는 식민지 획득을 위한 여러 시도를 추진했다. 1843년 레오폴 1세는 하와이 왕국을 식민지로 만들기 위해 Ladd & Co.|래드 앤드 컴퍼니영어와 계약을 체결했지만, 회사의 재정난으로 인해 무산되었다.[23] 벨기에 상인들은 서아프리카로 영향력을 확장하려 했으나, 1849년 리오 누네즈 사건과 영국, 프랑스의 경쟁 심화로 인해 실패했다.

1845년 과테말라의 벨기에 정착지


산토 토마스 벨기에 정착촌의 모습


1842년에는 레오폴 1세가 파견한 벨기에 함대가 과테말라에 도착했다. 벨기에인들은 이사발 주의 자원을 확인하고 산토 토마스에 정착하여 인프라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라파엘 카레라는 매년 16,000페소를 받는 조건으로 이 지역을 벨기에에 넘겨주었다. 1843년 5월 4일, 과테말라 의회는 산토 토마스 지역을 에 영구적으로 넘겨주는 법령을 발표했다. 이 회사는 이전에 실패한 영국 를 대체하는 것이었다.[18][33] 그러나 과테말라 식민지화는 자금 부족과 황열병, 말라리아와 같은 열대 풍토병으로 인한 높은 사망률 때문에 1854년에 중단되었다.[19][34]

레오폴 2세가 즉위할 무렵, 벨기에 내에서는 식민지 팽창에 대한 열정이 식어가고 있었다. 벨기에 정부는 식민지 확장을 경제적, 정치적으로 위험하고 보상이 없는 것으로 간주했으며, 비공식 제국을 통한 무역 확대를 더 유망하게 여겼다.

2. 2. 레오폴 2세의 식민 야망과 콩고 자유국 (1885-1908)

19세기 후반, 벨기에 국왕 레오폴 2세는 자국의 국제적 위상과 명성이 부족한 것에 불만을 품고, 당시 거의 탐험되지 않았던 콩고 분지 주변의 식민지 확장을 추진하고자 벨기에 정부를 설득하려 했다. 그러나 벨기에 정부는 이를 거부했고, 레오폴 2세는 개인적으로 식민지를 건설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24]

1885년 베를린 회의에서 레오폴 2세는 여러 서방 열강의 지지를 얻어 콩고 자유국을 국제적으로 승인받았다. 이들 열강은 레오폴 2세를 적대적인 식민 세력 간의 유용한 완충 지대로 여겼다.

콩고 자유국에 의해 징병된 아프리카인 부대


콩고 자유국 정부는 초기에는 상아를, 이후에는 귀중한 상품이 된 고무 등의 천연자원을 개발했다. 자유국의 군대인 공안군의 지원을 받아, 영토는 여러 사적 채굴 이권으로 분할되었다. 특히 영국 백인도 고무 회사는 무력과 잔혹 행위를 통해 이 지역에서 이익을 얻었다.[24] 콩고에서 자유국 정권은 강제 노동을 시켰으며, 고무 수집 할당량을 채우지 못한 콩고 원주민을 살해하고 절단했다.[24]

콩고 자유국에서의 잔혹 행위로 인한 것으로 보이는 피해자를 보여주는 선교사


자유국 시대에 과잉 사망으로 콩고 인구가 급감했지만, 사망자 수 추정치는 상당한 편차가 있다. 숫자는 추정치이지만, 이 시기에 사망한 콩고인은 인구의 약 5분의 1에 해당하는 1000만 명에 달한다고 한다.[26][27][28][29] 그러나 최초의 인구 조사가 1924년에 실시되었기 때문에 이 기간의 인구 감소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윌리엄 루빈스타인과 같이, 아담 호크실드가 인용한 수치는 거의 증거가 없는 추측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30]

1894년, 케이프-카이로 철도 건설을 목표로 했던 영국은 콩고 자유국과 조약을 맺었다. 이 조약으로 영국은 우간다 북서부의 나일강 서안 지역 및 북위 10도선 이남의 나일강 전역을 콩고 자유국에 양도했고, 콩고 동단의 알버트 호와 탕가니카 호 사이 지역을 영국에 할양했다. 나일강 서쪽 지역은 레오폴 2세의 생존 기간 동안 (1890년~1910년) 벨기에령이 되었다.[31] 당시 벨기에는 라두를 거점으로 하르툼까지 북진하여 인도양대서양을 잇는 좁고 긴 회랑을 지배하려는 야심을 품고 있었기 때문에,[32] 일시적으로 영국과의 긴장이 고조되기도 했다.

콩고 자유국은 벨기에의 식민지가 아니었지만, 무역과 시민 고용 면에서 벨기에가 최대 수혜자였다. 레오폴 2세는 무력으로 획득한 고무와 상아 수출을 통해 개인적으로 상당한 재산을 축적했다. 이 재산은 브뤼셀, 오스텐데, 앤트워프 등지의 공공 건축물에 사용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레오폴 2세는 오늘날 벨기에에서 "건축왕"으로 기억되고 있다. 그는 로열 트러스트를 통해 자신의 재산 대부분을 국가에 기증하기도 했다.

레오폴 2세는 1885년에 콩고 자유국의 국제적 승인을 얻었지만,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로저 케이스먼트가 케이스먼트 보고서에서 콩고 원주민에 대한 잔혹 행위와 냉혹한 경제 착취 시스템의 실태를 밝히면서 국제적인 비난 여론이 높아졌다. 결국 벨기에는 콩고 자유국을 공식적으로 통치하라는 강력한 외교적 압력을 받게 되었고, 1908년에 콩고 자유국은 벨기에령 콩고로 전환되었다.

3. 벨기에의 식민지

제1차 세계 대전1916년, 벨기에는 군사 원정을 통해 독일령 동아프리카의 일부였던 르완다-우룬디를 점령했다.[1] 1924년부터 1945년까지는 국제 연맹 B급 위임통치령으로 벨기에에 할당되었고,[1] 1945년 이후에는 유엔 신탁통치령으로 지정되어 벨기에의 행정 하에 놓였다.[1]

벨기에는 이 지역을 통치하면서 현지 투치족 통치자를 통한 간접 통치와 민족 신분증 정책을 유지했는데, 이는 독일의 통치 방식을 따른 것이었다.[1] 그러나 이러한 통치 방식은 투치족에 대한 반란과 폭력 사태를 야기했고, 이는 독립으로 이어지는 사건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

1962년, 르완다-우룬디는 르완다부룬디 두 개의 독립 국가로 분리되었다.[1]

"독일령 동아프리카: 벨기에 점령" (1916년)이라고 오버프린트된 벨기에령 콩고 우표


이 외에도 벨기에는 과테말라의 산토 토마스 데 카스티야 (1843년-1854년), 청나라 톈진 조계 (1900년-1931년), 모로코 탕헤르 국제 구역 (1925-1956) 등을 통치 하거나 공동 관리했다. 1919년에는 이탈리아 왕국의 코마치나 섬을 1년간 위임받아 통치하기도 했다.

3. 1. 콩고

레오폴드 2세는 자국의 국제적 위신 부족에 불만을 품고 콩고 분지 지역에 대한 식민지 확장을 추진했다. 벨기에 정부가 이를 거부하자, 레오폴드 2세는 개인 자격으로 콩고를 통치하기 시작했다. 1885년 베를린 회의에서 다른 서방 국가들의 지지를 얻어 콩고 자유국을 세웠다.

자유국 정부는 상아고무 등 천연자원을 착취했다. 공공군의 지원을 받은 영국-벨기에 인도 고무 회사(ABIR) 등은 강제 노동, 살인, 신체 훼손 등 잔혹 행위를 통해 이익을 얻었다. 이 과정에서 수백만 명의 콩고인이 사망했으며, 천연두와 같은 새로운 질병도 큰 피해를 입혔다.[25] 콩고 자유국 시대에 콩고 인구는 급감했지만, 정확한 사망자 수는 논란이 있다.

콩고 자유국은 벨기에의 식민지는 아니었지만, 벨기에는 무역과 자국민 고용을 통해 이익을 얻었다. 레오폴드 2세는 고무와 상아 수출로 막대한 부를 축적하여 브뤼셀, 오스텐데, 앤트워프 등지에 공공 건물을 지었다.

1908년, 국제적인 압력으로 벨기에는 콩고 자유국을 공식적으로 인수하여 벨기에령 콩고를 수립했다. 벨기에의 통치는 정부, 기독교 선교사, 사기업의 "식민 삼위일체"를 기반으로 했다. 벨기에의 상업적 이익을 우선시하여 자본이 유입되었고, 지역별로 경제 특화가 이루어졌다. 정부와 사기업의 이익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국가는 기업의 파업 진압과 원주민 저항 억압을 도왔다.

벨기에령 콩고는 인종 차별이 심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콩고로 이주한 백인 이민자들은 항상 흑인보다 우월하게 대우받았다.[3] 콩고군은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특히 동아프리카 전역에서 이탈리아군을 몰아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40년대와 1950년대에 콩고는 광범위한 도시화를 겪었으며, 식민지 행정부는 영토를 "모델 식민지"로 만들기 위한 개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그 결과, 도시에 유럽화된 아프리카인 "에볼뤼"라는 새로운 중산층이 발전했다.[4]

1960년, 아프리카 민족주의 운동의 결과로 콩고는 독립하여 콩고 공화국이 되었다. 그러나 콩고 내 파벌 간의 갈등, 벨기에의 내정 간섭, 냉전 세력들의 개입으로 인해 콩고 위기라고 불리는 5년간의 전쟁과 정치적 불안정이 이어졌다. 이 위기는 모부투 세세 세코의 집권으로 끝났다.

3. 1. 1. 콩고 자유국 (1885-1908)

레오폴 2세의 개인 식민지였던 콩고 자유국에서는 상아고무 채취를 위한 강제 노동, 학살 등 잔혹 행위와 인권 유린이 자행되었다. 영국-벨기에 인도 고무 회사(ABIR)와 같은 민간 기업들은 공공군의 지원을 받아 폭력과 억압을 통해 이익을 극대화했다. 1일 고무 할당량을 채우지 못한 콩고인들은 살해되거나 심한 모욕을 당했으며, 강제 노동과 착취로 인해 수백만 명이 사망했다.[24] 천연두와 같은 새로운 질병도 콩고인들에게 큰 피해를 입혔는데, 특히 콩고강 남부 지역에서는 인구의 절반이 사망하기도 했다.[25]

고무 농장에서 착취당하는 콩고 원주민


콩고 자유국 시기 콩고 인구는 급격히 감소했지만, 정확한 사망자 수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최대 1,000만 명, 즉 인구의 약 5분의 1이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26][27][28][29] 최초의 인구 조사가 1924년에야 이루어졌기 때문에 정확한 수치는 알기 어렵다. 윌리엄 루빈스타인과 같은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추정치가 근거가 부족하다고 비판하기도 한다.[30]

콩고 자유국은 벨기에의 직접적인 식민지는 아니었지만, 벨기에는 무역과 정책 전반을 좌우하며 콩고 자유국 운영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레오폴 2세는 상아와 고무 무역으로 막대한 부를 축적했고, 이 돈은 브뤼셀 등 벨기에 본토의 공공 건물 건설에 사용되었다.

라두 앙클라베는 1894년부터 1910년까지 현재 남수단중앙 에콰토리아 주우간다 북서부에 위치한 상나일강 서안에 존재했던 벨기에 식민지였다. 영국은 케이프타운-카이로 철도 건설을 위해 벨기에와 협상하여 이 지역을 알버트호와 탕가니카호 사이의 콩고 동부 영토와 교환했다.[12][13]

3. 1. 2. 벨기에령 콩고 (1908-1960)

레오폴 2세는 1885년에 콩고 자유국에 대한 국제적인 승인을 얻었지만, 20세기 초 콩고 원주민에 대한 잔혹 행위와 냉혹한 경제 착취 시스템의 실태가 밝혀지면서, 벨기에는 1908년에 콩고를 공식적으로 인수하여 벨기에령 콩고를 성립시켰다.[1]

콩고에서 벨기에의 통치는 정부, 선교사, 비공개 기업의 이익이라는 '식민지의 삼위일체'(trinité coloniale)에 기초했다.[2] 벨기에의 상업적 이권이 인정되면서 대량의 자본이 콩고로 유입되어 각 지역이 분업화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정부와 민간 기업의 이익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고, 정부는 기업이 파업을 분쇄하거나, 원주민이 일으킨 기타 장애물을 제거하는 것을 지원했다.[2] 대영 제국이나 프랑스 식민 제국이 식민지 감독하에 전통적 지도자가 권력자의 지위를 유지하는 간접 통치 체제를 선호했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벨기에령 콩고는 겹겹이 조직화된 계층적 행정 구획으로 분할되어, '네이티브 정책'(politique indigène)에 따라 일률적으로 운영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콩고군은 현대의 르완다부룬디가 위치한 지역에서 독일 제국에 대한 공격에 참여했고, 이 지역은 벨기에의 점령 하에 놓였다. 콩고는 높은 수준의 인종 차별을 보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콩고로 이주한 다수의 백인 이민자들은 모든 사회 계층 출신이었지만, 그들은 항상 흑인보다 우선시되었다.[3]

콩고 군대는 제2차 세계 대전에도 참전하여, 동아프리카 전선에서는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에서 이탈리아 세력을 몰아내는 데 기여했다. 1940년부터 1950년까지 벨기에령 콩고는 대규모 도시화가 진행되었고, 식민지 당국은 그 영토를 "모범적인 식민지"로 만들 것을 목표로 다양한 개발 계획을 시작했다.[4] 그 결과 중 하나는, 여러 도시에서 유럽화된 아프리카인 Évolué|에볼뤼프랑스어에 의한 새로운 중산층의 창출이었다.[4] 1950년까지 콩고의 임금 노동력은 다른 아프리카 식민지의 2배가 되었다.[4]

  • -|]]|thumb|left|1938년 레오폴드빌(현재의 킨샤사)의 식민지 당국자]]


1960년, 광범위하게 퍼져나가 점차 급진적이 되어간 African nationalism|아프리카 민족주의영어의 결과로 벨기에령 콩고는 독립을 달성했고, 파트리스 루뭄바조제프 카사부부가 이끄는 콩고 공화국이 되었다. 그러나 콩고 내 파벌 간의 험악한 관계와 콩고 내정에 대한 벨기에의 지속적인 관여, 그리고 냉전의 주요 관계국에 의한 개입은, 1960년부터 1965년까지의 콩고 내전으로 알려진 5년에 걸친 전쟁과 정정 불안 시대를 초래했다. 이는 모부투 세세 세코가 정권을 장악하면서 막을 내렸다.

3. 2. 르완다-우룬디 (1916-1962)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6년, 벨기에는 군사 원정을 통해 독일령 동아프리카의 일부였던 르완다-우룬디를 점령했다.[1] 1924년부터 1945년까지는 국제 연맹 B급 위임통치령으로 벨기에에 할당되었고,[1] 1945년 이후에는 유엔 신탁통치령으로 지정되어 벨기에의 행정 하에 놓였다.[1]

벨기에는 이 지역을 통치하면서 현지 투치족 통치자를 통한 간접 통치와 민족 신분증 정책을 유지했는데, 이는 독일의 통치 방식을 따른 것이었다.[1] 그러나 이러한 통치 방식은 투치족에 대한 반란과 폭력 사태를 야기했고, 이는 독립으로 이어지는 사건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

1962년, 르완다-우룬디는 르완다부룬디 두 개의 독립 국가로 분리되었다.[1]

3. 3. 기타 식민지 및 조차지

1842년 벨기에는 과테말라의 산토 토마스 데 카스티야에 식민지를 건설했다. 과테말라 대통령 라파엘 카레라는 매년 16,000 페소를 받는 조건으로 이를 허가했다. 그러나 황열병 등의 전염병과 경제성 부족으로 1854년에 식민지는 폐쇄되었다.[18][19]

청나라 시대 톈진에는 여러 국가의 조계가 설치되어 있었는데, 의화단의 난 이후 1900년 벨기에도 톈진에 조계를 설치했다. 벨기에 회사들이 중국의 트램 설치에 투자하기도 했지만, 활성화되지는 못했다. 결국 1929년 벨기에는 조계를 중국에 반환하기로 합의했고, 1931년 벨기에 의회에서 조계 철수안이 통과되었다.

19세기 후반, 벨기에 기술자들이 베이징-한커우 철도(징광 선) 건설에 참여하면서 벨기에 정부는 한커우에도 조계를 설치하려 했으나, 청나라의 반대로 1908년에 철회했다.[1]

이 외에도 벨기에는 모로코의 탕헤르 국제 구역 관리에 참여했고, 1919년에는 이탈리아 왕국의 코마치나 섬을 1년간 위임받아 통치하기도 했다.

3. 3. 1. 산토 토마스, 과테말라 (1843-1854)

1842년 벨기에 국왕 레오폴드 1세가 보낸 배가 과테말라에 도착했다. 벨기에인들은 이사발 주의 천연 자원을 보고 산토 토마스 데 카스티야에 정착하여 사회 기반 시설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라파엘 카레라는 과테말라 정부로부터 매년 1만 6천 페소를 받는 조건으로 그 지역을 벨기에인들에게 넘겨주었다.[18] 1843년 5월 4일, 과테말라 의회는 산토 토마스 지역을 벨기에 국왕 레오폴드 1세의 보호를 받는 사기업인 Compagnie belge de colonisation|벨기에 식민 회사프랑스어에 "영구적으로" 넘겨주는 법령을 발효했다. 이 회사는 실패한 영국 중앙 아메리카 동부 해안 상업 및 농업 회사를 대체했다.[18]

벨기에 식민 회사가 영구적으로 토지를 부여받았지만, 이 특권은 정치적 의미에서 식민지가 되지 않았다. 1842년 5월의 ''양여 증서'' 제4조는 벨기에 회사에 대한 영토 양도가 과테말라의 주권 양도를 수반하지 않으며, 영원히 과테말라의 주권과 관할권 아래에 남아 있을 것이라고 명시했다. 제5조는 정착민들이 영토에 도착하는 즉시 기존 헌법과 국가의 법률에 완전히 복종하는 과테말라 원주민("indigènes de Guatemala")이 되며, 이전의 벨기에 또는 기타 국적의 출생권을 포기하고 외국인으로서의 특권이나 면제에 대한 모든 주장을 포기한다고 명시했다. 사법은 정부가 임명한 판사에 의해 집행될 예정이었고(제40조), 외국 군대는 특허지에 허용되지 않으며, 과테말라 군대는 새로 건설될 예정인 마을 근처에 건설될 두 개의 요새에 주둔할 예정이었다(제18~제22조).[20]

그러나 자금 부족과 황열병, 말라리아와 같은 열대 기후의 풍토병으로 인한 높은 사망률 때문에 과테말라에서의 벨기에 식민지화 노력은 1854년에 중단되었다.[19]

3. 3. 2. 톈진 조계 (1900-1931)

톈진청나라조계였고, 9개국이 이곳에 영사관을 설치하고 무역을 전개하였다. 의화단의 난이 일어난 그 다음 해인 1900년 11월, 당시 중국 주재 벨기에 대사 모리스 요스텐스는 벨기에 거류지를 설치하기 위해 협상에 들어갔으며, 협상 타결로 벨기에는 톈진에 100 헥타르에 달하는 거류지를 설치하게 되었다. 벨기에 회사들이 중국의 트램 설치에 일부 투자하기도 하였으나, 벨기에 거류지의 활성화는 미미했다. 이러한 상황은 계속되었고, 결국 벨기에는 1929년 8월에 거류지를 중국에 반환하기로 합의했다. 1931년 7월 13일, 벨기에 의회에서 조계 철수안이 통과되며 벨기에는 중국에서 완전히 철수했다.

19세기 후반, 벨기에 기술자들이 베이징-한커우 철도(징광 선) 건설에 참여했다. 벨기에 정부는 이를 계기로 한커우에 조계를 설치하려 했으나, 청나라는 이를 묵살했고 결국 벨기에는 1908년에 이 주장을 철회했다.[1]

3. 3. 3. 탕헤르 국제 구역 (1925-1956)

벨기에는 1880년 마드리드 협약과 1905년 모로코에 관한 알헤시라스 회의의 서명국이었다. 1925년부터 1940년까지, 그리고 1945년부터 1956년까지 벨기에는 탕헤르 국제 구역을 관리한 9개 국가 중 하나였다. 1954년부터 1956년까지 마지막 두 명의 행정관은 벨기에인이었고, 벨기에는 탕헤르의 관세 및 금융 행정, 헌병대에도 종속되었다.[1]

3. 3. 4. 코마치나 섬 (1919)

1919년, 이탈리아 왕국 코모 호수의 코마치나 섬은 1년 동안 벨기에 국왕 알베르 1세에게 기증되어 벨기에 주권 하의 월경지가 되었다.[36] 1년 후인 1920년에 이탈리아에 반환되었지만, 벨기에 영사와 브레라 국립 미술원 원장은 예술가를 위한 마을과 호텔 건설을 목적으로 자선 단체를 설립했다.[36]

참조

[1] 간행물 Church, State, and "Native Liberty" in the Belgian Congo https://www.cambridg[...] 2020
[2] 웹사이트 Belgium's role in Rwandan genocide https://mondediplo.c[...] 2021-06-01
[3] 서적 Report of the proceedings and evidence in the arbitration between the King and Government of the Hawaiian Islands and Ladd & Co., before Messrs. Stephen H. Williams & James F. B. Marshall, arbitrators under compact https://books.google[...] C.E. Hitchcock, printer, Hawaiian Government press
[4] 간행물 Early Belgian Colonial Efforts: The Long and Fateful Shadow of Leopold I https://uta-ir.tdl.o[...] 2006-12
[5] 웹사이트 Religious Tolerance Organisation: The Congo Free State Genocide http://www.religious[...] 2007-05-14
[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From the earliest times to c. 500 B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7] 문서 Hochschild
[8] 서적 Histoire générale du Congo: De l'héritage ancien à la République Démocratique
[9] 웹사이트 Congo Free State, 1885–1908 http://www.yale.edu/[...]
[10] 뉴스 King Leopold's legacy of DR Congo violence http://news.bbc.co.u[...] 2004-02-24
[11] 서적 Genocide: a history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2004
[12] 문서 Stenger, p. 277
[13] 문서 Taylor, p. 53
[14] 문서 Pakenham, pp. 525–526
[15] 문서 Hill, p. 330
[16] 뉴스 The Lado Enclave The Mercury 1906-11-30
[17] 문서 Christopher, p. 89
[18] 웹사이트 New Physical, Political, Industrial and Commercial Map of Central America and the Antilles http://www.wdl.org/e[...]
[19] 웹사이트 Santo Tomas de Castilla https://www.britanni[...]
[20] 서적 Colonisation dans l'Amérique centrale du District de Santo-Tomas de Guatemala https://books.google[...] Paris 1843
[21] 뉴스 Enclave-Hunting in Switzerland http://opinionator.b[...] 2012-05-15
[22] 문서 In the Dutch language, the name used is 'Belgische koloniën'. In French the term 'colonies belges' is far more common than 'empire colonial belge'.
[23] 서적 Report of the proceedings and evidence in the arbitration between the King and Government of the Hawaiian Islands and Ladd & Co., before Messrs. Stephen H. Williams & James F. B. Marshall, arbitrators under compact https://books.google[...] C.E. Hitchcock, printer, Hawaiian Government press
[24] 웹사이트 Religious Tolerance Organisation: The Congo Free State Genocide http://www.religious[...] 2007-05-14
[2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From the earliest times to c. 500 B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26] 문서 Hochschild
[27] 서적 Histoire générale du Congo: De l'héritage ancien à la République Démocratique
[28] 웹사이트 Congo Free State, 1885–1908 http://www.yale.edu/[...]
[29] 웹사이트 King Leopold's legacy of DR Congo violence http://news.bbc.co.u[...] 2004-02-24
[30] 서적 Genocide: a history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2004
[31] 문서 Prelude to Fashoda: The Question of the Upper Nile, 1894-5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950
[32] 문서 "The Congo Free State and the Belgian Congo before 1910", in Colonialism in Africa, 1870-1960, vol.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69
[33] 웹사이트 New Physical, Political, Industrial and Commercial Map of Central America and the Antilles http://www.wdl.org/e[...] 2013-05-27
[34] 웹사이트 Santo Tomas de Castilla http://www.britannic[...]
[35] 서적 Colonisation dans l'Amérique centrale du District de Santo-Tomas de Guatemala https://books.google[...] Paris 1843
[36] 뉴스 Enclave-Hunting in Switzerland http://opinionator.b[...] 2012-05-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