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빗은 머리카락을 빗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고대부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왔다. 빗은 형태, 이의 제작 방식, 재료에 따라 세분화되며, 세로빗, 가로빗, 양날빗, 결치식, 각치식 등이 있다. 고대 이집트, 중국, 일본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각 문화권에서 다양한 의미와 용도로 사용되었다. 한국에서는 얼레빗, 참빗, 면빗, 상투빗 등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플라스틱, 금속, 나무 등 다양한 재료로 제작된다. 빗은 위생, 음악,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문화적으로도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2. 역사

빗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으며, 현대의 헤어핀과 비슷한 단순한 형태까지 포함하면 그 기원은 더욱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빨을 갖춘 형태의 빗은 고대 이집트에서 이미 널리 사용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32]

중국에서는 빗을 일반적으로 梳篦|수비zho 또는 栉|즐zho이라고 불렀으며, 약 6000년 전 신석기 시대 후기에 기원한 것으로 본다.[17] 창저우에서 생산된 梳篦|수비zho 형태의 창저우 빗이 유명하며, 창저우 시의 궁 빗 공장(Palace Comb Factory)은 5세기부터 오늘날까지 수제 나무 빗을 생산하고 있다.[5] 이러한 중국 빗은 나라 시대일본에도 소개되었다.[18]

일본에서는 빗을 櫛|쿠시jpn라고 부른다. 일본 고유의 櫛|쿠시jpn는 약 6000년 전 조몬 시대에 사용되기 시작했으며,[18] 사가시의 도메이 유적에서는 약 7000년 전 조몬 시대 초기의 것으로 보이는 나무 빗이 출토되기도 했다.[34] 나라 시대에는 중국 대륙에서 가로빗이 전래되어 사용되었고,[33] 17세기경에는 사쓰마 빗과 같은 독자적인 형태의 빗도 나타났다.[19] 에도 시대에는 다양한 머리 모양이 유행하면서 빗, 고가이, 칸자시와 같은 머리 장식 도구가 발달했다.[36]

빗은 일반적으로 판 모양이며, 긴 변의 한쪽에 일정한 간격으로 홈이 파여 있고, 홈 사이의 부분을 이빨이라고 부른다. 초기에는 진드기, 벼룩과 같은 기생충이나 비듬, 먼지 등을 제거하는 위생 용구로서의 역할이 중요했으나,[31] 시대가 흐르고 목욕과 세발 습관이 보편화되면서 이러한 위생적 기능은 점차 줄어들었다.

머리를 빗는 도구로는 빗 외에 헤어 브러시도 있다. 빗은 판 모양에 이빨이 한 줄로 늘어선 형태인 반면, 브러시는 핀이나 솔이 여러 줄로 배열되어 있다는 차이가 있다.

빗의 소재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했다. 초기에는 동물의 뼈나 일반적인 목재가 사용되었으나, 점차 황양목, 참빗나무, 대나무, 대모갑, 상아, 금속, 합성수지 등 더욱 다양하고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졌다. 현대에는 저렴한 양산품부터 장인이 만든 고급품까지 다양한 빗이 존재한다.

2. 1. 고대 빗

빗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으며, 머리카락을 정리하거나 장식하는 용도로 다양한 문명에서 사용되었다. 특히 고대 이집트에서는 이미 기원전 15세기경부터 나무로 만든 빗이 널리 사용된 것으로 여겨진다.[32]

중국에서는 빗을 일반적으로 梳篦|수비중국어 또는 栉|즐중국어이라고 불렀으며, 약 6000년 전 신석기 시대 후기에 처음 등장한 것으로 여겨진다. 중국 빗은 굵은 빗살을 가진 것은 梳|소중국어, 가는 빗살을 가진 것은 篦|비중국어라고 구분하여 불렀다.[17] 창저우에서 생산된 梳篦는 특히 유명하며, 창저우 시의 궁 빗 공장(Palace Comb Factory)은 5세기부터 오늘날까지 수제 나무 빗을 생산하고 있다.[5] 이러한 중국의 빗 문화는 나라 시대일본으로 전파되었다.[18]

일본에서는 빗을 櫛|쿠시일본어라고 부른다. 일본 고유의 櫛|쿠시일본어는 약 6000년 전 조몬 시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사가시의 도메이 유적에서는 약 7000년 전 조몬 시대 초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나무 빗이 출토되기도 했다.[34] 조몬 시대에는 주로 판 모양의 재료에 빗살을 새긴 각치식(刻歯式) 세로빗이 사용되었으나, 고분 시대에는 가느다란 대나무나 나무를 묶어 빗살을 만든 결치식(結歯式) 세로빗이 많이 사용되었다.[33] 나라 시대에는 당나라의 영향으로 중국식 가로빗이 전래되어, 가로형 각치식 빗이 일반화되었다.[18][33] 이후 에도 시대에는 머리를 묶는 풍습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빗과 머리 장신구가 발달했다.[36] 17세기경에는 사쓰마 지역에서 시마즈 씨족사무라이들이 부업으로 제작한 사쓰마 빗도 등장했다.[19]

고대의 빗은 주로 동물의 뼈나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신분이나 부를 상징하는 용도로 이나 상아, 귀금속으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2. 2. 중세 및 근대 빗

15세기 이탈리아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전례용 빗


전례용 빗은 중세 시대 로마 가톨릭교회동방 정교회에서 의례적으로 사용되었고, 오늘날까지 비잔틴 전례에서도 사용되는 장식된 빗이다.[20]

2. 3. 현대의 빗

현대의 빗은 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지만, 금속이나 목재로도 제작된다. 과거에는 상아나 대모갑으로 만든 빗도 흔했으나, 해당 동물을 보호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사용이 줄어들었다. 목재 빗은 주로 회양목, 벚나무 등 결이 고운 나무로 만들어지며, 품질 좋은 나무 빗은 수작업으로 만들어 광택을 내기도 한다.

구리, 스테인리스강, 티타늄, 순은으로 제작된 현대식 수공예 빗


20세기 중반에는 단단한 바닥에 떨어뜨려도 쉽게 부서지지 않는 플라스틱 빗이 등장했다.[27][28] 오늘날에는 기술 발달로 대부분의 플라스틱 빗이 내구성을 갖추게 되었다.[29] 최근에는 사용된 스케이트보드 데크, 비닐 레코드판, 구리, 타이타늄 합금, 아크릴, 순은, 희귀 목재 등 새롭거나 재활용된 재료를 이용한 수공예 빗도 인기를 얻고 있다.

미용 기술이 발달하면서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빗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머리카락을 나누기 쉽게 얇고 긴 손잡이가 달린 빗이나, 빗살 간격이 다른 두 종류의 빗살을 가진 빗 등이 있다. 현대 미용업계에서는 커트 콤(cut comb), 세트 콤(set comb), 테일 콤(tail comb) 등 다양한 종류의 전문적인 빗을 사용한다.

빗과 유사하게 머리를 정돈하는 도구로는 헤어 브러시가 있다. 빗은 보통 판 모양에 빗살이 한 줄로 배열되어 있지만, 헤어 브러시는 여러 줄의 핀이나 솔이 박혀 있어 머리 모양을 다듬거나 스타일링하는 데 더 자주 사용된다.

3. 종류

빗은 자루와 그에 직각으로 배치된 이빨(톱니)로 이루어진 도구이다. 빗은 만드는 재료, 사용 목적,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재료로는 플라스틱, 금속, 나무 등이 흔히 사용된다. 과거에는 동물의 뿔, 고래 수염, 상아[3], 거북이 등껍질[4] 등도 재료로 쓰였으나, 동물 보호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사용이 줄었다. 품질 좋은 나무 빗은 수작업으로 만들고 광택을 내기도 한다.[5]

사용 목적에 따라 모양과 크기가 다양하며, 머리 손질용, 위생용(과거 , 벼룩, 비듬 제거[31]) 등 여러 종류가 있다.[6] 예를 들어, 머리카락을 가르기 위한 얇고 뾰족한 손잡이가 달린 미용 빗이나, 머리를 펴기 위한 핫 콤(hot comb) 등이 있었다.[7]

형태상으로는 빗살을 아래로 향했을 때 세로로 긴 세로빗, 가로로 넓은 가로빗, 양쪽에 빗살이 있는 양날빗 등으로 나눌 수 있다.[33]

한편, 머리카락을 정리하는 데 쓰이는 헤어 브러시는 빗과 유사하지만 차이가 있다. 빗은 보통 판 모양에 빗살이 한 줄로 배열된 반면, 브러시는 핀(모)이 여러 줄로 배열되어 있으며[8], 빗보다 크기가 크고 머리카락의 모양을 잡거나 청소하는 데 더 많이 사용된다.[9] 19세기에는 빗과 헤어 브러시의 기능을 합친 도구가 특허를 받기도 했다.[10]

3. 1. 형태에 따른 분류

빗은 형태에 따라 세로빗, 가로빗, 양날빗으로 나뉜다[33].

  • 세로빗: 빗의 이를 아래로 향하게 했을 때 폭이 좁고 세로로 긴 것을 말한다[33].
  • 가로빗: 빗의 이를 아래로 향하게 했을 때 폭이 넓고 가로로 긴 것을 말한다[33].
  • 양날빗: 빗의 위아래 양쪽에 이가 있는 것을 말한다[33].

3. 2. 용도에 따른 분류

한국의 전통 빗에는 얼레빗, 참빗, 면빗 등이 있다. 머리를 땋거나 쪽을 찌던 조선 시대에는 먼저 빗살이 성긴 얼레빗으로 머리카락을 가지런히 한 뒤, 촘촘한 참빗으로 정성 들여 빗어 내려 머리를 땋거나 쪽을 쪘다. 마지막으로 작은 면빗을 사용하여 깔끔하게 마무리했다.

빗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 머리 손질 및 미용: 가장 기본적인 용도로 머리카락을 정돈하고 스타일링하는 데 쓰인다. 현대의 미용 기술에서는 머리카락을 자르는 데 사용하는 컷 콤(cut comb), 머리 모양을 만드는 세트 콤(set comb), 꼬리빗이라고도 불리며 머리카락 섹션을 나누거나 세밀한 작업을 할 때 쓰는 테일 콤(tail comb) 등 다양한 종류의 빗이 사용된다.
  • 머리 장식: 머리카락을 장식하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스페인에서는 만티야를 고정하기 위해 크고 화려한 장식 빗인 페이네타(peineta)를 사용한다.[5] 일본에서는 오시 빗(押し櫛) 또는 사시 빗(挿し櫛)이라 불리는 장식용 빗이 있다.
  • 위생 및 특수 관리:
  • 니트 빗:
    니트(알) 빗, 구부러진 잔가지로 만들어짐, Sutz-Lattrigen, 기원전 2700년경
    '벼룩 빗' 또는 '니트 빗'과 같이 매우 촘촘한 빗살을 가진 이 빗은 머릿니나 서캐와 같은 기생충을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21] 이처럼 촘촘한 빗을 '참빗' 또는 영어로 'fine-toothed comb'이라고도 부르며, 여기서 유래하여 '촘촘한 빗으로 훑다(go over something with a fine-toothed comb)'라는 표현은 어떤 것을 매우 세밀하고 철저하게 조사한다는 은유적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22][23] 과거에는 빗이 진드기, , 벼룩 같은 흡혈충이나 비듬, 먼지 등을 제거하는 위생 도구로서의 역할도 중요했다.[31]
  • 스키 빗(鋤櫛): 일본에서 사용되는 빗의 한 종류로, 두피의 각질이나 머리카락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빗살 간격이 매우 좁은 것이 특징이다.
  • 특정 헤어스타일용:
  • 애프로 픽:
    애프로 픽
    길고 두꺼운 빗살을 가진 빗으로, 주로 곱슬머리나 아프로 헤어를 손질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 빗보다 길고 얇으며, 때로는 머리에 꽂아 장식하기도 한다.[24][25] 애프로 픽은 최소 5,000년 전부터 사용된 실용적인 도구였으며, 문화적, 정치적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26]
  • 기타 용도:
  • 머리 고정: 긴 머리카락을 고정하거나 키파(kippah)나 스컬캡(skullcap)을 제자리에 고정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 드레드락 형성: 머리카락을 엉키게 하여 드레드락을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산업 및 공예: 목화 섬유를 씨앗이나 다른 불순물로부터 분리하는 데 사용되었다. (기계화된 빗인 목면 탈곡기는 산업 혁명의 중요한 기계 중 하나였다.) 또한 마블링 기법에서 물감을 분산시켜 특유의 소용돌이 패턴을 만드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11]
  • 법의학적 증거 수집: 경찰 수사관이 사망자나 생존자로부터 머리카락이나 비듬 샘플을 채취하여 신원 확인, 건강 상태, 독성 물질 검사 등에 활용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12]

3. 3. 재료에 따른 분류

빗은 다양한 재료로 만들 수 있다.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재료는 플라스틱이며, 그 외에 금속이나 나무로도 만든다.

  • 나무 빗: 주로 사철나무, 벚나무, 회양목 또는 기타 결이 고운 나무로 만들어진다.[5] 좋은 품질의 나무 빗은 일반적으로 수작업으로 만들어지고 광택을 낸다.[5] 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황양나무 빗이 고급품으로 여겨졌으며, 오사카부 카이즈카시(과거 이즈미 국 지카기 장)와 같은 유명한 산지도 있었다.[37] 카나크족의 예처럼 대나무로 만든 빗도 있다.

  • 금속 빗: 금속으로도 빗을 제작한다.

  • 뿔/고래뼈 빗: 고대에는 동물의 뿔이나 고래 수염을 사용하여 빗을 만들기도 했다.

알라푸자, 케랄라에서 빗을 만들기 위해 동물 뿔을 자르고 다듬는 장인

  • 상아/대모갑 빗: 상아[3]나 거북이 등껍질(대모갑)[4]로 만든 빗은 과거에 흔했지만, 이를 얻기 위해 동물을 해치는 문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사용이 줄어들었다.

4. 한국의 빗

한국의 전통적인 빗에는 얼레빗, 참빗, 면빗, 상투빗 등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머리를 손질할 때 먼저 빗살이 성긴 얼레빗으로 머리카락을 가지런히 하고, 촘촘한 참빗으로 정성들여 빗어내려 머리를 땋거나 쪽을 쪘다. 그런 다음 작은 면빗으로 마무리하여 정갈하게 다듬었다. 전통 빗의 모양은 대부분 반달형이나 직사각형이며, 재료로는 박달나무, 대나무, 대추나무, 도장나무, 소나무 등이 주로 사용되었다.

4. 1. 얼레빗

한국의 전통 빗 중 하나로, 빗살이 성긴 것이 특징이다. 조선시대에는 머리를 땋거나 쪽을 찌기 전에 먼저 얼레빗으로 머리카락을 전체적으로 훑어 가지런히 정돈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이렇게 얼레빗으로 머리를 정리한 뒤, 촘촘한 참빗으로 빗어 내리고 마지막으로 작은 면빗으로 잔머리를 다듬었다. 얼레빗을 포함한 전통 빗은 주로 반달 모양이나 직사각형 모양으로 만들어졌으며, 재료로는 박달나무, 대나무, 대추나무, 도장나무, 소나무 등이 쓰였다.

4. 2. 참빗

한국의 전통 빗 중 하나로, 빗살이 촘촘하다. 먼저 빗살이 성긴 얼레빗으로 머리카락을 가지런히 한 다음, 참빗으로 정성들여 빗어내려 머리를 땋거나 쪽을 쪘다. 전통적인 빗의 모양은 대부분 반달형과 직사각형이며, 재료로는 박달나무, 대나무, 대추나무, 도장나무, 소나무 등이 사용되었다.

4. 3. 면빗

면빗은 한국의 전통 빗 중 하나이다. 크기가 작은 빗으로, 조선시대에 머리를 땋거나 쪽을 찐 후 마지막으로 머리를 정갈하게 다듬는 데 사용되었다. 당시 머리를 손질할 때는 먼저 빗살이 성긴 얼레빗으로 머리카락을 가지런히 하고, 촘촘한 참빗으로 빗어내려 땋거나 쪽을 찐 다음, 마지막 단계에서 작은 면빗으로 단정하게 마무리했다.

4. 4. 상투빗

상투를 튼 머리를 정리하는 데 사용되던 한국의 전통 빗이다. 주로 박달나무, 대나무, 대추나무, 도장나무, 소나무 등을 재료로 사용하였다.

5. 기타 용도

빗은 머리카락을 정리하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여러 가지 다른 용도로 사용된다.


  • 위생: 과거에는 , 벼룩 등 기생충이나 비듬, 먼지 등을 제거하는 중요한 위생 도구였다. 특히 머릿니 제거를 위한 촘촘한 빗은 오늘날에도 사용된다.
  • 음악: 빗에 종이나 잎을 대고 불어 소리를 내거나, 빗살을 뜯어 라멜로폰처럼 연주하는 등 간단한 악기로 활용될 수 있다. 이는 카주나 엄지 피아노, 오르골 등의 악기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 산업 및 공예: 섬유를 씨앗 등 불순물과 분리하거나, 마블링 기법에서 물감을 퍼뜨려 독특한 무늬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 수사: 범죄 수사 현장에서 머리카락이나 비듬 샘플을 채취하여 신원 확인이나 독성학 분석 등에 활용하기도 한다.

5. 1. 위생

빗을 함께 사용하는 것은 모자를 함께 쓰는 것과 마찬가지로 기생충 감염의 흔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빗을 사용한 사람의 머리카락에 있던 알이나 살아있는 기생충이 빗에 남아 다른 사람에게 옮겨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 벼룩, 진드기, 곰팡이 등이 전파될 수 있다. 특히 형제자매 사이에서는 빗을 함께 사용하다 서캐(머릿니의 알)를 옮길 가능성이 높다.[13]

"벼룩 빗"이나 "니트 빗(nit comb)"처럼 특별히 제작된 빗은 머리카락에 있는 기생충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21] 머릿니 알(니트)을 제거할 수 있을 정도로 빗살 간격이 매우 촘촘한 빗을 "촘촘한 빗(fine-toothed comb)"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여기서 유래하여 "촘촘한 빗으로 훑다"라는 표현은 어떤 것을 매우 세밀하고 철저하게 조사하거나 검토한다는 은유적 의미로 사용된다. 때때로 이 의미에서 "촘촘한 빗"은 "fine toothcomb"으로 재분석된 다음 "toothcomb"으로 축약되거나 "the finest of toothcombs"와 같은 형태로 변경되어 사용되기도 한다.[22][23]

과거에는 빗이 진드기, 벼룩과 같은 흡혈충이나 비듬, 먼지 등을 제거하는 위생 도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31]. 하지만 시대가 변하고 입욕과 머리를 감는 습관이 널리 퍼지면서, 빗의 이러한 위생적인 기능은 점차 줄어들었다.

5. 2. 음악

빗의 한쪽에 식물 잎이나 종이를 대고 반대쪽에서 입술을 오므려 흥얼거리면, 사람 성대에서 나오는 콧노래의 고주파 하모닉 성분이 크게 증가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넓게 퍼지는 음향 스펙트럼은 입안의 공명 주파수를 바꿔 조절할 수 있다.[14] 이는 카주와 같은 막명악기의 탄생에 영감을 주었다.

또한 빗은 라멜로폰의 한 종류이기도 하다. 빗살은 그 모양, 길이, 재질에 따라 각기 다른 하모닉 특성을 지닌다. 빗살의 길이가 서로 다르면 뜯었을 때 다른 음을 내는데, 이러한 원리는 나중에 엄지 피아노[15]와 오르골[16]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5. 3. 산업 및 공예

산업 및 공예 분야에서 빗은 섬유를 씨앗 및 기타 잔해로부터 분리하는 데 사용된다. 빗의 기계화된 버전인 목면 탈곡기는 산업 혁명을 가져온 기계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또한 빗은 마블링 기법에서 색상을 분산시켜 종이에 소용돌이치는 듯한 독특한 색상 패턴을 만드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11]

5. 4. 수사

빗은 경찰 수사관이 사망자나 생존자의 신원, 건강 상태 및 독성학적 프로필을 파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머리카락과 비듬 샘플을 수집하는 도구로도 사용된다.[12]

6. 문화와 빗

빗은 단순히 머리카락을 정돈하는 도구를 넘어, 여러 문화권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녀왔다. 특히 일본에서는 빗의 일본어 발음과 연관 지어 주술적인 힘을 가진 물건이나 여성성을 상징하는 물품으로 여겨졌으며, 때로는 불길한 의미로 해석되기도 했다. 일본 신화의례에서도 빗은 중요한 상징물로 등장한다.

다른 문화권에서도 빗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는데, 예를 들어 독일 동화 『백설공주』에서는 마법 도구로, 고대 중국 기록에서는 특정 의례와 관련된 물건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빗은 실용적인 기능 외에도 각 문화의 신념과 관습을 반영하는 상징적인 물건으로 인식되어 왔다.

6. 1. 주술적 의미

일본어에서 빗(くし|쿠시일본어)은 "신묘한 일, 불가사의한 일"이라는 의미의 奇|쿠스시일본어나 "성스럽다"는 의미의 聖|쿠시비일본어와 발음이 비슷하여 주술적인 힘을 가진 물건으로 여겨졌다.[33] 또한 여성이 머리를 빗는 행위와 관련하여 여성성을 상징하는 물품으로도 취급되었다.[33]

빗의 일본어 발음 くし|쿠시일본어는 "고통스러운 죽음"을 의미하는 苦死|쿠시일본어와 발음이 같기 때문에, 길에 떨어진 빗을 줍는 것은 불길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는 "고통과 죽음을 줍는다"는 의미로 해석되었기 때문이다. 부득이하게 주워야 할 때는 발로 한 번 밟은 후에 줍는 풍습이 있었다. 다른 사람에게 빗을 선물할 때는 이러한 불길한 연상을 피하기 위해 금기어로서 "칸자시"(かんざし|칸자시일본어, 비녀)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편, 숫자 '94'를 くし|쿠시일본어라고 읽는 말장난에서 착안하여, 빗을 소중히 다루고 미용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9월 4일을 '쿠시의 날'로 정하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빗이 이별을 초래하는 힘을 가졌다고 믿어, 현대에도 빗을 선물하거나 빌려주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반면, 사람의 혼이 깃든 머리카락에 사용하는 물건이기에 자신의 분신처럼 여겨, 여행을 떠나는 사람에게 무사하기를 바라며 건네주기도 했다.

일본 신화인 『고사기』에는 빗과 관련된 주술적 이야기가 등장한다. 이자나기노미코토는 죽음의 세계에서 아내 이자나미노미코토가 보낸 추격자(요모츠시코메)로부터 도망칠 때, 자신의 빗을 부러뜨려 뒤로 던졌다. 그러자 빗 조각이 죽순으로 변했고, 추격자가 죽순을 먹는 사이에 이자나기는 무사히 도망칠 수 있었다.[33] 또한 스사노오노미코토야마타노오로치라는 거대한 뱀을 퇴치하러 가기 전에 쿠시나다히메를 빗으로 변하게 하여 자신의 머리카락에 꽂아 보호했다.

빗은 의례에서도 상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천황은 사이오로 수도를 떠나는 황족 여성을 전송하는 의식에서 '이별의 빗'을 직접 머리에 꽂아주며 이별의 말을 전했다. 이들은 국가나 천황에게 불행이 닥치지 않는 한 수도로 돌아올 수 없었고, 무녀로서 임무가 끝날 때까지 결혼이나 연애도 금지되었다. 따라서 빗을 꽂는 의식은 속세와의 단절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33] 반대로, 성인식에 해당하는 '머리 올리는 의식'에서는 어른들의 사회로 들어서는 것을 상징하는 물건으로서 빗이 소녀의 머리에 꽂혔다. 이 의식 직후에 바로 결혼식을 올리는 경우도 있었다.

다른 문화권에서도 빗은 주술적인 의미를 지니기도 했다. 독일 동화 『백설공주』에서는 독이 묻은 빗이 백설공주를 잠들게 하는 흑마술의 도구로 등장한다. 고대 중국의 『수신기』에는 도교의 주술자였던 우길기우제를 지낼 때 일부러 몸을 씻지 않고 머리도 빗지 않았다는 기록이 있다.

6. 2. 상징적 의미

메이지 시대~다이쇼 시대 빗(목제) 장식품.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 중기 이후 다양한 머리 모양이 유행하면서, 그에 맞춰 빗, 고가이(こうがい), 칸자시(かんざし)와 같은 머리 장식 도구가 함께 발달했다[36]

일본어에서 빗(櫛|くし일본어)은 "신묘하고 불가사의한 일"을 뜻하는 '기'(奇|くすし일본어)나 "성스럽다"는 의미의 '성'(聖|くしび일본어)과 발음이 비슷하여 주술적인 힘을 가진 물건으로 여겨지기도 했다.[33] 또한, 여성이 머리를 빗는 데 사용하는 도구라는 점에서 여성성을 상징하는 물품으로 취급되기도 하였다.[33]

한편, 빗의 발음 '쿠시'(くし일본어)가 "고통스러운 죽음"을 의미하는 '고시'(苦死|くし일본어)와 같다는 이유로 부정적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길에 떨어진 빗을 줍는 것은 "고통과 죽음을 줍는" 행위로 여겨져 상서롭지 않다고 꺼리는 미신이 있다. 부득이하게 주워야 할 경우에는 발로 한 번 밟은 뒤에 줍는 풍습이 전해진다. 또한, 빗을 선물하는 것은 이러한 부정적인 연상 때문에 금기시되어, 대신 "칸자시(かんざし, 비녀)"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외에도 숫자 "94"를 "쿠시(くし)"라고 읽는 말장난에 착안하여, 빗을 소중히 여기고 미용에 대한 관심을 높이자는 취지에서 일본 전국 미용 주간 실행위원회는 9월 4일을 "쿠시의 날"로 제정하였다.

7. 현대 장인의 빗



최근 몇 년 동안 새롭고 재활용된 다양한 재료로 제작된 현대식 수공예 빗이 인기를 얻고 있다. 사용된 스케이트보드 데크, 비닐 레코드, 구리, 티타늄 합금, 아크릴, 순은, 희귀 목재 등이 사용되는 재료의 일부이다.

참조

[1] 서적 Nineveh and Persepolis: An Historical Sketch of Ancient Assyria and Persia, with an Account of the Recent Researches in Those Countries https://archive.org/[...] A. Hall, Virtue, & Company 1850
[2] 논문 Arts and crafts in Iron Age Britain: reconsidering the aesthetic effects of weaving combs Oxford Journal of Archaeology 2014-08
[3] 서적 Archaeology and Environment in the Scoresby Sund Fjord https://books.google[...] Museum Tusculanum Press
[4] 서적 American Artifacts of Personal Adornment, 1680–1820: A Guide to Identification and Interpretation https://books.google[...] Rowman Altamira
[5] 서적 Encyclopedia of Hair: A Cultural History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6-03-07
[6] 서적 The Archaeology of Celtic Britain and Ireland: C. AD 400–12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Interpreting Archaeology: Finding Meaning in the Past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8] 서적 Popular Science https://books.google[...] Bonnier Corporation
[9] 서적 The Toilet and Cosmetic Arts in Ancient and Modern Times https://archive.org/[...] R. Hardwicke 2016-03-07
[10] 서적 The Canadian Patent Office Record and Register of Copyrights and Trade Marks https://books.google[...] Patent Office
[11] 서적 Marbled Paper: Its History, Techniques, and Pattern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elationship of Marbling to Bookbinding in Europe and the Western Worl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2] 서적 Practical Instruction in Police Work and Detective Science: A Course of Instruction ... Containing Lecture-lessons for Law Enforcement Officers and Others https://books.google[...] American Police Review Publishing Company
[13] 서적 All You Wanted To Know About Hair Care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ers Pvt. Ltd
[14] 서적 The Everything Lawn Care Book: From Seed to Soil, Mowing to Fertilizing – hundreds of Tips for Growing a Beautiful Lawn https://books.google[...] Adams Media
[1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merican Musi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Cylinder musical box technology: including makers, types, dating, and music https://books.google[...] Almar Press 2016-03-07
[17] 웹사이트 Chinese Shubi [page 1] http://en.chinacultu[...] 2021-05-07
[18] 간행물 Comparison of aesthetic styles of decorative combs in Japan and China http://ojslib3.buu.i[...] 2019
[19] 웹사이트 Satsuma Comb – A Traditional Craft created by Samurai Warriors http://najimu-japan.[...] 2022-08-19
[20]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Medieval Art and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21] 서적 The Lice-Buster Book: What to Do When Your Child Comes Home with Head Lice https://books.google[...] Grand Central
[22] 웹사이트 fine toothcomb/fine-tooth comb http://wsu.edu/~bria[...] WSU.edu 2012-01-19
[23]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Lice Combs http://nuvoforheadli[...] Nuvoforheadlice.com 2008-06-29
[24] 서적 Fashion Fads Through American History: Fitting Clothes into Context https://books.google[...] ABC-CLIO
[25] 서적 Jet https://books.google[...] Johnson
[26] 웹사이트 Origins of the Afro Comb https://afrocombs.fi[...] cam.ac.uk
[27] 서적 A Likely Story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16-03-07
[28] 서적 Home Affairs Survey https://books.google[...]
[29] 서적 Characterization and Failure Analysis of Plastics https://books.google[...] ASM International
[30] 웹사이트 Tame your hipster beard with a comb made from what? https://www.cnet.com[...] 2016-10-18
[31] 뉴스 【モノごころ ヒト語り】櫛(くし)長い黒髪守る細かい歯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11-17
[32] 서적 世界の櫛 1996-01-20
[33] 문서 山形県立博物館ニュース 第99号 山形県立博物館
[34] 웹사이트 国内最古の木製くし出土 佐賀市の東名遺跡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06-10-18
[35] 문서 QBハウスとは
[36] 간행물 沼津市歴史民俗資料館資料館だより vol.36 No.4 https://www.city.num[...] 沼津市歴史民俗資料館 2019-10-01
[37] 뉴스 伊藤伸史「和泉櫛のロマンひもとく◇義父の技に魅せられて1500年以上の歴史に迫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8-16
[38] 웹인용 Internet Archaeol. 30. Ashby. An Atlas of Medieval Combs from Northern Europe. Summary http://intarch.ac.uk[...] Intarch.ac.uk 2011-09-23
[39] 서적 Nineveh and Persepolis: An Historical Sketch of Ancient Assyria and Persia, with an Account of the Recent Researches in Those Countries https://books.google[...] A. Hall, Virtue, & Company 1850-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