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아나키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적 아나키즘은 반자본주의, 반국가주의, 예시적 정치를 핵심 원칙으로 삼는 정치 철학이다. 자본주의와 국가 권력에 반대하며, 사적 소유를 사회 불평등의 원인으로 간주한다. 무정부주의 사회를 지향하며, 직접 행동과 수평적 조직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려 한다. 주요 사상 학파로는 상호주의, 집산주의적 아나키즘, 아나르코공산주의, 아나르코생디칼리슴 등이 있다. 사회적 아나키즘은 개인주의적 아나키즘과 구별되며, 20세기 후반의 사회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아나키즘 -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은 멕시코 치아파스 주에서 활동하는 원주민 무장단체로, 1994년 무장봉기를 통해 멕시코 정부의 불평등에 저항하며 토지 개혁과 자치권을 요구하고, 대안세계화 운동과 연계하여 비폭력적 저항과 정치적 운동을 지속하고 있다. - 사회아나키즘 - 참여경제
참여 경제는 알버트와 하넬이 구체화한 후생경제학의 대안 모델로, 분산 계획, 균형 잡힌 직무 복합체, 노력에 대한 보상 원칙을 통해 시장 경제의 문제점을 해결하려 하지만, 실현 가능성과 효율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아나키즘 - 자유지상주의
자유지상주의는 개인의 자유를 최우선 가치로 여기며 국가의 역할을 최소화하거나 폐지하려는 정치 철학으로, 개인의 자율성을 강조하며 시민적 자유와 국가 축소를 옹호한다. - 아나키즘 - 엠마 골드만
엠마 골드만은 리투아니아 출신의 아나키스트, 페미니스트, 반전주의자로서, 20세기 초 미국에서 다양한 사회 운동에 참여하며 자본주의와 국가를 비판하고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평등을 옹호했다. - 아나키스트 이론 - 개인주의
개인주의는 개인의 가치와 자율성을 중시하는 철학적, 사회적 개념으로, 서구 문명 발전에 중요한 흐름이었으며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집단주의와 대비되지만 사회 시스템에 따라 복합적으로 나타나 여러 사상과 연관되어 논의를 촉발한다. - 아나키스트 이론 - 무정부 상태
무정부 상태는 기존 행정 기관 붕괴 후 새로운 기관이 수립되지 않아 통치 권력이 부재한 상태로, 혁명, 내전, 전쟁, 자연재해 등으로 발생하며 사회적 혼란과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을 초래할 수 있고 실패 국가로 간주되며 정치철학적으로 '자연 상태'와 연관된다.
사회적 아나키즘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아나키즘의 한 분파 |
주요 특징 | 사회적 평등 강조 |
주요 목표 | 국가와 자본주의 철폐, 수평적 관계와 자율적 협동 추구 |
이론 및 원칙 | |
핵심 가치 | 자유, 평등, 연대 |
사회 조직 방식 | 상호부조 직접행동 직접 민주주의 |
주요 사상가 | 미하일 바쿠닌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표트르 크로포트킨 에리코 말라테스타 엠마 골드만 |
주요 이념적 흐름 | |
관련 흐름 | 집산주의적 아나키즘 아나르코 생디칼리슴 무정부 공산주의 좌파 아나키즘 |
관련 주제 | |
관련 주제 | 계급투쟁 국가폐지론 자본주의 비판 반권위주의 노동자 자주관리 |
기타 | |
다른 아나키즘과의 관계 | 개인주의적 아나키즘과 대조 |
사회적 아나키즘과 관련된 경제 모델 | 상호주의 |
2. 정치적 원칙
사회적 아나키즘의 핵심 원칙에는 반자본주의, 반국가주의, 예시적 정치가 포함된다.[10] 사회적 아나키즘은 국가와 자본주의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사회적·정치적 권력, 위계, 억압에 반대한다.[11]
사회적 아나키즘은 자유와 사회적 평등을 상호 연결된 것으로 보고, 어느 한쪽의 극대화가 다른 한쪽의 극대화에 필수적이라고 본다. 따라서 모든 사람에게 자유와 물질적 안보에 대한 동등한 권리를 보장하고자 한다.[12]
사회적 아나키즘은 사회 혁명을 통해 자본주의와 국가를 타도하고, 연방 사회의 자발적 결사와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상호부조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3]
또한, 사회적 아나키즘은 개인의 자유가 평등, 공동체 강조, 상호부조 등과 개념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보며, 사유재산을 사회적 불평등의 원인으로 간주하여 거부한다.[8][9]
2. 1. 반자본주의
사회적 아나키즘은 반자본주의 이념으로서 사유재산, 특히 생산 수단의 사적 소유를 사회 불평등의 주요 원인으로 보고 거부한다.[9] 독과점 해체와 생산 수단에 대한 공유를 옹호하며, 노동자협동조합, 농촌 공동체, 노동 조합을 통해 생산을 조직하고자 한다.[9] 정통 마르크스주의의 국가주의는 거부했지만, 자본주의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비판, 특히 마르크스의 소외 이론에서 영향을 받았다.[9]사회적 아나키스트들은 사적 재산의 폐지가 새로운 사회적 관습의 발전으로 이어져 개인의 자유에 대한 상호 존중과 개인적 욕구의 충족을 장려할 것이라고 주장한다.[9] 이들은 소유주의 사상이 사회적 및 경제적 불평등을 악화시키고 개인의 자율성을 억압하며 계층적 제도의 유지를 요구한다고 보아 반대한다.[9]
사회적 아나키즘은 다국적 기업의 확장을 포함한 자본주의의 지배적인 표현들, 특히 세계화에 반대한다.[9] 이들은 혁명적 행위자로서 프롤레타리아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중심을 받아들이기를 꺼리고, 대신 사회의 사회적으로 배제된 계층의 혁명적 잠재력을 확인했다.[9]
2. 2. 반국가주의
사회적 아나키즘은 반국가주의 이념으로서, 국가 형태의 권력 집중에 반대한다.[1] 사회적 아나키스트들은 국가가 사유 재산을 강화하고 개인의 자기 발전을 제한하도록 설계된 일종의 강압적 계층 구조라고 본다.[2] 이들은 중앙집권적인 정부 및 제한된 형태의 정부 모두를 거부하고, 사회적 협력을 통해 자생적 질서를 달성하는 것을 옹호하며, 어떤 사회 계약도 사회 관계를 대체할 수 없다고 본다.[3] 사회적 아나키스트들은 국가 폐지가 더 큰 "자유, 번영 및 정의"로 이어질 것이라고 믿는다.[4]국가 구조 대신 사회적 아나키스트들은 정부가 없는 사회인 무정부주의를 원한다.[1] 이들은 무정부적이고 계급 없는 사회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국가 구조를 사용하는 것에 반대하며,[5] 국가주의를 본질적으로 부패한 영향으로 간주한다.[6] 따라서 "프롤레타리아 독재"라는 마르크스주의적 개념을 엘리트주의적이라고 비판하고, "국가의 소멸" 가능성을 거부한다.[7]
그러나 노엄 촘스키와 같은 일부 사회적 아나키스트들은 때때로 국가적 계층 구조가 경제적 계층 구조보다 낫다고 보고, 복지 국가 프로그램(예: 보편적 건강 보험)을 통해 사람들의 물질적 조건을 개선할 수 있다고 지지한다.[2]
2. 3. 예시적 정치
사회적 아나키즘은 무정부 상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그 최종 목표와 일치해야 한다고 보며, 선도적 정치를 옹호한다.[6] 참여적이고 합의 의사결정을 통해 스스로를 예시하며, 이는 정치적 가치, 전술, 정체성의 다양화를 창출할 수 있다.[7]사회적 아나키즘은 자기 조직화와 참여 문화 함양을 촉진하며, 개인이 "스스로 일을 처리하도록" 장려한다.[8] 억압에 저항하는 수단으로 직접 행동을 옹호하며,[9] 자신의 주체성을 민주적 대표자나 혁명적 전위에 종속시키지 않는다.[10] 따라서 사회적 아나키스트들은 정당 조직 모델을 거부하고,[11] 고정된 지도부가 없는 수평적 조직 형태를 선호한다.[12]
3. 사상 학파
사회적 아나키즘은 사회적·정치적 권력, 위계, 그리고 억압의 모든 형태에 반대하며, 자유를 사회적 평등과 상호 연결된 것으로 본다.[1] 이들은 사회 혁명을 통해 자본주의와 국가를 타도하고, 연방 사회의 자발적 결사와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상호부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한다.[2]
사회적 아나키즘의 핵심 원칙에는 반자본주의, 반국가주의 및 예시적 정치가 포함된다.[3] 느슨한 정의와 이념적 다양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사회적 아나키즘은 여러 가지 다른 아나키즘 사상 학파를 낳았다.[4]
초기 아나키즘은 대체로 개인주의적이었지만, 좌파 헤겔주의의 영향으로 사회주의적 경향이 주입되어 사회적 아나키즘이 형성되었다.[5]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미래 아나키즘 사회의 경제적 구성에 대한 질문이 사회적 아나키즘 사상의 발전을 이끌었다.[6] 주요 분열은 아나키즘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에 대한 것으로, 철학적 아나키즘은 평화로운 설득을 주장하는 반면,[7] 폭동적 아나키즘은 "행위의 선전"을 주장했다.[8]
사회적 아나키즘의 원칙은 20세기 후반의 새로운 사회 운동, 특히 뉴 레프트와 녹색 정치에 영향을 미쳤으며,[9] 녹색 아나키즘 경향인 사회생태학은 사회적 아나키즘에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았다.[10] 또한 직접 행동과 자발성에 대한 사회적 아나키즘 전략은 블랙 블록 전술의 기반을 형성했으며, 현대 아나키즘의 주요 특징이 되었다.[11]
현대에 들어 아나르코공산주의와 아나르코생디칼리슴은 사회적 아나키즘의 지배적인 경향이다.[12]
3. 1. 집산주의적 아나키즘
집산주의적 아나키즘은 혁명적 사회주의라고도 불리며,[14][15] 아나키즘의 혁명적인 흐름으로, 미하일 바쿠닌, 요한 모스트 등이 대표적인 사상가이다.[16][17] 집산주의 또는 공동체주의적 아나키즘을 특징으로 한다.[18] 상호주의와는 달리, 생산 수단의 사유 재산에 반대하며, 생산 수단의 사회적 집합을 주장한다.3. 2. 아나르코공산주의
무정부공산주의자는 사회 조직의 가장 자유로운 형태는 생산수단의 집약적인 사용을 수반하는 자치적인 공동체로, 직접민주주의에 의해 조직되고 다른 공동체와는 연합을 통해 관계를 맺는 것이라고 주장한다.[22] 그러나 일부 무정부주의자들은 개인의 자유를 제한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직접민주주의의 다수결에 반대한다.[23]무정부공산주의에서는 화폐가 폐지되므로, 개인은 노동에 대한 직접적인 보상(이윤 분배나 임금 지급을 통해)을 받지 않고 공동체의 자원과 잉여물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다.[24] 크로포트킨과 후대의 머레이 북친에 따르면, 그러한 사회의 구성원들은 공동체 기업과 상호부조의 이점을 인식하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필요한 모든 노동을 수행할 것이다.[25]
크로포트킨은 사유 재산이 억압과 착취의 원인 중 하나라고 믿었고, 그것의 폐지를 촉구하며[27][26] 대신 공유를 옹호했다.[27] 크로포트킨은 "주택, 농지, 공장은 더 이상 사유 재산이 아니며, 공동체 또는 국가에 속하게 될 것이고, 화폐, 임금, 무역은 폐지될 것"이라고 말했다.[28] 크로포트킨의 저서 『상호부조』는 사회다윈주의를 비판하며 협력이 경쟁보다 더 자연스럽다고 주장했다. 『빵의 정복』은 본질적으로 사회혁명 이후 사회 조직에 대한 안내서였다.
무정부공산주의에 참여하기를 원하지 않는 사람들로부터 주택과 생산수단을 몰수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비판하는 사람들에게 크로포트킨은, 공동체에 가입하기를 원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자신이 경작할 수 있는 만큼의 토지만 소유한 농민" 또는 "그 수의 사람들에게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만큼의 공간만을 제공하는 집에 거주하는 가족" 또는 "자신의 연장이나 베틀로 일하는 장인"인 한 그대로 내버려둘 것이라고 답했다.[29] 그는 "[지주는 농민의 빈곤으로부터 부를 얻고, 자본가의 부는 같은 근원에서 나온다]"고 주장했다.[29]
무정부주의 내에서 무정부공산주의의 지위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대부분의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자들은 공동체주의가 정치적 자유와 양립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30] 그러나 무정부공산주의가 항상 공동체주의적 철학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어떤 형태의 무정부공산주의는 이기주의적[31]이며 급진적인 개인주의 철학의 영향을 크게 받아 무정부공산주의가 공동체주의적 성격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믿는다. 무정부공산주의자 엠마 골드만은 자신의 철학에서 막스 슈티르너와 크로포트킨의 철학을 융합했다.[32]
3. 3. 아나르코생디칼리슴
20세기 초, 아나르코생디칼리슴은 무정부주의의 중요한 흐름으로 부상했다.[34] 기존 무정부주의 사조보다 노동 운동에 더 큰 초점을 맞추어 급진적인 노동운동을 혁명적인 사회 변혁의 잠재적 동력으로 간주하고, 자본주의를 대체하여 노동자들이 스스로 관리하는 새로운 사회를 가진 국가를 주장했다.아나코생디칼리즘 지지자들은 임금제도와 계급 사회를 초래한다고 생각하는 생산수단의 사유재산 폐지를 주장한다. 노동자 연대에 포함된 중요한 원칙에는 총파업이나 직장 탈환 등의 직접 행동과 노동자 자치가 있다. 이것은 다른 무정부주의 사조와도 공통점이 있으며, 아나코생디칼리즘은 종종 "무정부 공산주의 또는 집산주의적 아나키즘 경제 시스템"이라고 불린다.[35]
3. 4. 플랫폼주의
플랫폼주의는 네스토르 마흐노의 전통을 계승한 아나키스트 공산주의 경향으로, "아나키스트 운동의 대다수 참여자들을 끌어들여 아나키즘을 위한 공통된 전술적, 정치적 노선을 확립하고, 이를 통해 전체 운동의 지침 역할을 할 조직의 절실한 필요성"을 주장했다.[33]3. 5. 현대의 흐름
현대에 들어서 사회생태학, 포괄적 민주주의, 참여경제 등 여러 무정부주의 흐름이 등장했다. 머레이 북친이 제시한 사회생태학은 생태 문제의 근원을 사회 문제, 특히 지배적인 계층적 시스템에서 찾는다. 타키스 포토풀로스가 주창한 포괄적 민주주의는 직접 민주주의, 경제 민주주의, 자치, 생태 민주주의를 목표로 한다. 마이클 알버트와 로빈 하넬이 제안한 참여경제는 참여적 의사결정을 통해 자원 배분을 결정하며, 형평성, 연대, 다양성, 노동자 자치, 효율성을 추구한다.3. 5. 1. 사회생태학
'''사회생태학'''(Social ecology)은 1960년대 머레이 북친이 발전시킨 철학이다.이 이론은 현재의 생태 문제가 뿌리 깊은 사회 문제, 특히 지배적인 계층적 정치 및 사회 시스템에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지나치게 경쟁적인 '성장 아니면 멸망'(grow-or-die) 철학을 비판 없이 받아들이게 만들었다. 사회생태학은 윤리적 소비주의와 같은 개인적 행동으로는 이러한 문제에 저항할 수 없으며, 급진적 민주주의 이념에 기반한 보다 세련된 윤리적 사고와 집단 활동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사람들 간의 관계와 자연과의 관계의 복잡성이 강조되며, 이를 고려하는 사회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3. 5. 2. 포괄적 민주주의
포괄적 민주주의는 직접 민주주의, 무국가 사회(stateless society) 내의 경제 민주주의, 무화폐·무시장 경제, 자치(사회 영역의 민주주의) 및 생태 민주주의를 목표로 하는 정치 이론 및 정치적 프로젝트이다. '''포괄적 민주주의'''('''ID''', 민주주의 및 자치 전통의 일부인 정치적 프로젝트와 구별됨)의 이론적 프로젝트는 정치 철학자이자 전직 학자이자 활동가인 타키스 포토풀로스(Takis Fotopoulos)의 저서 『포괄적 민주주의를 향하여』(Towards An Inclusive Democracy)에서 출발하여 그와 다른 저술가들에 의해 저널 『민주주의와 자연』(Democracy & Nature) 및 후속 저널인 『포괄적 민주주의 국제 저널』(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clusive Democracy)에서 더욱 발전되었다. 이는 포괄적 민주주의 국제 네트워크(International Network for Inclusive Democracy)가 출판하는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전자 저널이다.[37]아란 가레(Arran Gare)에 따르면, 『포괄적 민주주의를 향하여』는 "시장의 역사와 파괴적인 역동성에 대한 강력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고 신자유주의와 기존의 사회주의 모두를 대체할 미래에 대한 영감을 주는 새로운 비전을 제공한다"고 한다.[37] 데이비드 프리먼(David Freeman)은 포토풀로스의 접근 방식이 "공개적으로 무정부주의는 아니지만, 직접 민주주의, 지방 자치주의, 국가, 화폐 및 시장 경제의 폐지를 추구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가 활동하는 형식적 범주는 무정부주의인 것으로 보인다"라고 지적한다.[38]
3. 5. 3. 참여경제
마이클 알버트(Michael Albert)와 로빈 하넬(Robin Hahnel)이 제안한 경제 체제로, 주어진 사회에서 생산, 소비 및 자원 배분을 안내하기 위한 참여적 의사결정을 경제 메커니즘으로 사용한다. 현대 자본주의 시장 경제에 대한 대안이자 중앙 계획 사회주의 또는 조정주의(coordinatorism)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며, "무정부주의적 경제 비전"[39]으로 묘사된다. 파레콘 하에서는 생산 수단이 노동자들이 소유하므로 사회주의의 한 형태로 간주될 수 있다.파레콘이 구현하려는 기본적인 가치는 형평성, 연대, 다양성, 노동자 자치 및 효율성이다. (여기서 효율성은 가치 있는 자산을 낭비하지 않고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주로 다음과 같은 원칙과 제도를 통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 노동자 및 소비자 평의회를 이용한 자치적 의사결정 방식
- 균형 잡힌 직무 복합체
- 노력과 희생에 따른 보수
- 참여적 계획
알버트와 하넬은 파레콘이 대안적인 경제 이론을 다루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며, 정치, 문화 및 혈연 분야에서도 동등하게 중요한 대안적인 비전을 수반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4. 개인주의와의 구분
사회적 아나키즘은 일반적으로 개인주의적 아나키즘과 구분된다.[6][7][8][9]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은 개인 주권과 사유재산을 지지하며,[6][7] 심지어 모든 형태의 사회 조직에 반대할 수도 있다.[8] 반면 사회적 아나키즘은 개인의 자유가 사회적 평등, 공동체 강조, 상호부조 등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며, 사회적 불평등의 원인으로 사유재산을 거부한다.[9]
그러나 이러한 구분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6] 아나키즘 자체가 종종 자유주의적 개인주의와 사회적 평등주의의 종합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6][7][8] 엠마 골드만과 허버트 리드 같은 일부 사회적 아나키스트들은 막스 슈티르너의 개인주의 철학에서 직접 영감을 받기도 했다.[6]
머레이 부크친은 1995년 저서 "사회적 아나키즘 또는 라이프스타일 아나키즘"에서 사회적 아나키즘을 자신이 "라이프스타일 아나키즘"이라고 부른 것과 대조적으로 정의했다.[6][7][8] 부크친은 사회적 아나키즘이 유일한 진정한 아나키즘의 형태라고 생각했으며, 개인주의는 본질적으로 억압적이라고 생각했다.[6] 그러나 그가 두 경향을 분리한 것은 다른 아나키스트들에 의해 비판받거나 완전히 거부되기도 했다.[7]
아나코-자본주의는 사회적 아나키스트들에 의해 합법적인 아나키즘 사상 학파로 거부되는데, 그들은 반자본주의를 중심 원리로 옹호하기 때문이다.[6][7][8][9][10]
참조
[1]
서적
Anarchism
Blackwell Publishing
[2]
서적
What is Property?
[3]
서적
An Essay on the Modern St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Social Anarchism Or Lifestyle Anarchism: An Unbridgeable Chasm
AK Press
[5]
서적
Coherence in Thought and Action
MIT Press
[6]
웹사이트
Mini-Manual of Individualism
http://www.marx.org/[...]
[7]
서적
Anarchism and the State
[8]
간행물
Anarchism, Utopias and Philosophy of Education
[9]
서적
Anarchism
Blackwell Publishing
[10]
서적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Chomsky on Democracy & Education
Routledge
[11]
서적
Language and Politics
AK Press
[12]
서적
Anarchism: Left, Right and Green
City Lights Books
[13]
웹사이트
http://flag.blackene[...]
[14]
서적
Bakunin: The Philosophy of Freedom
Black Rose Books Ltd.
[15]
서적
Contemporary Socialism
C. Scribner's sons
[16]
서적
Marx in Context
iUniverse
[17]
서적
Anarchist Voices: An Oral History of Anarchism in America
AK Press
[18]
서적
An Essay on the Modern St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e Conquest of Bread
AK Press
[20]
웹사이트
Ideas on Social Organization
http://www.marxists.[...]
[21]
서적
Statism and Anarc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간행물
Libertarian Communism
[23]
서적
Anarchism, Or The Revolutionary Movement Of The Twenty-first Century
[24]
서적
Blackwell Encyclopaedia of Political Thought
Blackwell Publishing
[25]
서적
Mutual Aid: A Factor of Evolution
https://www.gutenber[...]
[25]
서적
The Conquest of Bread
http://dwardmac.pitz[...]
[25]
서적
Fields, Factories and Workshops
http://dwardmac.pitz[...]
[25]
서적
Post Scarcity Anarchism
[26]
서적
Words of a Rebel
[27]
서적
The Conquest of Bread
Putnam
[28]
서적
The Conquest of Bread
[29]
서적
Act for yourselves.
Freedom Press
[30]
간행물
A Princely Paradox
1887-04-09
[30]
간행물
Labor and Its Pay
1884-09-06
[30]
서적
What is Mutualism?
[31]
서적
Leaving the Twentieth Century
[32]
서적
Anarchism and Other Essays
[33]
웹사이트
Organizational Platform of the General Union of Anarchists (Draft)
http://www.anarkismo[...]
FdCA
2006-10-24
[34]
서적
A History of the French Anarchist Movement
[35]
웹사이트
An Anarchist FAQ
http://www.infoshop.[...]
AK Press
[36]
웹사이트
Anarchosyndicalism
http://www.spunk.org[...]
2006-09-07
[37]
간행물
Beyond Social Democracy? Takis Fotopoulos' Vision of an Inclusive Democracy as a New Liberatory Project
http://researchbank.[...]
2003-11-01
[38]
웹사이트
Inclusive democracy and its prospects
http://www.inclusive[...]
Sage Publications
2002-05-01
[39]
웹사이트
Parecon: Life After Capitalism Chapter 19 Individuals / Society
http://www.zmag.org/[...]
[40]
웹사이트
An Anarchist FAQ 0.2.17
http://theanarchistl[...]
2017-04-01
[41]
웹사이트
Man, Society and Freedom
https://theanarchi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