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품성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품성사는 기독교의 성직자를 임명하는 의식을 의미하며, 각 교파별로 성품성사에 대한 이해와 절차가 다르다. 성공회는 주교, 사제, 부제의 서품을 통해 사도 계승을 강조하지만, 세례와 성찬만을 성사로 여기는 견해도 있다. 가톨릭교회는 주교, 부제, 사제 서품을 성품성사로 여기며, 각 직무의 역할을 구분한다. 동방 정교회는 서품을 성사로 간주하며, 주교만이 서품을 집행하고, 성직의 직급과 역할을 구분한다. 루터교는 성품성사에 대한 가톨릭의 이해를 거부하며, 모든 신자의 소명을 강조한다. 개신교는 감리교, 장로교, 회중교회 등 교파별로 성직 제도와 서품 절차에 차이가 있으며, 후기 성도 운동과 그리스도의 공동체 역시 자체적인 사제 제도를 운영한다. 여성 성직서품과 성소수자 성직자 안수에 대한 입장은 교파별로 다르며, 한국 개신교 교단 또한 각기 다른 성직 제도와 목사 안수 과정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사 - 최후의 만찬
최후의 만찬은 예수 그리스도가 제자들과 함께한 마지막 식사로, 성찬식 제정, 유다의 배신과 베드로의 부인 예언 등 기독교 신앙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복음서와 고린도전서에 기록되었지만 유월절 시기 등 기록에 차이가 있고, 정확한 시간과 장소는 논쟁 중이며 기독교 미술의 중요한 주제이다. - 성사 - 견진성사
견진성사는 기독교에서 세례받은 신자가 신앙을 굳건히 하고 성령의 은사를 받는 예식으로, 교파에 따라 명칭과 개념, 의식에 차이가 있으며, 서방 교회와 달리 동방 정교회에서는 세례와 동시에 집전하는 특징이 있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성품성사 | |
---|---|
일반 정보 | |
이름 | 성품성사 |
다른 이름 | 신품성사, 서품성사 |
영어 이름 | Holy Orders |
그리스어 이름 | Ιερωσύνη (Ierosýni) |
러시아어 이름 | Священство (Svyashchenstvo) |
기독교 전통 | |
성사로 인정하는 교파 | 가톨릭교회 정교회 성공회 동방교회 |
목적 | |
가톨릭 | 사제직 수여 |
성공회 | 사제 서임 |
중요성 | |
가톨릭 | 사제는 성체성사를 집전하고 죄를 사할 권한을 받음 |
성공회 | 성직자는 교회를 이끌고 성례전을 집전할 권한을 받음 |
집전자 | |
가톨릭 | 주교 |
성공회 | 주교 |
수여자격 | |
가톨릭 | 세례를 받은 남자 |
성공회 | 교단에 따라 다름 (남녀 모두 가능) |
성경적 근거 | |
가톨릭 | 마태오 복음서 16장 19절, 28장 16-20절, 요한 복음서 20장 21-23절 |
성공회 | 사도행전 6장 6절, 13장 3절, 디모테오 1서 4장 14절, 5장 22절, 디모테오 2서 1장 6절 |
2. 성공회
성공회는 주교, 사제, 부제의 세 성직으로 구성된 전통적인 성직 제도를 유지한다.[3] 성공회 신자는 일반적으로 신학 대학에서 훈련을 마친 후 부제로 서품된다. 주교가 후보자를 직접 지도하는 역사적인 관행("서품을 위한 독서")도 여전히 찾아볼 수 있다. 그 후 후보자는 일반적으로 부목사로 봉사하며, 나중에 주교의 재량에 따라 사제로 서품될 수 있다. 다른 부제는 이 직분에 머물기로 선택할 수 있다. 성공회 부제는 설교를 하고, 세례를 베풀며, 장례를 집행할 수 있지만, 사제와 달리 성찬례를 거행할 수는 없다.[3] 대부분의 성공회에서는 여성이 사제로 서품될 수 있으며, 일부에서는 주교로도 서품될 수 있다.
성공회 교회는 사도 계승을 유지해 왔다고 주장한다.[16] 그러나 성공회 주교의 계승은 보편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교황 레오 13세는 회칙 ''Apostolicae curae''에서 사제 서품 예식이 1547년부터 1553년까지, 그리고 1559년부터 윌리엄 로드(캔터베리 대주교 1633–1645) 대주교 시대까지 정확하게 쓰이지 않았기 때문에 성공회 서품의 유효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2. 1. 성공회의 성직 제도
성공회는 주교, 사제, 부제의 세 성직으로 구성된 전통적인 성직 제도를 유지한다.[3] 성공회 신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신학 대학에서 훈련을 마친 후 부제로 서품된다. 주교가 후보자를 직접 지도하는 역사적인 관행("서품을 위한 독서")도 여전히 찾아볼 수 있다. 그 후 후보자는 일반적으로 부목사로 봉사하며, 나중에 주교의 재량에 따라 사제로 서품될 수 있다. 다른 부제는 이 직분에 머물기로 선택할 수 있다. 성공회 부제는 설교를 하고, 세례를 베풀며, 장례를 집행할 수 있지만, 사제와 달리 성찬례를 거행할 수는 없다.[3] 대부분의 성공회에서는 여성이 사제로 서품될 수 있으며, 일부에서는 주교로도 서품될 수 있다.성공회 교회는 사도 계승을 유지해 왔다고 주장한다.[16] 그러나 성공회 주교의 계승은 보편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교황 레오 13세는 회칙 ''Apostolicae curae''에서 사제 서품 예식이 1547년부터 1553년까지, 그리고 1559년부터 윌리엄 로드(캔터베리 대주교 1633–1645) 대주교 시대까지 정확하게 쓰이지 않았기 때문에 성공회 서품의 유효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2. 2. 서품의 의미와 절차
성공회는 사도 계승을 통해 주교들이 서품된다고 믿지만, 서품을 성사로 볼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린다. 39개 신조는 세례와 주의 만찬만이 복음의 성사라고 주장하며, 다른 의식들은 복음서에서 그리스도에 의해 제정된 것이 아니라고 본다.[3] 공동 기도문과 성공회 전례 텍스트는 주교, 사제, 부제 서품 의식을 제공하며, 주교만이 서품을 집행할 수 있다. 주교 서품에는 보통 세 명의 주교가 필요하며, 사제와 부제 서품에는 한 명의 주교로 충분하다.3. 가톨릭
가톨릭 교회는 주교, 사제, 부제의 세 성직으로 구성된 성직 제도를 유지하며, 성품성사를 통해 이들을 서품한다. 서품된 사제직과 일반 사제직(모든 세례받은 이들의 사제직)은 기능과 본질 면에서 다르다.[5]
성품성사를 받는 순서는 소품, 부제, 사제, 주교 순이다. 가톨릭 신자 남성은 신학교 훈련을 받는 동안 부제로 서품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사제가 되기 위해 준비하는 사람들을 종신 부제와 구별하기 위해 '과도기 부제'라고 부르기도 한다.
주교는 사제들 중에서 선택되며, 가톨릭 교회에서 주교는 사제와 마찬가지로 독신이며 미혼이다. 주교는 성품성사의 충만함을 지니고 있어 부제, 사제, 그리고 교황의 동의를 얻어 다른 주교를 서품할 수 있다.
3. 1. 가톨릭의 성직 제도
가톨릭교회는 주교, 사제, 부제의 세 성직으로 구성된 성직 제도를 유지하며, 성품성사를 통해 이들을 서품한다. 서품된 사제직과 일반 사제직(모든 세례받은 이들의 사제직)은 기능과 본질 면에서 다르다.[5]1983년 교회법전에 따르면, "사제"와 "사제"는 구분된다. "라틴어 단어 ''sacerdos''와 ''sacerdotium''는 주교와 사제가 공유하는 사제직을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사제, 사제단, 사제직''이라는 단어는 사제(영어 단어의 의미)와 사제를 지칭한다."[6]
성품성사를 받는 순서는 소품, 부제, 사제, 주교 순이다.
가톨릭 신자 남성은 신학교 훈련을 받는 동안 부제로 서품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가톨릭 신자들은 사제가 되기 위해 준비하는 사람들을 종신 부제와 구별하기 위해 '과도기 부제'라고 부르기도 한다. 과도기 부제는 설교를 할 수 있고, 세례를 베풀 수 있으며, 가톨릭 혼인의 증인이 될 수 있지만, 다른 성사를 집행할 수는 없다. 성찬례 또는 미사에 참여할 수는 있지만, 빵과 포도주를 축성할 수는 없다. 일반적으로 과도기 부제로 6개월 이상 봉사한 후, 남성은 사제로 서품된다. 사제는 설교를 하고, 세례를 베풀며, (관할권자의 특별 허가를 받아) 견진을 주고, 혼인의 증인이 되고, 고해성사를 듣고 사죄를 주고, 병자에게 기름을 바르고, 성찬례 또는 미사를 거행할 수 있다.
주교는 사제들 중에서 선택되며, 가톨릭 교회에서 주교는 사제와 마찬가지로 독신이며 미혼이다. 주교는 성품성사의 충만함을 지니고 있어 부제, 사제, 그리고 교황의 동의를 얻어 다른 주교를 서품할 수 있다. 주교, 특히 교구장(교구 또는 대교구의 책임자)이 서품될 경우, 세 명의 주교가 공동 서품을 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대주교 또는 해당 지역의 주교가 수석 서품 주교가 된다. 가톨릭 교회는 동방 교회의 서품의 유효성을 무조건적으로 인정한다.
3. 2. 성품성사
가톨릭교회에서 성품성사는 주교, 부제, 사제 서품을 포함한다.[4] 서품된 사제직과 일반 사제직(또는 모든 세례받은 이들의 사제직)은 기능과 본질 면에서 다르다.[5] 봉헌 생활은 성직자도 평신도도 아니지만,[7] 성직자는 봉헌 생활 수도회나 재속 (교구 소속) 생활의 구성원이 될 수 있다.[8]성품성사를 받는 순서는 소품, 부제, 사제, 주교 순이다.
가톨릭 신자들의 경우, 남성이 신학교 훈련을 받는 동안 부제로 서품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가톨릭 신자들은 사제가 되기 위해 준비하는 사람들을 종신 부제와 구별하기 위해 '과도기 부제'라고 부르기도 한다. 과도기 부제는 설교를 할 수 있고, 세례를 베풀 수 있으며, 가톨릭 혼인의 증인이 될 수 있지만, 다른 성사는 집행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과도기 부제로 6개월 이상 봉사한 후, 남성은 사제로 서품된다. 사제는 설교를 하고, 세례를 베풀며, (관할권자의 특별 허가를 받아) 견진을 주고, 혼인의 증인이 되고, 고해성사를 듣고 사죄를 주고, 병자에게 기름을 바르고, 성찬례 또는 미사를 거행할 수 있다.
주교는 가톨릭 관습을 따르는 교회에서 사제들 중에서 선택된다. 가톨릭 교회에서 주교는 사제와 마찬가지로 독신이며 미혼이다. 또한 주교는 성품성사의 충만함을 지니고 있어 부제, 사제, 그리고 교황의 동의를 얻어 다른 주교를 서품할 수 있다. 주교, 특히 교구장(교구 또는 대교구의 책임자)이 서품될 경우, 세 명의 주교가 공동 서품을 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대주교 또는 해당 지역의 주교가 수석 서품 주교가 된다.
4. 동방 정교회
동방 정교회는 주교, 사제, 부제의 세 가지 성직(신품)으로 구성된 성직 제도를 유지한다. 이 신품은 이이스스 하리스토스(예수 그리스도)의 대리인이 아니라, 하리스토스의 임재를 증명하는 역할을 한다.[10]
신품은 주교가 신품 기밀을 집행하여 임명한다. 집행 시에는 주교가 새롭게 서품되는 자의 머리 위에 손을 얹는 안수를 행한다. 주교는 교회의 감독 역할이며, 그보다 더 상위의 교역자는 없다. 새로운 주교는 여러 명의 주교에 의해 서품된다.
신품 기밀은 성찬례 안에서 행해진다. 각 교역 직급마다 성찬례의 어느 부분에서 신품 기밀을 거행하는지가 정해져 있으며, 하루에 두 개 이상의 직책을 서품받는 일은 있을 수 없다. 신품 기밀 중에는, 주교가 교역자를 임명한 뒤, 교우·신도가 세 번 "악시오스"(그리스어로 "적임"의 뜻)라고 외쳐 승인을 나타낸다.
4. 1. 동방 정교회의 성직 제도
동방 정교회는 주교, 사제, 부제의 세 성직(신품)으로 구성된 성직 제도를 유지한다. 신품은 이이스스 하리스토스(예수 그리스도)의 대리인이 아니라, 하리스토스의 임재를 증명하는 역할을 한다.[10]신품은 주교가 신품 기밀을 집행하여 임명한다. 집행 시에는 주교가 새롭게 서품되는 자의 머리 위에 손을 얹는다(안수). 주교는 교회의 감독 역할이며, 그보다 더 상위의 교역자는 없다. 새로운 주교는 여러 명의 주교에 의해 서품된다.
신품 기밀은 성찬례 안에서 행해진다. 각 교역 직급마다 성찬례의 어느 부분에서 신품 기밀을 거행하는지가 정해져 있으며, 하루에 두 개 이상의 직책을 서품받는 일은 있을 수 없다. 신품 기밀 중에는, 주교가 교역자를 임명한 뒤, 교우·신도가 세 번 "악시오스"(그리스어로 "적임"의 뜻)라고 외쳐 승인을 나타낸다.
4. 2. 서품(케이로토니아)
동방 정교회는 서품(''케이로토니아'', "안수")을 성사로 여긴다. 다른 모든 성사는 사제가 집행할 수 있지만, 서품은 주교만 집행할 수 있으며, 주교 서품은 여러 명의 주교가 함께 집행해야 한다. ''케이로토니아''는 항상 성찬 예식 중에 거행된다.사도들은 온 세상에 가서 복음을 전파하고, 삼위일체의 이름으로 믿는 자들에게 세례를 주는 사명을 받았다.[9] 초기 교회에서 회중을 주재하는 사람들은 ''에피스코포스''(주교) 또는 ''사제''(사제)로 불렸다. 이 사도들의 후계자들은 안수를 통해 그들의 직분에 서품되었으며, 동방 정교회 신학에 따르면 사도들과, 그리고 그들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와 살아있는 유기적인 연결을 형성했다.[10]
동방 정교회는 또한 소품에 대한 서품(''케이로테시아'', "안수")을 가지며, 이는 일반적으로 주교에 의해 성찬 예식 외부에서 거행되지만, 스타브로페기알 수도원의 특정 수도원장은 그들의 공동체 구성원들에게 케이로테시아를 수여할 수 있다.
4. 3. 주교, 사제, 부제의 역할
동방 정교회에서 주교는 교구의 재정을 관리하고, 성령의 은총이 교회로 흘러 들어가는 살아있는 은총의 그릇으로 여겨진다.[10] 주교는 여러 주교들의 안수를 통해 축성되며, 비상시에는 한 명의 주교가 다른 주교를 서품할 수도 있다. 주교의 축성은 성찬 예식 초반에 이루어지는데, 이는 주교가 성찬의 신비를 집행하는 것 외에도 사제와 부제를 서품할 수 있기 때문이다.[11]사제는 주교의 허락을 받아 성유와 안티민스를 받고 그의 교구 내에서 사역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는다.[11] 주교는 이 권한을 철회하고 성유와 안티민스의 반환을 요구할 수 있다. 사제의 서품은 아나포라 (성찬 기도) 전에 거행된다.[11]
부제는 성사를 집행할 수 없고, 사제의 조수 역할을 하며, 사제의 축복 없이는 옷을 입을 수도 없다. 부제의 서품은 아나포라 (성찬 기도) 후에 이루어진다.[11]
신품(神品)은 주교, 사제, 부제의 세 직급으로 구성되며, 모두 이이스스 하리스토스(예수 그리스도)의 임재를 증명하는 역할을 한다. 신품은 주교가 신품 기밀을 집행하여 임명하며, 집행 시에는 주교가 새롭게 서품되는 자의 머리 위에 손을 얹는다(안수). 주교는 교회의 감독 역할이며, 새로운 주교는 여러 명의 주교에 의해 서품된다. 신품 기밀은 성찬례 안에서 행해지며, 각 교역 직급마다 성찬례의 어느 부분에서 신품 기밀을 거행하는지가 정해져 있다. 신품 기밀 중에는, 주교가 교역자를 임명한 뒤, 교우·신도가 세 번 "악시오스"(그리스어로 "적임"의 뜻)라고 외쳐 승인을 나타낸다.
4. 4. 서품과 승품
정교회에서는 주교, 사제, 부제로 서품되는 것을 "'''서품'''"(敍聖)이라고 한다.[28] 이때는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주교 갑이 을을 서품한다"
- "(주교 갑에 의해) 을이 주교 (또는 사제, 부제)로 서품된다"
"'''승품'''"(昇叙)은 주교(→대주교)→관구장 주교[29], 수도 사제→원장→수도원장, 사제→수석 사제→수좌 사제, 부제→수석 부제→수좌 부제와 같이, 주교품·사제품·부제품의 각 3직 내에서 칭호가 주어지는 경우에 사용되는 용어이다.[30] 이때 주교에 의해 행해지는 것은 신품 성사가 아니라 승품 축복이다(단, 승품도 성찬례 안에서 행해진다).[31]
5. 루터교
루터교는 사제주의가 성경에 근거하지 않는다고 보아 성품성사에 대한 가톨릭의 이해를 거부한다. 마르틴 루터는 각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하나님이 정하신 임무를 완수해야 한다고 가르쳤으며, 삶의 과제로서의 소명이라는 용어는 현대에 마르틴 루터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13] 루터의 소교리문답에서는 감독, 목사, 설교자, 정부 관료, 시민, 남편, 아내, 자녀, 직원, 고용주, 젊은이, 과부 등을 성직으로 언급한다.[14]
화해 신조집에서는 "만약 서임이 말씀의 사역에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면, 우리는 서임을 성사라고 부르는 것을 꺼리지 않습니다. 말씀의 사역은 하나님의 명령과 영광스러운 약속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한다.[15]
5. 1. 루터교의 성직 이해
루터교는 사제주의가 성경에 근거하지 않는다고 보아 성품성사에 대한 가톨릭의 이해를 거부한다. 마르틴 루터는 각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하나님이 정하신 임무를 완수해야 한다고 가르쳤다. 삶의 과제로서의 소명이라는 용어는 현대에 마르틴 루터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13] 루터의 소교리문답에서는 감독, 목사, 설교자, 정부 관료, 시민, 남편, 아내, 자녀, 직원, 고용주, 젊은이, 과부 등을 성직으로 언급한다.[14]그러나 화해 신조집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만약 서임이 말씀의 사역에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면, 우리는 서임을 성사라고 부르는 것을 꺼리지 않습니다. 말씀의 사역은 하나님의 명령과 영광스러운 약속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로마서 1장 16절: 복음은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입니다. 마찬가지로, 이사야 55장 11절: 내 입에서 나가는 나의 말도 이와 같으니, 헛되이 내게로 돌아오지 아니하고, 내가 기뻐하는 일을 이루며, 내가 보낸 일을 성취하리라. ...만약 서임이 이런 식으로 이해된다면, 우리는 안수를 성사라고 부르는 것을 거부하지 않을 것입니다. 교회가 사역자를 임명하라는 명령을 받고 있는데, 이는 우리에게 가장 기쁨을 주어야 합니다. 이는 우리가 하나님께서 이 사역을 승인하시고, 사역 안에 계시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하나님은 사람들과 사람들에게 선택받은 자들을 통해 설교하고 일하실 것입니다]."[15]
6. 개신교 (감리교, 장로교, 회중교회)
개신교에서는 교단에 따라 성직자를 구분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감리교는 감독제를 따르며, 장로와 집사를 서품한다. 장로는 말씀, 성례전, 질서, 봉사에 대해 서품받는 반면, 집사는 말씀과 봉사에 대해서만 서품받는다.[16] 연합감리교회에서는 신학대학원 졸업 후 일정 절차를 거쳐 "임시" 목사로 파송되며, 최소 2년의 수습 기간 후 정회원이 되고 감독에 의해 장로 또는 집사로 서품된다.[16] 존 웨슬리는 토머스 코크를 '감독'으로 임명했으며, 영국 감리교는 장로와 집사의 두 가지 서품을 구분한다. 감독은 장로 서품 내의 역할로, 500명이 넘는 감독이 장로와 집사 서품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16]
장로교회는 스코틀랜드의 전통에 따라 감독과 장로의 직분을 동일시하며, 장로교 정치 형태를 따른다.[16] 각 장로 모임의 권한은 증가하지만, 장로들 간의 계층 구조는 없다. 장로는 지역 차원에서 선출되거나 임명되며, 임기에 제한을 두거나 종신 서임하기도 한다. 장로교는 말씀과 성례전을 집행하는 목사를 서임하며, 이들은 다른 기능을 위해 서임된 장로로 간주된다. 일부 장로교는 집사를 두어 봉사하게 하며, 이들은 '집사', '이사회 구성원', '관리자' 등으로 불린다. 장로와 목사와 달리 일반적으로 서임되지 않으며, 정해진 기간 동안 회중이 선출한다. 다른 장로교는 '집사단'을 전임 종으로 사용하며, 이들은 성례전 집행이나 정기적인 설교를 하지 않는다. 스코틀랜드 교회는 최근 집사를 서임하기 시작했다. 장로교의 두 직분은 '정도'가 아닌 '종류'에서 다르며, 계층 구조가 없다.
회중교회는 다양한 제도를 시행하지만, 임원들의 권한은 장로회나 감독교회 형태보다 적은 경우가 많다. 일부 교회는 목사만 안수하고 자문 위원회를 두며, 이러한 직책은 권한이 적어 안수 방식이 덜 엄격한 경향이 있다.
6. 1. 감리교
감리교는 감독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장로와 집사를 서품한다. 장로는 말씀(설교와 가르침), 성례전(세례와 주의 만찬 집행), 질서(교회 관리 및 감독, 선교와 사역을 위한 타인 서품), 봉사에 대해 서품받는다. 집사는 말씀과 봉사에 대해서만 서품받는다.[16]연합감리교회의 경우, 신학대학원 졸업생은 서품 사역 위원회와 성직자 회의의 심사 및 승인을 거쳐 "연회 임시(잠정) 회원"으로 받아들여진다. 주재 감독은 이들을 "임시" 목사로 풀타임 사역에 파송할 수 있다. 최소 2년의 수습 기간 후, 수습생은 다시 심사를 받고, 수습 연장, 중단, 또는 서품 승인 여부가 결정된다. 연회 성직자 회의의 최종 승인을 받으면, 수습생은 연회의 정회원이 되고, 주재 감독에 의해 장로 또는 집사로 서품된다. 장로 서품자는 장로 서품회, 집사 서품자는 집사 서품회 회원이 된다.[16]
존 웨슬리는 토머스 코크를 '감독'으로 임명했는데, 이는 그리스어 ''episcopos''(감독관)를 번역한 것이다. 영국 감리교 회의는 장로와 집사의 두 가지 서품을 구분한다. 감독은 별도의 사역 서품이 아니라 장로 서품 내의 역할이다. 영국 감리교회는 500명이 넘는 감독을 두고 있으며, 이들은 장로와 집사 서품, 확인, 지역 감독 및 지구 회장 임명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16]
6. 2. 장로교
장로교회는 스코틀랜드의 조상들을 따라 감독자에 관한 전통을 거부하고, 성경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이는( 디도서 1장 5-9절(Titus 1:5–9) 과 디모데전서 3장 2-7절(I Tim. 3:2–7) 비교) 감독(''에피스코포스'')과 장로(''프레스부테로스'', 여기서 "장로교"라는 용어가 유래됨)의 직분을 동일시한다.[16] 교회 정치 형태는 장로교 정치로 알려져 있다. 각 장로 모임(회중 또는 교구를 관할하는 '당회', 그 다음 노회, 그 다음 총회, 그리고 총회)의 권한은 증가하지만, 장로들의 계층 구조는 없다. 각 장로는 그들이 속한 회의에서 동등한 투표권을 갖는다.장로는 일반적으로 지역 차원에서 선택되며, 회중이 선출하고 당회에서 승인하거나, 당회에서 직접 임명한다. 일부 교회는 장로의 임기에 제한을 두는 반면, 다른 교회는 장로를 종신 서임한다.
장로교는 또한 말씀과 성례전을 집행하는 목사(때로는 '가르치는 장로')를 (안수례를 통해) 서임한다. 이 목사들은 단순히 다른 기능을 위해 서임된 장로로 간주되지만, 실제로는 지역 당회에 대한 리더십을 제공한다.
일부 장로교는 실질적인 방식으로 봉사하기 위해 (안수례를 통해) 임명된 사람들을 ([사도행전 6장 1-7절](Acts 6:1–7)) 집사(''디아코노스'', '종'을 의미)로 식별한다. 많은 회중에서, 남성 또는 여성 그룹이 회중의 재산 및 재정과 같은 문제를 처리하도록 따로 정해져, 장로들이 더 '영적인' 업무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 사람들은 지역 전통에 따라 '집사', '이사회 구성원' 또는 '관리자'로 알려질 수 있다. 장로와 목사와 달리, 그들은 일반적으로 '서임'되지 않으며, 종종 정해진 기간 동안 회중이 선출한다.
다른 장로교는 '집사단'을 광범위한 교회의 전임 종으로 사용해 왔다. 목사와 달리, 그들은 성례전을 집행하거나 정기적으로 설교하지 않는다. 스코틀랜드 교회는 최근에 이 직책에 집사를 서임하기 시작했다.
위에서 설명된 감리교 제도의 방식과 유사하지만, 감독교회 제도와는 달리 두 장로교 직분은 '정도'가 아닌 '종류'에서 다르다. 왜냐하면 장로가 되기 전에 집사가 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계층 구조가 없으므로, 두 직분은 기술적인 의미에서 '서열'을 이루지 않지만, 성직 서열의 용어는 때때로 여전히 사용된다.
6. 3. 회중교회
회중교회는 다양한 제도를 시행하지만, 임원들은 일반적으로 장로회나 감독교회 형태보다 권한이 적다. 일부 교회는 목사만 안수하고 자문 위원회(때로는 장로회 또는 집사회라고 불림)를 두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직책은 상대적으로 권한이 적기 때문에, 임원을 안수하는 방식에 일반적으로 덜 엄격하거나 과장된 면이 있다.7. 후기 성도 운동
후기 성도 운동에서 성품성사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후기 성도 운동의 각 종파는 고유한 성직 체계와 성임 방식을 가지고 있다. 주요 종파로는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와 그리스도의 공동체가 있다.
7. 1.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LDS 교회)는 비교적 개방적인 신권을 가지고 있으며, 합당한 성인 남성과 12세 이상의 소년 거의 모두를 성임한다. 후기 성도 신권은 멜기세덱 신권과 아론 신권, 두 가지로 구성된다. 멜기세덱 신권은 멜기세덱이 매우 위대한 대제사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그 이전에는 하나님의 아들의 반차를 따른 성 신권이라고 불렸다. 그러나 최고 존재의 이름을 존중하고 그 이름을 너무 자주 반복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고대 교회에서는 그 신권을 멜기세덱의 이름을 따서 불렀다. 더 낮은 신권은 멜기세덱 신권에 부속된 것이다. 이것은 아론과 그의 모든 세대에 걸친 아들들에게 부여되었기 때문에 아론 신권이라고 불린다.[18] 멜기세덱 신권의 직분에는 사도, 칠십인, 축복사, 대제사, 장로가 있다. 아론 신권의 직분에는 감독, 제사, 교사, 집사가 있다. 성임 방식은 두 명 이상의 남자가 안수를 통해 집행하며, 이들은 부여될 직분을 최소한 갖고 있어야 하고, 한 명이 신권 또는 직분을 부여하는 음성을 내고, 일반적으로 받는 사람에게 축복을 선언한다. 교사와 집사는 다른 사람을 신권으로 성임할 권한이 없다.7. 2. 그리스도의 공동체
그리스도의 공동체는 대부분 자원 봉사 사제로 구성되며, 모든 사제는 자유롭게 결혼할 수 있다. 사제는 아론 사제직과 멜기세덱 사제직 두 가지 서열로 나뉜다. 아론 서열에는 집사, 교사, 사제 직분이 있고, 멜기세덱 서열에는 장로(70인 특별 직분 포함)와 대제사장(전도사, 주교, 사도, 예언자 특별 직분 포함) 직분이 있다. 유급 성직자로는 "임명자"와 교회의 총회 임원(교회 지도부 최고 3명에게만 부여되는 대통령직 등 일부 특별 사제직 포함)이 있다. 1984년부터 여성도 안수를 통해 사제직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4] 사제직 직분에 대한 기술적인 연령 제한은 없지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처럼 자동 안수나 진급은 없다. 청소년이 때때로 집사, 교사, 또는 사제로 안수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제는 고등학교 졸업 후에 부름을 받는다. 2007년 3월에는 여성이 처음으로 대통령 직분에 안수되었다.[4]8. 여성 성직서품
가톨릭 교회는 여성 사제를 서품할 권한이 없다고 공식적으로 가르치며, 앞으로도 여성 사제가 될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19] 여성 부제는 성품성사를 받지 않으므로, "서품"은 부제의 어떤 성사적 의미에서도 불가능하다.
반면, 많은 루터교, 성공회 및 기타 개신교 교회들은 여성을 서품한다.[19] 다만, 대부분 부제 직책에만 서품한다. 그리스 정교회를 포함한 다양한 동방 정교회는 현재 여성 부제의 서약을 제쳐두고 있다. 일부 교회는 성경이 여성의 서품을 허용하는지에 대해 내부적으로 의견이 나뉜다.
여성을 서품하는 교단은 소수이다. 개신교는 전 세계 기독교인의 약 27%를 차지하며, 여성을 서품하는 대부분의 교회는 지난 세기 동안에야 서품을 시작했다. 또한, 같은 전통 내에서도 교파에 따라 여성 서품에 대한 입장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감리교에서는 원시 감리 교회는 여성을 서품하지 않지만, 자유 감리 교회는 여성을 서품한다.[20][21]
일부 전통에서는 여성이 남성과 동일한 서품을 받을 수 있지만, 다른 전통에서는 특정 직책에 제한을 둔다. 구 가톨릭 교회와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웨일스, 쿠바, 브라질, 남아프리카, 캐나다, 미국, 호주,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 폴리네시아의 성공회/감독 교회에서 여성은 주교로 서품될 수 있다. 2013년 아일랜드 교회는 패트 스토레이를 미스 앤 키르데어 주교로 임명했다.[22] 그녀는 아일랜드 교회에서 주교로 선출된 최초의 여성이자, 아일랜드와 영국에서 성공회 연합 주교가 된 최초의 여성이다.[22][23][24] 2014년 잉글랜드 교회는 여성이 주교로 서품되는 것을 허용하기로 투표했으며, 리비 레인이 최초로 주교 서품을 받은 여성이다. 전 세계의 지속 성공회 교회는 여성의 서품을 허용하지 않는다.
일부 개신교 교파에서는 여성이 부목사로 봉사할 수 있지만, 교회를 책임지는 목사로는 봉사할 수 없다. 일부 교파는 여성이 장로나 부제로 서품될 수 있도록 허용하며, 특정 종교 단체를 위해 여성의 서품을 허용하는 교파도 있다. 성공회와 루터교와 같은 특정 전통 내에서는 여성의 서품에 대한 다양한 신학과 실천이 존재한다.
9. 성소수자(LGBT) 성직서품
성적으로 활동적이며 이에 대해 공개적인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또는 트랜스젠더 성직자의 안수는 많은 주류 개신교 교단 내에서 격렬한 논쟁의 대상이 된다. 대부분의 교회는 이러한 안수를 반대하는데, 이는 동성애를 죄로 간주하고 성경의 가르침 및 전통적인 기독교 관습과 양립할 수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게이나 레즈비언인 사람들을 안수하는 데 열려 있는 기독교 회중과 공동체가 늘어나고 있다. 여기에는 미국 성공회, 그리스도 연합 교회,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와 같은 자유주의 개신교 교단, LGBT 사람들을 주로 섬기기 위해 설립된 작은 메트로폴리탄 커뮤니티 교회 및 그러한 성직자가 고위 성직 직책을 맡을 수 있는 스웨덴 교회가 포함된다. 노르웨이 교회는 수년 동안 게이와 레즈비언 사제를 모두 두고 있으며, 심지어 주교도 있었으며, 2006년에는 노르웨이에서 최초로 주교로 임명된 여성이 자신이 교회에 들어가기 전부터 동성애자였다고 밝히기도 했다.[25]
안수 문제는 미국 성공회에서 진 로빈슨을 뉴햄프셔 주교로 승인한 이후 전 세계 성공회 친교에서 특히 논란을 일으켰다.
참조
[1]
뉴스
Holy order {{!}} Christianity
https://www.britanni[...]
2018-09-29
[2]
웹사이트
How do Catholics & Baptists differ?
http://www.bpnews.ne[...]
2018-10-16
[3]
웹사이트
Articles of Religion
https://www.churchof[...]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10-06
[4]
문서
Catechism 1547
[5]
문서
Lumen Gentium 10
[6]
서적
The Sacrament of Orders and the Clerical State
St Paul's University Press
[7]
문서
can. 588, CIC 1983
[8]
문서
can. 266, CIC 1983
[9]
성경
Bible
[10]
간행물
The Sacramental Life: An Orthodox Christian Perspective
St. John of Kronstadt Press
[11]
간행물
Manual of the Orthodox Church's Divine Services
http://www.ccel.org/[...]
Holy Trinity Monastery
[12]
서적
Service Book of the Holy Orthodox-Catholic Apostolic Church
Antiochian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13]
논문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14]
웹사이트
Luther's Small Catechism
http://www.bookofcon[...]
[15]
웹사이트
Defense of the Augsburg Confession - Book of Concord
https://web.archive.[...]
2018-10-16
[16]
웹사이트
The Ecumenical Patriarch on Anglican Orders
http://www.ucl.ac.uk[...]
[17]
서적
A Dictionary of British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5-21
[18]
웹사이트
Gospel Principles Chapter 14: Priesthood Organization
https://www.churchof[...]
churchofjesuschrist.org
2012-08-13
[19]
웹사이트
Ministry and Ministries
https://www.svenskak[...]
Church of Sweden
2021-05-12
[20]
웹사이트
Discipline of the Primitive Methodist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s://web.archive.[...]
Primitive Methodist Church
2017-05-31
[21]
웹사이트
FMC Statement on Women in Ministry
https://web.archive.[...]
Free Methodist Church
2017-05-31
[22]
웹사이트
Bishop Clarke
https://archive.toda[...]
Diocese of Meath and Kildare
2013-09-26
[23]
뉴스
Irish Anglicans install Rev Pat Storey as bishop
https://www.bbc.co.u[...]
2013-11-30
[24]
뉴스
Anglicans Name First Female Bishop in Ireland
https://www.nytimes.[...]
2013-09-26
[25]
웹사이트
Drømmedamer
https://www.dagblade[...]
2020-08-10
[26]
웹사이트
Τα ιερά Μυστήρια της Εκκλησίας μας
http://www.faneromen[...]
[27]
서적
正教会の手引き
[28]
서적
正教会の手引き
[29]
웹사이트
事例
http://www.orthodoxj[...]
[30]
웹사이트
東京の大主教、全日本の府主教ダニイル:日本正教会 The Orthodox Church in Japan
http://www.orthodoxj[...]
[31]
문서
神品機密は「主教」「司祭」「輔祭」に叙聖されることであって、それぞれ三職内での昇叙の際には行われな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