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륵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륵국은 기원전 120년경 서한에 처음 언급된 고대 도시 국가로, 현재의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카슈가르 지역에 위치했다. 동한 시대에는 조공을 바쳤으나, 5세기에는 돌궐의 지배를 받다가 당나라의 서역 원정 이후 당의 속국이 되었다. 안서사진 중 하나로 번성했으나, 토번, 당나라, 위구르 등의 지배를 거쳐 카라한 왕조에 흡수되었다. 소륵국은 북부 실크로드의 요충지로서 경제적 번영을 누렸으며, 불교를 신봉하고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유전학적으로는 중앙아시아 스텝 유목민의 후손으로, 다양한 집단의 영향을 받았다. 소륵국의 군주들은 시대에 따라 다양한 기록으로 전해지며, 당나라 시대에는 배씨 성을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르크계 국가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16세기 초에 건국되어 1920년까지 존속한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 칸국으로, 초기 혼란과 수도 이전, 러시아 제국의 보호국 시기를 거쳐 소비에트 혁명으로 붕괴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와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튀르크계 국가 - 무굴 제국
    무굴 제국은 16세기 초 바부르가 건국하여 1857년 영국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인도 아대륙을 지배했던 제국으로, 악바르 대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아우랑제브 시대 이후 쇠퇴하여 멸망하였으며, 페르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문화를 꽃피웠다.
  • 중앙아시아의 역사 - 돌궐
    돌궐은 6세기 중반 몽골 초원에서 유연을 멸망시키고 건국되어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광대한 영토를 지배한 유목 제국으로, 사산 제국과 연합하여 에프탈 제국을 멸망시키고 자체 문자를 창제하는 등 중앙아시아 및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당나라와의 전쟁 후 분열되어 멸망했다.
  • 중앙아시아의 역사 - 소그드인
    소그드인은 중앙아시아 소그디아나 출신으로 실크로드를 중심으로 무역 활동을 펼치며 유라시아 대륙 전역에서 활약한 상인 집단으로, 다양한 제국 및 국가와 교류하며 여러 상품을 거래하고 종교와 문화를 전파했으나, 이슬람 제국 확장과 함께 점차 동화되었다.
  • 중앙아시아의 옛 나라 - 몽골 제국
    몽골 제국은 1206년 칭기즈 칸에 의해 건국되어 유라시아 대륙을 정복하고 동서 교류를 촉진했으나, 몽케 칸 사후 분열되어 쇠퇴하여 멸망한 역사상 가장 큰 영토를 차지했던 제국이다.
  • 중앙아시아의 옛 나라 - 아프가니스탄 왕국
    아프가니스탄 왕국은 1926년 아프가니스탄 토후국을 개편하여 성립되었으며, 아마눌라 칸의 개혁 시도와 무함마드 자히르 샤의 통치 기간을 거쳐 1973년 쿠데타로 멸망했다.
소륵국
기본 정보
3세기 [[타림 분지]] (소륵의 영토는 보라색으로 표시됨)
3세기 타림 분지 (소륵의 영토는 보라색으로 표시됨)
위치카슈가르
공용어사카어의 칸차키 방언 (동부 이란어군 중 하나)
역사
건국기원전 200년경
멸망790년 티베트 제국에 정복됨
주요 사건127년: 후한의 조공국이 됨
460년: 북량으로부터 독립
400년경: 돌궐의 조공국이 됨
630년: 돌궐로부터 독립
632년: 당나라에 복속됨
670년: 티베트에 정복됨
673년: 당나라에 대한 종주권 선언
692년: 당나라에 의해 재정복됨
정치
정치 체제군주제
주요 지도자청 (성)(?–73 AD)
두티 (73 AD – 73 AD)
종 (?)
진반 (?)
허더 (168–170)
현재 국가
현재 국가중국
키르기스스탄

2. 역사

소륵국은 기원전 120년경 서한(西漢)이 국경을 탐색할 때 처음으로 역사에 등장한다.[26] 127년에는 동한(東漢)에 조공을 바치기 시작했고,[26] 168년에는 소륵왕을 암살하고 왕위를 찬탈한 화득(和得)을 한나라가 정벌하려 했으나 170년 정중(楨中) 포위전의 실패로 철수하였다.[26]

후한이 멸망하는 220년, 소륵국은 정중, 사거(莎車), 갈석(竭石), 거사(佉沙), 서야(西夜), 의내(依耐) 등의 도시국가를 정복하였다.[26] 5세기에는 돌궐의 조공국이 되었다가 630년 돌궐이 (唐)과의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독립하였다.[26] 632년에는 당나라의 오아시스 국가 정복으로 당의 속국이 되었는데,[27] 일설에는 당의 느슨한 종주권만 인정받는 조공국이었다고도 한다.[28][29][30]

640년에서 790년 사이에는 당의 안서대도호부(安西大都護府)의 일부가 되었으며,[31] 649년에서 670년 사이에는 구자, 호탄, 카라샤르와 함께 안서사진(安西四鎭) 중 하나였다.[32] 670년 이후 우전(于闐) 대신 비사(毗沙)로 교체된 후에도 소륵은 4진의 지위를 유지하였다.[32]

670년 토번에게 정복되었으나, 673년 스스로 당의 속국임을 선포했고,[33] 692년에 당나라에 의해 재정복되었다.[34] 715년 쿠타이바 이븐 무슬림(Qutayba ibn Muslim)이 소륵국을 공격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35][36]

신장의 이슬람화와 투르크화 시기에는 카라한 왕조의 무슬림 투르크인들에게 흡수되었다. 마흐무드 알 카슈가리(Mahmud al-Kashgari)에 따르면, 소륵국 인근에서는 칸차크어(Kanchaki)나 소그드어(Sogdian)와 같은 투르크어가 아닌 언어들이 일부 사용되었으며,[37] 칸차크어는 사카어(Saka language)에 속한다고 한다.[38][39] 타림 분지는 11세기 말 이전에 언어적으로 투르크어화되었다.[40]

2. 1. [[한나라|전한]] 시대

기원전 120년경, 전한이 국경을 탐색할 때쯤 소륵국에 대한 최초의 언급이 있었다.[26] 기원전 141년에서 기원전 87년 사이 한 무제 시기, 위청곽거병에 의해 흉노가 몰아내지고 하서 회랑에서 타림 분지는 전한의 지배하에 들어가면서 소륵국도 한나라에 종속되었다. 서기 127년 소륵국은 동한(후한)에 조공을 바치기 시작했다.[26] 168년, 화득이 소륵왕을 암살하고 왕위를 찬탈하자 한나라는 소륵국을 정벌하려 하였지만, 170년 진중 포위전이 실패하면서 한나라 군대는 철수하였다.[26]

2. 2. [[한나라|후한]] 시대

후한 시대의 소륵국에 대한 기록은 기원전 120년경 서한이 국경을 탐색할 때 처음 나타난다.[26] 서기 127년, 소륵국은 동한에 조공을 바치기 시작했다.[26]

73년, 귀자 왕 건(建)이 소륵왕 성(成)을 공격하여 죽이고, 귀자 좌후 두제(兜题)를 소륵왕으로 삼았다. 그해 겨울, 후한은 군사마 반초를 파견하여 두제를 가두고, 성의 형의 아들인 충(忠)을 소륵왕으로 세웠다.[3]

75년, 명제가 붕어하자 연기국이 후한에 반역하고, 귀자국과 고묵국이 소륵국을 공격했다. 반초는 소륵왕 충과 함께 이를 막았으나, 불리하여 우전국으로 물러났다가 다시 소륵국으로 돌아왔을 때는 소륵성과 반탁성 두 성이 모두 귀자국에 함락된 후였다. 소륵국은 위두국과 내통하고 있었으나, 반초는 반역자를 참수하고 위두국을 격파하여 소륵국을 되찾았다.[3]

84년, 반초는 소륵국과 우전국의 병사를 동원하여 사차국을 공격했다. 사차국과 밀통하던 소륵왕 충은 반역하여 오즉성에 웅거했다. 반초는 부승 성대(成大)를 새 소륵왕으로 삼고 충을 공격했다. 강거가 정병을 파견하여 충을 구원했으나, 월지(쿠샨 왕조)와 강거의 친밀한 관계를 이용한 반초의 외교로 강거왕이 병사를 철수시키고 충을 붙잡아 반초에게 항복했다.[3]

116년, 소륵왕 안국(安国)은 어머니의 남동생 신반(臣磐)을 죄인으로 몰아 월지로 보냈다. 신반은 월지왕의 총애를 받았고, 안국이 죽자 소륵 사람들은 신반을 맞아 소륵왕으로 즉위시키고, 유복을 반탁성후로 삼았다. 이후 사차국이 우전국에 반역하여 소륵국에 속하게 되자, 소륵국은 강성해져 귀자국, 우전국과 적대하게 되었다.[3]

127년, 신반은 후한에 사자를 보내 조공하고, 순제는 신반에게 한 대도위 칭호를 내렸다.[3] 130년133년에도 신반은 후한에 사자를 보내 조공했다.[3]

168년, 신반은 사냥 중에 숙부 화득(和得)에게 사살당했고, 화득이 스스로 소륵왕이 되었다.[3] 172년, 후한은 소륵국을 공격했으나 정중성을 함락시키지 못하고 철수했다.[3] 그 후, 소륵왕은 잇따라 살해되었다.[3]

220년, 동한이 멸망할 때 소륵국은 정중, 사거(莎車), 갈석(竭石), 거사(佉沙), 서야(西夜), 의내(依耐) 등의 도시국가를 정복하였다.[26]

2. 3. [[삼국 시대 (중국)|삼국 시대]]

기원전 120년경 서한(西漢)이 국경을 탐색할 때 소륵국이 처음 언급되었다.[26] 127년 소륵국은 동한(東漢)에 조공을 바치기 시작했다.[26] 168년, 화득(和得)이 소륵왕을 암살하고 왕위를 찬탈하자 한은 소륵을 정벌하려 하였지만, 170년 정중(楨中) 포위전이 실패하면서 한의 군대는 철수하였다.[26]

동한이 멸망한 220년, 소륵국은 정중, 사거(莎車), 갈석(竭石), 거사(佉沙), 서야(西夜), 의내(依耐) 등의 도시국가를 정복하였다.[26] 삼국 시대 무렵, 소륵국은 정중국, 사거국, 갈석국, 거사국, 서야국, 의내국, 만려국, 억약국, 유령국, 손독국, 휴수국, 금국 등의 나라들을 병합하고 있었다.

2. 4. [[북위|북조]] 시대

소륵국은 이미 불교를 신봉하고 있었으며, 문제 말년에 소륵왕이 북위에 사신을 보내 길이 약 1.83m 정도의 석가모니 가사를 헌상했다. 문제는 불의(佛衣)이므로 영험함을 보이려고 이것을 맹렬한 불길 위에 놓고 태우려 했다. 그러나 며칠이 지나도 타지 않자(아마도 화환포로 짠 가사였기 때문), 두려워하지 않는 자가 없었다고 한다. 문제는 북위의 역대 황제 중에서 처음으로 불교를 용인한 독실한 불교도였기 때문에, 이 가사를 사용하여 부처의 영험함을 보이고, 사람들을 외경하게 만드는 도구로 삼았다.

서위 폐제 2년(553년), 돌궐의 목한 카간이 유연을 멸망시키고 대제국을 건설하자, 소륵국은 돌궐의 지배하에 들어가 매년 돌궐에 연공을 바치게 된다.

2. 5. [[수나라|수]] · [[당나라|당]] 시대

5세기에 소륵국은 돌궐의 조공국이 되었다. 630년, 돌궐이 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자 소륵국은 돌궐로부터 독립하였다.[26][3] 632년, 당의 오아시스 국가 정복 당시 당의 속국이 되었다.[27][4] 일부에서는 소륵국은 당의 조공국이 되었고 당은 느슨한 종주권을 소유하는데 그쳤다고 한다.[28][29][30][5][6][7]

당에게 정복된 이후, 약 640년에서 790년 사이 소륵국은 당의 안서대도호부의 일부가 되었다.[31][8] 649년에서 670년 사이, 소륵은 구자, 호탄, 카라샤르와 함께 안서사진 중 하나가 되었고, 670년 이후에는 4진 가운데 우전 대신 비사(毗沙)로 교체되었지만, 소륵은 4진의 지위를 유지하였다.[32][9]

670년, 소륵은 토번에게 정복되었다. 673년, 소륵은 스스로 당의 속국임을 선포했지만,[33][10] 692년에야 당은 소륵을 재차 정복하였다.[34][11]

715년 쿠타이바 이븐 무슬림이 소륵국을 공격하였다고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35][36][12][13]

신장의 이슬람화와 투르크화 시기에, 카라한 왕조의 무슬림 투르크인들은 소륵국을 흡수하였다. 마흐무드 알 카슈가리에 의하면, 소륵국 인근에 칸차크어나 소그드어와 같은 투르크어가 아닌 언어들이 일부에서 여전히 사용되었다고 한다.[37][14] 칸차크어는 사카어에 속한다고 본다.[38][39][15][16] 11세기 말 이전 타림 분지는 언어상 투르크어화되었다.[40][17]

수나라 대업 연간(605년 - 618년)에, 소륵국 왕은 수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했다.

당나라 정관 연간(627년 - 649년)에, 서돌궐카간은 딸을 소륵국 왕에게 시집보냈다.

정관 9년(635년), 소륵국은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명마를 헌상했다.

정관 22년(648년), 태종안서도호부를 귀자성으로 옮기고, 곽효각을 안서도호로 임명하여 우전·소륵·수엽을 통솔하게 하여, 이를 '사진'이라고 칭했다.

정관 23년(649년) 2월, 서돌궐의 을비사궤가한 (재위: 641년 - 651년)이 당나라에 구혼해 왔으므로, 태종은 이를 허락하고 조령으로 귀자·우전·소륵·주구파·총령의 5국을 분할하여 빙례(결납품)로 삼았다.

서돌궐의 아사나미사와 아사나보진은 인심을 얻지 못하고, 부하들에게 원망을 사서, 마침내 사결도만이 소륵·주구파·갈반타의 3국을 이끌고 반란을 일으켜 우전국을 격파했다. 고종은 조칙으로 좌효위대장군 소정방에게 이를 토벌하게 했고, 사결도만의 병사는 마두천에서 보존되었다. 현경 5년(660년), 소정방은 이를 격파하여 항복시켰다.

개원 16년(728년), 현종은 사신을 보내, 정식으로 소륵국 왕을 소륵국 왕으로 책봉했다.

천보 12재(753년), 소륵국 왕이 당나라에 입조했고, 현종은 절충도위를 수여하고, 자포·금어를 하사했다.

이후, 토번·당나라·회흘과 지배자가 교체되었고, 10세기 후반에는 튀르크계 이슬람 왕조인 카라한 왕조에 정복되어, 불교 왕국이었던 소륵은 이슬람교로 개종하게 되었다.

3. 경제

북부 실크로드에 위치했기 때문에 소륵은 대부분 옥문관파미르고원을 통해 교역하였다.[41][42]

소륵국 수도 카슈가르(Kashgar)


카슈가르를 관통하는 북부 실크로드는 카슈가르에서 악수(Aksu), 쿠차(Kucha), 코를라(Korla)를 거쳐 철문관을 지나 카라샤르(Karasahr), 교하(交河), 투르판(Turpan), 고창(高昌), 쿠물(Kumul)을 경유하여 안서(安西)로 들어가는 타림분지 북부 경로와, 카슈가르에서 야르칸트, 카르갈릭(Karghalik), 피산(皮山), 호탄(和田, Khotan), 케리야(Keriya), 니야(Niya), 카르칸(Qarqan), 카르킬릭(Qarkilik), 미란(Miran), 돈황(敦煌)을 거쳐 안서로 가는 타림분지 남부 경로로 나뉘었다.[43]

4. 문화

소륵국은 다른 오아시스 도시 국가와 마찬가지로 농경 민족이며, 옛날에는 인도유럽어족 계통의 코카소이드 사람들이 살았다. 농업이 성행하고, 꽃과 과일이 번성했다. 가는 전(氈, 펠트)이나 갈색 털실을 생산하고, 가는 면(綿)이나 융단을 능숙하게 짰다. 그 외에도 벼, 조, 삼, 밀, 구리, 철, 주석, 석웅황, 비단, 면화를 생산했다. 기후는 온화하고, 바람과 비가 순조로웠다.

사람들의 성격은 난폭하고, 거짓말을 많이 하며, 예의가 없고 학문과 예술은 평범한 수준이었다. 아이를 낳으면 머리를 눌러 납작하게 만드는 풍속이 있었다. 용모는 비천하고, 문신을 하고 푸른 눈을 가진 사람들이었다.

사용하는 문자는 인도의 영향을 받아 만들었으며(카로슈티 문자브라흐미 문자), 생략과 변형은 있었지만, 인도 양식의 필법을 잘 보존하고 있었다. 언어의 어휘와 음조는 다른 나라들과 달랐다.

소륵국은 옛날부터 불교를 독실하게 믿어, 복을 짓고 이익을 구하는 행위에 정진했다. 가람은 수백 곳, 승려는 1만여 명으로, 소승 불교의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를 학습했다. 그들은 교리 연구보다는 경전 문구를 암송하는 데 치중했다. 그러므로 경(經)·율(律)·논(論)의 삼장과 비바사(毗婆沙, 광해)를 완전히 암송하는 자가 많았다.

사람들은 손발가락이 모두 여섯 개였고, 아이가 여섯 손가락이 아니면 키우지 않았다.

5. 유전학

사카 슐레는 주로 Q1a 계통의 부계 혈통을 보였으며, R1a와 N1a도 존재했다.[21] 모계 하플로그룹 중에는 H14a, H13a, U2e, U5a, M3a, D4j, C4a가 있었다.[22]

유전적으로, 사카 슐레는 안드로노보/신타샤 문화아파나시에보 문화와 관련된 스텝 유목민의 후손으로 보이지만, BMAC, 바이칼 HG 및 현지 타림 미라와 같은 다른 집단의 상당한 기여를 받았다. 철기 시대에 이 지역은 중앙 아시아 사카로부터 유전적 흐름을 받았다. 또한 황하 농경인과 AASI의 작은 기여도 있다.[23]

사카 슐레의 상염색체 DNA. 동부 사냥 채집인/고대 북유라시아인(EHG/ANE), 코카서스 사냥 채집인/이란 신석기 농부(CHG/INF), 아나톨리아 신석기, 동아시아 사냥 채집인(ANA), 황하 신석기 농부 (YRNF), 고대 조상 남인도인(AASI) 및 고대 고시베리아인(APS)


사카 슐레의 상염색체 DNA. 아파나시에보 문화, BMAC, 타림 미라, 바이칼 HG 및 중앙 사카
]

6. 군주

이름재위 기간
성(成)70년
두제(兜題)72년
충(忠)74년
성대(成大)84년
안국(安國)116년
유복(遺腹)125년
신반(臣磐)127년
화득(和得)168년
아미궐(阿彌厥)605년
배작(裴綽)618년
배아마지(裴阿摩支)627년
배이건(裴夷健)698년
배안정(裴安定)728년
배국량(裴國良)753년
배랭랭(裴冷冷)784년–789년?
장군 노양(魯陽)789년


참조

[1] 문서 Millward 2007:23
[2] 서적 The Spread of Buddhism Koninklijke Brill
[3] 서적 The Silk Road Encyclopedia Seoul Selection 2016-07-18
[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3: Sui and T'ang China, 589–906, Part I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문서 Whitfield 2004, p. 47
[6] 문서 Twitchett 2000, pp. 116–118
[7] 문서 Wechsler 1979, pp. 226–228
[8] 서적 Eurasian Crossroads: A History of Xinjiang Columbia University Press
[9] 문서 Xue, p. 596-598
[10] 문서 Wechsler 1979, p. 226
[11] 문서 Beckwith, 36, 146
[12] 서적 Xinjiang and the Expansion of Chinese Communist Power: Kashgar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8-01
[13] 서적 Islam in China: A Neglected Problem https://archive.org/[...] Morgan & Scott, Limited
[14] 서적 Islamic Central Asia: An Anthology of Historical Sources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5]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The crossroads of civilizations, A.D. 250 to 750 https://books.google[...] UNESCO 1996-01-01
[16]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The crossroads of civilizations: A.D. 250 to 750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999-01
[17] 서적 Cultural Change & Continuity In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0-28
[18] 문서 The Silk Road From Xi’an to Kashgar Odyssey Publications
[19] 웹사이트 "Silk Road, North China" http://www.megalithi[...] Megalithic.co.uk 2009-08-10
[20] 웹사이트 Silk Road Trade Routes http://depts.washing[...] University of Washington 2007-08-25
[21] 간행물 Bronze and Iron Age population movements underlie Xinjiang population history https://doi.org/10.1[...] 2022
[22] 간행물 Bronze and Iron Age population movements underlie Xinjiang population history https://doi.org/10.1[...] 2022
[23] 간행물 Bronze and Iron Age population movements underlie Xinjiang population history https://doi.org/10.1[...] 2022
[24] 문서 Millward 2007:23
[25] 서적 The Spread of Buddhism Koninklijke Brill
[26] 서적 The Silk Road Encyclopedia Seoul Selection 2016-07-18
[2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3: Sui and T'ang China, 589–906, Part 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문서 Whitfield 2004, p. 47
[29] 문서 Twitchett 2000, pp. 116–118
[30] 문서 Wechsler 1979, pp. 226–228
[31] 서적 Eurasian Crossroads: A History of Xinjiang Columbia University Press
[32] 문서 Xue, p. 596-598
[33] 문서 Wechsler 1979, p. 226
[34] 문서 Beckwith, 36, 146
[35] 서적 Xinjiang and the Expansion of Chinese Communist Power: Kashgar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8-01
[36] 서적 Islam in China: A Neglected Problem https://archive.org/[...] Morgan & Scott, Limited
[37] 서적 Islamic Central Asia: An Anthology of Historical Sources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38]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The crossroads of civilizations, A.D. 250 to 750 https://books.google[...] UNESCO 1996-01-01
[39]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The crossroads of civilizations: A.D. 250 to 750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999-01
[40] 서적 Cultural Change & Continuity I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0-28
[41] 서적 The Silk Road From Xi’an to Kashgar Odyssey Publications 2004
[42] 웹인용 "Silk Road, North China" http://www.megalithi[...] Megalithic.co.uk 2009-08-10
[43] 웹인용 Silk Road Trade Routes http://depts.washing[...] University of Washington 2007-08-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