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브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라브학은 슬라브 민족의 언어, 문학, 문화, 역사 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18세기 말 낭만적 민족주의와 범슬라브주의 운동의 영향으로 등장했다. 동슬라브학, 남슬라브학, 서슬라브학으로 나뉘며, 각 지역의 언어, 문학, 역사 등을 세분화하여 연구한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슬라브어족의 기원과 발전, 개별 슬라브 언어의 특징 비교 등이 있으며, 언어학, 문학, 문화, 역사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한다. 슬라브학 연구는 전 세계 여러 대학과 연구 기관에서 이루어지며, 학술지 발간 및 학회 활동도 활발하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 이후 러시아 및 동유럽 국가들과의 교류 증가로 연구가 본격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학 - 유럽화
유럽화는 정치학에서 정치 및 경제 역학 관계가 국가 정치와 정책 수립에 영향을 미치는 점진적인 과정으로, 하향식, 상향식, 수평적 관점으로 나뉘어 유럽 연합의 영향, 국가의 정책 영향력, 회원국 간 정책 이전 등을 설명하며, 미래에 대해서는 다양한 관점에서 논쟁이 있다. - 인도유럽학 - 아리아 인종
아리아인은 본래 인도이란인들이 자신을 지칭하던 "고귀한"의 의미를 지닌 민족문화적 용어였으나, 19세기 인종주의적 의미로 변질되어 북유럽 인종을 지칭하기도 했으며, 현대 학계에서는 인도유럽어족의 특정 분파를 지칭하는 원래의 의미로 사용된다. - 유럽 민속 - 균륜
균륜은 곰팡이의 균사체가 원형 또는 고리 모양으로 자라면서 형성되는 현상으로, 중심부 영양분 고갈 시 바깥쪽으로 확장하며 주변 식물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유럽에서는 초자연적 기원과 관련된 민담의 소재가 되기도 한다. - 유럽 민속 - 전갈과 개구리
전갈과 개구리 이야기는 헤엄칠 수 없는 전갈이 개구리를 쏘아 함께 죽을 위험을 감수하면서도 강을 건너게 해달라고 부탁하지만, 결국 자신의 본성 때문에 개구리를 쏘게 된다는 우화로, 악한 본성을 가진 존재는 자신의 이익에 반하더라도 타인을 해치려는 본능을 억누르지 못한다는 교훈을 주며, 인간 행동에 대한 성향론적 관점을 제시하고, 레프 니토부르그의 소설에서 처음 언급되어 오슨 웰스의 영화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슬라브학 | |
---|---|
학문 분야 | |
분야 | 지역학, 인문학 |
연구 대상 | 슬라브족, 슬라브 문화, 슬라브어 |
관련 학문 | 언어학, 민족학, 역사학, 문학, 문화 연구 |
주요 연구 지역 | 동유럽, 중유럽, 발칸 반도, 러시아, 중앙아시아 |
역사 | |
기원 | 19세기 초 |
주요 학자 | 요제프 도브로프스키, 예르네이 코피타르, 파벨 요제프 샤파리크, 프란티셰크 팔라츠키, 바츨라프 한카, 즈비아잘스키 이즈마일로비치 스레즈네프스키 |
특징 | |
학문적 접근 방식 | 문헌학, 언어학, 역사학, 민족학, 문화 연구 |
주요 목표 | 슬라브 문화와 역사의 이해, 슬라브어 연구, 슬라브 민족 간의 교류 증진 |
하위 분야 | |
언어학 | 슬라브어 연구 (문법, 어휘, 역사) |
문학 | 슬라브 문학 작품 연구 및 분석 |
역사 | 슬라브 민족의 역사 연구 |
민족학 | 슬라브 민족의 문화, 풍습, 생활 방식 연구 |
문화 연구 | 슬라브 문화의 다양한 측면 연구 (예: 예술, 음악, 종교) |
주요 학술 기관 | |
러시아 |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 대학교,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
폴란드 | 폴란드 과학 아카데미, 야기에우워 대학교, 바르샤바 대학교 |
체코 | 체코 과학 아카데미, 카렐 대학교 |
중요성 | |
학문적 중요성 | 슬라브 문화와 역사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 제공, 슬라브 민족 간의 문화 교류 증진 |
사회적 중요성 | 슬라브 지역의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 다문화 사회의 이해 증진 |
2. 역사
슬라브학은 18세기 말과 19세기 초, 여러 슬라브 민족들 사이에서 낭만적 민족주의가 나타나고 범슬라브주의 운동으로 대표되는 슬라브 공동체 의식을 확립하려는 움직임과 함께 발전했다.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한 학자 중 한 명은 요세프 도브로프스키 (1753–1829)였다.[1]
슬라브학의 역사는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 1876년까지: 초기 슬라브학자들은 슬라브어 문서를 기록하고 인쇄하는 데 집중했으며, 여기에는 각 민족어로 쓰인 최초의 텍스트가 포함되었다. 이 시기에 대부분의 슬라브어는 최초의 현대적 사전, 문법, 개요를 갖추게 되었다.[1]
-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슬라브 언어학과 문헌학이 급속도로 발전했으며, 특히 슬라브 국가 외부, 아우구스트 슐라이허 (1821–1868)와 아우구스트 레스키엔 (1840–1916)을 중심으로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형성된 학문 그룹에서 두드러졌다. 이 시기에는 방언학에 집중했다.[1]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 세계 여러 대학에 슬라브학 연구 센터가 설립되었고, 다른 인문학 및 사회 과학 분야로 확장되었다. 이러한 발전은 냉전으로 인해 서유럽과 북미에서 발생한 정치적 우려에 부분적으로 기인했다. 1990년대까지 슬라브학은 번성했지만, 그 이후 슬라브어를 배우는 대학생 수는 감소했다.[3]
2. 1. 형성기 (18세기 말 ~ 19세기 초)
18세기 말, 슬라브 민족들 사이에서 낭만적 민족주의가 대두되면서 슬라브학이 태동했다. 요세프 도브로프스키 (1753–1829) 등 초기 슬라브학자들은 슬라브어 문헌을 기록하고 정리하는 데 힘썼다.[1] 이 시기에는 대부분의 슬라브어가 최초의 현대적 사전, 문법, 개요를 갖추게 되었다.[1] 범슬라브주의 운동은 슬라브 민족 간의 연대 의식을 고취하며 슬라브학 발전에 기여했다.[1]2. 2. 발전기 (19세기 중반 ~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19세기 중반부터 슬라브 언어학 및 문헌학이 급속도로 발전했다. 특히 아우구스트 슐라이허와 아우구스트 레스키엔을 중심으로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형성된 학문적 그룹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1] 이 시기에 슬라브 학자들은 방언학에 집중했다.[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슬라브학은 방언학에 초점을 맞췄지만, 과학은 슬라브 인구가 많은 국가에서 계속 발전했다.[3]2. 3. 확장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 현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 세계 여러 대학에 슬라브학 연구 센터가 설립되면서 슬라브학은 다른 인문학 및 사회 과학 분야로 훨씬 더 광범위하게 확장되었다.[3] 이러한 발전은 냉전으로 인해 서유럽과 북미에서 발생한 정치적 우려에 부분적으로 기인했다.[3] 슬라브학은 제2차 세계 대전부터 1990년대까지 번성했지만, 그 이후 슬라브 언어를 배우는 대학생 수는 감소했다.[3]3. 하위 분야
슬라브학은 슬라브족을 동슬라브족, 남슬라브족, 서슬라브족의 세 하위 그룹으로 전통적으로 나누는 것에 따라 세 개의 하위 분야로 나뉜다.
- 동슬라브학
- 남슬라브학
- 서슬라브학
3. 1. 동슬라브학
동슬라브족과 그들의 언어, 문학, 기타 문화 및 역사 유산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동슬라브학의 주요 하위 분야는 다음과 같다.- 벨라루스학
- 러시아학
- 루신학
- 우크라이나학
3. 2. 남슬라브학
남슬라브족(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슬로베니아,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의 언어, 문학, 역사, 문화를 연구한다. 주요 하위 분야는 다음과 같다.- 보스니아학(Bosniacistica)
- 불가리아학(Bulgaristica)
- 크로아티아학(Croatistica)
- 마케도니아학(Macedonistica)
- 몬테네그로학(Montenegristica)
- 세르비아학(Serbistica)
- 슬로베니아학(Slovenistica)
- 유고슬라비아학(Iugoslavistica)
3. 3. 서슬라브학
서슬라브족은 폴란드인, 체코인, 슬로바키아인, 소르브인을 포함하며, 이들의 언어, 문학, 역사, 문화를 연구하는 학문이 서슬라브학이다. 서슬라브학의 주요 하위 분야는 다음과 같다.4. 주요 연구 분야 및 대상
슬라브학은 슬라브족을 동슬라브족, 남슬라브족, 서슬라브족으로 나누어 연구하며, 각 분과는 해당 민족의 언어, 문학, 문화, 역사 유산을 연구한다.
- 동슬라브학: 벨라루스학, 러시아학, 루신어 연구, 우크라이나학
- 남슬라브학: 보스니아학, 불가리아학, 크로아티아학, 마케도니아학, 몬테네그로학, 세르비아학, 슬로베니아학, 유고슬라비아학
- 서슬라브학: 체코학, 카슈브어 연구, 폴란드학, 슬로바키아학, 소르브어 연구
슬라브학은 슬라브 국가 외에도 세르보크로아트어, 상 소르브어, 하 소르브어, 카슈브어, 폴라브어, 루신어, 고대 교회 슬라브어 등 다양한 언어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4. 1. 언어
로버트 D. 그린버그(Robert D. Greenberg)의 2004년 저서 《발칸 반도의 언어와 정체성: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그 해체》(Language and Identity in the Balkans: Serbo-Croatian and its Disintegration)는 슬라브어족의 기원과 발전 과정, 그리고 개별 슬라브 언어들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를 담고 있다.[1] 이 책은 뉴욕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사에서 출간되었으며, ISBN은 978-0-19-151455-5이다.[1]4. 2. 역사
슬라브학은 슬라브 민족의 기원과 이동, 국가 형성, 정치적 사건, 사회 변화 등을 연구한다.Language and Identity in the Balkans: Serbo-Croatian and its Disintegration영어는 2004년 뉴욕에서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간되었으며 ISBN은 978-0-19-151455-5이다.[1]
4. 3. 국가별 연구 분야
국가 | 연구 분야 |
---|---|
벨라루스 | 언어, 문학, 문화, 역사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언어, 문학, 문화, 역사 |
불가리아 | 언어, 문학, 문화, 역사 |
크로아티아 | 언어, 문학, 문화, 역사 |
체코 | 언어, 문학, 문화, 역사 |
북마케도니아 | 언어, 문학, 문화, 역사 |
몬테네그로 | 언어, 문학, 문화, 역사 |
폴란드 | 폴란드어, 카슈브어, 실레지아어 (언어/방언), 폴란드 문학, 카슈브 문학 (문학), 문화, 역사 |
러시아 | 언어, 문학, 문화, 역사 |
세르비아 | 언어, 문학, 문화, 국가 및 민족 (역사) |
슬로바키아 | 언어, 문학, 문화, 역사 |
슬로베니아 | 언어, 문학, 문화, 역사 |
우크라이나 | 언어, 문학, 문화, 역사 |
기타 언어 | 세르보크로아트어, 상 소르브어, 하 소르브어, 카슈브어, 폴라브어, 루신어, 고대 교회 슬라브어 |
5. 주요 학자
슬라브학 연구는 18세기 말 낭만적 민족주의와 범슬라브주의 운동과 함께 시작되었다. 요세프 도브로프스키가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한 학자 중 한 명이다.[1] 초기 슬라브학자들은 슬라브 언어의 기념비적인 문서를 기록하고 인쇄하는 데 집중했으며, 대부분의 슬라브 언어는 최초의 현대적 사전, 문법 및 개요를 갖게 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슬라브학 연구 센터가 전 세계 여러 대학에 설립되면서 인문학 및 사회 과학 분야로 확장되었다.[1]
슬라브학 발전에 기여한 주요 학자들은 다음과 같다. (표에 없는 학자들은 출신 국가, 출생년도-사망년도 정보 부족)
이름 | 출신 국가 | 출생년도-사망년도 |
---|---|---|
미하일로 막시모비치 | 우크라이나 | 1804–1873 |
이즈마일 스레즈네프스키 | 러시아 | 1812–1880 |
표도르 부슬라예프 | 러시아 | 1818–1898 |
주로 다니치치 | 세르비아 | 1825–1882 |
안톤 야네지치 | 슬로베니아 | 1828–1869 |
알렉산드르 포테브냐 | 우크라이나 | 1835–1891 |
필리프 포르투나토프 | 러시아 | 1848–1914 |
마티야 무르코 | 슬로베니아 | 1861–1952 |
류보미르 밀레티치 | 불가리아/마케도니아 | 1863–1937 |
알렉세이 샥마토프 | 러시아 | 1864–1920 |
앙투안 메예 | 프랑스 | 1866–1936 |
홀게르 페데르센 | 덴마크 | 1867–1953 |
Покровский, Михаил Михайлович|Mikhail Pokrovskyru | 러시아 | 1869–1942 |
Josip Tominšek|lt=Josip Tominšeksl | 슬로베니아 | 1872–1954 |
크르스테 미시르코프 | 마케도니아/불가리아/러시아 | 1874–1926 |
알렉산다르 벨리치 | 세르비아 | 1876–1960 |
André Mazon|lt=André Mazon프랑스어 | 프랑스 | 1881–1967 |
막스 바스머 | 러시아 | 1886–1962 |
앙드레 바용 | 프랑스 | 1890–1977 |
타데우슈 레르-스플라빈스키 | 폴란드 | 1891–1965 |
드미트로 치제프스키 | 우크라이나 | 1894–1977 |
로만 야콥슨 | 러시아 | 1896–1982 |
Josef Matl|lt=Josef Matlde | 오스트리아 | 1897–1974 |
즈지스와프 스티에베르 | 폴란드 | 1903–1980 |
드미트리 리하초프 | 러시아 | 1906–1999 |
조지 셰벨로프 | 우크라이나 | 1908–2002 |
야로슬라프 루드니츠키 | 갈리시아 | 1910–1995 |
스토이코 스토이코프 | 불가리아 | 1912–1969 |
존 시먼 가브리엘 시먼스 | 영국 | 1915–2005 |
호레이스 G. 런트 | 미국 | 1918–2010 |
이자벨 드 마다리아가 | 영국 | 1919–2014 |
에드워드 스탄키에비츠 | 폴란드/미국 | 1920–2013 |
카렐 판 헷 레베 | 네덜란드 | 1921–1999 |
블라제 코네스키 | 북마케도니아 | 1921–1993 |
유리 로트만 | 소련/에스토니아 | 1922–1993 |
니콜라스 V. 리아자노프스키 | 러시아계 미국인 | 1923–2011 |
즈비그니에프 골롬프 | 폴란드 | 1923–1994 |
알렉산더 M. 쉔커 | 미국 | 1924–2019 |
파블레 이비치 | 세르비아 | 1924–1999 |
헨리크 비른바움 | 폴란드/미국 | 1925–2002 |
볼프강 카사크 | 독일 | 1927–2003 |
Leszek Moszyński|lt=Leszek Moszyńskipl | 폴란드 | 1928–2006 |
조에 하우포바 | 체코 | 1929–2012 |
블라디미르 디보 | 러시아 | 1930–2023 |
라도슬라브 카티치치 | 크로아티아 | 1930–2019 |
블라제 리스토브스키 | 북마케도니아 | 1931–2018 |
찰스 E. 타운센드 | 미국 | 1932–2015 |
블라디슬라프 일리치-스비티치 | 러시아 | 1934–1966 |
이반 도로프스키 | 체코 | 1935–2021 |
안드레이 잘리즈냑 | 러시아 | 1935–2017 |
찰스 E. 그리블 | 미국 | 1936–2016 |
케네스 네일러 | 미국 | 1937–1992 |
보리스 우스펜스키 | 러시아 | 1937–2005 |
토머스 쇼브 노넌 | 미국 | 1938–2001 |
Wiesław Boryś|lt=Wiesław Boryśpl | 폴란드 | 1939–2021 |
샤르카 B. 흐르브코바 | 체코계 미국인 | 1878–1948 |
현대 슬라브학 연구에 기여한 주요 학자들은 하위 섹션인 === 현대 학자 === 에 이미 자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5. 1. 역사적 인물
이름 | 출신 국가 | 출생년도-사망년도 |
---|---|---|
요한 크리스토프 요르단 | ||
요제프 도브로프스키 | 보헤미아 | 1753–1829 |
예르네이 코피타르 | 슬로베니아 | 1780–1840 |
알렉산드르 보스토코프 | 러시아 | 1781–1864 |
부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 | 세르비아 | 1787–1864 |
파벨 요제프 샤파리크 | 슬로바키아 | 1795–1861 |
프란츠 미클로시치 | 슬로베니아 | 1813–1891 |
아우구스트 슐라이허 | 독일 | 1821–1868 |
바트로슬라브 야기치 | 크로아티아 | 1838–1923 |
아우구스트 레스키엔 | 독일 | 1840–1916 |
얀 니체스와프 보두앵 드 쿠르트네 | 폴란드 | 1845–1929 |
알렉산데르 브뤼크너 | 갈리시아 | 1856–1939 |
5. 2. 현대 학자
현대 슬라브학 연구에 기여한 주요 학자로는 어윈 웨일, 주자나 토폴린스카, 스테판 브레진스키, 브란코 미카시노비치, 마리오 카팔도, 프레데릭 코르트란트, 빅터 프리드먼 등이 있다.6. 연구 기관 및 학회
슬라브학 연구는 전 세계 여러 학술 기관과 대학교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슬라브학 관련 주요 학회는 다음과 같다.
- 미국 슬라브 및 동유럽 언어 교사 협회(AATSEEL)
- 슬라브, 동유럽 및 유라시아 연구 협회(ASEEES)
- 미국 러시아어 교사 협의회(ACTR)
6. 1. 국외
; 학술 기관기관명 | 위치 |
---|---|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슬라브학 연구소 | 러시아 모스크바 |
슬로바키아 과학 아카데미 얀 스타니슬라프 슬라브학 연구소 |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
폴란드 과학 아카데미 슬라브학 연구소 | 폴란드 바르샤바 |
체코 과학 아카데미 슬라브 연구소 | 체코 프라하 |
; 대학교
대학교 | 학과/연구소 | 위치 |
---|---|---|
바르샤바 대학교 | 서부 및 남부 슬라브 연구소 | 폴란드 |
실롱스크 대학교 | 슬라브어 문헌학 연구소 | 폴란드 |
야기엘론 대학교 | 슬라브 연구소 | 폴란드 |
아담 미츠키에비츠 대학교 | 슬라브어 문헌학 연구소 | 폴란드 |
브로츠와프 대학교 | 슬라브학 연구소 | 폴란드 |
포즈난 아담 미츠키에비츠 대학교 | 슬라브어 문헌학 연구소 | 폴란드 |
리비우 대학교 | 슬라브학 연구소 | 우크라이나 |
타르투 대학교 | 슬라브어 문헌학부 | 에스토니아 |
베오그라드 대학교 | 슬라브어 문헌학부 | 세르비아 |
노비사드 대학교 | 슬라브학부 | 세르비아 |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 | 러시아 및 슬라브 연구 학부 | 아일랜드 |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 UCL 슬라브 및 동유럽 연구 학교 | 영국 |
노팅엄 대학교 | 러시아 및 슬라브 연구 학부 | 영국 |
정치 대학교 | 슬라브어 및 문학부 | 대만 |
예일 대학교 | 슬라브어 및 문학부 | 미국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슬라브, 동유럽 및 유라시아 연구소 | 미국 |
하버드 대학교 | 슬라브어 및 문학부 | 미국 |
스탠퍼드 대학교 | 슬라브어 및 문학부 | 미국 |
바너드 칼리지 | 슬라브어 학과 | 미국 |
프린스턴 대학교 | 슬라브어 및 문학부 | 미국 |
브라운 대학교 | 슬라브학부 | 미국 |
컬럼비아 대학교 | 슬라브어 학과 | 미국 |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 독일, 북유럽 및 슬라브어 학과 | 미국 |
노스웨스턴 대학교 | 슬라브어 및 문학부 | 미국 |
워싱턴 대학교 | 슬라브어 및 문학부 | 미국 |
버지니아 대학교 | 슬라브어 및 문학부 | 미국 |
피츠버그 대학교 | 슬라브어 및 문학부 | 미국 |
애리조나 대학교 | 러시아 및 슬라브 연구 학과 | 미국 |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 슬라브 및 유라시아 연구 학과 | 미국 |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 슬라브어 및 문학부 | 미국 |
듀크 대학교 | 슬라브 및 유라시아 연구 학과 | 미국 |
조지타운 대학교 | 슬라브어 학과 | 미국 |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 슬라브어 및 문학부 | 미국 |
토론토 대학교 | 슬라브어 및 문학부 | 캐나다 |
빅토리아 대학교 | 게르만 및 슬라브 연구 학과 | 캐나다 |
워털루 대학교 | 게르만 및 슬라브 연구 학과 | 캐나다 |
파리 8 대학교 | 슬라브 연구 학과 | 프랑스 |
빈 대학교 | 슬라브학 연구소 | 오스트리아 |
그라츠 대학교 | 슬라브학 연구소 | 오스트리아 |
잘츠부르크 대학교 | 슬라브 연구 학과 | 오스트리아 |
델리 대학교 | 슬라브 및 핀-우그리아 연구 학과 | 인도 |
코메니우스 대학교 | 슬라브 연구 학과 | 슬로바키아 |
아테네 대학교 | 러시아 언어 및 문학 및 슬라브 연구 학과 | 그리스 |
류블랴나 대학교 | 슬라브학부 | 슬로베니아 |
마리보르 대학교 | 슬라브어 및 문학부 | 슬로베니아 |
올로모우츠 대학교 | 슬라브 연구 학과 | 체코 |
마사리크 대학교 | 슬라브 연구 학과 | 체코 |
오스트라바 대학교 | 슬라브 연구 학과 | 체코 |
플로브디프 대학교 "파이시 힐렌다르스키" | 슬라브 연구 학과 | 불가리아 |
소피아 대학교 | 슬라브 연구 학과 | 불가리아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 슬라브 연구소 | 독일 |
기센 유스투스 리비히 대학교 | 슬라브 연구소 | 독일 |
킬 대학교 | 슬라브 연구소 | 독일 |
마인츠 대학교 | 슬라브 연구소 | 독일 |
레겐스부르크 대학교 | 슬라브 연구소 | 독일 |
뮌스터 베스트팔렌 빌헬름 대학교 | 슬라브 연구소 | 독일 |
함부르크 대학교 | 슬라브 연구소 | 독일 |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 | 슬라브 연구소 | 독일 |
밤베르크 오토-프리드리히 대학교 | 슬라브 연구소 | 독일 |
드레스덴 공과대학교 | 슬라브학 연구소 | 독일 |
포츠담 대학교 | 슬라브학 연구소 | 독일 |
훔볼트 대학교 | 슬라브 연구소 | 독일 |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 | 슬라브 언어 및 문학 연구소 | 독일 |
올덴부르크 대학교 | 슬라브 연구소 | 독일 |
앙카라 대학교 | 슬라브어 및 문학 학과 | 터키 |
트빌리시 국립 대학교 | 슬라브 연구소 | 조지아 |
부쿠레슈티 대학교 | 러시아 및 슬라브 문헌학부 | 루마니아 |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 | 러시아 및 슬라브 연구 학과 | 이스라엘 |
페치 대학교 | 슬라브 연구소 | 헝가리 |
외트뵈시 로란드 대학교 | 슬라브 및 발트 문헌학 연구소 | 헝가리 |
세게드 대학교 | 슬라브 문헌학 연구소 | 헝가리 |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 중세 슬라브 연구 자원 센터 | 미국 |
시카고 대학교 | 슬라브어 학과 | 미국 |
리우데자네이루 연방 대학교 | 슬라브어 연구 센터 | 브라질 |
중앙 서부 주립 대학교 | 슬라브어 연구 센터 | 브라질 |
; 기타
기관명 | 위치 |
---|---|
구 슬라브어 연구소 |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
겐트 슬라브 및 동유럽 연구 센터 | 벨기에 겐트 |
7. 학술지
- 슬라브어 문헌 기록
- 캐나다 슬라브 논문 - 캐나다 슬라브학회 발행
- 러시아 리뷰
- 사르마티아 리뷰
- 슬라브 및 동유럽 저널 - 미국 슬라브 및 동유럽 언어 교사 협회 발행
- 슬라브 리뷰 - 미국 슬라브학 진흥 협회 발행
- 슬라브 및 일반 언어학 연구
- 슬라브 및 동유럽 리뷰
- 스칸도-슬라비카
- 비너 슬라브학 연감
8. 한국에서의 슬라브학
대한민국에서 슬라브학 연구는 주로 러시아와 동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정치, 경제, 역사,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북방 외교 정책 추진과 유라시아 경제 협력 강화 등의 필요성에 따라 슬라브 지역에 대한 연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슬라브학은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학문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Slavic but not Russian: Invisible and Mute
http://porownania.am[...]
2020-02-25
[2]
웹사이트
Gordey (2011): Morphonology in Belarusian lingvistics: The formation period, p. 142.
https://rep.vsu.by/b[...]
2021-08-26
[3]
서적
Kassianova (2002), p. 1001
https://in.booksc.eu[...]
[4]
저널
Slavic but not Russian: Invisible and Mute
http://porownania.am[...]
2020-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