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아프리카 국가들의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1957년 수단에서 처음 개최되었다. 이집트가 7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짝수 해에 2년에 한 번씩 개최되다가 2013년부터 홀수 해에 개최되었으나, 2023년 대회는 2024년에 개최되었다. 예선과 본선으로 진행되며, 본선에는 24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우승팀을 가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7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메르데카 국제축구대회
    메르데카 국제축구대회는 1957년 말레이시아 독립을 기념하여 시작되었으며, 말레이시아가 최다 우승, 대한민국이 그 뒤를 잇고, 1970년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2000년대 이후에는 대한민국이 참가하지 않는다.
  • 1957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는 국제 핸드볼 연맹 주관으로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팀들이 경쟁하는 국제 대회이며, 1957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루마니아가 유일하게 모든 대회에 참가했고, 소련이 최다 우승, 대한민국도 1995년에 우승한 기록이 있다.
  •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은 아프리카 축구 연맹 주관의 국가대항 축구 대회로, 자국 리그 선수만 참가 가능하며 아프리카 국내 리그 활성화와 자국 선수 국제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 아프리카 U-23 네이션스컵
    아프리카 U-23 네이션스컵은 아프리카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23세 이하 아프리카 국가대표팀 간의 축구 대회로, 올림픽 축구 아프리카 지역 예선을 겸하며, 2011년 아프리카 U-23 선수권 대회로 시작하여 2015년에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토탈에너지스가 후원하며 이집트와 모로코가 자국에서 우승한 경험이 있다.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199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9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튀니지에서 12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나이지리아가 잠비아를 꺾고 우승, 라시디 예키니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이집트에서 개최된 CAF 주최 국제 축구 대회로, 24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알제리가 우승을 차지했고 사디오 마네가 득점왕에 올랐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기본 정보
대회 이름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로마자 표기Africa Cup of Nations
프랑스어 표기Coupe d'Afrique des nations de football
조직CAF
지역아프리카
참가 팀 수 (본선)24
참가 팀 수 (예선)54 (참가 자격 있음)
현재 챔피언(3번째 우승)}}
최다 우승 팀(7회 우승)}}
웹사이트cafonline.com
현재 대회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대회 역사
시작1957년
2021년 대회2022년에 개최되었으나 스폰서십 이유로 2021년 명칭 유지
2023년 대회2024년에 개최되었으나 스폰서십 이유로 2023년 명칭 유지
대회 이동짝수 해에서 홀수 해로 변경
참가팀 확대16개 팀에서 24개 팀으로 확대
개최 시기 변경1월/2월에서 6월/7월로 변경
역대 대회
이전 대회 목록1957
1959
1962
1963
1965
1968
1970
1972
1974
1976
1978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2013
2015
2017
2019
2021
2023
2025
2027
2029

2. 역사

아프리카 국가 대표팀의 챔피언을 가리는 대회로, 기본적으로 2년에 한 번 개최되어 왔으며 현재 아프리카 국가들에게는 FIFA 월드컵 다음으로 중요한 대회로 여겨진다.

1957년 수단에서 첫 대회가 열렸으며,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인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제외된 3개국(이집트, 수단, 에티오피아)으로 시작했다. 1950년대 후반 아프리카 국가들의 독립으로 아프리카축구연맹(CAF) 회원국이 늘면서 1962년 대회부터 예선이 도입되었다. 본선 참가국 수는 점차 확대되어 1968년 8개국, 1992년 12개국, 1996년 16개국을 거쳐 2019년에는 24개국으로 늘어났다.

1968년 이후 짝수 해마다 열리던 대회는 FIFA 월드컵과의 일정 중복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2013년 대회부터 홀수 해 개최로 변경되었다. 다만, 제34회 코트디부아르 대회는 예외적으로 짝수 해인 2024년에 열렸다.[37]

2. 1. 초기 (1950년대 ~ 1960년대)

1957년 이집트의 주장 하나피 바스탄(Hanafy Bastan)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트로피를 들고 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시작은 1956년 6월,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열린 제3차 FIFA 총회에서 아프리카축구연맹(CAF) 창설이 제안되면서부터이다. 곧바로 대륙별 축구 대회 개최 계획이 세워졌고, 이듬해인 1957년 2월 수단의 수도 카르툼에서 제1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이 열렸다.[8]

첫 대회에는 별도의 예선 없이 CAF 창립 4개국인 이집트, 수단, 에티오피아,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참가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당시 인종차별 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를 시행하던 남아프리카 공화국백인 선수로만 팀을 구성하려 했고, 이는 CAF로부터 출전 자격 박탈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결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대회에 참가하지 못했고, 에티오피아는 부전승으로 결승에 진출했다.[8] 이로 인해 대회는 단 두 경기만 치러졌는데, 준결승에서 이집트가 개최국 수단을 2-1로 꺾었고, 결승전에서는 에티오피아를 4-0으로 대파하며 초대 챔피언에 등극했다.

2년 뒤인 1959년, 이집트카이로에서 제2회 대회가 열렸다. 참가국은 제1회 대회와 마찬가지로 이집트, 수단, 에티오피아 3개국이었다. 개최국이자 디펜딩 챔피언이었던 이집트는 결승전에서 수단을 2-1로 꺾고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특히 '아프리카의 해'로 불린 1960년을 기점으로 아프리카 대륙의 여러 나라가 식민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하면서 CAF 회원국 수가 크게 늘어났다. 이에 따라 1962년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제3회 대회부터는 참가국이 9개국으로 늘어났고, 처음으로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한 예선전이 도입되었다. 개최국 에티오피아와 전 대회 우승팀 이집트는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으며, 예선을 통과한 나이지리아튀니지가 합류하여 총 4팀이 본선에서 경쟁했다. 이집트는 3회 연속 결승에 진출했지만, 개최국 에티오피아가 연장전 접전 끝에 이집트를 꺾고 첫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1968년 에티오피아에서 열린 제6회 대회부터는 본선 참가국이 8개국으로 확대되었다.

2. 2. 1970년대 ~ 1980년대

1968년 대회부터는 8개 팀이 본선에 진출하여 4팀씩 2개 조로 나뉘어 리그전을 치르고, 각 조 상위 2팀이 준결승에 오르는 방식이 도입되었다. 이 방식은 1992년 대회까지 유지되었다. 또한, 1968년 대회부터 2012년 대회까지 2년마다 짝수 해에 대회가 정기적으로 열렸다.

1970년 수단 대회에서는 처음으로 TV 중계가 이루어졌으며,[9] 개최국 수단가나를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 코트디부아르의 공격수 로랑 포쿠는 1968년과 1970년 두 대회 연속 득점왕(각각 6골, 8골)에 올랐으며, 그가 기록한 통산 14골은 2008년까지 대회 최다 기록으로 남아 있었다.

1970년대에는 수단(1970), 콩고 공화국(1972), 자이르(1974), 모로코(1976), 가나(1978), 나이지리아(1980) 등 다양한 국가가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1974년 대회에서 자이르(현 콩고 민주 공화국)는 잠비아와의 결승전에서 대회 역사상 유일하게 재경기를 치른 끝에 두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첫 경기는 연장전 끝에 2-2 무승부였고, 이틀 뒤 열린 재경기에서 자이르가 2-0으로 승리했다. 자이르의 공격수 뮬람바 니다예는 이 두 결승 경기에서 팀의 네 골을 모두 기록했으며, 대회 총 9골로 득점왕에 올라 단일 대회 최다 득점 기록을 세웠다. 이는 현재까지 깨지지 않고 있다. 자이르는 이 대회 3개월 전에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국가 최초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 성공하기도 했다. 모로코1976년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고, 가나1978년 대회에서 대회 세 번째 우승을 달성하며 이 부문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1980년대에는 카메룬이 강세를 보였다. 카메룬은 1984년1988년에 우승했고, 1986년 대회에서는 이집트에게 승부차기 끝에 패해 준우승을 차지하며 3회 연속 결승 진출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알제리 역시 이 시기 강팀으로 부상했는데, 1982년 월드컵1986년 월드컵에서 인상적인 모습을 보였다. 알제리는 1980년 대회 결승에서 개최국 나이지리아에 패해 준우승했지만, 이후 1986년 대회를 제외하고 1980년대 모든 대회에서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마침내 1990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가나1982년 대회에서 개최국 리비아를 결승전 승부차기 끝에 꺾고 통산 네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2. 3. 1990년대 ~ 2000년대

199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제17회 대회로 알제리에서 열렸다. 이전 대회와 같이 8개 팀이 4팀씩 두 조로 나뉘어 경쟁했으며, 개최국 알제리가 결승에서 나이지리아를 1-0으로 꺾고 첫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나이지리아는 최근 네 번의 대회 중 세 번째 결승 진출이었으나 개최국 알제리에 패배했다.

199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부터는 본선 참가 팀이 12개 팀으로 늘어났다. 팀들은 3개 팀씩 4개 조로 나뉘었고, 각 조 상위 2개 팀이 8강에 진출하는 방식이었다. 이 대회에서는 가나미드필더 아베디 펠레가 3골을 넣으며 팀을 결승으로 이끌었고 대회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그는 결승전 경고 누적으로 출전하지 못했고, 가나는 코트디부아르와의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 이 승부차기는 양 팀이 각각 11번의 킥을 시도한 끝에야 승자가 결정되었다. 코트디부아르는 대회 6경기 동안 단 한 골도 실점하지 않으며 대회 신기록을 세웠다.

199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시 12개 팀, 3개 조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개최국 튀니지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사상 처음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했던 나이지리아가 결승에서 잠비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잠비아는 1년 전 비행기 사고로 대부분의 국가대표 선수를 잃는 비극을 겪은 뒤 재건된 팀으로 준우승을 차지했다. 1992년 대회 득점왕이었던 나이지리아의 공격수 라시디 예키니는 5골을 기록하며 다시 한번 득점왕에 올랐다.

남아프리카 공화국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을 개최하며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폐지 이후 처음으로 대회에 참가했다(1994년 대회는 예선 탈락). 이 대회부터 본선 참가국은 16개 팀(4팀 4개 조)으로 확대되었다. 하지만 나이지리아가 정치적인 이유로 대회 직전 기권하면서 실제로는 15개 팀이 참가했다.[11] 개최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결승에서 튀니지를 꺾고 홈에서 첫 우승의 감격을 누렸다.[12]

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부르키나파소에서 열렸으며, 이집트가 결승에서 전 대회 우승팀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꺾고 통산 네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본래 짐바브웨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가나나이지리아가 공동 개최하게 되었다. 결승전에서는 카메룬이 연장전까지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 끝에 공동 개최국 나이지리아를 꺾고 우승했다.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카메룬(''불굴의 사자들'')이 세네갈승부차기로 누르고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1960년대 가나, 1950년대 이집트에 이어 역대 세 번째 2연패 기록이었다. 세네갈은 2002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처음 진출한 해에 네이션스컵 결승까지 올랐으나 준우승에 머물렀다.

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튀니지에서 개최되었고, 개최국 튀니지가 결승에서 모로코를 2-1로 꺾고 사상 첫 우승을 차지했다. 반면, 2002년 대회 결승 진출팀이었던 카메룬과 세네갈은 모두 8강에서 탈락했다.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이집트에서 열렸으며, 개최국 이집트가 우승하며 통산 5번째 우승으로 아프리카 최다 우승 기록을 세웠다.

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을 앞두고 일부 유럽 클럽들은 대회 일정 변경을 요구했다. 유럽 리그 시즌 중에 대회가 열려 소속 선수들이 장기간 팀을 이탈해야 했기 때문이다.[13] 2008년 1월, FIFA 회장 제프 블라터는 국제 경기 일정과의 조화를 위해 2016년부터 대회를 6월이나 7월에 개최하는 방안을 제안했지만, 이 시기는 중앙 및 서아프리카 여러 국가들의 우기에 해당하여 현실적인 어려움이 지적되었다.[14] 가나에서 열린 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이집트가 결승에서 카메룬을 1-0으로 꺾고 통산 6번째 우승을 차지하며 자신들의 최다 우승 기록을 다시 한번 경신했다.[15]

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결승전에서 카메룬과 경기하는 이집트

2. 4. 2010년대 이후: 홀수 해 개최 및 참가국 확대

이집트앙골라에서 열린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가나를 1-0으로 꺾고 우승하며 대회 3연패라는 전례 없는 기록을 세웠다. 이 우승으로 이집트는 통산 7번째 우승컵을 들어 올렸고, 금도금 트로피를 영구 소유하게 되었다.[16] 또한 이집트는 멕시코, 아르헨티나, 이란에 이어 대륙 선수권 대회 3연패를 달성한 네 번째 국가가 되었으며, 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알제리에게 패한 이후 19경기 연속 무패 및 9연승이라는 기록도 세웠다.

코트디부아르 선수들이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후 기뻐하고 있다.


2010년 5월, 아프리카축구연맹(CAF)은 FIFA 월드컵과 같은 해에 대회가 열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 2013년부터 대회를 홀수 해에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에 따라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가봉, 적도 기니 공동 개최)과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남아프리카 공화국 개최)이 1년 간격으로 연이어 열리게 되었다.[17] 또한,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이 4년 주기로 변경되고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이 홀수 해 개최로 바뀌면서, 2010년, 2012년, 2015년 우승팀인 이집트, 잠비아, 코트디부아르는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하지 못하게 되었다.

개최지 변경도 여러 차례 있었다. 당초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리비아,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모로코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2011년 리비아 내전으로 인해 리비아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이 개최 연도를 맞바꿔 2013년 대회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렸고, 리비아는 2017년 대회를 개최하기로 했다.[18] 하지만 리비아의 내전이 계속되면서 CAF는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지를 가봉으로 다시 변경했다.[19] 한편,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서아프리카 에볼라 바이러스 유행에 대한 우려로 모로코가 개최를 거부하면서 적도 기니에서 열리게 되었다.[23] 리비아 내전과 에볼라 유행은 대회 운영에 영향을 미쳤는데, 라이베리아에서는 모든 축구 활동이 중단되었고[21] 수도 몬로비아의 안투아네트 텁먼 경기장은 에볼라 치료 센터로 사용되기도 했다.[22]

카메룬 선수들이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후 기뻐하고 있다.


2017년 7월, CAF는 대회에 두 가지 중요한 변화를 결정했다. 첫째, 대회 개최 시기를 기존의 1월에서 북반구의 여름으로 옮기고, 둘째, 본선 참가국 수를 16개국에서 24개국으로 확대하는 것이었다. 이 변경 사항은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부터 적용되었다.[25][26][5] 또한 2016년, 프랑스 에너지 기업 토탈이 CAF의 주요 10개 대회를 8년간 후원하는 계약을 맺으면서,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부터 대회 공식 명칭이 '토탈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으로 변경되었다.[24]

2019년 대회에서는 알제리가 결승에서 세네갈을 1-0으로 꺾고 1990년 이후 29년 만에 통산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3위는 튀니지를 1-0으로 이긴 나이지리아였다.[27] 이 대회 우승 상금은 450만달러였고, 준우승팀 세네갈은 250만달러를 받았다.[28][29]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COVID-19 범유행의 영향으로 예선 일정이 연기되었고,[30] 카메룬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본선 대회 역시 2022년으로 연기되었다. CAF는 이 대회의 우승 상금을 500만달러로 인상했고, 준우승 상금은 275만달러로 책정했다.[31] 연기되어 2022년에 열린 결승전에서는 세네갈이 이집트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사상 첫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을 차지했다.[32]

본래 2013년 대회 이후 홀수 해에 개최되어 왔으나, 코트디부아르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제34회 대회는 2023년이 아닌 짝수 해인 2024년에 개최되었다.[37]

3. 진행 방식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참가 팀 수와 결선 토너먼트 형식은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대부분의 대회는 리그전 방식의 조별 리그를 거친 후 단판 토너먼트 형식의 결선 토너먼트로 우승팀을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연도팀 수경기 수형식
최소 경기 수실제 경기 수
1957년32준결승전, 결승전
1959년333팀 리그전
1962년44준결승전, 3위 결정전, 결승전
1963년683팀 2개 조, 3위 결정전, 결승전
1965년68
1968년8164팀 2개 조, 준결승전, 3위 결정전, 결승전
1970년816
1972년816
1974년81617
1976년8184팀 2개 조, 최종 4팀 리그전
1978년8164팀 2개 조, 준결승전, 3위 결정전, 결승전
1980년816
1982년816
1984년816
1986년816
1988년816
1990년816
1992년12203팀 4개 조, 8강전, 준결승전, 3위 결정전, 결승전
1994년1220
1996년15293~4팀 4개 조, 8강전, 준결승전, 3위 결정전, 결승전
1998년16324팀 4개 조, 8강전, 준결승전, 3위 결정전, 결승전
2000년1632
2002년1632
2004년1632
2006년1632
2008년1632
2010년15293~4팀 4개 조, 8강전, 준결승전, 3위 결정전, 결승전
2012년16324팀 4개 조, 8강전, 준결승전, 3위 결정전, 결승전
2013년1632
2015년1632
2017년1632
2019년24524팀 6개 조, 16강전, 8강전, 준결승전, 3위 결정전, 결승전
2021년2452
2023년2452
2025년2452
2027년2452



1962년 대회부터는 예선 라운드와 본선 토너먼트의 두 단계로 나뉘어 진행된다. 본선 개최국은 자동으로 출전 자격을 얻으며, 초기 대회에서는 이전 대회 우승팀도 다음 대회 본선에 자동으로 진출하기도 했다.

3. 1. 예선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가입국 수가 늘어나면서 예선 방식도 변화를 거듭했다. 1957년 제1회 대회이집트, 에티오피아, 수단, 남아프리카 공화국 4개국이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당시 인종 차별 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를 고수하며 혼혈 팀 파견을 거부하여 CAF로부터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고 이후 제명되었다. 결국 3개국만이 참가하여 별도의 예선 없이 본선이 치러졌다.

1962년 대회까지도 참가국 수가 적어 예선 없이 본선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1960년, 이른바 "아프리카의 해"를 거치며 아프리카 대륙에서 여러 국가가 식민지로부터 독립하면서 CAF 가맹국 수가 급증했다. 이에 따라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한 예선 제도가 필요해졌고, 1968년 제6회 에티오피아 대회부터 예선이 도입되었다. 초기 예선 방식은 토너먼트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토너먼트 방식 예선은 1992년 세네갈 대회까지 유지되었고, 이후부터는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와 유사하게 여러 팀이 조를 이루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르는 조별 리그 예선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각 조의 순위에 따라 본선 진출 국가가 결정된다.

대회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본선 참가팀 수도 점차 증가했다.

기간대회본선 참가팀 수
1968년 ~ 1990년제6회 에티오피아 대회 ~ 제17회 알제리 대회8개 팀
1992년 ~ 1994년제18회 세네갈 대회 ~ 제19회 튀니지 대회12개 팀
1996년 ~ 2017년제20회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회 ~ 제31회 가봉 대회16개 팀
2019년 ~ 현재제32회 이집트 대회 ~24개 팀


3. 2. 본선

개최국은 자동으로 본선 출전권을 얻으며, 나머지 23개 팀은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본선 진출 자격을 얻는다. 본선에는 총 24개 팀이 참가하며, 4개 팀씩 6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른다. 각 팀은 같은 조의 다른 팀들과 한 번씩 경기를 한다.

조별 리그가 끝나면 각 조의 1위와 2위 팀, 그리고 각 조 3위 팀 중 성적이 좋은 상위 4개 팀이 16강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16강전 승리 팀은 8강에 오르고, 8강전 승리 팀은 준결승에 진출한다. 준결승에서 패배한 두 팀은 3·4위 결정전을 치르고, 승리한 두 팀은 결승전에서 우승을 다툰다.[33]

1957년 제1회 수단 대회가 처음 열렸을 때는 참가국이 에티오피아, 이집트, 남아프리카 공화국, 수단 4개국뿐이었다. 하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당시 인종 차별 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 때문에 혼혈 팀 파견을 거부하고 백인 또는 흑인으로만 구성된 팀 파견을 고집하여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으로부터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이후 CAF에서 제명됨). 결국 3개국만 참가하여 대회가 열렸고, 이집트가 결승에서 에티오피아를 4-0으로 꺾고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

1960년은 '아프리카의 해'로 불릴 만큼 아프리카 대륙에서 17개국이 독립하는 등 식민지 독립이 이어지면서 CAF 가맹국 수가 크게 늘어났다. 이에 따라 1968년 제6회 에티오피아 대회부터는 예선 제도가 도입되었다. 본선 참가팀 수도 점차 확대되었는데, 아래 표와 같이 변화해왔다.

대회 연도대회 번호개최국본선 참가팀 수비고
1957년1회수단3팀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전 정지
1968년6회에티오피아8팀예선 도입, 1990년 알제리 대회까지 유지
1992년18회세네갈12팀1994년 튀니지 대회까지 유지
1996년20회남아프리카 공화국16팀2017년 가봉 대회까지 유지
2019년32회이집트24팀현재 방식



1990년대 이후 아프리카 국가들이 FIFA 월드컵이나 하계 올림픽 축구 종목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면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위상도 높아졌다. 특히 유럽 축구 클럽 스카우트들에게는 유망한 아프리카 선수들을 발굴하는 중요한 무대가 되었다.

하지만 대회가 주로 1월에서 2월 사이에 열리는 점은 문제로 지적된다. 이 시기는 아프리카 선수들이 많이 뛰는 유럽 리그의 시즌 중반으로, 특히 UEFA 챔피언스리그 토너먼트가 시작되고 각국 리그 우승 경쟁이 치열해지는 중요한 때이다. 이 때문에 소속팀들은 핵심 선수를 대표팀에 보내는 것에 대해 불만을 가지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 빅클럽의 주전 선수들조차 소속팀 경기를 이유로 대회 참가를 포기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는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이 아프리카 선수들에게 얼마나 큰 의미와 권위를 가지는지를 보여준다.

4. 역대 성적


4. 1. 우승 횟수

wikitext


4. 2. 개최 횟수

횟수국가연도
5회이집트1959, 1974, 1986, 2006, 2019
4회가나1963, 1978, 2000, 2008
3회에티오피아1962, 1968, 1976
3회튀니지1965, 1994, 2004
2회수단1957, 1970
2회나이지리아1980, 2000
2회남아프리카 공화국1996, 2013
2회적도 기니2012^, 2015
2회가봉2012^, 2017
2회카메룬1972, 2021
2회코트디부아르1984, 2023
2회모로코1988, 2025*
1회리비아1982
1회알제리1990
1회세네갈1992
1회부르키나파소1998
1회말리2002
1회앙골라2010
1회우간다2027*^
1회케냐2027*^
1회탄자니아2027*^



정렬 기준은 개최 횟수-마지막 개최 연도가 빠른 순임.


  • * 개최 예정.
  • ^ 공동 개최국.

4. 3. 통산 성적 (1957년 ~ 2017년)

wikitext

순위국가·지역우승 횟수준우승 횟수3위 횟수4위 횟수합계
1이집트733316
2카메룬522110
3가나451414
4나이지리아358016
5코트디부아르324211
6알제리21227
7콩고 민주 공화국20226
8잠비아12306
9튀니지12137
10수단12104
11세네갈12036
12남아프리카 공화국11204
13모로코11125
13에티오피아11125
15콩고 공화국10012
16말리01236
17부르키나파소01124
18우간다01012
19기니01001
19리비아01001
21적도 기니00011


  • 데이터는 2023년 대회 종료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
  • '''굵은 글씨'''는 우승 경험이 있는 국가·지역이며, '''굵은 숫자'''는 해당 부문 최다 기록이다.
  • 국가·지역명은 현재 명칭으로 통일했다.

과거 국가명 기록::* 이집트는 일부 대회에서 아랍 연합 공화국으로 참가했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은 과거 콩고 킨샤사 또는 자이르로 참가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최고 성적에 따라 색깔이 구분된 국가 지도. 파란색: 우승, 청록색: 준우승, 녹색: 3위, 연두색: 4위, 노란색: 8강, 주황색: 16강, 붉은색: 조별리그

참조

[1] 웹사이트 Live score: Cameroon v Burkina Faso (African Cup of Nations) – News – AFCON 2021 https://english.ahra[...] 2022-01-09
[2] 뉴스 AFCON 2021: Teams and players to watch, start and final date https://www.marca.co[...] 2022-01-09
[3] 백과사전 Africa Cup of Nations {{!}} History, Winners, Trophy,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5-20
[4] 뉴스 African Cup of Nations – How it all began http://news.bbc.co.u[...] BBC Sport 2001-12-14
[5] 웹사이트 Africa Cup of Nations moved to June and July and expanded to 24 teams https://www.bbc.com/[...] BBC Sport 2017-07-20
[6] 웹사이트 Which national team has won the Africa Cup of Nations most times? https://en.as.com/en[...] 2022-01-08
[7] 뉴스 Africa Cup of Nations Cup to move to odd-numbered years http://news.bbc.co.u[...] BBC Sport 2010-05-16
[8] 뉴스 African Nations Cup – How it all began http://news.bbc.co.u[...] BBC Sport 2001-12-14
[9] 뉴스 The early years http://news.bbc.co.u[...] BBC Sport 2004-01-16
[10] 서적 The World Encyclopedia of Football:A Complete Guide to the Beautiful Game Hermes House 2010
[11] 뉴스 SA to meet Nigeria http://news.bbc.co.u[...] BBC Sport 2004-10-12
[12] 뉴스 African Cup of Nations: 1980–2002 http://news.bbc.co.u[...] BBC Sport 2004-01-16
[13] 뉴스 Clubs want African Cup rethink http://news.bbc.co.u[...] BBC Sport 2007-12-12
[14] 뉴스 Blatter wants Cup of Nations move http://news.bbc.co.u[...] BBC Sport 2008-01-18
[15] 뉴스 Ghana 2008 all results http://arogeraldes.b[...] International Football Journalism 2008-02-10
[16] 뉴스 Ghana 0–1 Egypt http://news.bbc.co.u[...] BBC Sport 2010-01-31
[17] 보도자료 Equatorial Guinea: Ahead of AU Summit, Government Curtails Political Rights, Disregards Social Needs http://allafrica.com[...] Human Rights Watch
[18] 웹사이트 South Africa replace Libya as 2013 Nations Cup hosts https://www.bbc.co.u[...] BBC 2011-09-28
[19] 뉴스 Libya stripped of right to host 2017 Nations Cup https://www.eurospor[...] Eurosport 2014-08-23
[20] 뉴스 Africa Cup Disrupted by Ebola Concerns https://www.nytimes.[...] 2014-11-11
[21] 뉴스 Ebola outbreak: Liberia suspends football https://www.bbc.com/[...] BBC News 2014-07-29
[22] 웹사이트 Liberia football ground converted into Ebola treatment centre http://www.liberians[...]
[23] 뉴스 2015 Nations Cup: Equatorial Guinea to host tournament https://www.bbc.com/[...] BBC Sport
[24] 뉴스 Total to sponsor CAF competitions for the next eight years http://www.africanew[...] 2016-07-21
[25] 웹사이트 Infantino in Rabat as CAF mulls 24 –team AFCON http://www.thenff.co[...] Nigeria Football Federation 2017-07-18
[26] 웹사이트 Potential changes to Africa Cup of Nations high on agenda at key CAF symposium http://www.insidethe[...] Inside the Games 2017-07-17
[27] 뉴스 Algeria win Africa Cup of Nations https://www.bbc.co.u[...] BBC Sport
[28] 뉴스 Le vainqueur de la CAN 2019 empochera une prime de 4 millions d'euros https://www.football[...] Football365 2019-04-14
[29] 웹사이트 How much will the winners of the Africa Cup of Nations receive? https://finance.yaho[...] 2022-01-10
[30] 웹사이트 How much will the winners of the Africa Cup of Nations receive? https://finance.yaho[...] 2022-01-10
[31] 웹사이트 How much will the winners of the Africa Cup of Nations receive? https://finance.yaho[...] 2022-01-10
[32] 웹사이트 Senegal 0 Egypt 0 (4–1 pn pens) https://www.bbc.com/[...] BBC Sport 2022-02-06
[33] 웹사이트 Regulations of the Africa Cup of Nations https://web.archive.[...]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34] 뉴스 Nations Cup trophy revealed http://news.bbc.co.u[...] BBC Sport 2001-09-25
[35] 웹사이트 The Great Adventure of African Football https://web.archive.[...] FIFA 1997-12-01
[36] 웹사이트 AFCON 2023: Exploring the rich history, evolving trophies in African football history — Edugist https://edugist.org/[...] Edugist 2024-08-16
[37] 웹사이트 次回アフリカ選手権の開催時期が24年1~2月に変更 欧州クラブに選手派遣の問題再び https://news.yahoo.c[...] ヤフースポーツ 2022-07-04
[38] 웹사이트 Togo officially disqualified from Africa Cup of Nations http://news.bbc.co.u[...] 英国放送協会(BBC) 2019-07-20
[39] 웹사이트 Caf take Afcon away from Libya http://www.newsday.c[...] NEWSDAY 2011-09-21
[40] 웹사이트 Orange CAN 2013 qualification procedures and draw results for the qualifiers released http://www.cafonline[...] 아프리카축구연맹 2011-11-07
[41] 웹사이트 ネーションズカップの開催国変更へ、モロッコは出場資格も剥奪 https://www.afpbb.co[...] AFPBB 2014-11-12
[42] 웹사이트 EQUATORIAL GUINEA DESIGNATED HOST COUNTRY OF ORANGE AFCON 2015 http://www.cafonline[...] 아프리카축구연맹 2014-11-15
[43] 웹사이트 South Africa replace Libya as 2013 Nations Cup hosts http://www.bbc.co.uk[...] BBC Sport 2015-02-08
[44] 뉴스 Cameroon stripped of hosting 2019 Africa Cup of Nations https://www.france24[...] France 24 2019-02-20
[45] 뉴스 D-day for 2019 Africa Cup of Nations hosts Cameroon https://www.sowetanl[...] SowetanLIVE 2019-07-20
[46] 웹사이트 Egypt named as hosts of 2019 Africa Cup of Nations https://www.insideth[...] insidethegames.biz 2019-07-20
[47] 일반
[48] 일반
[49] 일반
[50] 일반
[51] 일반
[52] 일반
[53] 일반
[54] 일반
[55]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