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암피폴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암피폴리스는 고대 그리스의 도시로, 기원전 5세기에 아테네의 식민지로 건설되었다. 트라키아 지방의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아테네 편에 섰다. 이후 마케도니아 왕국, 로마 제국 시대를 거치며 전략적 요충지로서 번성했으나, 슬라브족의 침략과 8세기의 도시 쇠퇴를 겪었다. 주요 유적으로는 카스타 무덤, 사자상, 고대 목조 다리, 성벽, 김나시움 등이 있다. 암피폴리스는 여러 유명 인물들을 배출했으며, 현재 고고학적 발굴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 역사

기원전 3000년경부터 암피폴리스 부근에 인간이 거주했던 것으로 보이며, 전략적 지형으로 인해 일찍부터 요새화되었다. 기원전 480년 페르시아크세르크세스 1세가 이 땅을 점령하고 강의 신에게 제물로 9명의 청년과 처녀를 생매장했다.[33] 기원전 479년 마케도니아 왕국의 알렉산드로스 1세는 페르시아 군의 잔병을 근처에서 격파했다.

기원전 5세기 아테네를 맹주로 하는 델로스 동맹트라키아 지방 지배를 강화하려 했다. 자원이 풍부한 트라키아는 판가이온힐스 산맥에서 을 채굴하고 해군 건설에 필요한 목재를 조달할 수 있었으며, 스키타이에서 아테네로 식량이 공급되는 해상로에 위치하여 아테네에게 매우 중요했다.

암피폴리스의 역사는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 '''아테네 식민지 시대''': 아테네는 트라키아 지역의 풍부한 자원과 전략적 중요성 때문에 암피폴리스에 식민지를 건설하려 했다.
  • '''펠로폰네소스 전쟁 시기''': 스파르타의 장군 브라시다스가 암피폴리스를 점령하고, 이후 아테네스파르타 간의 전투가 벌어졌다.
  • '''마케도니아 왕국 시대''': 필리포스 2세가 암피폴리스를 정복하고,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는 중요한 해군 기지가 되었다.
  • '''로마 제국 시대''': 로마마케도니아 왕국을 점령하고 암피폴리스는 4개의 작은 공화국 중 하나의 수도가 되었다.
  • '''고대 후기 ~ 중세 시대''': 슬라브족의 침략으로 쇠퇴하다가 8세기에 버려졌다.

2. 1. 기원전: 아테네 식민지 시대

기원전 5세기아테네델로스 동맹을 통해 트라키아 지방을 지배하려 했다. 트라키아는 판가이온힐스 산맥의 , , 해군 건설용 목재 등 자원이 풍부하고, 스키타이에서 아테네로 가는 식량 공급로에 위치해 중요했다.

기원전 497년 밀레토스히스티아이오스가 최초로 식민지를 건설했고, 기원전 465년 아테네는 '엔니아 호도이'(‘9개의 길’이라는 뜻)에 식민지를 건설했으나, 10,000여 명의 식민지 주민들은 트라키아인들에게 학살당했다.[33] 기원전 437년 니키아스의 아들 하그논이 같은 장소에 두 번째 식민지를 건설하고 암피폴리스(‘마을 주변’이라는 뜻)라 명명했다. 투키디데스스트루마강이 마을 양쪽으로 흘러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설명한다. 9세기 에티몰로기컴 게누이놈에는 “암피폴리스는 아테네인 혹은 트라키아인 마을이 스트루마강에 둘러싸여 과거엔 ‘9개의 길’이라고 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수이다스 사전이나 포티오스 사전에는 페리안드로스의 아들 마르시아스가 주민 대부분이 ‘마을 주변’에 살았기 때문이라는 설을 제시한다. 율리우스 폴리데우케스는 ‘마을 주변’ 지협 때문이라는 설을 주장했다.

2. 2. 펠로폰네소스 전쟁 시기

기원전 424년, 스파르타의 장군 브라시다스는 중장보병 1000명과 헤일로타이 700명을 이끌고 암피폴리스를 무혈 점령했다. 그는 암피폴리스 주민들에게 평화적인 제안을 했고, 트라키아인들은 이를 기꺼이 받아들였다.[30]

아테네는 브라시다스의 진군을 예상하지 못했고, 구원군을 파견했지만 이미 늦었다. 스트라테고스였던 투키디데스 장군은 아이온(:en:Eion) 항구를 지켰지만, 암피폴리스 탈환에 실패하여 도편 추방당했다.[30]

아테네의 정치가 니키아스는 브라시다스와 평화 교섭을 원했지만, 클레온은 전쟁을 주장하며 민중의 지지를 얻었다. 결국 클레온은 기원전 422년 암피폴리스 전투(:en:Battle of Amphipolis)를 이끌었으나, 브라시다스의 기습으로 패배하고 전사했다. 브라시다스 역시 이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전사했지만, 암피폴리스에서 영웅으로 추앙받으며 도시의 창설자로 여겨지게 되었다.[30]

암피폴리스는 이후 독립을 유지했지만, 마케도니아 왕국의 필리포스 2세에게 함락되었다.

2. 3. 마케도니아 왕국 시대

기원전 357년, 필리포스 2세는 아테네가 실패했던 암피폴리스 정복에 성공하여 도시를 점령했다. 이로써 암피폴리스가 트라키아에 대한 마케도니아의 지배에 제기했던 장애물을 제거했다. 역사가 테오폼푸스에 따르면, 이 정복은 아테네와 필리포스 2세 사이의 비밀 협정의 대상이었는데, 필리포스 2세는 피드나의 요새화된 도시와 교환하여 도시를 반환할 것이었지만, 마케도니아 왕은 협정을 배신하고 암피폴리스를 양도하는 것을 거부하고 피드나를 포위했다.[12]

암피폴리스는 즉시 마케도니아 왕국에 편입되지 않았고, 얼마 동안은 그 기관과 어느 정도의 자율성을 유지했다. 마케도니아의 국경은 더 동쪽으로 이동하지 않았지만, 필리포스는 여러 마케도니아 총독을 암피폴리스로 보냈고, 여러 면에서 도시는 효과적으로 "마케도니아화"되었다. 명칭, 달력 및 통화(판가이온 언덕의 금 매장량을 활용하기 위해 필리포스가 만든 금 스타테르는 암피폴리스의 드라크마를 대체했다) 모두 마케도니아의 것으로 바뀌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 암피폴리스는 중요한 해군 기지였으며, 네아르코스, 안드로스테네스[13], 미틸레네의 라오메돈 등 가장 유명한 마케도니아 제독 3명이 태어난 곳이었다.

이 시대 도시의 중요성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1500탈렌트가 드는 크고 호화로운 사원을 6개 도시 중 하나로 건설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알렉산드로스는 기원전 335년에 트라키아에 대한 원정을 준비했고, 그의 군대와 함대는 아시아 침공 전에 항구 근처에 집결했다. 이 항구는 또한 그의 아시아 원정 동안 해군 기지로 사용되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그의 아내 록사네와 어린 아들 알렉산드로스 4세카산드로스에 의해 이곳으로 추방되어 살해되었다.[14]

2. 4. 로마 제국 시대

기원전 168년 피드나 전투에서 로마 공화정이 마케도니아 왕국에 승리하자, 마케도니아 왕국은 '메리스'라고 불리는 4개의 작은 공화국으로 분할되었고, 암피폴리스는 그 중 하나의 수도가 되었다.[16] 이 '메리스'는 로마의 동맹국이 되었고, 이후 마케도니아 속주의 일부가 되었다.[16] 사도행전에 따르면, 바울실라는 기원후 50년대 초 빌립보와 테살로니카 사이를 여행하던 중 암피폴리스를 통과했으며, 그곳에서 에피쿠로스 학파스토아 학파 철학자를 포함한 그리스인들에게 기독교를 전파했다.[16]

2. 5. 고대 후기 ~ 중세 시대

후기 고대 시대 동안 암피폴리스는 마케도니아의 경제적 번영에 힘입어 발전했는데, 이는 건설된 많은 수의 기독교 교회가 이를 증명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이러한 교회들이 아크로폴리스 성벽으로 보호받는 도시의 제한된 구역 내에 건설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고대 도시의 넓은 요새화된 외곽이 더 이상 방어할 수 없었고, 도시의 인구가 상당히 감소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여겨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5세기와 6세기 사이에 건설된 교회들의 수, 규모, 그리고 질은 인상적이다. 풍부한 모자이크 바닥과 정교한 건축 조각(예: 양머리 기둥 머리)으로 장식된 4개의 바실리카라벤나의 성 비탈레 바실리카와 유사한 육각형 중앙 평면을 가진 교회가 발굴되었다. 이렇게 작은 도시에서 이러한 과도한 사치를 설명할 이유를 찾기는 어렵다. 역사학자 앙드레 불랑제는 후기 로마 시대의 부유한 상류층이 지역 젠트리피케이션 프로젝트에 돈을 쓸 의향이 점점 더 커졌다는 ''에우에르게티즘''을 그 이유로 설명한다. 이는 지역 교회가 이를 유리하게 이용하게 했고, 도시 중심지와 도시 영토의 농업적 부의 대규모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이어졌다. 암피폴리스는 또한 테살로니카의 대주교 관할구에 속하는 교구였으며, 암피폴리스 주교는 533년에 처음 언급되었다. [17]

6세기 후반 슬라브족의 침략으로 인해 암피폴리스의 내륙 지역 생활에 점차 침투하여 도시가 쇠퇴했으며, 이 기간 동안 주민들은 아크로폴리스 주변 지역으로 후퇴했다. 성벽은 도시 아래쪽 기념물에서 약탈한 자재 덕분에 어느 정도 유지되었으며, 사용하지 않던 도시 위쪽의 대형 저수조는 작은 집과 장인의 작업장으로 채워졌다. 7세기 중반경에는 도시의 거주 지역이 더욱 축소된 후 도시의 요새화가 강화되어, 남은 기념물의 중간을 관통하는 오각형 탑이 있는 새로운 성벽이 건설되었다. 로마 목욕탕과 특히 주교 대성당이 이 벽에 의해 관통되었다.

도시는 마지막 주교가 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증명되었으므로 아마도 8세기에 버려졌을 것이다. 주민들은 아마도 비잔틴 제국 시대에 "크리소폴리스"라는 이름으로 재건되고 재요새화된 암피폴리스의 항구인 고대 아이온의 이웃 부지로 이주했을 것이다. 이 작은 항구는 오스만 제국 시대에 버려지기 전까지 어느 정도 번영을 누렸다. 암피폴리스 지역에서 마지막으로 기록된 활동의 흔적은 1367년 ''메가스 프라이미케리오스'' 요한과 ''스트라토페다르케스'' 알렉시우스가 아토스 산의 판토크라토르 수도원에 기증한 토지를 보호하기 위해 북쪽에 요새화된 탑을 건설한 것이다.

3. 주요 유적

암피폴리스에는 여러 시대에 걸쳐 다양한 유적들이 남아있다. 19세기부터 E. 쿠지네리(1831), 레옹 외제(1861), P. 페르드리제(1894–1899) 등 많은 여행자와 고고학자들이 이 유적지를 발견하고 묘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테네 고고학회(Greek Archaeological Society)가 D. 라자리디스의 지휘 아래 1972년과 1985년에 발굴을 실시하여 묘지, 성벽, 바실리카, 아크로폴리스를 발견했다. 그 이후 발굴을 통해 강 다리, 체육관, 그리스 및 로마 빌라, 수많은 무덤 등이 발견되었다.

브라시다스[19]의 화장된 유해를 담은 은제 유골함과 금관은 아고라 아래 자리 잡은 무덤에서 발견되었다.

3. 1. 카스타 무덤 (암피폴리스 무덤)

고대 그리스 모자이크로, 기원전 4세기에 페르세포네가 플루토에게 납치되는 것을 묘사하고 있다.


2012년[20] 그리스 고고학자들은 암피폴리스 북동쪽에 있는 카스타 언덕에서 거대한 무덤을 발굴했다. 이 무덤의 크기와 품질은 이곳에 매장된 사람들의 지위가 높았음을 시사하며, 그 연대와 도시가 알렉산드로스 대왕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중요한 인물들이 묻혔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무덤 둘레 벽은 497m 길이이며, 대리석으로 덮인 석회암으로 만들어졌다.

무덤은 벽으로 구분된 세 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덤 입구 바로 바깥에는 두 개의 스핑크스가 있고, 첫 번째 구역의 천장을 지지하는 두 개의 기둥은 기원전 4세기의 양식인 카리아티드 형태이다. 발굴 결과 카리아티드 바로 뒤와 "세 번째" 방으로 이어지는 마케도니아 대리석 문 앞에 조약돌 모자이크가 발견되었다. 이 모자이크는 하데스에 의한 페르세포네 납치의 우화를 보여주지만, 묘사된 인물들은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와 올림피아스이다. 하데스의 전차는 두 마리의 흰 말에 의해 끌리고 헤르메스가 저승으로 인도한다. 이 모자이크는 무덤의 마케도니아적 특징을 입증한다. 스핑크스 머리 중 하나가 부서진 문 뒤의 무덤 안에서 발견된 것으로 보아, 고대 시대에 침입자들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관형 무덤에서 5명의 유골 조각이 발견되었으며, 그 중 가장 완전한 것은 가장 깊은 층에서 발견된 60세 이상의 여성 유골이다.[21] 무덤 발굴을 이끄는 고고학자 카테리나 페리스테리 박사는 무덤의 연대를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시기인 기원전 4세기 말 (323 BC)로 추정한다. 한 이론에 따르면 이 무덤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어머니인 올림피아스를 위해 지어졌을 가능성이 있다.[22]

1970년대에 암피폴리스 고분 북쪽 약 5km에 위치한 "힐 133"의 토루에서 유구가 발견되었지만, 2014년부터 계속된 발굴로 많은 중요한 발견이 이루어졌고, 이것이 그리스 최대의 묘임이 밝혀져 카스타의 무덤이라고 불리고 있다. 처음에는 그 크기로 인해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묘일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발굴팀은 카스타 토루에서 발굴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묘는 알렉산더 대왕의 맹우 헤파이스티온에게 헌정된 기념비라고 주장하고 있다.

무덤 복원은 2023년에 완료될 예정이며[23], 그 과정에서 로마인들이 다른 곳에서 사용했던 묘지 건설 자재가 원래 위치에 재건될 것이다.

3. 2. 암피폴리스의 사자상

암피폴리스의 사자상은 19세기부터 E. 쿠지네리(1831), 레옹 외제(1861), P. 페르드리제(1894–1899) 등 많은 여행자와 고고학자들에 의해 발견되고 묘사되었다.[18] 1934년에는 아테네 프랑스 학교의 M.페이옐이 금석학 수업의 일환으로 이 지역을 방문하여 사자상 잔해를 추가로 발견했다.[32]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불가리아군과 영국군이 이 지역에서 참호를 파면서 사자 기념비와 무덤의 일부를 발견하기도 했다.[18] 그러나 본격적인 발굴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야 시작되었다.

3. 3. 고대 목조 다리

스트리몬강을 가로지르는 고대 목조 다리는 투키디데스가 언급했으며,[24] 서쪽의 할키디케에서 동쪽의 트라키아로 가는 길목을 통제했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중요했고, 경제와 무역에도 중요했다. 이러한 이유로 다리는 성벽에 통합되었다.

1977년에 발견된 이 다리는 그리스 고대 시대의 독특한 발견이다.[25] 다리에 사용된 수백 개의 나무 말뚝은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거쳤으며, 그 결과 기원전 76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말뚝과 서기 1800년까지 사용된 말뚝이 발견되어 다리가 오랜 기간 동안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나무 다리의 말뚝

3. 4. 성벽

원래 7.5km 길이의 성벽은 일반적으로 보이며, 특히 7.5m 높이로 보존된 북쪽 구획이 잘 드러난다. 5개의 보존된 문이 보이며, 특히 나무 다리 앞의 문이 눈에 띈다.

초기 기독교 시대에는 아크로폴리스 주변에 또 다른 내부 성벽이 건설되었다.

3. 5. 김나시움

이 건물은 청소년의 군사 및 체육 훈련뿐만 아니라 예술 및 지적 교육을 위한 주요 공공 건물이였다. 기원전 4세기에 지어졌으며, 많은 체육 기능을 위한 인접한 방이 있는 열주로 둘러싸인 직사각형 법정인 팔레스트라를 포함한다.[18] 악천후 속에서 실내 훈련을 위한 지붕이 있는 스토아 또는 시스토스(xystos)는 6명의 주자가 동시에 경쟁할 수 있도록 길이 75m, 너비 7m의 긴 현관이다. 또한 좋은 날씨에 훈련을 위한 병렬 야외 트랙인 ''파라드로미다''(paradromida)와 급수를 위한 저수조 시스템이 있었다.[18]

마케도니아 시대에 주요 기관이 되었다.[18]

체육관 규칙을 담은 석조 스테라는 북쪽 날개에서 발견되었으며, 마스터의 의무와 권한, 그리고 운동선수 교육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담고 있다.[18]

기원전 1세기에 로마 통치에 대항한 트라키아 반란으로 파괴된 후, 아우구스투스 시대인 서기 1세기에 도시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재건되었다.[18]

4. 암피폴리스 출신 인물


  • 암피폴리스의 데메트리우스: 플라톤의 제자
  • 조일루스: 문법학자, 견유학 철학자
  • 팜필루스 (화가): 화가, 시키온 학파의 수장, 아펠레스의 스승
  • 아이티온: 조각가
  • 암피폴리스의 필리푸스: 역사가
  • 네아르코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제독
  • 에리기가이오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장군
  • 암피폴리스의 다마시아스: 기원전 320년 스타디온 올림픽 우승자
  • 암피폴리스의 헤르마고라스: 스토아 철학자, 페르세우스의 추종자
  • 암피폴리스의 아폴로도로스: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의해 바빌론과 킬리키아까지의 다른 사트라피의 공동 군사 총독으로 임명됨[26]

복원된 암피폴리스의 사자상

참조

[1] 웹사이트 Amfípolis: Greece, name, administrative division, geographic coordinates and map http://www.geographi[...] 2014-10-22
[2] 웹사이트 ΦΕΚ A 87/2010, Kallikratis reform law text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3] 서적 Amphipolis Ministry of Culture
[4] 웹사이트 Rhoxane ii Alexander's Wife https://iranicaonlin[...] 2022-02-14
[5] 서적 A History of Greece https://books.google[...] Longmans 1840
[6] 문서 Herodotus VII.107
[7] 문서 Thucydides IV.102
[8] 문서 Thucydides I, 100, 3
[9] 간행물 La cité grecque d’Amphipolis et son système de défense. Comptes Rendus de l’Académie des Inscriptions et Belles Lettres
[10] 간행물 "Excavating Classical Amphipoli", In (eds) Stamatopoulou M., and M., Yeroulanou , BAR International Series 1031, 2002:57-73
[11] 간행물 “Physical anthropological report on the cremated human remains of an individual retrieved from the Amphipolis agora”, In “Excavating Classical Amphipolis” by Koukouli-Chrysantkai Ch., (eds.) Stamatopoulou M., and M., Yeroulanou, BAR International Series 1031, 2002: 72-73.
[12] 문서 Theopompus, Philippica
[13] 웹사이트 Androsthenes Thasos - Google Search https://books.google[...]
[14] 문서 Diodorus Siculus, Library of History Book XIX, 52
[15] 웹사이트 Ephebarchic Law of Amphipolis http://attalus.org/d[...]
[16] 성경
[17]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3
[18] 웹사이트 Bulletin de Correspondance Hellénique https://archive.toda[...]
[19] 간행물 “Physical anthropological report on the cremated human remains of an individual retrieved from the Amphipolis agora” in “Excvating Classical Amphipolis” by Ch. Koukouli-Chrysantkai, (eds.) Stamatopoulou M., and M., Yeroulanou, BAR International Series 1031, 2002: 72-73
[20] 뉴스 Marble female figurines unearthed in vast Alexander the Great–era Greek tomb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14-09-10
[21] 뉴스 Greek tomb at Amphipolis is 'important discovery' https://www.bbc.com/[...] 2014-08-12
[22] 논문 The Identity of the Occupant of the Amphipolis Tomb Beneath the Kasta Mound https://www.academia[...] 2021
[23] 웹사이트 Pilot visits to the Kastas Mound in 2022 https://www.archaeol[...]
[24] 문서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 4.103.5
[25] 논문 RADIOCARBON DATING OF THE AMPHIPOLIS BRIDGE IN NORTHERN GREECE, MAINTAINED AND FUNCTIONED FOR 2500 YEARS University of Arizona 2010
[26] 문서 Diodorus Siculus Library of History Book XVII
[27] 문서 トゥキュディデス I, 100, 3
[28] 웹사이트 Thucydides, The Peloponnesian War http://perseus.mpiwg[...]
[29] 웹사이트 Thucydide, IV.105.1=4.105 http://perseus.mpiwg[...]
[30] 웹사이트 Thucydides, The Peloponnesian War http://perseus.mpiwg[...]
[31] 웹사이트 Androsthenes Thasos https://books.google[...]
[32] 웹사이트 Bulletin de Correspondance Hellénique http://cefael.efa.gr[...]
[33] 문서 투키디데스, I, 100, 3
[34] 문서 투키디데스, IV .105.1 = 4.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