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자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자설은 예수의 신성을 하느님으로부터 부여받은 것으로 여기고, 예수의 영원한 선재성을 부정하는 기독교의 이단 사상이다. 이는 삼위일체를 부인하며, 예수가 아버지와 동등하지 않다고 주장하는 종속론의 일종이다. 초기 유대교 기독교 분파인 에비온파와 8세기 이베리아 반도에서 등장한 톨레도 대주교 엘리판두스의 주장, 12세기 아벨라르의 사상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현대에는 유니테리언주의와 후기 성도 운동 등에서도 유사한 형태를 찾아볼 수 있으며, 기독교 정통 교리에서는 이단으로 간주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삼위일체론 - 여호와의 증인
    여호와의 증인은 1870년 미국에서 시작된 성경 연구 모임에서 유래한 그리스도인 국제 종교 단체로, 여호와라는 하나님의 이름을 사용하며 중앙 장로회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걸쳐 성경 교육과 전도 활동을 하지만, 수혈 거부, 양심적 병역 거부 등 독특한 신앙과 사회적 논쟁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반삼위일체론 -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는 조셉 스미스가 1830년에 창립한 기독교 종교로, 성경과 몰몬경 등을 경전으로 사용하며 초대 기독교의 회복을 표방하고, 현재 전 세계적으로 1,600만 명 이상의 신도를 보유하며 선교, 교육, 복지 사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 고대 기독교 이단 - 마니교
    마니교는 3세기경 마니가 창시한 종교로, 빛과 어둠의 이원론적 우주관, 금욕주의, 종말론적 세계관을 특징으로 하며 여러 종교 세력의 탄압으로 쇠퇴했으나 그 영향이 중세 유럽과 동아시아까지 미쳤고, 현재는 대부분 소실된 경전의 파편과 번역본만 남아 있다.
  • 고대 기독교 이단 - 에비온파
    에비온파는 1세기에서 4세기경에 존재했던 유대계 기독교 종파로, 모세 율법을 철저히 준수하고 예수를 메시아로 인정했지만 그의 신성, 선재, 동정녀 탄생을 부정하는 독특한 신학적 견해를 가졌다.
  • 그리스도론 - 로고스
    로고스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비롯된 다의어로, 철학, 종교, 심리학 등 다양한 사상에서 이성, 논리, 세계의 원리, 신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핵심 개념으로 사용된다.
  • 그리스도론 - 예수의 동정녀 탄생
    예수의 동정녀 탄생은 기독교의 핵심 교리로서 예수가 인간 아버지 없이 성령으로 마리아에게 잉태되어 태어났다는 신념이며,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고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전승을 바탕으로 하지만 역사적 근거에 대한 학계의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기독교 미술, 전례, 마리아 공경,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양자설
개요
유형기독교 비삼위일체론 신학 교리
다른 이름역동적 단일신론
역사적 맥락
기원초기 기독교
관련 논쟁삼위일체론 논쟁, 양자론과의 관계
주요 내용
핵심 교리예수는 인간으로 태어나 신에 의해 입양되었다.
신성 부여 시점세례 또는 부활 시점
성령의 역할예수를 신의 아들로 만드는 힘
삼위일체 부정예수는 신과 동등하지 않음
역사적 발전
초기 지지자사모사타의 바울
주요 옹호자포티누스
정죄교회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정죄됨
영향
현대의 영향일부 자유주의 신학 및 비삼위일체론 교파에 영향
유사 교리단성론, 네스토리우스주의와의 비교
추가 정보
관련 용어단일신론, 양자론 (신학), 비삼위일체론
참고 문헌다양한 신학 서적 및 논문

2. 정의

양자설은 군주신론의 한 형태로, 성부, 성자, 성령삼위일체 교리와 대립한다. 양자설은 예수의 신성을 인정하지만, 그 신성이 본래적인 것이 아니라 하느님으로부터 부여받은 것이라고 주장한다.[2]

양자설에 따르면, 예수는 양자된 이후부터 신적이지만, "내 아버지는 나보다 크다"와 같이 아버지와 동등하지 않으며,[3][4] 일종의 종속론이다.

기독교 정통 교리(성부, 성자, 성령삼위일체)에 반하며 이단으로 여겨진다. 기독교의 신성을 강조하는 양태론(사벨리우스주의)도 군주신론의 하나이지만, 양자론과는 정반대의 입장에 있다.

3. 역사

양자론은 초대 교회부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주류 신학에서는 대체로 이단으로 간주되었다.

초기 기독교에서는 예수를 하느님의 아들로 '높이는' 다양한 기독론이 존재했다. 이 중 일부는 양자론적 요소를 포함했으며, '낮은 기독론'이라고도 불린다. 바트 어만은 신약 성경에 "낮은" 또는 양자론적 기독론과 "높은" 또는 "성육신 기독론"이라는 두 가지 다른 기독론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5] "낮은 기독론"은 하나님께서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심으로써 그를 자신의 아들로 높이셨다는 믿음이다.[5] 반면, "높은 기독론"은 예수가 인간이 되기 전에 존재했던 신적 존재로서, 땅에서 아버지의 뜻을 행하고, 원래 왔던 하늘로 다시 올라갔다는 견해이다.[5]

2세기경, 에비온파는 예수가 나사렛 요셉과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며, 처음부터 신성을 가진 것이 아니라 세례를 받을 때 그리스도가 되었다고 주장하며, 사도 바울의 처녀 잉태와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정했다.[42]

비잔티움의 테오도투스는 발렌티누스 영지주의의 한 사람으로,[22] 양자론의 가장 저명한 주창자였다.[21] 그는 요르단강에서 세례를 받을 때 "그리스도"가 비둘기 모습으로 인간 예수에게 내려왔지만, 예수 자신은 부활 이후에야 비로소 하느님이 되었다고 주장했다.[22][23] 2세기 말, 피나메시의 테오도토스는 예수는 세례를 받을 때 그리스도가 되었다고 주장하여, 교황 빅토르 1세에게 파문되었다.[24][25]

8세기, 이슬람 지배하의 스페인에서는 톨레도 대주교 엘리판두스와 우르헬 주교 펠릭스를 중심으로 양자론이 다시 대두되었다. 이들은 예수가 인간으로서는 하느님의 양자라고 주장했는데,[31][32] 이는 이슬람교 신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알쿠인은 펠릭스를 비판했다.[31][32] 이러한 주장은 794년 프랑크푸르트교회회의에서 알쿠인이 주장하는 정통 교리에 의해 이단으로 정죄되었다.[31][32]

12세기 신학자 아벨라르삼위일체를 이성적으로 해석하려 시도하였으나, 그의 주장은 일위신론 및 신양자론으로 간주되어 이단으로 선언되었다.[1] 그러나 이는 아벨라르의 사상이 곡해된 결과이며, 삼위일체를 이성적으로 해석하려 했다는 점 자체가 비난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3. 1. 초기 기독교

초기 기독교에서는 예수를 하느님의 아들로 '높이는' 다양한 기독론이 존재했다. 이 중 일부는 양자론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낮은 기독론'이라고도 불린다. 일부 학자들은 마가 복음과 같은 초기 복음서에서 양자론적 기독론의 흔적을 찾기도 한다.[6][8]

바트 어만은 신약 성경에 "낮은" 또는 양자론적 기독론과 "높은" 또는 "성육신 기독론"이라는 두 가지 다른 기독론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5] "낮은 기독론"은 하나님께서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심으로써 그를 자신의 아들로 높이셨다는 믿음이다.[5] 반면, "높은 기독론"은 예수가 인간이 되기 전에 존재했던 신적 존재로서, 땅에서 아버지의 뜻을 행하고, 원래 왔던 하늘로 다시 올라갔다는 견해이다.[5] 마틴 헹겔을 비롯한 여러 학자들은 "높은 기독론"이 기독교 초기에 이미 존재했으며, 사도 바울의 저술에서 볼 수 있듯이, 교회의 첫 수십 년 동안 더 구체적인 형태를 갖추었다고 주장한다.[5]

양자설은 예수가 신적이며 양자된 이후부터 신적이지만, "내 아버지는 나보다 크다"와 같이 아버지와 동등하지 않다는 종속론의 일종이다.[3][4] 양자설은 때때로 예수의 동정녀 탄생 부인과 관련되기도 한다. 양자론적 신학은 정경 서신에도 반영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도 바울의 서신에는 예수의 동정녀 탄생에 대한 언급이 없다. 바울은 갈라디아서와 로마서에서 예수를 "여자의 몸에서 태어나 율법 아래에 놓이게 된 자"이며, "그의 인성으로는 다윗의 후손"이라고 묘사한다.

2세기 저작 헤르마스의 목자는 예수가 성령으로 충만하고 아들로 입양된 덕 있는 사람이었다고 가르쳤을 수 있다.[18][19][20]

양자론은 군주신론의 두 가지 주요 형태 중 하나이며, 기독교의 정통 교리에 반하는 이단으로 여겨진다.

3. 1. 1. 에비온파

에비온파는 2세기 유대계 기독교 분파로, 예수가 인간으로 태어났지만 그의 헌신과 순종으로 인해 하느님의 아들로 선택되었다고 믿었다.[26] 이들은 토라를 중시하고 금욕적인 생활을 하였으며, 3~4세기에 소멸했다.[42]

에비온파는 예수를 나사렛 요셉과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보았으며, 처음부터 신성을 가진 것이 아니라 세례를 받을 때 그리스도가 되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바울의 처녀 잉태와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정했다.[42]

에비온파는 유대 율법과 의식을 따르는 것을 고집했으며,[29] 사도 바울을 율법에서 이탈한 자로 여겨 배격했다.[30] 이들은 에비온 복음서를 사용했으며, 야고보를 존경했다.[30] '에비온'()이라는 명칭은 '가난한 자'를 의미하며, 이들이 자발적 가난을 중시했음을 보여준다.

3. 1. 2. 비잔티움의 테오도투스

비잔티움의 테오도투스(2세기 후반)는 발렌티누스 영지주의의 한 사람으로,[22] 양자론의 가장 저명한 주창자였다.[21] 로마의 히폴리투스(''철학론'', VII, xxiii)에 따르면 테오도투스는 예수가 처녀에게서 태어난 인간이며, 예루살렘 공의회에 따라 다른 사람들처럼 살았고 지극히 경건했다고 가르쳤다. 요르단강에서 세례를 받을 때 "그리스도"가 비둘기 모습으로 인간 예수에게 내려왔지만 (''철학론'', VII, xxiii), 예수 자신은 부활 이후에야 비로소 하느님이 되었다고 주장했다.[22][23]

피나메시의 테오도토스는 2세기 말에 예수는 세례를 받을 때 그리스도가 되었다고 주장하여, 로마 교회의 교황 빅토르 1세(재위 189년 - 199년)에게 파문되었다(양자론적 단성론).[24][25] 그러나 그 후에도 늙은 테오도토스의 고제자로 여겨지는 환전상 테오도토스 밑에 모인 사람들이 양자론을 유지하면서 성서 비판·경험적 과학·박물학 연구에 종사하여, 교회의 권위와 대등하게 있었다.

3. 2. 8세기 스페인 양자론 논쟁

8세기 이슬람 지배하의 스페인에서는 톨레도 대주교 엘리판두스와 우르헬(Urgel)의 주교 펠릭스를 중심으로 양자론이 다시 대두되었다. 이들은 예수가 인간으로서는 하느님의 양자라고 주장했는데,[31][32] 이는 이슬람교 신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알쿠인은 펠릭스에게 보낸 글에서 다음과 같이 비판했다.

이러한 주장은 794년 프랑크푸르트교회회의에서 알쿠인이 주장하는 정통 교리에 의해 이단으로 정죄되었다.[31][32]

3. 3. 중세 스콜라 철학

12세기 신학자 아벨라르삼위일체를 이성적으로 해석하려 시도하였으나, 그의 주장은 일위신론 및 신양자론으로 간주되어 이단으로 선언되었다.[1] 그러나 이는 아벨라르의 사상이 곡해된 결과이며, 삼위일체를 이성적으로 해석하려 했다는 점 자체가 비난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둔스 스코투스와 생 푸르생의 뒤랑은 제한적인 의미에서 'filius adoptivusla'(양자)라는 용어를 인정하기도 했다.[2]

3. 4. 현대의 양자론

18세기 유니테리언주의에서 예수의 동정녀 탄생을 부정하는 입장이 점차 늘어나면서, 조지프 프리스틀리와 같은 이들의 주도로 양자론의 한 형태가 다시 나타났다.[35]

조셉 스미스의 죽음 이후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스트랭파)를 설립한 후기 성도 지도자 제임스 스트랭은 주님의 율법서 "그리스도의 희생에 대한 주석"이라는 에세이를 통해 독특한 교리를 제시했다. 스트랭은 예수는 마리아와 요셉의 자연적인 아들이었으며, 인류의 구세주가 되기 위해 태어나기 전부터 선택되었지만, 메시아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두 인간 부모의 평범한 필멸자로 태어나야 했다고 말했다.[35] 그는 지상에서의 그리스도는 출생 시 하나님의 아들로 "입양"되었으며, 변용 중에 완전하게 드러났다고 주장했다.[36] 또한, 완벽하게 죄 없는 삶을 살면서 하나님께 자신을 증명한 후, 부활과 승천 전에 인간의 죄를 위한 희생을 제공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37]

루돌프 슈타이너의 가르침에 의해 형성된 비밀 기독교 교파인 크리스천 공동체는 예수그리스도세례 때 결합될 때까지 별개의 존재로 취급하는 양자론적 기독론을 가정한다.[38]

4. 비판과 반론

양자설은 군주신론의 두 가지 주요 형태 중 하나이며, 다른 하나는 양태론이다. 양자설은 그리스도의 영원한 선재성을 부정하며, 그의 삶 이후 신성을 긍정하지만, 많은 고전적인 삼위일체론자들은 이 교리가 영원한 로고스가 예수의 인성에 끊임없이 위격적 연합하는 것을 부인함으로써 암묵적으로 신성을 부인한다고 주장한다.[2]

양자설에 따르면, 예수는 신적이며 양자된 이후부터 신적이지만, "내 아버지는 나보다 크다"와 같이 아버지와 동등하지 않으며[3][4], 일종의 종속론이다. 양자설은 때때로 예수의 동정녀 탄생 부인과 관련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en에 따르면, 기독교가 양자로서 선택된 것은 기독교의 신에 대한 죄 없는 (sinless) 헌신 때문이었다.[41]

역동적 모나르키아주의이며, 기독교 평범인설(예수 인간설)도 여기에 포함된다.[40]

기독교의 정통 교리 (아버지, 아들, 성령삼위일체라고 주장)에 반하며 이단으로 여겨진다. 기독교의 신성을 강조하는 양태론 (modalism, 사벨리우스주의)도 모나르키아주의의 하나이지만, 양자론과는 정반대의 입장에 있다.

8세기, 북 스페인에서 양자론이 세력을 얻어 톨레도 대주교 엘리반투스와 우르헬(Urgel)의 주교 펠릭스가 예수는 인간이며, 신의 양자가 되었다는 설을 주장했다. 이슬람교 신학자로부터 삼위일체설에 대한 엄격한 비판을 받은 것이 배경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794년의 프랑크푸르트교회회의에서 알쿠인이 주장하는 정통 교리에 패했다.

알쿠인은 펠릭스에게 다음과 같이 썼다.

"네스토리우스의 불신앙이 그리스도를 두 가지 성질로 나누어 둘로 만들었듯이, 당신의 무지하고 무모한 설도 그리스도를 둘로 나누었습니다. 하나는 인간의 아들로서, 다른 하나는 신의 양자로서."

참조

[1] 간행물 Adoptionism Wiley-Blackwell
[2] 서적 Essential Theological Terms Westminster John Knox Press
[3] bibleverse
[4] 서적 The Popular Encyclopedia of Apologetics: Surveying the Evidence for the Truth of Christianity Harvest House Publishers
[5] 웹사이트 Incarnation Christology, Angels, and Paul https://ehrmanblog.o[...] 2013-02-14
[6] 문서 How Jesus became God
[7] 문서 The Resurrection
[8] 논문 The Identity of Jesus in the Gospel of Mark: Past and Present Proposals https://journals.sag[...] 2011-06-01
[9] bibleverse
[10] bibleverse
[11] bibleverse
[12] bibleverse
[13] bibleverse
[14] 웹사이트 '"Early High Christology": A "Paradigm Shift"? "New Perspective"?' https://larryhurtado[...] 2015-07-10
[15] 웹사이트 The Early High Christology Club and Bart Ehrman – An Excerpt from 'How God Became Jesus' https://zondervanaca[...] HarperCollins Christian Publishing 2014-03-27
[16] 웹사이트 "The Origin of 'Divine Christology'?" https://larryhurtado[...]
[17] 간행물 Pre-existence InterVarsity Press 1993
[18] 웹사이트 The Shepherd of Hermas (Lightfoot translation) http://www.earlychri[...]
[19]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ristian Theologians Greenwood Press
[20] 서적 The Earliest Christologies: Five Images of Christ in the Postapostolic Age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16-04-24
[21] 웹사이트 Adoptionism https://carm.org/ado[...]
[22] 서적 Jesus, Gnosis and Dogma Bloomsbury Publishing 2010-02-18
[23] 서적 Easily Understand Islam: Finally I Get It!: a Collection of Articles https://books.google[...] Desert Well Network LLC
[24] 서적 History of Dogma http://www.ccel.org/[...]
[25] 서적 The Popular Encyclopedia of Church History: The People, Places, and Events That Shaped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Harvest House Publishers
[26] 문서
[27]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8] 간행물 Ebionites http://www.britannic[...]
[29] 서적 Jewish Encyclopedia 1901–1906
[30] 서적 The Mythmaker: Paul and the Invention of Christianity HarperCollins
[31] bibleverse
[32] 서적 Westminster Handbook to Medieval Theolog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33] 서적 History of Dogma Dover
[34] 서적 The Last Christology of the West: Adoptionism in Spain and Gaul, 785–820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35] 문서 Book of the Law
[36] 서적 Book of the Law
[37] 서적 Book of the law
[38] 웹사이트 The Christian Community Movement for Religious Renewal: Our Creed https://www.thechris[...] 2023-04-02
[39] 서적 From Classicism to Modernism Routledge
[40] 서적 初代教会史論考
[41] 서적 Epiphanius of Salamis
[42] 서적 教義史綱要 久島千枝
[43] 서적 教義史綱要 久島千枝
[44] 서적 教会史・上 講談社学術文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