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인류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언어인류학은 언어와 문화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언어 기록, 언어 사용에 대한 이론 연구, 언어학적 고려를 통한 인류학 문제 연구의 세 가지 패러다임으로 발전해 왔다. 주요 연구 분야는 언어의 문서화, 사회화, 정체성, 이데올로기, 사회적 공간, 인종, 계급, 젠더 등이며, 멸종 위기 언어 기록 및 보존, 언어와 사회화 과정, 언어와 정체성 연구, 언어 이데올로기, 언어와 사회적 공간 연구 등을 포함한다. 또한 구술 시가나 서사적 공연의 텍스트 버전을 기록하는 민족시학도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용언어학 - 대조언어학
대조 언어학은 두 언어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외국어 학습, 번역, 사전 편찬 등에 활용되는 응용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 응용언어학 - 문체론
문체론은 언어의 스타일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문장의 길이, 운율, 어휘 등을 분석하고 수사법을 통해 문학 작품의 의미와 효과를 탐구하며 사회적 맥락에서 사용되는 언어 분석으로 연구 범위를 넓혀간다. - 언어에 관한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 입력지원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 입력지원 - 양궁
양궁은 활과 화살로 표적을 맞히는 스포츠로, 선사 시대부터 무기로 사용되다가 1538년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국제 대회에서 경기가 열린다.
언어인류학 | |
---|---|
지도 정보 | |
학문 분야 | |
분야 | 인류학의 하위 분야, 언어학의 하위 분야 |
세부 분야 | 사회언어학 담화분석 민족지학 기호학 |
주요 연구 주제 | |
연구 주제 | 언어와 문화의 관계 언어와 사회적 상호작용의 관계 언어적 다양성 언어 변화 언어 습득 언어 이데올로기 정치적 언어 매체 언어 이야기와 내러티브 의례적 언어 사용 비언어적 의사소통 언어와 젠더의 관계 언어와 인종의 관계 문화유산으로서의 언어 소수 언어와 언어 보존 이민과 다문화주의에서의 언어 문제 기호와 상징의 연구 |
핵심 개념 | 언어 이데올로기 언어적 다양성 사회적 상호작용 언어 공동체 담화 문화 권력 정체성 |
주요 연구 방법 | |
연구 방법 | 민족지학 참여 관찰 인터뷰 녹음 및 비디오 촬영 텍스트 분석 담화 분석 설문 조사 실험 연구 통계 분석 |
주요 학자 | |
주요 학자 | 에드워드 사피어 벤자민 리 워프 로만 야콥슨 델 하임스 존 검퍼즈 어빙 고프먼 미셸 푸코 피에르 부르디외 주디스 버틀러 노엄 촘스키 |
언어 인류학의 발전 | |
역사 | 19세기 후반, 프란츠 보아스에 의해 인류학 분야에서 시작. 20세기 초, 에드워드 사피어, 벤자민 리 워프 등의 학자들이 언어와 문화의 관계를 연구. 20세기 중반, 델 하임스가 '의사소통 능력' 개념을 제시하며 사회언어학적 관점을 도입. 20세기 후반, 담화분석, 비판적 담화분석 등 새로운 방법론과 이론들이 발전. 21세기, 다문화주의, 미디어 등 새로운 사회적 변화와 함께 더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중. |
영향 | |
영향 | 언어학, 인류학, 사회학, 커뮤니케이션학, 교육학, 정치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줌. 소수언어 보호, 문화다양성 증진 등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 이문화 이해와 상호 존중에 대한 인식 증진. |
참고 자료 | |
관련 자료 | 사회언어학 문화인류학 기호학 인지언어학 |
2. 역사적 발전
언어인류학은 학문적 접근 방식의 기준을 세운 세 가지 주요 패러다임의 발전을 통해 형성되었다. 첫 번째 패러다임은 현재 "인류학적 언어학"으로 알려져 있으며, 언어 기록에 중점을 둔다. 두 번째 패러다임은 "언어인류학"으로 불리며, 언어 사용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수행한다. 세 번째 패러다임은 지난 20~30년 동안 발전해 왔으며, 언어학적 방법을 통해 인류학의 다른 하위 분야 문제들을 연구한다. 이 세 가지 패러다임은 순차적으로 발전했지만, 오늘날에도 모두 실제로 활용되고 있다.[3]
2. 1. 인류학적 언어학 (제1 패러다임)
첫 번째 패러다임인 '''인류학적 언어학'''은 이 하위 학문 분야의 고유한 주제에 전념한다. 이 분야는 특히 북미 원주민 부족의 토착 언어에 중점을 두고 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의 기록을 포함한다. 또한 언어학에 가장 중점을 두는 패러다임이기도 하다.[3] 주요 언어학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문법적 기술
- 유형론적 분류
- 언어 상대성
2. 2. 언어인류학 (제2 패러다임)
언어인류학의 두 번째 패러다임은 단어 순서를 바꿔 "언어인류학(linguistic anthropology)"으로 불리며, 이는 연구에 있어 인류학적 초점을 더 강조함을 나타낸다. 이 용어는 델 하이메스(Dell Hymes)가 선호했으며, 그는 존 검퍼츠(John Gumperz)와 함께 의사소통(communication)의 민족지(ethnography)라는 개념을 제시하기도 했다. "언어인류학"이라는 명칭은 언어가 사용되는 상황의 맥락 속에서, 그리고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공동체와 관련지어 연구되어야 한다는 하이메스의 비전을 반영한다.[3] 이 새로운 시대에는 기계적 녹음과 같은 새로운 기술 발전도 연구에 포함되었다.이 패러다임은 민속학(folklore) 및 언어학(linguistics) 분야와의 비판적인 대화 속에서 발전했다. 하이메스는 민속학자들이 공연의 언어적 예술성보다는 구전 텍스트 자체에만 집중하는 경향을 비판했다.[4] 동시에 그는 노엄 촘스키(Noam Chomsky)가 이끈 언어학의 인지주의적 전환에 대해서도 비판하며, 실제 언어 사용에 대한 민족지학적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하이메스는 언어인류학에 여러 혁신적인 기여를 했는데, 그중 하나는 새로운 분석 단위(unit of analysis)의 제시였다. 기존의 음소(phoneme)나 형태소(morpheme) 측정과 같은 언어적 도구에 초점을 맞춘 첫 번째 패러다임과 달리, 두 번째 패러다임의 분석 단위는 "화행(speech event)"이었다. 화행은 강연이나 토론처럼 일정 시간 동안 말이 지속적으로 제시되는 활동으로 정의되며, 단순히 말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예: 저녁 식사 자리)과는 구분된다. 하이메스는 또한 민족시학(ethnopoetics)에 대한 언어인류학적 접근 방식을 개척했다. 그는 이 패러다임을 통해 언어인류학이 인류학의 다른 분야와 더 긴밀하게 연결되기를 바랐으나, 그의 의도와는 달리 결과적으로는 언어인류학이 인류학 전체와 거리를 두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5][6]
2. 3. 언어학적 수단을 통한 인류학적 문제 연구 (제3 패러다임)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세 번째 패러다임은 언어학적 접근 방식을 통해 인류학의 주요 초점을 재구성했다.[3] 이 패러다임은 언어의 기술적 구성 요소 자체보다는, 언어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점을 둔다. 주요 연구 주제는 다음과 같다.[3]- 개인 및 사회적 정체성 조사
- 공유된 이데올로기
- 개인 간의 서사 상호 작용의 구성
또한 두 번째 패러다임이 연구에 새로운 기술을 사용했던 것처럼, 세 번째 패러다임은 연구를 뒷받침하기 위해 비디오 자료를 광범위하게 활용하는 특징을 보인다.[3] 언어인류학의 세 가지 패러다임은 순차적으로 발전했지만, 오늘날에도 모두 실제로 사용되고 있다.[3]
3. 주요 연구 분야
현대 언어인류학은 크게 세 가지 연구 패러다임(연구 방향)을 중심으로 발전해왔으며, 오늘날에도 이 세 가지 접근 방식 모두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첫 번째 패러다임은 언어의 기록 및 문서화에 중점을 둔다. 이는 특히 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두 번째 패러다임은 언어를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연구하는 것이다. 이는 "언어인류학(linguistic anthropology)"이라는 용어와 밀접하게 관련 있으며, 델 하이메스와 존 검퍼츠 같은 학자들이 주도했다. 이들은 의사소통의 민족지라는 개념을 통해, 언어가 실제 사용되는 상황과 공동체와의 관계 속에서 연구되어야 함을 강조했다.[3] 이 관점은 단순히 언어 구조 분석에 머물거나, 노엄 촘스키로 대표되는 언어의 인지적 측면에만 집중하는 경향을 비판하며 실제 언어 사용에 대한 민족지학적 접근을 중시했다. 하이메스는 분석 단위로 '화행(speech event)'을 제시하고, 구술 문화의 예술성을 분석하는 민족시학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4]
세 번째 패러다임은 1980년대 후반부터 두드러졌으며, 언어적 수단을 통해 정체성, 이데올로기, 사회적 상호작용과 같은 인류학의 핵심 주제들을 탐구한다. 이 접근법은 언어 자체의 기술적 분석보다는, 언어가 문화를 이해하고 인류학적 문제를 분석하는 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주요 연구 주제로는 개인 및 사회적 정체성 조사, 공유된 이데올로기 탐구, 개인 간의 서사적 상호 작용 구성 등이 있다. 이 연구들은 녹음 기술뿐만 아니라 비디오 자료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분석의 깊이를 더하고 있다.[3]
이러한 세 가지 연구 패러다임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현대 언어인류학 연구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형성한다. 구체적인 연구 주제로는 언어 기록 및 보존, 언어와 사회화, 언어와 정체성, 언어와 이데올로기, 언어와 사회적 공간, 인종, 계급, 젠더와 언어의 관계, 민족시학 등이 있다.
3. 1. 언어 기록 및 보존
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의 기록은 언어인류학의 중요한 연구 분야 중 하나이다.[3] 멸종 위기 언어는 여러 이유로 다음 세대에 모국어로 전승되지 못하거나 화자 수가 줄어들어, 몇 세대 안에 사라질 위험에 처한 언어를 말한다.[32] 언어인류학자들은 이러한 언어를 사용하는 공동체와 협력하여 언어 기록 및 부활 프로젝트에 참여한다.언어 기록 프로젝트는 특정 언어에 대한 기록 자료를 만드는 작업이다. 이 기록에는 연구자의 현장 기록 노트, 오디오 또는 비디오 녹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효과적인 기록 보존을 위해서는 명확한 주석을 달고 안전한 보관소에 자료를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북미 지역에서 언어 기록의 선구자 중 한 명인 프란츠 보아스는 언어 연구에 필요한 세 가지 핵심 자료, 즉 문법, 텍스트, 사전 개발을 강조했는데, 이는 '보아스 3부작'으로 알려져 있다.[33]
언어 부활은 사라져가는 언어를 다시 일상적인 사용으로 되돌리려는 노력이다. 이는 새로운 화자를 교육하거나 공동체 내에서 해당 언어의 지속적인 사용을 장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34] 예를 들어,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의 스워스모어 대학에서는 레나페어 강좌를 개설하여 원주민 및 비원주민 학생들에게 레나페 언어와 문화를 교육하고 있다.[35]
언어 회복은 언어 부활의 한 갈래로, 언어가 특정 공동체로부터 강제로 빼앗겼다는 점을 인식하고 해당 공동체가 주도적으로 언어를 되살리려는 노력을 의미한다. 언어 회복은 언어 소멸 과정에 내재된 권력 관계를 다루며, 기존 화자들의 언어 사용을 장려하고, 언어 사용 범위를 넓히며, 언어의 사회적 위상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광범위한 기록 자료를 바탕으로 '사멸' 상태에서 다시 살아난 마이애미어가 언어 회복의 대표적인 사례이다.[36]
언어학 분야가 멸종 위기 언어의 구조 자체를 연구하는 데 중점을 둔다면, 언어인류학자들은 언어 소멸 위기, 언어 부활 및 회복 프로젝트가 놓인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 대한 민족지적 이해를 통해 이 분야에 기여한다.[37]
3. 2. 언어와 사회화
언어인류학자 엘리너 오크스와 뱀비 쉬펠린은 언어적 방법과 다른 민족지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사회화(유아, 아동, 외국인이 공동체의 구성원이 되고 그 문화에 참여하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라는 인류학적 주제를 탐구했다.[15] 이들의 연구는 문화 전승과 사회화 과정이 언어 습득 과정과 별개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이 언어와 문화를 통합된 과정 속에서 함께 습득한다는 점을 밝혀냈다.오크스와 쉬펠린은 베이비 토크(baby talk)가 보편적이지 않으며, '적응 방향'(주변의 말하기 상황에 아동이 적응하도록 하는지, 아니면 그 반대인지)이 문화적으로 달라지는 변수임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많은 사회에서 보호자는 아동이 일찍부터 인식해야 할 친족 관계망을 향하도록 아이를 바깥쪽으로 안는데, 이는 아이를 둘러싼 환경에 적응시키는 방식과 관련이 있다.
또한, 모든 사회의 구성원들은 언어를 사용하여 아동을 향해 말하고, 언어를 통해 아동을 사회화시킨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남부 캘리포니아의 백인 중산층 가정에서 저녁 식사 중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이야기 나누기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와 아버지가 이야기 속 참여자 역할(주인공은 주로 아동이나 어머니, 문제 제기자는 주로 아버지)을 분담하는 방식을 통해 남성 지배(소위 "아버지가 최고다" 증후군)가 무의식적으로 재생산됨을 발견했다. 어머니는 자녀와 협력하여 이야기를 진행하면서 자신도 모르게 이러한 사회화 과정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쉬펠린의 후속 연구는 파푸아뉴기니 남부 고지대의 보사비(Bosavi) 공동체에서 기독교 목사와 새로운 개종자들이 수행하는 사회화 역할을 조명했다.[16][17][18][19] 목사들은 지식 전달의 새로운 방식, 새로운 언어적 인식론적 표현[16], 시간에 대해 말하는 새로운 방법[18] 등을 도입하며 공동체의 사회화 과정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보사비 사람들은 성경의 특정 구절(예: 마가복음 2장 6-8절)에서처럼 다른 사람의 내면 상태를 알 수 있다는 개념에 대해 고심하고 대부분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19]
3. 3. 언어와 정체성
언어인류학의 많은 연구는 사회문화적 정체성이 언어와 담론을 통해 어떻게 형성되고 표현되는지에 주목한다. 언어인류학자 돈 쿨릭(Don Kulick)은 이러한 연구를 여러 환경에서 수행했는데, 대표적인 예가 파푸아뉴기니 북부의 가푼(Gapun) 마을 연구이다.[7]쿨릭은 가푼 마을 사람들이 아이들과 함께 두 가지 언어를 사용하는 방식에 주목했다. 하나는 마을에서만 사용되어 가푼 주민의 정체성을 원초적으로 드러내는 전통 언어인 타이압어이고, 다른 하나는 뉴기니 전역에서 널리 쓰이는 공용어인 토키 피신(Tok Pisin)이다. 여기서 언어가 정체성을 '드러낸다'는 것은 단순히 의미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의 사회적 위치나 특성을 나타낸다는 뜻이다(지시성).[8] 타이압어를 사용하는 것은 지역적이고 전통적이며, 때로는 '낙후된' 것으로 여겨지는 정체성과 연결된다. 또한 개인의 자율성을 중시하는 '헤드(hed)'라는 가치관을 반영한다. 반면, 토키 피신(Tok Pisin)을 사용하는 것은 현대적이고 가톨릭적인 정체성, 그리고 협력과 기술 습득을 중시하는 '세이브(save)'라는 가치관과 관련된 정체성을 나타낸다.
쿨릭은 이후 브라질의 트라베스티(
이 외에도 에밀 벤베니스트(Émile Benveniste),[10] 메리 부홀츠(Mary Bucholtz)와 키라 홀(Kira Hall)],[11]
3. 4. 언어와 이데올로기
현대 언어인류학의 세 번째 패러다임인 언어적 수단을 통한 인류학적 문제 연구의 한 예시로, 언어 이데올로기 연구가 있다. 로만 야콥손의 제자인 마이클 실버스타인이 이 분야의 연구를 개척한 이후, 언어인류학자들은 주요 인류학적 주제인 이데올로기, 특히 "세계 속 언어의 본질에 대한 공유된 상식적 개념들의 집합"으로 정의되기도 하는[20] 언어 이데올로기에 대한 연구를 점차 늘려왔다.[21]실버스타인은 이러한 이데올로기가 단순한 허위의식이 아니라, 실제로 언어 구조의 진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일상적인 영어에서 2인칭 대명사 '너(thou)'가 점차 사라지고 '당신(you)'으로 통합되는 과정 등이 언어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은 사례로 분석될 수 있다.[22]
또한, 울러드(Woolard)는 코드 전환, 즉 대화나 발화 내에서 여러 언어 변종을 체계적으로 번갈아 사용하는 현상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면서, 인류학자들이 이 현상에 대해 던지는 근본적인 질문("왜 사람들은 코드 전환을 하는가?") 자체가 지배적인 언어 이데올로기를 반영한다고 지적했다. 이는 사람들이 본질적으로 하나의 언어만을 사용해야 하며(일언어주의), 여러 언어 변종을 섞어 쓰는 혼란을 피하고 명확한 정보 전달을 효율적으로 추구해야 한다는 이데올로기이다.[23]
언어 이데올로기에 대한 연구는 언어에 미치는 미묘한 영향을 탐구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었다. 예를 들어, 미국 뉴멕시코주의 특정 푸에블로와 애리조나주의 호피족 보호구역에서 사용되는 테와어(키오와타노안어족)의 '키바 언어' 사용 방식에 대한 연구 등이 있다.[24]
이 외에도 언어학자들은 언어 접촉, 언어 소멸, 그리고 '세계어로서의 영어'와 같은 주제를 언어 이데올로기의 관점에서 연구한다. 인도의 언어학자 브라즈 카추는 남아시아의 영어 지역 변종과 인도의 다문화 집단 내에서 영어가 링구아 프랑카로 기능하는 방식을 조사했다.[25] 영국의 언어학자 데이비드 크리스털은 식민주의 상황에서 지배적인 언어의 확산으로 인한 문화적 동화와 언어 죽음의 문제에 주목하며 연구를 진행했다.[26]
최근에는 세습 언어와 관련된 새로운 유형의 이데올로기 연구도 등장하고 있다. 응용언어학자 마틴 과르다도는 세습 언어 이데올로기를 "언어적 소수자가 자신의 언어에 대해 갖는 다소 유동적인 이해, 정당화, 신념 및 판단의 집합"이라고 제시했다.[27] 과르다도는 또한 세습 언어의 이념에는 언어적 소수자 가정의 기대와 욕구, 즉 "자녀의 삶에서 이러한 언어의 중요성, 그리고 언제, 어디서, 어떻게, 어떤 목적으로 이러한 언어를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대와 욕구가 포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비록 이것은 아직 초기 단계의 언어 이념 연구 분야이지만, 이 연구는 다양한 환경에서 언어 이데올로기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3. 5. 언어와 사회적 공간
언어인류학의 세 번째 패러다임 연구 중 하나로, 사회 공간 개념에 대한 창의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 알레산드로 두란티는 사모아어 인사말이 사회 공간을 사용하고 변형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28] 인도네시아어 연구자인 조셉 어링턴(Joseph Errington)은 언어 문제 자체에는 관심이 없던 초기 인도네시아 연구를 활용하여, 언어인류학적 방법과 기호학 이론을 '모범적 중심'(exemplary center) 개념에 적용했다. '모범적 중심'이란 모범적인 행동이 나타나는 정치적, 의례적 권력의 중심지를 의미한다.[29] 어링턴은 자바 왕실 법정에서 일했던 조상을 둔 자바의 프리야이(priyayi) 계층이, 왕실 법정이 사라진 이후에도 자바 전역에서 '세련된 언어'의 최고 모범으로서 기능했음을 보였다.조엘 쿠이퍼스(Joel Kuipers)는 인도네시아 숨바 섬을 대상으로 이 주제를 발전시켰다. 또한 미국 애리조나주의 테와 인디언(Tewa)을 연구한 폴 크로스크리티는 테와족의 키바(kiva, 지하 의례 공간)에서 사용되는 말의 형태가 모든 테와족 언어 사용의 지배적인 모델이 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직접적인 평행으로 볼 수 있다.
마이클 실버스타인은 이 '모범적 중심' 개념에서 최대의 이론적 중요성과 적용 가능성을 찾으려고 했다. 그는 이 개념을 언어인류학의 세 가지 가장 중요한 발견 중 하나로 간주하며 다음과 같이 일반화했다: "역사적으로 우연하지만 구조화된 더 광범위한 제도적 '상호 작용의 질서'가 있다. 이러한 대규모 거시적 사회 질서 내에서, 사실상 기호작용의 의례적 중심은 특정 담론적 상호 작용 사건에 구조화적인 가치 부여의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는 그 안에서 사용되는 언어적 및 기타 기호 형태의 의미와 중요성과 관련이 있다."[30] 언어인류학자들이 의례와 같은 고전적인 인류학 주제에 접근하는 현재 방식은, 정적인 언어 구조보다는 실시간으로 전개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즉, 텍스트적 요소와 비텍스트적 요소의 계량화가 동기화되면서, 마치 마법처럼 의례 자체가 신성한 공간을 만들어내는 것처럼 보이는 병렬적인 기표 작용과 지시성의 과잉 성장 집합을 강조한다.[30][31]
3. 6. 인종, 계급, 젠더와 언어
현대 언어인류학은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첫째는 사라져가는 언어를 기록하고 보존하는 언어의 문서화, 둘째는 언어가 사용되는 사회문화적 문맥 속에서 언어를 연구하는 것, 그리고 셋째는 언어적 수단을 통해 정체성과 같은 인류학적 문제를 탐구하는 것이다.이 중 세 번째 패러다임, 즉 언어 사용을 통해 사회적 의미와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는 현대 언어인류학의 중요한 흐름이다. 특히 많은 학자들은 언어가 사회적으로 중요한 구성물인 인종(및 민족), 계급, 그리고 젠더(및 성적 지향)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주목한다. 이러한 연구들은 결혼, 노동, 대중문화, 교육 등 다양한 사회 영역에서 이데올로기나 제도와 같은 사회 구조가 언어 사용을 통해 어떻게 개인의 정체성과 삶의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구체적인 연구 사례와 관련 논의는 이어지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3. 6. 1. 인종과 민족
현대 언어인류학의 주요 연구 흐름 중 하나는 언어적 수단을 통해 인종, 민족, 젠더, 계급 등 다양한 사회적 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고 협상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특히 언어가 인종 및 민족 개념을 구성하고, 특정 집단을 타자화하며, 인종 차별과 같은 사회적 불평등을 유지하거나 혹은 이에 저항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이러한 연구들은 특정 언어 변이(예: 아프리카계 미국인 영어) 사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 미디어에서의 인종 재현 방식, 교육 환경에서의 언어적 차별, 이민자 공동체의 언어 사용과 정체성 형성 등 다양한 맥락에서 언어와 인종/민족의 복잡한 관계를 분석한다. 관련 주요 연구는 다음과 같다.
저자 | 연도 | 제목 | 출판 정보 |
---|---|---|---|
알림, H. 사미, 존 R. 릭포드, 아네타 F. 볼 | 2016 | 인종언어학: 언어가 우리의 인종에 대한 생각을 어떻게 형성하는가 | 옥스포드 대학교 출판부 |
메리 부홀츠 | 2001 | 괴짜들의 백인성: 초표준 영어와 인종적 표지 | 언어인류학 저널 11(1): 84–100 |
메리 부홀츠 | 2010 | 백인 아이들: 언어, 인종, 그리고 청소년 정체성의 스타일 | 캠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제니 L. 데이비스 | 2018 | 인디언 말하기: 치카소 르네상스에서 정체성과 언어 활성화 | 애리조나 대학교 출판부 |
딕, H. | 2011 | 소도시 미국에서 이민자들을 불법으로 만드는 것 | 언어인류학 저널 21(S1):E35-E55 |
제인 H. 힐 | 1998 | 언어, 인종, 그리고 백인 공공 공간 | 미국 인류학자 100(3): 680–89 |
제인 H. 힐 | 2008 | 백인 인종주의의 일상 언어 | 와일리-블랙웰 |
가르시아-산체스, 인마쿨라다 M. | 2014 | 언어와 무슬림 이민자 어린 시절: 소속의 정치 | 존 와일리 앤 선즈 |
이브라힘, 아와드 | 2014 | 흑인의 뿌리줄기: 힙합 문화, 언어, 정체성 및 성장의 정치에 대한 비판적 민족지 연구 | 피터 랭 출판사 |
로사, 조나단 | 2019 | 언어처럼 보이고, 인종처럼 들리는: 인종언어학적 이데올로기와 라틴 문화 학습 | 옥스포드 대학교 출판부 |
스몰스, 크리스탈 | 2018 | 싸움의 말: 미국 고등학교에서 흑인 반대와 담론적 폭력 | 언어인류학 저널 23(3):356-383 |
스피어스, 아서 키안 | 1999 | 인종과 이데올로기: 언어, 상징, 그리고 대중문화 | 웨인 주립대학교 출판부 |
우르치올리, 보니 | 2013 | 편견 폭로: 푸에르토리코인의 언어, 인종, 계급 경험 | 웨이브랜드 프레스 |
위르츠, 크리스티나 | 2011 | 우리들 사이에 여전히 존재하는 시대를 초월한 과거로서의 흑인으로서의 쿠바인의 공연 | 언어인류학 저널 21(S1):E11-E34 |
3. 6. 2. 계급
현대 언어인류학은 언어의 문서화, 문맥을 통한 언어 공부, 그리고 언어적 수단을 통한 정체성 연구라는 세 가지 주요 방향으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세 번째 방향, 즉 언어 사용을 통해 사회적 정체성이나 계급과 같은 인류학적 문제를 탐구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이러한 연구의 예시로 계급과 관련된 다음 연구들을 들 수 있다.
- 에런 A. 폭스(Aaron A. Fox)는 2004년 저서 Real Country: Music and Language in Working-Class Culture|실제 컨트리: 노동 계급 문화 속의 음악과 언어eng에서 노동 계급의 문화 속 음악과 언어 사용을 분석하며 계급적 정체성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연구했다.
- 샬리니 샹카르(Shalini Shankar)는 2008년 저서 Desi Land: Teen Culture, Class, and Success in Silicon Valley|데시 랜드: 실리콘밸리의 10대 문화, 계급 및 성공eng을 통해 실리콘밸리 지역 청소년들의 문화 속에서 나타나는 계급과 성공에 대한 인식을 언어 사용과 관련지어 탐구했다.
3. 6. 3. 젠더와 섹슈얼리티
언어인류학은 언어가 사회적 정체성, 특히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구성하고 표현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이 분야의 연구는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 언어 사용을 통해 젠더와 섹슈얼리티 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고 협상되는지를 탐구한다. 주요 연구들은 다음과 같다.- 부홀츠, 메리. 1999. "'Why be normal?': 괴짜 소녀 공동체에서의 언어와 정체성 실천". ''Language in Society''. 28 (2): 207–210.
- 페이더, 아얄라. 2009. ''Mitzvah Girls: Bringing Up the Next Generation of Hasidic Jews in Brooklyn''.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 가우디오, 루돌프 펠. 2011. ''Allah Made Us: Sexual Outlaws in an Islamic African City''. 존 와일리 & 선즈.
- 홀, 키라 및 메리 부홀츠. 1995. ''Gender Articulated: Language and the Socially Constructed Self''. 뉴욕: 라우틀리지.
- 제이콥스-휴이, 라니타. 2006. ''From the Kitchen to the Parlor: Language and Becoming in African American Women's Hair Care''.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 쿨릭, 돈. 2000. "동성애자 및 레즈비언 언어." ''Annual Review of Anthropology'' 29 (1): 243–85.
- 쿨릭, 돈. 2008. "젠더 정치." ''Men and Masculinities'' 11 (2): 186–92.
- 쿨릭, 돈. 1997. "브라질 트랜스젠더 매춘부의 성별." ''American Anthropologist'' 99 (3): 574–85.
- 리비아, 안나 및 키라 홀. 1997. ''Queerly Phrased: Language, Gender, and Sexuality''.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 마날란산, 마틴 F. 4세. 1997. "미국에서 필리피노 게이 경험 '수행하기': 초국가적 맥락에서의 언어 전략." ''Beyond the Lavender Lexicon: Authenticity, Imagination and Appropriation in Lesbian and Gay Language''. 윌리엄 L. 리프 편. 뉴욕: 고든 앤 브리치, 249–266.
- 멘도사-덴턴, 노르마. 2014. ''Homegirls: Language and Cultural Practice Among Latina Youth Gangs''. 존 와일리 & 선즈.
- 램프턴, 벤. 1995. ''Crossing: Language and Ethnicity Among Adolescents''. 롱맨.
- 짐먼, 랄, 제니 L. 데이비스 및 조슈아 래클로. 2014. ''Queer Excursions: Retheorizing Binaries in Language, Gender, and Sexuality''.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3. 7. 민족시학
민족시학(Ethnopoetics영어)은 구술 시가나 서사적 공연(즉, 구전 전승)의 텍스트 버전을 기록하는 방법이다. 이는 산문 단락 대신 시적 행, 연, 절을 사용하여 서면 텍스트에서 손실될 수 있는 형식적이고 시적인 공연 요소를 포착한다. 어떤 민족시학 텍스트의 목표는 독특한 구술 공연자의 기법이 특정 문화적 맥락 내에서 그들의 공연의 미적 가치를 어떻게 향상시키는지 보여주는 것이다. 민족시학 이론에 크게 기여한 인물로는 제롬 로텐버그(Jerome Rothenberg영어), 데니스 테드록(Dennis Tedlock영어), 델 하임스(Dell Hymes영어)가 있다. 민족시학은 민족학, 인류학, 민속학, 문체론, 언어학, 문학, 번역 연구의 하위 분야로 간주된다.참조
[1]
서적
Companion to Linguistic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Blackwell
[2]
웹사이트
About the Society for Linguistic Anthropology
http://www.linguisti[...]
2010-07-07
[3]
논문
Language as Culture in U.S. Anthropology: Three Paradigms
[4]
논문
The Contribution of Folklore to Sociolinguistic Research
https://www.jstor.or[...]
[5]
논문
Verbal Art as Performance
[6]
서적
Breakthrough into Performanc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7]
서적
Language Shift and Cultural Reproduction: Socialization, Self and Syncretism in a Papua New Guinea Vill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Shifters, Linguistic Categories, and Cultural Description
School of American Research,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9]
서적
Scandalous Acts: The Politics of Shame among Brazilian Travesti Prostitu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Problems in general linguistics
University of Miami Press
[11]
논문
Identity and interaction: A sociocultural linguistic approach
[12]
서적
Talking Heads: Language, Metalanguage, and the Semiotics of Subjectivity
Duke University Press
[13]
논문
Stance and Subjectivity
[14]
서적
Learning identity: The joint emergence of social identification and academic lear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서적
Culture and language development: Language acquisition and language socialization in a Samoan vill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서적
Language Acquisition and Socialization: Three Developmental Stories and Their Im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15]
서적
The “Father Knows Best” Dynamic in Dinnertime Narratives
Blackwell
[15]
서적
The Give and Take of Everyday Life: Language Socialization of Kaluli Childre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논문
Creating evidence: Making sense of written words in Bosavi
[17]
서적
Introducing Kaluli Literacy: A Chronology of Influences
School of American Research Press
[18]
논문
Marking time: The dichotomizing discourse of multiple temporalities
[19]
발표자료
PLENARY ADDRESS: Found in translating: Reflexive language across time and texts in Bosavi, PNG
[20]
서적
Language Structure and Linguistic Ideology
Chicago Linguistic Society
[21]
논문
Word, meaning, and linguistic ideology
[22]
서적
Language and the Culture of Gender: At the Intersection of Structure, Usage, and Ideology
Academic Press
[23]
서적
Codeswitching
Blackwell
[24]
서적
Arizona Tewa Kiva Speech as a Manifestation of Linguistic Id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5]
서적
Asian Englishes: Beyond the Canon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6]
서적
Language Death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서적
Discourse, Ideology and Heritage Language Socialization: Micro and Macro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De Gruyter Mouton
[28]
논문
Language and Bodies in Social Space: Samoan Greetings
[29]
서적
Structure and Style in Javanese: A Semiotic View of Linguistic Etiquette
University of Pennsylvania
[30]
논문
Cultural Concepts and the Language-Culture Nexus
[31]
논문
Magical Laments and Anthropological Reflections: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Anthropological Text as Ritual Activity
[32]
서적
The Cambridge handbook of endangered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서적
The Cambridge Handbook of Endangered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서적
The Cambridge Handbook of Endangered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10-08
[35]
논문
Ways of Talking (and Acting) About Language Reclamation: An Ethnographic Perspective on Learning Lenape in Pennsylvania
https://repository.u[...]
2016-01-02
[36]
논문
Reframing language reclamation programmes for everybody's empowerment
2012-09-10
[37]
서적
Ethnographic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endangered languages
University of Arizona Press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