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일레이티이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일레이티이아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출산의 여신으로, 그 이름의 어원은 불확실하며 다양한 설이 존재한다. 제우스와 헤라의 딸로 묘사되며, 레토가 아폴론과 아르테미스를 출산할 때, 헤라클레스의 출산을 방해할 때 등장하는 등 출산과 관련된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전 그리스 예술 작품에서 출산을 돕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아르테미스, 헤라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었다. 그리스 전역에 숭배 신전이 있었으며, 임산부와 출산을 기원하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여신으로 여겨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라의 자식 - 헤파이스토스
헤파이스토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불과 대장장이, 장인의 신으로, 뛰어난 손재주로 신들의 무기와 도구를 만들며 절름발이 또는 불구로 묘사되는 특징을 지닌다. - 헤라의 자식 - 티폰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괴물 티폰은 가이아와 타르타로스의 아들이며 제우스에게 패배하여 화산 아래 갇힌 뱀의 하반신과 짐승 머리를 가진 존재로, 에키드나와의 사이에서 괴물을 낳았고 화산 활동과 지진의 원인으로도 여겨진다. - 올림포스의 신 - 헤라클레스
헤라클레스는 제우스와 알크메네 사이에서 태어난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헤라의 박해 속에서 12가지 험난한 과업을 수행하고 프로메테우스를 구출하는 등 다양한 활약을 펼쳤으나, 네소스의 독에 중독되어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며 그리스와 로마 신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 올림포스의 신 - 올림포스 12신
올림포스 12신은 그리스 신화에서 올림포스 산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제우스 중심의 주요 신들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구성원이 다소 다르지만, 크로노스와 레아의 자녀인 제1세대 신들과 제우스의 자녀인 제2세대 신들로 나뉘어 각자 고유한 영역과 특징을 가진다. - 제우스의 자식 - 미노스
미노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크레타의 왕으로 제우스와 에우로파의 아들이며, 크노소스 궁전을 중심으로 에게해를 지배했고, 미노타우로스 신화와 관련되어 잔혹한 면모와 함께 저승의 심판관으로도 묘사되며, 여러 신화적 인물들과 관련되어 문학과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소행성의 이름으로도 남아있다. - 제우스의 자식 - 아폴론
아폴론은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빛, 음악, 예술, 치유, 궁술, 예언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중요한 신으로, 제우스와 레토의 아들이며 포이보스라고도 불린다.
에일레이티이아 | |
---|---|
기본 정보 | |
![]() | |
설명 | 출산의 여신 |
그리스어 | Ἑλείθυια, Eileithyia |
로마자 표기 | Eileithyia |
로마 신화 | 루키나 |
신화적 정보 | |
관장 | 출산의 여신 |
거주지 | 올림포스 산 |
부모 | 제우스와 헤라 |
자녀 | 소시폴리스 |
이집트 | 타웨레트 |
2. 어원
에일레이티이아라는 이름의 가장 오래된 형태는 미케네 그리스어로 쓰인 𐀁𐀩𐀄𐀴𐀊gmy, ''e-re-u-ti-ja''이다. 이는 선 문자 B 음절 문자로 기록되었다.[6] 고대 그리스어 이름 ''Εἰλείθυιαgrc''를 라틴어로 옮기면 일리티이아(Ilithyia)가 된다.
에일레이티이아는 그리스 신화의 출산의 여신이다. 학자 F. 윌렛츠에 따르면, 그녀는 미노아의 여신 및 초기 신석기 시대의 개념과 명확한 연관성을 보이며, 이는 최초의 조산사의 영향력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15]
이 이름의 정확한 어원은 확실하지 않아 학자들 사이에 여러 의견이 있다. R. S. P. 비크스는 이 이름이 인도유럽어족이 아닌 언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으며,[7] 닐슨 역시 그리스 이전 시대의 이름이라고 보았다.[8] 반면, 19세기 학자들은 이 이름이 그리스어 동사 ''eleutho'' (ἐλεύθωgrc, "가져오다")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에일레이티이아가 "아이를 가져오는 여신"임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9] 발터 부르케르트도 에일레이티이아가 그리스의 출산 여신이며 그 이름이 순수한 그리스어라고 생각했다.[10]
하지만 그리스어 접두사 ''ἐλεύθgrc''와의 관련성은 명확하지 않다. 이 접두사는 엘레우테르나 (Ἐλευθέρναgrc)와 같은 일부 그리스 이전 시대의 지명에서도 발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름 자체가 그리스 이전 시대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1] 또한, 라코니아와 메세네 지역에서 사용된 이름 ''Ἐλυσίαgrc'' (''엘리시아'')는 에일레이티이아를 ''엘레우시니오스'' 달이나 고대 도시 엘레우시스와 연결 짓게 만들 수 있다.[12][13] 닐슨은 "엘레우시스"라는 지명 자체도 그리스 이전 시대의 것이라고 주장했다.[14]
3. 기원 및 신화
그녀에 대한 가장 유명한 일화는 아폴론과 아르테미스 남매의 출산과 관련된 것이다. 헤라의 질투로 출산에 어려움을 겪던 레토를 처음에는 방해했지만, 결국 제우스의 개입으로 레토가 무사히 아이들을 낳도록 도왔다고 전해진다. 또한 헤라클레스의 어머니인 알크메네의 출산을 방해하기도 했으나, 알크메네의 시녀 갈린티아스의 기지로 인해 헤라클레스가 무사히 태어났다는 이야기도 있다.
에일레이티이아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기록이 존재한다. 헤시오도스는 그녀를 제우스와 헤라의 딸로 묘사했지만,[18] 리키아의 시인 올렌은 그녀를 크로노스보다 더 오래된 존재이자 모이라(운명의 여신)와 동일시했다고 파우사니아스는 전한다.[20] 시인 핀다로스 역시 그녀를 헤라의 딸로만 언급하며 제우스를 명시하지 않았다.
후기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아르테미스 및 헤라와 밀접하게 연관되었으나 독자적인 성격은 뚜렷하지 않았다는 평가도 있다.[21] 고전 그리스 예술에서는 주로 출산을 돕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아테나의 탄생 장면에 등장하거나[23] 헤베의 출산을 돕는 모습[24] 등으로 표현되었다.
3. 1.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
호메로스는 에일레이티이아를 "출산의 여신"으로 묘사했다.[16] ''일리아스''에서는 에일레이티이아가 단독으로 등장하거나, 여러 명의 '''에일레이티아이'''(Eileithyiai)로 나타나기도 한다. ''일리아스'' 11권 269-272행에서는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
:날카로운 화살이 산고를 겪는 여인을 쏘아 맞힐 때와 같이, [270] 출산의 여신 에일레이티아이, 쓴 고통을 간직한 헤라의 딸들이 보내는 꿰뚫는 화살과 같으니라.[17]
기원전 700년경의 헤시오도스는 ''테오고니아'' 921행에서 에일레이티이아를 제우스와 헤라의 딸로 기술했다.[18] 후대의 ''비블리오테카''와 기원전 1세기경의 디오도로스 시켈로스 (5.72.5) 역시 이에 동의했으며, 그리스 문학 선집 6권의 시에서도 에일레이티이아를 헤라의 딸로 언급한다.[19]
그러나 서기 2세기의 파우사니아스는 현재는 소실된 다른 초기 자료를 인용하며 다른 설명을 전했다. 리키아의 초기 시인 올렌은 델로스를 위해 쓴 에일레이티이아 찬가에서 그녀를 '영리한 베 짜는 자'로 칭하며, 운명의 여신과 동일시하여 크로노스보다 더 오래된 존재로 묘사했다는 것이다.[20] 가이아의 막내 아들인 크로노스는 티탄 1세대의 신이자 제우스의 아버지이다.
마찬가지로 기원전 5세기경의 시인 핀다로스 역시 에일레이티이아를 헤라의 딸로 묘사하면서도 제우스를 언급하지 않았다. 그의 《일곱 번째 네메아 송가》 1행은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다이앤 아르슨 스바를리엔 번역, 1990)
:깊이 생각하는 운명의 여신들 옆에 앉아 있는 엘레이투이아여, 자손을 낳는 당신, 힘이 넘치는 헤라의 딸이여, 내 말을 들어주소서.
3. 2. 올렌과 핀다로스
헤시오도스는 기원전 700년경에 에일레이티이아를 제우스와 헤라의 딸로 묘사했지만[18], 모든 고대 기록이 이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서기 2세기의 작가 파우사니아스는 현재는 사라진 더 오래된 자료를 인용하며 다른 설명을 제시했다. 그는 초기 리키아의 시인 올렌이 델로스를 위해 쓴 찬송가 중 하나에서 에일레이티이아를 '영리한 베 짜는 자'라고 부르며, 그녀를 모이라(운명의 여신)와 동일시했다고 기록했다. 이는 에일레이티이아가 크로노스보다 더 오래된 존재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20] 크로노스는 티탄 중 하나이자 제우스의 아버지이다.
기원전 5세기경의 시인 핀다로스 역시 에일레이티이아를 묘사할 때 제우스를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20] 그의 《일곱 번째 네메아 송가》는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깊이 생각하는 운명의 여신들 옆에 앉아 있는 엘레이투이아여, 자손을 낳는 당신, 힘이 넘치는 헤라의 딸이여, 내 말을 들어주소서.
이처럼 올렌과 핀다로스의 기록은 에일레이티이아가 단순히 제우스와 헤라의 딸이 아니라, 더 독립적이거나 더 오래된 기원을 가진 신으로 여겨졌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특히 올렌의 묘사는 그녀를 운명을 관장하는 더 근원적인 힘과 연결시킨다.
3. 3. 그 외의 신화
에일레이티이아에 대한 이야기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아폴론과 아르테미스 남매의 출산과 관련된 것이다. 제우스와 관계하여 쌍둥이를 임신한 레토를 질투한 헤라는 세상의 모든 땅에게 레토가 아이를 낳을 장소를 제공하지 못하도록 엄포를 놓았다. 결국 레토는 에게 해를 떠다니는 델로스 섬에 몸을 의탁하게 되었다. 델로스 섬은 땅에 뿌리내리지 않았기에 헤라의 명령이 미치지 못하는 곳이었다. 그러나 헤라는 자신의 딸이자 출산의 여신인 에일레이티이아를 보내 레토의 출산을 방해하게 했다. 에일레이티이아의 도움을 받지 못한 레토는 극심한 진통에 시달렸으나 아이를 낳지 못했다. 이 사실을 안 제우스는 전령의 여신 이리스를 보내 에일레이티이아를 레토에게 데려가도록 했고, 그제야 레토는 무사히 아폴론과 아르테미스를 낳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한 에일레이티이아는 헤라클레스의 어머니 알크메네의 출산을 방해하기도 했다. 제우스의 아이를 임신한 알크메네의 출산일이 다가오자, 이를 못마땅하게 여긴 헤라는 다시 에일레이티이아에게 출산을 방해하라고 지시했다. 에일레이티이아의 방해로 알크메네는 7일 밤낮으로 진통에 시달리며 죽을 지경에 이르렀다. 이때 알크메네의 시녀인 갈린티아스가 기지를 발휘하여 "아이가 태어났다!"라고 거짓으로 외쳤다. 이에 깜짝 놀란 에일레이티이아가 방해를 멈춘 사이, 알크메네는 무사히 헤라클레스를 낳을 수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 갈린티아스는 헤라의 노여움을 사 족제비로 변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학자 F. 윌렛츠에 따르면, 에일레이티이아는 기존의 미노아 문명 여신 및 초기 신석기 시대의 개념과 명확한 연관성을 보인다. 그녀가 출산을 주관하는 역할은 최초의 조산사의 영향력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15] 호메로스는 그녀를 "출산의 여신"이라고 칭했으며,[16] ''일리아스''에서는 에일레이티이아를 단독으로 언급하거나 혹은 복수형인 '''에일레이티아이'''(Eileithyiai)로 묘사하기도 했다.
> 날카로운 화살이 산고를 겪는 여인을 쏘아 맞힐 때와 같이, [270] 출산의 여신 에일레이티아이, 쓴 고통을 간직한 헤라의 딸들이 보내는 꿰뚫는 화살과 같으니라;[17]
> ''일리아스'' 11.269–272
헤시오도스(기원전 700년경)는 ''테오고니아''에서 에일레이티이아를 제우스와 헤라의 딸로 묘사했으며(921행),[18] 로마 시대의 ''비블리오테카''와 디오도로스 시켈로스(기원전 90–27년경) (5.72.5) 역시 이에 동의했다. 그리스 문학 선집 6권의 시에서도 에일레이티이아를 헤라의 딸로 언급한다.[19]
그러나 서기 2세기의 파우사니아스는 현재는 소실된 다른 초기 자료를 인용하며 다른 설명을 제시했다. "리키아의 올렌은 초기의 시인으로, 델리안을 위해 여러 찬송가를 지었고, 그 중 하나가 에일레이티이아에게 바치는 것이었는데, 그녀를 '영리한 베 짜는 자'로 칭하며, 분명히 그녀를 운명의 여신과 동일시하여 그녀를 크로노스보다 더 오래된 존재로 만들었다."[20] 가이아의 막내아들인 크로노스는 티탄 1세대의 신이자 제우스의 아버지이다. 마찬가지로 신화 작가 핀다로스(기원전 522–443년) 역시 에일레이티이아를 헤라의 딸로만 언급하고 제우스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 깊이 생각하는 운명의 여신들 옆에 앉아 있는 엘레이투이아여, 자손을 낳는 당신, 힘이 넘치는 헤라의 딸이여, 내 말을 들어주소서.
> 일곱 번째 네메아 송가, 1행, 다이앤 아르슨 스바를리엔 번역, 1990
후기 고대 그리스 시대에 대해 발터 부르케르트는 "그녀는 아르테미스와 헤라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만, 독자적인 성격을 발전시키지 못했다"고 주장한다.[21] 프로티라이아(Prothyraia)에게 바치는 오르페우스 찬가에서는 처녀신 아르테미스에게 출산의 여신과 관련된 수식어를 부여하여, 신성한 사냥꾼을 "출산 중인 여성들을 돕는 자"로 만들었다.[22]
> 노동의 고통으로 몸이 찢어지고 고통스러울 때,
> 성별은 당신을 간구하며, 영혼의 확실한 안식을 구하나니;
> 이는 당신 에일레이티이아만이 고통을 덜어줄 수 있기 때문이며,
> 기술은 완화하려 애쓰지만 헛될 뿐이라네.
> 아르테미스 에일레이티이아, 존경스러운 힘이여,
> 노동의 끔찍한 시간 동안 안도를 가져다주소서.
> 오르페우스 찬가 2, 프로티라이아에게, 토마스 테일러 번역, 1792
에일레이티이아는 고전 그리스 예술에서 출산을 돕는 모습으로 가장 흔하게 묘사된다. 제우스의 머리에서 아테나가 탄생하는 장면을 묘사한 그림에서는, 두 명의 에일레이티아이가 손을 현현의 자세로 들어 올린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기원전 4세기의 두러스의 미녀 대형 모자이크에는 여성의 머리 부분이 그려져 있는데, 이는 에일레이티이아 여신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된다.[23] 칼리마코스의 단편에서는 에일레이티이아가 자신의 친자매인 헤베가 헤라클레스와의 사이에서 알렉시아레스와 아니케투스를 낳을 때 출산을 돕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24]
4. 숭배
출산의 주요 여신으로서 아르테미스와 함께, 에일레이티이아는 신석기 시대부터 로마 시대까지 그리스의 많은 지역에 수많은 신전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임산부와 그 가족에게 그녀가 매우 중요했음을 나타낸다.[25]
4. 1. 주요 숭배 지역
출산의 주요 여신으로서 아르테미스와 함께 숭배된 에일레이티이아는 신석기 시대부터 로마 시대까지 그리스의 많은 지역에서 신전을 가졌다. 이는 임산부와 그 가족에게 그녀가 매우 중요했음을 보여준다.[25] 사람들은 다산과 안전한 출산을 위해 기도하고 제물을 바쳤으며, 성공적인 출산에 대한 감사를 표하기도 했다.[26] 신전에서 발견된 아이들을 묘사한 테라코타 제물 조각상들은 에일레이티이아가 부모들이 아이들의 보호와 양육을 위해 기도했던 쿠로트로포스로서의 성격을 가진 신이었음을 시사한다.[26] 그녀는 아르테미스 및 헤카테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특히 헤카테와는 숭배에서 강한 지하 세계적 요소를 공유했다.[26]칼리마코스는 진통 중인 여성이 출산의 고통을 덜고 출산을 촉진하기 위해 에일레이티이아를 부르는 찬가를 기록했다.[28] 그는 "그러니 다시, 에일레이티이아, 키카이니스가 부를 때 오셔서 그녀의 고통을 편안한 출산으로 축복해 주세요. 향기로운 신전이 지금 소녀를 위한 이 제물처럼, 앞으로 아들을 위한 다른 제물을 갖게 되기를 바랍니다." (칼리마코스, 에피그램 54)라고 썼다.[28]
에일레이티이아 숭배의 증거는 그리스 전역과 그 외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 '''크레타''': 크노소스 항구 근처 아미소스에 위치한 에일레이티이아 동굴은 ''오디세이'' (xix.189)에도 언급될 정도로 유명했으며, 에일레이티이아의 출생지로 여겨졌다.[40] 이 동굴에서는 신석기 시대부터 로마 시대까지 숭배가 지속되었음을 보여주는 다양한 기원물이 발견되었다.[42] 특히 이곳에서는 여신의 이중적 모습(출산을 촉진하고 지연시키는 역할)을 연상시키는 종유석이 있으며,[42] 지하의 포세이돈을 의미하는 Ἐννοσίδας|엔노시다스grc 숭배와도 관련이 있었다.[44] 크노소스에서 발견된 선문자 B 파편에는 Ἐλευθία|엘레우티아grc라는 이름으로 그녀가 언급되며, 신전에 꿀 항아리가 봉헌되었다는 기록이 있다.[43] 고전 시대에는 크레타 도시 라토와 엘레우테르나에도 에일레이티이아 신전이 있었고, 이나토스에는 신성한 동굴이 있었다. 이나토스 성소에서는 기원전 7세기로 추정되는, 젖을 먹이거나 임신한 모습을 한 작은 테라코타 조각상들이 발견되었다.[25]
- '''델로스 섬''': 호메로스 찬가에 따르면, 헤라는 레토가 아폴론과 아르테미스를 낳는 것을 막기 위해 북쪽 히페르보레아에서 오던 에일레이티이아를 붙잡아 두었다. 다른 여신들이 이리스를 보내 에일레이티이아를 데려오자 비로소 출산이 시작되었다고 한다.[18] 델로스에는 에일레이티이아에게 헌정된 신전이 있었고, 겨울 축제인 '에일레이티이에아'에서 숭배되었다.[47]
- '''아카이아''': 파우사니아스는 아이기온에 에일레이티이아의 고대 신전이 있다고 기록했다. 신전의 조각상은 머리부터 발끝까지 고운 옷으로 덮여 있었고, 얼굴과 손발은 펜텔릭 대리석으로, 나머지는 나무로 만들어졌다. 한 손은 뻗고 다른 손에는 횃불을 들고 있었는데, 파우사니아스는 횃불이 여성의 출산 고통(불과 같음) 또는 아이들을 빛으로 인도하는 여신의 역할을 상징한다고 추측했다.[29] 그는 또한 부라[30]와 펠레네에도 에일레이티이아 신전이 있었다고 언급했다.[31]
- '''아르카디아''': 파우사니아스는 클레이토르[32]와 테게아[33]에 여신에게 바쳐진 신전이 있었다고 묘사했다. 클레이토르에서는 데메테르, 아스클레피오스와 함께 가장 중요한 신 중 하나로 숭배받았다.[32]
- '''아르골리스''': 아르고스에는 헬레네가 테세우스에게서 구출되어 라케다이몬으로 돌아가던 중 딸을 낳고 세웠다는 에일레이티이아 신전이 있었다는 전승이 있다.[35] 파우사니아스는 미케네에도 신전이 있었으며, 마세스에는 중요한 신전이 있어 매일 희생 제물과 향을 바쳤다고 기록했다. 마세스의 신전 신상은 여사제 외에는 볼 수 없었다.[36]
- '''아테네''': 고대 에일레이티이아 성상들이 있었는데,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하나는 크레타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한다.[38] 프뤼타네이온(시청) 근처에 신전이 있었으며, 아테네인들은 그녀가 히페르보레오스에서 델로스로 와 레토의 출산을 도왔다고 믿었다. "[아테네의 프뤼타네이온, 즉 시청 근처]에는 에일레이티이아 신전이 있는데, 그들은 그녀가 히페르보레오스에서 델로스로 와서 레토의 출산을 도왔다고 한다. 그리고 그 이름이 델로스에서 다른 민족들에게 퍼졌다. 델로스인들은 에일레이티이아에게 희생을 바치고 올렌의 찬가를 부른다. 그러나 크레테인들은 에일레이티이아가 크노소스 영토의 아므니소스 [크레테]에서 태어났으며, 헤라가 그녀의 어머니라고 생각한다. 아테네 사람들 사이에서만 에일레이티이아의 나무 조각상이 발까지 가려져 있다. 여자들은 나에게 두 개는 크레테 조각상이며, 신화 속 크레테의 미노스 왕의 딸인 파이드라가 바친 것이고, 세 번째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에리시크톤 [초기 아테네 왕]이 델로스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말했다."[38]
- '''코린토스''': 파우사니아스는 아크로코린토스에서 산길로 접어들면 테네아티스 문과 에일레이티이아 신전이 보인다고 언급했다.[39]
- '''올림피아''': 파우사니아스가 본 고대 신전에는 도시의 뱀 수호신인 소시폴리스와 에일레이티이아가 함께 모셔져 있었다. 이곳에서는 처녀 여사제가 꿀을 섞은 보리와 물로 뱀을 돌보는 의식이 행해졌는데, 이는 엘리스인들이 아르카디아 군대의 위협을 받을 때 아기를 안은 노파가 나타나 아기를 뱀으로 변하게 하여 적을 물리쳤다는 전설과 관련이 있다.[20]
- '''스파르타''': 아르테미스 오르시아 신전 근처에 에일레이티이아 신전이 있었는데, 델포이의 신탁에 따라 세워졌다고 전해진다.[51][25] 파우사니아스는 "오르시아 신전[스파르타(Sparta), 라케다이몬(Lakedaimon)의 아르테미스 신전]에서 멀지 않은 곳에 에일레이티이아 신전이 있다. 그들은 이 신전을 짓고 델포이(Delphoi)의 신탁 때문에 여신 에일레이티이아를 숭배하게 되었다고 한다."라고 기록했다.[51]
- '''키클라데스 제도''': 파로스 섬의 쿤나도스 산 남쪽 동굴에서도 에일레이티이아 숭배가 이루어졌다. 이곳에서 발견된 도기, 청동 조각, 대리석판 등은 그리스 암흑기부터 로마 시대까지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며, 남녀의 다산을 기원하는 장소였을 것으로 추정된다.[26][50]
- '''에레트리아''': 고고학자들은 체육관 북서쪽에서 에일레이티이아에게 헌정된 신전을 발견했다.[48]
4. 2. 숭배 의식
에일레이티이아는 출산의 주요 여신으로 아르테미스와 함께 숭배받았다. 신석기 시대부터 로마 시대까지 그리스 곳곳에 그녀의 신전이 세워졌는데, 이는 임산부와 그 가족에게 에일레이티이아가 얼마나 중요한 존재였는지 보여준다.[25] 사람들은 다산과 안전한 출산을 기원하거나 성공적인 출산에 감사하며 기도하고 제물을 바쳤다.[26] 신전에서 발견된 아이를 묘사한 테라코타 제물 조각상은 에일레이티이아 숭배의 고고학적 증거이다. 또한 에일레이티이아에게 바쳐진 성지들은 그녀가 부모들이 자녀의 보호와 양육을 위해 기도하는 쿠로트로포스(아이 양육자) 신이기도 했음을 시사한다.[26]고대 그리스 사회에서 산파는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모든 계층의 여성이 산파가 될 수 있었는데, 경험적 훈련만 받았거나 산부인과 및 부인과에 대한 약간의 이론적 지식만 갖춘 노예 출신 산파도 많았다.[27] 반면, 더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산파는 주로 상류층 출신이었으며, iatrenesgrc(여성 질환 의사)라 불리며 의사로서 존경받았다.[27]
진통 중인 여성들은 출산의 고통을 덜고 순산을 돕기 위해 에일레이티이아의 이름을 불렀다. 시인 칼리마코스는 다음과 같은 찬가를 남겼다.[28]
:그러니 다시, 에일레이티이아, 키카이니스가 부를 때 오셔서 그녀의 고통을 편안한 출산으로 축복해 주세요. 향기로운 신전이 지금 소녀를 위한 이 제물처럼, 앞으로 아들을 위한 다른 제물을 갖게 되기를 바랍니다.
— 칼리마코스, 《에피그램 54》 (Mair 번역)
에일레이티이아는 여신 아르테미스 및 헤카테와도 깊은 관련이 있었다. 특히 헤카테와는 숭배 의식에서 강한 지하 세계적 요소를 공유했다.[26]
5. 다른 신들과의 관계
에일레이티이아와 관련된 가장 유명한 이야기는 아폴론과 아르테미스 남매의 출산이다. 제우스와 관계하여 쌍둥이를 임신한 레토를 질투한 헤라는 세상의 모든 땅에게 레토가 출산할 장소를 제공하지 못하도록 명령했다. 만삭의 레토는 결국 뿌리내리지 않고 바다 위를 떠다니는 델로스 섬에 몸을 의탁하게 되었다. 헤라는 딸인 에일레이티이아에게 레토의 출산을 방해하도록 지시했고, 이 때문에 레토는 극심한 진통 속에서도 아이를 낳지 못했다. 이 사실을 안 제우스는 전령의 여신 이리스를 보내 에일레이티이아를 레토에게 데려가도록 했고, 에일레이티이아의 도움으로 레토는 무사히 아폴론과 아르테미스를 낳을 수 있었다.
또한, 에일레이티이아는 헤라클레스의 어머니인 알크메네의 출산을 방해하기도 했다. 제우스의 아이를 임신한 알크메네의 출산이 임박하자, 이를 못마땅하게 여긴 헤라는 다시 에일레이티이아에게 출산을 방해하라고 명령했다. 알크메네는 7일 밤낮으로 진통에 시달리며 죽을 지경에 이르렀다. 이때 알크메네의 시녀인 갈린티아스가 기지를 발휘하여 "아이가 태어났다!"고 거짓으로 외쳤다. 깜짝 놀란 에일레이티이아가 자세를 풀자, 그 틈에 알크메네는 무사히 헤라클레스를 낳았다. 이후 갈린티아스는 헤라의 분노를 사 족제비로 변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출산의 주요 여신으로서 에일레이티이아는 아르테미스와 함께 신석기 시대부터 로마 시대까지 그리스의 여러 지역에 많은 신전을 가졌다. 이는 임산부와 그 가족들에게 그녀가 매우 중요한 존재였음을 보여준다.[25] 사람들은 다산과 안전한 출산을 위해 기도하고 제물을 바쳤으며, 성공적인 출산에 대한 감사를 표했다.[26] 신전에서 발견된, 아이들을 묘사한 테라코타 제물 조각상들은 에일레이티이아에게 바쳐진 성지가 있었음을 증명한다. 이는 그녀가 부모들이 아이들의 보호와 양육을 위해 기도했던 쿠로트로피아적 성격의 신이었음을 시사한다.[26] 고대 그리스 사회에서 산파는 필수적인 역할을 했으며, 모든 계층의 여성이 이 직업에 종사했다. 많은 산파는 경험적 훈련만 받았거나 산부인과 및 부인과에 대한 약간의 이론적 지식만 갖춘 노예였다.[27] 더 높은 교육을 받은 산파들은 주로 상류층 출신으로, iatrenes|이아트레네스grc 또는 여성 질환 의사로 불리며 의사로서 존경받았다.[27]
에일레이티이아는 출산의 고통을 덜고 순산을 돕기 위해 진통 중인 여성들이 부르는 여신이었다. 칼리마코스는 에피그램 54에서 다음과 같은 찬가를 기록했다:[28] "그러니 다시, 에일레이티이아, 키카이니스가 부를 때 오셔서 그녀의 고통을 편안한 출산으로 축복해 주세요. 향기로운 신전이 지금 소녀를 위한 이 제물처럼, 앞으로 아들을 위한 다른 제물을 갖게 되기를 바랍니다."
에일레이티이아는 여신 아르테미스 및 헤카테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특히 헤카테와는 숭배에서 강한 지하 세계적 요소를 공유했다.[26]
참조
[1]
서적
A comprehensiv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books.google[...]
Boston
1871
[2]
문서
Nilsson Vol I, p. 313
[3]
문서
Gantz, pp. 82–83
[4]
서적
Die Minoische Kultur des alten Kreta
Kohlhammer Verlag
1967
[5]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6.20
http://www.perseus.t[...]
[6]
웹사이트
The Linear B word e-re-u-ti-ja
http://www.palaeolex[...]
[6]
웹사이트
e-re-u-ti-ja
http://minoan.deadit[...]
Deaditerranean
2014-03-13
[7]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2009
[8]
문서
Nilsson Vol I, p. 313
[9]
서적
Contributions to the Science of Mythology
Kessinger Publishing
2003
[10]
서적
Greek Relig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5
[11]
문서
Nilsson, Vol I, p. 312
[12]
문서
"Cretan dialect 'Eleuthia' would connect Eileithyia (or perhaps the goddess "[[Eleutheria]]") to [[Eleusis]]"
[13]
서적
Die Minoische Kultur des alten Kreta
W. Kohlhammer
1967
[14]
문서
Nilsson Vol I, p. 312
[15]
간행물
Cretan Eileithyia
1958
[16]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16]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17]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17]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18]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19]
웹사이트
Greek Anthology
https://www.perseus.[...]
[20]
웹사이트
6.20.
https://www.perseus.[...]
[21]
서적
Greek religion: archaic and classical
http://worldcat.org/[...]
Blackwell
1987
[22]
서적
The Greek Myths
1955
[23]
웹사이트
Coin with "The Beauty of Durrës"
http://www.bankofalb[...]
Bank of Albania
2012-03-05
[24]
문서
Callimachus Fr. 524: ''{{lang|grc|Εἰνατίην ὁμόδελφυν ἐπ᾿ ὠδίνεσσιν ἰδοῦσα}}''
[25]
서적
Girls and Women in Classical Greek Religion
Routledge
[26]
PhD
Childbirth Votives and Rituals in Ancient Greece
University of Cincinnati
2007
[27]
간행물
Midwifery in ancient Greece, midwife or gynaecologist-obstetrician?
2014
[28]
간행물
Epigrams
http://dx.doi.org/10[...]
2021-12-05
[29]
문서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7. 23. 5
[30]
문서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7. 25. 9
[31]
문서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7. 27. 7
[32]
문서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8. 21. 3
[33]
문서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8. 48. 7
[34]
서적
The Plays and Fragm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문서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2. 22. 6
[36]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37]
웹사이트
8.48.7
https://www.perseus.[...]
[38]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39]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40]
서적
Odyssey
http://data.perseus.[...]
[41]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Amni'sus
Walton and Maberly
[42]
문서
Amnisos
[43]
서적
Greek Relig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4]
서적
https://books.google[...]
[45]
서적
https://books.google[...]
[46]
서적
https://books.google[...]
[47]
간행물
Greek Ritual Begging in Aid of Women's Fertility and Childbirth
1974
[48]
뉴스
Ancient Gymnasium Uncovered on Greek Island of Evia
https://www.archaeol[...]
[49]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50]
간행물
Ritual and the Performance of Identity: Women and Gender in the Ancient World
2009
[51]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52]
서적
On the Syrian Goddess
[53]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54]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