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기 (불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기(緣起)는 산스크리트어 '프라티트야 삼무파다'를 번역한 말로, 불교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이다. 이는 인과 연에 의해 모든 현상이 상호 의존적으로 발생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고타마 붓다의 깨달음의 핵심 내용을 이룬다. 연기법은 12연기설로 구체화되어 무명에서 시작하여 노사(늙음과 죽음)에 이르는 윤회의 과정을 설명하며, 불교의 여러 종파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대승불교에서는 공(空) 사상과 결합하여 모든 현상의 자성이 없음을 강조하며, 중관파, 유식유가행파, 여래장 사상, 화엄종, 밀교 등 각 종파의 철학적 기반이 된다. 현대 사회에서는 개인, 사회, 자연의 상호 의존성을 강조하며, 다양한 문제 해결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가르침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 사상 - 아라한
    아라한은 불교에서 깨달음을 얻어 존경받는 성자를 뜻하는 말로, 부파불교 이후 부처와 구분되어 제자들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로 여겨지며, 대승불교에서 그 개인적 해탈 추구가 폄하되기도 하지만 숭배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 등 불교 전통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불교 사상 - 사향사과
    사향사과는 초기 불교 경전에서 영적 성취 수준에 따라 불교 수행자를 수다원, 일래자, 불환자, 아라한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용어이며, 수행과 결과에 따라 8가지 종류로 세분화된다.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연기 (불교)
불교 교리
종류불교의 근본 교리
산스크리트어प्रतीत्यसमुत्पाद (pratītyasamutpāda)
팔리어पटिच्चसमुप्पाद (paṭiccasamuppāda)
영어dependent origination, dependent arising, interdependent co-arising, conditioned arising 등
한자緣起
한국어연기
로마자 표기yeongi
티베트어རྟེན་ཅིང་འབྲེལ་བར་འབྱུང་བ་ (ten-ching drelwar jungwa)
신할라어පටිච්ච සමුප්පාදය (paṭiccasamuppāda)
태국어ปฏิจจสมุปบาท (patitcha samupabat)
상세 내용
의미모든 존재는 서로 의존하며, 조건적으로 발생한다는 불교의 근본 교리
설명'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기므로 저것이 생긴다.'
'이것이 없으므로 저것이 없고, 이것이 멸하므로 저것이 멸한다.'
관련 개념인과 관계, 업, 윤회
참고도미노 현상은 불교에서 'A로 인해 B가 발생한다'는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
관련 용어
차연성'이것을 인연으로 한다'는 의미

2. 용어

산스크리트어 프라티트야 삼무파다(प्रतीत्यसमुत्पाद pratītyasamutpādasa)를 뜻에 따라 번역한 것으로 '''인연생기'''(因緣生起: 에 의지하여 생겨남, 인연따라 생겨남)의 준말이다.[187] 한역(漢譯) 경전에서는 '''발랄저제야삼모파다'''(鉢剌底帝夜參牟播陀)로 음차하여 표기한 경우도 있다.[187]

프라티트야(pratītyasa)의 사전적인 뜻은 '의존하다'이고 삼무파다(samutpāda)의 사전적인 뜻은 '생겨나다 '''·''' 발생하다'이다.

연기(緣起), 인연생기(因緣生起), 즉 '프라티트야 삼무파다'는 영어권에서는 dependent arising (의존하여 생겨남)[193], conditioned genesis (조건지워진 생성), dependent co-arising (의존된 상호발생)[194][195], 또는 interdependent arising (상호의존하여 생겨남)[196] 등으로 번역되고 있다.

불교 용어로서의 용법 외에도,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이와나미 불교 사전』은 이러한 뜻은 불교 용어로서의 "연기"가 전용되어 생겨났다고 한다.[179]

# 사찰, 불상, 경전 등의 유래나 연혁.[179] 사찰 연기, 연기 그림 두루마리, 연기장 등.

# 길흉이나 행복, 불행의 인유(因由)나 전조.[179][186]징크스를 치다」, "연기가 좋다", "연기가 나쁘다", 연기물, 액땜, 연기 선반 등.

3. 우주 법칙으로서의 연기법

《잡아함경》 제12권 제299경 〈연기법경(緣起法經)〉에 따르면, 연기법(緣起法)은 고타마 붓다나 다른 깨달은 이가 만든 것이 아니라, 법계(우주)에 본래부터 항상 존재하는[常住] 법칙이다.[187] 여래(如來)들은 이 우주 법칙을 완전히 깨달은 후, 다른 이들도 깨달을 수 있도록 12연기설 등의 형태로 세상에 드러낸 것이다.[187]

고타마 붓다가 보리수 밑에서 깨달은 내용은 연기의 이법(理法)이며, 불교의 근본 진리이자 세계관, 인생관을 이룬다.[189] 연기는 불교에만 국한되는 진리가 아니라 영원히 변하지 않는 절대적이고 보편타당한 객관적 진리이며, 법(法, 다르마)이라는 낱말에는 이러한 우주 법칙 또는 우주적 진리로서의 의미도 포함된다.[189]

그러므로 "연기(緣起)를 보는 자는 법을 본다. 법을 보는 자는 연기를 본다" 또는 "연기를 보는 자는 법을 본다. 법을 보는 자는 부처를 본다"라고 말한다.[189] 즉, 진리로서의 연기를 올바로 보게 된다면 불교를 이해한 것이 된다.

4. 연기와 삼법인·사법인

연기의 법칙은 삼법인(三法印)이나 사법인(四法印)의 교의와 관련이 있다. 제행무상(諸行無常)에 따르면 모든 현상은 끊임없이 생멸변화하고 있으며, 제법무아(諸法無我)에 따르면 존재하는 것은 다른 것과의 관계 없이 고립되어 있는 것이 하나도 없으며, 모든 것은 시간적, 공간적으로 상호 관련되어 있다. 일체개고로서 현실의 방황하는 인생도 고정된 것이 아니며 지혜에 의한 올바른 실천으로 욕망을 없앰으로써 이상(理想)으로서의 열반적정(涅槃寂靜)의 경지가 실현될 수 있다.[189]

이러한 무상이며 무아인 모든 현상이 변화하고 서로 관계를 맺는 양상은 무궤도적인 것이 아니라, 관계 변화의 법칙에 따라 생멸하며 변화한다. 그 변화의 법칙이 연기의 법칙이다. 연기의 법칙은 전형적으로 "이것이 있으면 그것이 있고, 이것이 없으면 그것도 없는 것이다. 이것이 생김으로써 그것이 생기고, 이것이 멸함으로써 그것도 멸한다"라는 말로 표현된다.[189]

5. 연기와 공·중도

불교, 특히 대승불교의 공 사상(空思想)에서는 (空)을 관조하는 것이 곧 연기(緣起)의 법칙을 보는 것이며, 진실한 세계인 중도(中道)의 진리에 눈을 뜨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은 대승불교 실천의 기초가 된다. 이는 대승경전 중 《반야경》(般若經)과 이에 입각하여 용수(龍樹)가 저술한 논서인 《중론》(中論)에서 명백하게 밝혀져 있다.[192]

《중론》 제24장 〈관사제품〉(觀四諦品)에는 다음과 같은 인연소생법(因緣所生法: 법·존재 또는 현상은 인과 연에 의해 생겨난다) 게송이 있다.

6. 12연기

12연기는 연기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대표적인 형식으로, 중생이 윤회하며 고통받는 과정을 12가지 단계로 설명한다. 각 단계는 서로 조건이 되고 의존하는 관계를 맺고 있으며, 한 단계가 사라지면 다음 단계도 사라지는 방식으로 윤회의 고리를 끊을 수 있다.[179]

잡아함경 제12권 제299경 〈연기법경(緣起法經)〉에서 고타마 붓다는 연기법은 자신이나 다른 깨달은 이가 만들어 낸 것이 아니며 법계(우주)에 본래부터 항상 존재하는[常住] 법칙이라고 말한다. 고타마 붓다는 연기법은 자신이 만든 것이 아니며, 여래가 세상에 나타나든 나타나지 않든 법계는 항상 존재한다고 말하며, 스스로 이 법을 깨닫고 중생을 위해 가르침을 펼쳤을 뿐이라고 설명한다.[180]

고타마 붓다가 보리수 밑에서 얻은 깨달음의 내용은 연기의 이법(理法)이라고 하며, 연기는 불교의 근본 진리이자 세계관 '''·''' 인생관을 이룬다. 연기는 고타마 붓다의 출세 '''·''' 불출세와 무관한 진리로서 불교에만 국한되는 진리가 아니라 영원히 변하지 않는 절대적 진리 '''·''' 보편 타당한 객관적 진리이며, 법(法 '''·''' 다르마)이라는 낱말에는 우주 법칙 또는 우주적 진리로서의 의미도 포함되어 있다.[189]

"연기(緣起)를 보는 자는 법을 본다. 법을 보는 자는 연기를 본다" 또는 "연기를 보는 자는 법을 본다. 법을 보는 자는 부처를 본다"라는 말처럼, 진리로서의 연기를 올바로 이해하면 불교를 이해한 것이 된다.[189]

연기의 법칙은 삼법인 또는 사법인 교의와 관련이 있다. 제행무상(모든 현상은 끊임없이 변화함), 제법무아(모든 존재는 고립된 것이 아니라 상호 관계 속에서 존재함), 일체개고(현실은 고통스럽지만, 지혜와 실천으로 욕망을 없애 열반적정의 경지를 실현 가능)와 관련된다.[189]

무상이며 무아인 모든 현상이 변화하고 서로 관계를 맺는 양상은 무궤도적인 것이 아니라, 관계 변화의 법칙에 따라 생멸하고 변화한다. 그 변화의 법칙이 연기의 법칙이며, "이것이 있으면 그것이 있고, 이것이 없으면 그것도 없는 것이다. 이것이 생김으로써 그것이 생기고, 이것이 멸함으로써 그것도 멸한다"라는 말로 표현된다.[189]

《빠짜야 숫타》(SN 12.20)와 상응하는 경전에 따르면,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다'는 법칙은 붓다에 의해 발견되는 것과는 무관하며, 물리학 법칙과 같다. 붓다가 이것을 발견하든 그렇지 않든, "이 근본적인 사실(''다투'', "원리")은 그대로 존재하며 (''티타''), 이 기본 패턴의 안정성 (''담마-티타타''), 이 기본 패턴의 규칙성 (''담마-니아마타'') 즉, 특정한 조건성 (''이다빠짜야타'')이 존재한다."[2][24][27]

비쿠 수자토는 연기의 안정성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을 "이것이 실재이며, 허구가 아니고, 다른 것도 아니다"로 번역한다.[25] SA 296의 중국어 병행 경전은 연기를 "법의 항구성, 법의 확실성, 법의 여실성, 진실에서 벗어남이 없고, 진실과 다름이 없으며, 현실성, 진리, 실재, 혼란 없음"으로 진술한다.[28] 조건성은 발견되고 이해된 다음 초월될 수 있는 "사물의 인과적 규칙성의 원리, 기본 패턴(담마)"이다.[2]

초기 불교 시대의 연기설은 고통받는 유정이 주제였기 때문에 십이지 연기 설이 대표적이었다.[179]

경전에 따르면 석가모니는, 사람들이 집착에 얽매여 연기성을 받아들이기 어려워한다고 말했다.

6. 1. 12연기의 내용

연기 용어: 팔리어(산스크리트어)SA에서 사용된 한자[58]번역[25][59][3][55][57]초기 자료에서 발견된 분석(vibhaṅga)
무명 (Avidyā, अविद्या)무명무지SN 12.2: "고통, 고통의 기원, 고통의 소멸, 고통의 소멸로 이끄는 수행의 길을 알지 못하는 것: 이것을 무명이라 하며, 행위 또는 구성 활동으로 이어진다."[50] SA 298 및 산스크리트어 Vibhaṅganirdeśa는 카르마와 그 결과, 삼보, 도덕적 선함, "내부와 외부", 순수함과 불순함, 인과적 조건에 의한 발생 등과 관련된 수많은 다른 주제에 대한 지식 부족을 추가로 설명한다.[54]
상카라 (Saṃskāra, संस्कार)의지적 형성, 조작,[50] 구성,[50] 선택SN 12.2: "신체적 조작, 언어적 조작, 정신적 조작의 세 가지 조작이 있으며, 이것들을 조작이라고 한다."[50] SA 298은 동일한 세 가지 유형을 포함한다.[60]
비냐나 (Vijñāna, विज्ञान)의식, 식별, 감각 의식SN 12.2와 SA 298은 모두 눈, 귀, 코, 혀, 신체, 지성(또는 마음)의 의식으로 6가지 유형의 의식이 있다는 데 동의한다.[60][50]
명색 (Nāmarūpa, नामरूप)명 색명과 형, 정신과 육체, 몸과 마음SN 12.2: "느낌, 지각, 의도, 접촉, 주의: 이것을 명이라고 한다. 4대 요소, 그리고 4대 요소에 의존하는 몸: 이것을 형이라고 한다." SA 298과 산스크리트어 Vibhaṅganirdeśa는 다른 네 가지 스칸다(느낌, 지각, saṃskāra, 의식)로 명을 다르게 정의한다.[55][62]
육입 (Saḷāyatana, ṣaḍāyatana, षडायतन)육 입 처6가지 감각 기반, 감각 근원, 감각 매체SN 12.2와 SA 298은 모두 눈, 귀, 코, 혀, 몸, 마음(지성)의 감각 기반을 의미한다는 데 동의한다.[63][50]
파사 (Phassa, Sparśa, स्पर्श)접촉,[64] 감각, "만짐"SN 12.2와 SA 298은 객체, 감각 매체, 해당 감각 매체의 의식이 함께 만나는 것을 접촉이라 부른다는 데 동의하며, 여섯 가지 해당 형태의 접촉이 있다.[63]
베다나 (Vedanā,वेदना)느낌, 감각, 쾌락적 음색SN 12.2는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지적 감각(생각)의 여섯 가지 베다나를 정의한다. 베다나는 내부 감각 기관이 외부 감각 대상 및 관련 의식과 접촉할 때 발생하는 즐겁고, 불쾌하고/또는 중립적인 느낌으로 설명된다(SA 298, Vibhaṅganirdeśa, 기타 팔리어 경전). 팔리어와 중국 자료 모두에서 두 가지 느낌에 대한 정의에 동의한다.[65]
갈애 (Taṇhā, tṛṣṇā, तृष्णा)갈망, 욕망, 탐욕, "갈증"SN 12.2: "형상, 소리, 냄새, 맛, 촉각적 감각, 생각에 대한 갈망의 여섯 가지 갈망 종류가 있으며, 이것을 갈망이라고 한다."[50] SA 276에도 여섯 가지 갈망 종류가 나타난다. SA 298과 Vibhaṅganirdeśa는 쾌락, 형상, 무형상에 대한 갈망의 세 가지 다른 유형의 갈망을 포함하며, SN에는 없지만 DN 3에 나타난다.[66] SN의 다른 곳에서는 쾌락(카마), 존재(바바), 비존재(비바바)에 대한 갈망의 세 가지 다른 유형의 갈망이 나타나며, 중국 SA에는 없지만 EA 49에서 찾을 수 있다.[67]
[취 (불교)|우파다나 (Upādāna, उपादान)']]집착, 움켜쥠, 지탱, 애착SN 12.2는 쾌락(카마), 견해(디티), 계율(실라바타, "계율과 수행"), 자아(아타바다)에 대한 집착의 네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고 말한다." SA 298은 처음 세 가지에 동의하지만, 네 번째로 "자아" 집착 대신 "자아 견해"에 대한 집착을 가진다.[68][50]
바바존재, 됨, 지속SN 12.2: "감각적 됨, 형상 됨, 무형상 됨의 세 가지 됨이 있다."[50] SA 298은 SN 12.2에 완전히 동의한다.[70] 팔리어 및 불교 용어 사전: "처음에는 마음에서 발전하여 내부 세계 및/또는 외부 수준의 세계로 경험할 수 있는 존재의 상태."[71]
[생 (불교)|자티 (Jāti, 불교)']]탄생, 윤회SN 12.2: "다양한 생명체의 탄생, 출생, 강하, 존재, 출현, 집합체 출현, (감각) 매체 획득을 탄생이라고 한다."[50] SA 298은 SN 12.2에 동의하고 다투스 획득과 생명력 획득의 두 가지 항목을 추가한다.[73]
노사 (Jarāmaraṇa)노 사노화 또는 쇠퇴, 죽음SN 12.2: "다양한 생명체의 노화, 쇠약, 파손, 회색화, 주름, 생명력 쇠퇴, 능력 약화를 노화라고 한다. 생명체의 사망, 소멸, 붕괴, 사라짐, 죽음, 시간의 완성, 집합체 붕괴, 몸 제거, 생명력 중단을 죽음이라고 한다."[50] SA 298은 일반적으로 동의하며, 몇 가지 더 유사한 설명을 추가한다.[73]


6. 2. 12연기에 대한 다양한 해석

초기 불교 경전에는 12연기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연기설이 나타난다. 충(Choong)의 《상응부(SN)》와 《잡아함경(SA)》 비교 연구에 따르면, 연기의 다양한 설명은 초기부터 존재했으며, 이는 서로 다른 시대와 청중에게 동일한 가르침을 다양한 방식으로 제시한 것이다.[95] 이러한 다양한 연기설은 점진적으로 발전한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다양한 형태로 존재했다.[95]

부파불교 시대에는 12연기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등장했다. 각 부파는 아비달마(논서)를 통해 12연기를 해석하고, 중생과 얽혀 번뇌와 고통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업감연기(業感緣起)를 주장했다.[179] 특히 설일체유부는 〈육인·사연·오과〉를 통해, 상좌부는 24연을 통해 연기설을 설명했다.[179]

현대 학자들 또한 연기 가르침을 다양하게 해석해왔다. 아잔 브람은 연기에 대한 완전하고 정확한 이해는 깨달은 존재, 즉 아리야만이 알 수 있다고 말한다.[104] 콜레트 콕스(Collett Cox)는 학계에서 연기를 "모든 현상에 적용 가능한 추상적 조건화의 일반적이고 논리적인 원리" 또는 "행위(업, karman)와 윤회의 과정에 대한 설명적 모델"로 해석한다고 한다.[139] 빅쿠 아날라요는 후기 불교 주석 문헌에서 12연관을 세 생애에 걸쳐 작용하는 것과 현재 순간에 작용하는 정신적 과정으로 보는 두 가지 모델을 제시하며, 이는 상호 보완적인 해석이라고 주장한다.[133]

7. 대승불교의 연기설

대승 불교에서는 연기 교리와 밀접하게 연관시켜, 모든 현상과 경험에 독립적인 정체성이 없다고 보았다. 이는 중관파 등 대승 불교 사상의 주요 흐름에서 특히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유식학파는 연기를 이상주의 철학으로 이해하여, 주체와 객체의 이원성을 환영으로 만들어내는 과정으로 보았다.

인도 대승 불교에서 연기에 관한 중요 경전 중 하나는 쌀 묘목 경(Śālistamba Sūtra)이다.[141] 이 경전은 쌀 씨앗과 싹의 비유를 통해 조건성을 설명하고, "연기를 보는 자는 법을 보고, 법을 보는 자는 부처를 본다"[141]는 구절을 담고 있다. 또한, 초기 불교 경전과 유사하게 12연기를 설명하며, 미륵의 형상, 환영(māyā) 개념, 법신 개념 등 독특한 요소도 포함한다.[142] 이 경전에 대한 여러 주석이 존재하며, 일부는 용수의 저작으로 알려져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142]

대승 불교에서는 부파 불교의 다양한 연기설을 비판적으로 계승하며, 독자적인 연기설을 발전시켰다.

7. 1. 중관파

용수(나가르주나)는 《중론》에서 연기를 (空)과 동일시하며, 모든 존재는 자성(自性)이 없으므로 연기한다고 주장했다.[179] 연기하는 것은 공(空)이며, 공(空)은 곧 중도(中道)이다.

마드야미카 철학에서 어떤 대상이 연기(緣起)적으로 생겨난다는 것은 그것이 "공(空)"(순야)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179] 나가르주나는 모든 현상(dharma, 법)은 스바바(자존성, 본질, 내재적 실체, 고유 존재 등으로 번역됨)가 공(空)하다고 보았다. 스바바는 자기 유지적이고, 원인적으로 독립적이며, 영구적인 정체성을 의미한다.[152][153]

나가르주나는 《반야경》의 영향을 받아 《중론》 등에서 설일체유부 등의 법유 (오위칠십오법) 설에 비판을 가하는 형태로, 유위법(현상)도 무위법(상주실체)도 포함하여, 철저한 상의성(상호 의존성)으로서의 연기, 이른바 상의성 연기(상의성 연기)를 설했다.

나가르주나에 따르면, 어떤 것이 자체적으로 본질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면 (따라서 고유한 원인력을 갖는다면) 변화와 연기는 불가능하다. 나가르주나는 "만약 사물이 본질 없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것이 존재하면 이것이 있을 것이다'라는 표현은 받아들여질 수 없을 것이다."라고 말한다.[153]

얀 웨스터호프(Jan Westerhoff)는 나가르주나가 원인과 결과가 "동일하지도 않고, 다르지도 않으며, 부분과 전체로 관련되지도 않고, 연속적이지도 않고, 동시적이지도 않으며, 겹치지도 않는다"고 주장한다고 지적한다. 나가르주나는 그러한 아이디어를 사용하는 원인성에 대한 모든 개념적 틀이 "원인과 결과가 자체 스바바(svabhāva)를 가지고 존재한다"는 잘못된 전제에 근거한다고 생각한다.[155]

7. 2. 유식유가행파

유식유가행파에서는 아뢰야식 연기가 설해졌다.[179] 아뢰야식, 말나식, 육식이 상호 인과 관계를 맺으며 전변(轉變)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법상종의 기의 『성유식론술기』에서는 아뢰야식으로부터 여러 법이 연기하는 '''뢰야 연기'''가 설해진다.

7. 3. 여래장 사상

여래장 사상에서는 현상 세계가 진여(여래장)가 나타난 것이라고 보며 '''진여연기'''(여래장연기)를 주장한다.[179]

7. 4. 화엄종

화엄종은 현상 세계를 진여(眞如)로 보는 '''법계연기(法界緣起)'''(중중무진연기, 重重無盡緣起)를 주장했다.[179] 법계연기는 모든 존재가 상호 의존적이며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에 있다는 사상이다.

화엄종에서는 연기를 기연설기(機緣說起)라는 의미로 해석했다.[177] 여기서 '기(機)'는 인간, 즉 중생을 의미하며, '연기(緣起)'는 사람의 소질에 따라 가르침을 일으킨다는 것을 의미한다.[177] 이를 연기인분(緣起因分)이라고 한다. 즉, 깨달음은 언어와 사유를 초월하여 말로 표현할 수 없지만, 중생의 근기(根機)에 맞춰 깨달음을 설명하는 것을 의미한다.

화엄종은 만물의 상호 함축과 상호 침투(圓融) 교리를 가르쳤으며, 이는 인드라망의 비유로 표현된다. 즉, 하나의 사물은 다른 모든 존재를 포함하고, 다른 모든 존재는 그 하나의 사물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철학은 화엄경과 화엄종 조사들의 저술에 기초한다.

틱낫한은 이 개념을 "당신은 혼자 존재할 수 없습니다. 당신은 다른 모든 것과 함께 상호 존재해야 합니다."라고 설명한다. 그는 종이 한 장을 예로 들어, 햇빛, 비, 나무, 사람, 마음 등 다른 모든 원인과 조건 때문에 종이가 존재할 수 있다고 말한다. 틱낫한에 따르면 "이 종이는 다른 모든 것이기 때문에 존재합니다."[172]

쏘걀 린포체는 모든 사물이 진정한 관계에서 이해될 때,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다른 모든 것과 상호 의존적이라고 말한다. 예를 들어 나무는 다른 어떤 것과도 분리될 수 없으며, 독립적인 존재가 없다고 설명한다.[172]

7. 5. 밀교

밀교에서는 육대연기(六大緣起)를 주장하며, 지(地), 수(水), 화(火), 풍(風), 공(空), 식(識)의 육대(六大)가 상호 작용하여 우주 만물을 구성한다고 보았다.[179] 육대는 각각 성질과 작용을 가지며 대일여래의 본질로서 실재하는 동시에, 세간의 생물이나 사물로서도 실재하여 상호 무애융통하면서 만법에 편재한다. 이러한 모습을 육대연기라고 부른다.[179] 구카이는 법계연기설을 바탕으로 육대연기설을 완성했다.[179]

참조

[1] 서적 The Notion of Ditthi in Theravada Buddhism: The Point of View. Routledge
[2] 논문 The Conditioned Co-arising of Mental and Bodily Processes within Life and Between Lives John Wiley & Sons
[3] 서적 Dependent Origination: the Buddhist Law of Causality
[4]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5] 서적 Causality: The Central Philosophy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6] 서적
[7] 서적
[8] 서적 An Introduction to Buddhist Philoso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Meditation on Emptiness Wisdom Publications
[10] 서적 Buddhism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1] 서적 American Buddhism as a Way of Life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2] 서적 Understanding Eastern Philosoph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3] 웹사이트 ऋग्वेद: सूक्तं ७.६८ https://sa.wikisourc[...]
[14] 서적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samutpada http://spokensanskri[...]
[16] 서적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Paticca-samuppada https://www.britanni[...] 2011-02-25
[18] 서적 Meditation on Emptiness https://books.google[...] Wisdom Publications
[19] 웹사이트 Dependent Arising/Tendrel http://nalandatransl[...] Nalanda Translation Committee
[20] 웹사이트 Dependent Origination https://www.buddhist[...]
[21] 웹사이트 Assutavā Sutta: Uninstructed (1) http://www.accesstoi[...] 2013-11-30
[22] 서적
[23] 서적
[24] 간행물 Dependent Arising
[25] 웹사이트 Paccayasutta SN 12.20 (SN ii 25) https://suttacentral[...]
[26] 웹사이트 Saṁyuktāgama 296 - The dharma of arising by causal condition and the dharmas arisen by causal condition (因緣法) https://suttacentral[...]
[27] 웹사이트 Paccaya Sutta: Requisite Conditions http://www.accesstoi[...] 2013-11-30
[28]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29]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30] 웹사이트 SN 12.10 translated by Bhikkhu Sujato https://suttacentral[...]
[31] 웹사이트 Mahānidānasutta DN 15 (DN ii 55) https://suttacentral[...]
[32] 서적 The Great Discourse on Causation - The Mahānidāna Sutta and Its Commentaries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 Sri Lanka
[33]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Otto Harrassowitz Verlag
[34] 웹사이트 Mahāhatthipadopamasutta MN 28 (MN i 184) https://suttacentral[...]
[35] 서적
[36] 문서 Gombrich 2009
[37]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2000
[38]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2000
[39] 웹사이트 Kaccānagottasutta SN 12.15 SN ii 16, translated by Bhikkhu Sujato https://suttacentral[...]
[40] 웹사이트 Kaccayanagotta Sutta: To Kaccayana Gotta (on Right View), SN 12.15 PTS: S ii 16 https://www.accessto[...] 1997
[41] 간행물 '"Dependent Origination = Emptiness"—Nāgārjuna’s Innovation? An Examination of the Early and Mainstream Sectarian Textual Sources'
[42] 서적 The Great Discourse on Causation - The Mahānidāna Sutta and Its Commentaries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 Sri Lanka 1995
[43] 서적 The Continuity of Madhyamaka and Yogācāra in Indian Mahāyāna Buddhism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44] 서적 The Continuity of Madhyamaka and Yogācāra in Indian Mahāyāna Buddhism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45] 웹사이트 Paticca-samuppada http://www.britannic[...] 2011-02-25
[46] 서적 An Introduction to Buddhism: Teachings, History and Practic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7] 서적 A Buddhist Spectrum https://books.google[...] World Wisdom
[48] 서적 A Companion to Buddhist Philosoph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49] 웹사이트 The Four Nutriments of Life: An Anthology of Buddhist Texts http://www.accesstoi[...] 2013-11-30
[50] 웹사이트 Paticca-samuppada-vibhanga Sutta: Analysis of Dependent Co-arising http://www.accesstoi[...] 2013-11-30
[51] 웹사이트 Transcendental Dependent Arising: A Translation and Exposition of the Upanisa Sutta http://www.accesstoi[...] 2013-12-01
[52]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53] 간행물 Buddhist Dependent Origina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1-02
[54]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2000
[55] 웹사이트 Pratītyasamutpādādivibhaṅganirdeśasūtram. https://www.ancient-[...]
[56] 웹사이트 Vibhaṅgasutta SN 12.2 - SN ii 2 https://suttacentral[...]
[57] 웹사이트 Teaching the Fundamental Exposition and Detailed Analysis of Dependent Arising - Pratītyasamutpādādivibhaṅganirdeśa, Toh 211, Degé Kangyur, vol. 62 (mdo sde, tsha), folios 123.a–125.b https://read.84000.c[...] 2020
[58]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2000
[59] 웹사이트 Requisite Conditions - Paccaya Sutta (SN 12:20) https://www.dhammata[...]
[60]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2000
[61] 웹사이트 Maha-nidana Sutta: The Great Causes Discourse https://www.accessto[...] 2013-11-30
[62]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2000
[63]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2000
[64] 웹사이트 Satipatthana Vipassana http://www.accesstoi[...] 2010-06-07
[65]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2000
[66]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2000
[67]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2000
[68]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2000
[69] 서적 General introduction [to the Samyutta Nikaya] Wisdom Publications 2000
[70]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2000
[71] 웹사이트 A Glossary of Pali and Buddhist Terms: bhava https://www.accessto[...] 2013-12-17
[72] 웹사이트 Bhava Sutta: Becoming (1) https://www.accessto[...] 2013-11-30
[73]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74] 문서 A note on paticcasamuppadda
[75]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76]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77]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78]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79]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80]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81] 간행물 Dukkhasamudayasutta SN 35.106 (SN iv 86) https://suttacentral[...]
[82]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83]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84] 웹사이트 Can Dependent Origination Be Saved? https://secularbuddh[...]
[85] 간행물 Kalahavivādasutta Snp 4.11 (Snp 168) https://suttacentral[...]
[86] 간행물 Madhupiṇḍikasutta MN 18 (MN i 108) https://suttacentral[...]
[87] 간행물 The Great Discourse on Causation (Mahānidānasutta) DN 15 (DN ii 55) https://suttacentral[...]
[88] 간행물 Mahānidānasutta DN 15 (DN ii 55) https://suttacentral[...]
[89] 간행물 Mahāhatthipadopamasutta MN 28 (MN i 184) https://suttacentral[...]
[90] 서적 Causality: The Central Philosophy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91] 서적 Existence and Enlightenment in the Lankavatara-Sutra: A Study in the Ontology and the Epistemology of the Yogacara School of Mahayana Buddhism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92] 서적 Causality: The Central Philosophy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93] 문서
[94] 문서 The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in its Incipient Stage
[95] 서적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utranga Portion of the Pali Samyutta-Nikaya and the Chinese Samyuktagama Otto Harrassowitz Verlag
[96] 문서 The Spiral Path or Lokuttara Paṭicca-samuppāda
[97] 서적 The Great Discourse on Causation - The Mahānidāna Sutta and Its Commentaries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 Sri Lanka
[98] 간행물 Cetanākaraṇīyasutta AN 10.2 (AN v 2) https://suttacentral[...]
[99] 웹사이트 Chinese Spiral Path Texts from the Madhyāgama. http://www.jayarava.[...]
[100] 간행물 Upanisasutta SN 12.23 (SN ii 29) https://suttacentral[...]
[101] 간행물 Mahāsatipaṭṭhānasutta MN 10 MN i 55 https://suttacentral[...]
[102] 웹사이트 "The Guardians of the World" http://www.accesstoi[...] 2010-06-05
[103] 간행물 Mahātaṇhāsaṅkhayasutta MN 38 MN i 256 https://suttacentral[...]
[104] 문서
[105] 논문 Dependent Origination - The Indo-Tibetan Tradition.
[106] 서적 "The Great Discourse on Causation - The Mahānidāna Sutta and Its Commentaries"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 Sri Lanka
[107] 서적 A Comparative History of World Philosophy: From the Upanishads to Kant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08] 서적 Newton's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Legacy https://books.google[...] Springer
[109] 서적 Linguistic Approach to Buddhist Thought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10] 서적 "The Great Discourse on Causation - The Mahānidāna Sutta and Its Commentaries"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 Sri Lanka
[111] 서적 "The Great Discourse on Causation - The Mahānidāna Sutta and Its Commentaries"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 Sri Lanka
[112] 문서 Sarvāstivāda Abhidharma Centre of Buddhist Studies, The University of Hong Kong
[113] 문서 Sarvāstivāda Abhidharma Centre of Buddhist Studies, The University of Hong Kong
[114] 문서 Sarvāstivāda Abhidharma Centre of Buddhist Studies, The University of Hong Kong
[115] 서적 "The Theravada Abhidhamma. Its Inquiry into the Nature of Conditioned Reality" Centre of Buddhist Studies, The University of Hong Kong
[116] 서적 "The Theravada Abhidhamma. Its Inquiry into the Nature of Conditioned Reality" Centre of Buddhist Studies, The University of Hong Kong
[117] 서적 "The Great Discourse on Causation - The Mahānidāna Sutta and Its Commentaries"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 Sri Lanka
[118] 문서
[119] 문서 In the Mahatanhasankhaya Sutta the Buddha [stresses] that things originate in dependence upon causal conditioning, and this emphasis on causality describes the central feature of Buddhist ontology. All elements of samsara exist in some sense or another relative to their causes and conditions.
[120] 서적 Philosophy of Religion for a New Century: Essays in Honor of Eugene Thomas Long https://books.google[...] Springer
[121]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122] 문서 Sammādiṭṭhisutta MN 9 (MN i 46) https://suttacentral[...]
[123] 문서 Dependent Origination https://samita.be/wp[...]
[124] 문서
[125] 웹사이트 Unpopular facts about one of buddhist philosophys most popular doctrines http://asiapacific.a[...]
[126] 서적 In the Buddha's Words. Wisdom Publications
[127] 서적 In the Buddha's Words. Wisdom Publications
[128] 서적 Indian Buddhism, 3rd Ed. Delhi: Motilal Banarsidass
[129] 서적 Buddhaddhamma: Natural Laws and Values for Life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30] 서적 Encyclopedia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131] 문서 "A History of Indian Buddhism: From Śākyamuni to Early Mahāyāna"
[132] 서적 "The Great Discourse on Causation - The Mahānidāna Sutta and Its Commentaries"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 Sri Lanka
[133] 서적 "The Great Discourse on Causation - The Mahānidāna Sutta and Its Commentaries"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 Sri Lanka
[134] 서적 Dependent Origination: the Buddhist Law of Conditionality http://www.dhammatal[...]
[135] 문서 Buddhadasa. Theravada Buddhism and Modernist Reform in Thailand http://www.washingto[...]
[136] 서적 Paving the Great Way: Vasubandhu's Unifying Buddhist Philosophy Columbia University Press
[137] 문서 Abhidharmakosa
[138] 서적 "Early Buddhism: A New Approach : the I of the Beholder" Psychology press
[139] 문서 "Dependent origination: Its elaboration in early Sarvastiva din Abhidharma texts." Delhi: Motilal Banarsidass
[140] 웹사이트 Paticcasamuppada: Practical Dependent Origination http://www.dhammatal[...]
[141] 논문 The Salistamba Sutra and Its Indian Commentaries Reviewed work(s): ''The Śālistamba Sūtra and Its Indian Commentaries by Jeffrey D. Schoening'' https://www.research[...]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1998
[142] 서적 The Śālistamba sūtra : Tibetan original, Sanskrit reconstruction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1993
[143] 논문 The Ontology of the Prajnaparamita Philosophy East and West 1953
[144] 학위논문 "“Chiasmus in the Early Prajñāpāramitā: Literary Parallelism Connecting Criticism & Hermeneutics in an Early Mahāyāna Sūtra”" 2012
[145] 서적 The Heart Sutra Explained: Indian and Tibetan Commentaries SUNY Press 1988
[146] 서적 The Heart Sutra Explained: Indian and Tibetan Commentaries SUNY Press 1988
[147] 서적 The Three Pure Land Sutras: A Study and Translation from Chinese Nagata Bunshodo 1995
[148] 서적 The Sutra of Queen Śrīmālā of the Lion’s Roar and The Vimalakīrti Sutra BDK America, Numata Center for Buddhist Translation and Research 2004
[149] 서적 The Lotus Sutra Numata Center for Buddhist Translation and Research 2007
[150] 웹사이트 Unraveling the Intent (Saṃdhinirmocana) Toh 106 Degé Kangyur, vol. 49 (mdo sde, tsha), folios 1.b–55.b. https://read.84000.c[...] 2020
[151] 서적 Studies in the Laṅkāvatāra Sūtra Motilal Banarsidass 1999
[152] 서적 Nagarjuna's Madhyamaka: A Philosophical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53] 논문 Dependent Arising and the Emptiness of Emptiness: Why Did Nāgārjuna Start with Causation? https://www.jstor.or[...] Philosophy East and West 1994-04
[154] 서적 Nagarjuna's Middle Way: Mulamadhyamakakarika Simon and Schuster 2013
[155] 서적 Nagarjuna's Madhyamaka: A Philosophical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56] 서적 Nagarjuna's Madhyamaka: A Philosophical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57] 서적 Nagarjuna's Madhyamaka: A Philosophical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58] 서적 Nagarjuna's Madhyamaka: A Philosophical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59] 서적 Nagarjuna's Madhyamaka: A Philosophical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60] 서적 Nagarjuna's Madhyamaka: A Philosophical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61] 서적 Nagarjuna's Middle Way: Mulamadhyamakakarika Simon and Schuster 2013
[162] 서적 Nagarjuna's Middle Way: Mulamadhyamakakarika Simon and Schuster 2013
[163] 서적 Nagarjuna's Middle Way: Mulamadhyamakakarika Simon and Schuster 2013
[164] 서적 Paving the Great Way: Vasubandhu's Unifying Buddhist Philosoph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4
[165] 서적 Paving the Great Way: Vasubandhu's Unifying Buddhist Philosoph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4
[166] 서적 Buddhism: Introducing the Buddhist Exper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67] 서적 History, Time, and Deity: A Historical and Comparative Study of the Conception of Time in Religious Thought and Practice https://archive.org/[...]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65
[168] 서적 The Buddha from Dolpo: A Study of the Life and Thought of the Tibetan Master Dolpopa Sherab Gyaltse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9
[169] 웹사이트 Mula by Jay Garfield http://aaari.info/no[...]
[170] 서적 Moonshadows: Conventional Truth in Buddhist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71] 서적 Jamgon Mipam, His life and teachings 2011
[172] 웹사이트 The Heart Sutra: the Fullness of Emptiness https://www.lionsroa[...] 2012
[173] 문서 Pyrrhonism: How the Ancient Greeks Reinvented Buddhism 2008
[174] 문서 Madhyamaka and Pyrrhonism 2014
[175] 서적 Attic Nights https://penelope.uch[...] 1927
[176] 서적 Commentary on Plato's ''Theaetetus'' https://www.academia[...] 2019
[177] 서적 広説仏教語大辞典 東京書籍 2001-06
[178] 서적 ブッダの旅 岩波書店 2007-04-20
[179] 서적 岩波仏教辞典 岩波書店 2002-10
[180] 서적 『今日から役立つ仏教』 ナツメ社
[181] 논문 The Conditioned Co-arising of Mental and Bodily Processes within Life and Between Lives John Wiley & Sons 2013
[182] 간행물 “''Dependent Arising''” 2020
[183] 웹사이트 業感縁起(ごうかんえんぎ)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2017-07-25
[184] 학술지 三世両重因果の成立 - 上座部大寺派の縁起支定義 2003-03-20
[185] 서적 龍樹 講談社
[186]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1986-10
[187] 웹사이트 緣起(연기) http://buddha.donggu[...] 동국역경원 2010-12-19
[188] 백과사전 인연 https://ko.wikisourc[...]
[189] 백과사전 연기 https://ko.wikisourc[...]
[190] 웹인용 51. 불법의 존재방식 http://beopbo.com/ne[...] 법보신문 2012-09-26
[191] 백과사전 4성제(4제설) https://ko.wikisourc[...]
[192] 백과사전 공 https://ko.wikisourc[...]
[193] 학술지 Dependent Arising and the Emptiness: Why did Nagarjuna start with Causation? 1994-04
[194] 서적 The Shape of Suffering: A study of Dependent Co-arising http://www.dhammatal[...] Metta Forest Monastery 2010-12-19
[195] 웹인용 The Origin of the World http://www.buddhanet[...] Buddhatnet.net 2010-07-24
[196] 서적 Buddhist Philosophy: Essential Readings http://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7] 백과사전 여래 https://ko.wikisourc[...]
[198] 문서 CBETA. T30n1564_p0033b10(00) - T30n1564_p0033b22(04)
[199] 위키문헌 60화엄경 권제29,十明品第二十三 https://zh.wikisourc[...]
[200] 웹사이트 大方廣佛華嚴經卷第二十八 http://kabc.donggu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