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리 하모니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리 하모니카는 벤자민 프랭클린이 1761년에 고안한 악기로, 여러 개의 유리 그릇을 회전축에 연결하여 물에 적신 손가락으로 그릇 가장자리를 문질러 소리를 낸다. 18세기에는 유럽 왕족들이 연주할 정도로 인기를 얻었으나, 19세기에는 신경 질환 유발 소문과 깨지기 쉬운 유리의 문제로 쇠퇴했다. 이후 1980년대에 부활하여 현대 작곡가들이 이 악기를 위한 곡을 쓰고 있으며, 토마스 블로흐, 데니스 제임스 등이 주요 연주자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벤저민 프랭클린 - 잭 콜먼
    잭 콜먼은 드라마 《왕조》에서 미국 텔레비전 최초의 게이 캐릭터 중 한 명인 스티븐 캐링턴 역과 《히어로즈》의 노아 베넷 역을 맡았으며, 다양한 드라마와 영화, 연극 무대에서 활동하는 미국의 배우이다.
  • 벤저민 프랭클린 - 피뢰침
    피뢰침은 낙뢰로부터 건물이나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낙뢰를 안전하게 접지로 유도하는 장치이며, 벤자민 프랭클린이 널리 알리고 피뢰 시스템의 이해와 적용을 발전시켰다.
  • 몸울림악기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몸울림악기 - 탬버린
    탬버린은 고대 이집트와 근동에서 유래하여 종교 의식과 다양한 문화에서 사용된 오랜 역사를 지닌 악기로, 둥근 틀에 막과 징글이 달린 형태이며 다양한 음악 장르와 구세군에서 활용되고, 전 세계에 유사한 악기들이 존재한다.
  • 미국의 발명품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미국의 발명품 - 태양 전지
    태양전지는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여 발전 효율이 크게 향상되었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고집광 태양전지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의 새로운 기술 개발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이다.
유리 하모니카
악기 분류
분류체명악기, 찰현 체명악기
명칭
악기 이름알모니카
다른 이름글라스 하모니카
영어 이름Armonica(glass armonica, glass harmonica)
독일어 이름Armonica(Glasharmonika)
프랑스어 이름Armonica(armonica de verre, glassarmonica)
이탈리아어 이름Armonica(armonica a bicchieri)
이미지
알모니카
알모니카
특징
음역(정보 없음)
관련 악기글라스 하프
연주자
연주자오니시 히데카츠 (일본 거주)
가가와 치호 (오스트레일리아 거주)
고즈카 미키오 (일본 거주)
음악 작품
관련 작품동물의 사육제 (생상스)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도니제티)
레오노레 프로하스카 (베토벤)
그림자 없는 여인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관련 인물
관련 인물벤자민 프랭클린

2. 명칭

"유리 하모니카" 또는 "글라스 아르모니카", "글라스하모니카"는 오늘날 유리나 수정으로 된 잔 또는 그릇을 문질러 소리를 내는 모든 종류의 악기를 가리키는 이름이다. 프랑스어로는 harmonica de verre|아르모니카 드 베르프랑스어, harmonica de Franklin|아르모니카 드 프랑클랭프랑스어, armonica de verre|아르모니카 드 베르프랑스어, 또는 단순히 harmonica|아르모니카프랑스어라고 하며, 독일어로는 Glasharmonika|글라스하르모니카de, 네덜란드어로는 harmonica|하르모니카nl라고 부른다. 물을 채워 넣은 와인 잔 세트를 손가락으로 문질러 연주하는 다른 종류의 악기는 보통 영어로 "뮤지컬 글래스" 또는 "글래스 하프"라고 불린다.

벤자민 프랭클린은 1761년에 기계식 유리 하모니카를 발명하면서, 이탈리아어 단어 armonia|아르모니아it(조화)에 바탕을 두어 악기 이름을 armonica|아르모니카it라고 지었다.[3][4] 이는 약 60년 후인 1821년에 발명된, 현재 "하모니카"라고 불리는 자유 리드 관악기와는 다른 악기이다.

hydrodaktulopsychicharmonica|히드로닥틸롭시키카르모니카grc라는 매우 긴 이름도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그리스어 어원으로 "물에 담근 손가락으로 영혼을 위한 음악을 만드는 하모니카" 정도의 의미를 가진다 (hydro-|히드로grc는 "물", daktul-|닥틸grc은 "손가락", psych-|프시케grc는 "영혼").[5] ''옥스퍼드 음악 동반자''는 이 단어가 "음악 악기에 붙여진 가장 긴 그리스어 단어"라고 언급했으며, 1932년 ''The Times''의 한 독자는 젊은 시절 이 악기가 hydrodaktulopsychicharmonica|히드로닥틸롭시키카르모니카grc라고 불리는 연주를 들었다고 회고했다.[6] 파리 음악 박물관에는 이 이름이 붙은 악기가 전시되어 있다.[7]

프랭클린이 armonica|아르모니카it라고 명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악기가 처음 공개된 후 오스트리아독일독일어권에서는 독일어식으로 'h'가 추가된 harmonica|하르모니카de라는 이름으로 널리 퍼졌다. 이후 영어권에서는 armonica|아르모니카영어나 harmonica|하모니카영어 외에도 glass armonica|글래스 아르모니카영어, glass harmonica|글래스 하모니카영어 등 다양한 명칭이 사용되었다. 현재는 glass armonica|글래스 아르모니카영어라는 명칭이 많이 쓰이는 추세지만, 프랭클린이 붙인 원래 이름은 어디까지나 armonica|아르모니카it이다.

리드 악기인 하모니카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특히 영어권에서는 재료명을 붙인 glass armonica|글래스 아르모니카영어나 glass harmonica|글래스 하모니카영어라는 명칭이 편리하게 사용된다. 하지만 glass harmonica|글래스 하모니카영어는 원래 명칭에서 벗어난다는 지적이 있고, glass armonica|글래스 아르모니카영어는 영어와 이탈리아어 단어가 섞여 다소 부자연스럽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탈리아 본토에서는 하모니카를 armonica a bocca|아르모니카 아 보카it(입으로 부는 아르모니카)라고 부르고, 유리 하모니카는 armonica a bicchieri|아르모니카 아 비키에리it(유리잔으로 된 아르모니카)라고 구별하여 부른다.

한국어권에서는 "알모니카", "글래스 알모니카"(또는 "글래스알모니카"), "글래스 하모니카"(또는 "글래스하모니카") 등의 명칭이 보인다. 리드 악기인 하모니카는 이미 "하모니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유리 하모니카를 "알모니카"라고 부르면 혼동의 여지가 거의 없다. 따라서 "알모니카" 또는 "글래스 알모니카"라고 부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러 개의 고블릿 잔을 늘어놓고 물로 음높이를 조절하여 연주하는 악기는 "글래스 하프"라고 불리므로, 이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3. 역사

유리 하모니카의 역사는 젖은 손가락으로 와인잔 가장자리를 문질러 소리를 내는 원리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르네상스 시대부터 알려졌으며, 갈릴레오 등이 기록으로 남겼다. 18세기 초 리처드 포크리치는 물을 채운 유리잔 세트, 즉 글라스 하프를 악기로 연주하며 대중화의 길을 열었다.[8]

1761년, 벤자민 프랭클린은 영국에서 글라스 하프 연주를 듣고 영감을 받아 기존 악기의 단점을 개선한 새로운 악기를 발명했다.[11] 그는 크기가 다른 유리 그릇들을 하나의 회전축에 꽂아 페달로 돌리는 방식을 고안하여 연주 편의성과 표현력을 획기적으로 높였고,[57][58] 이 악기를 '아모니카'라고 명명했다.[12] 이는 미국에서 발명된 최초의 악기 중 하나로 여겨진다.[11]

아모니카는 특유의 아름다운 음색으로 유럽 전역에서 큰 인기를 끌었으며, 모차르트, 베토벤 등 당대 유명 작곡가들이 아모니카를 위한 작품을 남겼다. 특히 시각 장애인 연주가 마리안네 키르히게스너는 뛰어난 연주로 명성을 얻었고, 모차르트는 그녀를 위해 『아다지오와 론도 다장조 KV.617』과 『아다지오 다장조 KV.617a』를 작곡하기도 했다. 그러나 19세기 들어 연주자들 사이에서 신경 장애를 유발한다는 소문이 퍼지고, 음악의 유행이 변화하면서 점차 쇠퇴의 길을 걸었다.

잊혔던 아모니카는 20세기 후반에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 독일의 유리 세공 장인 게르하르트 핀켄바이너는 1984년 프랭클린의 설계를 바탕으로 현대적인 기술과 재료(고순도 석영 유리)를 사용하여 안전하고 개선된 아모니카를 제작하며 부활의 계기를 마련했다.[38][39][40] 이후 현대 작곡가들의 작품 활동과 데니스 제임스와 같은 연주자들의 노력으로 클래식 음악뿐만 아니라 영화 음악, 대중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시금 그 독특한 소리를 선보이고 있다.[41][42][44][45]

3. 1. 전신

유리 하모니카는 소리를 내는 부분이 유리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일종의 결정 악기이다. 젖은 손가락으로 와인 잔의 가장자리를 문질러 소리를 내는 현상은 르네상스 시대부터 기록되었으며, 갈릴레오는 이 현상을 그의 저서 ''두 개의 새로운 과학''에서 언급했고, 아타나시우스 키르허 역시 이를 다루었다.

아일랜드의 음악가 리처드 포크리치는 손가락으로 가장자리를 문질러 소리를 내는 유리잔 세트(글래스 하프)를 악기로서 처음 연주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8] 그는 1740년대부터 다양한 양의 물을 채운 유리잔들을 이용해 런던에서 공연했다. 그의 경력은 방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단축되었으며, 이 화재로 그는 사망하고 그의 장치가 파괴되었다.

벤자민 프랭클린의 친구이자 왕립 학회 회원인 에드워드 델라발은 포크리치의 실험을 확장하여 더 잘 조율되고 연주하기 쉬운 일련의 유리를 고안했다.[9] 같은 시기, 작곡가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도 영국에서 비슷한 악기를 연주하며 주목을 받았다. 1760년 4월, 시인 토마스 그레이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펨브로크 칼리지의 학장인 제임스 브라운에게 델라발의 공연에 대해 "내가 아는 어떤 악기도 이처럼 천상의 음색을 내지 못한다. 마치 상자 안의 천사 같았다."라고 편지를 썼다.[10]

벤자민 프랭클린은 1757년 영국에서 글루크와 영국의 연주자 윌리엄 데레발(William Deleval)이 물을 넣는 양에 따라 음정을 조절한 여러 개의 고블렛을 연주하는 것을 들었다(자세한 내용은 「글라스 하프」의 「발상」절 참조). 그는 "그것은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감미로운 음색이었다"고 적었다. 이 매혹적인 신악기에 영감을 받은 프랭클린은 연구 끝에 1761년 유리 하모니카를 완성했다.

런던의 유리 불기 장인 찰스 제임스(Charles James)와 함께 제작된 첫 번째 악기는 1762년 1월 마리안 데이비스(Marianne Davies)의 연주로 세계에 처음 공개되었다. 이 악기는 미국에서 발명된 악기의 기념비적인 제1호이기도 했다.

3. 2. 프랭클린의 아르모니카 발명

벤자민 프랭클린의 설계를 사용하여 제작된 현대식 글라스 아모니카


벤자민 프랭클린은 1761년 5월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에드워드 델라발이 물을 채운 와인 잔으로 연주하는 것을 보고 영감을 받았다.[11] 당시 널리 연주되던 글라스 하프는 연주 전 각 잔에 물을 채워 조율해야 했고, 연주 중 물이 증발하거나 쏟아져 음정이 틀어질 위험이 있었다. 또한 넓은 공간이 필요하고 연주자가 바쁘게 움직여야 했으며, 빠른 악구나 화음 연주에 제약이 따랐다.

프랭클린은 이러한 글라스 하프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1761년 새로운 방식의 악기를 고안했다. 그는 음정이 미리 조율된 유리 그릇을 사용하여 매번 물을 조절하는 번거로움을 없앴다. 또한 유리잔 자체를 회전시켜 손가락을 대기만 하면 소리가 나도록 했고, 다리가 없는 사발 모양[57]의 유리 그릇[58]들을 회전 막대에 밀집시켜 꽂아 연주 편의성을 높였다. 이 개선된 구조 덕분에 좁은 공간에서도 섬세하고 빠른 악구, 넓은 음역의 도약, 다양한 화음 연주가 가능해졌으며, 연주자는 이동하거나 팔을 크게 움직일 필요 없이 음악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프랭클린은 런던의 유리 불어공 찰스 제임스와 함께 이 악기를 제작했으며, 1762년 초 마리안 데이비스의 연주를 통해 세상에 처음 공개되었다.[11] 이는 미국에서 발명된 악기의 초기 사례 중 하나로 기록된다.

프랭클린은 이탈리아의 친구 잠바티스타 베카리아에게 1762년 런던에서 보낸 편지에서 이 악기를 '아모니카'라고 명명하며 그 특징을 설명했다.

"이 악기의 장점은 다른 어떤 악기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감미로운 소리를 낸다는 점, 손가락으로 강하게 또는 약하게 압력을 가하여 원하는 대로 소리를 키우거나 줄일 수 있고, 소리를 원하는 만큼 길게 지속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악기 조율이 잘 되어 있으면 다시 조율할 필요가 없다는 점입니다. 당신의 음악 언어를 기리기 위해, 저는 이 악기의 이름을 빌려와 아모니카라고 부릅니다."[12]

프랭클린이 만든 아모니카는 37개의 유리 그릇이 코르크와 번갈아 가며 수평의 쇠막대에 꽂혀 고정된 형태였다. 전체 막대는 발로 작동하는 재봉틀과 유사한 구조의 페달을 이용하여 회전했으며, 후대에는 모터로 대체되기도 했다. 연주자는 물에 적신 손가락으로 회전하는 그릇의 가장자리를 만져 소리를 냈다. 손가락을 계속 물에 적셔야 하는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프랭클린은 유리 그릇 아래에 물을 담은 쟁반을 설치하여 그릇이 항상 젖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안하기도 했다.

음높이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각 유리 그릇의 가장자리는 음계에 따라 다른 색깔로 칠해졌다. A(라)는 진한 파란색, B(시)는 보라색, C(도)는 빨간색, D(레)는 주황색, E(미)는 노란색, F(파)는 녹색, G(솔)는 파란색이었고, 건반 악기의 검은 건반에 해당하는 반음 음들은 흰색으로 표시했다.[13] 현대에 복원된 G.Finkenbeiner사의 모델에서는 투명한 유리 사발과 금색 띠가 둘러진 유리 사발(검은 건반 해당)로 구분한다. 프랭클린의 설계를 통해 연주자는 동시에 최대 10개의 음을 연주할 수 있었는데, 이는 기존 글라스 하프로는 불가능에 가까운 기술이었다.

프랭클린은 또한 손가락에 소량의 분말 탄산 칼슘(분필 가루)을 바르면 일부 수질 조건에서도 맑은 소리를 내는 데 도움이 된다고 권장했다.[13]

3. 3. 인기와 쇠퇴

이 악기는 매혹적인 음색 덕분에 처음부터 열광적인 지지를 얻었다. 사람들은 그 소리에 매료되어 연습에 몰두했으며, 1700년대에는 약 4,000대에서 5,000대에 달하는 악기가 유럽 각지에 보급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 악기에 관한 다수의 저작물이 출판되었고, 알모니카를 위해 400여 곡의 작품이 작곡되었다. 여기에는 모차르트, 베토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도니체티, 생상스 등 오늘날 잘 알려진 대작곡가들의 작품도 포함되어 있다. 알모니카를 위해 작곡된 최초의 작품은 하세의 칸타타로 알려져 있으며, 이 곡은 오스트리아 황녀 마리아 아말리아의 결혼식에서 초연되어 알모니카의 명성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최고의 알모니카 연주자로는 오스트리아의 시각 장애인 여성 연주가 마리안네 키르히게스너(Marianne Kirchgessner)가 유명했다. 모차르트는 그녀와 친분이 있었고, 그녀를 위해 아름다운 오중주곡 『아다지오와 론도 다장조 KV.617』과 독주곡 『아다지오 다장조 KV.617a』를 작곡했다. 얀 바츨라프 토마셰크 역시 그녀에게 헌정할 목적으로 『환상곡』을 작곡했으나, 그녀가 1809년에 세상을 떠나자 작품을 그녀의 묘전에 바쳤다.

그러나 큰 인기에도 불구하고 알모니카는 점차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연습과 연주에 몰두했던 많은 사람들이 알모니카 때문에 신경 장애, 우울증, 현기증, 근육 경련 등을 겪는다고 주장하기 시작하면서, 아름다운 음색과는 반대로 무서운 악기라는 소문이 퍼져나갔다. 실제로 정신병원에 입원하거나 요절하는 사례가 발생하자, 근거 없는 억측은 더욱 심해져 알모니카의 높은 소리가 죽은 자의 영혼을 불러오고 듣는 사람의 정신을 혼미하게 만든다는 이야기까지 나왔다. 심지어 연주회장에서 어린이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이를 계기로 독일의 여러 지방에서는 경찰 당국이 알모니카 연주 금지령을 내리기에 이르렀다. 부부 싸움, 조산, 애완동물의 경련 등 온갖 불행한 일들이 알모니카 탓으로 돌려졌고, 연주하다 발각되면 체포될 정도였다.

최면술의 선구자로 알려진 의 의사 프란츠 안톤 메스머(Franz Anton Mesmer)는 자신의 치료에 알모니카를 사용하기도 했다. 그는 맹인 피아니스트 마리아 테레지아 폰 파라디스(Marie Paradies)의 치료 과정에서 알모니카를 사용했으나, 그녀의 정신 건강을 해쳤다는 비난을 받고 빈에서 추방당하는 등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당시 신경 장애의 원인에 대한 명확한 과학적 근거는 밝혀지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세 가지 가설이 제기되었다. 첫째, 유리와의 마찰로 인한 지속적인 진동이 신경을 손상시킨다는 설. 둘째, 은은한 고음이 청각을 통해 뇌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설. 셋째, 악기 제작에 사용된 크리스탈 유리에 함유된 성분으로 인해 납 중독을 일으킨다는 설이다. 그러나 세 번째 납 중독 설은 당시 납 중독이 사회 전반적으로 매우 흔한 문제였고, 음식, 음료, 식기 등을 통해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납의 양이 훨씬 많았다는 점에서 신빙성이 낮게 평가된다. 다른 두 가설 역시 과학적으로 명확히 증명되지 않았다.

실제로 알모니카의 발명가인 벤자민 프랭클린 자신은 이러한 세간의 평가에 흔들리지 않고 평생 알모니카 연주를 계속했지만 아무런 문제 없이 84세까지 장수했다. 현대 의학에서도 알모니카 연주로 인해 정신 이상이 발생했다는 보고나 증명된 사례는 없다. 오히려 이러한 괴기한 전설들이 악기의 신비로운 매력을 더하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후 납 중독 우려를 피하기 위해 유리 그릇에 직접 손을 대지 않고 바이올린 활로 문지르거나, 건반을 눌러 가죽이나 고무 등으로 소리를 내는 장치들이 고안되었지만, 연주 효과가 좋지 않았고 이미 악기에 대한 유행이 식어버린 뒤라 큰 반향을 얻지 못했다.

결정적으로 1820년 무렵부터 음악의 유행이 변화하면서 알모니카는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졌다. 베토벤 이후 작곡가들은 더욱 웅장하고 큰 소리를 내는 음악을 선호하게 되었고, 연주 장소도 과거의 작은 살롱에서 더 큰 규모의 홀로 옮겨갔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알모니카의 섬세하고 작은 소리는 더 이상 선호되지 않았고, 결국 쳄발로와 비슷한 시기에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악기 제작 기술 역시 체코의 포흘 가문 등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거의 단절되었다.

도니체티의 오페라 『람메르무어의 루치아』나 생상스의 『동물의 사육제』 등 일부 작품에서는 원래 알모니카가 사용되도록 지정되었으나, 실제 연주에서는 플루트, 첼레스타, 글라스 하프, 파이프 오르간 등 다른 악기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에는 본래의 알모니카를 사용한 연주나 녹음이 조금씩 이루어지고 있다.

3. 4. 현대의 부활

데니스 제임스가 2011년 오클라호마주 폰카 시의 폰칸 극장에서 유리 하모니카를 연주하는 모습.


1820년대 이후 클래식 음악의 유행이 베토벤 이후의 웅장한 스타일로 변화하고 연주 장소도 대형화되면서, 섬세한 소리를 내는 유리 하모니카는 점차 외면받았다. 1835년 가에타노 도니체티가 오페라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에서, 1919년 리하르트 슈트라우스가 오페라 ''그림자 없는 여인''에서 사용하는 등 명맥이 끊긴 것은 아니었으나, 대중적인 인기에서는 멀어졌다. 이는 비슷한 시기에 쳄발로가 사라진 것과 유사한 맥락이다. 체코의 포흘 가문 등이 비밀리에 제작 기술을 이어갔지만 점차 쇠퇴하여 제작자는 거의 사라졌다.

이후 독일의 거장 브루노 호프만은 개별적인 유리잔(고블릿)을 이용한 악기를 '유리 하프'라 이름 붙여 연주하며 다시금 유리 악기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기존 곡들을 편곡하거나 현대 작곡가들에게 유리 하프를 위한 새로운 곡을 위촉하기도 했다.

프랭클린이 고안한 형태의 유리 하모니카는 1984년 독일 출신의 유리 세공 장인이자 음악가인 게르하르트 B. 핀켄바이너(1930–1999)에 의해 본격적으로 부활했다. 그는 30년간의 실험 끝에 프랭클린의 설계를 개선하여 악기를 제작했다.[38][39][40] 핀켄바이너는 과거 프랭클린이 여러 색상으로 구분했던 반음 유리볼을 투명한 유리볼에 금색 띠를 두르는 방식으로 단순화했으며, 특히 건강상의 위험이 지적되었던 성분 대신 고순도의 석영 유리를 사용하여 안전성을 높였다. 매사추세츠주 월섬에 위치한 그의 회사 'Finkenbeiner Inc.'는 핀켄바이너 사후에도 토머스 헤션 등이 이어받아 계속해서 악기를 생산하고 있다.[38][39][40] 다만, 제작 과정이 매우 까다롭고 시간이 오래 걸려(한 대당 1년 이상 소요) 악기 가격은 상당히 높은 편이다.

독일의 유리 악기 연주자이자 제작자인 사샤 레커트 역시 1989년부터 오리지널 유리 하모니카를 복원, 재현하는 한편, 더 큰 음량을 내는 베로폰(Verrophon)을 개발했다. 그는 뮌헨 국립 오페라 등에서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그림자 없는 여인'' 전곡을 유리 하모니카로 연주했으며, 데니스 제임스를 비롯한 다른 연주자들의 악기를 제작하기도 했다. 프랑스의 베르나르 바셰와 프랑수아 바셰는 1952년, 유리 막대를 문질러 금속 막대를 진동시키는 방식의 독특한 악기인 크리스탈 디 바셰(Cristal d' Baschet)를 발명하기도 했다.

현대에 들어 유리 하모니카는 다시금 작곡가와 연주자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데니스 제임스와 같은 연주자들은 유리 하모니카, 크리스탈 디 바셰 등 다양한 유리 악기로 모차르트, 스카를라티, 포레 등의 고전 작품과 현대 작품을 연주하고 ''Cristal: Glass Music Through the Ages''와 같은 음반을 발매했다.[41] 그는 린다 론스타트, 오페라 소프라노 루스 앤 스웬슨, 에머슨 현악 사중주단 등 다양한 음악가와 협업했으며,[41] 론스타트가 돌리 파튼, 에밀루 해리스와 함께 발표한 앨범 ''트리오 II''(1999)의 "After the Gold Rush" 커버 버전에도 유리 하모니카 연주로 참여했다.[43]

또한 마르코 벨트라미가 음악을 맡은 영화 ''마이너스 맨''(1999), ''더 팩컬티''(1998)나[42] 제임스 호너가 음악을 맡은 영화 ''스타 트렉 2: 칸의 분노''(1982) 등 영화 음악에서도 유리 하모니카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44] 록 밴드 (Korn)이 MTV 언플러그드 공연에서 사용하기도 했다.[45] 현대 작곡가들 역시 노노, 오르프, 슈톡하우젠, 치머만 등 유리 하모니카나 관련 유리 악기를 포함한 새로운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과거 약점으로 지적되었던 작은 음량은 현대 기술을 통해 필요에 따라 마이크를 이용한 증폭으로 보완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클래식 음악 연주회 등에서는 여전히 마이크 없이 본연의 소리로 연주되는 경우가 많다.

4. 구조 및 작동 원리



벤자민 프랭클린은 1761년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에드워드 델라발이 물 채운 와인 잔으로 연주하는 것을 본 후, 유리 배열을 혁신적으로 개선한 악기인 아르모니카를 고안했다.[11] 그는 런던의 유리 제작자 찰스 제임스와 협력하여 이 악기를 제작했으며, 1762년 초 마리안 데이비스의 연주를 통해 처음 세상에 알려졌다.

프랭클린이 설계한 페달식 아르모니카는 크기가 다른 37개의 유리 그릇(bowl)을 수평으로 놓인 쇠막대에 끼워 넣은 구조였다. 이 쇠막대 전체는 발 페달을 이용해 회전했다. 연주자는 물에 적신 손가락으로 회전하는 유리 그릇의 가장자리를 만져 소리를 냈다. 프랭클린은 이 악기의 장점으로 손가락 압력 조절을 통해 소리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소리를 원하는 만큼 길게 지속시킬 수 있다는 점을 들었다.[12] 또한, 한 번 조율하면 음정이 틀어지지 않아 다시 조율할 필요가 없는 편리함도 갖추고 있었다.[12]

각 유리 그릇은 음높이에 따라 가장자리에 다른 색깔이 칠해져 있어 연주자가 음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했다. 색깔 구분은 다음과 같다.[13]

색깔
C빨간색
D주황색
E노란색
F녹색
G파란색
A진한 파란색
B보라색
임시표흰색



프랭클린의 설계는 최대 10개의 음을 동시에 연주하는 화음 연주를 가능하게 했는데, 이는 여러 개의 와인 잔을 늘어놓고 연주하는 기존 방식(유리 하프)으로는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한 기술이었다. 그는 또한 물의 산성도 때문에 맑은 소리를 내기 어려울 경우, 손가락에 소량의 분필 가루를 묻히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기존의 유리 하프는 각 잔에 물을 채워 음정을 조율해야 했고, 물이 증발하거나 연주 중 쏟아질 위험이 있었다. 또한 넓은 공간을 차지하고 각 잔 사이를 이동해야 했기 때문에 빠른 악구나 섬세한 표현이 어려웠다. 프랭클린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핵심 아이디어를 적용했다. 첫째, 유리의 크기와 두께 자체로 음정을 결정하게 하여 매번 물로 조율하는 번거로움을 없앴다. 둘째, 잔 형태가 아닌 다리가 없는 사발 모양의 유리 그릇을 만들어 회전축에 밀집시켜 배치했다. 이로써 연주자는 한 자리에서 건반 악기처럼 쉽게 여러 음을 연주하고 복잡한 악구와 화음을 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유리 그릇 자체가 회전하므로 연주자는 손가락을 대기만 하면 되어 연주 부담이 크게 줄고 음악에 더 집중할 수 있었다.[15]

초기 아르모니카의 회전 장치는 발로 작동하는 재봉틀과 유사한 발 페달 방식이었으나, 후대에는 모터로 구동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아르모니카를 개선하려는 시도로 건반을 추가하거나,[14] 유리 그릇 사이에 패드를 넣어 공명 진동을 줄이려는 노력, 바이올린 활을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었다.[14] 유리 그릇을 물통 속에서 회전시키는 방식도 제안되었으나, 이는 각기 다른 크기의 그릇들이 물속에서 회전하며 음높이를 불규칙하게 변화시키고 소리를 먹먹하게 만들어 실용적이지 못했다.[15]

현대에 제작되는 아르모니카는 납 중독의 우려를 없애기 위해 대신 고순도의 석영 유리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아르모니카는 음량이 작다는 단점이 지적되기도 하지만, 현대에는 필요에 따라 마이크를 사용해 소리를 증폭시킬 수 있다. 다만, 클래식 음악 연주회에서는 마이크 없이 본연의 소리로 연주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5. 연주 기법

유리 하프는 넓은 공간에 고블렛을 배열해야 했기에 연주자가 분주하게 움직여야 했고, 빠르거나 섬세한 악구 연주, 다양한 화음 구사에 어려움이 있었다. 벤저민 프랭클린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유리 하모니카를 고안했다. 그는 고블렛 자체를 회전시켜 손가락을 대기만 해도 소리가 나게 하고, 다리 없는 사발 모양의 유리 그릇들을 회전 막대에 꽂아 서로 가깝게 배치했다.

이러한 개선 덕분에 연주자는 마치 건반 악기처럼 가까운 거리에서 여러 유리 사발의 가장자리를 손쉽게 연주할 수 있게 되었다. 섬세하고 빠른 악구의 표현은 물론, 음정의 도약이나 넓은 음역대의 연주, 여러 음을 동시에 내는 화음 연주도 혼자서 가능해져 연주 효과가 크게 향상되었다.

유리 사발이 회전하면서 연주자가 팔을 계속 돌려야 하는 부담도 줄었다. 연주자는 이동하거나 팔을 크게 뻗을 필요 없이 음악 자체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회전 장치는 초기에는 발로 작동하는 재봉틀과 비슷한 원리로 작동했으나, 나중에는 모터로 구동되었다.

연주 시 손가락을 계속 물에 적셔야 하는 번거로움도 개선되었다. 기존에는 연주 중 손가락이 마르지 않도록 계속 신경 써야 했지만, 프랭클린은 유리 그릇 아래에 물을 담은 쟁반을 두어 그릇 자체가 항상 젖어 있도록 만들었다. 이로써 연주자는 손가락을 적시는 수고를 덜고 연주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6. 논란과 위험성

악기의 인기는 18세기 이후 오래가지 못했는데, 이는 다른 악기에 묻히지 않을 만큼 소리를 증폭시키는 능력이 부족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31] 하지만 일부에서는 이 악기를 사용하면 연주자와 청취자 모두 정신 이상을 일으킨다는 소문 때문에 인기가 식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믿음이 얼마나 널리 퍼졌는지는 추측의 영역이지만, 관련 기록은 주로 독일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18세기에 독일 음악학자 요한 프리드리히 로흘리츠는 ''알게마이네 무지칼리셰 차이퉁''에 유리 하모니카 연주의 영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하모니카는] 신경을 과도하게 자극하여 연주자를 짜증나는 우울증에 빠뜨리고, 따라서 어둡고 우울한 기분으로 몰아넣는데, 이는 느린 자멸을 위한 적절한 방법이다. ...

: # 신경 질환을 앓고 있다면 연주하지 말아야 한다.

: # 아직 아프지 않더라도 과도하게 연주해서는 안 된다.

: # 우울한 기분이 든다면 연주하지 않거나, 기분을 북돋아주는 곡을 연주해야 한다.[32]

플루트와 하프시코드를 연주했으며 프랭클린의 친척으로 알려진 젊은 여성 마리안 데이비스는 아르모니카 연주 실력이 뛰어나 공개 공연을 했다. 유명 성악가인 여동생과 함께 수년간 순회공연을 한 후, 그녀 역시 악기의 애절한 음색으로 인해 우울증에 시달렸다고 전해진다.[9] 또 다른 아르모니카 연주자 마리안 키르히게스너는 39세의 나이에 폐렴 또는 유사한 질병으로 사망했다.[33] 그러나 프랭클린을 포함한 많은 다른 연주자들은 별다른 문제 없이 장수했다.

연습과 연주에 몰두한 많은 사람들이 하모니카 때문에 신경 장애, 우울증, 현기증, 근육 경련 등을 겪었다고 주장하면서, 아름다운 음색과는 반대로 매우 무서운 악기라는 소문이 퍼져나갔다. 실제로 정신병원에 입원하거나 요절한 사람도 있었는데, 이는 근거 없는 억측을 더욱 부추겼다. 심지어 악기의 신비로운 높은 소리가 죽은 자의 혼을 불러오거나 듣는 사람의 정신을 혼미하게 만든다는 이야기까지 나왔다. 연주회장에서 어린이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독일 일부 지역에서는 경찰 당국이 하모니카 연주 금지령을 내리기도 했다. 가정 내 부부 싸움, 조산, 애완동물의 경련 등 온갖 문제의 원인이 하모니카 탓으로 돌려졌고, 연주하다 발각되면 체포당하는 상황까지 이르렀다.

최면술의 선구자로 알려진 의 의사 프란츠 안톤 메스머는 자신의 동물 자기설에 기반한 치료의 마무리 단계에서 유리 하모니카를 연주하기도 했다. 그는 맹인 피아니스트 마리아 테레지아 폰 파라디스를 치료하여 일시적으로 시력을 회복시켰으나, 이후 그녀의 정신 건강을 해쳤다는 이유로 빈에서 추방당했는데, 이 사건 역시 하모니카와 연관 지어 회자되기도 한다.

당시 신경 장애의 원인에 대한 명확한 과학적 근거는 밝혀지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세 가지 설이 제기되었다.


  • 첫째, 유리와의 마찰로 발생하는 지속적인 진동이 손가락 끝 신경을 손상시킨다는 설.
  • 둘째, 은은한 고음이 청각을 통해 뇌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설.
  • 셋째, 당시 사용된 크리스탈 유리에 25~40% 함유된 성분이 젖은 손가락을 통해 흡수되어 납 중독을 일으킨다는 설.


그러나 세 번째 납 중독 설은 특히 신빙성이 낮다는 평가를 받는다. 18세기와 19세기 초에는 납 중독이 아르모니카 연주 여부와 관계없이 매우 흔한 사회 문제였다. 당시 의사들은 다양한 질병 치료를 위해 납 화합물을 처방했고, 식품 방부제감미료로 아세트산납이 사용되었으며, 납이나 주석으로 만든 조리 도구도 널리 쓰였다. 따라서 연주를 통해 손가락으로 흡수되는 납의 양은 일상생활에서 다른 경로로 섭취하는 양에 비해 극히 미미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4] 첫 번째와 두 번째 설 역시 명확하게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았다.

이러한 논란 속에서 악기는 점차 자취를 감추었지만, 이후 다시 복원되어 현대에 이르기까지 연주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의학계에 아르모니카 연주로 인해 정신 이상 등이 발생했다는 증례나 이를 입증하는 연구 결과는 보고된 바 없다. 발명가인 프랭클린 자신도 평생 아르모니카를 연주했지만 84세까지 장수하며 악기의 무해함을 스스로 증명하려 했다.

후대에 납 중독 우려를 피하기 위해 손가락 대신 바이올린 활로 연주하거나, 건반을 눌러 가죽이나 고무가 유리에 닿아 소리를 내는 방식의 개량 악기도 등장했지만, 연주 효과가 좋지 않았고 이미 악기의 인기가 식은 뒤라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다.

현대에 제작되는 역사적 복제품(Eisch 제작)은 18세기에 개발된 "화이트 크리스탈"을 사용하여 납 대신 칼륨 함량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다. 또한 Finkenbeiner 등이 제작하는 현대 악기는 20세기 초 과학적 목적으로 개발된 석영 "순수 실리카 유리"로 만들어져 납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35] 따라서 현대의 유리 하모니카는 납 중독의 위험이 없다.

7. 한국에서의 수용과 현황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없습니다.)

8. 주요 작품

카미유 생상스의 ''동물의 사육제'' 중 "수족관" 악보 일부. 위쪽 악보는 유리 하모니카를 위해 쓰여졌다.


유리 하모니카는 한때 큰 인기를 누렸으며, 요한 고틀리프 나우만, 조반니 바티스타 마르티니, 요한 아돌프 하세, 발다사레 갈루피, 니콜로 요멜리를 포함한 100명 이상의 작곡가들이 이 악기를 위한 작품을 남겼다. 이 중 일부는 다른 악기를 위한 편곡으로 오늘날까지 연주되고 있다. 유럽의 군주들도 유리 하모니카 연주를 즐겼으며, 마리 앙투아네트는 어린 시절 프란츠 안톤 메스머에게 레슨을 받기도 했다.

유리 하모니카를 위해 작곡된 최초의 작품은 요한 아돌프 하세의 칸타타 "알모니카"로 알려져 있으며, 1769년 오스트리아의 황녀 마리아 아말리아의 결혼식에서 초연되어 큰 명성을 얻었다.

다음은 유리 하모니카를 위한 주요 작품들이다.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시각 장애인 연주가 마리안네 키르히게스너와의 친분을 바탕으로 그녀를 위해 작품을 작곡했다.
  • ''아다지오와 론도 K. 617'' (플루트, 오보에, 비올라, 첼로와 함께 연주, 1791)[21]
  • ''아다지오 C장조 K. 356 (K. 617a)'' (독주곡, 1791)[21]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멜로드라마 ''레오노레 프로하스카'' WoO 96 (1814)[21]
  • 가에타노 도니체티:
  • 오페라 ''켄일워스 성'' (1829) 중 아멜리아의 아리아 "Par che mi dica ancora" 반주[22]
  • 오페라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1835) 중 여주인공의 '광란의 장면'에서 유령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원래 유리 하모니카를 지정했으나, 초연 직전 연주자 섭외 문제로 두 대의 플루트로 대체되었다.[23] 해당 장면에서 루치아는 Un'armonia celeste, di', non ascolti?|운 아르모니아 첼레스테, 디, 논 아스콜티?ita("천상의 조화가 들리지 않나요?")라고 노래한다.
  • 카미유 생상스:
  • ''동물의 사육제'' (1886) 중 제7곡 "수족관"과 제14곡 "종곡".[24] 다만, 일부에서는 당시 프랑스에서 글로켄슈필을 '하모니카'로 칭했던 점을 들어 악보의 표기가 글로켄슈필을 의도한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 오페라 ''그림자 없는 여인'' (1917)[21]


이 외에도 얀 바츨라프 토마셰크는 키르히게스너를 추모하며 ''환상곡''을 작곡했고, 요한 프리드리히 라이하르트, 카를 레폴트 뢸리히, 안토닌 레이하 등 많은 작곡가들이 유리 하모니카를 위한 작품을 남겼다.

하지만 1830년대 이후 유리 하모니카는 점차 잊혀졌고, 많은 작품들이 플루트, 첼레스타, 파이프 오르간, 피아노 등 다른 악기로 대체되어 연주되었다.[21] 예를 들어 표트르 차이콥스키의 ''호두까기 인형'' 중 "사탕 요정의 춤"은 초고 단계에서 유리 하모니카를 고려했다는 설이 있었으나, 이는 학계에서 부정되었다. 현재는 첼레스타를 사용한 최초의 곡으로 알려져 있다.

1980년대 들어 유리 하모니카 연주가 다시 활성화되면서 현대 작곡가들도 이 악기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얀 에릭 미칼센, 레지스 캄포, 필립 사르드, 데이먼 알반, 톰 웨이츠, 요르크 비트만 (''아르모니카'', 2006)[25], 기욤 코네송 등이 유리 하모니카를 위한 새로운 곡들을 작곡했다.

현대 작품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엘리엇 골덴탈: 1997년 발레 ''오셀로''의 시작과 끝에 유리 하모니카를 사용했다.
  • 조셉 슈반트너: 교향시 ''무한의 여운'' (1979년 퓰리처상 음악 부문 수상작)에서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연주하는 개별 와인 잔을 활용했다.[26]
  • 조지 벤자민: 오페라 ''피부에 새겨진 글'' (2012)에서 유리 하모니카를 위한 중요하고 정교한 파트를 포함시켰다.[27]

9. 현대의 주요 연주자

현대의 유리 하모니카 연주자는 다음과 같다.

일본의 경우, 유리 전문가인 코즈카 미키오가 대표적인 연주자로 꼽힌다. 그는 일본 내 제1인자이자 국제 유리 음악 협회(GMI, Glass Music International) 회원으로 활동하며 국제적으로도 알려져 있다. 2000년 4월 필라델피아 '글래스 뮤직 페스티벌'에 초청되어 일본인 최초로 해외 무대에서 유리 하모니카를 연주하는 등, 일본 내 악기 보급과 역사 정립에 기여했다. 코즈카는 일본 제1호기를 포함한 알모니카 2대를 소유하고 있으며, 현재 일본에서 실제 연주되는 악기는 이 2대가 전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7년부터는 오니시 히데카츠와 함께 일본 내 부흥 활동에 힘쓰고 있다. 작곡가이기도 한 오니시는 유리 하모니카를 위한 편곡과 독창적인 기획을 통해 악기의 매력을 알리고 있으며, 음악 잡지나 TV 프로그램 출연을 통해 대중적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들의 활동 덕분에 이전까지 일본에서 원전 악기로 연주하기 어려웠던 모차르트의 '아다지오와 론도 C장조 KV.617' 및 '아다지오 C장조 KV.617a', 베토벤의 극음악 '레오노레 프로하스카', 생상스의 '동물의 사육제', 도니체티의 오페라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그림자 없는 여인' 등이 무대에 오르고 있다.

그 외 주요 연주자는 다음과 같다.


  • 비요크 (아이슬란드)
  • 토마스 블로흐 (프랑스)
  • 세실리아 브라우어 (미국)[46]
  • 닐스 프람 (독일)[47]
  • 빌 헤이즈 (미국, 뉴욕 시) - 브로드웨이 뮤지션, 타악기 연주자,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오케스트라 (1994, 2006, 2007)[48]
  • 마틴 힐머 (독일)[49][50]
  • 브루노 호프만 (독일)
  • 데니스 제임스 (미국)
  •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케른 (미국/독일)[51]
  • 앨러스데어 맬로이 (영국)[52]
  • 데이비드 몰딘 (미국) [53]
  • 글로리아 파커 (미국) - 유리 하프 연주자
  • 제럴드 쇤펠딩거 (오스트리아)[54]
  • 딘 쇼스타크 (미국)[55]
  • 에드 스탠더 (미국)[56]
  • 윌리엄 자이틀러 (미국)
  • 앨리사 나카시안-홀스버그 (미국)
  • 캐롤린 스카일러 (미국)
  • 카가와 치호 (호주)
  • 크리스타 쇤펠딩거 (오스트리아)
  • 장-클로드 샤퓌 (프랑스)
  • 린 드라이 (미국)
  • 메이링 가르시아 (미국)
  • 필립 마르게레 (독일)
  • 사샤 레케르트 (독일)
  • 베라 마이어 (미국)


※ 전문 연주자로 활동하는 사람은 극히 일부이며, 아마추어와 프로가 아직 혼재되어 있는 제한된 세계이다.

참조

[1] 문서 OEtymD harmonica OEtymD harmonic
[2] 문서 LSJ a(rmoni/a ἁρμονία ref.
[3] 서적 Musical Instruments: A Comprehensive Dictionary W. W. Norton & Company, inc.
[4] 간행물 How Franklin Invented the Armonica and How to Build One http://glassarmonica[...] 1762-07-13
[5] 서적 Brewer's Cabinet of Curiosities
[6] 웹사이트 Glasssharmonica.com webpage http://www.glassarmo[...] 2008-01-19
[7] 웹사이트 Culture - Les musées fêtent le printemps http://tf1.lci.fr/in[...] 2018-12-31
[8] 웹사이트 GFI Scientific glass blowing products and services: THE GLASSHARMONICA http://www.finkenbei[...] 2009-01-30
[9] 서적 The First American: The Life and Times of Benjamin Franklin 2000
[10] 서적 The Letters of Thomas Gray https://upload.wikim[...] George Bell & Sons
[11] 웹사이트 Downloadable Broadcast on BBC Radio 4 Adam Hart Davis on the ''Angelic Organ of Evil'' http://www.bbc.co.uk[...] Bbc.co.uk 2018-11-20
[12] 웹사이트 Benjamin Franklin and his Glass Armonica http://www.americanm[...] 2018-04-06
[13] 웹사이트 The Writings of Benjamin Franklin, Volume III: London, 1757–1775 – Faults in Songs http://www.historyca[...] 2008-12-06
[14] 웹사이트 E. Power Biggs Attempts a Keyboard Armonica http://glassarmonica[...] glassarmonica.com
[15] 웹사이트 Water Trough http://glassarmonica[...] glassarmonica.com
[16] 웹사이트 Glass Armonica http://www.thebakken[...]
[17] 웹사이트 The Franklin Institute – Exhibit – Franklin... He's Electric http://www2.fi.edu/e[...] 2018-04-06
[18] 웹사이트 Census http://www.glassarmo[...] William Zeitler 2014-07-03
[19] 웹사이트 Musical glasses (armonica) http://www.mfa.org/c[...] Museum of Fine Arts, Boston 2014-07-03
[20] 웹사이트 Historic Glass Armonica - MFA collection http://audio.richgoy[...] 2014-07-03
[21] 서적 Harvard Dictionary of Music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69
[22] 서적 The bel canto operas of Rossini, Donizetti, and Bellini https://archive.org/[...] Amadeus Press 1994-04-01
[23] 뉴스 Resonance Is a Glass Act for a Heroine on the Edge https://www.nytimes.[...] 2007-10-05
[24] 문서 "The Carnival of the Animals"
[25] 뉴스 Zehetmair/ BBC Philharmonic/ Storgårds review – through a glass, darkly https://www.theguard[...] 2016-08-02
[26] 서적 The Pulitzer Prize Winners for Music Peter Lang (publisher)
[27] 문서 Written on Skin Faber Music
[28] 서적 Gespensterbuch G. J. Göschen
[29] 문서 Leigh Hunt's London Journal Charles Knight 1835-09-26
[30] 웹사이트 This Trippy Film Was The Only Animation Banned By Soviet Censors https://www.gizmodo.[...] 2016-10-07
[31] 팟캐스트 Benjamin Franklin https://www.bbc.co.u[...] BBC Radio 4 2012-03-01
[32] 서적 1650–1850: ideas, aesthetics, and inquiries in the early modern era https://books.google[...] AMS Press 2004-09-30
[33] 문서 Marianne Kirchgessner obituary 1809-05-10
[34] 서적 Doctor Franklin's Medicine U of Pennsylvania Press
[35] 웹사이트 GFI Scientific glass blowing products and services http://www.finkenbei[...] 2018-04-06
[36] 웹사이트 Angelic Organ of Evil http://www.bbc.co.uk[...] 2007-10
[37] 웹사이트 1794 – The Year part 2 - Time flew - Could it be just 3 weeks? https://www.fjhaydn.[...] 2016-10
[38] 뉴스 Playing on Glass https://www.nytimes.[...] 1984-01-15
[39] 웹사이트 Glass Harmonicas http://finkenbeiner.[...]
[40] 웹사이트 Music of the Spheres: The Glass Harmonica http://www.elijahwal[...]
[41] 웹사이트 Cristal – Glass Music Through the Ages http://www.sonyclass[...] Sony Classical Music
[42] 웹사이트 Dennis James interview- glass harmonica project / by Rich Bailey http://www.ronstadt-[...]
[43] 웹사이트 Emmylou Harris, Linda Ronstadt, Dolly Parton - Trio II https://www.discogs.[...]
[44] 웹사이트 Monsters from the Id - "The Kobayashi Maru has set sail for the promised land." http://swashbuckler3[...]
[45] 웹사이트 MTV Unplugged (Korn album) https://en.wikipedia[...]
[4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Armonica, Ben Franklin and Glass Armonica http://www.gigmaster[...]
[47] 웹사이트 In Conversation: Nils Frahm https://www.clashmus[...] 2022-09-22
[48] 웹사이트 Bill Hayes (2) Discography at Discogs http://www.discogs.c[...] Discogs.com
[49] 웹사이트 Martin Hilmer - Live-Musik auf seltenen Instrumenten http://www.glasmusik[...]
[50] 웹사이트 Martin Hilmer - Live-Musik auf seltenen Instrumenten https://www.glasmusi[...]
[51] 웹사이트 Three Musical Triumphs at the Santa Fe Opera https://sharpsandfla[...] 2017-08-06
[52] 웹사이트 glass harmonica http://www.alasdairm[...] Alasdair Malloy 2012-07-10
[53] 웹사이트 History-alive.com http://www.history-a[...]
[54] 웹사이트 Wiener Glasharmonika Duo http://www.glasharmo[...]
[55] 웹사이트 Website for Dean Shostak's Crystal Concert, regular performances take place at Colonial Williamsburg, VA USA http://www.crystalco[...] Crystalconcert.com 2018-11-12
[56] 웹사이트 It's glassware! It's an instrument! It's both! http://alloveralbany[...]
[57] 문서 グラス・ハープ
[58] 문서 lang
[59] 문서 플루트, 오보에, 비올라, 첼로와 유리 하모니카의 오중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