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해효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해효과는 의료 행위, 약물, 백신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해 효과는 심각성에 따라 심각한 유해 사례와 경미한 유해 사례로 분류되며, 수술, 백신 접종, 방사선 치료, 약물 사용 등 다양한 의료 행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약물 유해 효과는 약물 상호 작용, 용량, 기관의 약물 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정부 규제와 대중의 관심이 높다. 각국은 유해 효과 보고 시스템을 운영하여 정보 수집 및 관리를 하고 있으며, 유해 효과의 보고는 의료 전문가의 재량에 달려 있어 한계점도 존재한다. 의학적 유해 효과는 사회적 논란과 소송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약품 안전 - 시카고 타이레놀 살인 사건
    시카고 타이레놀 살인 사건은 1982년 타이레놀 캡슐에 시안화물을 주입하여 7명이 사망한 사건으로, 기업 위기 관리와 포장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의약품 안전 - 일반의약품
    일반의약품은 약사로부터 정보를 얻어 일반인이 스스로 판단하여 사용하는 의약품으로, 경미한 질병 개선, 습관병 예방,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국가별로 다양한 규제를 받는다.
  • 임상약리학 - 부작용
    부작용은 의약품의 주된 작용 외에 나타나는 바람직하지 않은 작용을 의미하며,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고 발생 빈도에 따라 분류되며, 특정 집단은 더욱 주의해야 하고, 부작용 보고 제도를 통해 관리하며, 드물게 치료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 임상약리학 - 약물 상호작용
    약물 상호작용은 두 가지 이상의 약물 병용 시 약물의 효과가 변화하는 현상으로, 흡수, 분포, 대사, 배설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동태학적 상호작용과 생화학적 수준에서 약효를 변화시키는 약력학적 상호작용으로 나뉘며, 고령, 다약제 투여 등 위험 요인에 따라 관리 체계 강화가 요구된다.
  • 의학 용어 - 만성질환
    만성질환은 암,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 장기간 지속되는 건강 문제로, 식습관, 생활 습관, 사회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 습관과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 의학 용어 - 후유증
    후유증은 질병이나 외상 이후에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문제이며, 다양한 질환과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고, 진단과 치료,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유해효과
일반 정보
분야약리학
상세 정보
증상알 수 없음
합병증알 수 없음
발병 시기알 수 없음
지속 시간알 수 없음
유형알 수 없음
원인알 수 없음
위험 요인알 수 없음
진단알 수 없음
감별 진단알 수 없음
예방알 수 없음
치료알 수 없음
약물알 수 없음
예후알 수 없음
빈도알 수 없음
사망알 수 없음

2. 분류

의학적 유해 효과는 발생 원인, 심각성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임상 시험에서는 유해 사례와 심각한 유해 사례를 구분한다. 사망, 영구적인 손상, 선천적 결손을 유발하거나 병원 입원을 필요로 하는 모든 사건은 일반적으로 심각한 유해 사례로 간주된다.[3] "생명을 위협하는"이라는 용어는 사건 당시 환자가 사망 위험에 처해 있었던 사건을 의미한다.[4]

2. 1. 발생 원인에 따른 분류

의료 행위는 수술, 방사선 치료, 의학적 진단 절차 등을 포함하며, 각각 다양한 유해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수술감염, 출혈, 염증, 반흔, 기능 상실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최소 침습 수술은 이러한 부작용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 고강도 방사선 치료화상이나 피부 변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백신 접종은 드물게 습진 백신 접종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의학적 진단 절차는 침습 정도에 따라 부작용이 다를 수 있으며, 조영제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나 대장 내시경으로 인한 벽 천공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의약품으로 인한 유해 효과는 약물 이상 반응이라고도 불리며, 약리학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책임 있는 약물 사용이 강조되며, 약동학을 통해 이상 반응을 줄일 수 있다. 약물 상호 작용은 환자가 복용 중인 모든 약물(한약재, 식이 보충제 포함)을 의료진에게 알리지 않아 발생할 수 있으며, 대체의학에서 사용되는 "천연 약물"도 위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인트존스워트는 시토크롬 P450 효소를 증가시켜 다른 약물의 혈액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약물 안전은 정부 규제와 대중의 주요 관심사이며, 신약 개발 및 마케팅 전 테스트에서 이상 반응과 비이상 반응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독성 연구를 통해 비이상 반응 수준(NOAEL)을 결정하고 인체 실험 용량을 정한다. 임상 시험의 불완전성은 펜플루라민, 탈리도마이드, 세리바스타틴, 로페콕시브와 같은 약물의 시장 철수를 초래한 공중 보건 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대부분의 약물은 심각하지 않은 이상 반응(메스꺼움, 현기증, 설사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치매 환자는 이상 반응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고, 증상을 보고할 가능성은 낮다.[10][11]

2. 2. 심각성에 따른 분류

임상 시험에서는 유해 사례와 심각한 유해 사례를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사망, 영구적인 손상, 선천적 결손을 유발하거나 병원 입원을 필요로 하는 모든 사건은 심각한 유해 사례로 간주된다.[3] "생명을 위협하는"이라는 용어는 사건 당시 환자가 사망 위험에 처해 있었던 사건을 의미하며, 더 심각했다면 가설적으로 사망을 초래했을 수도 있는 사건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4]

3. 종류

의학적 유해 효과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약물 상호 작용 또한 유해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환자는 자신이 복용하는 모든 약물(한약재, 건강 보조 식품 포함)을 의사나 약사에게 알려야 한다. 대체의학에서 사용되는 "천연 약물"도 위험한 이상 반응을 보일 수 있는데, 일례로 세인트존스워트(초고추열매) 추출물은 시토크롬 P450 효소의 증가를 유발하여 다른 약물의 혈액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4]

제약 산업과 정부는 약물 안전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공중 보건을 위해 신약 개발 및 마케팅 전에 이상 반응과 비이상 반응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독성 연구를 통해 비이상 반응 수준 (NOAEL)을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체 실험 용량을 정한다. 임상 시험의 불완전성은 펜플루라민, 탈리도마이드 등과 같이 심각한 유해 효과를 초래하여 시장에서 철수되는 공중 보건 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대부분의 약물은 경미하거나 심각하지 않은 이상 반응을 동반할 수 있으며, 이는 개인의 민감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치매 환자는 이상 반응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고, 증상을 보고할 가능성이 낮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11]

3. 1. 수술

수술은 감염, 출혈, 염증, 반흔, 기능 상실 또는 국소적인 혈류 변화와 같은 여러 가지 바람직하지 않거나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4] 이러한 영향은 가역적이거나 비가역적일 수 있으며, 의사와 환자는 수술의 이점 또는 생명을 구하는 결과와 부작용 사이에서 절충점을 찾아야 한다. 예를 들어, 치료할 수 없는 괴저의 경우 절단으로 사지를 잃을 수 있지만 환자의 생명은 구제된다. 현재 복강경 수술과 같은 최소 침습 수술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부작용을 줄이는 것이다.

3. 2. 방사선 치료

방사선 치료에 의해 화상, 피부의 변화, 피부염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약제는 효과와 함께 유해 효과를 동반한다.[1]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건강한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3. 3. 백신

백신도 독성에 의해 피부염, 발진, 심한 아토피성 피부염 등을 일으킬 수 있다.[4]

3. 4. 약물

약물 유해효과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두통, 구강 건조증, 유산, 출혈, 구토, 출산 기형, 청력 손실, 녹내장, 설사, 발열, 탈모, 뇌전증, 졸림, 심장마비, 뇌졸중, 무도병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4] 이러한 유해 효과는 약물 상호 작용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는 자신이 복용하고 있는 모든 약물(한약재, 건강 보조 식품 포함)을 의사나 약사에게 알려야 한다.[4]

임상 시험에서는 유해 사례와 심각한 유해 사례를 구분한다.[3] 사망, 영구적인 손상, 선천적 결손을 유발하거나 병원 입원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심각한 유해 사례로 간주된다.[3]

약물의 이상 반응은 자가 치료를 통해 광범위하고 때로는 통제 불가능하게 사용되면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책임 있는 약물 사용이 필요하다. 약물의 치료 효과와 마찬가지로 이상 반응은 용량이나 표적 기관의 약물 농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주의 깊고 정확한 약동학을 통해 피하거나 줄일 수 있다.

약물-약물, 음식-약물 상호 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체의학에서 사용되는 "천연 약물"도 위험한 이상 반응을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인트존스워트(초고추열매) 추출물은 시토크롬 P450 효소의 증가를 유발하여, 다른 약물의 혈액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4]

약물 안전은 정부 규제와 제약 산업, 대중에게 주요 관심사이다. 이상 반응과 비이상 반응을 구별하는 것은 신약 개발과 마케팅 전에 중요한 과제이다. 독성 연구를 통해 비이상 반응 수준 (NOAEL)을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체 실험에서 사용될 용량을 정의한다. 임상 시험의 불완전성은 때때로 공중 보건 재앙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펜플루라민, 탈리도마이드, 세리바스타틴, 로페콕시브 등은 심각한 이상 반응으로 인해 시장에서 철수된 약물들이다.

대부분의 약물은 심각하지 않거나 경미한 이상 반응을 동반할 수 있다. 메스꺼움, 현기증, 설사, 불쾌감, 구토, 두통, 피부염, 구강 건조 등이 있으며, 이는 개인의 민감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치매 환자는 이상 반응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고, 증상을 신뢰할 수 있게 보고할 가능성이 낮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11]

다음은 약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유해효과의 예시이다.

약물유해효과
미소프로스톨(Cytotec)낙태, 유산, 자궁 출혈[12]
디아제팜, 모르핀진정제진통제물질 의존[13]
탈리도마이드선천적 기형
아스피린 출혈[14]
COX-2 억제제(예: 바이옥스)심혈관 질환[15]
겐타마이신(항생제)청력 손실 및 신부전[16]
프로포폴(Diprivan)어린이 진정 후 사망[17]
인터페론우울증 또는 간경변[18]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당뇨병[19]
오르리스타트(Xenical)설사[20]
항우울제발기 부전[21]
예방 접종발열[22][23]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기반 점안액녹내장[24]
, 백혈병 등에 대한 화학 요법탈모 및 빈혈[25]
척수 마취두통[26]
에페드린고혈압[27]
각성제, 메틸페니데이트(Ritalin), 아데랄 등불면증[28]
스타부딘(Zerit, HIV 치료용) 또는 메트포르민(당뇨병 치료용)젖산 산증[29][30]
코르티코스테로이드조증[31]
파라세타몰 손상[32]
에스트로겐 함유 호르몬 피임법(예: 복합 경구 피임약)기미혈전증[33][34]
실데나필음경 지속 발기증[35]
스타틴(항콜레스테롤 약물)횡문근 융해증[36]
벤조디아제핀 금단발작[37]
항히스타민제졸음 또는 식욕 증가[38]
실데나필(비아그라) + 니트로글리세린뇌졸중 또는 심근 경색
플루옥세틴 및 기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항우울제자살 경향 증가
메토클로프라미드 및 많은 항정신병 약물지연성 운동 이상증[39]


4. 보고 시스템

많은 국가에서 유해 효과 보고를 법적으로 의무화하고 있으며, 임상 시험에서 연구되고, 일반 대중에게 판매되는 의료 기기 및 약물에 동봉된 환자 정보에 포함되어야 한다.[5] 인체 임상 시험 연구자들은 이러한 사건을 임상 연구 보고서에 보고해야 할 의무가 있다.[5]

임상 시험에서는 유해 사례와 심각한 유해 사례를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사망, 영구적인 손상, 선천적 결손을 유발하거나 병원 입원을 필요로 하는 모든 사건은 심각한 유해 사례로 간주된다.[3] 시험 결과는 환자와 처방 의사 모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종종 약물 라벨링에 포함된다. "생명을 위협하는"이라는 용어는 사건 당시 환자가 사망 위험에 처해 있었던 사건을 의미하며, 더 심각했다면 가설적으로 사망을 초래했을 수도 있는 사건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4]

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유해 사례는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보고서에서 종종 부적절하게 보고된다.[6] 이러한 데이터 부족과 종합 방법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치료적 중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 분석을 수행하는 개인은 종종 건강상의 이점을 과도하게 강조한다.[7] 학자들은 임상 시험에서 해로운 결과에 대한 보다 완전한 보고를 요구해 왔다.[8]

각 국가별 보고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국가보고 시스템
영국옐로우 카드 제도
미국백신 이상 반응 보고 시스템(VAERS), 제조업체 및 사용자 시설 장치 경험 데이터베이스(MAUDE), 특수 영양제 유해 사건 모니터링 시스템, MedWatch
오스트레일리아유해 약물 반응 자문 위원회(ADRAC)
뉴질랜드[https://nzphvc.otago.ac.nz/carm/ 이상반응 모니터링 센터(CARM)]
캐나다캐나다 보건부의 보건 제품 및 식품 지부(HPFB)


4. 1. 영국

옐로우 카드 제도는 영국에서 시행하는 사업으로, 의약품 및 의료제품 규제청(MHRA)과 인간의약품 안전 위원회(CHM)가 운영하며, 의약품의 유해 효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5] 여기에는 처방약으로 발급되는 의약품부터 슈퍼마켓에서 일반 의약품으로 구매하는 의약품까지, 모든 허가된 의약품이 포함된다. 이 제도는 또한 화장품 치료에 사용되는 모든 허브 보충제 및 허가되지 않은 의약품도 포함한다. 부작용(ADR)은 의사, 약사, 간호사를 포함한 여러 의료 전문가와 환자가 보고할 수 있다.

4. 2. 미국

미국에서는 여러 보고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데, 백신 이상 반응 보고 시스템(VAERS), 제조업체 및 사용자 시설 장치 경험 데이터베이스(MAUDE), 특수 영양제 유해 사건 모니터링 시스템 등이 있다. MedWatch는 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이 운영하는 주요 보고 센터이다.

4. 3.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유해 효과 보고는 호주 의약품 평가 위원회(ADEC)의 하위 위원회인 유해 약물 반응 자문 위원회(ADRAC)에서 관리한다. 보고는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며, ADRAC는 의료 전문가에게 현재 관심 있는 약물에 대한 모든 유해 반응과 모든 약물에 대한 심각한 유해 반응을 보고하도록 요청한다. ADRAC는 2개월마다 호주 유해 약물 반응 게시판을 발행한다.[5] 정부의 의약품의 질적 사용 프로그램은 매년 예방 가능한 유해 효과의 수를 줄이고 최소화하기 위해 이러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조치를 취하도록 지시받는다.

4. 4. 뉴질랜드

이상반응 보고는 뉴질랜드의 약물감시 활동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더니딘에 위치한 [https://nzphvc.otago.ac.nz/carm/ 이상반응 모니터링 센터(CARM)]는 뉴질랜드의 이상반응에 대한 국가 모니터링 센터이다. 이곳은 뉴질랜드의 의료 전문가들로부터 의약품, 백신, 생약 제품 및 건강 보조 식품에 대한 이상반응 자발 보고서를 수집하고 평가한다. 현재 CARM 데이터베이스는 8만 건 이상의 보고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에 대한 이상반응에 대한 뉴질랜드 특유의 정보를 제공하고, 특이한 증상이 치료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될 때 임상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5]

4. 5. 캐나다

캐나다에서 유해 반응 보고는 캐나다 보건부의 보건 제품 및 식품 지부(HPFB)에서 수행하는 시판 건강 제품 감시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HPFB 내 시판 건강 제품국(MHPD)은 규제 대상 시판 건강 제품에 대한 신호 및 안전 동향 평가, 위험 커뮤니케이션과 관련하여 일관된 모니터링 관행의 조정 및 구현을 주도한다.[5]

MHPD는 또한 정보 공유를 위해 국제기구와 긴밀히 협력한다. 유해 반응 보고는 업계에 의무적이며 소비자 및 의료 전문가에게는 자발적이다.

5. 한계점

의료 전문가는 원칙적으로 특정 치료와 관련된 모든 유해 효과를 보고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의료 사건과 치료의 연관성을 판단하는 것은 전문가의 재량에 달려있다. 결과적으로, 일상적인 유해 효과 보고에는 치료로 인한 장기적이고 미묘한 효과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9]

불만의 원인을 정확히 식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독감 치료를 받는 환자의 두통은 근본적인 질병 때문일 수도 있고, 치료의 유해 효과일 수도 있다. 말기 환자의 경우, 사망은 매우 가능성이 높은 결과이며, 약물이 원인인지 아니면 관련 없는 것인지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참조

[1] 논문 Adverse drug reactions: definitions, diagnosis, and management https://www.thelance[...] 2000-10-07
[2]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2015-01
[3] 웹사이트 Reporting Serious Problems to FDA - What is a Serious Adverse Event? https://www.fda.gov/[...] 2018-03-15
[4] 웹사이트 Guideline for Industry – Clinical safety data management: definitions and standards for expedited reporting. https://www.fda.gov/[...] FDA Center for Drug Evaluation and Research 1995-03
[5] 웹사이트 Guideline for Industry Structure and Content of Clinical Study Reports. https://www.fda.gov/[...] FDA Center for Drug Evaluation and Research 2007-08-25
[6] 논문 Completeness of safety reporting in randomized trials: an evaluation of 7 medical areas
[7] 논문 Challenges in systematic reviews that assess treatment harms 2005-06
[8] 논문 Better reporting of harms in randomized trials: an extension of the CONSORT statement 2004-11
[9] 논문 Adverse drug event reporting systems: a systematic review 2016-07
[10] 웹사이트 MATCH-D Medication Appropriateness Tool for Comorbid Health conditions during Dementia http://www.match-d.c[...] 2019-06-01
[11] 논문 Medication appropriateness tool for co-morbid health conditions in dementia: consensus recommendations from a multidisciplinary expert panel 2016-10
[12] 웹사이트 Mifepristone and Misoprostol for Abortion http://women.webmd.c[...] 2013-03-20
[13] 웹사이트 Morphine Addiction Withdrawal Symptoms and Treatment http://www.rehabinfo[...] 2013-03-20
[14] 뉴스 Even Low Dose of Aspirin Can Cause Intestinal Bleeding http://www.webmd.com[...] WebMD News 2000-11-09
[15] 웹사이트 Coronary Heart Disease http://www.weitzlux.[...] 2013-03-20
[16] 웹사이트 Kidney Damage http://www.gentamici[...] 2013-04-28
[17] 논문 Propofol infusion syndrome in children
[18] 논문 Therapy of interferon-induced depression in chronic hepatitis C with citalopram: a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2008-04
[19] 웹사이트 Diabetes and Antipsychotic Drugs http://www.medsafe.g[...] 2013-03-20
[20] 웹사이트 Xenical and Diarrhea: a study of 591 users http://www.ehealthme[...] 2013-03-20
[21] 웹사이트 Can anti-depressants cause sexual dysfunction? http://answers.webmd[...] 2013-03-20
[22] 논문 Fever following immunization 2005-06
[23] 웹사이트 Possible Side-effects from Vaccine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8-07-12
[24] 논문 Corticosteroids and glaucoma risk 1999-12
[25] 웹사이트 Chemotherapy and hair loss: What to expect during treatment http://www.mayoclini[...] Mayo Clinic 2013-03-20
[26] 웹사이트 Headache After an Epidural or Spinal Anaesthetic http://www.patient.i[...] 2013-03-20
[27] 웹사이트 Ephedra (Ephedra sinica) / ma huang http://www.mayoclini[...] Mayo Clinic 2013-05-20
[28] 뉴스 What Are the Side Effects of Adults Taking Ritalin? http://www.livestron[...] 2013-03-20
[29] 논문 Lactic acidosis associated with stavudine administration: a report of five cases 2000-01
[30] 웹사이트 Metformin and Fatal Lactic Acidosis http://www.medsafe.g[...] 2013-03-20
[31] 논문 Corticosteroid-induced adverse psychiatric effects: incidence, diagnosis and management 2000-02
[32] 웹사이트 Paracetamol Poisoning http://www.patient.i[...] 2013-03-20
[33] 웹사이트 What is Melasma? http://www.wisegeek.[...] 2013-03-20
[34] 논문 SOGC clinical practice guideline. No. 252, December 2010. Oral contraceptives and the risk of venous thromboembolism: an update 2010-12
[35] 논문 Sildenafil citrate ingestion and prolonged priapism and tachycardia in a pediatric patient
[36] 웹사이트 How do you know if you have rhabdomyolysis from statin use? http://www.mayoclini[...] 2012-12-14
[37] 논문 Benzodiazepine withdrawal seizures: analysis of 48 case reports 1987-12
[38] 웹사이트 Antihistamines http://www.patient.i[...] 2011-04-20
[39] 웹사이트 Metoclopramide & Tardive Dyskinesia http://www.tardivedy[...] 2013-03-20
[40] 웹사이트 Thimerosal in Vaccines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3-03-16
[41] 뉴스 CDC sees autism rate rise 25% https://www.cbsnews.[...] 2012-03-29
[42] 웹사이트 Silicone Breast Implants in Relation to Connective Tissue Diseases and Immunologic Dysfunction http://www.fjc.gov/B[...] 2013-03-16
[43] 웹사이트 Breast Implant Litigation Timeline https://www.pbs.org/[...] 2023-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