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고왕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 고왕국은 기원전 2686년부터 기원전 2181년까지 이집트 역사에서 파라오의 강력한 권력과 중앙 집권 체제가 구축되었던 시기이다. 제3왕조부터 제6왕조에 걸쳐 고대 이집트의 부흥기를 이루었으며, 특히 제4왕조에는 쿠푸의 대피라미드로 대표되는 건축 기술의 발전과 함께 왕권이 절정에 달했다. 제5왕조에는 태양신 숭배가 강화되었고, 제6왕조 말기부터 왕권이 약화되며 기원전 22세기의 가뭄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과 함께 제1중간기로 접어들었다. 이 시기에는 피라미드 건설, 조각, 태양신전 건축 등 다양한 예술과 건축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기자의 대피라미드, 스핑크스, 조세르의 계단식 피라미드 등 많은 유적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이집트 사람 - 투트모세 3세
투트모세 3세는 고대 이집트 제18왕조의 여섯 번째 파라오로, 하트셉수트의 섭정 이후 이집트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정복한 군사적 지도자이며, 메기도 전투를 비롯한 17차례의 원정과 건축물을 통해 광대한 제국을 건설했다. - 고대 이집트 사람 - 조세르
조세르는 고대 이집트 제3왕조의 파라오이며, 사카라에 계단 피라미드를 건설하여 이집트 피라미드 건축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시나이 반도 원정과 재상 임호텝의 지휘 아래 대규모 건축 사업을 통해 이집트의 경제적 기반을 강화했다. - 이집트의 역사 - 아랍 연합 공화국
아랍 연합 공화국은 1958년 이집트와 시리아의 합의로 수립되어 카이로를 수도로 하였으나, 이집트의 일방적인 정책으로 시리아가 반발하여 1961년 해체되었고, 이후 이집트는 1971년까지 국호를 유지했다. - 이집트의 역사 - 알렉산드리아
알렉산드리아는 기원전 331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건설한 이집트 북부 지중해 연안의 도시로, 헬레니즘 시대에는 중심지로서 번영을 누렸으며 현재는 이집트의 주요 도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군주에 관한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는 1405년에 태어나 1449년 황제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위협 속에서 동서 교회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함께 최후를 맞이하며 동로마 제국의 종말을 가져왔다. - 군주에 관한 - 쇼보쿠왕
쇼보쿠왕은 류큐 왕국 제2쇼씨 왕조의 제13대 국왕으로 쇼케이왕의 장남이며, 왕비와 부인, 처를 두었고 5남 3녀를 두었다.
이집트 고왕국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일반 명칭 | 고왕국 |
정식 명칭 | 이집트 고왕국 |
정치 체제 | 신성한, 절대 군주제 |
수도 | 멤피스 |
국어 | 고대 이집트어 |
종교 | 고대 이집트 종교 |
역사 | |
시작 | 기원전 2686년경 |
종료 | 기원전 2181년경 |
이전 |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 |
이후 | 이집트 제1 중간기 |
통치자 | |
첫 번째 통치자 | 조세르 |
첫 번째 통치자 재임 기간 | 기원전 2686년경–2649년경 |
마지막 통치자 | 학자에 따라 다름, 네이티케르티 시프타 (제6왕조) 또는 네페리르카레 (제7/8왕조) |
마지막 통치자 재임 기간 | 기원전 2184년경–2181년경 |
통치자 호칭 | 파라오 |
인구 | |
2500년경 추정 | 160만 명 |
2. 역사
고왕국 시대에 고대 이집트의 왕권은 크게 신장되어 파라오는 중앙집권적인 전제군주로서 강력한 힘을 가졌다. 이집트 제4왕조가 남긴 쿠푸의 대피라미드를 비롯한 수많은 유적들은 이를 잘 보여준다. 왕은 정신적인 면에서도 신과 동격으로, 초기에는 호루스의 화신, 이집트 제5왕조부터는 태양신 레의 아들로 숭배되었다.
파라오의 신격화와 대피라미드 건설로 상징되는 고왕국의 부흥은 이집트 제6왕조 시기부터 서서히 약화되었고, 결국 왕권은 붕괴되어 이집트는 제1중간기를 맞이하게 된다.
2. 1. 초기 왕조 (제3왕조)
기원전 2686년 ~ 기원전 2613년이름 | 재위 기간 | 업적 |
---|---|---|
사나크테 | 기원전 2686년 ~ 기원전 2668년 | 최초로 카르투슈 사용 |
조세르 | 기원전 2668년 ~ 기원전 2649년 | 최초의 석조 건축물인 계단형 피라미드 건설. |
세켐케트 | 기원전 2649년 ~ 기원전 2643년 | |
카바 | 기원전 2643년 ~ 기원전 2637년 | |
후니 | 기원전 2637년 ~ 기원전 2613년 | 최초의 정방형 피라미드 건설. |
사나크테 왕이 이집트 제2왕조의 공주와 결혼하여 기원전 2686년경에 왕이 되면서 이집트 제3왕조가 열렸고, 이 시기를 고왕국 시대의 시작으로 본다.[39] 수도는 멤피스였다.
이 왕조 시대에 이집트에는 많은 혁신이 도입되었다. 역사상 최초로 피라미드가 건설되었는데, 사카라에 건설된 조세르 왕의 계단형 피라미드가 그것이다. 왕의 장례 의식을 담당하는 중요한 형식이 확립되었다. 또한 사나크테 왕 시대에 최초로 카르투슈(왕명을 둘러싸는 틀)가 사용되었다. 이것은 히에로글리프 문서에서 왕명을 둘러싸는 틀이며, 이후 고대 이집트 문명의 종말까지 사용되었다.
고대 이집트의 지방 행정 구역인 노모스[49]에 대한 기록이 처음 등장하는 것은 이집트 제3왕조 시대이다. 노모스는 통일 왕조 시대 이전부터 존재하던 지역 공동체 또는 초기 왕조 시대에 설치된 행정 구역 중 하나를 그 원형으로 갖는 것으로 생각되며, 고왕국 시대 이전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여겨진다.[50] 제3왕조 시대에는 "장관", "경지 지휘관" 등의 칭호가 있었던 것이 기록에 남아 있다. 초기 단계에서는 아마도 왕족이나 왕의 임명에 의한 주후(州侯)가 정기적으로 노모스를 순찰하여 수확 상황 등을 파악하고, 조세를 거두었을 것이다. 제3왕조 시대의 행정 조직은 아직 체계적인 조직이 아니었으며, 그 국가 기구는 미숙했다고 여겨진다.
2. 2. 전성기 (제4왕조)
이집트 제4왕조(기원전 2613년~기원전 2494년) 시대에 고왕국과 그 왕권은 정점에 달했다. 제4왕조의 첫 번째 왕인 스네프루는 서쪽의 고대 리비아에서부터 동쪽의 시나이 반도, 남쪽의 누비아에 이르는 영토를 지배했다. 누비아의 부헨에는 200년 동안 지속된 이집트인 정착지가 세워졌다.[10] 조세르 이후 스네프루는 위대한 피라미드 건설자가 되었다. 그는 메둠에 위치한 메둠 피라미드를 포함하여 세 개의 피라미드 건설을 의뢰했다. 스네프루는 피라미드의 외부 피복이 무너진 후 메둠 피라미드 건설을 중단했다. 메둠 피라미드는 지상에 매장실을 갖춘 최초의 피라미드였다.[11]다른 어떤 파라오보다 많은 돌을 사용하여 그는 세 개의 피라미드를 건설하도록 의뢰했다. 현재 붕괴된 메둠의 피라미드, 다슈르의 굽은 피라미드, 그리고 북쪽 다슈르의 붉은 피라미드이다. 그러나 피라미드 건축 양식의 완전한 발전은 사카라가 아니라 기자에서 대피라미드 건설 기간 동안 이루어졌다.[12]
스네프루의 뒤를 이은 그의 아들 쿠푸(기원전 2589년~기원전 2566년)는 기자의 대피라미드 건설을 의뢰했다. 쿠푸 사후 그의 아들 제데프레(기원전 2566년~기원전 2558년)와 카프레(기원전 2558년~기원전 2532년)는 불화를 빚었을지도 모른다. 후자는 두 번째 피라미드와 (전통적인 생각으로는) 기자의 대스핑크스를 건설하도록 의뢰했다. 최근 증거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이집트학자 바실 도브레브는 스핑크스가 제데프레에 의해 그의 아버지 쿠푸를 위한 기념비로 건설되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13] 또는 스핑크스는 카프레와 쿠푸 자신이 건설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가나안과 누비아로의 군사 원정이 있었고, 이집트의 영향력은 나일강을 따라 오늘날 수단까지 미쳤다.[15] 제4왕조의 후기 왕들은 기자의 세 개의 대피라미드 중 가장 작은 피라미드를 건설한 멘카우레(기원전 2532년~기원전 2504년), 솁세스카프(기원전 2504년~기원전 2500년), 그리고 아마도 제데프타(기원전 2498년~기원전 2496년)이었다.
역사적으로 유명한 기자의 피라미드가 건설된 시대가 바로 이 왕조 시대이다. 건설자인 쿠푸, 카프레, 멘카우레 세 왕은 현대에서도 가장 유명한 고대 이집트 왕들 중 하나이며, 헤로도토스와 같은 고대 저술가들도 그들에 대해 기록을 남겼다.[40] 이 피라미드들의 양식은 제3왕조 시대에 만들어진 계단식 피라미드에서 직선적인 라인을 가진 진정한 피라미드로 변화되었다. 재상직에 왕자가 취임하고, 왕족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관료 조직이 정비되었다.[41] 이 왕조의 왕들은 또한 고대 이집트에서 오랫동안 전해 내려왔으며, 이집트 중왕국 시대 문학 작품에도 주요 등장인물로 등장했다.[42]

제4왕조 시대에는 국가 기구가 대폭 정비되었다. 이는 국내 지배를 안정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증가하는 피라미드 건설에 대응하기 위한 자원과 노동력의 집배 기능을 갖춘 행정 조직의 필요성이 높아졌던 것에 대응한 것이었다. 건축 활동을 총괄하는 노동 장관(왕의 모든 노동의 장관 ''imy-r kk3t nbt nt nswt'')은 다른 부서보다 상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건축 활동이 중시되었음을 보여준다.[51] 제4왕조에서 상위 관직은 기본적으로 왕족이 독점했다. 특히 제4왕조에서 행정 조직의 최고위직이었던 재상직은 초대 스네프루 왕의 왕자 네페르마트가 취임한 이후, 관례적으로 왕자가 담당했고, 노동 장관직은 재상이 된 왕자가 겸임했다. 이것은 왕에 대한 권력 집중의 증거이지만, 한편으로는 왕족으로부터 상급직에 해당하는 인원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었다는 사실은 행정 조직의 규모가 작고 단순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 그렇지만 초대 왕 스네프루 이후 정비된 이 행정 조직에 의해 제4왕조 시대에는 전례 없는 거대한 피라미드 건설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52]
2. 3. 제5왕조
제5왕조는 기원전 2498년부터 기원전 2345년까지 존속했으며, 우세르카프가 세웠다. 이 시기에는 태양신 라 숭배가 중요해졌고, 아부시르에 태양 신전 건설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우세르카프의 뒤를 이어 아들 사후레가 즉위하여 푼트 왕국 원정을 지휘했다. 사후레의 아들 네페리르카레 카카이는 왕명에 왕명을 도입했다. 그의 뒤를 이어 짧게 재위한 두 왕이 있었는데, 아들 네페레프레와 솁세스카레였다. 솁세스카레는 네페르프레의 형제인 니우세르레에게 폐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니우세르레는 아부시르에서 건설 사업을 진행했고 기자에서 왕실 활동을 재개했다.
제5왕조의 마지막 파라오들은 멘카우호르, 제드카레, 우나스였다. 우나스는 자신의 피라미드에 피라미드 텍스트를 새긴 최초의 통치자였다.
이 시기 이집트는 레바논과 푼트 왕국 등과 교역을 했다.[17] 에게 해, 아나톨리아와도 직접 무역을 했다.[18] 누비아와 시나이 광산으로 원정을 보냈다.[19][20][21][22] 누비아와 아시아에서의 군사 원정에 대한 기록도 있다.[23][24][25]
피라미드 규모는 정형화되었고, 헬리오폴리스의 '높은 모래'와 벤벤석을 본뜬 태양신전[43]이 건설되었다. 왕의 칭호에 "라의 아들"이 추가되는 등 라 숭배가 발전했다. 국가 기구는 더욱 정비되었고, 관료 조직은 세분화되었다.[44]
제5왕조 시대에는 상위 관직의 왕족 독점이 종식되고, 비왕족 유력자가 최고위직인 재상 등에 진출하였다. 사법, 농정, 서기, 재정 등 주요 행정 부문이 정비되었다. 지방 행정에서는 "상이집트 감독관" 등의 관직이 등장했고, 주후가 관할 노모스에 거주하며 지위를 세습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하지만 행정 조직이 복잡해지는 것에 비해 세수 증가는 정체되었다. 제5왕조 말기부터 제6왕조에 걸쳐 행정 개혁이 반복되었지만 효과는 없었다. 이에 따라 피라미드 도시 관리자 등에게 각지 관리를 임명하거나, 피라미드 도시 부속 영지를 포상으로 주는 방책이 채택되었다.
2. 4. 쇠퇴기 (제6왕조 ~ 제8왕조)
제6왕조(기원전 2345~2181년) 동안 파라오의 권력은 주(Nomarch)들(지역 총독)에게 점차 약화되었다. 이들은 더 이상 왕족에 속하지 않았고, 그들의 직책은 세습되었으며, 파라오의 중앙 권력으로부터 크게 독립적인 지역 왕조들을 만들었다. 그러나 나일 강의 홍수 관리(치수)는 여전히 매우 큰 공사의 대상이었는데, 특히 기원전 2300년경 모에리스 호로 이어지는 운하가 건설되었으며, 이는 수 세기 전 기자 피라미드 단지의 수원이었을 가능성이 높다.페피 2세(기원전 2278~2184년)의 매우 긴 통치 기간 동안 왕조 말기에 내부 혼란이 시작되었다. 그의 사망은 계획된 상속인들의 사망보다 훨씬 후였을 것이며, 이는 계승 투쟁을 야기했을 수 있다. 페피 2세의 통치가 끝난 지 불과 수십 년 만에 나라는 내전에 빠져들었다.
결정타는 이 지역에 발생한 기원전 22세기 가뭄이었는데, 이로 인해 강수량이 급격히 감소했다. 기원전 2200년과 2150년 사이 적어도 몇 년 동안은 이로 인해 나일 강의 정상적인 홍수가 방해받았다.[29]
원인이 무엇이든 간에, 고왕국의 붕괴는 수십 년간의 기근과 분쟁으로 이어졌다. 초기 제1중간기 동안 주(Nomarch)였던 앙크티피의 무덤에 있는 중요한 비문은 기근이 땅을 휩쓸었을 때 나라의 비참한 상태를 묘사하고 있다.
제6왕조는 페피 1세와 메렌레 1세 통치 기간 동안 번영하는 무역, 여러 광산 및 채석장 탐험, 그리고 주요 군사 원정으로 절정에 달했다. 군사적으로 페피 1세의 통치 기간에는 누비아에 대한 공격적인 확장이 특징이었다.[26][27] 적어도 5차례의 군사 원정이 가나안으로 파견되었다.[28] 메렌레는 페피 1세처럼 누비아에서 활동했을 뿐만 아니라, 북쪽 국경에서 세 번째 폭포 남쪽 지역까지 누비아에 대한 이집트의 지배를 유지하기 위해 관리들을 파견했다.[28]
제5왕조에 이어 규격화된 크기의 피라미드 건설이 계속되었지만, 건축 기술은 퇴화하여 현재 많은 피라미드가 심하게 붕괴되어 있다. 피라미드 내부에는 피라미드 텍스트라고 불리는 주문이 쓰이기 시작했다.[45] 여기에는 라 신에 대한 것과 함께 이후 이집트에서 중요한 신앙을 모은 저승과 부활의 신 오시리스에 대한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 왕조 시대에는 대외 관계에서 매우 활발하게 활동하여 채석, 구리 채굴, 석재, 목재를 구하기 위해 시나이 반도, 팔레스타인, 누비아 등으로 경제적, 군사적 원정이 반복되었다.[46]
이 시기를 고왕국으로 볼 것인지, 다음 제1중간기로 분류할 것인지는 연구자에 따라 일정하지 않다. 제6왕조 말기, 비대해진 관료 조직을 개선하기 위한 행정 개혁은 잘 되지 않았고, 각지의 주후(州侯)의 자율성이 높아져 중앙 정부의 지방에 대한 통제력이 저하되었다. 왕의 권위는 저하되었고, 한편 세력을 키운 각지의 주후와 관리들은 대형화되고 잘 정비된 마스타바 무덤을 남기고 있다.[47] 마네토[48]는 제7왕조는 멤피스에서 70일 동안 70명의 왕이 통치했다고 한다. 이 두 왕조의 실존은 불확실하며, 이 시대에 이집트의 통일이 무너졌다. 제8왕조의 일부 왕은 사카라에 피라미드를 남기고 있다.
제5왕조 시대에 들어서면서 상위 관직의 왕족 독점은 종식되고, 최고위직인 재상을 포함한 지위에 비왕족의 유력자가 진출하였다. 이러한 인사적 변화와 쿠푸왕 이후 피라미드의 축소 경향을 종합하여 왕권이 약화되었다고 보는 견해가 있으나, 행정 조직의 체계적인 정비와 확장이 진행됨에 따라 더 이상 왕족으로부터 필요한 인원을 확보하는 것은 비현실적이었고, 왕족 외의 유능한 인재를 발탁하는 것은 필연적인 흐름이었다.[53] 사법, 농정, 서기, 재정 등 주요 행정 부문이 정비된 것도 이 시기이다. 한편 재상이 여러 명 놓이게 되면서, 1명의 관리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흔적도 보인다. 지방 행정에서는 "상이집트 감독관(''imy-r Šm3w'')" 등의 관직이 등장하게 되었고, 제5왕조 시대부터 주후가 관할하는 노모스에 거주하며 지위를 세습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주후들은 점차 왕묘 주변이 아닌 자신의 관할 지역에 묘를 건설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처럼 복잡화, 세분화되는 행정 조직에 비해 세수 증가는 점차 정체되었다. 행정 조직의 복잡화는 곧 관리의 증가로 이어진다. 관리에게는 왕령지의 임대나 장례용 제물 제공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급여가 지급되었지만, 인원 증가에 따라 토지이든 장례용 제물이든 1인당 지급되는 보수는 감소하고 관리의 생활 상태는 악화되었다.[54] 제5왕조 말기부터 제6왕조에 걸쳐, 아마도 세수 증가를 목표로 한 행정 개혁이 반복적으로 시행되었지만 충분한 효과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피라미드 도시 관리자 등에게 각지의 관리를 임명하거나, 피라미드 도시 등의 부속 영지를 포상으로 주는 방책이 채택되었다. 이에 따라 피라미드 복합체를 통해 공급되는 제물 등이 중앙 정부의 관리나 주후 등에게 개방되는 길이 열렸다. 그러나 유력한 주후나 관리는 이러한 관직을 여러 개 겸임하며, 점차 왕을 능가하는 세력을 가진 자들도 형성되어 갔다. 그리고 제6왕조의 왕 페피 2세의 매우 장기간에 걸친 재위 기간 동안, 왕의 지도력과 지방에 대한 통제력은 현저하게 약화되었다.
3. 정치와 행정
고왕국 시대 이집트의 왕권은 크게 신장되어 파라오의 중앙집권적인 전제군주의 힘이 강화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이집트 제4왕조가 남긴 수많은 유적들, 특히 쿠푸의 대피라미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정신적인 면에서도 왕의 위치는 신과 동격으로 격상되어, 초기에는 호루스의 화신으로, 이집트 제5왕조부터는 태양신 레의 아들로 숭배되었다.
고왕국 시대 이전, 초기 왕조 시대부터 이집트의 역대 왕들은 왕권 강화에 매진해 왔으며, 그 수단으로 행정 조직도 정비되어 갔다. 고대 이집트의 지방 행정 구역인 노모스[49]에 대한 기록이 처음 등장하는 것은 이집트 제3왕조 시대이다. 제3왕조 시대에는 "장관", "경지 지휘관" 등의 칭호가 기록에 남아 있다. 제3왕조 시대의 행정 조직은 아직 체계적인 조직이 아니었으며, 국가 기구는 미숙했다고 여겨진다.
제4왕조 시대에는 국가 기구가 대폭 정비되었다. 재상직은 초대 스네페르 왕의 왕자 네페르마트(Nefermaat)가 취임한 이후, 관례적으로 왕자가 담당했고, 노동 장관직은 재상이 된 왕자가 겸임했다. 스네페르 왕 이후 정비된 이 행정 조직에 의해 제4왕조 시대에는 전례 없는 거대한 피라미드 건설이 가능하게 되었다.[52]
제5왕조 시대에 들어서면서 상위 관직의 왕족 독점은 종식되고, 최고위직인 재상을 포함한 지위에 비왕족의 유력자가 진출하였다. 사법, 농정, 서기, 재정 등 주요 행정 부문이 정비된 것도 이 시기이다. 지방 행정에서는 "상이집트 감독관(''imy-r Šm3w'')" 등의 관직이 등장하게 되었고, 제5왕조 시대부터 주후가 관할하는 노모스에 거주하며 지위를 세습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제6왕조(기원전 2345~2181년) 동안 파라오의 권력은 강력한 주(Nomarch)들 (지역 총독)에게 점차 약화되었다. 이들은 더 이상 왕족에 속하지 않았고, 그들의 직책은 세습이 되었으며, 따라서 파라오의 중앙 권력으로부터 크게 독립적인 지역 왕조들을 만들었다. 페피 2세 (기원전 2278~2184년)의 매우 긴 통치 기간 동안 왕조 말기에 내부 혼란이 시작되었다.
4. 대외 관계
이집트 제5왕조 시대에는 에보니, 몰약, 유향과 같은 향, 금, 구리 및 기타 유용한 금속 등 무역 상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고대 이집트인들은 항해에 적합한 배를 건조하게 되었다. 그들은 레바논 삼나무를 얻기 위해 레바논과 무역을 했고, 홍해를 따라 푼트 왕국(현재의 에리트레아)까지 항해하여 에보니, 상아, 향기로운 수지를 얻었다.[17] 당시 조선공들은 못이나 금속 패스너를 사용하지 않고 로프를 사용하여 배를 조립했으며, 판자와 상부 구조는 단단히 묶었다. 이 시기에는 이집트와 에게 해의 이웃 국가 및 아나톨리아 사이의 직접 무역도 이루어졌다.[18]
이집트 제5왕조의 통치자들은 누비아의 석재 채석장과 금광, 시나이 광산으로 원정을 보냈다.[19][20][21][22] 누비아와 아시아에서의 군사 원정에 대한 언급과 묘사가 있다.[23][24][25] 이집트 제6왕조는 페피 1세와 메렌레 1세 통치 기간 동안 번영하는 무역, 여러 광산 및 채석장 탐험, 그리고 주요 군사 원정으로 절정에 달했다. 페피 1세는 누비아에 대한 공격적인 확장을 펼쳤으며,[26][27] 가나안으로 적어도 5차례의 군사 원정을 보냈다.[28] 메렌레는 페피 1세처럼 누비아에서 활동했을 뿐만 아니라, 북쪽 국경에서 세 번째 폭포 남쪽 지역까지 누비아에 대한 이집트의 지배를 유지하기 위해 관리들을 파견했다.[28]
제5왕조 시대에는 대외 관계에서 매우 활발하게 활동하여 채석, 구리 채굴, 석재, 목재를 구하기 위해 시나이 반도, 팔레스타인, 누비아 등으로 경제적, 군사적 원정이 반복되었다.[46]
5. 예술과 건축
고대 이집트에서 고왕국 시대의 예술과 건축은 파라오의 권력이 매우 강했던 시기를 반영한다. 특히 이집트 제4왕조의 유적들과 쿠푸의 대피라미드는 중앙집권적인 전제군주제가 강화되었음을 보여준다. 왕은 신과 동격으로 숭배되었으며, 초기에는 호루스의 화신, 이집트 제5왕조부터는 태양신 레의 아들로 여겨졌다.
고왕국의 예술은 종교와 이데올로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30] 정면성, 복합 구성, 계층적 크기의 세 가지 주요 원칙이 적용되었다.[30] 정면성은 작품을 정면에서 바라보도록 의도한 것이며, 복합 구성은 여러 관점을 사용하여 대상을 명확하게 표현했다. 계층적 크기는 인물의 크기로 상대적 중요성을 나타냈다. 왕은 신을 제외하고 가장 크게 묘사되었으며, 크기의 유사성은 지위의 유사성과 같았다.[30]
인물 표현은 시대에 따라 다른 비율을 보였다. 고왕국 시대 남성은 넓은 어깨와 긴 몸통, 근육질로 표현되었고, 여성은 좁은 어깨와 허리, 긴 다리와 짧은 몸통으로 묘사되었다.[34] 이집트 제6왕조에는 남성 인물의 근육이 줄고 어깨가 좁아졌으며, 눈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30]
조각은 고왕국 시대의 주요 예술 형태였다. 인물은 주로 앉거나 서 있는 자세로 표현되었고, 왕과 가족 구성원의 집단 조각상도 일반적이었다.[31] 화강암, 회색 사암, 편암과 같은 단단한 돌이 주로 사용되었으며,[37] 돌의 색깔은 상징적인 의미를 가졌다.[30]
피라미드 건설은 고왕국 시대의 중요한 특징이다. 마스타바라고 불리는 대형 무덤에서 계단식 피라미드로 발전하여, 직선적인 라인을 가진 진정한 피라미드가 탄생했다. 피라미드는 단독 건조물이 아니라, 피라미드 복합체라고 불리는 부속 시설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왕의 사후에도 장례 의식이 계속되었다.
주요 피라미드:
- 제3왕조
- 제세르 왕의 계단식 피라미드 (사카라)
- 세켐케트 왕의 미완성 피라미드 (사카라)
- 중층 피라미드 (자위에트 엘 아리안)
- 제4왕조
- 스네페루 왕의 굽은 피라미드 (다슈르)
- 스네페루 왕의 붉은 피라미드 (다슈르)
- 스네페루 왕의 이형 피라미드 (메이둠)
- 쿠푸 왕의 대피라미드 (기자)
- 제드에프라 왕의 피라미드 (미완성, 아부 로아시)
- 카프레 왕의 피라미드 (기자)
- 멘카우라 왕의 피라미드 (기자)
- 제5왕조
- 우세르카프 왕의 피라미드 (사카라)
- 사후라 왕의 피라미드 (아부시르)
- 네페르이르카라 왕의 피라미드 (아부시르)
- 니우세르라 왕의 피라미드 (아부시르)
- 우나스 왕의 피라미드 (사카라)
- 제6왕조
- 테티 왕의 피라미드 (사카라)
- 페피 1세의 피라미드 (사카라)
- 메렌라 1세의 피라미드 (사카라)
- 페피 2세의 피라미드 (사카라)
태양신전은 이집트 제5왕조 시대에 태양신 라를 모시기 위해 건설되었다. 피라미드 복합체와 유사한 부속 시설을 갖추고 중앙에 오벨리스크가 세워졌다.
- 우세르카프 왕의 태양신전 (아부시르)
- 니우세르라 왕의 태양신전 (아부구랍)
스핑크스는 카프레 왕의 피라미드 단지에 포함된 조각 작품으로, 이집트 조각 중 가장 잘 알려져 있다.
6. 유적
고왕국 시대에는 여러 곳에 피라미드가 건설되었는데, 피라미드는 단독 건조물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피라미드 복합체(피라미드 콤플렉스)라고 불리는 부속 시설(신전이나 창고 등)이 존재했으며, 건설한 왕의 사후에도 장례 의식은 계속되었다. 피라미드 복합체에서 행해지는 장례 의식과 제례는 시대가 지남에 따라 중요시되는 경향이 있었다.[55]
사후에도 장례 의식을 계속한다는 행위는, 고대 이집트에서 인간은 사후에도 그 영혼(카)이 생전과 마찬가지로 식량을 필요로 한다는 생각이 있었던 데서 유래한다. 이러한 사자에 대한 식량 공급은 유족의 의무였지만, 점차 사제가 대행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피라미드 복합체의 장례 의식도 이러한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다.
'''피라미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피라미드 및 각 피라미드의 개별 항목을 참조'''
이 시대에 건설된 피라미드는 현재에도 많이 남아 있다. 주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제3왕조
- 제세르 왕의 계단식 피라미드(사카라)
- 세케ಮ್케트 왕의 미완성 피라미드(사카라)
- 중층 피라미드(자위에트 엘 아리안)
- 그 외 제세르 왕의 것으로 생각되는 소형 피라미드가 남쪽의 엘레판티네, 에드푸, 히에라콘폴리스, 옴보스, 아뷔도스, 자위에트 엘 아리안, 세이라, 그리고 델타 지대의 아트리비스에 이르는 이집트 전역에서 발견되고 있다.
;제4왕조
- 스네페루 왕의 굽은 피라미드(다슈르)
- 스네페루 왕의 붉은 피라미드(다슈르)
- 스네페루 왕의 이형 피라미드(메이둠)
- 쿠푸 왕의 대피라미드(기자)
- 제드에프라 왕의 피라미드(미완성, 아부 로아시)
- 카프레 왕의 피라미드(기자)
- 멘카우라 왕의 피라미드(기자)
;제5왕조
;제6왕조
태양신전은 이집트 제5왕조 시대에 활발하게 건설된 태양신 라를 모시는 신전이다. 피라미드 복합체와 유사한 부속 시설을 가지고 있으며, 중앙에는 마스타바와 비슷한 기단이 있고 그 위에 거대한 오벨리스크가 세워졌다. 이 구성은 라 숭배의 중심지였던 헬리오폴리스의 라 신전의 성물인 '높은 모래'와 '벤벤석'을 본뜬 것으로 여겨진다.
태양신전은 당시 기록으로 볼 때 최소 6곳이 건설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위치가 확인되어 발굴 조사가 이루어진 곳은 2곳뿐이다. 나머지 4곳에 대해서는 현재 위치조차 알 수 없다. 니우세르라 왕의 태양신전에 세워진 오벨리스크는 높이가 56m에 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56]
카프레 왕의 피라미드 단지에 포함된 스핑크스는 이집트 조각 작품 중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스핑크스의 건설자는 카프레라는 설이 유력하지만, 다른 설도 많이 있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Wiley-Blackwell
[2]
웹사이트
Estimating Population in Ancient Egypt
https://brewminate.c[...]
2019-03-16
[3]
뉴스
Old Kingdom of Egypt
https://www.worldhis[...]
2017-12-04
[4]
서적
Historiographie in der Antike
Walter de Gruyter
2008-08-27
[5]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World of Ancient Times
[7]
서적
The World of Ancient Times
[8]
웹사이트
Ancient African Civilizations to ca. 1500: Pharaonic Egypt to Ca. 800 BC
http://www.louisvill[...]
2017-01-23
[9]
서적
Brief Guide to the Department of Egyptian and Classical Art
Brooklyn Museum
1974
[10]
백과사전
The Old Kingdom (c. 2575–c. 2130 BCE) and the First Intermediate period (c. 2130–1938 BCE)
https://www.britanni[...]
[11]
웹사이트
Ancient Egypt – the Archaic Period and Old Kingdom
http://www.penfield.[...]
2017-12-04
[12]
서적
The World of Ancient Times
[13]
뉴스
I have solved riddle of the Sphinx, says Frenchman
https://www.telegrap[...]
2004-12-14
[14]
웹사이트
http://documentaryst[...]
[15]
서적
The Collins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Dupuy & Dupuy
[16]
간행물
Archaeological Remarks on the 4th and 5th Dynasty Chronology
[17]
논문
Adulis and the transshipment of baboons during classical antiquity
elifsciences
[18]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Wiley-Blackwell
[19]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Wiley-Blackwell
[20]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Volume 2
Oxford University Press
2001b
[21]
서적
Egyptology at the Dawn of the Twenty-first Century: Archaeology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22]
서적
Gold and gold mining in ancient Egypt and Nubia : geoarchaeology of the ancient gold mining sites in the Egyptian and Sudanese eastern deserts
https://books.google[...]
Springer
[23]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Volume 2
Oxford University Press
2001b
[24]
웹사이트
Siege Scenes of the Old Kingdom
https://www.research[...]
2022-02-04
[25]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Pharaohs: Volume I – Predynastic to the Twentieth Dynasty 3300–1069 BC
Stacey International
[26]
서적
The Scepter of Egypt: A Background for the Study of the Egyptian Antiquities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Vol. 1,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the Middle Kingdom
http://www.metmuseum[...]
Metropolitan Museum of Art
[27]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1, Part 2. Early History of the Middle Ea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Wiley-Blackwell
1994-07-19
[29]
논문
Nile flow failure at the end of the Old Kingdom, Egypt: Strontium isotopic and petrologic evidence
https://www.research[...]
[30]
서적
The Art of Ancient Egypt
Harva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Egypt
Blackwell Publishing Ltd.
[32]
서적
When the Pyramids Were Built: Egyptian Art of the Old Kingdo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and Rizzoli International Publications Inc.
[33]
웹사이트
The Metropolitan Museum
https://www.metmuseu[...]
[34]
서적
Proportion, and Style in Ancient Egyptian Art
University of Texas Press
[35]
웹사이트
Statue of Menkaure with Hathor and Cynopolis
http://www.globalegy[...]
[36]
서적
Egyptian Art
Phaidon Press Limited
[37]
학술지
Enlivening the Body: Color and Stone Statues in Old Kingdom Egypt
2011
[38]
학술지
The Building Stones of Ancient Egypt: A Gift of its Geology
2001
[39]
참고자료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참고자료
[46]
서적
[47]
서적
[48]
참고자료
[49]
참고자료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참고자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