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읍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읍국은 2세기 또는 3세기에 참족 지도자 쿠리엔이 한나라에 대항하여 트어티엔후에 지방에서 반란을 일으켜 건국한 국가이다. 중국 삼국 시대에 교주 지역을 침략하고, 서진 시대에는 중국과의 교역을 통해 번영했다. 그러나 이후 중국과의 갈등과 침략을 겪으며 7세기부터는 참파로 불리게 되었다. 린이와 참파에 대한 학설은 다양하며, 문화적으로는 중국과 인도의 영향을 받았으며, 팔라바 문자와 같은 인도 문자를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옛 나라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 베트남의 옛 나라 - 남베트남 공화국
남베트남 공화국은 베트남 전쟁 중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주축으로 수립된 임시혁명정부로서, 남베트남에 대항하며 "독립, 민주, 평화, 중립"을 표방했으나, 사이공 함락 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에 흡수되었고, 북베트남의 괴뢰 정부로 평가받는다. - 한나라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한나라 - 초한전쟁
초한전쟁은 진나라 멸망 후 항우와 유방 세력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유방의 승리로 끝나 한나라가 건국되었으며, 신분 질서의 변화와 민본주의 정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임읍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Lâm Ấp 국 (럼 ấp 국) |
일반 명칭 | 럼 ấp |
시대 | 고대 |
정부 형태 | 군주제 |
시작 사건 | 설립 |
시작 연도 | 192년 |
종료 사건 | 참파로 변화 |
종료 연도 | 629년 |
이전 | 한나라 |
이후 | 참파 |
공용어 | 참어, 산스크리트어 |
종교 | 참족 민속 신앙, 불교, 힌두교 (380년 이후) |
현재 국가 | 베트남 |
위치 | |
수도 | 칸다푸라 또는 심하푸라 (논쟁 중) |
인물 | |
지도자 | 스리 마라 |
통치 기간 | 192년–220년 |
지도자 | 삼부바르만 |
통치 기간 | 572년–629년 |
직함 | 럼 ấp 왕 |
2. 역사
임읍국은 한나라에 맞서 성공적인 반란을 이끈 쿠리엔이 트어티엔후에 지방에 세웠다.[1] 보깐 비문에는 2세기나 3세기경 쿠리엔이 언급되었다. 중국 삼국 시대 교주 일대가 혼란에 빠졌고, 248년 임읍국 군대는 남쪽에서 침공하여 일남군 대부분을 차지하고 구진군으로 진격하여 교지군에서 반란을 유도했다. 한나라 자오쯔 반란군은 수천 명을 지휘하고 몇 개의 성읍을 포위했지만, 오나라 관리들이 항복시켰다. 쿠리엔의 외손자 팜훙은 프놈 왕국의 지원을 받아 교주를 공격했다.
진나라 초기, 진 황실은 프놈 왕국 및 임읍국과의 남방 교역망을 선호하여, 교주와 구진군은 320년대까지 중국으로부터 어느 정도 자치권을 누렸다. 무역이 어려워지자 323년부터 임읍국은 교주의 해안 항구들을 기습했다. 399년 바드라바르만 1세는 교주와 일남군의 해안을 침공했으나 교주자사에게 패배했고, 413년 다시 교주를 공격했지만 패배하고 사로잡혀 처형되었다. 420년 팜두옹마이 1세는 진나라를 공격했으나 패배했고, 임읍국 사람 절반이 학살당했다. 431년 팜두옹마이 2세가 다시 공격했지만, 진나라 군대에 패배했다. 432년 팜두옹마이 2세는 유송에 사절단을 보내 교주자사로 임명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유송은 거절했다.
446년 탄호추가 이끄는 유송 군대가 임읍국을 침공해 수도를 점령했다. 유송군은 8개의 사원과 보물창고를 불태우고, 약 45359.20kg의 금을 약탈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읍국은 회복하여 해상 무역을 통해 번영했다.
534년 자야 루드라바르만 1세는 중국에 사절을 보냈다. 그는 543년 양나라에 반란을 일으킨 리비를 교주에서 공격했으나 리비의 장군 팜투에게 패배했다. 삼부바르만은 수나라에 조공을 바쳤으나, 605년 수 문제는 임읍국 침공을 명했다. 수나라 군대는 임읍국의 수도 트라끼우를 점령하고 불태웠다. 629년부터 참족은 국가를 칭할 때 "참파"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수서 (636년) 유방전에 따르면, 수나라 문제의 인수 연간(601년-604년)부터 대업 원년(605년)에 걸쳐 북베트남의 리본(만춘국 왕)과 남베트남의 팜반찌(임읍국왕)는 잇따라 문제에게 파견된 유방에게 살해되거나 쫓겨났다.
2. 1. 건국 및 초기 역사 (2세기 ~ 4세기)
임읍국은 오늘날 트어티엔후에 지방에서 한나라에 맞서 성공적인 반란을 이끈 참족 지도자 쿠리엔이 수립하였다.[1] 보깐 비문은 2세기나 3세기경 세워진 것으로 보이는데, 여기에는 쿠리엔이 언급되었다.진나라 초기에는 조정이 번영하는 프놈 왕국과 람읍과의 남부 무역 네트워크를 선호했다. 이 짧은 평화 시대의 남부 무역 "붐"과 함께 교지와 구진은 320년대까지 중국으로부터 어느 정도 자율성을 누렸다. 무역의 어려움에 좌절한 람읍은 323년부터 교지의 북부 항구에 대한 해상 습격에 의존했다.
446년 2월, 유송은 탄허즈가 이끄는 군대를 파견하여 람읍을 침략하고 람읍의 수도(오늘날의 후에 근처)를 점령했다. 중국 침략자들은 8개의 사원과 보고를 약탈하여 금 약 45359.20kg을 빼앗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활한 람읍은 점점 더 수익성 있는 해상 무역으로 번창했다.
후에에서 람읍 수도가 파괴되면서 람읍 남쪽에 여러 참 왕국과 족장들이 등장할 수 있는 길이 열렸지만, 그들의 연결은 불분명하게 남아 있었고 국가는 혼란에 빠졌다. 람읍 남쪽에는 투본강 계곡에 서도 (Xitu, 西都) 왕국이 있었고, 중국의 역사에는 부남의 망명자 지우 초우로우가 "반군과 협력하여 린이를 정복하고 스스로 왕이라고 선언했다"거나 서도 출신의 찬탈자 바드라바르만/판 당겐춘(范當根純)이 490년에 현재 왕을 암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530년에 웬디 왕의 후손인 루드라바르만 1세 (재위 529–572)는 중국 양나라에 의해 린이의 왕으로 인정받았다.
534년에 루드라바르만 1세는 중국에 사절단을 보냈다. 543년에 그는 양나라에 반란을 일으킨 교지의 리 본을 공격했지만 리 본의 장군 팜투에게 패배했다. 595년에 삼부바르만 (재위 572–629)은 수나라에 조공을 보냈다. 605년 양견은 류팡에게 람읍을 침략하도록 명령했다. 중국군은 트라 키에우의 참파 수도를 점령하고 도시를 약탈했다. 중국으로 돌아가는 동안 류팡과 그의 군대는 질병으로 인해 전멸했다.
629년부터 참족은 그들의 국가를 지칭하기 위해 "참파" (베트남어: ''Chăm Pa'')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삼부바르만의 아들 칸다르파드하르마 (재위 629–640)는 공식적으로 "캄파데사"(참파의 나라)의 ''śrī campeśvara'' (참파의 군주)라는 칭호를 부여한 최초의 참파 왕이었다. 그러나 공식적인 중국 역사 기록은 한동안 린이의 사용을 유지했으며, 749년에 당나라 조정에 보낸 마지막 린이 사절단은 루투오루오(盧陀羅), 또는 아마도 루드라바르만 2세 (재위 741–758)라는 통치자에 의해 보내졌다고 보고되었다.
8세기 중반부터 참파에 대한 중국의 이민족 칭호는 린이에서 환왕 (環王)으로 바뀌었고, 그 지역은 왕국의 북쪽에 위치했을 가능성이 높다.
9세기까지 잔청(Zhànchéng, 占城) (중국어: ''*tɕiam-dʑiajŋ'')은 참파에 대한 공식적인 중국 명칭이 되었으며, 참파가 직접 린이의 후신임을 분명히 했다. 비록 초기 중국 불교 순례자 현장과 의정은 "잔포" 占婆라는 이름으로 "참파"를 언급했지만, 역사가 안톤 O. 자하로프는 중국과 베트남 역사 속의 린이/람읍과 참 역사 속의 참 왕국의 중심지가 관련이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
2. 1. 1. 쿠리엔의 반란과 임읍 건국
후한 순제 영화 연간(136년-141년) 일남군 추장 쿠리엔이 반란을 일으켰다는 기록이 후한서(445년경)에 나타나있다.[1] 베트남 정사 『대남정편열전초집』(1889년) "참성전"은 임읍 건국을 영화 2년(137년)으로 기록한다.[1]꽝남성 떤이엔 마을 동이엔쩌우 지구에서 출토된 동이엔쩌우(東安洲) 비문 (고대 참어 비문)을 세데스(G. Coedès)가 "La plus ancienne inscription en langue Cham"(1939년)에서 3세기 경 비문이라고 고증했다.[1] 중국 한문 사료인 『수경주』(515년경)가 인용하는 "림읍기"에는 림읍이 후한 헌제 초평 연간(190년-193년경)에 후한 일남군 공조(官職名)의 아들인 쿠리엔에 의해 건국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 오늘날 림읍 건국 연대는 2세기 말~3세기 초로 여겨진다.[1]
2. 1. 2. 초기 임읍의 대외 관계
임읍국은 오늘날 트어티엔후에 지방에서 한나라에 맞서 반란을 성공적으로 이끈 참족 지도자 쿠리엔이 세웠다.[1] 보깐 비문은 2세기나 3세기경 세워진 것으로 보이는데, 여기에는 쿠리엔이 언급되었다. 중국 삼국 시대는 교주 일대를 황폐화시켰다. 248년 임읍국 군대는 남쪽에서 침공하여 일남군 대부분을 차지하고 구진군으로 진격했으며, 그곳에서 주요 반란을 유도하고 교지군으로 갔다. 한나라 자오쯔 반란군이 수천 명을 지휘하고 몇 개의 성읍을 포위하였지만, 오나라 관리들이 그를 항복시켰다. 쿠리엔의 외손자였던 팜훙은 프놈 왕국의 지원을 받아 교주를 공격했다.서진 초, 진 황실은 번영하고 있던 프놈 왕국 및 임읍국과의 남방 교역망을 선호했다. 이 짧은 평시의 남방무역이 흥행함에 따라 교주와 구진군은 320년대까지 중국으로부터 약간의 자치권을 누렸다. 무역의 어려움으로 무역이 좌절된 이후, 임읍국은 323년부터 교주의 해안에 면한 북쪽 항구들을 다시 기습했다. 399년 바드라바르만 1세는 교주와 일남군의 해안을 침공하였지만 교주자사에게 패배하였다. 413년 바드라바르만 1세는 다시 교주를 공격했지만 패배했으며, 교주자사에 의해 포로로 잡힌 뒤 효수되었다. 420년 팜두옹마이 1세는 진나라에 대한 공격을 개시했지만 패배하였고, 임읍국 사람들 절반이 도륙되었다. 431년 팜두옹마이 1세의 아들 팜두옹마이 2세가 다시 공격했지만, 이번에도 진나라 군대에게 패배하였다. 432년 팜두옹마이 2세는 유송에 사절단을 보내 그를 교주자사로 임명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유송 정부는 이를 거절했다.
2. 2. 중국과의 관계 (4세기 ~ 7세기)
248년, 임읍국 군대는 남쪽에서 침공하여 일남군 대부분을 차지하고 구진군으로 진격했으며, 그곳에서 주요 반란을 유도하고 교지군으로 갔다. 한 자오쯔 반란군이 수천 명을 지휘하고 몇 개의 성읍을 포위하였지만, 오나라 관리들이 그를 항복시켰다.[1]진나라 시기, 진 황실은 프놈 왕국 및 임읍국과의 남방 교역망을 선호했다. 이 짧은 평화 시기 동안 남방 무역이 활발해지면서 교주와 구진군은 320년대까지 중국으로부터 어느 정도 자치권을 누렸다. 무역이 어려워지자, 임읍국은 323년부터 교주의 해안에 있는 북쪽 항구들을 다시 기습했다. 399년 바드라바르만 1세는 교주와 일남군의 해안을 침공하였지만 교주자사에게 패배하였다. 413년 바드라바르만 1세는 다시 교주를 공격했지만 패배했으며, 교주자사에 의해 포로로 잡힌 뒤 효수되었다.
유송 시기, 420년 팜두옹마이 1세는 진나라를 공격했으나 패배했고, 임읍국 사람 절반이 학살당했다. 431년 팜두옹마이 1세의 아들 팜두옹마이 2세가 다시 공격했지만, 진나라 군대에 패배했다. 432년 팜두옹마이 2세는 유송에 사절단을 보내 교주자사로 임명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유송은 거절했다. 446년 탄호추가 이끄는 유송 군대가 임읍국을 침공해 수도를 점령했다. 유송군은 8개의 사원과 보물창고를 불태우고, 약 45359.20kg의 금을 약탈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읍국은 회복하여 더 수익성이 좋은 해상 무역을 통해 번영했다.
양나라 시기인 534년, 자야 루드라바르만 1세는 중국에 사절을 보냈다. 그는 543년 양나라에 반란을 일으킨 리비를 교주에서 공격했으나 리비의 장군 팜투에게 패배했다. 수나라 시기, 삼부바르만은 수나라에 조공을 바쳤다. 그러나 605년 수 문제는 임읍국 침공을 명했다. 수나라 군대는 임읍국의 수도였던 트라끼우를 점령하고 불살랐다. 629년부터 참족은 국가를 칭할 때 "참파"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수서 (636년) 유방전에 따르면, 수나라 문제의 인수 연간(601년-604년)부터 대업 원년(605년)에 걸쳐 북베트남의 리본(만춘국 왕)과 남베트남의 팜반찌(임읍국왕)는 잇따라 문제에게 파견된 유방에게 살해되거나 쫓겨났다.
2. 2. 1. 진나라 시기
서진 초기, 진 황실은 프놈 왕국 및 임읍국과의 남방 교역망을 선호했다. 이 짧은 평화 시기 동안 남방 무역이 활발해지면서 교주와 구진군은 320년대까지 중국으로부터 어느 정도 자치권을 누렸다.[1] 무역의 어려움으로 무역이 좌절된 이후, 임읍국은 323년부터 교주의 해안에 면한 북쪽 항구들을 다시 기습했다.2. 2. 2. 유송 시기
420년 팜두옹마이 1세는 진나라를 공격했으나 패배했고, 임읍국 사람 절반이 학살당했다. 431년 팜두옹마이 1세의 아들 팜두옹마이 2세가 다시 공격했지만, 진나라 군대에 패배했다. 432년 팜두옹마이 2세는 유송에 사절단을 보내 교주자사로 임명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유송은 거절했다.446년 탄호추가 이끄는 유송 군대가 임읍국을 침공해 수도를 점령했다. 유송군은 8개의 사원과 보물창고를 불태우고, 약 45359.20kg의 금을 약탈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읍국은 회복하여 더 수익성이 좋은 해상 무역을 통해 번영했다.
2. 2. 3. 양나라 및 수나라 시기
534년 자야 루드라바르만 1세는 중국에 사절을 보냈다. 그는 543년 양나라에 반란을 일으킨 리비를 교주에서 공격했으나 리비의 장군 팜투에게 패배했다.[1] 삼부바르만은 수나라에 조공을 바쳤으나, 605년 수 문제는 임읍국 침공을 명했다. 수나라 군대는 임읍국의 수도였던 트라끼우를 점령하고 불태웠다. 629년부터 참족은 국가를 칭할 때 "참파"라는 용어를 사용했다.수서 (636년) 유방전에 따르면, 수 문제의 인수 연간(601년-604년)부터 대업 원년(605년)에 걸쳐 북베트남의 리본(만춘국 왕)과 남베트남의 팜반찌(임읍국왕)는 잇따라 문제에게 파견된 유방에게 살해되거나 쫓겨났다.
2. 3. 참파로의 전환 (7세기 ~ )
7세기부터 참족은 그들의 국가를 "참파"라는 이름으로 부르기 시작했다. 605년, 수나라의 문제는 임읍국을 침략하도록 명령했다. 수나라 군대는 임읍국의 수도였던 트라끼우를 점령하고 불태웠다.629년부터 참족은 "참파" (베트남어: ''Chăm Pa'')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삼부바르만의 아들 칸다르파드하르마 (재위 629–640)는 "캄파데사"(참파의 나라)의 ''śrī campeśvara'' (참파의 군주)라는 칭호를 부여한 최초의 참파 왕이었다. 그러나 중국 역사 기록은 한동안 린이라는 이름을 계속 사용했으며, 749년에 당나라 조정에 보낸 마지막 린이 사절단은 루드라바르만 2세 (재위 741–758)라는 통치자가 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8세기 중반부터 참파에 대한 중국의 칭호는 린이에서 환왕으로 바뀌었으며, 환왕은 왕국의 북쪽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9세기까지 잔청(Zhànchéng, 占城) (중국어: ''*tɕiam-dʑiajŋ'')은 참파에 대한 공식적인 중국 명칭이 되었으며, 참파가 린이의 직접적인 후신임을 분명히 했다. 초기 중국 불교 순례자 현장과 의정은 "잔포" 占婆라는 이름으로 "참파"를 언급했지만, 역사가 안톤 O. 자하로프는 중국과 베트남 역사 속의 린이/람읍과 참 역사 속의 참 왕국의 중심지가 관련이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
3. 문화
임읍국은 초기에는 중국의 영향을 받았으나, 4세기 이후 인도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임읍국의 수도였던 시마푸라는 4세기에 바드라바르만 왕이 건설하였다.
한나라 일남군의 영향을 받은 초기 임읍국에서는 '황색 신의 사신 인장'이라는 한자가 새겨진 기와 조각 등 중국 문화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3세기부터 5세기까지 후에 남쪽에서 현재의 판랑에 이르기까지 수십 개의 작은 참 왕국과 족장들이 등장하면서 점차 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5세기에서 6세기에 걸쳐 힌두교 미학이 혼합된 참 민속 신들의 석조 조각이 정착지에서 발견되었다. 임읍국 사람들은 힌두교를 받아들여 시바를 숭배했으며, 사원을 건축했다. 바드라바르만 왕은 시바 링감을 건설하도록 명령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3. 1. 초기 문화 (2세기 ~ 3세기)
트라키외(시마푸라)와 고 짬 근처에서 발굴된 고고학적 유물들은 초기 임읍국이 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기 이전에 상당한 중국의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준다.[1] 이러한 유물에는 기와 조각과 '황색 신의 사신 인장'이라는 한자가 새겨져 있다. 그러나 이 유물들 중에는 이전 한나라 일남군이 남긴 유물이 있을 수도 있다.초기 참파는 상업 중심지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중국 인장, 지붕 타일, 거울, 동전, 단검, 비단, 도자기와 함께 로마/지중해 및 인도 산 조각, 파란색 유리 조각, 유리 보석이 재발견되었다.
3. 2. 인도 문화의 영향
임읍국은 초기에는 중국의 영향을 받았으나, 4세기 이후 인도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특히 투본 강 계곡의 심하푸라는 4세기 말 바드라바르만 왕에 의해 건국되었는데, 이는 인도 문화 수용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한나라 일남군의 영향을 받은 초기 임읍국에서는 '황색 신의 사신 인장'이라는 한자가 새겨진 기와 조각 등 중국 문화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3세기부터 5세기까지 후에 남쪽에서 현재의 판랑에 이르기까지 수십 개의 작은 참 왕국과 족장들이 등장하면서 점차 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임읍국은 상업 중심지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중국 유물과 함께 로마/지중해 및 인도 산 조각, 파란색 유리 조각, 유리 보석 등이 발견되었다.
임읍(林邑)·부남(扶南)은 림읍(臨邑)·발남(跋南)이라고도 쓰인다. 695년경 의정의 『남해기귀내법전(南海寄歸內法傳)』에는 림읍과 참파(占波)가 동일하며, 발남과 부남이 동일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세데스(Georges Cœdès)는 부남의 어원이 몬크메르어로 산을 의미하는 Bunum/Phnom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3. 2. 1. 종교

임읍국 사람들은 힌두교를 받아들여 시바를 숭배했으며, 사원을 건축했다. 3세기부터 5세기까지 후에 남쪽에서 현재의 판랑에 이르기까지 수십 개의 작은 참 왕국과 족장들이 등장했으며, 5세기에서 6세기에 걸쳐 힌두교 미학이 혼합된 참 민속 신들의 석조 조각이 이 정착지에서 발견되었다.
바드라바르만 왕은 이 지역에서 최초로 시바 링감(Shaivism의 상징)을 건설하도록 명령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사원은 6세기에 화재로 파괴되었지만, 동남아시아에서 건설되고 사용된 가장 오래된 역사적 구조물 중 하나로 남아있다.
3. 2. 2. 문자
바드라바르만 왕의 3번째 비석은 가장 오래된 참어 문헌이자 동남아시아 언어로 기록된 문헌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문헌이다.[1] 동옌쩌우 명문은 참어와 동남아시아 언어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텍스트이다. 605년 이전의 림읍에서는 이미 인도계 문자(아마도 인도 동해안 칼링가국 지방의 팔라바 문자)가 사용되었음이 확실하다. 참어는 지금도 인도를 클링(Kling, Kalinga)이라고 부른다.4. 린이와 참파 이론
최근 학자들은 1947년 롤프 슈타인의 연구를 시작으로 새로운 고고학적, 역사적 증거를 바탕으로 조르주 마스페로가 주장한 '생생하게 통일된 참파'라는 고전적 서술을 기각한다. 마이클 빅커리는 마스페로의 저서 ''참파 왕국''에 대한 비판론자로서, 역사상 단일한 참파는 존재한 적이 없으며, 린이 왕과 참파 왕을 연결하는 것은 환상이라고 주장한다. 220년부터 645년까지 중국 연대기는 린이의 통치자들에게 거의 동일한 칭호인 范중국어 (중국어 방언: *buam’)을 부여하는데, 이는 7세기 크메르 비문에서 발견되는 크메르어 칭호 po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빅커리는 중국 역사가들이 묘사한 린이(후에)는 실제 참파나 참족이 아니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대신 린이의 인구는 몬크메르족이 주를 이루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아마도 비에토-카투이 언어학적 분파였을 것이다. 원래 짜 끼에우와 투본강 계곡에서 기원한 참족은 북쪽으로 확장하면서 5, 6세기경 린이를 흡수했다. 중국 연대기 편찬자들은 참족의 북쪽 확장을 알지 못하고 전체 영역을 린이로 취급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 수 세기 후 중국이 참파와 참족을 파악했을 때는 이미 여러 정치체가 중요한 무역 파트너가 되거나 중국과 정치적 관계를 맺은 상태였다.[1]
5. 일본과의 관계
『일본서기』(720년), 『속일본기』(797년), 『일본후기』(840년) 등에는 곤륜국(崑崙国)과의 교류에 관한 기록이 여러 개 있다. 곤륜 사신의 쓰쿠시국 도착과 백제 사신과의 싸움, 백제를 경유한 기악의 곤륜면 수입, 견당사의 판관 헤구리노 히로나리가 탑승한 견당선이 곤륜국에 표착하여 곤륜왕을 알현, 면화 종자를 실은 곤륜선이 미카와국에 표착 등의 기사가 있다. 도다이지 사료 중 야마토국다이안지 비문 사본 등에는 림읍 승려 부테쓰의 방일과 림읍악·싯담 장의 교수에 관한 기사가 있다. 도다이지나 다이안지의 사료에서는 림읍, 북천축, 첨파(占波, 占婆) 등 부테쓰의 출신국에 대한 기술에 차이가 있다. 헤구리노 히로나리의 곤륜국 표착 기사만 당시 당나라 재상이었던 장구령이 기안한 「칙일본국왕서」(735년경)에 히로나리의 표착 장소가 림읍으로 명기되어 곤륜국=림읍국이었음이 확실하다. 다카오카 친왕(865년경 훙거)이 천축으로 가는 도중에 사망했다고 전해지는 라월국 또한 광의의 곤륜국이지만, 이는 물론 림읍은 아니다.
6. 통치자
- 쿠 리엔 192–220[1]
- 팜 훙 220–284[1]
- 팜 얏 284–336[1]
- 팜 반 336–349[1]
- 팜 팟 349–380[1]
- 팜 호 닷 380–413[1]
- 강가라자 (팜 딕 쩐) ?–?[1]
- 마노라타바르만 ?–?[1]
- 강가라자바르만 2세 (팜 딕 반) ?–420[1]
- 팜 즈엉 마이 1세 421–431[1]
- 팜 즈엉 마이 2세 431–446[1]
- 자야 자야바르만 1세 (팜 턴 타인) 455–472[1]
- 판 당겐춘/지우 추올루 472?–492?[1]
- 팜 츠 농 492–498[1]
- 팜 반 떤 498–510[1]
- 자야 데바바르만 (팜 티엔 키) 510–526[1]
- 자야 비자야바르만 (弼毳跋摩, ) 526–529?[1]
- 루드라바르만 1세 529–572[1]
- 자야 삼부바르만 (팜 팜 찌) 572–62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