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의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의식은 자신을 인지하고 인식하는 능력으로, 신경생물학적, 심리학적, 철학적, 생물학적, 문학적, 공학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된다. 신경생물학에서는 거울 뉴런과 신체 인식, 심리학에서는 객관적 자의식, 발달 단계, 자기효능감, 철학에서는 개인 정체성과 도덕적 책임, 생물학에서는 동물과 식물의 자기 인식, 공상과학소설에서는 인간성 부여, 로봇공학에서는 인공지능 개발의 목표와 관련된다. 자의식 장애는 질병불각증, 해리성 정체성 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조현병, 양극성 장애 등 다양한 질병과 관련되며, 연극에서는 배우와 관객의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간성 - 지속식물상태
지속적 식물 상태는 뇌 손상으로 장기간 의식을 잃은 채 깨어 있는 상태로, 눈을 뜨고 수면-각성 주기를 보이지만 인지 기능이 결여되어 외부 자극에 반응이 미미하거나 없으며, 신경학적 검사로 진단하고 국가 및 기관에 따라 정의와 기준, 생명 유지 장치 종료에 대한 법적 해석이 다르며, 잔존 뇌 기능 확인 시도와 오진 가능성, 윤리적 논쟁이 존재한다. - 인간성 - 개인
개인은 분할될 수 없는 단일체로서 철학, 법률, 생물학, 조직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체, 권리, 의무의 주체, 개별 단위, 이중 인격 등의 개념으로 다루어진다. - 의식 (심리철학)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의식 (심리철학) - 계급 의식
- 의식 연구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의식 연구 - 심신 문제
심신 문제는 마음과 몸, 정신과 물질의 관계를 다루는 철학 및 과학 분야의 핵심 질문으로, 마음과 몸이 서로 다른 실체라는 이원론과 하나의 실체라는 일원론으로 나뉘며, 현대 신경과학과 인지과학은 뇌 활동과 의식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자의식 | |
---|---|
개요 | |
정의 | 자신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 |
관련 개념 | 자기 인식, 자기 성찰, 자존감 |
특징 | |
구성 요소 | 자신의 강점과 약점 인식 자신의 가치관과 신념 이해 자신의 감정 인식 및 조절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력 파악 |
중요성 | 더 나은 의사 결정 효과적인 의사 소통 긍정적인 관계 형성 스트레스 관리 개인적 성장 |
측정 및 평가 | |
방법 | 자기 보고식 설문 360도 피드백 성격 검사 행동 관찰 |
개발 방법 | |
전략 | 자기 성찰 일기 작성 타인에게 피드백 요청 명상 및 마음 챙김 훈련 새로운 경험 시도 강점 및 약점 분석 |
철학적 관점 | |
자기 인식 | 자기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탐구와 관련 |
참고 자료 | |
관련 저널 | Scientific American Mind |
2. 신경생물학적 기반
두뇌에서 어느 부위가 자의식을 갖게 하고, 어떻게 자의식을 갖도록 생물학적으로 설계되는지에 대한 의문이 존재한다. 라마찬드란은 거울 뉴런이 자의식의 신경학적 기반을 제공한다고 추측한다.[137] 그는 2009년 엣지기금(Edge Foundation) 에세이에서 자신의 이론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나는 이러한 뉴런들이 타인의 행동을 모방할 뿐만 아니라, 당신이 갖고 있는 초기 두뇌 처리 과정에 대한 2차 표상(second-order representations) 혹은 메타표상(meta-representations)들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안으로/내면으로(inward)' 구부러질 수 있다고 본다. 이는 내성(內省, introspection)의 신경 기반이자, 자의식과 타의식(other-awareness)의 상호성(reciprocity)에 대한 신경 기반이 될 수 있다. 이 중 무엇이 먼저 발달하는지에 대한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문제(chicken-or-egg question)'가 확실히 존재한다. 그러나... 핵심은 이 두 가지는 공동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근대적 인간을 특징짓는 성숙한 자기표상(representation of self)을 만들어 내도록 상호 강화한다는 것이다."[138]
2. 1. 거울 뉴런
라마찬드란은 거울 뉴런이 자의식의 신경학적 기반을 제공한다고 추측한다.[137] 그는 2009년 엣지기금(Edge Foundation) 에세이에서 자신의 이론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나는 이러한 뉴런들이 타인의 행동을 모방할 뿐만 아니라, 당신이 갖고 있는 초기 두뇌 처리 과정에 대한 2차 표상(second-order representations) 혹은 메타표상(meta-representations)들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안으로/내면으로(inward)' 구부러질 수 있다고 본다. 이는 내성(內省, introspection)의 신경 기반이자, 자의식과 타의식(other-awareness)의 상호성(reciprocity)에 대한 신경 기반이 될 수 있다. 이 중 무엇이 먼저 발달하는지에 대한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문제(chicken-or-egg question)'가 확실히 존재한다. 그러나... 핵심은 이 두 가지는 공동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근대적 인간을 특징짓는 성숙한 자기표상(representation of self)을 만들어 내도록 상호 강화한다는 것이다."[138]2. 2. 신체 (자)의식
신체 (자)의식은 고유수용성감각과 심상을 통해 자신의 신체 상태를 인지하는 능력이다. 건강 및 의학 분야에서는 다양한 내인 감각에 정확하게 초점을 맞추는 능력으로 정의된다.[5] [6] [7]2. 2. 1. 건강
신체의식은 건강 및 의학 분야에서 다양한 내인감각(internal sensation)에 정확하게 초점을 맞추는 능력을 의미한다.[139] 고유수용감각과 내수용 감각은 다양한 감각을 의식적으로 인식하게 한다.[139] 고유수용감각은 근육, 관절, 자세, 균형 감각에 집중하게 하지만, 내수용 감각은 심박 변동, 호흡, 폐 질환, 포만감 등 내부 장기의 감각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140] 지나치게 예민하거나, 덜 예민하거나, 왜곡된 신체의식은 비만, 신경성 식욕 부진증(거식증), 만성 관절염과 같은 장애나 질병의 증상으로 나타난다.[140] 예를 들어, 신경성 식욕 부진증 환자는 포만감에 대한 인지가 왜곡되어 있다.2. 2. 2. 발달
인간 발달에서 신체적 자의식은 자신의 몸을 물리적 대상으로 인식하고, 다른 대상과 상호작용할 수 있음을 의식하는 것이다. 연구에 따르면, 젖먹이 영아들도 고유수용성감각과 시각 정보 간의 관계를 인식한다.[141] 이를 일인칭 자의식이라고 한다.생후 18개월 정도가 되면, 아이들은 반영적 자의식을 발달시키기 시작하는데, 이는 거울이나 사진 속 자신의 모습을 알아차리는 능력이다.[142] 이 단계를 통과하지 못한 아이들은 자신의 반영을 다른 아이로 인식하지만, 이 단계에 도달한 아이들은 자기 모습을 보고 얼굴에 묻은 흙을 닦아내는 등 자신을 인지한다.
반영적 자의식 획득 직후, 아이는 자신의 신체를 다른 대상과 상호작용하고 영향을 주는 물리적 대상으로 인식하는 능력을 발달시킨다. 예를 들어, 담요 위에 놓인 유아는 담요를 건네주라는 요청을 받으면 담요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을 안다.[141] 이것은 대상적 자의식이라고 하는 신체적 자의식의 마지막 단계이다.
2. 3. 동물

동물의 자의식 유무를 측정하는 연구에서는 주로 영장류가 이용되어 왔다. 유인원, 원숭이, 코끼리, 돌고래가 자주 연구되었으며, 최근에는 침팬지, 돌고래, 까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동물의 자의식은 거울 자의식을 통해 확인한다.
거울 자의식을 보이는 동물은 다음 네 단계를 거친다.
# 사회적 반응
# 신체적 거울 내성
# 반복되는 거울 테스트
# 점 테스트: 거울로밖에 볼 수 없는 지점의 점 등을 동물들이 스스로 만지는 것[143]
고든 갤럽이 고안한 거울 테스트 중 하나인 빨간점 기법은 마취된 영장류의 이마에 무취의 붉은 점을 찍어 실험한다. 이 점은 거울로만 볼 수 있기에, 동물이 깨어난 후 거울 속 점을 보고 보이는 독립적인 움직임을 통해 자의식 유무를 판단한다.
2. 3. 1. 유인원
침팬지를 비롯한 유인원은 동물 자의식 연구에서 가장 설득력 있는 결과를 보여주며, 인간과 가장 많은 부분이 대응된다.[148] 고든 G. 갤럽이 고안한 거울 테스트의 일종인 빨간점 기법에서, 침팬지는 거울을 통해 이마에 찍힌 붉은 점을 확인하고 손가락으로 만진 후 냄새를 맡는 등의 행동을 보였다.[146] 갤럽은 "거울로 스스로를 인식할 수 있는 동물들은 자기 자신을 떠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146]데이비드 데그라지아는 동물이 가질 수 있는 세 가지 유형의 자의식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신체적 자의식: 주변 환경과 자신을 다르게 이해하는 것이다.
- 사회적 자의식: 고도로 사회적인 동물에게서 보이며, 자신의 역할을 인식하는 것이다.
- 내성적 자의식: 느낌, 욕구, 신념을 이해하는 것이다.[144]
2. 3. 2. 돌고래
뉴욕 수족관의 정신생물학자 다이애나 라이스(Diana Reiss)는 큰돌고래가 거울로 자신을 알아볼 수 있다고 하였다.[149] 돌고래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침팬지와 비슷한 거울 테스트 결과가 나타났다.2. 3. 3. 코끼리
코끼리는 거울 테스트를 통해 자의식을 보여주는 동물 중 하나이다.
고든 갤럽이 개발한 '적색 반점 기법'은 동물의 자의식 연구에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145] 이 기법은 마취된 코끼리의 이마에 냄새가 없는 붉은 점을 찍고, 코끼리가 깨어난 후 거울을 통해 이 점을 보았을 때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관찰한다.
실험 결과, 코끼리는 거울 속 자신의 모습을 인식하고 점을 만지려는 행동을 보였다.[147] 이는 코끼리가 자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코끼리의 성공률은 원숭이나 돌고래와 비슷하다.[147]
2. 3. 4. 까치
연구자들은 까치의 자의식을 연구하기 위해 점 테스트나 거울 테스트를 사용했다.[150] 대부분의 새들은 부리 아래쪽을 볼 수 없기 때문에, 프라이어(H.Prior) 등[148]은 까치의 목에 붉은색, 노란색, 검은색 점을 찍었다. 까치는 원래 검기 때문에 같은 검은색 점을 찍었다. 거울 앞에 서자, 붉은색과 노란색 점이 찍힌 까치들은 자신의 목을 긁었는데 이는 자신의 몸에 다른 무언가가 있다는 것을 이해한 것이다.
거울과 점을 가지고 한 실험에서 까치 다섯 마리 중 세 마리는 자기 지향적 행동 사례를 보였다. 까치는 거울로 다가가 거울을 탐색하고 그 뒤를 쳐다보았다. 까치 하비(Harvey)는 거울 앞에 서서 부리로 물체를 집고 멈춰서 날개를 위아래로 흔들었다. 이는 자기에게 현재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안다는 점에서 자의식을 나타낸다. 전문가들은 조류와 포유류에서의 자기인식(self-recognition)은 수렴 진화 사례가 될 수 있으며, 비록 다른 경로로 진행되긴 했지만 유사한 진화적 압력(evolutionary pressure)이 유사한 행동이나 특성(trait)을 야기한다고 하였다.[151]
검은점이 찍힌 까치들에게서는 약간의 행동이 보였다. 연구[148]에서는 검은점이 검은 깃털에 있어 연하게 보일 것이라고 가정되었다. 프라이어 등[148]은 "이는 처음 보는 점이 있는 자기 몸을 거울로 봄으로써 이런 행동이 나오게 되었다는 해석을 뒷받침하는 간접 증거"라고 하였다.
까치의 행동은 거울이 없을 때와는 뚜렷하게 대비된다. 거울 대신 반사되지 않는 회색판이 같은 위치에 있을 때, 까치들은 어느 색깔의 점이든 상관없이 점에 대해 취하는 행동이 없었다.[148] 프라이어 등의[148] 데이터는 침팬지에서의 결론과도 정량적으로 연계된다. 점 테스트의 결론을 요약하면,[148] 까치는 거울에 비친 상이 자기 자신의 몸이라는 걸 이해한다는 것, 까치는 자의식이 있다는 것이다.
2. 4. 협동과 진화 문제
자의식이 부재하거나, 이기주의와 이타주의를 구분하지 못하거나, 다른 개체의 감각질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여도, 유기체는 충분히 이타적일 수 있다. 이는 유기체가 타고난 환경 속에서 우연히 다른 개체를 이롭게 한 상황에 단순히 반응하여도 가능하다. 만약 자기 인식이 이타주의를 위한 감정적 공감 메커니즘을 필요로 하고, 그 결여가 이기주의를 기본으로 한다면, 그것은 모든 사회적 동물에게서 자기 인식이 없는 상태에서 자기 인식이 있는 상태로의 진화를 방해했을 것이다. 진화론이 자기 인식을 설명하는 능력은 자기 인식이 잔혹 행위의 근거라는 가설을 버림으로써 구제된다.[152][153]3. 심리학
심리학에서 자의식은 개인이 자신의 행동, 가치관, 내면의 기준을 평가하고 비교하는 중요한 과정으로 간주된다. 1972년 뒤발과 위클런드는 ''객관적 자기 인식 이론''에서 우리가 자신에게 집중할 때 현재의 행동을 내면의 기준과 가치에 따라 평가하고 비교한다고 설명한다. 이를 통해 객관적 자기 인식 상태가 유발되고, 자신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자의식을 갖게 된다.[9] 자기 인식은 자기 의식과 혼동되어서는 안 되며, 다양한 감정 상태를 강화한다.[10][72]
안드레아스 데메트리우의 신 피아제 인지 발달 이론 중 하나에서 자기 인식은 출생부터 평생에 걸쳐 체계적으로 발달하며, 이는 일반적인 추론 과정의 발달에 주요 요인이다.[12] 인지 과정에 대한 자기 인식은 지능과 작업 기억, 인지 처리 속도, 추론과 같은 처리 효율 기능과 동등하게 기여한다.[13][74]
앨버트 반두라의 자기 효능감 이론은 "예상되는 상황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일련의 행동을 조직하고 실행하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설명한다. 자기 효능감이 강한 사람은 도전을 참여해야 할 과제로 보고 좌절에 쉽게 낙담하지 않는다. 반면, 자기 효능감이 약한 사람은 도전을 회피하고 좌절에 쉽게 낙담한다.[14][76]
라마찬드란은 거울뉴런이 자의식의 신경학적 기반을 제공한다고 추측한다.[137] 그는 자신의 이론에 대하여 거울뉴런이 타인의 행동을 모방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이전 뇌 처리 과정에 대한 2차 표상(메타표상)을 만들어 내성의 신경 기반이자, 자의식과 타의식의 상호성에 대한 신경 기반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138][55]
3. 1. 발달 단계
개인은 자기 인식을 발달시키면서 자신을 의식하게 된다.[8] 자기 인식 발달은 자신의 신체, 생각, 행동, 아이디어, 감정, 타인과의 상호작용 등 마음 상태를 의식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15] 필립 로샤는 인간 발달 초기에 나타나는 자기 인식의 5단계를 제시했는데, 각 단계는 '레벨 0'(자기 인식 없음)에서 '레벨 5'(명시적 자기 인식)까지 복잡성이 증가한다.[8]- 레벨 0(혼란): 거울에 비친 모습이나 반사 자체를 인식하지 못하며, 거울 속 이미지를 주변 환경의 연장으로 인식한다.
- 레벨 1(분화): 거울이 사물을 반사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거울 속의 움직임과 주변 환경의 움직임을 구별할 수 있다.
- 레벨 2(상황): 거울 속의 움직임을 자신의 신체 내부에서 감지되는 것과 연결할 수 있다.
- 레벨 3(동일시): 거울 속에 있는 것이 다른 사람이 아니라 실제 자신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레벨 4(영속성): 이전 사진 속의 자신이 다르게 보이거나 더 젊게 보이는 것을 식별할 수 있으며, '영구적인 자아'를 경험한다.
- 레벨 5(자의식 또는 "메타" 자기 인식): 자아는 1인칭 관점뿐만 아니라 3인칭 관점에서도 보인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즉, 다른 사람의 마음속에 자신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공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등을 인식한다.[8]
3. 2. 영유아 및 아동 초기
인간은 발달 초기 단계에서부터 자의식을 형성해 나간다. 갓 태어난 유아는 주변 환경이나 사람에 대한 개념이 없고, 자신의 얼굴도 인식하지 못한다.[18] 그러나 생후 몇 달이 지나면 고유수용성 감각과 시각 정보 간의 관계를 인식하기 시작하는데, 이를 "1인칭 자의식"이라고 한다.[19]18개월에서 24개월 사이의 유아는 거울이나 사진 속 자신의 모습을 인식하는 반영적 자의식을 발달시킨다.[142] 이 시기 아이들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고 얼굴에 묻은 것을 닦는 등, 자신이 자신을 보고 있음을 인지하는 행동을 보인다. 이러한 반영적 자의식은 사회, 경제적 수준, 문화, 양육 방식의 차이에 따라 나타나는 시기가 달라질 수 있다.[22]
반영적 자의식을 획득한 직후, 아이는 자신의 신체를 다른 대상과 상호작용하고 영향을 주는 물리적 대상으로 인식하는 대상적 자의식을 개발한다.[141] 예를 들어, 담요 위에 놓인 유아는 담요를 건네주라는 요청을 받으면 담요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을 안다.
18개월이 되면 유아는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이름을 말하고, 사진을 보면 자신을 식별할 수 있다. 2세가 되면 성별 및 연령 범주를 습득하여 "나는 남자아이가 아니라 여자아이예요"와 같은 말을 한다.[18] 24개월이 되면 유아는 자신의 행동을 다른 사람 및 주변 환경과 관련짓는다.[20]
필립 로샤는 초기 발달 단계의 자기 인식 수준을 다음과 같이 5단계로 구분했다.[8]
- 레벨 0 (혼동): 거울에 비친 모습이나 반사 자체를 인식하지 못한다.
- 레벨 1 (분화): 거울이 사물을 반사할 수 있다는 것을 안다.
- 레벨 2 (상황): 거울 속의 움직임을 자신의 신체 내부에서 감지되는 것과 연결할 수 있다.
- 레벨 3 (동일시): 거울 속에 있는 것이 다른 사람이 아니라 자신임을 안다.
- 레벨 4 (영속성): 이전 사진 속의 자신이 다르게 보이거나 더 젊게 보이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 레벨 5 (자의식): 1인칭 시점뿐만 아니라 3인칭 시점에서도 자신이 보인다는 것을 안다.
이러한 단계를 거치면서 아이는 점차 자신을 둘러싼 세계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을 이해하게 된다.
3. 2. 1. 장 피아제
장 피아제는 아동의 인지 발달 단계와 관련하여 자의식의 발달을 설명하였다. 피아제에 따르면, 유아는 자신의 신체와 외부 세계 간의 공간적, 인과적 관계를 표현할 수 있게 되면서 신체적 자기를 객관화한다.[58]피아제는 아동이 특정 연령대에 도달하면 전조작기라는 발달 단계에 있다고 보았다. 이 단계의 유아는 자신을 판단하는 데 있어 매우 부정확하다. 예를 들어, 자신이 강하다는 것과 학교 정글짐을 건너는 능력을 연결 짓지 못하고, 수학 문제를 푸는 능력과 수를 세는 능력을 연결 짓지 못한다.[81]
3. 3. 청소년기
청소년기에는 자신의 감정을 자각하게 된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두 살 무렵 수치심, 죄책감, 자부심, 당황과 같은 감정을 인식하지만, 이러한 감정이 자신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23] 13세가 되면 아이들은 이러한 감정에 더 가까워지고, 이를 자신의 삶에 적용하기 시작한다. 많은 청소년들은 친구들 앞에서는 행복과 자신감을 보이지만, 부모님 앞에서는 실망감을 줄까 봐 두려워하며 절망감과 분노를 드러낸다. 십 대들은 선생님들 앞에서는 지적이고 창의적인 느낌을 받을 수 있지만, 낯선 사람들 앞에서는 수줍어하고 불편하며 불안함을 느낄 수 있다.[24]사춘기 발달에서 자아 인식은 초기 아동기보다 더 복잡한 정서적 맥락을 가지며, 자아 이미지, 자아 개념, 자의식 등의 요소가 포함된다. 이는 로샤의 자아 인식 마지막 단계와 관련이 있지만, 자아 인식은 여전히 별개의 개념으로 남아 있다.[27] 17세 학생들은 자기 개념, 자아상, 자의식 등의 요소가 자기 인식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구조를 제공하는 성숙한 자기 인식 감각을 가지고 있었다.[87]
3. 3. 1. 정신건강
청소년기에 이르면, 감정의 예민도가 메타인지 상태로 확장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는 감정적, 사회적 발달 수준이 고양됨에 따라 정신건강 문제가 더욱 뚜렷할 수 있다.[171] 맥락적 행동과학에는 정신건강과 관련된 청소년기 자의식이 관여하는 '내용으로서의 자기(Self-as-Content)', '과정으로서의 자기(Self-as-Process)', '맥락으로서의 자기(Self-as-Context)'와 같은 요소가 존재한다.[171] 모런(Orla Moran), 알마다(Priscilla Almada), 맥휴(Louise McHugh)는 이러한 자기영역(domain of self)은 다양한 능력에서의 정신건강과 관련있다고 본다.[171] 분노조절 역시 청소년기 자의식 개념과 관련된 정신건강 영역이다.[172] 자의식 트레이닝은 청소년의 분노조절 문제와 공격성향을 줄이는 것을 초점으로 해왔다. 충분한 자의식을 갖춘 청소년은 마음의 안정과 자신에 대한 인식을 고양하게 되며, 분노하게 되면 우선 자신의 내면에서 발생하는 분노를 인식하고 다음으로는 이를 다루기 위해 노력한다.[172]4. 철학
철학에서 자의식은 개인의 정체성, 도덕적 책임, 그리고 의식의 본질과 관련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진다. 빌라야누르 S. 라마찬드란은 거울 뉴런이 인간의 자기 인식의 신경학적 기반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했다.[54] 라마찬드란은 2009년 에지 재단을 위해 쓰여진 에세이에서 "이러한 뉴런이 타인의 행동을 시뮬레이션할 뿐만 아니라 '내부'로 향할 수도 있다"고 설명하며, "자신의 이전 뇌 과정의 2차적 표상과 메타 표상을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것이 내성의 신경학적 기반이며, 자기 인식과 타자 인식의 상호 작용성을 보여준다고 보았다. 어느 쪽이 먼저 진화했는지에 대한 문제는 있지만, 둘 다 공진화하여 서로를 풍부하게 만들고 현대인을 특징짓는 성숙한 자기 표상을 창조했다는 것이 그의 주장의 핵심이다.[55]
존 로크는 르네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명제에 영향을 받아 자의식에 관한 철학적 논쟁을 다루었다. 그는 의식을 자기확인의 반복으로 개념화하고, 이를 통해 주체에게 도덕적 책임이 귀속될 수 있다고 보았다.
4. 1. 로크
존 로크는 르네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코기토 에르고 숨)라는 명제에 영향을 받아 자의식에 관한 철학적 논쟁을 다루었다. 1689년 저서 『인간 지성론』 제27장 '정체성과 다양성(On Identity and Diversity)'에서 로크는 의식을 자기확인의 반복으로 개념화하고, 이를 통해 주체에게 도덕적 책임이 귀속되어 처벌과 죄책감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보았다.[173][174][175] 그러나 로크는 '자의식'이나 '자기인식'이라는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는 않았다.[176]로크에게 개인 정체성(자기)은 물질이 아닌 의식에 달려있다.[177] 현재의 사고와 행동을 인식하는 것처럼, 과거와 미래의 생각과 행동을 의식한다는 점에서 우리는 같은 인간이다. 의식이 모든 사고를 배가하는 '사고'라면, 개인 정체성은 의식의 반복되는 행위에만 기반을 둔다. "이는 우리에게 개인 정체성이 존재하는 곳을 보여준다. 그것은 물질의 정체성이 아니라 ... 의식의 정체성에 있다."[177] 예를 들어, 자신이 플라톤의 환생이라고 주장해도, 플라톤 자신이 했던 사고와 행동을 그대로 의식하는 경우에만 플라톤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정체성은 영혼에 기반을 두지 않으며, 한 영혼은 다양한 인격을 가질 수 있다.
로크는 물질은 변해도 인격체는 그대로이므로, 자기정체성은 신체나 물질에 기반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동물의 몸은 평생 자라고 바뀌기에 "동물 정체성은 물질 정체성이 아닌 생명 정체성에서 보존된다."[177] 로크는 왕자와 구두수선공의 영혼이 뒤바뀐 이야기를 예로 들어, 왕자는 모습은 더 이상 왕자가 아님에도 여전히 자신을 왕자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한다. 이는 개인 정체성이 의식에 기반하므로 오로지 본인만이 자신의 의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부의 다른 사람들은 그가 진짜 왕자의 인격체인지 아니면 신체만 왕자인지를 판단하고 처벌할 수 있는지 모른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로크는 영혼이 아닌 신체의 활동으로 판단되며 신만이 활동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사람은 자기가 의식하는 행동에만 책임이 있으므로, 무의식적이거나 정신병 상태에서 행한 행동에 대해서는 책임이 없다는 형법상 책임능력의 기반이 된다.[178] 로크는 "어떠한 과거 행동들이라도 인정할 수 없거나 의식상 현재의 자기에게 맞지 않더라도, 그러한 행동들을 행한 적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책임과는 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떤 행동에 대한 보상이나 처벌, 기쁨이나 고통을 받는 것은, 어떠한 불이익 없이 그 일차적 존재 내에서 행복하거나 비참하게 되는 것과 같이, 어느 쪽이 되든 아무렇지 않은 것"이라 하였다.[179]
5. 장애
다양한 장애는 자의식의 결여 또는 왜곡과 관련될 수 있다. 자신의 결함을 모른다는 뜻의 의학 용어는 질병불각증(anosognosia)이며, 쉬운 말로는 통찰의 결여(lack of insight)라고 한다. 이러한 의식 부족은 치료 위험과 복무 불복종을 일으킨다.[180] 질병이 있다는 사실을 부정하는 사람은 아무것도 잘못된 것이 없다고 믿기에 전문가의 도움을 구하지 않는다. 자의식 장애는 흔히 전두엽 손상 이후에 발생한다.[181]
자의식 결핍 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두 가지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환자 능력 평가 척도(Patient Competency Rating Scale, PCRS): 외상성 뇌 손상을 겪은 환자의 자의식을 평가한다.[28] PCRS는 30개 항목으로 구성된 자기 보고식 도구로, 대상자에게 다양한 과제와 기능에 대한 어려움 정도를 5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하도록 요청한다. 환자를 잘 아는 친척이나 중요한 타인에게도 동일한 행동 항목에 대해 환자를 평가하도록 요청한다. 친척과 환자의 인식 차이는 손상된 자의식의 간접적인 척도로 간주된다. 이 실험의 한계는 친척의 답변에 편견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 환자 인터뷰: 환자에게 병원에 입원한 이유나 몸에 무슨 문제가 있는지 질문하는 것만으로도 그들이 무엇을 보고 분석하는지에 대한 설득력 있는 답변을 얻을 수 있다.[29]
이 외에도, 해리성 정체성 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조현병, 양극성 장애 등 다양한 정신 질환이 자의식과 관련되어 있다.
5. 1. 질병불각증
질병불각증(anosognosia, 혹은 질병인식불능증, 질병실인증, 질병불인)은 자신의 결함을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의학 용어이며, 쉬운 말로는 통찰의 결여(lack of insight)라고 한다. 인식 부족은 치료 및 서비스 불이행의 위험을 증가시킨다.[180][30][95]조제프 바빈스키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우측대뇌반구의 뇌졸중 이후 좌측 반신불수가 된 환자가 왼쪽 팔이나 다리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부정하는 임상 상태를 말한다. 이 질병은 반신불수 질병불각증(anosognosia for hemiplegia, AHP)으로 알려져 있다. 이 병은 시간이 지나면서 신경학적 사례와 신경정신학적 사례 모두에서 주관적인 경험이 없는 사람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게 되었다.[184][99]
대뇌 피질 장애로 시력을 잃은 환자는 시력 상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시각 장애가 없다고 말할 수 있다. 실어증 환자나 기타 인지장애 환자 역시 자기 문제를 인지하지 못하여 질병불각증이 있을 수 있으며, 발음이 틀려도 병을 인지하지 못하기에 고치려 하지 않는다.[185][31][100]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인식이 불가하며, 이 문제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 있어 가장 심각하다.[186][32][101]
질병불각증의 가장 큰 문제는 환자나 기타 질병을 가진 환자가 이러한 사실을 모르기 때문에 자신을 위험한 상태나 환경에 처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185][31][99] 현재 AHP에 대한 치유법은 없지만, 전정자극 이후에 일시적 차도가 보인다고 보고되었다.[187][102]
자의식 결여의 심각성은 환자 능숙도 평가척도(The Patient Competency Rating Scale, PCRS)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 PCRS는 30개 항목의 자기보고 도구로서, 리케르트 5점척도를 사용하여 다양한 과제와 기능 수행에서 보이는 어려움의 정도를 측정한다. 환자를 잘 아는 친척이나 타인에게 같은 항목으로 환자를 측정하게 하여, 친척과 환자의 인지 사이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을 자의식 문제의 간접 척도로 여기기도 한다. 이 실험의 한계는 친척의 답변에 편견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다른 방식으로는 환자에게 왜 자신이 병원에 있는지, 혹은 몸에 무슨 문제가 있는지 묻는 것만으로 환자가 알고 있는 것과 분석하고 있는 것에 대한 설득력 있는 답변을 얻을 수 있다.[182][183][97][98]
5. 2. 해리성 정체성 장애
해리성 정체성 장애(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혹은 다중인격 장애(multiple personality disorder, MPD)는 정체성 왜곡을 수반하는 장애로, 각각 다른 시간에 두 개 이상의 분열된 개별적인 인격 상태나 정체성이 개인의 행동을 통제하는 것이다.[188] 하나의 정체성은 다른 하나의 정체성과 다른 것이며, 해리성 정체성 장애 환자가 정체성 중 하나의 영향 하에 처하면, 다른 정체성에서의 경험을 잊게 된다. "하나의 정체성의 통제 하에서 다른 정체성 상태에서 경험한 사건을 기억하지 못한다."[189] 이들은 시간손실(time loss), 기억상실(amnesia)을 경험하고, 다른 인격에서 다른 습관, 태도, 발화, 사고를 보인다. 이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다른 삶이나 조건을 모르고, 마치 다른 사람의 렌즈를 통해 자기 삶을 보고 있는 것처럼 느끼며, 심지어 거울을 봐도 자기를 인지하지 못한다.[190]해리성 정체성 장애에 대한 인식을 불러온 두 가지 사례가 있다. 첫 번째 사례는 이브(Eve)의 사례이다. 이 환자는 현모양처의 백인 이브, 접대부의 흑인 이브, 지식인 제인(Jane) 세 인격을 가지고 있었다. 스트레스로 인하여 이브의 병증 삽화는 악화되었다. 심지어 딸을 목졸라 죽이려 했었으나 이브는 이후 이에 대한 기억이 없었다. 이브는 몇 년 동안 치료를 받았고, 이후에는 자신의 대체 인격들을 다루는 법, 자신의 장애와 삽화를 인식하는 법을 배울 수 있었다. 당시 이브의 증상은 매우 드문 것이었기에 이브의 세 얼굴(The Three Faces of Eve)이라는 책과 영화로 각색되었고, 심지어 이브 본인은 『나는 이브다(I'm Eve)』라는 자서전도 냈다. 의사들은 대공황(the Depression) 시기에 성장기를 보내면서 타인에게 가해지는 끔찍한 일들을 목격한 것이 이브에게 감정적 고통과 주기적 기억상실을 일으켰고, 끝내는 해리성 정체성 장애를 불러일으켰다고 추측하였다.[191] 두 번째 사례의 주인공은 셜리 메이슨(Shirley Mason) 혹은 시빌(Sybil)로, 다른 성격과 재능을 가진 16개 이상의 분열 인격을 가지고 있었다. 유년기 시절 셜리에게 가해진 어머니의 학대로부터, 의사들은 이때의 트라우마가 셜리의 인격을 분열(split)시켰다고 보았으며, 셜리의 장애가 아동학대로부터 생긴 것이라는 증명되지 않은 가설로까지 발전하면서 장애가 유명해지게 되었다. 그러나 1998년 시빌의 사례는 거짓으로 밝혀졌다. 치료사는 시빌이 자기 자신이라고 완벽하게 느꼈음에도 다른 자아로 행동할 것을 부추겼다. 책 출판과 TV 각색을 위하여 증상이 과장되었던 것이다.[191] 이 일로 해리성 정체성 장애에 대한 인식이 꺼지기 시작하였다.
현재도 증명된 장애 원인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심리치료, 약물치료, 최면치료, 보조요법이 매우 효과있다고 밝혀졌다.[192]
5. 3. 자폐스펙트럼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ASD)는 사회적 의사소통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행동 장애를 일으키는 신경발달 장애이다.[193] 이 장애는 사회적 상호작용,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 반복 행동의 어려움을 특징으로 한다.[194] 자폐스펙트럼장애는 감각운동, 인지, 정서 측면에서 경증부터 중증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195]
장애 아동은 자의식과 자기 수용에 어려움을 겪는다. 사회적 사고와 행동에서 나타나는 다른 사고 패턴은 자신을 이해하고 타인과 연결되는 능력을 저해한다.[196] 캠브리지대학교 과학자들은 자의식이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에게 가장 큰 문제라고 하였다. 이들은 실험참가자들에게 자신과 타인의 생각, 의견, 선호에 대하여 판단하게 하고, fMRI를 이용하여 두뇌활동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자신에 대해 생각할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은 복측전전두엽피질(ventromedial pre-frontal cortex, vMPFC)이었다.[198]
스탠포드대학교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자의식 이해를 통해 두뇌회로를 지도화하려 하였다.[199] 이 연구는 자의식이 사회적 상황에서 주로 결여되지만 사적인 경우에 더욱 자의식을 인지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타인과 함께 있을 때 상호적 대인관계에 몰두하면 자의식 기제가 작동하지 않는다. 장애 척도 상에서 고도 기능을 나타내는 환자는 감각과부하나 곧바로 사회적 노출을 하지 않는다면 혼자 있을 때 자의식을 더 느낀다고 보고되었다.[200] 자의식은 사회적 상황이 요구되는 경우에 사라진다. 이는 자기보존을 위한 행동억제체계가 작동하기 때문이다.[200]
홉슨 가설은 자폐증이 영아기에 인지적 언어적 개입 부재로 인해 반사적 자의식 손상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한 연구에서는 자기이해상담을 이용하여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 10명을 실험하였다. 이 상담은 자기 이해 단계가 나타나는지를 평가한다. 연구 결과,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은 대상으로서의 자기와 주체로서의 자기 분야에서 문제가 있었는데, 이는 자폐스펙트럼 환자의 자의식과 자기성찰 능력 결여를 시사한다.[201]
공동관심은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에게서 긍정적인 자의식을 강화시키는 교수 방식으로 개발되었다.[202] 공동관심 전략은 반사된 거울상과 그 거울상이 환자의 반사된 상과 얼마나 연관되어 있는지를 가르치는 데 사용되었다. 거울자기의식발달 활동은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의 자의식 증가를 측정하기 위한 4단계 틀로 사용되었다. 자의식과 관련 지식은 단순히 직접 설명으로 가르칠 수 없고, 학생들은 자기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획득한다.[202]
5. 4. 조현병
조현병(Schizophrenia)은 뇌의 도파민(dopamine) 활성 이상과 관련된 만성 정신 질환이다. 중뇌변연계에서는 도파민이 과도하게 활성화되고, 중뇌피질계에서는 도파민 활성화가 저조하여 사회적 인지 저하 및 정신병 증상을 유발한다.[203]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에 따르면, 조현병 환자는 양성 증상, 음성 증상, 정신운동성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인지 왜곡은 비정상적인 기능 패턴을 형성하는 왜곡된 현실에 대한 신념과 사고를 동반한다. 조현병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며, 스트레스는 유전적 소인이 있는 사람들의 발병을 촉발하는 환경적 요인이 될 수 있다.[204]
조현병 환자의 자의식 수준은 자주 연구되는 주제이다. 조현병은 심각한 인지 기능 장애를 특징으로 하지만, 환자가 이러한 결함을 어느 정도 인식하는지는 불분명하다. 2004년 메달리아(Alice Medalia)와 림(Rosa W.Lim)의 연구(N=185)에 따르면, 환자의 인지 기능 평가는 전문가의 평가와 큰 차이를 보였다.[205] 환자들은 자신의 인지 기능 장애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조현병 진단을 위해서는 한 달 동안 망상*, 환각*, 비체계적 언어*, 비체계적/긴장성 행동, 음성 증상 (*표시된 세 증상은 필수) 중 두 가지 이상이 나타나야 한다. 이러한 증상이 심할 경우 할로페리돌(haloperidol), 록사핀(loxapine)과 같은 항정신병제제(antipsychotics)나 클로자핀(clozapine), 리스페리돈(risperidone)과 같은 비정형적 항정신병제제(atypical antipsychotics)를 사용하고, 가족 개입, 사회적 기술 훈련 등의 정신사회적 치료를 병행하기도 한다. 치료 후 회복되더라도 행동에 대한 기억이 거의 남지 않아, 발병 이후에도 자의식은 거의 없는 경우가 많다.
아마도르(Amador) 등의 연구[206]에서는 환자의 통찰력, 치료 순응도, 질병 진행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통찰력이 부족한 환자는 치료에 잘 따르지 않고 예후도 좋지 않았다. 환각을 경험하는 환자는 관계 망상(delusions of reference), 사고주입(thought insertion), 사고철회(thought withdrawal), 사고전파(thought broadcast), 피해망상(delusions of persecution), 과대사고나 망상 등의 양성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은 현실 인식을 왜곡하여 환자가 믿는 대로 실제 발생한다고 생각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관계 망상 환자는 기상캐스터의 예보를 자신에게 보내는 경고 메시지로 받아들일 수 있다. 사고전파는 자신의 생각을 모든 사람이 들을 수 있다고 믿는 것이다. 심한 경우, 환자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느끼거나 냄새를 맡는다고 착각하기도 한다. 이러한 환각은 매우 강렬하여 환자가 인지하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설득하기 어렵고, 자신이 경험하는 것이 실제로는 부재한다는 사실을 스스로 인식하기 어렵게 만든다.
2013년 베드포드(Nicolas J. Bedford)와 데이비드(Anthony S. David)의 연구(N=26)[207]에서는 조현병의 여러 측면에 대한 거부 대 수용이 자기 반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연구 결과, 질병을 부인하는 경향이 높은 환자는 스스로 평가한 정신 질병에 대한 상기 능력이 떨어졌다. 환자의 감각과 감정이 매우 강렬하기 때문에, 질병에 대한 부인은 회복을 어렵게 만든다. 이 연구를 통해, 조현병 환자 대부분은 여러 요인들과 진단을 통해 드러난 병증의 심각성으로 인해 자신의 병을 자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5. 양극성 장애
양극성 장애는 기분, 에너지, 기능 능력의 변화를 유발하는 병이다. 자의식은 환자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데, 양극성 장애나 다른 문제들 때문에 특정 방식을 느끼는 것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인격, 행동, 기능부전이 양극성 장애에 영향을 주기에 이러한 구분을 하기 위해 당신 자신을 알아야 합니다."[208] 자의식이 기분과 함께 변하기에 양극성 장애는 진단하기가 어렵다. "예를 들어, 새로운 사업을 위한 자신감과 영리한 사고로서 당신에게 나타나는 것은 과대 사고와 조증 행동일 수 있다."[209] 감정기복의 부조리를 이해하는 것과 조증삽화에 휩싸인 것 사이에서 문제가 발생하지만, 행동은 정상이라고 합리화한다.양극성 장애 증상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매튜(Anandit J. Mathew) 등의 연구는 자기와 차도 중인 양극성장애 환자에게서 병을 인지하고 있는지를 검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210]
연구는 인도 벨로르 크리스천 의과대학 정신의학과에서 이뤄졌는데, 이 센터는 정신 장애와 행동 장애를 가진 환자를 관리하는 것에 특화되어 있다.[210] 총 82명의 환자(남성 50명, 여성 32명)가 연구 참여에 동의하였다. 환자들은 ICD-10이 규정한 양극성 장애 I유형과 II유형 진단 기준을 충족시켰으며 치유되고 있는 중이었다.[210] 그리고 연구 전에 다양한 기본 평가를 거쳤다. 평가에는 소품문을 사용하였고 이후 환자 행동에 있어 평가 도구로 사용되었다. 그리고나서 환자는 무작위로 두 집단으로 나뉘었는데, 한 집단은 구조화 교육 개입 프로그램을[210] 사용한 반면, 다른 한 집단은 대조군으로 일반 치료를 받았다.
연구는 면담에 기반하였으며, 면담에서 환자는 인지된 원인, 연쇄결과, 심각도, 신체, 감정, 사회 네트워크, 가정생활에 끼치는 영향, 직장, 심각도, 가능한 행동 경로, 도움 요청 행동, 의사나 치료사의 역할이 끼친 영향 등에 관하여 제한 없는 질문을 받았다.[210] 맥네마 테스트를 사용하여 환자의 질병에 대한 환자의 설명과 조망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질병에 대한 환자의 신념은 양극성 장애의 원인일 수 있는 것과 일치하였으나,[210] 증상이 활성화중이었던 환자등에 대한 연구에서는 환자들이 자신의 병에 대하여 내린 평가 사이에 불일치가 있었다.[211] 이는 양극성 장애 환자에게 자의식이 자리잡는 것이 어렵다는 사실로 연결된다.
연구는 차도를 보이고 있던 환자들과 이뤄졌지만. 차도 중인 환자에 비하였을 때 활성화 중인 환자에게서 차이점을 보인다는 점은, 회복 과정을 통하여 자의식이 진화하고 발전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6. 식물
식물은 뿌리, 덩굴손, 꽃 등에서 자신과 다른 개체를 구별하는 능력을 보인다.[212][46][127] 덩굴식물은 덩굴손에 있는 화학수용체 덕분에 자기 몸을 감싸는 것을 피한다.[212] 이러한 자기 인식은 주로 식물학자들이 연구해 왔으며, 식물이 자신을 인지할 수 있다는 주장은 유전자 선택 기제를 통해 자기 재생산을 억제하는 현상에 기반한다.
6. 1. 식물의 자의식을 보여주는 자기불화합성 기제
식물의 자기구별은 자기 자신은 피하지만 주변의 다른 개체는 피하지 않는 뿌리, 덩굴손, 꽃에서 발견된다.[212] 식물의 자의식은 자의식 분야에서 주변적인 주제이며, 주로 식물학자들이 연구해 왔다. 식물이 자기를 인지할 수 있다는 주장은, 식물이 자신과는 교배하지 않도록 유전자 선택 메커니즘이 작용한다는 증거에 기반한다. 덩굴식물은 덩굴에 있는 화학 수용체 덕분에 자신을 감지하여 휘감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 특유의 자기 인식은, 식물이 자신이 무엇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모든 알려진 자기 인식의 개념은 무엇이 비자기인지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거나 그것을 중심으로 한다.6. 2. 식물 생식에 있어 자기 인식과 거절
식물은 수분 과정에서 자기 꽃가루를 거부하고 타가 수분을 선호하는 방식으로 자기 인식을 나타낸다. 준 나스랄라(June B. Nasrallah)의 연구에 따르면, 식물의 수분 기제는 자기 번식에 대한 방어 기구로 기능하며, 이는 식물이 자기 인식을 가진 생물일 수 있다는 과학적 증거의 기반이 된다.[128][129]식물의 자기불화합성(Self-incompatibility, SI) 기제는 자기를 인식하는 능력에서 자의식이 유래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이 기제의 기능은 주로 유전자 S-locus 수용체 단백질 키나아제(gene S-locus receptor protein kinase, SRK)와 S-locus 시스테인-리치 단백질 유전자(S-locus cysteine-rich protein gene, SCR)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존한다.
- 자기 수분(self-pollination)의 경우: SRK와 SCR이 결합하여 SRK를 활성화시키고, 꽃가루가 수정되는 것을 억제한다.
- 교차 수분(cross-pollination)의 경우: SRK와 SCR이 결합하지 않아 SRK는 활성화되지 않고, 꽃가루가 수정하게 된다.
즉, 수용체는 꽃가루의 유전자를 수용하거나 거부할 수 있으며, 유전자가 같은 식물에서 오는 경우 자기불화합성 기제가 꽃가루의 수정을 차단하는 반응을 일으킨다.[128][129]
6. 3. 생리학적 연결을 매개로 한 거지덩굴의 덩굴손의 자기구분
식물의 자기구별(Self-discrimination)은 자기 자신은 피하지만 주변의 타인에게는 그렇지 않은 뿌리, 덩굴손, 꽃에서 발견된다.[212] 덩굴식물은 식물의 덩굴손에 있는 화학수용체 때문에 자기 몸을 감싸는 걸 피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12]후카노 유야(深野祐也, Fukano Yuya)와 야마오 아키라(山尾僚, Yamawo Akira)의 연구는 덩굴식물의 자기구분과 이미 기제가 밝혀진 다른 문(門, classification)들의 자기구분 사이에 관련성을 제시하였다. 이들은 스스로 이웃할 수 있는(self neighbouring) 식물과 그렇지 않은 식물에게 감촉 테스트(touching test)를 수행하여 가설을 증명하였다. 실험을 위해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이런 식물들을 덩굴손 옆에 두었다. 이 테스트를 통해 지상식물의 자기구분이 증명되었는데, 서로 인접한 자가 식물(connected self plants)과 떨어진 자가 식물, 그리고 비자가 식물(non-self plants)의 경우, 덩굴손 활동성 정도와 식물을 감싸는 가능성은 뿌리줄기(rhizome)를 통해 서로 접촉하고 있는 식물보다 떨어져 있는 식물에서 더 높았다.[130]
7. 연극장
연극은 자의식 외에도 타인의 의식과 관련되어 있다. 관객의 경험과 개인의 자의식 간에는 연계성이 존재한다. 배우와 관객은 맥락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4의 벽을 깨서는 안되기에, 개인들은 자신의 현실에 대한 인공적인 혹은 구조화된 인식을 알아차려서는 안 된다. 이는 연극장이 그런 것처럼 타인에게 적용된 자의식과 사회적 구성체들이 인공적인 연속체라는 것을 시사한다. 루이지 피란델로의 작가를 찾는 여섯 명의 등장인물이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같은 연극은 제4의 벽의 잇따른 층을 구축하지만, 중요한 착각을 파괴하지 않는다.
8. 공상과학소설
공상과학소설(science fiction)에서 자의식은 인간의 필수 자질로 묘사되며, 이야기 배경에 따라 비인간 존재에게 인간다움을 부여하는 중요한 요소로 사용된다. 만약 컴퓨터, 외계 생명체 등 다른 대상이 자의식을 느낀다고 묘사될 경우, 독자들은 이들이 완벽히 인간으로 대우받으면서 인간과 동등한 권리, 능력, 욕구를 가질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213] 자각(sentience), 지혜(sapience), 의식(consciousness)도 공상과학소설에서 비슷한 역할을 한다.[47][131]
9. 로봇
로봇공학에서 자의식은 로봇이 자신의 행동을 모델링하고 예측하는 데 필요한 능력으로 간주되며, 인공지능 개발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다. 로봇이 "자아 인식"을 갖기 위해서는 내부 모델을 사용하여 자신의 행동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어야 한다.[50][132]
참조
[1]
웹사이트
self-awareness
http://www.merriam-w[...]
2023-09-15
[2]
논문
Self-Awareness with a Simple Brain
[3]
서적
Mirror Neuron Systems: The Role of Mirroring Processes in Social Cognition
https://archive.org/[...]
Humana Press
[4]
웹사이트
Self Awareness: The Last Frontier
https://www.edge.org[...]
2011-07-26
[5]
웹사이트
Bodily Awareness
https://plato.stanfo[...]
2020-07-08
[6]
논문
Body Awareness: Construct and Self-Report Measures
2009-05-19
[7]
논문
Body Awareness in Anorexia Nervosa: Disturbances in 'Body Image' and 'Satiety'
Ovid Technologies (Wolters Kluwer Health)
[8]
논문
Five levels of self-awareness as they unfold early in life
2003-12
[9]
서적
A Theory of Objective Self Awarenes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10]
서적
Self Consciousness: An Alternative Anthropology of Identity
Taylor & Francis
[11]
서적
Self-Awareness & Causal Attribution
[12]
서적
Unity and Modularity in the Mind and Self: Stud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awareness, Personality,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Routledge
2013-02
[13]
논문
Self-awareness in g (with processing efficiency and reasoning)
2006-05
[14]
간행물
Self Efficacy and Why Believing in Yourself Matters
2019-07-05
[15]
논문
Notes on self awareness development in early infancy
http://www.devpsycho[...]
2008-03
[16]
논문
Development of self-recognition in the infant
[17]
논문
Humans and monkeys distinguish between self-generated, opposing, and random actions
2015-01
[18]
서적
Integrative processes and socialization early to middle childhoo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
논문
The Development of Body Self-Awareness
2007-03-01
[20]
논문
Self-perception and action in infancy
1998-10-23
[21]
논문
'So Big': The Development of Body Self-Awareness in Toddlers
2007-09
[22]
논문
Cultural Variations in Children's Mirror Self-Recognition
2011-08
[23]
서적
Handbook of Infant Mental Health
Guilford Press
[24]
서적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https://archive.org/[...]
Guilford Press
[25]
논문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selves (Self-as-Content, Self-as-Process, and Self-as-Context) and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2018-01
[26]
논문
The Effect of Training Self-Awareness and Anger Management on Aggression Level in Iranian Middle School Students
2012
[27]
논문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awareness in Teenagers
2015-05
[28]
논문
Self- and Informant-Ratings on the Patient Competency Rating Scale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2010-08-09
[29]
논문
Diller lecture: Impaired awareness, finger tapping, and rehabilitation outcome after brain injury.
1999
[30]
웹사이트
Anosognosia (Lack of Insight) Fact Sheet
http://www.nami.org/[...]
2014-11-26
[31]
논문
Possible mechanisms of anosognosia: a defect in self–awareness
1998-11-29
[32]
논문
Prognostic factors in polyarteritis
1975-12
[33]
논문
Neural Basis of Self and Other Representation in Autism: An fMRI Study of Self-Face Recognition
2008-10-29
[34]
논문
The self in autism: An emerging view from neuroimaging
2011-06
[35]
논문
Asperger Through the Looking Glass: An Exploratory Study of Self-Understanding in People with Asperger's Syndrome
2012-05
[36]
논문
Self-awareness of cognitive functioning in schizophrenia
2004-12
[37]
논문
Assessment of insight in psychosis
1993-06
[38]
논문
Self recognition in an Asian elephant
[39]
논문
Animal reflections
[40]
서적
The Philosophy of Animal Minds
https://philosophy.c[...]
2023-11-04
[41]
논문
Self-Awareness in Human and Chimpanzee Infants: What Is Measured and What Is Meant by the Mark and Mirror Test?
[42]
서적
The Cognitive Animal: Empirical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on Animal Cognition
MIT Press
[43]
논문
Do Dolphins Have a Sense of Self?
http://www.nwf.org/n[...]
[44]
논문
Mirror-Induced Behavior in the Magpie (''Pica pica''): Evidence of Self-Recognition
[45]
논문
Mirror test shows magpies aren't so bird-brained
https://www.newscien[...]
2014-11-26
[46]
논문
Self-discrimination in the tendrils of the vine Cayratia japonica is mediated by physiological connection
2015-09-07
[47]
서적
Stanley Kubrick's 2001: A Space Odyssey
Oxford University Press US
[48]
간행물
Knowing me, knowing us: Personal and collective self-awareness enhances authentic leadership and leader endorsement
https://www.research[...]
2024-08-14
[49]
간행물
Ecclesiam Suam
https://www.vatican.[...]
2024-08-14
[50]
서적
The Computer After Me
[51]
문서
Self-awareness is the ability to focus on yourself and how your actions, thoughts, or emotions do or don't align with your internal standards. If you're highly self-aware, you can objectively evaluate yourself, manage your emotions, align your behavior with your values, and understand correctly how others perceive you.
Google
2018-05-11
[52]
웹사이트
Self-awareness - Definition of Self-awareness by Merriam-Webster
http://www.merriam-w[...]
2023-05-25
[53]
논문
Self-Awareness with a Simple Brain
[54]
서적
Mirror Neuron Systems: The Role of Mirroring Processes in Social Cognition
https://archive.org/[...]
Humana Press
[55]
웹사이트
Self Awareness: The Last Frontier, Edge Foundation web essay
http://www.edge.org/[...]
2011-07-26
[56]
논문
Body Awareness: Construct and Self-Report Measures
2009-05-19
[57]
문서
Body Awareness in Anorexia Nervosa: Disturbances in "Body Image" and "Satiety"
[58]
논문
The Development of Body Self-Awareness
2007-03-01
[59]
논문
"So Big": The Development of Body Self-Awareness in Toddlers
2007-09
[60]
논문
Mirror-Induced Behavior in the Magpie (Pica pica): Evidence of Self-Recognition
[61]
논문
Do Dolphins Have a Sense of Self?
http://www.nwf.org/n[...]
[62]
논문
Self-Awareness in Human and Chimpanzee Infants: What Is Measured and What Is Meant by the Mark and Mirror Test?
[63]
논문
Mirror test shows magpies aren’t so bird-brained
https://www.newscien[...]
2014-11-26
[64]
논문
Self recognition in an Asian elephant
[65]
서적
The Philosophy of Animal Minds
[66]
논문
Animal reflections
[67]
서적
The Cognitive Animal: Empirical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on Animal Cognition
MIT Press
[68]
문서
Plotnik et al., (2006)
[69]
문서
How the Body Shapes the Way We Think: A New View of Intelligence
2006-10
[70]
문서
The Unpredictable Species: What Makes Humans Unique
[71]
서적
A Theory of Objective Self Awarenes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72]
서적
Self Consciousness: An Alternative Anthropology of Identity
Taylor & Francis
2002-05-03
[73]
서적
Self-Awareness & Causal Attribution
[74]
서적
Unity and Modularity in the Mind and Self: Stud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awareness, Personality,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Routledge
2013-02
[75]
논문
Self-awareness in g (with processing efficiency and reasoning)
2006-05
[76]
웹사이트
Self Efficacy and Why Believing in Yourself Matters
http://sheworth.org/[...]
2019-07-31
[77]
논문
Five levels of self-awareness as they unfold early in life
2003-12
[78]
논문
Notes on self awareness development in early infancy
http://www.devpsycho[...]
2008-03
[79]
논문
Development of self-recognition in the infant.
1978
[80]
논문
Humans and monkeys distinguish between self-generated, opposing, and random actions
2015-01
[81]
서적
Integrative processes and socialization early to middle childhoo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82]
논문
Self-perception and action in infancy
1998-10-23
[83]
논문
Cultural Variations in Children’s Mirror Self-Recognition
2011-08
[84]
논문
Five-Month-old Infants’ Discrimination of Visual-Tactile Synchronous Facial Stimulation: Brief Report
http://repository.es[...]
2016-05
[85]
서적
Handbook of Infant Mental Health
Guilford Press
[86]
서적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https://archive.org/[...]
Guilford Press
[87]
논문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awareness in Teenagers
2015-05
[88]
논문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selves (Self-as-Content, Self-as-Process and Self-as-Context) and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2018-01
[89]
논문
The Effect of Training Self-Awareness and Anger Management on Aggression Level in Iranian Middle School Students
2012
[90]
서적
Ecce Homo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https://books.google[...]
[91]
서적
Nietzsche, Genealogy, Moral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2]
서적
What Nietzsche Taught
https://books.google[...]
[93]
논문
John Locke on Personal identity
[94]
서적
The Insanity Defense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95]
웹사이트
Anosognosia (Lack of Insight) Fact Sheet
http://www.nami.org/[...]
2014-11-26
[96]
웹사이트
Disorders of Behavior and Self-Awareness
http://www.thebarrow[...]
2023-05-25
[97]
논문
Self- and Informant-Ratings on the Patient Competency Rating Scale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2010-08-09
[98]
논문
Diller lecture: Impaired awareness, finger tapping, and rehabilitation outcome after brain injury.
1999
[99]
논문
Anosognosia: clinical and ethical considerations
2009-12
[100]
논문
Possible mechanisms of anosognosia: a defect in self–awareness
1998-11-29
[101]
논문
Prognostic factors in polyarteritis
1975-12
[102]
논문
Caloric stimulation and unilateral visual neglect
1985-07-01
[103]
웹사이트
Mental illnesses
http://nami.org/temp[...]
2014-11-27
[104]
웹사이트
解離性障害
https://www.nami.org[...]
National Alliance on Mental Illness
2023-05-25
[105]
웹사이트
解離性同一性障害の症状と治療法
https://www.medicine[...]
2017-10-16
[106]
웹사이트
Multiple Personalities: Crime and Defense
http://www.crimelibr[...]
2023-05-25
[107]
웹사이트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http://www.medicinen[...]
2023-05-25
[108]
웹사이트
Autism Fact Sheet
http://ninds.nih.gov[...]
Office of Communications and Public Liaison
2014-11-27
[109]
웹사이트
Autistic disorder
http://www.autismspe[...]
2023-05-25
[110]
웹사이트
Recognizing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www.autism.or[...]
2023-05-25
[111]
웹사이트
Self-Awareness and Self-Acceptance in School-Age Students with ASD
http://autismdigest.[...]
'2014 Autism Asperger’s Digest. AADigest is a division of Future Horizons'
2014-11-27
[112]
논문
Autistic Self-Awareness
2004
[113]
논문
Atypical neural self-representation in autism
2010-02-01
[114]
논문
Neural Basis of Self and Other Representation in Autism: An fMRI Study of Self-Face Recognition
2008-10-29
[115]
논문
The self in autism: An emerging view from neuroimaging
2011-06
[116]
논문
Asperger Through the Looking Glass: An Exploratory Study of Self-Understanding in People with Asperger’s Syndrome
2012-05
[117]
웹사이트
University of Pennsylvania
http://legacy.uphs.u[...]
2023-05-25
[118]
논문
Recent advances in the genetics of schizophrenia
2003-10-15
[119]
논문
Life events and schizophrenia: The "triggering" hypothesis
1981-08
[120]
논문
Self-awareness of cognitive functioning in schizophrenia
2004-12
[121]
논문
Assessment of insight in psychosis
1993-06
[122]
논문
Denial of illness in schizophrenia as a disturbance of self-reflection, self-perception and insight
2014-01
[123]
웹사이트
Self Awareness
http://bipolarinsigh[...]
Bipolar Insights
2023-05-25
[124]
웹사이트
Living with Bipolar Disorder
http://psychcentral.[...]
2016-05-17
[125]
논문
Perceptions of Illness in Self and in Others Among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2010-09
[126]
논문
Use of psychopathology vignettes by patients with schizophrenia or schizoaffective disorder and by mental health professionals to judge patients’ insight
1993-11
[127]
논문
Self-discrimination in the tendrils of the vine Cayratia japonica is mediated by physiological connection
2015-09-07
[128]
문서
Google def: Self-awareness is the ability to focus on yourself and how your actions, thoughts, or emotions do or don’t align with your internal standards. If you’re highly self-aware, you can objectively evaluate yourself, manage your emotions, align your behavior with your values, and understand correctly how others perceive you.May 11, 2018
[129]
웹사이트
Self-awareness - Definition of Self-awareness by Merriam-Webster
http://www.merriam-w[...]
2023-05-25
[130]
논문
Mirror-Induced Behavior in the Magpie (Pica pica): Evidence of Self-Recognition
[131]
서적
Stanley Kubrick‘s 2001: A Space Odyssey
Oxford University Press US
[132]
서적
The Computer After Me
[133]
문서
Google def: Self-awareness is the ability to focus on yourself and how your actions, thoughts, or emotions do or don't align with your internal standards. If you're highly self-aware, you can objectively evaluate yourself, manage your emotions, align your behavior with your values, and understand correctly how others perceive you.May 11, 2018
[134]
웹인용
Self-awareness - Definition of Self-awareness by Merriam-Webster
http://www.merriam-w[...]
[135]
논문
Self-Awareness with a Simple Brain
[136]
뉴스
What Self-Awareness Really Is (and How to Cultivate It)
https://hbr.org/2018[...]
Harvard Business Review
2018-03-06
[137]
서적
Mirror Neuron Systems: The Role of Mirroring Processes in Social Cognition
https://archive.org/[...]
Humana Press
[138]
웹인용
Self Awareness: The Last Frontier, Edge Foundation web essay
http://www.edge.org/[...]
2009-01-01
[139]
논문
Body Awareness: Construct and Self-Report Measures
2009-05-19
[140]
문서
Body Awareness in Anorexia Nervosa: Disturbances in "Body Image" and "Satiety"
[141]
논문
The Development of Body Self-Awareness
2007-03-01
[142]
논문
"So Big": The Development of Body Self-Awareness in Toddlers
2007-09
[143]
논문
Self recognition in an Asian elephant
[144]
서적
The Philosophy of Animal Minds
[145]
논문
Animal reflections
[146]
서적
The Cognitive Animal: Empirical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on Animal Cognition
MIT Press
[147]
문서
Plotnik et al., (2006)
[148]
논문
Mirror-Induced Behavior in the Magpie (Pica pica): Evidence of Self-Recognition
[149]
논문
Do Dolphins Have a Sense of Self?
http://www.nwf.org/n[...]
[150]
논문
Self-Awareness in Human and Chimpanzee Infants: What Is Measured and What Is Meant by the Mark and Mirror Test?
[151]
논문
Mirror test shows magpies aren't so bird-brained
https://www.newscien[...]
2014-11-26
[152]
문서
How the Body Shapes the Way We Think: A New View of Intelligence, Rolf Pfeifer, Josh Bongard
2006-10
[153]
문서
The Unpredictable Species: What Makes Humans Unique, Lieberman, P
[154]
서적
A Theory of Objective Self Awarenes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155]
서적
Self Consciousness: An Alternative Anthropology of Identity
Taylor & Francis
2002-05-03
[156]
서적
Self-Awareness & Causal Attribution
[157]
서적
Unity and Modularity in the Mind and Self: Stud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awareness, Personality,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Routledge
2013-02
[158]
논문
Self-awareness in g (with processing efficiency and reasoning)
2006-05
[159]
웹인용
Self Efficacy and Why Believing in Yourself Matters
http://sheworth.org/[...]
2019-07-31
[160]
논문
Five levels of self-awareness as they unfold early in life
2003-12
[161]
논문
Notes on self awareness development in early infancy
http://www.devpsycho[...]
2008-03
[162]
논문
Development of self-recognition in the infant.
1978
[163]
논문
Humans and monkeys distinguish between self-generated, opposing, and random actions
2015-01
[164]
서적
Integrative processes and socialization early to middle childhoo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65]
논문
Self-perception and action in infancy
1998-10-23
[166]
논문
Cultural Variations in Children's Mirror Self-Recognition
2011-08
[167]
논문
Five-Month-old Infants' Discrimination of Visual-Tactile Synchronous Facial Stimulation: Brief Report
http://repository.es[...]
2016-05
[168]
서적
Handbook of Infant Mental Health
Guilford Press
[169]
서적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https://archive.org/[...]
Guilford Press
[170]
논문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awareness in Teenagers
2015-05
[171]
논문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selves (Self-as-Content, Self-as-Process and Self-as-Context) and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2018-01
[172]
논문
The Effect of Training Self-Awareness and Anger Management on Aggression Level in Iranian Middle School Students
2012
[173]
서적
Ecce Homo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https://books.google[...]
[174]
서적
Nietzsche, Genealogy, Moral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5]
서적
What Nietzsche Taught
https://books.google[...]
[176]
서적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by John Locke
https://archive.org/[...]
J. Beecroft
2012-02-11
[177]
웹인용
What Is Self-Awareness?
http://psychology.ab[...]
2014-11-25
[178]
서적
The Insanity Defense
Yale University Press
[179]
웹인용
What Is Self-Awareness?
http://psychology.ab[...]
2014-11-26
[180]
웹인용
Anosognosia (Lack of Insight) Fact Sheet
http://www.nami.org/[...]
2014-11-26
[181]
웹인용
Disorders of Behavior and Self-Awareness
http://www.thebarrow[...]
2021-04-16
[182]
저널
Self- and Informant-Ratings on the Patient Competency Rating Scale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2010-08-09
[183]
저널
Diller lecture: Impaired awareness, finger tapping, and rehabilitation outcome after brain injury.
1999
[184]
저널
Anosognosia: clinical and ethical considerations
2009-12
[185]
저널
Possible mechanisms of anosognosia: a defect in self–awareness
1998-11-29
[186]
저널
Prognostic factors in polyarteritis
1975-12
[187]
저널
Caloric stimulation and unilateral visual neglect
1985-07-01
[188]
웹인용
Mental illnesses
http://nami.org/temp[...]
2014-11-27
[189]
웹인용
Dissociative Disorders
https://www.nami.org[...]
National Alliance on Mental Illness
[190]
웹인용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Symptoms and Treatments
https://www.medicine[...]
2017-10-16
[191]
웹인용
Multiple Personalities: Crime and Defense
http://www.crimelibr[...]
[192]
웹인용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http://www.medicinen[...]
[193]
웹인용
Autism Fact Sheet
http://ninds.nih.gov[...]
Office of Communications and Public Liaison
2014-11-27
[194]
웹인용
Autistic disorder
http://www.autismspe[...]
[195]
웹인용
Recognizing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www.autism.or[...]
[196]
웹인용
Self-Awareness and Self-Acceptance in School-Age Students with ASD
http://autismdigest.[...]
2014 Autism Asperger's Digest. AADigest is a division of Future Horizons
2014-11-27
[197]
저널
Autistic Self-Awareness
2004
[198]
저널
Atypical neural self-representation in autism
2010-02-01
[199]
저널
Neural Basis of Self and Other Representation in Autism: An fMRI Study of Self-Face Recognition
2008-10-29
[200]
저널
The self in autism: An emerging view from neuroimaging
2011-06
[201]
저널
Asperger Through the Looking Glass: An Exploratory Study of Self-Understanding in People with Asperger's Syndrome
2012-05
[202]
웹인용
University of Pennsylvania
http://legacy.uphs.u[...]
[203]
저널
Recent advances in the genetics of schizophrenia
2003-10-15
[204]
저널
Life events and schizophrenia: The "triggering" hypothesis
1981-08
[205]
저널
Self-awareness of cognitive functioning in schizophrenia
2004-12
[206]
저널
Assessment of insight in psychosis
1993-06
[207]
저널
Denial of illness in schizophrenia as a disturbance of self-reflection, self-perception and insight
2014-01
[208]
웹인용
Self Awareness
http://bipolarinsigh[...]
Bipolar Insights
2021-04-17
[209]
웹인용
Living with Bipolar Disorder
http://psychcentral.[...]
2021-04-17
[210]
저널
Perceptions of Illness in Self and in Others Among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2010-09
[211]
논문
Use of psychopathology vignettes by patients with schizophrenia or schizoaffective disorder and by mental health professionals to judge patients' insight
1993-11
[212]
논문
Self-discrimination in the tendrils of the vine Cayratia japonica is mediated by physiological connection
2015-09-07
[213]
서적
Stanley Kubrick's 2001: A Space Odyssey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06
[214]
서적
The Computer After 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