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항정신병제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항정신병제제는 정신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 1세대, 2세대, 3세대로 분류된다. 1세대 항정신병제는 도파민 D2 수용체를 차단하며, 추체외로 증상과 고프로락틴혈증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2세대 항정신병제는 도파민뿐 아니라 세로토닌 수용체에도 작용하며, 체중 증가 및 대사장애 위험이 있다. 3세대 항정신병제는 도파민 D2 수용체 부분 작용제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개발되었다. 항정신병제는 조현병, 양극성 장애, 우울증 등 다양한 질환에 사용되며, 부작용과 장기적인 영향, 과잉 처방 및 제약 회사의 마케팅에 대한 논란이 있다.

2. 종류

항정신병제는 크게 1세대 항정신병제(정형 항정신병제)와 2세대 항정신병제(비정형 항정신병제)로 나눌 수 있다. 1세대 항정신병제는 1950년대에 개발된 클로르프로마진을 시작으로, 주로 도파민 D2 수용체를 차단하여 조현병(정신분열증)의 양성 증상을 완화한다.

1세대 항정신병제는 항정신병 작용의 강도에 따라 고역가 약물과 저역가 약물로 나뉜다. 고역가 약물은 도파민 D2 수용체에 대한 선택성이 높아 추체외로 증상이 나타나기 쉽고, 저역가 약물은 도파민 D2 수용체 선택성이 낮아 무스카린 수용체 및 아드레날린 α수용체에도 작용하여 항콜린 작용 및 항아드레날린 작용을 일으키기 쉽다.

2세대 항정신병제는 도파민 D2 수용체뿐만 아니라 세로토닌 수용체 등 다양한 수용체에 작용한다. 1세대 항정신병제에 비해 추체외로 증상 발생 위험이 낮지만, 체중 증가, 대사 장애 등의 부작용 발생 위험이 있다.[460]

3세대 항정신병제는 도파민 D2 수용체 부분 작용제로서, 1세대 및 2세대 항정신병제와는 다른 작용 기전을 가진다.

다음은 항정신병제의 종류를 나타낸 표이다.

분류일반명상품명개발사비고
1세대 항정신병제
(정형 항정신병제)
클로르프로마진토라진론-풀랑/글락소스미스클라인최초의 항정신병제
할로페리돌할돌얀센
플루페나진프로릭신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
벤페리돌안킬얀센
2세대 항정신병제
(비정형 항정신병제)
아미설피리드솔리안사노피-신테라보
아리피프라졸아빌리파이오츠카제약/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도파민 부분 효능제
아세나핀사프리스/시크레스트오가논/머크
블로난세린로나센스미토모 다이니폰/미쓰비시 타나베
브렉스피프라졸렉설티오츠카제약/룬드벡
카리프라진브레이라/레아길라게데온 리히터/액타비스
클로자핀클로자릴산도스-노바티스
루라시돈라투다스미토모 다이니폰/서노비온
올란자핀자이프렉사릴리
팔리페리돈인베가얀센-실라그/존슨앤존슨
퀘티아핀세로켈아스트라제네카
3세대 항정신병제아리피프라졸아빌리파이오츠카제약도파민 부분 효능제
브렉스피프라졸렉설티오츠카제약/룬드벡아리피프라졸 후속 약물, 도파민 부분 효능제


2. 1. 1세대 항정신병제 (정형 항정신병제)

1세대 항정신병제(정형 항정신병제)는 1950년대에 개발된 약물로, 주로 뇌의 도파민 경로에 작용하여 도파민 D2 수용체를 차단한다. 이 작용을 통해 정신분열증(조현병)의 양성 증상(환각, 망상 등)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3] 하지만, 추체외로 증상(EPS)이나 고프로락틴혈증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460]

정형 항정신병제는 항정신병 작용의 강도에 따라 고역가 약물과 저역가 약물로 나뉜다. 고역가 약물은 도파민 D2 수용체에 대한 선택성이 높아 추체외로 증상이 나타나기 쉽고, 저역가 약물은 도파민 D2 수용체 선택성이 낮아 무스카린 수용체 및 아드레날린 α수용체에도 작용하여 항콜린 작용 및 항아드레날린 작용을 일으키기 쉽다.

대표적인 1세대 항정신병제로는 클로르프로마진, 할로페리돌, 플루페나진 등이 있다.

2. 1. 1. 부티로페논 계열

부티로페논계는 정형 항정신병약의 대표적인 계열이다. 할로페리돌(상품명: 셀레네스, 할로스텐, 데포제로서는 할로먼스 등)이 여기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고역가 항정신병약의 대표이기도 하다. 항콜린 작용은 약하고, 추체외로 증상은 일어나기 쉬우며, α1 차단 작용은 약하지만 진토 작용은 강하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할로페리돌(상품명: 셀레네스, 할로스텐, 데포제로서는 할로먼스 등), 브롬페리돌(상품명: 임프로멘), 티미페론(상품명: 트로페론), 스피페론 (상품명: 스피로피탄), 피모지드(상품명: 오랩)이 있다.

2. 1. 2. 페노티아진 계열

1952년에 처음 사용된 최초의 항정신병약인 클로르프로마진을 포함하는 페노티아진을 기본 골격으로 하는 계열이다.[312][311] 대표적인 약물로는 클로르프로마진(상품명: 콘토민, 윈타민), 레보메프로마진(상품명: 힐나민, 레보토민), 티오리다진(상품명: 메레릴), 플루페나진(상품명: 플루메진, 데포 제제로서 플루데카신), 프로페리시아진(상품명: 아파민, 뉴레프틸), 페르페나진(상품명: 피제트시, 트릴라폰, 트리오민) 등이 있다. 측쇄에 따라 세분류되는 경우가 있다. 클로르프로마진보다 강한 항정신병약으로는 할로페리돌이 있다.

; 알킬아미노 측쇄군

: 클로르프로마진(상품명: 콘토민, 윈타민), 레보메프로마진(상품명: 힐나민, 레보토민) 등이 포함된 군이다. 이 군에 포함된 약물은 α1 차단 작용이 강하고 진정 작용, 최면 작용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흥분, 불안 환자에게 사용되며, 불면이 심한 환자의 수면제로도 사용된다. 구토 억제 작용도 강한 것이 많다. 비특이적 수용체 결합도 강하기 때문에 항콜린 작용도 나타나기 쉽다. 저역가 항정신병약의 대표이며, 하루 200mg 정도의 사용이 일반적이다.

; 피페리딘 측쇄군

: 프로페리시아진(상품명: 아파민, 뉴레프틸) 등이 포함된다. 저역가 항정신병약 중에서는 역가가 강하다. 추체외로 장애가 약하고, 항콜린 작용, 기립성 저혈압이 많은 것은 다른 저역가 항정신병약과 마찬가지이다. α1 차단 작용은 강하지만 구역질에 대한 효과는 약하다.

; 피페라진 측쇄군

: 플루페나진(상품명: 플루메진, 데포 제제로서 플루데카신), 페르페나진(상품명: 피제트시) 등이 포함된다. 진토 작용이 강한 것이 많아 수술 전후 기간의 진토제로 자주 사용된다. 다른 페노티아진계에 비해 상당히 고역가이며 고역가 항정신병약으로서의 특성을 갖는다.

2. 1. 3. 티옥산텐 계열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티옥산텐 계열'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추가할 수 없다.

2. 2. 2세대 항정신병제 (비정형 항정신병제)

1990년대 이후 개발된 항정신병제로, 도파민 D2 수용체뿐만 아니라 세로토닌 수용체 등 다양한 수용체에 작용한다. 1세대 항정신병제에 비해 추체외로 증상 발생 위험이 낮지만, 체중 증가, 대사 장애 등의 부작용 발생 위험이 있다.[460]

2세대 항정신병제(비정형 항정신병제)에는 다음 약물들이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2세대 항정신병제가 존재하며, 각 약물은 작용 기전, 효과, 부작용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2. 2. 1. 벤즈아미드 계열

아미설프라이드는 고용량(400mg 초과)으로 처방될 경우 양성 및 음성 증상이 동시에 혼재된 경우에 효과적이다.[460] 저용량에서는 도파민 자가수용체에 작용하여 도파민 전달을 증가시켜 정신분열증의 음성 증상을 개선하며, 지속성 우울 장애 및 사회 불안 장애에도 사용된다.[159]

네모나프라이드는 일본에서 사용되며, 도파민 D2, D3, D4 수용체를 억제하여 항환각, 항망상 작용을 가지며 부작용도 약하다.

레목시프라이드는 재생 불량성 빈혈 위험으로 시장에서 철수되었으며, 고프로락틴혈증추체외로 증상 발생 가능성이 낮다.[159]

설토프라이드는 1976년 사노피-아벤티스에서 출시되었으며, 유럽, 일본, 홍콩 등에서 사용된다. 선택적 D2 및 D3 수용체 길항제로 작용한다.

설피리드는 도파민 D3 수용체를 강하게 억제하여 각성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정신 활동 억제 작용이 거의 없으며, 추체외로 장애도 극히 드물다. 환각, 망상 억제 효과와 탈억제 작용이 강하며, 스트레스성 위궤양, 우울증, 신경증에도 사용된다.

술토프리드는 강력한 진정 작용을 가지며, 추체외로 장애가 강해 조증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2. 2. 2. 디벤조티아제핀 계열

아스트라제네카사의 서방형 조현병 치료제 '쎄로켈 XR'(푸마르산 쿠에티아핀)은 젤매트릭스 제법으로 약물이 서서히 흡수되어, 하루 한 번 복용으로 체내 약물 농도를 유효 범위 내에서 유지할 수 있다.[460] 이는 성인의 주요 우울 장애 치료를 위한 부가 요법제로 승인되었다.[460]

2. 2. 3. 기타

일본 오츠카제약이 1988년 발견한 아리피프라졸(에빌리파이)은 도파민 부분 효능제(Dopamine Partial Agonist)로, 조현병의 발병 원인으로 알려진 도파민 분비량의 불균형을 완화시켜 준다.[460] 기존 조현병 치료제와 달리 도파민 D2 수용체에 부분적으로 작용하여 도파민 과다 분비 시에는 길항제로, 부족 시에는 효능제로 작용하여 양성 및 음성 증상을 모두 개선한다.[460]

아리피프라졸은 기존 치료제에서 발생하던 고프로락틴혈증 등의 추체외로계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운동 및 대사 장애와 같은 추체외로 증상(EPS) 부작용도 현저히 낮아 장기 복용에 적합하다.[460]

오츠카제약은 아리피프라졸의 정신분열병 적응증 취득을 시작으로, 양극성 장애 관련 급성 조증 및 혼재성 삽화, 주요 우울 장애 치료의 부가 요법제 등으로 적응증을 확대했다. 또한, 대한민국 내 소아 및 청소년 대상 임상시험을 통해 뚜렛 장애까지 적응증을 확대하여 다양한 정신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했다.[460]

2. 3. 3세대 항정신병제

도파민 D2 수용체 부분 작용제로서, 1세대 및 2세대 항정신병제와는 다른 작용 기전을 가진다. 3세대 항정신병제는 2세대(비정형) 항정신병제의 D2 수용체 및 5HT-2A 수용체 길항 작용, 그리고 1세대(전형적) 항정신병제의 D2 길항 작용과는 반대로 D2 수용체 부분 작용을 보인다.[162][163]

일본 오츠카제약이 1988년 발견한 아리피프라졸(Abilify)은 도파민 분비량의 불균형을 완화시켜주는 도파민 부분 효능제(Dopamine Partial Agonist)이다. 아리피프라졸은 도파민이 과도하게 분비된 상태에서는 도파민 농도를 낮추는 길항제로, 도파민 분비량이 부족한 상태에서는 도파민 효능제로 작용하여 도파민의 비정상적인 분비로 인한 조현병의 양성 및 음성 증상을 동시에 개선시킨다. 기존 조현병 치료제들이 도파민을 억제하여 발생했던 고프로락틴 혈증 등의 추체 외로계 부작용은 도파민 분비량을 안정화해 주면서 최소화할 수 있다. 아리피프라졸은 운동 및 대사 장애와 같은 추체 외로계 장애(EPS) 등 부작용이 현저히 낮고, 장기 복용에 적합하여 내약성이 우수하다. 오츠카제약은 아리피프라졸의 제조사로, 정신분열병에 대한 적응증 취득을 시작으로 양극성 장애, 주요 우울 장애 치료의 부가 요법제에 대한 적응증을 취득하였다. 또한, 뚜렛 장애까지 적응증을 확대하여 다양한 정신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하였다.

3세대 항정신병제는 다음과 같다.

  • 아리피프라졸(Abilify) - D2 수용체의 부분 효능제. 전형적인 3세대 항정신병 약물로 간주된다.[165]
  • 아리피프라졸 라우록실(Abilify Maintena) – 주사용 아리피프라졸의 장기 지속형 제제.
  • 브렉스피프라졸(Rexulti) – D2 수용체의 부분 효능제. 아리피프라졸의 후속 약물.
  • 브릴라록사진 – D2/3/4 및 5-HT1A 부분 효능제이며 5-HT2A/2B/7 길항제
  • 카리프라진(Vraylar, Reagila) – D3를 선호하는 D2/3 부분 효능제.
  • 자노멜린/트로스피움 클로라이드(Cobenfy)
  • 루마테페론(Caplyta) – 2019년 12월, 시냅스 전 D2 수용체 부분 작용제이자 시냅스 후 D2 수용체 길항제인 루마테페론은 성인 조현병 치료를 위해 미국에서 최초로 승인을 받았다.[164] 2020년과 2021년에는 단독 요법으로, 또는 리튬이나 발프로에이트와 병용 요법으로 성인의 양극성 I 또는 II 장애와 관련된 우울 에피소드에 대해 FDA의 승인을 받았다.

3. 의학적 용도

항정신병제제는 다음과 같은 질환에 처방된다.


  • 조현병[3]
  • 분열정동장애: 우울형의 경우 항우울제와 함께, 양극성형의 경우 기분 안정제와 함께 사용된다. 항정신병제제는 기분 안정 효과가 있어 기분 조절 장애를 치료하는 단독 약물로 사용될 수 있다.
  • 양극성 장애: 급성 조증 및 혼재 삽화의 경우, 전형적 항정신병제제 또는 비정형 항정신병제제로 치료할 수 있지만, 비정형 항정신병제제가 더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비정형 항정신병제제는 일반적으로 더 유리한 부작용 프로파일을 가지며,[95] 최근 메타 분석에 따르면, 조증에서 우울증으로의 전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더 낮다.[14]
  • 정신병적 우울증: 이 경우 정신과 의사는 비정형 항정신병제제와 항우울제를 병용 처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증거에 의해 가장 잘 뒷받침되는 치료법이다.[2]
  • 치료 저항성 우울증: 표준 항우울제 치료의 보조 요법으로 사용된다.[2]


치매와 관련된 행동 문제를 치료할 수 있는 옵션이 제한적이므로, 항정신병제제를 사용하기 전에 다른 약리학적 및 비약리학적 중재를 시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항정신병제제의 부작용 위험과 잠재적 이점, 대체 중재의 부작용, 환자의 행동이 안전하지 않게 될 때 개입에 실패할 위험을 비교하여 위험-대비 이익 분석을 수행한다.[15] 불면증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 항정신병제제는 1차 치료법으로 권장되지 않는다.[15] 소아에서 항정신병제제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근거 기반 적응증(예: 틱 장애, 양극성 장애, 정신병)이 있지만, 그러한 상황 외에서 항정신병제제를 사용하는 것(예: 행동 문제 치료)은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다.[15]

항정신병제제는 뚜렛 증후군과 관련된 틱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16] 아리피프라졸은 비정형 항정신병제제로, 여성의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항우울제의 증상인 성 기능 장애를 완화하기 위한 부가 약물로 사용된다.[17] 쿠에티아핀은 범불안 장애를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18]

항정신병 약물 치료는 국립 보건 및 임상 우수 연구소(NICE),[19] 미국 정신 의학 협회,[20] 및 영국 정신 약물학 학회의 정신 분열증 치료 권고의 핵심 구성 요소이다.[21] 항정신병 약물 치료의 주요 목표는 망상과 환각을 포함하는 정신병의 양성 증상을 줄이는 것이다.[3] 항정신병 약물 사용이 주요 음성 증상(무관심, 감정적 둔감, 사회적 상호 작용에 대한 관심 부족 등) 또는 인지 증상(기억력 감퇴, 계획 및 실행 능력 감소)에 미치는 상당한 영향에 대한 근거는 혼재되어 있다.[22][23] 일반적으로, 양성 증상을 줄이는 항정신병 약물 치료의 효과는 기저 증상의 심각성과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24]

정신 분열증 치료에 항정신병 약물의 적용에는 정신병 발병 위험이 높은 증상을 보이는 사람에 대한 예방, 첫 번째 에피소드 정신병 치료, 유지 치료(예방의 한 형태, 유지 치료는 치료적 이점을 유지하고 증상 재발을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함), 재발성 급성 정신병 에피소드 치료 등이 있다.[3][2]

항정신병제제는 도파민 길항제로, 주요 작용은 뇌내 신경 전달 물질인 도파민의 차단이다. 주로 중뇌 변연계도파민 작용성 뉴런의 도파민 D2 수용체를 차단하여 망상이나 환각과 같은 정신 증상을 경감시킨다.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연구를 통해 고프로락틴혈증이나 추체외로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보다 적은 양으로 유효한 반응이 나타나는 것이 밝혀졌다.[378]

비정형 항정신병약인 에빌리파이(아리피프라졸), 지프렉사(올란자핀), 세로켈(퀘티아핀), 리스페달(리스페리돈)은 적응 외 사용의 불법적인 마케팅에 대해 벌금 최고액을 경신하고 있다.[441]

4. 부작용

항정신병제는 1세대 항정신병제(정형적 항정신병제)와 2세대 항정신병제(비정형적 항정신병제)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제제는 서로 다른 부작용을 나타낸다. 1세대 항정신병제는 추체외로 증상(EPS) 및 고프로락틴혈증을, 2세대 항정신병제는 체중 증가 및 대사 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0] 약을 줄여가면서 나타날 수 있는 일시적인 금단 증상으로는 불면증, 불안, 정신증 및 추체외로계 장애 등이 있으며,[461][462] 이러한 증상들 때문에 환자와 보호자들이 기저 증상이 재발하는 것으로 오해하기도 한다.

항정신병 약물의 부작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항정신병제는 치매 환자의 조기 사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133] 장기 복용 시 뇌 용적 감소와 관련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333] 또한, 항정신병제 사용과 유방암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다.[126]

4. 1. 일반적인 부작용

일반적으로, 부작용 증가로 인해 한 번에 두 가지 이상의 항정신병 약물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107] 일부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상당한 체중 증가, 당뇨병 및 대사 증후군의 위험과 관련이 있다.[108] 원치 않는 부작용은 사람들이 치료를 중단하게 하여 재발을 초래한다.[109] 리스페리돈(비정형)은 할로페리돌(전형)과 유사한 추체외로 증상 발생률을 보인다.[108]

드물지만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질환인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NMS)이 항정신병 약물 사용과 관련이 있다. 조기 인지와 적절한 개입을 통해 발생률이 감소했지만, 개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 증후군에 대한 인식이 권장된다.[110] 또 다른 드문 질환인 지연성 운동 이상증은 항정신병 약물을 장기간 사용한 결과로 수개월 또는 수년 후에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전형적인 항정신병 약물 사용 시 더 자주 보고된다.[111] 매우 드물게 항정신병 약물은 지연성 정신병을 유발할 수 있다.[112]

클로자핀은 체중 증가, 피로, 과다 타액 분비와 같은 부작용과 관련이 있으며, 더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발작, NMS, 호중구 감소증 및 무과립구증(낮은 백혈구 수치)이 있으며, 사용 시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113][114] 클로자핀은 또한 혈전 색전증(폐색전증 포함), 심근염심근병증과 관련이 있다.[115][116] 클로자핀 관련 폐색전증에 대한 체계적 검토에 따르면 이 부작용은 종종 치명적일 수 있으며, 조기에 발병하고 용량 의존적이다. 이 연구 결과는 클로자핀 치료 시작 후 정맥 혈전 색전증 예방 치료를 고려하고 이를 6개월 동안 지속할 것을 권고했다.[116] 변비는 클로자핀 사용 시 3배 더 자주 발생하며, 심각한 경우에는 회장 및 장 허혈로 이어져 많은 사망자를 낳을 수 있다.[113]

그러나 클로자핀으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의 위험은 낮으며, 자살 및 공격성의 위험 감소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118][119] 전형적인 항정신병 약물과 비정형 리스페리돈은 성기능 장애라는 부작용을 가질 수 있다.[120] 클로자핀, 올란자핀 및 퀘티아핀은 다양한 정신 요법의 도움을 받아 성기능에 유익한 효과를 보인다.[121]

'''일반적인 (대부분의 항정신병 약물에서 1% 이상 50% 이하의 발생률) 항정신병제의 부작용'''[122]은 다음과 같다.

  • 불쾌감 및 무관심(도파민 수용체 차단으로 인해)
  • 진정(특히 아세나핀, 클로자핀, 올란자핀, 퀘티아핀, 클로르프로마진 및 조테핀에서 흔함)[2]
  • 두통
  • 어지럼증
  • 설사
  • 불안
  • 추체외로 부작용(특히 1세대 항정신병제에서 흔함)
  • * 종종 괴로운 내적 불안감을 느끼는 정좌불능증
  • * 비정상적인 근육 수축인 근육긴장 이상
  • * 가성 파킨슨증, 떨림 및 침 흘림을 포함하여 파킨슨병 환자가 경험하는 증상과 유사함
  • 고프로락틴혈증(클로자핀, 퀘티아핀 및 아리피프라졸 치료 환자에게 드물게 발생)[2]
  • * 유즙의 비정상적인 분비인 유루증
  • * 유방 조직의 비정상적인 성장인 여성형 유방증
  • * 성기능 장애(남녀 모두)
  • * 골다공증
  • 기립성 저혈압
  • 체중 증가(특히 클로자핀, 올란자핀, 퀘티아핀 및 조테핀에서 두드러짐)[2], 메트포르민으로 약물 시작 시 완화 가능[123][124]
  • 항콜린성 부작용(올란자핀, 클로자핀에 흔함; 리스페리돈에서는 덜 나타남)[125]
  • * 시야 흐림
  • * 변비
  • * 구강 건조증(타액 과다 분비가 발생할 수도 있음)
  • * 땀 감소
  • 지연성 운동 이상증은 할로페리돌과 같은 고효능 1세대 항정신병제에서 더 자주 나타나며, 급성 치료가 아닌 만성 치료 후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느리고(따라서 "지연성") 반복적이며, 불수의적이고 목적 없는 움직임(주로 얼굴, 입술, 다리 또는 몸통)으로 특징지어지며, 치료에 저항하는 경향이 있고 종종 되돌릴 수 없다. TD의 발생률은 항정신병 약물을 사용한 매년 약 5%이다(사용된 약물에 관계없이).
  • 유방암: 2백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관찰 연구의 체계적인 검토 및 메타 분석 결과, 항정신병제 사용과 유방암 사이에 30% 이상의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126]


'''드문/흔하지 않은 (대부분의 항정신병 약물에서 1% 미만의 발생률) 항정신병제의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 혈액 질환(예: 무과립구증, 백혈구 감소증 및 호중구 감소증), 클로자핀을 복용하는 환자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남.
  • 대사 증후군제2형 당뇨병과 같은 기타 대사 문제 — 특히 클로자핀, 올란자핀 및 조테핀에서 흔함. 미국 연구에 따르면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27] 증거에 따르면 여성은 남성보다 1세대 항정신병제의 대사 부작용에 더 민감하다.[128] 대사 부작용은 히스타민 H1 및 세로토닌 5-HT2C 수용체 길항작용[2] 및 아마도 중추 신경계의 다른 신경 화학적 경로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보인다.[129]
  •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상태
  • * 자율 신경 불안정, 빈맥, 메스꺼움, 구토, 발한 등으로 나타날 수 있음
  • * 고열 — 체온 상승.
  • * 정신 상태 변화(혼란, 환각, 혼수 등)
  • * 근육 강직
  • * 실험실 이상(예: 크레아틴 키나아제 상승, 철분 혈장 수치 감소, 전해질 이상 등)
  • 췌장염[130]
  • QT 간격 연장 — 아미설프리드, 피모지드, 서틴돌, 치오리다진 및 지프라시돈으로 치료받는 환자에서 더 두드러짐.[2]
  • Torsades de pointes
  • 발작, 특히 클로르프로마진 및 클로자핀으로 치료받는 사람들에게서 발생.
  • 혈전색전증
  • 심근 경색
  • 뇌졸중
  • 피사 증후군


여러 연구에서 항정신병제 사용이 평균 수명 감소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319][320]

2005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비정형 항정신병약이 고령의 치매 환자의 사망률을 1.6~1.7배 높이기 때문에 경고를 발표했다.[321] FDA는 포장에 해당 경고 문구를 추가했다.[348] 특히 치매 환자의 경우 투여를 시작한 직후 사망 위험이 높다.[322] 일본의 첨부 문서에도 자살 관련 기왕력이 있는 환자에 대해 악화될 수 있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2018년 체계적 문헌고찰은 352건의 무작위 비교 시험을 분석하여 전체 사망률에 차이가 없어 정신분열증에서는 사망률 증가가 없다고 결론 내렸지만, 치매나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면 사망률 증가가 인정되었다.[323] 고령자의 경우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투여 후 첫 30일 동안 심장 발작 위험이 2.19배, 60일에는 1.62배, 90일에는 1.36배, 1년에는 1.15배 증가한다.[324]

4. 2. 드물지만 심각한 부작용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NMS)은 항정신병 약물 사용과 관련된 드물지만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질환이다. 조기 인지와 적절한 개입을 통해 발생률을 줄일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이 증후군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110] 지연성 운동 이상증은 항정신병 약물을 장기간 사용한 결과로 수개월 또는 수년 후에 발생할 수 있는 또 다른 드문 질환이며, 전형적인 항정신병 약물 사용 시 더 자주 보고된다.[111] 매우 드물게 항정신병 약물은 지연성 정신병을 유발할 수 있다.[112]

클로자핀발작, NMS, 호중구 감소증 및 무과립구증(낮은 백혈구 수치)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사용 시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113][114] 또한 혈전 색전증(폐색전증 포함), 심근염, 심근병증과 관련이 있으며,[115][116] 클로자핀 관련 폐색전증은 조기에 발병하고 용량 의존적이며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클로자핀 치료 시작 후 6개월 동안 정맥 혈전 색전증 예방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116] 변비는 클로자핀 사용 시 3배 더 자주 발생하며, 심각한 경우 회장 및 장 허혈로 이어져 사망에 이를 수 있다.[113] 매우 드문 클로자핀 부작용으로는 눈 주위 부종이 있다.[117]

항정신병제는 치매 환자의 조기 사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133] 2005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비정형 항정신병약이 고령의 치매 환자의 사망률을 1.6~1.7배 높인다고 경고했다.[321] FDA는 포장에 해당 경고 문구를 추가했으며,[348] 특히 치매 환자의 경우 투여를 시작한 직후 사망 위험이 높다.[322] 고령자에서는 정형 또는 비정형 항정신병제제 모두 폐렴의 위험성을 높이며, 특히 비정형에서는 치명적인 폐렴의 위험성이 약 6배이다.[325]

4. 3. 장기적인 영향

일반적으로 부작용 증가 우려 때문에 한 번에 두 가지 이상의 항정신병 약물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107] 일부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체중 증가, 당뇨병, 대사 증후군의 위험을 높인다.[108] 이러한 부작용은 환자들이 치료를 중단하게 만들어 재발을 초래하기도 한다.[109] 리스페리돈(비정형)은 할로페리돌(전형)과 유사한 추체외로 증상 발생률을 보인다.[108]

드물지만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NMS)이 항정신병 약물 사용과 관련되어 있다. 조기 인지와 적절한 개입으로 발생률이 감소했지만, 여전히 주의가 필요하다.[110] 항정신병 약물을 장기간 사용하면 수개월 또는 수년 후에 지연성 운동 이상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전형적인 항정신병 약물에서 더 자주 보고된다.[111] 매우 드물게 항정신병 약물은 지연성 정신병을 유발할 수 있다.[112]

클로자핀은 체중 증가, 피로, 과다 타액 분비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더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발작, NMS, 호중구 감소증, 무과립구증(낮은 백혈구 수치) 등이 있어 사용 시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113][114] 클로자핀은 혈전 색전증(폐색전증 포함), 심근염, 심근병증과도 관련이 있다.[115][116] 클로자핀 관련 폐색전증은 조기에 발병하고 용량 의존적이며 치명적일 수 있어, 치료 시작 후 6개월 동안 정맥 혈전 색전증 예방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116] 변비는 클로자핀 사용 시 3배 더 자주 발생하며, 심각한 경우 회장 및 장 허혈로 이어져 사망에 이를 수 있다.[113] 클로자핀의 매우 드문 부작용으로는 눈 주위 부종이 있다.[117]

그러나 클로자핀으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의 위험은 낮으며, 자살 및 공격성 감소와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118][119] 전형적인 항정신병 약물과 비정형 리스페리돈은 성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120] 반면 클로자핀, 올란자핀, 쿠에티아핀은 정신 요법과 함께 사용하면 성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기도 한다.[121]

''영국 약품집''은 급성 금단 증후군이나 급격한 재발을 피하기 위해 항정신병 약물을 중단할 때 점진적인 중단을 권장한다.[150] 금단 증상으로는 메스꺼움, 구토, 식욕 부진(거식증), 정신운동성 초조, 다한증(과도한 발한), 불면증(수면 장애), 현기증(세상이 빙빙 도는 느낌), 무감각, 근육통 등이 있다.[151]

항정신병 약물 중단이 정신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증거가 있으며, 치료받던 질환이 재발할 수도 있다.[152][153] 드물게 약물 중단 시 지연성 운동 이상증이 발생할 수 있다.[151] 지연성 운동 이상증은 항정신병 약물 중단 중에 완화될 수도 있지만, 지속될 수도 있다.[155]

한 항정신병 약물에서 다른 약물로 변경할 때 콜린성 반동, 활성화 증후군, 운동 이상증 등의 금단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은 급격한 변화 중에 더 자주 발생하므로, 점진적인 변경을 통해 최소화해야 한다.[156] ''영국 약품집''은 급성 금단 증상이나 급격한 재발을 피하기 위해 점진적인 용량 감소를 권장한다.[157]

2005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비정형 항정신병약이 고령의 치매 환자의 사망률을 1.6~1.7배 높인다는 경고를 발표했다.[321] FDA는 포장에 해당 경고 문구를 추가했으며,[348] 특히 치매 환자의 경우 투여 시작 직후 사망 위험이 높다.[322] 일본의 첨부 문서에도 자살 관련 기왕력이 있는 환자에 대해 악화될 수 있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2018년 체계적 문헌고찰에서는 정신분열증 환자에게는 사망률 증가가 없지만, 치매나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면 사망률 증가가 나타난다고 결론 내렸다.[323]

2011년 연구에서는 항정신병 약물로 치료받은 조현병 환자에게서 뇌 조직의 미미한 감소가 보고되었다.[326][327] 뇌 용적은 질병 이환 기간 및 항정신병 약물 투여량과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이 연구 결과는 항정신병 약물 사용 중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최소량 처방, 비약리학적 방법 추가, 환자별 이점 및 유해 영향 모니터링의 중요성을 강조한다.[326][328][329][330] 원숭이 실험에서는 항정신병 약물의 지속적인 사용이 뇌 전체 용적의 10% 감소를 유발했다.[331]

2012년 메타 분석에서는 뇌 영상 연구의 75%에서 용적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항정신병 약물 치료 환자에게서 더 두드러졌다.[332] 2017년 메타 분석에서는 항정신병 약물과 뇌 변화에 대한 연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지만,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333]

항정신병 약물은 젊은 치매의 위험 인자 중 하나이다.[334]

4. 4. 금단 증상

항정신병 약물을 줄여가면서 나타날 수 있는 일시적인 금단 증상으로는 불면증, 불안, 정신증 및 추체외로계 장애가 있다.[461][462] 이러한 증상들 때문에 환자와 보호자들이 기저 증상이 재발하는 것으로 오해하여 정상적인 사회 복귀를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항정신병 약물의 대량 처방으로부터 감량하는 과정에서 과민성 정신병이라는 금단 증상으로 인해 정신 증상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310]

5. 작용 기전

할로페리돌클로르프로마진과 같은 항정신병제는 뇌의 도파민 경로에서 도파민 D2 수용체를 차단하여 해당 경로에서 방출되는 도파민의 효과를 감소시킨다.[166][167] 중변연계 경로에서 과도한 도파민 방출은 정신병적 경험과 관련이 있으며, 전전두피질에서 도파민 방출 감소 및 다른 경로에서의 과도한 도파민 방출은 조현병양극성 장애의 정신병적 에피소드와 관련이 있다.[166][167]

도파민 길항 작용 외에도, 항정신병제(특히 비정형 신경이완제)는 5-HT2A 수용체도 길항한다. 5-HT2A 수용체의 다양한 대립 유전자는 우울증을 포함한 조현병 및 기타 정신병과 관련이 있다.[168][169] 특히 오른쪽 꼬리핵을 포함한 피질 및 피질하 영역에서 더 높은 농도의 5-HT2A 수용체가 역사적으로 기록되었다.[168]

전형적인 항정신병제는 중피질 경로, 결절-깔때기 경로, 흑질-선조체 경로의 도파민 수용체도 차단한다. 이 다른 경로에서 D2 수용체를 차단하는 것은 전형적인 항정신병제가 유발할 수 있는 몇 가지 원치 않는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된다.[170] 이들은 저효능에서 고효능의 스펙트럼으로 분류되었으며, 여기서 효능은 약물이 도파민 수용체에 결합하는 능력을 나타낸다. 할로페리돌과 같은 고효능 항정신병제는 일반적으로 몇 밀리그램의 용량을 가지며, 클로르프로마진 및 티오리다진과 같은 저효능 항정신병제는 몇 백 밀리그램의 용량을 갖는다. 후자는 항콜린성 및 항히스타민성 활성이 더 커서 도파민 관련 부작용을 상쇄할 수 있다.[170]

비정형 항정신병제는 D2 수용체에 유사한 차단 효과를 나타내지만, 대부분 5-HT2A 및 5-HT2C 수용체를 포함한 세로토닌 수용체에도 작용한다. 클로자핀과 퀘티아핀은 항정신병 효과를 유발할 정도로만 충분히 오랫동안 결합하지만, 추체외로 부작용 및 고프로락틴혈증을 유도할 만큼 오래 지속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171] 5-HT2A 길항 작용은 흑질-선조체 경로에서 도파민성 활성을 증가시켜 비정형 항정신병제의 추체외로 부작용 위험을 낮춘다.[2][172]

정형 항정신병 약물의 치료 효과와 주요 부작용인 추체외로 증상은 도파민 D2 수용체의 약물 친화성과 상관관계가 있다. 정형 항정신병 약물의 도파민 D2 수용체 차단 작용은 중추 신경의 도파민 경로 전체에 미치지만, 중뇌 변연계와 중뇌 피질계에 대한 길항 작용이 주요 약리 작용으로 여겨진다. 중뇌 변연계의 차단 작용은 조현병의 양성 증상 개선에 효과가 있다. 또한 흑질선조체로 및 뇌하수체의 도파민 D2 수용체 차단으로 인해 약물성 파킨슨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한다. 음성 증상의 개선에는 세로토닌 계통의 관여 등이 시사되며, 정형 항정신병 약물로는 개선이 부족한 경향이 있다.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비해 도파민 D2 수용체에 대한 작용이 완화되어 있으며, 세로토닌 수용체나 도파민 D4 수용체, 도파민 D2 수용체의 해리 속도 등의 차이로 인해 더 높은 항정신병 작용을 가지며, 추체외로 장애, 고프로락틴혈증, 심혈관계 부작용도 적다. 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진정 작용이 강하기 때문에 섬망, 불안 치료 및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로 치료가 무효였던 경우에 사용된다. 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고역가 항정신병 약물과 저역가 항정신병 약물로 크게 나뉘며, 역가는 항정신병 작용의 강도를 의미한다. 고역가 항정신병 약물은 할로페리돌로 대표되는 부티로페논 계통이 중심이며, 저역가 항정신병 약물은 클로르프로마진으로 대표되는 페노티아진 계통이 중심이 된다. 고역가 약물은 저역가 약물에 비해 진정 작용과 기립성 저혈압의 부작용이 적고, 저역가 약물은 고역가 약물에 비해 추체외로 증상이 적은 경향이 있다. 이는 도파민 D2 수용체와의 친화성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고역가 약물은 도파민 D2 수용체에 대한 선택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추체외로 증상이 나타나기 쉽고, 저역가 약물은 도파민 D2 수용체 선택성이 낮아 무스카린 수용체 및 아드레날린 α수용체에도 비특이적인 결합을 일으켜 항콜린 작용 및 항아드레날린 작용을 일으키기 쉽다.

신경 세포의 네트워크가 신경계의 기능적 단위를 형성하는 구조는 장경로형, 국소 회로형, 단일 기원 발산형의 세 가지 패턴만 존재한다. 말초 신경은 장경로형만 사용되고, 중추 신경에서는 세 가지 형태가 모두 사용된다.

; 장경로형

: 말초 신경의 감각 및 운동 경로는 매우 유명하다. 운동기 및 말초 수용체와 중추 신경을 비교적 단순한 신경 회로로 연결하며, 정보 통합 및 수정은 극히 적다. 자율 신경의 경우 하나의 절전 섬유가 여러 절후 섬유와 연결되어 발산형 신호 전달을 한다. 발산형 신호 전달에서는 정보 가공 및 수정이 추가되는 경우가 많지만, 자율 신경계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중추 신경에서의 장경로형 뉴런은 정보 통합 및 수정을 수행한다. 상류로부터 다수의 연결을 받아 수렴형 신호 전달을 하면서 하류로도 다수의 연결이 있어 발산형 신호 전달을 한다. 이 때문에 중심 주변형 신호 전달이라고도 한다. 시상의 감각 뉴런은 말초에서 전신으로부터의 감각 정보를 받아 중심후회의 특정 부위만을 흥분시키고, 더 나아가 그 주변 부위를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 국소 회로형

: 국소 회로형은 주로 인접한 영역 내부의 뉴런 연결을 유지하며, 일반적으로 신호 전달의 조절에 관여한다. 대뇌 피질에 매우 많이 존재하는 회로이다. 외측 슬상체에서는 특정 발화 패턴에 대응하여 피질 영역을 흥분시키는 회로가 있다. 이로 인해 직선을 보았을 때, 직선을 인식하는 피질 영역이 흥분하고, 직선으로 인지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단일 발산형

: 뇌간, 시상하부, 전뇌 기저부에 존재하는 신경핵에서는 단일 신경핵에 기시하는 여러 뉴런이 다수의 표적 세포를 신경 지배하여 단일 기원 발산형의 신경 회로를 구축한다. 광범위계의 구축이라고도 한다. 주로 G 단백질 결합형 수용체에 작용하는 생체 아민을 이용하여 조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기시신경 전달 물질기능
중뇌 흑질도파민목적 있는 운동, 감정, 사고, 기억 축적
교 청반핵노르에피네프린각성 및 뜻밖의 자극에 대한 응답
뇌간 봉선핵세로토닌통각, 기분, 대뇌 피질의 응답성
마이넬트 기저핵아세틸콜린각성
다리뇌개핵아세틸콜린수면 각성 주기
시상하부 융기유두체핵히스타민전뇌의 부활 작용



많은 정신과 약물이 비특이적인 수용체 결합으로 약리 활성을 가지므로, 광범위계가 관여한다고 생각되는 수많은 약리 작용이 인정된다. 최근 많은 항정신병약이 기분에 관여한다고 생각되는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에 대한 영향이 인정되므로 과거에는 항정신병약은 조현병 치료제로서의 측면이 강조되었지만 우울증, 신경증과 같은 수많은 질환에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단일 발산형의 신경 회로에 작용하는 약물 외에 중추 신경 세포의 활동을 직접 변화시키는 약물 치료도 존재한다. 중추 신경계에서는 흥분 아미노산인 글루탐산, 억제 아미노산인 γ-아미노부티르산 (GABA)이 유명하다. GABA 수용체에 작용하는 약물로서 항간질약 및 항불안제 (대부분은 벤조디아제핀 계열)도 병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Na 채널에 작용하는 항간질약으로 페니토인(상품명 아레비아친) 및 발프로산(상품명 데파켄), 카르바마제핀(상품명 테그레톨) T형 칼슘 채널에 작용하는 약물로서 발프로산(상품명 데파켄)도 병용되는 경우가 있다.

할로페리돌은 NMDA 수용체 길항제로 작용한다. IC50은 2µM이며 최대 80%를 억제한다[425]

6. 논란 및 사회적 측면

항정신병제는 때때로 강제 입원 또는 외래 환자 치료 명령을 통해 강제 정신과 치료의 일부로 투여된다. 조앤나 몬크리프는 항정신병 약물 치료가 종종 환자가 겪는 특정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수단보다는 통제의 수단으로 사용된다고 주장했다.[294]

항정신병제 계열 약물 사용은 시설 관리에서 비판받아 왔다. 사용되는 약물이 환자를 더 차분하고 순응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비평가들은 약물이 과도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외부 의사들은 요양원 직원들로부터 압력을 느낄 수 있다.[295] 영국 정부 장관들이 의뢰한 공식 검토에서 치매 치료에서 불필요한 항정신병 약물 사용이 광범위하며 연간 1,800명의 사망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다.[296][297] 미국에서는 정부가 제약 회사 존슨앤드존슨을 상대로 요양원에서 항정신병 약물 리스페리돈을 홍보하기 위해 리베이트를 옴니케어에 지급했다는 혐의로 소송을 제기했다.[298]

정신 분열증 유지 요법에는 반론이 있다.[434][436] 유지 요법에 관한 연구를 검토한 결과, 장기간의 항정신병 약물 치료는 위약보다 정신 분열증 환자의 재발을 감소시키는 데 우수하다고 결론지었지만, 일부 연구는 소규모였다.[435] 북미에서의 대규모 횡단 연구를 검토한 결과, 상당수의 정신 분열증 환자가 증상으로부터 자연스럽게 회복된 것으로 보이며, 일부 환자는 유지 투약이 필요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밝혔다.[436] 또한, 장기적인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유지 관리의 많은 연구에는 재발률에 대한 항정신병 약물의 금단 증상의 역할을 고려하지 않은 것에 기인하는 결함이 있을 수 있다고 논의되고 있다.[355]

항정신병 약물 사용이 뇌 용적을 감소시키는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333] 항정신병 약물 사용은 젊은 치매 발병의 위험 인자이다.[334]

2006년, 알래스카 주 대법원은 항정신병 약물에 관한 소송 판결문에서, "정신 약물은 환자의 심신에 중대하고 영구적인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많은 파괴적인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라고 설명했다.[445]

6. 1. 과잉 처방

항정신병제제는 한때 모든 의약품 중 가장 많이 판매되고 수익성이 높은 약물 중 하나였으며, 2008년에 전 세계적으로 220억달러의 매출을 올렸다.[285] 2003년 미국에서 약 321만 명의 환자가 항정신병제제를 처방받았으며, 이는 약 28.2억달러의 가치에 해당한다. 처방전의 2/3 이상이 새롭고 더 비싼 비정형 항정신병제제였으며, 각 약품의 연간 평균 비용은 164USD인 반면, 구형 제제의 경우 40USD였다.[286] 2008년 미국 내 매출은 146억달러에 달해 치료 계열별로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약물이 되었다.[287]

2017년 7월 이후 5년 동안 영국에서 지역사회에 처방된 항정신병제제의 수가 11.2% 증가했다. 또한 가격도 상당히 상승했다. 리스페리돈 6mg 정제의 경우, 2017년 7월 3.09GBP에서 2022년 6월 41.16GBP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NHS는 항정신병제제에 연간 3300만파운드를 추가로 지출하고 있다. 할로페리돌 500마이크로그램 정제가 이 중 1430만파운드를 차지했다.[288]

요양원 환자 집단에서 항정신병제제는 과다 처방되는 경우가 많으며, 종종 치매 환자를 다루기 쉽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미국 요양원에서 항정신병제제 사용을 줄이려는 연방 차원의 노력으로 인해 2012년 전국적으로 사용량이 감소했다.[289][290][291]

항정신병 약물의 과잉 처방이 문제시되고 있다. 투여량 증가에 따른 치료 효과는 정체되지만, 부작용 발현율은 상승하므로, 세계 보건 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세계 보건 기구영어) 및 영미의 진료 가이드라인에서는 단일 제제 요법을 권장한다. 일본에서도 2010년에 항정신병 약물의 종류가 2종류 이하인 경우에 진료 보수가 유리해지는 개정이 이루어졌다.[307] 후생노동성 자살·우울증 등 대책 프로젝트 팀이 "정신 분열증에 대한 항정신병 약물 다제 처방의 시정에 관한 가이드라인"의 제정을 계획하고 있으며,[308] 2013년 10월에 SCAP법이라는 감약 가이드라인이 공개되었다.[309] 항정신병 약물의 대량 처방으로부터의 감량은 과민성 정신병이라는 금단 증상에 의한 정신 증상의 악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310]

6. 2. 제약 회사의 마케팅

항정신병제제는 한때 모든 의약품 중 가장 많이 판매되고 수익성이 높은 약물 중 하나였으며, 2008년에 전 세계적으로 220억달러의 매출을 올렸다.[285] 2003년 미국에서 약 321만 명의 환자가 항정신병제제를 처방받았으며, 이는 약 28.2억달러의 가치에 해당한다. 처방전의 2/3 이상이 새롭고 더 비싼 비정형 항정신병제제였으며, 각 약품의 연간 평균 비용은 164USD인 반면, 구형 제제의 경우 40USD였다.[286] 2008년 미국 내 매출은 146억달러에 달해 치료 계열별로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약물이 되었다.[287]

2017년 7월 이후 5년 동안 영국에서 지역사회에 처방된 항정신병제제의 수가 11.2% 증가했다. 또한 가격도 상당히 상승했다. 리스페리돈 6mg 정제의 경우, 2017년 7월 3.09GBP에서 2022년 6월 41.16GBP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NHS는 항정신병제제에 연간 3300만파운드를 추가로 지출하고 있다. 할로페리돌 500마이크로그램 정제가 이 중 1430만파운드를 차지했다.[288]

제약 마케팅과 항정신병 약물 홍보에서 제약 회사의 역할에 대한 논란도 있었는데, 여기에는 부작용 축소 또는 은폐, 질환의 수 증가 또는 허가 외 사용 불법 홍보에 대한 의혹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비싸고 수익성이 높은 새로운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이 특허가 만료된 저렴한 구형 정형 항정신병 약물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약물 임상 시험(또는 그 출판)에 영향을 미쳤다는 의혹도 있다. 불법 마케팅 혐의에 따라, 미국에서 두 개의 대형 제약 회사가 합의한 내용은 기업에 부과된 사상 최대의 형사 벌금 기록을 세웠다.[299] 한 사건은 일라이 릴리 앤 컴퍼니의 항정신병 약물 자이프렉사와 관련이 있었고, 다른 하나는 벡스트라와 관련이 있었다. 벡스트라 사건에서 정부는 또한 화이자를 또 다른 항정신병 약물 게오돈의 불법 마케팅 혐의로 기소했다.[299] 또한 아스트라제네카는 세로켈(쿠에티아핀)의 이전 사용자들로부터 수많은 개인 상해 소송에 직면해 있다.[300] 아스트라제네카의 세로켈과 일라이 릴리의 자이프렉사는 적응증을 확대함으로써 2008년 가장 많이 팔린 항정신병 약물이 되었으며, 각각 55억달러와 54억달러의 세계 판매량을 기록했다.[285]

하버드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조셉 비더만은 아동의 양극성 장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그러한 진단이 증가했다. 2008년 조사에서 비더만이 2000년부터 2007년 사이에 항정신병 약물 제조업체를 포함한 회사들로부터 160만달러의 강연 및 컨설팅 수수료를 받았으며, 그 중 일부는 하버드에 공개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존슨앤드존슨은 비더만이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이끌었던 연구 센터에 70만달러 이상을 기부했으며, 이 센터에서는 부분적으로 회사의 항정신병 약물인 리스페달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비더만은 돈이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특정 진단이나 치료를 홍보하지 않았다고 응답했다.[299]

제약 회사들은 또한 소비자 옹호 단체에 자금을 지원하는 것과 같은 활동을 통해 정신 건강 어젠다를 설정하려 했다는 비난을 받았다.[301]

자이프렉사(올란자핀)는 1996년에 시장에 출시되었지만, 복용 후 당뇨병이나 다른 질병에 걸렸다는 소송이 제기되어 2005년에는 8,000건의 소송에 대해 7억달러, 2007년에는 18,000건의 소송에 대해 5억달러를 지불했다.[440]

각 제약 회사는 허가 외 사용을 권장하는 불법적인 마케팅으로 사상 최고액의 벌금을 갱신하고 있다.[441] 많은 경우 사망 위험을 높인다는 증거가 있음에도 고령자에게 판매를 촉진하거나, 허가 외 소아에게, 또는 조현병이나 양극성 장애 이외의 승인되지 않은 용도로 불법적인 마케팅을 했다.

2007년에는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는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인 아빌리파이(아리피프라졸)의 승인되지 않은 소아에 대한 사용과, 치매 환자에게는 치명적인 부작용이 있다는 블랙 박스 경고를 고려하지 않은 불법적인 마케팅으로 5.15억달러의 벌금이 부과되었다.[441][446]

2009년, 일라이 릴리 앤 컴퍼니는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지프렉사(올란자핀)에 대해 체중 증가 등의 부작용 정보를 고지하지 않고, 또한 정량으로 사망 위험을 높이는 노인에 대한 수면제로서의 이용을 권장하는 등의 불법적인 마케팅으로 14억달러의 벌금이 부과되었다.[441][447]

2009년, 화이자지프라시돈의 허가 외 용도 마케팅으로 3.01억달러의 벌금이 부과되었다.[448]

2010년, 아스트라제네카는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세로켈(쿠에티아핀)을 고령자나, 사망 위험을 높이는 소아에게 허가 외 불법 마케팅을 하여 5.2억달러의 벌금이 부과되었다.[441][449]

2012년, 존슨앤존슨은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리스페달(리스페리돈)의 소아나 고령자에 대한 허가 외 마케팅 및 약물이 체중 증가와 당뇨병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데이터 은폐, 또한 다른 약물의 불법 마케팅으로 계류 중이며, 15억달러~20억달러가 부과될 것으로 예상된다.[441] 리스페달을 처방할 때마다 5,000달러의 벌금으로 계류 중이다.[450]

7. 주요 개발사

클로르프로마진은 1950년대에 개발된 1세대 항정신병제제이다.[460] 이후, 비정형적 항정신병제제라고 불리는 2세대 항정신병제제가 개발되었다. 주요 개발사와 제품은 다음과 같다.



오츠카 제약이 개발한 3세대 항정신병제제 중 하나인 '아빌리파이(아리피프라졸)'는 도파민 부분 효능제(Dopamine Partial Agonist)로 작용하여 조현병 치료에 사용된다.[460] 2002년 미국 발매를 시작으로 전 세계적으로 처방되고 있으며, 조현병 치료제 중 매출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Pharmacology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9
[2] 논문 The assessment of thiothixene in chronic schizophrenia. A double-blind controlled trial. https://pubmed.ncbi.[...] 1975
[3] 논문 Comparing 1-year effectiveness and acceptability of once-monthly paliperidone palmitate and aripiprazole monohydrate for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Findings from the STAR Network Depot Study 2022-03
[4] 논문 Antipsychotic medication in schizophrenia: a review 2015-06
[5] 논문 Bipolar disorder 2016-04
[6] 논문 Long-term antipsychotic treatment and brain volumes: a longitudinal study of first-episode schizophrenia 2011-02
[7]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s of antipsychotic drugs on brain volume 2010-09
[8] 문서 please see Chopra et al 2021: Strengths and limitations "only examined [[risperidone]] and [[paliperidone]]"
[9] 문서 please see Chopra et al 2021: Method Study design
[10] 문서 please see Chopra et al 2021: Introduction, 3rd paragraph, Lieberman JA, et al. 2005 & Shao Y et al 2015, and Chopra et al: Are antipsychotics neuroprotective? 1st paragraph last sentence
[11] 논문 Differentiating the effect of antipsychotic medication and illness on brain volume reductions in first-episode psychosis: A Longitudinal, Randomised, Triple-blind, Placebo-controlled MRI Study 2021-07
[12] 논문 A history of antipsychotic drug development 1999-12
[13] 논문 Molecular targets of atypical antipsychotics: From mechanism of action to clinical differences 2018-12
[14] 논문 Lower rate of depressive switch following antimanic treatment with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s versus haloperidol 2013-01
[15] 웹사이트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Five Thing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Question http://www.choosingw[...] 2013-09-23
[16] 논문 The role of atypical antipsychotics for treatment of Tourette's syndrome: an overview 2014-07
[17] 논문 Women's sexual dysfunction associated with psychiatric disorders and their treatment 2018-01-01
[18] 논문 A literature review of quetiapine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2015-02
[19] 웹사이트 Psychosis and schizophrenia in adults (CG178) http://guidance.nice[...] 2014-02-12
[20] 웹사이트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ractice Guidelines https://psychiatryon[...]
[21] 논문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the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schizophrenia: recommendations from the British Association for Psychopharmacology 2011-05
[22] 논문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schizophrenia: a critical review of the pharmacology and clinical effects of current and future therapeutic agents 2012-12
[23] 논문 Antipsychotics in adults with schizophrenia: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first-generation versus second-generation medication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2-10
[24] 논문 Initial severity of schizophrenia and efficacy of antipsychotics: participant-level meta-analysis of 6 placebo-controlled studies 2015-01
[25] 논문 The effects of atypical antipsychotic drugs on neurocognitive impairment in schizophrenia: a review and meta-analysis 1999-01-01
[26] 논문 Medication Exposure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https://jamanetwork.[...] 2024-11-22
[27] 웹사이트 Can Antipsychotics Increase Mortality Risk? A New Study Shows It Might https://www.hcplive.[...] 2024-11-29
[28] 웹사이트 NICE Treatment Guidance 2014 http://www.nice.org.[...] 2014-08-07
[29] 논문 Beyond the "at risk mental state" concept: transitioning to transdiagnostic psychiatry 2018-06
[30] 논문 Rates and Predictors of Conversion to Schizophrenia or Bipolar Disorder Following Substance-Induced Psychosi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ublishing 2018-04
[31] 논문 A Randomized Comparison of Aripiprazole and Risperidone for the Acute Treatment of First-Episode Schizophrenia and Related Disorders: 3-Month Outcomes 2015-11
[32] 논문 Antipsychotic Treatment Effectiveness in First Episode of Psychosis: PAFIP 3-Year Follow-Up Randomized Clinical Trials Comparing Haloperidol, Olanzapine, Risperidone, Aripiprazole, Quetiapine, and Ziprasidone 2020-04
[33] 논문 How effective are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 drugs? A meta-analysis of placebo-controlled trials 2009-04
[34] 논문 Comparativ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15 antipsychotic drugs in schizophrenia: a multiple-treatments meta-analysis 2013-09
[35] 논문 Comparative remission rates of schizophrenic patients using various remission criteria 2008-10
[36] 논문 Maintenance treatment with antipsychotic drugs for schizophrenia 2020-08
[37] 논문 20-Year Nationwide Follow-Up Study on Discontinuation of Antipsychotic Treatment in First-Episode Schizophrenia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ublishing 2018-08
[38] 논문 The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symptom change and treatment discontinuation in a pooled analysis of 4 schizophrenia trials 2008-10
[39] 논문 Comparative Efficacy and Safety of Long-acting Injectable and Oral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s for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11
[40] 웹사이트 PSYCHOSIS and Schizophreniain adults: THE NICE GUIDELINE ON TREATMENT AND MANAGEMENT https://www.nice.org[...]
[41] 논문 Community treatment orders and antipsychotic long-acting injections Royal College of Psychiatrists 2009-11
[42] 서적 The Maudsley prescribing guidelines in psychiatry Wiley-Blackwell
[43] 서적 Applied therapeutics: the clinical use of drugs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44] 논문 Antipsychotic and mood stabilizer efficacy and tolerability in pediatric and adult patients with bipolar I mania: a comparative analysis of acute,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s 2010-03
[45] 웹사이트 DailyMed - CAPLYTA- lumateperone capsule https://dailymed.nlm[...] 2022-12-10
[46] 논문 Cariprazine Treatment of Bipolar Depression: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hase 3 Study 2019-06
[47] 웹사이트 Lurasidone Approved for Bipolar Depression http://www.medscape.[...] 2013-10-02
[48] 논문 Efficacy of olanzapine monotherapy in acute bipolar depression: a pooled analysis of controlled studies 2013-07
[49] 논문 Quetiapine monotherapy for bipolar depression 2008-02
[50] 논문 Olanzapine versus lithium in the maintenance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a 12-month, randomized, double-blind, controlled clinical trial 2005-07
[51] 논문 Maintenance treatment of adolescent bipolar disorder: open study of the effectiveness and tolerability of quetiapine 2009-02
[52] 논문 Continuation of quetiapine versus switching to placebo or lithium for maintenance treatment of bipolar I disorder (Trial 144: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2011-11
[53] 논문 Olanzapine in long-term treatment for bipolar disorder 2009-01
[54] 논문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econd edition 2004-02
[55] 웹사이트 Schizophrenia https://www.ncbi.nlm[...] 2021-03-09
[56] 간행물 Ten Thing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Question http://www.choosingw[...] AMDA – The Society for Post-Acute and Long-Term Care Medicine 2014-02
[57] 논문 The effectiveness of atypical antipsychotics for the treatment of aggression and psychosis in Alzheimer's disease 2006-01
[58] 논문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reducing antipsychotic medication in care home residents 2023-08
[59] 논문 An analysis of the intended use of atypical antipsychotics in dementia 2010-11
[60] 논문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s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dysthymia 2010-12
[61] 논문 Adjunctive atypical antipsychotic treatment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a meta-analysis of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safety outcomes
[62] 문서 Truven Health Analytics, Inc. DrugPoint System (Internet) Thomsen Healthcare
[63] 웹사이트 FDA Psychopharmacologic Drugs Advisory Committee Hearing https://www.aacap.or[...] 2020-05-31
[64] 논문 Antipsychotics in the maintenance phase for psychotic depression 2023-11-06
[65] 논문 International trends in antipsychotic use: A study in 16 countries, 2005-2014 https://pubmed.ncbi.[...] 2017-10
[66] 논문 On- and off-label utilisation of antipsychotics in Australia (2000–2021): Retrospective analysis of two medication datasets 2024-04
[67] 논문 Off-label use of atypical antipsychotics: cause for concern? https://pubmed.ncbi.[...] 2012-05-01
[68] 서적 Off-Label Use of Atypical Antipsychotics: An Updat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69] 논문 Summary of the comparative effectiveness review on off-label use of atypical antipsychotics 2012-06
[70] 논문 Safety of low doses of quetiapine when used for insomnia 2012-05
[71] 간행물 Comparative effects of 18 antipsychotics on metabolic func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predictors of metabolic dysregulation,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2020-01
[72] 간행물 Dose-dependent effects of antipsychotics on efficacy and adverse effects in schizophrenia 2021-03
[73] 간행물 Comparative effects of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the acute and long-term management of insomnia disorder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2022-07
[74] 서적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s://books.googl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ublications 2013-06-05
[75] 간행물 Antipsychotics are commonly prescribed to people with personality disorders, contrary to guidelines https://evidence.nih[...] 2022-11-10
[76] 간행물 Prescribing of antipsychotics among people with recorded personality disorder in primary care: a retrospective nationwide cohort study using The Health Improvement Network primary care database 2022-03
[77] 간행물 Second generation antipsychotics (SGAs) for non-psychotic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view of the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2011-08
[78] 간행물 Canadian guidelines for the evidence-based treatment of tic disorders: pharmacotherapy 2012-03
[79] 간행물 A systematic review of medical treatment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2011-05
[80] 간행물 Evidence Lacking to Support Many Off-label Uses of Atypical Antipsychotics http://archive.ahrq.[...]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7-01-17
[81] 간행물 Prescribing antipsychotic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82] 문서 Truven Health Analytics, Inc. DRUGDEX System (Internet) Greenwood Village, CO: Thomsen Healthcare 2013-10-10
[83] 간행물 Antipsychotics are increasingly prescribed to children and teenagers https://evidence.nih[...] 2023-04-18
[84] 간행물 Trends in antipsychotic prescribing to children and adolescents in England: cohort study using 2000-19 primary care data 2023-02
[85] 간행물 The treatment of challenging behaviour in intellectual disabilities: cost-effectiveness analysis 2009-07
[86] 간행물 Antipsychotic and psychostimulant drug combination therapy in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and disruptive behavior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of efficacy and tolerability 2013-05
[87] 간행물 Antipsychotics for Preventing Delirium in Hospitalized Adults: A Systematic Review 2019-10
[88] 간행물 Pharmacologic treatment of schizophrenia
[89] 간행물 Schizophrenia 2012-06
[90] 간행물 Schizophrenia: a review https://www.aafp.org[...] 2007-06
[91] 간행물 Refractory schizophrenia and atypical antipsychotics
[92] 간행물 Clozapine versus typical neuroleptic medication for schizophrenia 2009-01
[93] 간행물 Why olanzapine beats risperidone, risperidone beats quetiapine, and quetiapine beats olanzapine: an exploratory analysis of head-to-head comparison studies of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s 2006-02
[94] 간행물 Effectiveness of antipsychotic drugs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https://cdr.lib.unc.[...] 2005-09
[95] 간행물 Second-generation versus first-generation antipsychotic drugs for schizophrenia: a meta-analysis 2009-01
[96] 간행물 Special Section on Implications of CATIE: What CATIE Found: Results From the Schizophrenia Trial 2008-05
[97] 간행물 New generation antipsychotic drugs and compliance behaviour 2008-03
[98] 간행물 Quality of evidence in drug compendia supporting off-label use of typical and atypical antipsychotic medications 2012-01
[99] 간행물 How CATIE brought us back to Kansas: a critical re-evaluation of the concept of atypical antipsychotics and their place in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100] 간행물 Typical and atypical antipsychotics--the misleading dichotomy. Results from the Working Group 'Drugs in Psychiatry' (AGATE)
[101] 간행물 Tardive dyskinesia and atypical antipsychotic drugs 1999-03
[102] 간행물 Biases in medication prescribing: the case of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s 2010-01
[103] 간행물 Drug-drug interactions involving classic psychedelics: A systematic review 2024-01
[104] 간행물 Trip-killers: a concerning practice associated with psychedelic drug use 2024-01
[105] 간행물 Study Finds Hundreds of Reddit Posts on "Trip-Killers" for Psychedelic Drugs 2024-02
[106] 논문 Psilocybin induces schizophrenia-like psychosis in humans via a serotonin-2 agonist action 1998-12
[107] 간행물 Five Thing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Question http://www.choosingw[...]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12-30
[108] 논문 Schizophrenia 2012-06
[109] 논문 Dopamine supersensitivity psychosis in schizophrenia: Concepts and implications in clinical practice 2017-12
[110] 논문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Diagnosis and Management 2018-01-04
[111] 논문 Tardive dyskinesia risk with first- and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s in compara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 meta-analysis 2018-10
[112] 서적 Textbook of Clinical Neuropsychiatry and Behavioral Neuroscience, Third Edition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2
[113] 논문 Safety of antipsychotics for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a focus on the adverse effects of clozapine 2018-05
[114] 논문 Genetics of clozapine-associated neutropenia: recent advances, challenges and future perspective 2019-03
[115] 논문 Cardiovascular diseas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2017-02-06
[116] 논문 Clozapine-Associated Pulmonary Embolism: A High-Mortality, Dose-Independent and Early-Onset Adverse Effect 2018-08
[117] 논문 Clozapine Associated Periorbital Edema in First Episode Psychosis: A Case Report of a Rare Adverse Effect in Treatment-Resistant Schizophrenia 2022-09
[118] 논문 Guide to the Management of Clozapine-Related Tolerability and Safety Concerns
[119] 논문 Pharmacogenetics of clozapine treatment response and side-effects in schizophrenia: an update 2015
[120] 논문 Schizophrenia 2007-07
[121] 논문 The Role of Atypical Antipsychotics in Sexuality: Road to Recovery in Schizophrenia 2018
[122] 논문 Adverse effects of antipsychotic medications 2010-03
[123] 논문 Metformin for olanzapine-induced weight gai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1-03
[124] 논문 Metformin co-commencement at time of antipsychotic initiation for attenuation of weight gai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4
[125] 논문 Managing anticholinergic side effects
[126] 웹사이트 Antipsychotic Use Associated With Elevated Risk of Breast Cancer https://neuroscience[...] 2022-09-06
[127] 논문 Olanzapine-associated diabetes mellitus https://zenodo.org/r[...] 2002-07
[128] 논문 Sensitivity of the female rat to olanzapine-induced weight gain—far from the clinic? https://ro.uow.edu.a[...] 2010-02
[129] 논문 Alterations to melanocortinergic, GABAergic and cannabinoid neurotransmission associated with olanzapine-induced weight gain
[130] 논문 Pancreatitis associated with atypical antipsychotics: from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s MedWatch surveillance system and published reports https://zenodo.org/r[...] 2003-09
[131] 논문 Influence of antipsychotics on mortality in schizophrenia: systematic review 2009-08
[132] 논문 Schizophrenia, neuroleptic medication and mortality 2006-02
[133] 논문 American Geriatrics Society updated Beers Criteria for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in older adults 2012-04
[134] 논문 Understanding and treating depersonalisation disorder http://apt.rcpsych.o[...]
[135] 논문 Antipsychotic polypharmacy: is there evidence for its use? 2005-07
[136] 논문 Polypharmacy and excessive dosing: psychiatrists' perceptions of antipsychotic drug prescription 2005-09
[137] 논문 Association of antipsychotic use with breast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with over 2 million individuals 2022-09
[138] 논문 Progressive loss of cortical gray matter in schizophrenia: a meta-analysis and meta-regression of longitudinal MRI studies 2012-11
[139] 논문 Multimodal meta-analysis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brain changes in first episode psychosis and the effects of antipsychotic medication 2012-11
[140] 논문 The influence of chronic exposure to antipsychotic medications on brain size before and after tissue fixation: a comparison of haloperidol and olanzapine in macaque monkeys 2005-09
[141] 논문 Principles of antipsychotic prescribing for policy makers, circa 2008. Translating knowledge to promote individualized treatment 2009-09
[142] 논문 The causes of underdiagnosing akathisia
[143] 논문 Influence of Antipsychotic and Anticholinergic Loads on Cognitive Function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2016
[144] 논문 Antipsychotic use in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of benefits and risks from meta-analyses 2016-09
[145] 논문 Antipsychotics, Metabolic Adverse Effects, and Cognitive Function in Schizophrenia 2018-12-05
[146] 논문 Antipsychotic use in dementia: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psychiatric symptom profiles and adverse outcomes 2021-01
[147] 논문 Atypical antipsychotic use in patients with dementia: managing safety concerns 2012-09
[148] 논문 The Effect of Antipsychotics on Prolactinoma Growth: A Radiological and Serological Analysis 2023-11
[149] 논문 Hyperprolactinemia, Clinical Considerations, and Infertility in Women on Antipsychotic Medications 2021-03
[150] 서적 British National Formulary Royal Pharmaceutical Society of Great Britain 2009-03
[151] 서적 Adverse Syndromes and Psychiatric Drugs: A Clinical Guide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4
[152] 논문 Does antipsychotic withdrawal provoke psychosis? Review of the literature on rapid onset psychosis (supersensitivity psychosis) and withdrawal-related relapse 2006-07
[153] 서적 Adherence to Antipsychotics in Schizophrenia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154] 논문 Dopamine supersensitivity psychosis in schizophrenia: Concepts and implications in clinical practice 2017-12
[155] 논문 Expected incidence of tardive dyskinesia associated with atypical antipsychotics
[156] 논문 Switching antipsychotic therapy: what to expect and clinical strategies for improving therapeutic outcomes
[157] 서적 British National Formulary Royal Pharmaceutical Society of Great Britain 2009-03
[158] 뉴스 Up to 100,000 on antipsychotics with no review https://www.hsj.co.u[...] Health Service Journal 2020-01-27
[159] 논문 Atypical Antipsychotics: Mechanism of Action https://focus.psychi[...] 2004-01
[160] 논문 Perospirone
[161] 논문 From clinical research to clinical practice: a 4-year review of ziprasidone 2005-11
[162] 논문 Aripiprazole https://academic.oup[...] 2003-12-01
[163] 논문 Third generation antipsychotic drugs: partial agonism or receptor functional selectivity? 2010
[164] 웹사이트 Caplyta (lumateperone) FDA Approval History https://www.drugs.co[...] 2022-11-20
[165] 논문 Aripiprazole: a review of its use in schizophrenia and schizoaffective disorder
[166] 논문 Neurochemical and Neural Mechanisms of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Schizophrenia
[167] 논문 Antipsychotic medication and prefrontal cortex activation: a review of neuroimaging findings 2012-06
[168] 논문 The new genetics of schizophrenia 2003-03
[169] 논문 The role of 5-HT2A receptors in antipsychotic activity
[170] 논문 Evidences of possible side effects of neuroleptic drugs: A systematic review 2012-12
[171] 논문 Describing an Atypical Antipsychotic: Receptor Binding and Its Role in Pathophysiology https://www.psychiat[...]
[172] 서적 Current Antipsychotics
[173] 논문 Antipsychotic-induced sensitization and tolerance: Behavioral characteristics, developmental impacts, and neurobiological mechanisms 2016-08
[174] 논문 Prolonged Amphetamine Exposures Increase the Endogenous Human Dopamine Receptors 2 at the Cellular Membrane in Cells Lacking the Dopamine Transporter
[175] 논문 Involvement of 5-HT2A receptors in MDMA reinforcement and cue-induced reinstatement of MDMA-seeking behaviour 2011-08
[176] 서적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6-12-13
[177] 서적 Neurotransmitter Receptors in Actions of Antipsychotic Medication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0-06-22
[178] 논문 Research on adverse drug events. I. Muscarinic M3 receptor binding affinity could predict the risk of antipsychotics to induce type 2 diabetes 2005-06
[179] 웹사이트 Aripiprazole lauroxil – Alkermes http://adisinsight.s[...] Springer Nature Switzerland AG
[180] 웹사이트 Asenapine http://adisinsight.s[...] Springer Nature Switzerland AG
[181] 서적 Farmacología y endocrinología del comportamiento https://books.google[...] Editorial UOC 2012-05
[182] 웹사이트 Blonanserin – Sumitomo Dainippon Pharma http://adisinsight.s[...] Springer Nature Switzerland AG
[183] 웹사이트 Brexpiprazole – Lundbeck/Otsuka http://adisinsight.s[...] Springer Nature Switzerland AG 2017-09-27
[184] 웹사이트 Cariprazine – Gedeon Richter http://adisinsight.s[...] Springer Nature Switzerland AG 2017-05-07
[185] 서적 Antipsychotic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186] 서적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3-10-22
[187] 서적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3-10-22
[188] 논문 ChemInform Abstract: Fifty Years in Chemical Drug Research
[189] 논문 "[Clotepin]" 1971-04
[190] 논문 Clotiapine compared with chlorpromazine in chronic schizophrenia 2005-12
[191] 논문 Preclinical and clinical pharmacology of cyamemazine: anxiolytic effects and prevention of alcohol and benzodiazepine withdrawal syndrome
[192] 서적 Bioactive Heterocyclic Compound Classes: Pharmaceutical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2-08-16
[193] 논문 Thioxanthene antipsychotics
[194] 웹사이트 Iloperidone – Vanda Pharmaceuticals http://adisinsight.s[...] Springer Nature Switzerland AG 2017-09-27
[195] 서적 Before Prozac: The Troubled History of Mood Disorders in Psychiat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96] 논문 Does loxapine have "atypical" properties? Clinical evidence
[197] 웹사이트 Lurasidone – Sumitomo Dainippon Pharma http://adisinsight.s[...] Springer Nature Switzerland AG 2017-05-07
[198] 웹사이트 Nemonapride http://adisinsight.s[...] Springer Nature Switzerland AG
[199] 웹사이트 Paliperidone – Johnson & Johnson http://adisinsight.s[...] Springer Nature Switzerland AG
[200] 웹사이트 Paliperidone palmitate – Johnson & Johnson http://adisinsight.s[...] Springer Nature Switzerland AG 2017-09-27
[201] 논문 Penfluridol (R 16341) as a maintenance therapy in chronic psychotic patients: a double-blind clinical evaluation
[202] 논문 Perazine for schizophrenia 2014-01
[203] 논문 Pericyazine for schizophrenia 2014-05
[204] 웹사이트 Perospirone http://adisinsight.s[...] Springer Nature Switzerland AG
[205] 웹사이트 Pimavanserin – ACADIA Pharmaceuticals http://adisinsight.s[...] Springer Nature Switzerland AG 2017-09-27
[206] 서적 Drugs Available Abroad https://books.google[...] Gale Research
[207] 서적 Piperidine-Based Drug Discovery https://books.google[...] Elsevier Science 2017-06-12
[208] 서적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3-10-22
[209] 서적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William Andrew Pub.
[210] 서적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3-10-22
[211] 서적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3-10-22
[212] 서적 Australian Medicines Handbook The Australian Medicines Handbook Unit Trust
[213] 서적 British National Formulary (BNF) Pharmaceutical Press
[214] 논문 Amisulpride overdose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QT prolongation and torsades de pointes 2010-08
[215] 논문 Blonanserin: a review of its use in the management of schizophrenia 2010-01
[216] 논문 Profile of blonanserin for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217] 웹사이트 Clozapine http://www.medicines[...] Royal Pharmaceutical Society of Great Britain 2013-01-30
[218] 논문 Fluphenazine (oral) versus placebo for schizophrenia 2018-06
[219] 논문 Loxapine for schizophrenia 2007-10
[220] 논문 Performance and interview-based assessments of cognitive change in a randomized, double-blind comparison of lurasidone vs. ziprasidone 2011-04
[221] 논문 Auditing clinical outcomes after introducing off-licence prescribing of atypical antipsychotic melperone for patients with treatment refractory schizophrenia
[222] 서적 Martindale: The Complete Drug Reference http://www.medicines[...] The Royal Pharmaceutical Society of Great Britain 2013-01-30
[223] 논문 Perazine for schizophrenia 2014-01
[224] 논문 Perospirone 2001-04
[225] 서적 Martindale: The Complete Drug Reference Pharmaceutical Press 2011-09-23
[226] 논문 Perphenazine for schizophrenia 2015-03
[227] 논문 Pimozide for schizophrenia or related psychoses 2013-11
[228] 논문 Sulpiride versus placebo for schizophrenia 2014-04
[229] 논문 Thioridazine for schizophrenia 2007-07
[230] 논문 Pathogenesis of degenerative retinopathies induced by thioridazine and other antipsychotics: a dopamine hypothesis 2002-07
[231] 논문 Trifluoperazine for schizophrenia
[232] 웹사이트 Zotepine http://www.medicines[...] Royal Pharmaceutical Society of Great Britain 2013-08-16
[233] 논문 Comparative efficacy and acceptability of antimanic drugs in acute mania: a multiple-treatments meta-analysis 2011-10
[234] 논문 Addressing the need for rapid treatment of agitation in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focus on inhaled loxapine as an alternative to injectable agents
[235] 논문 Efficacy of modern antipsychotics in placebo-controlled trials in bipolar depression: a meta-analysis 2010-02
[236] 논문 Polarity index of pharmacological agents used for maintenance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2012-05
[237] 논문 Effectiveness of psychotropic medications in the maintenance phase of bipolar disorder: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1-09
[238] 논문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s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dysthymia 2010-12
[239] 논문 Clozapine Can Be the Good Option in Resistant Mania 2016
[240] 논문 Clozapine As Transformative Treatment In Bipolar Patients 2019-10-09
[241] 웹사이트 https://www.has-sant[...]
[242] 논문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perospirone in schizophren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3-09
[243] 문서 Bolded drug names indicate drugs that are metabolites of clinically-marketed antipsychotics.
[244] 서적 Goodman &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McGraw-Hill
[245] 웹사이트 PDSP Ki Database http://pdsp.med.unc.[...]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and the United States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11-01-12
[246] 논문 Asenapine: a novel psychopharmacologic agent with a unique human receptor signature 2009-01
[247] 논문 Lurasidone (SM-13496), a novel atypical antipsychotic drug, reverses MK-801-induced impairment of learning and memory in the rat passive-avoidance test 2007-10
[248] 논문 Pharmacological profile of lurasidone, a novel antipsychotic agent with potent 5-hydroxytryptamine 7 (5-HT7) and 5-HT1A receptor activity 2010-07
[249] 논문 Active metabolites as antidepressant drugs: the role of norquetiapine in the mechanism of action of quetiapine in the treatment of mood disorders 2013-09
[250] 웹사이트 Medscape home page http://reference.med[...] WebMD
[251] 웹사이트 Therapeutic Goods Administration home page https://www.ebs.tga.[...] Department of Health (Australia)
[252] 웹사이트 Daily Med home page http://dailymed.nlm.[...]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53] 웹사이트 electronic Medicines Compendium (eMC) home page http://www.medicines[...] Datapharm
[254] 논문 Population pharmacokinetics of blonanserin in Chinese healthy volunteers and the effect of the food intake 2013-03
[255] 논문 Pharmacokinetics of parenteral and oral melperone in man
[256] 논문 Olanzapine.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profile 1999-09
[257] 논문 Absorption, metabolism, and excretion of paliperidone, a new monoaminergic antagonist, in humans 2008-04
[258] 논문 Clinical pharmacokinetics of quetiapine: an atypical antipsychotic
[259] 논문 The pharmacokinetics of intravenous and oral sulpiride in healthy human subjects 1980-05
[260] 논문 Zotepine: A Review of its Pharmacodynamic and Pharmacokinetic Properties and Therapeutic Efficacy in the Management of Schizophrenia 1998-01
[261] 간행물 Product Information: Nipolept(R), zotepine Klinge Pharma GmbH, Munich 1996
[262] 논문 Long-term treatment of chronic psychotics with bromperidol decanoate: clinical and pharmacokinetic evaluation. 1983
[263] 논문 Clopenthixol and flupenthixol depot preparations in outpatient schizophrenics. III. Serum levels 1980
[264] 서적 Martindale: The Extra Pharmacopoeia Pharmaceutical Press 1993
[265] 논문 Future of depot neuroleptic therapy: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approaches 1984-05
[266] 논문 Kinetics of fluphenazine after fluphenazine dihydrochloride, enanthate and decanoate administration to man 1979-04
[267] conference Explaining the pharmacokinetics of fluphenazine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Abstract.) 1984
[268] 논문 The pharmacology of fluspirilene (R 6218), a potent, long-acting and injectable neuroleptic drug 1970-11
[269] 논문 Haloperidol decanoate. A preliminary review of its pharmacodynamic and pharmacokinetic properties and therapeutic use in psychosis 1987-01
[270] 논문 Pharmacokinetics of haloperidol decanoate. A 2-year follow-up 1982
[271] 논문 On the pharmacokinetics of perphenazine: a clinical study of perphenazine enanthate and decanoate. 1984
[272] 문서
[273] 논문 The introduction of chlorpromazine in Belgium and the Netherlands (1951–1968); tango between old and new treatment features http://orbilu.uni.lu[...] 2017-02-26
[274] 서적 Psychiatric Drugs Explained. Elsevier Limited 2005
[275] 논문 What's in a name? The evolution of the nomenclature of antipsychotic drugs 2002-05
[276] 웹사이트 tranquillizer, n http://www.oed.com/v[...] 2011-08-09
[277] 서적 History of Psychiatry and Medical Psychology Springer US
[278] 서적 A guide to the extrapyramidal side-effects of antipsychotic drug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04-13
[279] 논문 British Association for Psychopharmacology consensus statement on evidence-based treatment of insomnia, parasomnias and circadian rhythm disorders: An update https://eprints.soto[...] 2019-08
[280] 서적 Psychiatry Volume 2 Saunders
[281] 서적 Lexicon of Psychiatry, Neurology, and the Neuroscience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0
[282] 서적 Psychopharmacology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 Integrative Approach Cengage Learning, Boston 2015
[283] 서적 Manual of Psychiatric Nursing Skills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2011
[284] 서적 Drug Policy and the Public Good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0
[285] 웹사이트 Pipelineantipsychotic drugs to drive next market evolution (2009) https://web.archive.[...] 2009-08-07
[286] 논문 Antipsychotic use and expenditure in the United States 2006-12
[287] 웹사이트 2008 U.S. Sales and Prescription Information: Top Therapeutic Classes by U.S. Sales (PDF) http://www.imshealth[...] Imshealth.com 2008
[288] 뉴스 Data show 'spiralling' antipsychotic price increases of up to 1,200% in past five years https://pharmaceutic[...] Pharmaceutical Journal 2022-08-24
[289] 논문 Inappropriate long-term use of antipsychotic drugs is common among people with dementia living in specialized care units 2013-02
[290] 웹사이트 Risky Antipsychotic Drugs Still Overprescribed In Nursing Homes https://www.npr.org/[...]
[291] 웹사이트 Atypical antipsychotics: overrated and overprescribed https://pharmaceutic[...]
[292] 논문 Transdermal Asenapine in Schizophrenia: A Systematic Review 2020-03-18
[293] 논문 Abuse of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s: What prescribers need to know https://www.mdedge.c[...] 2011
[294] 뉴스 Myth of the antipsychotic https://www.theguard[...] 2008-03-02
[295] 웹사이트 GPs under 'pressure' to issue neuroleptics, claims professor https://www.chemista[...] 2020-05-01
[296] 뉴스 Dementia drug use 'killing many' http://news.bbc.co.u[...] 2009-11-12
[297] 뉴스 UK study warns against anti-psychotics for dementia https://www.reuters.[...] 2009-11-12
[298] 뉴스 Justice suit accuses Johnson & Johnson of paying kickbacks https://www.washingt[...] 2010-01-16
[299] 뉴스 Side Effects May Include Lawsuits https://www.nytimes.[...] 2010-10-02
[300] 뉴스 Drug Maker's E-Mail Released in Seroquel Lawsuit https://www.nytimes.[...] 2009-02-27
[301] 논문 Pharmaceutical industry agenda setting in mental health policies 2001-01-01
[302] Citation Five Thing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Question http://www.choosingw[...]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09
[303] Citation Ten Thing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Question http://www.choosingw[...] American Geriatrics Society
[304] 문서 抗精神病薬は、通常、向精神薬のカテゴリに含まれる薬剤として扱われる https://www.mhlw.go.[...]
[305] 논문 Guideline concordant monitoring of metabolic risk in people treated with antipsychotic medicatio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screening practices
[306] 논문 Recovery in Remitted First-Episode Psychosis at 7 Years of Follow-up of an Early Dose Reduction/Discontinuation or Maintenance Treatment Strategy http://www.psychodys[...]
[307] 간행물 精神科医療について https://www.mhlw.go.[...] 2011-11-02
[308] 간행물 過量服薬への取組-薬物治療のみに頼らない診療体制の構築に向けて https://www.mhlw.go.[...] 2010-09-09
[309] 간행물 抗精神病薬減量法ガイドラインを発表 -多剤大量処方から少しずつ最適な処方への工夫 http://www.ncnp.go.j[...] 独立行政法人国立精神・神経医療研究センター 2013-10-04
[310] 서적 統合失調症の薬物療法100のQ&A 星和書店 2008-05
[311] 서적 Medical care of older persons in residential aged care facilities (silver book) http://www.racgp.org[...] The Royal Australian College of General Practitioners 2006-03
[312] 보고서 CG42 - Dementia: Supporting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carers in health and social care http://www.nice.org.[...] 2006-11
[313] 보고서 Five Thing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Question http://www.choosingw[...] ABIM Foundation 2013-09
[314] 보고서 QS53 - Anxiety disorders http://www.nice.org.[...] 英国国立医療技術評価機構 2014-02
[315] 논문 Scientific and Consumer Models of Recovery in Schizophrenia: Concordance, Contrasts, and Implications
[316] 논문 "[Intensive hospital monitoring of adverse reactions to benzodiazepines and neuroleptic agents]"
[317] 서적 Psychiatric drugs explained 5th ED Edinburgh : Elsevier Churchill Livingstone
[318] 논문 Negative Signs and Symptoms Secondary to Antipsychotics: A Double-Blind, Randomized Trial of a Single Dose of Placebo, Haloperidol, and Risperidone in Healthy Volunteers
[319] 논문 Influence of antipsychotics on mortality in schizophrenia: Systematic review
[320] 논문 Schizophrenia, neuroleptic medication and mortality http://bjp.rcpsych.o[...]
[321] 웹사이트 Public Health Advisory: Deaths with Antipsychotics in Elderly Patients with Behavioral Disturbances http://www.fda.gov/D[...] FDA 2005-04-11
[322] 논문 Risk of Mortality Among Individual Antipsychotics in Patients With Dementia http://ajp.psychiatr[...]
[323] 논문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 drugs and short-term mortal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lacebo-controlled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2018-08
[324] 논문 Antipsychotic Use and Myocardial Infarction in Older Patients With Treated Dementia
[325] 논문 Association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with antipsychotic drug use in elderly patients: a nested case-control study
[326] 뉴스 Schizophrenia Drugs May Spur Subtle Brain Tissue Loss http://www.drugs.com[...] Drugs.com
[327] 논문 Long-term antipsychotic treatment and brain volumes: a longtitudinal study of first-episode schizophrenia http://archpsyc.ama-[...] 2011-04-05
[328] 논문 Antipsychotic medications and brain volume: do we have a cause for concern?
[329] 블로그 抗精神病薬による脳への負の影響。その1 灰白質への影響 http://blog.livedoor[...] 場末P科病院の精神科医のblog
[330] 블로그 抗精神病薬による脳への負の影響。その2 白質への影響 http://blog.livedoor[...] 場末P科病院の精神科医のblog
[331] 논문 The Influence of Chronic Exposure to Antipsychotic Medications on Brain Size before and after Tissue Fixation: A Comparison of Haloperidol and Olanzapine in Macaque Monkeys
[332] 논문 Multimodal meta-analysis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brain changes in first episode psychosis and the effects of antipsychotic medication http://www.sciencedi[...]
[333] 논문 Long-term antipsychotic use and brain changes in schizophrenia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334] 논문 Risk Factors in Late Adolescence for Young-Onset Dementia in Men http://swedishbrainp[...]
[335] 서적 DSM-5 精神疾患の診断・統計マニュアル "[[医学書院]]" 2014-06-30
[336] 논문 Hypothermia due to Antipsychotic Medication: A Systematic Review 2017
[337] 논문 Acute akathisia with quetiapine: A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338] 논문 Effects of olanzapine on muscarinic M3 receptor binding density in the brain relates to weight gain, plasma insulin and metabolic hormone levels http://www.sciencedi[...]
[339] 논문 Novel insights into the function of [beta]-cell M3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s: therapeutic implications http://www.sciencedi[...]
[340] 논문 Fatal olanzapine-induced ketoacidosis
[341] 논문 Olanzapine-associated diabetes mellitus
[342] 논문 Pancreatitis associated with atypical antipsychotics: from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s MedWatch surveillance system and published reports
[343] 논문 The role of histaminergic H1 and H3 receptors in food intake: A mechanism for atypical antipsychotic-induced weight gain? http://www.sciencedi[...] 2010-02-01
[344] 논문 Alterations to Melanocortinergic, GABAergic and Cannabinoid Neurotransmission Associated with Olanzapine-Induced Weight Gain http://www.plosone.o[...] 2012-03-16
[345] 논문 Metformin for Atypical Antipsychotic-Induced Weight Gain and Glucose Metabolism Dysregulation: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Clinical Suggestions http://adisonline.co[...]
[346] 논문 Sensitivity of the female rat to olanzapine-induced weight gain--far from the clinic? http://www.sciencedi[...]
[347] 서적 Goodman &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McGraw-Hill]]"
[348] 뉴스 Boxed Mortality Warning Added to Older Antipsychotics Given to Elderly Demented http://www.medpageto[...] Medpage Today 2009-04-24
[349] 웹사이트 FDA Drug Safety Communication: Antipsychotic drug labels updated on use during pregnancy and risk of abnormal muscle movements and withdrawal symptoms in newborns http://www.fda.gov/D[...] FDA 2011-02-22
[350] 논문 精神分裂病における知覚変容発作の臨床的研究 : 自験例を中心にして https://nagano.repo.[...] 長野大学 2001-06-30
[351] 논문 Antipsychotic-induced paroxysmal perceptual alteration in a patient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http://onlinelibrary[...]
[352] 논문 Risperidone-Induced Paroxysmal Perceptual Alteration in a Child with Autism http://online.lieber[...]
[353] 서적 統合失調症の薬物療法100のQ&A 星和書店
[354] 논문 Antipsychotic withdrawal symptoms: phenomenology and pathophysiology
[355] 논문 Why is it so difficult to stop psychiatric drug treatment? It may be nothing to do with the original problem
[356] 논문 Expected incidence of tardive dyskinesia associated with atypical antipsychotics
[357] 논문 '"Breakthrough" Dopamine Supersensitivity during Ongoing Antipsychotic Treatment Leads to Treatment Failure over Time'
[358] 논문 Clinical Outcome Following Neuroleptic Discontinuation in Patients With Remitted Recent-Onset Schizophrenia
[359] 논문 Switching antipsychotic therapy: what to expect and clinical strategies for improving therapeutic outcomes
[360] 웹사이트 Medical Term: cross-taper http://www.drugs.com[...] Drugs.com 2013-04-10
[361] 서적 British National Formulary 王立薬剤師会 2009-03
[362] 웹사이트 Antipsychotics https://rxisk.org/an[...]
[363] 서적 統合失調症の薬物療法100のQ&A 星和書店 2008-05
[364] 서적 精神科の薬がわかる本 医学書院 2008
[365] 서적 精神科セカンドオピニオン―正しい診断と処方を求めて シーニュ 2008-07
[366] 서적 統合失調症の薬物療法100のQ&A 星和書店 2008-05
[367] 서적 統合失調症治療ガイドライン 医学書院 2008
[368] 논문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econd Edition http://psychiatryonl[...]
[369] 논문 Schizophrenia. Full National Clinical Guideline on Core Interventions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Mental Health
[370] 논문 How effective are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 drugs? A meta-analysis of placebo-controlled trials
[371] 논문 Risperidone versus placebo for schizophrenia
[372] 논문 Olanzapine in long-term treatment for bipolar disorder
[373] 논문 Adjunctive Atypical Antipsychotic Treatment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A Meta-Analysis of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Safety Outcomes http://www.plosmedic[...]
[374] 논문 Antipsychotic polypharmacy: is there evidence for its use?
[375] 논문 Polypharmacy and excessive dosing: psychiatrists' perceptions of antipsychotic drug prescription
[376] 논문 Schizophrenia, neuroleptic medication and mortality http://bjp.rcpsych.o[...]
[377] 논문 Brain and Plasma Pharmacokinetics of Aripiprazol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 [18F]Fallypride PET Study http://ajp.psychiatr[...]
[378] 논문 Relationship Between Dopamine D2 Occupancy, Clinical Response, and Side Effects: A Double-Blind PET Study of First-Episode Schizophrenia http://ajp.psychiatr[...]
[379] 논문 Establishing a dose-response relationship for oral risperidone in relapsed schizophrenia http://jop.sagepub.c[...]
[380] 논문 Quetiapine: dose-response relationship in schizophrenia
[381] 논문 Standard and Higher Dose of Olanzapin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or Schizoaffective Disorder
[382] 웹사이트 Evidence Lacking to Support Many Off-label Uses of Atypical Antipsychotics (2007) http://www.ahrq.gov/[...] Ahrq.gov
[383] 논문 Prescribing antipsychotic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384] 논문 The treatment of challenging behaviour in intellectual disabilities: cost-effectiveness analysis
[385] 웹사이트 Atypical antipsychotics for aggression and psychosis in Alzheimer's disease http://onlinelibrary[...] John Wiley & Sons, Ltd. 2008-10-08
[386] 웹사이트 Side Effects of Newer Antipsychotics in Older Adults (NCT00245206) http://www.clinicalt[...] ClinicalTrials.gov 2013-03-24
[387] 논문 Comparison of Longer-Term Safety and Effectiveness of 4 Atypical Antipsychotics in Patients Over Age 40
[388] 논문 Schizophrenia: manifestations, incidence and course in different cultures. A World Health Organization ten-country study
[389] 논문 Revisiting the developed versus developing country distinction in course and outcome in schizophrenia: results from ISoS, the WHO collaborative followup project. International Study of Schizophrenia http://schizophrenia[...]
[390] 논문 Does antipsychotic withdrawal provoke psychosis? Review of the literature on rapid onset psychosis (supersensitivity psychosis) and withdrawal-related relapse
[391] 논문 Factors involved in outcome and recovery in schizophrenia patients not on antipsychotic medications: a 15-year multifollow-up study 2007-05
[392] 논문 The case against antipsychotic drugs: a 50-year record of doing more harm than good
[393] 웹사이트 Myth of the antipsychotic http://www.guardian.[...] Guardian News and Media Limited 2008-03-02
[394] 논문 Methodological Issues in Current Antipsychotic Drug Trials http://schizophrenia[...]
[395] 논문 Recovery in Remitted First-Episode Psychosis at 7 Years of Follow-up of an Early Dose Reduction/Discontinuation or Maintenance Treatment Strategy http://www.psychodys[...]
[396] 웹사이트 Antipsychotics: Taking the Long View http://www.nimh.nih.[...] NIMH Director’s Blog 2014-02-26
[397] 논문 No regional difference in dopamine D2 receptor occupancy by the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 drug risperidone in humans: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tudy
[398] 논문 Atypical antipsychotics in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systematic overview and meta-regression analysis http://bmj.com/cgi/p[...]
[399] 논문 Mechanism of action of atypical antipsychotic drugs and the neurobiology of schizophrenia
[400] 논문 New generation antipsychotics versus low-potency conventional antipsychotic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401] 논문 A meta-analysis of the efficacy of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s
[402] 논문 Newer atypical antipsychotic medication versus clozapine for schizophrenia
[403] 논문 Extrapyramidal side effects with atypical neuroleptics in bipolar disorder
[404] 논문 Effectiveness of antipsychotic drugs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405] 문서 Interpreting the Efficacy Findings in the CATIE Study: What Clinicians Should Know 2006
[406] 논문 Second-generation versus first-generation antipsychotic drugs for schizophrenia: a meta-analysis http://psychrights.o[...]
[407] 논문 Effectiveness of olanzapine, quetiapine, risperidone, and ziprasidone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following discontinuation of a previous atypical antipsychotic
[408] 논문 Extrapyramidal side-effects of antipsychotics in a randomised trial
[409] 논문 Effectiveness of clozapine versus olanzapine, quetiapine, and risperidone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that did not respond to prior atypical antipsychotic treatment
[410] 논문 New generation antipsychotic drugs and compliance behaviour
[411] 논문 How CATIE brought us back to Kansas: a critical re-evaluation of the concept of atypical antipsychotics and their place in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http://apt.rcpsych.o[...]
[412] 웹사이트 Typical and Atypical Antipsychotics - The Misleading Dichotomy (2008) http://content.karge[...] Content.karger.com
[413] 논문 Tardive dyskinesia and atypical antipsychotic drugs
[414] 논문 Disruptive insights in psychiatry: transforming a clinical discipline http://www.ncbi.nlm.[...] 2013-01-07
[415] 논문 Effectiveness of antipsychotic drugs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416] 논문 Double-blind maintenance safety and effectiveness findings from the Treatment of Early-Onset Schizophrenia Spectrum (TEOSS) study
[417] 논문 Extrapyramidal motor side-effects of first- and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 drugs
[418] 논문 Biases in Medication Prescribing: The Case of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s http://journals.lww.[...]
[419] 논문 Comparativ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15 antipsychotic drugs in schizophrenia: a multiple-treatments meta-analysis http://www.thelancet[...] 2013-09-14
[420] 논문 Aripiprazole-Associated Hypoprolactinemia in the Clinical Setting. http://journals.lww.[...] 2016-08
[421] 뉴스 FDA Drug Safety Communication: FDA warns about new impulse-control problems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drug aripiprazole (Abilify, Abilify Maintena, Aristada) http://www.fda.gov/D[...] FDA 2016-05-03
[422] 논문 Prescription drugs associated with reports of violence towards others. http://journals.plos[...] 2010-12-15
[423] 논문 Dopamine receptor contribution to the action of PCP, LSD and ketamine psychotomimetics. http://www.nature.co[...] 2005-09
[424] 논문 Dopamine D2High receptors stimulated by phencyclidines, lysergic acid diethylamide, salvinorin A, and modafinil. http://onlinelibrary[...] 2009-08
[425] 논문 Subtype-selective inhibition of N-methyl-D-aspartate receptors by haloperidol http://molpharm.aspe[...]
[426] 논문 Is Pharma Running Out of Brainy Ideas? http://ic.ucsc.edu/~[...]
[427] 뉴스 Pipeline antipsychotic drugs to drive next market evolution http://www.healthcar[...] Healthcarefinancenews.com 2009-08-07
[428] 논문 Antipsychotic Use and Expenditure in the United States http://ps.psychiatry[...]
[429] 문서 2008 U.S. Sales and Prescription Information: Top Therapeutic Classes by U.S. Sales (PDF) http://www.imshealth[...] Imshealth.com
[430] 뉴스 GPs under 'pressure' to issue neuroleptics, claims professor Chemist + Druggist 2009-01-15
[431] 뉴스 Dementia drug use 'killing many' http://news.bbc.co.u[...] 2013-05-07
[432] 뉴스 UK study warns against anti-psychotics for dementia http://www.reuters.c[...] 2013-05-07
[433] 뉴스 Justice suit accuses Johnson & Johnson of paying kickbacks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0-01-17
[434] 논문 Why is it so difficult to stop psychiatric drug treatment? It may be nothing to do with the original problem
[435] 논문 Unanswered Questions in Schizophrenia Clinical Trials
[436] 논문 Long-term outcome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 review http://ww1.cpa-apc.o[...] 2008-07-05
[437] 웹사이트 Side Effects May Include Lawsuits http://www.nytimes.c[...] 2012-01-05
[438] 웹사이트 Drug Maker’s E-Mail Released in Seroquel Lawsuit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Company 2009-02-27
[439] 논문 Pharmaceutical industry agenda setting in mental health policies http://www.uow.edu.a[...]
[440] 뉴스 Lilly to Pay Up to $500 Million to Settle Claims http://www.nytimes.c[...] 2013-03-15
[441] 뉴스 Top 10 Drug Company Settlements http://healthland.ti[...] TIME.com 2013-02-23
[442] 문서 Forced treatment must be banned
[443] 웹사이트 Supreme Court of Alaska. No. S-11021. https://caselaw.find[...] Thomson Reuters 2018-07-02
[444] 웹사이트 Alaska Forced Medication Case http://psychrights.o[...] Law Project for Psychiatric Rights 2018-07-02
[445] 문서
[446] 웹사이트 "#07-782: 09-28-07 Bristol-Myers Squibb to Pay More Than $515 Million to Resolve Allegations of Illegal Drug Marketing and Pricing" http://www.justice.g[...] Justice.gov 2012-11-30
[447] 웹사이트 Pharmaceutical Company Eli Lilly to Pay Record $1.415 Billion for Off-Label Drug Marketing http://www.justice.g[...] Justice.gov 2013-02-23
[448] 웹사이트 Pharmaceutical Company Pfizer, Inc. To Pay $301 Million for Off-Label Drug Marketing http://www.justice.g[...] Justice.gov 2013-02-23
[449] 웹사이트 Pharmaceutical Giant AstraZeneca to Pay $520 Million for Off-label Drug Marketing http://www.justice.g[...] Justice.gov 2012-11-30
[450] 뉴스 Companies belittled risks of Risperdal, slapped with huge fine http://articles.lati[...] 2013-02-23
[451] 논문 Cannabidiol as a Potential New Type of an Antipsychotic. A Critical Review of the Evidence https://www.ncbi.nlm[...]
[452] 보고서 カンナビジオール(CBD)事前審査報告書 http://cannabis.kenk[...] 世界保健機関 2017-12-05
[453] 논문 Is cannabidiol an effective treatment for schizophrenia? 2017-08-09
[454] 논문 Cannabidiol (CBD) as an Adjunctive Therapy in Schizophrenia: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455] 논문 Omega-3 fatty acids in first-episode schizophrenia -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of efficacy and relapse prevention (OFFER): rationale, design, and methods http://bmcpsychiatry[...]
[456] 논문 Microglia and Brain Plasticity in Acute Psychosis and Schizophrenia Illness Course: A Meta-Review https://www.frontier[...] 2017-11-16
[457] 논문 Increased microglial synapse elimination in patient-specific models of schizophrenia https://www.biorxiv.[...] 2017-12-08
[458] 간행물 抗微生物薬適正使用の手引き 第一版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7-12-10
[459] 서적 Pharmacology http://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460] 웹사이트 Schizophrenia http://emedicine.med[...] 2013-10-02
[461] 문서 Schizophrenia 2013-08-22
[462] 논문 "Antipsychotic withdrawal symptoms: phenomenology and pathophysiology" 198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