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왕대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의 왕대비는 조선 시대 왕실에서 왕의 어머니, 왕비 또는 세자빈으로서 왕실의 어른을 지칭하는 존칭이다. 본래 중국의 황태후에서 유래되었으나, 조선은 명나라, 청나라의 신하국을 자처하며 왕대비로 불렀다. 왕대비는 왕비가 남편인 임금의 죽음으로 선왕비가 되거나, 임금이 아들에게 양위하여 상왕이 될 경우 상왕비가 되는 경우, 또는 세자빈이 남편의 사망 후 아들이 왕위에 오르는 경우에 오를 수 있었다. 1894년 갑오경장 이후 왕실 의례가 독립국의 격으로 격상되면서 왕태후로 불리기도 했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효정왕후가 유일하게 황태후로 격상되었다.
조선은 명나라, 청나라의 신하국이었기 때문에 초기부터 태후를 칭하는 것이 금지되어 왕대비로 불렸다. 왕대비는 본래 중국에서 칭하는 황태후에서 따온 말로, 명목상 신하국을 자처한 조선은 태자를 대(大) 자로 낮추고 후(后) 역시 비(妃)로 낮추어서 왕대비로 명명하였다.
2. 역사
왕비로서 왕대비에 오르는 것은 일반적으로 남편(임금)이 죽어 선왕비(先王妃)로서 오르는 것과, 남편(임금)이 아들이나 왕족에게 선위하여 상왕이 되고 자신은 상왕비(上王妃)로서 오르는 것이다.[6][7] 세자빈으로서 왕대비에 오르는 것은 남편(왕세자)이 죽어 왕위를 잇진 못했지만, 아들이 왕위에 오르는 경우다. 조선 왕조에서 이런 경우는 소혜왕후(인수대비)와 신정왕후(조대비) 두 명뿐이다.[8][9]
1894년 갑오경장 때 청나라에 대한 사대의 예를 폐지하고 왕실의 의례를 독립국의 격으로 격상하면서 왕비와 대비를 각각 왕후와 왕태후로 격상하고 그 존칭은 폐하(陛下)라 하였다.[3] 이어 1897년 대한제국이 성립되면서 대군주가 황제로 격상되자 왕태후 역시 황태후로 격상되었다.[4] 조선에서 황태후를 지낸 인물은 효정왕후(명헌태후) 뿐이다.
조선 왕조는 특유의 사회 제도 형태인 적서 차별 탓에 후궁은 임금의 생모(生母)라 할지라도 왕대비에 오를 수 없었으며, 오직 왕비(중전)와 세자빈(빈궁)만이 왕대비에 오를 수 있는 자격이 있었다.[5]
다음은 조선시대 왕대비의 목록이다.시호 당시 왕 배우자 본관 재위 기간 비고 정안왕후 태종 정종 경주 김씨 1400년 - 1412년 조선 최초의 왕대비 원경왕후 세종 태종 여흥 민씨 1418년 - 1422년 정순왕후 세조 단종 여산 송씨 1455년 - 1457년 남편 단종이 상왕에서 서인으로 강등되면서 대비 지위 폐위 정희왕후 예종, 성종 세조 파평 윤씨 1468년 - 1483년 조선 최초 수렴청정 소혜왕후 연산군 덕종 청주 한씨 1475년 - 1504년 (추존) 철의 여인, 며느리 폐비 윤씨 사사 안순왕후 연산군 예종 청주 한씨 1469년 - 1499년 정현왕후 연산군, 중종 성종 파평 윤씨 1494년 - 1530년 문정왕후 명종 중종 파평 윤씨 1544년 - 1565년 수렴청정, 정권 장악 인성왕후 명종, 선조 인종 반남 박씨 1545년 - 1578년 인순왕후 선조 명종 청송 심씨 1567년 - 1575년 1년간 수렴청정 인목왕후 광해군, 인조 선조 연안 김씨 1608년 - 1618년, 1623년 - 1632년 경운궁 유폐, 인조반정으로 복위 장렬왕후 효종, 현종, 숙종 인조 양주 조씨 1649년 - 1688년 두 차례 예송 논쟁 인선왕후 현종 효종 덕수 장씨 1659년 - 1674년 명성왕후 숙종 현종 청풍 김씨 1674년 - 1684년 국정 간섭 인원왕후 경종, 영조 숙종 경주 김씨 1720년 - 1757년 연잉군(영조) 후견, 소론과 대립 선의왕후 영조 경종 함종 어씨 1724년 - 1730년 연잉군 제거 시도 실패, 요절 정순왕후 정조, 순조 영조 경주 김씨 1776년 - 1805년 3년간 수렴청정 효의왕후 순조 정조 청풍 김씨 1800년 - 1821년 순원왕후 헌종 순조 안동 김씨(安東 金氏) 1834년 - 1857년 두 차례 수렴청정 신정왕후 헌종, 철종 익종 풍양 조씨 1834년 - 1890년 (추존) 흥선대원군과 수렴청정 효정왕후 철종, 고종 헌종 남양 홍씨 1849년 - 1904년 철인왕후 고종 철종 안동 김씨(安東 金氏) 1863년 - 1878년 순정효황후 일본 통치 시대, 대한민국 순종 해평 윤씨 1926년 - 1966년 대한제국 황태후
2. 1. 조선 전기 왕대비
정안왕후는 조선 최초의 왕대비이다. 원경왕후는 태종의 비이자 세종의 어머니로 왕대비가 되었다. 정순왕후는 단종의 비였으나, 남편 단종이 상왕에서 서인으로 강등되면서 대비 지위를 잃었다. 정희왕후는 세조의 비이자 예종의 어머니로, 손자인 성종이 어려 조선 최초로 수렴청정을 하였다.
소혜왕후는 덕종의 비이자 성종의 어머니로, 흔히 인수대비로 알려져 있다. 조선 역사에서 철의 여인으로 불리며, 며느리 폐비 윤씨를 사사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안순왕후는 예종의 비이자 성종의 어머니이다. 정현왕후는 성종의 비로, 연산군과 중종 대에 왕대비였다.
문정왕후는 중종의 비이자 인종의 어머니로, 어린 아들 명종을 대신해 수렴청정을 하고, 이후에도 정권을 장악했다. 인성왕후는 인종의 비로, 명종과 선조 대에 왕대비였다. 인순왕후는 명종의 비로, 선조 즉위 초 1년간 수렴청정을 했다.
인목왕후는 선조의 비로, 광해군 때 폐위되어 경운궁에 유폐되었다가 인조반정으로 복위되었다. 장렬왕후는 인조의 비로, 효종 대에 왕대비였으며, 두 차례 예송 논쟁을 겪었다. 인선왕후는 효종의 비이자 현종의 어머니이다. 명성왕후는 현종의 비이자 숙종의 어머니로, 아들 숙종의 통치 기간에 국정에 깊이 관여했다.
인원왕후는 숙종의 비로, 경종 대에 왕대비였으며, 연잉군(후의 영조)의 후견인으로 소론과 대립했다. 선의왕후는 경종의 비로, 영조를 제거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요절했다. 정순왕후는 영조의 비로, 정조 대에 왕대비였으며, 순조 즉위 초 3년간 수렴청정을 했다.
효의왕후는 정조의 비로, 순조 대에 왕대비였다. 순원왕후는 순조의 비로, 헌종 대에 왕대비였으며, 두 차례 수렴청정을 했다. 신정왕후는 익종의 비로, 헌종과 철종 대에 왕대비였으며, 고종을 위해 흥선대원군과 함께 수렴청정을 했다.
효정왕후는 헌종의 비로, 철종과 고종 대에 왕대비였다. 철인왕후는 철종의 비로, 고종 대에 왕대비였다. 순정효황후는 순종의 비로, 대한제국의 황태후였으며,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 시기를 모두 겪었다.
시호 | 배우자 | 별칭 | 본관 | 재위 기간 | 왕릉 |
---|---|---|---|---|---|
정안왕후 | 태종 | 덕빈, 덕비, 순덕왕태비 | 경주 김씨 | 1400년 - 1412년 | 후릉 |
원경왕후 | 세종 | 정녕옹주, 정빈, 정비, 후덕왕태비 | 여흥 민씨 | 1418년 - 1422년 | 헌릉 |
정순왕후 | 단종 | 의덕왕대비 | 여산 송씨 | 1455년 - 1457년 | 사릉 |
정희왕후 | 예종 | 낙랑부대부인, 자성왕대비, 자성대왕대비 | 파평 윤씨 | 1468년 - 1469년 | 광릉 |
소혜왕후 | 성종 | 수빈, 인수왕비, 인수왕대비, 인순대왕대비 | 청주 한씨 | 1475년 - 1494년 (추존) | 경릉 |
안순왕후 | 성종 | 혜인왕대비, 명의대왕대비 | 청주 한씨 | 1469년 - 1494년 | 창릉 |
정현왕후 | 연산군, 중종 | 자순왕대비 | 파평 윤씨 | 1494년 - 1530년 | 선릉 |
문정왕후 | 인종 | 성열대왕대비 | 파평 윤씨 | 1544년 - 1545년 | 태릉 |
인성왕후 | 명종, 선조 | 공의왕대비 | 반남 박씨 | 1545년 - 1578년 | 효릉 |
인순왕후 | 선조 | 의성왕대비 | 청송 심씨 | 1567년 - 1575년 | 강릉 |
인목왕후 | 광해군, 인조 | 소성왕대비, 명렬대왕대비 | 연안 김씨 | 1608년 - 1618년, 1623년 - 1624년 | 목릉 |
장렬왕후 | 효종 | 자의왕대비, 자의공신대왕대비 | 양주 조씨 | 1649년 - 1659년 | 휘릉 |
인선왕후 | 현종 | 풍안부부인, 효숙왕대비 | 덕수 장씨 | 1659년 - 1674년 | 녕릉 |
명성왕후 | 숙종 | 현열왕대비 | 청풍 김씨 | 1674년 - 1684년 | 숭릉 |
인원왕후 | 경종 | 혜순왕대비, 혜순자경대왕대비 | 경주 김씨 | 1720년 - 1724년 | 명릉 |
선의왕후 | 영조 | 경순왕대비 | 함종 어씨 | 1724년 - 1730년 | 의릉 |
정순왕후 | 정조 | 예순왕대비, 예순성철대왕대비 | 경주 김씨 | 1776년 - 1800년 | 원릉 |
효의왕후 | 순조 | 효의선황후 | 청풍 김씨 | 1800년 - 1821년 | 건릉 |
순원왕후 | 헌종 | 명경왕대비, 문인광성대왕대비, 순원숙황후 | 안동 김씨 | 1834년 | 인릉 |
신정왕후 | 헌종, 철종 | 효유왕대비, 선경순화대왕대비, 신정익황후 | 풍양 조씨 | 1834년 - 1857년 (추존) | 수릉 |
효정왕후 | 철종, 고종 | 명헌대비, 명헌왕대비, 명헌왕태후, 명헌태후, 효정성황후 | 남양 홍씨 | 1849년 - 1904년 | 경릉 |
철인왕후 | 고종 | 명순대비, 철인장황후 | 안동 김씨 | 1863년 - 1878년 | 예릉 |
순정효황후 | 일본 통치 시대, 대한민국 | 이왕비, 이왕대비 | 해평 윤씨 | 1926년 - 1966년 | 유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