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디난트 3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디난트 3세는 1637년부터 1657년까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였다. 그는 30년 전쟁 시기 제국군 총지휘관으로 활약하며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고,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을 체결하여 전쟁을 종결시켰다. 이 조약으로 네덜란드의 독립이 공인되고 제국 내 개인의 신앙 자유가 허용되었으나, 신성 로마 제국은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그는 음악의 후원자이자 작곡가로도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르디난트 3세 - 베스트팔렌 조약
베스트팔렌 조약은 1648년 30년 전쟁과 80년 전쟁을 종식하기 위해 체결된 일련의 조약으로, 프랑스는 알자스 지역을 확보하고 스웨덴은 발트해 지역의 영향력을 강화했으며, 각 제후의 종교 선택의 자유를 보장하고 신성 로마 제국 내 영방의 주권을 인정하여 유럽의 정치 지형을 변화시켰다. - 페르디난트 3세 - 뇌르틀링겐 전투 (1634년)
30년 전쟁 중 1634년 9월 6일 뇌르틀링겐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합스부르크 군이 스웨덴 및 독일 프로테스탄트 연합군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며 전쟁의 흐름을 바꾸고 독일 프로테스탄트 군주들의 개별 평화 협상과 프랑스의 적극적인 전쟁 개입을 야기했다. - 테셴 공작 - 마리아 크리스티나 폰 테셴 여공작
마리아 크리스티나 폰 테셴 여공작은 오스트리아 여대공이자 테셴 공작 부인으로, 예술적 재능으로 알베르티나 미술 컬렉션 형성에 기여했으며,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공동 통치자, 혁명으로 인한 망명 생활을 겪고 빈 황제 묘소에 안장되었다. - 테셴 공작 - 카를 폰 외스터라이히테셴 공작
카를 폰 외스터라이히테셴 공작은 오스트리아의 야전원수로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했으며, 아스페른-에슬링 전투에서 나폴레옹에게 첫 패배를 안겨주었지만 바그람 전투에서 패배 후 은퇴하여 군사 이론가로 활동했고 빈에 기마상이 세워졌다. - 17세기 신성 로마 황제 - 페르디난트 2세
페르디난트 2세는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왕으로, 반종교개혁을 추진하여 30년 전쟁의 원인이 되었으나 초기에는 승리했으나, 이후 전쟁의 역전과 재정난 속에 아들에게 제위를 계승했다. - 17세기 신성 로마 황제 - 레오폴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레오폴트 1세는 1658년부터 1705년까지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서 프랑스와 오스만 제국의 위협에 맞서 제국을 수호하고 학문과 예술을 장려했으며 제국 헌법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페르디난트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페르디난트 에른스트 |
출생일 | 1608년 7월 13일 |
출생지 | 신성 로마 제국, 슈타이어마르크 공국, 그라츠 |
사망일 | 1657년 4월 2일 |
사망지 | 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대공국, 빈 |
매장지 | 빈, 황실 납골당 |
종교 | 가톨릭 교회 |
![]() | |
통치 | |
작위 | 신성 로마 황제 |
즉위 | 1637년 2월 15일 |
대관식 | 1637년 11월 18일, 프랑크푸르트 대성당 (선포) |
선임자 | 페르디난트 2세 |
후임자 | 레오폴트 1세 |
추가 작위 | 헝가리 국왕 보헤미아 국왕 오스트리아 대공 크라인 공 테셴 공 |
가문 | |
왕가 | 합스부르크 가문 |
아버지 | 페르디난트 2세 |
어머니 | 마리아 안나 폰 바이에른 |
배우자 | |
배우자 1 | 마리아 안나 폰 오스트리아 (1631년 2월 20일 결혼, 1646년 5월 13일 사망) |
배우자 2 | 마리아 레오폴디네 폰 오스트리아 (1648년 7월 2일 결혼, 1649년 8월 7일 사망) |
배우자 3 | 엘레오노라 곤차가 (1651년 4월 30일 결혼) |
자녀 | |
자녀 목록 | 페르디난트 4세 마리아나, 스페인 여왕 레오폴트 1세 카를 요제프 폰 외스터라이히 대공 엘레오노레, 폴란드 왕비 마리아 안나 요제파, 팔츠 선제후비 |
2. 초년 및 즉위
페르디난트 3세는 신성 로마 제국의 페르디난트 2세 황제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형들이 모두 요절했기 때문에 후계자가 되었고, 30년 전쟁이 한창이던 중 아버지 페르디난트 2세로부터 1625년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왕, 1627년 보헤미아의 왕으로 임명되었다.[42] 1636년에는 레겐스부르크에서 열린 제국의회를 통해 로마 왕(독일 왕)으로 선출되었으며, 1637년 부친이 사망하자 신성 로마 황제로 즉위했다.[42]
1621년 오스트리아 대공이 되었고, 1625년 헝가리 왕, 1627년에는 보헤미아 왕으로 즉위했다.[2] 보헤미아 왕 즉위 당시에는 개정된 토지 조례를 발표하여 자신의 권위를 강화하고 보헤미아 영지가 병사를 모집할 권한을 군주에게 귀속시켰다.[7]
1630년 레겐스부르크 제국 의회에서 로마 왕으로 선출되려 했으나 실패했고,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의 작전에 참여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빈에서 발렌슈타인의 반대 세력에 합류하여 1634년 발렌슈타인의 해임에 관여했다.[2]
1631년 사촌인 스페인의 인판타 마리아 안나와 결혼하여 헝가리의 페르디난트 4세와 황제 레오폴트 1세를 포함하여 여섯 명의 자녀를 낳았다. 그의 아내는 합스부르크 가문을 위한 어려운 전쟁 기간 동안 마드리드, 브뤼셀, 빈의 합스부르크 궁정을 잇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7]
2. 1. 교육
페르디난트는 그라츠에서 합스부르크가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2세와 그의 첫 번째 부인 바이에른의 마리아 안나 사이에서 셋째 아들로 태어나 '페르디난트 에른스트'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그는 부모님의 사랑을 받으며 케른텐 공국에서 자랐고, 형제자매들과 아버지에 대한 깊은 애정을 키웠으며, 훗날 불화가 있더라도 항상 아버지와 합의점을 찾았다. 아버지의 궁정에서 그는 예수회로부터 종교적, 학문적 훈련을 받았다. 몰타 기사단의 요한 야코프 폰 다운과 크리스토프 지몬 폰 툰(페르디난트의 제국 궁정과 가문의 수장)은 젊은 대공의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5] 지몬 폰 툰은 페르디난트에게 군사 문제를 가르쳤다. 페르디난트는 여러 언어를 구사했다고 전해지지만, 그 수가 얼마나 되는지, 어느 정도 수준인지는 불분명하다.
3. 30년 전쟁
마틴 루터의 종교 개혁 이후 개신교가 등장하여 탄압받았지만, 아우크스부르크 화의를 통해 루터파 신앙은 허용되었다. 그러나 칼뱅파 등 다른 개신교 교리는 인정받지 못해 종교 분쟁의 불씨가 남아 있었다.[43] 17세기 초, 루돌프 2세와 마티아스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방계이자 독실한 가톨릭 신자인 페르디난트 2세가 황제가 되어 개신교 세력을 탄압하기 시작했다.[43]
페르디난트 2세는 틸리 백작과 발렌슈타인을 등용하여 전쟁 초반 우위를 점했으나, 틸리 백작은 브라이텐펠트 전투에서 부상으로 사망하고,[44] 발렌슈타인은 1634년 반역 혐의로 암살되었다.[45] 이후 페르디난트 3세가 신성 로마 제국군 총지휘관이 되어, 레겐스부르크를 탈환하고 뇌르틀링겐 전투에서 스페인의 지원을 받아 스웨덴 군을 격파하는 등 전공을 세웠다.[45] 1635년에는 프라하 조약을 통해 작센 등 개신교 제후들과 평화를 맺기도 했다.
그러나 1635년 프랑스가 30년 전쟁에 참전하고, 1643년 로크루아 전투에서 스페인이 프랑스에 패배하면서 합스부르크 가문의 패색이 짙어졌다. 페르디난트 3세는 1641년 레겐스부르크에서 제국 의회를 열어 종전을 모색했고, 함부르크 등에서 개신교 연합, 스웨덴, 프랑스와 평화 협상을 시도했다. 결국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을 체결하여 30년 전쟁을 종식시켰으나, 스웨덴과 프랑스에 영토를 할양하고, 네덜란드의 독립을 인정해야 했다.[46]
30년 전쟁으로 제국은 황폐화되고 인구의 약 40~50%가 사망했으며,[48] 신성 로마 제국은 쇠퇴의 길을 걸었다.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제후들의 독립권과 독자적인 외교권이 인정되고 개인 신앙의 자유가 주어지면서,[46] 합스부르크 가의 중앙 집권화 시도는 좌절되었다. 이 조약은 근대적 국제법의 등장과 외교 관계, 질서 성립의 기반이 되었다.[47]
3. 1. 제국군 총지휘관 시기
1634년 발렌슈타인이 아버지 페르디난트 2세에 의해 암살된 후, 페르디난트 3세는 신성 로마 제국군 총지휘관이 되었다.[41] 형식적인 지휘권이었으나, 발렌슈타인의 죽음을 기회로 스웨덴・하일브론 동맹 군이 뇌르틀링겐으로 침공하자, 페르디난트 3세는 사촌이자 매형인 페르난도가 이끄는 스페인 군과 협력하여 뇌르틀링겐 전투에서 승리했다.[45]이 승리로 페르디난트 3세는 남부 독일을 평정했고, 1635년 프라하 조약을 통해 작센 선제후 요한 게오르크 1세 등 반항적인 제후들과 화해했다.[41] 1636년에는 선제후들에 의해 로마 왕으로 선출되어 제위 계승이 확실해졌다.
3. 2. 프라하 평화 조약(1635)
30년 전쟁이 계속되던 중 1634년, 황제군 사령관 발렌슈타인이 아버지에 의해 암살된 후, 황제군의 지휘권을 위임받았다.[41] 이 지휘권은 처음에는 장식에 불과했고, 페르디난트가 제위 계승자임을 제국 내에 선언하게 하는 것뿐이었다. 그러나 발렌슈타인의 죽음을 기회로 본 스웨덴·하일브론 동맹 군이 대거 뇌르틀링겐으로 침공했고, 이에 맞서 싸운 페르디난트 3세는 사촌이자 매형인 스페인령 네덜란드 총독 페르난도가 이끄는 스페인 군을 투입하여 격파하고, 오히려 그 존재를 알렸다(뇌르틀링겐 전투).이 승리는 아버지를 기쁘게 했고, 페르디난트는 전쟁 후 남부 독일을 진군하며 평정했고, 1635년에 아버지가 작센 선제후 요한 게오르크 1세와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1세를 비롯한 반항적인 제후들과 화해(프라하 조약)했다. 1636년에 선제후에 의해 로마 왕으로 선출되어 제위 계승이 확실해졌다.[41]
1635년, 페르디난트 3세는 프라하 평화 협상에서 제국 위원으로 활동하며 선제후들이 공동 군사 작전의 아이디어를 채택하도록 설득하려 했다. 그는 또한 여전히 망설이는 개신교 제후들을 평화 과정에 포함시키는 것을 옹호했다.
3. 3. 전쟁의 지속과 강화
페르디난트 3세는 1636년 12월 22일 레겐스부르크 제국 회의에서 로마인의 왕으로 선출되었고, 1637년 아버지 페르디난트 2세가 사망하자 신성 로마 황제가 되었다. 그러나 즉위 후에도 30년 전쟁은 계속되었고, 제국 내는 크게 황폐해졌다.[11] 1635년 프랑스가 스페인에게 선전포고를 하고 30년 전쟁에 개입하면서 전쟁은 다시 격화되었다.[13]초기에는 황제군이 우세했지만, 1641년 네덜란드에서 페르난도가 사망하고,[41] 1642년 브라이텐펠트 전투에서 동생 레오폴트 빌헬름이 레나트 토르스텐손 휘하의 스웨덴 군에게 패배하면서 전황이 불리해졌다.[19][20]
1643년 로크루아 전투에서 스페인 군이 콩데 공 루이 2세가 이끄는 프랑스 군에게 대패하면서 스페인의 지원을 기대하기 어려워졌다.[21] 1645년에는 보헤미아로 침공한 스웨덴군에게 황제군이 패배(얀카우 전투)하자, 페르디난트 3세는 프라하에서 빈으로 도피했다.[2] 같은 해 튀렌이 이끄는 프랑스군이 바이에른을 침공, 뇌르틀링겐 전투에서 동맹군인 바이에른이 패배하고, 작센이 스웨덴과 화해하면서 더욱 궁지에 몰렸다.
1646년 칼 구스타브 랑겔 휘하의 스웨덴군이 튀렌의 프랑스군과 합류하여 바이에른을 침략했고, 1647년에는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1세마저 프랑스 및 스웨덴과 화해하면서 서쪽에서도 공격받을 위험에 처했다. 1648년 바이에른이 다시 황제군에 복귀했지만, 추스마르스하우젠 전투에서 프랑스-스웨덴 연합군에게 패배하고, 스페인도 네덜란드에서 콩데 공에게 패배(랑스 전투)하면서 황제 측의 패배가 결정되었다. 결국 페르디난트 3세는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을 수락하여 30년 전쟁을 종결지었다.[46]
3. 4. 베스트팔렌 조약(1648)
1643년 로크루아 전투에서 스페인 군이 프랑스 군에게 크게 패하면서 스페인의 지원을 기대할 수 없게 되었다.[20] 1645년 보헤미아로 침공한 스웨덴군에게 황제군이 패배(얀카우 전투)하자, 프라하에서 빈으로 도망치는 실수를 저질렀다.[41] 궁지에 몰린 페르디난트 3세는 제후들에게 휴전을 주장했지만, 처음에는 상대해주지 않았다. 같은 해 튀렌이 이끄는 프랑스군이 바이에른을 침공, 뇌르틀링겐 전투에서 동맹군인 바이에른이 패배, 작센이 스웨덴과 화해를 맺어 보헤미아까지의 장애가 없어지면서 더욱 궁지에 몰렸다.1646년에 토르스텐손으로부터 지휘를 인수한 칼 구스타브 랑겔이 이끄는 스웨덴군이 튀렌의 프랑스군과 합류하여 바이에른을 침략, 1647년 막시밀리안 1세도 프랑스・스웨덴군과 화해하여 서쪽에서도 공격받을 위험성이 생겼다. 1648년 바이에른은 화해를 깨고 황제군에 복귀했지만, 추스마르스하우젠 전투에서 다시 프랑스・스웨덴군에게 패배, 스페인도 네덜란드에서 콩데 공에게 패배(랑스 전투), 프라하가 스웨덴군에게 포위되면서 황제 측의 패배가 결정되었다. 결국 페르디난트 3세는 개신교・가톨릭 양측의 타협에 의해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을 수락함으로써, 30년 전쟁을 종결시켰다.
베스트팔렌 조약은 근대 국가 최초의 국제 조약이지만, 이로 인해 황제는 종교적으로 개신교 제후들의 특권을 대폭 인정하고(칼뱅파의 용인), 정치적으로 영방의 자립권(주권), 네덜란드와 스위스의 독립을 정식으로 인정했기 때문에 국가로서의 신성 로마 제국은 붕괴되었다. 이 조약은 이른바 ''''신성 로마 제국의 사망 진단서''''''였다. 게다가, 승전국인 프랑스와 스웨덴에게 제국 내 영토 영유를 인정받았다. 황제 권력이 부정되고 제국 의회의 의결 아래 놓이면서, 황제에 의한 중앙 집권화(절대주의)는 와해되었다. 이 30년 전쟁 후의 유럽 체제를 베스트팔렌 체제라고 한다.
그렇지만, 합스부르크가 영지는 유지하는 데 성공했고, 유일하게 실수를 범한 보헤미아에서도 프라하는 함락되지 않았기 때문에 합스부르크가의 보헤미아 왕위는 보존되었다. 합스부르크가의 세습 영지인 오스트리아에서는 가톨릭이 견고하게 지켜졌으며, 절대주의도 유지되었기 때문에, 오스트리아의 제국으로부터의 이탈의 첫걸음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4.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30년 전쟁은 종결되었지만, 이 조약은 근대 국가 최초의 국제 조약으로서 신성 로마 제국의 붕괴를 가져왔다. 황제는 종교적으로 프로테스탄트 제후들의 특권을 대폭 인정해야 했고, 정치적으로는 영방의 자립권과 네덜란드, 스위스의 독립을 인정해야 했다. 이는 ''신성 로마 제국의 사망 진단서''와 같았다. 승전국인 프랑스와 스웨덴은 제국 내 영토를 획득했고, 황제 권력은 제국 의회의 의결 아래 놓이면서 중앙 집권화는 와해되었다.
그러나 합스부르크가는 영지를 유지하는 데 성공했고, 보헤미아 왕위도 보존했다. 오스트리아에서는 가톨릭과 절대주의가 유지되어, 오스트리아가 제국에서 이탈하는 첫걸음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독일 국가 연합으로서의 신성 로마 제국은 여전히 기능했고, 페르디난트 3세는 베스트팔렌 조약 이행에 힘썼다. 1657년 4월 2일, 페르디난트 3세는 48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빈의 카푸친 납골당에 안치되었다. 그의 내장은 별도로 빈 대공 납골당에 묻혔다. 1654년 장남 페르디난트 4세가 사망했기 때문에, 제위는 이듬해인 1658년 차남 레오폴트 1세가 계승했다. 페르디난트 3세가 체결한 조약으로 제국의 혼란은 진정되었지만, 합스부르크가의 약화가 시작되었다. 합스부르크가의 재건은 1683년 제2차 빈 포위 이후, 마리아 테레지아의 등장과 함께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4. 1. 제국 내 권위 회복 노력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에도 프랑스와 스페인의 전쟁은 1659년 피레네 조약 체결 때까지 계속되었다.[49] 페르디난트 3세는 스웨덴을 견제하기 위해 폴란드-리투아니아와 동맹을 맺었다. 또한 프랑스가 황제 선출 제도를 변경하려는 움직임에 대응하여 1653년 장남 페르디난트를 로마 왕, 헝가리, 크로아티아, 보헤미아 왕으로 선출했으나, 그는 1년 만에 천연두로 사망했다.[50] 이후 차남 레오폴트가 프랑스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아버지의 사후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즉위했다.만년에도 외교에서 활약했고, 1656년에는 프랑스-스페인 전쟁의 이탈리아 전선에서 고전하고 있는 스페인에 원군을 보냈다. 또한 죽기 직전에는 스웨덴 국왕 칼 10세의 야망을 경계하여 대홍수 시대의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동맹을 체결했다.
5. 죽음
페르디난트 3세는 1657년 48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카푸친 황실납골당에 안장되었다.[41] 1654년 장남이자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왕위를 계승했던 로마 왕 페르디난트 4세가 사망했기 때문에, 제위는 이듬해인 1658년 차남 레오폴트 1세가 계승했다.
페르디난트 3세가 체결한 조약으로 제국의 혼란은 진정되었지만, 그 대가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컸다. 이 시대에 황제는 형식적인 존재가 되었고, 동시에 합스부르크가의 약화도 시작되었다. 합스부르크가의 재건은 1683년 제2차 빈 포위 이후까지 기다려야 했고, 본격적인 부흥은 마리아 테레지아의 등장으로 시작하게 된다.
6. 평가
페르디난트 3세는 무능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30년 전쟁을 종결시키고 합스부르크 가문의 세습 영지에 대한 주권을 재확립했다는 평가도 받는다.[51] 또한 음악과 예술에 많은 후원을 하여 음악과 예술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51]
30년 전쟁 이후, 페르디난트 3세는 베스트팔렌 조약의 이행에 힘썼다. 1656년에는 프랑스-스페인 전쟁에서 고전하던 스페인에 원군을 보냈고, 대홍수 시대의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동맹을 맺어 스웨덴 국왕 칼 10세의 야망을 견제하기도 했다.
페르디난트 3세가 체결한 조약으로 제국의 혼란은 진정되었지만, 그 대가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컸다. 이 시대에 황제는 형식적인 존재가 되었고, 동시에 합스부르크 가문의 약화도 시작되었다. 합스부르크 가문의 재건은 1683년 제2차 빈 포위 이후, 마리아 테레지아 시대에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7. 가족
페르디난트 3세는 총 세 번 결혼했다.
첫 번째 부인은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가의 펠리페 3세와 숙모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의 딸이자 사촌 누나인 스페인의 마리아 안나였다. 둘 사이에는 세 명의 자녀가 성년이 될 때까지 성장했다.
- 페르디난트 4세 (1633년 ~ 1654년) :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국왕
- 마리아나 (1634년 ~ 1696년) : 스페인 왕비 (펠리페 4세와 결혼, 카를로스 2세의 모친)
- 레오폴트 1세 (1640년 ~ 1705년) :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두 번째 부인은 숙부이자 이너외스터라이히 대공 레오폴트 5세의 딸인 마리아 레오폴디네였다. 마리아 레오폴디네는 출산으로 인해 사망하였다.[52]
- 카를 요제프 대공 (1649년 ~ 1664년) : 튜튼 기사단장
세 번째 부인은 엘레오노라 막달레나 곤차가였다. 둘 사이에는 네 명의 자식이 태어났으나, 두 명은 요절했다. 살아남은 두 딸은 다음과 같다.
- 엘레노르 마리아 요제파 (1653년 ~ 1697년) : 폴란드 왕비, 이후 로렌 공작 샤를 5세와 재혼, 로렌 공작 프란츠 1세의 할머니
- 마리아 안나 요제파 (1654년 ~ 1689년) : 팔츠 선제후비
8. 음악
페르디난트 3세는 조반니 발렌티니에게 음악을 배웠고, 17세기의 중요한 건반 악기 작곡가인 요한 야코프 푸르베르거와도 친밀한 관계였다. 그는 음악가 후원자였을 뿐만 아니라, 미사곡, 모테트, 찬미가 등의 종교곡과 소수의 세속곡을 작곡하기도 했다. 현존하는 그의 작품에서는 발렌티니의 영향을 엿볼 수 있지만, 독자적인 스타일과 확실한 기술 또한 엿보인다.
참조
[1]
서적
Ferdinand III., der Wiederhersteller der Prager Universität. Eine hist. Skizze
https://books.google[...]
na
[2]
서적
Making Peace in an Age of War: Emperor Ferdinand III (1608–1657)
https://books.google[...]
Purdue University Press
2019-11-15
[3]
서적
The Ashgate Research Companion to the Thirty Years' Wa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3-23
[4]
서적
Sacred Music as Public Image for Holy Roman Emperor Ferdinand III: Representing the Counter-Reformation Monarch at the End of the Thirty Years' Wa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4-08
[5]
웹사이트
Johann Jakob von Daun, Reichsgraf
http://worldhistory.[...]
Worldhistory
2020-03-05
[6]
서적
Die Habsburger. Eine europäische Familiengeschichte.
Styria
[7]
서적
The Army of Francis Joseph
https://books.google[...]
Purdue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Kurfürst Maximilian I. von Bayern, die Habsburger und die Reichsstadt Regensburg im Ringen um ihre Hoheit
https://epub.uni-reg[...]
Uni Regensburg
2020-03-05
[9]
웹사이트
Ferdinand III.
https://www.deutsche[...]
Deutsche Biographie
2020-03-05
[10]
서적
Ferdinand III., der Wiederhersteller der Prager Universität. Eine hist. Skizze
https://books.google[...]
na
[11]
학술지
The Causes of the Thirty Years' War 1618–48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6-01
[12]
서적
The Thirty Years' War: Europe's Traged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The Thirty Years' War: Europe's Traged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The Thirty Years' War: Europe's Traged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The Thirty Years' War: Europe's Traged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Thirty Years' War: Europe's Traged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The Thirty Years' War: Europe's Traged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Thirty Years' War: Europe's Traged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e Thirty Years' War: Europe's Traged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The Preliminaries of Hamburg
http://mateo.uni-man[...]
Uni Mannheim
2020-03-07
[21]
서적
Germany at War: 400 Years of Military History [4 volumes]: 400 Years of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
[22]
학술지
Das "ius Belli AC Pacis" des Alten Reiches Zwischen 1645 und 1801
jstor
[23]
서적
Scots in Habsburg Service: 1618–1648
https://books.google[...]
Brill
[24]
서적
Dreißigjähriger Krieg und Westfälischer Friede
Verlag Ferdinand Schöningh
2020-03-19
[25]
서적
Der Westfälische Friede: Diplomatie – politische Zäsur – kulturelles Umfeld – Rezeptionsgeschichte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014
[26]
서적
Die Habsburgermonarchie und der Dreißigjährige Krieg
https://books.google[...]
Böhlau Verlag Wien
2019
[27]
서적
Theatrum Belli – Theatrum Pacis: Konflikte und Konfliktregelungen im frühneuzeitlichen Europa
https://books.google[...]
Vandenhoeck & Ruprecht
2018
[28]
서적
Geschichte des großen deutschen Krieges vom Tode Gustav Adolfs
Liesching
[29]
웹사이트
Die Bautätigkeit der Habsburger im 17. Jahrhundert in Wien
https://core.ac.uk/d[...]
Core
2020-03-19
[30]
웹사이트
Kaiser Ferdinand III. (1608-1657)
https://epub.ub.uni-[...]
Uni München
2020-03-19
[31]
서적
The Thirty Years' War: Europe's Traged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32]
서적
Kaiser Ferdinand III. (1608–1657): Eine Biographie
Böhlau Verlag
[33]
웹사이트
Ferdinand III of Habsburg (Habsburg-Lothringen), Holy Roman Emperor
https://www.geni.com[...]
1608-07-13
[34]
Grove
Ferdinand III
[35]
NDB
Ferdinand II.
[36]
백과사전
[37]
백과사전
[38]
백과사전
[39]
ADB
Wilhelm V. (Herzog von Bayern)
[40]
서적
Christina of Denmark, Duchess of Milan and Lorraine, 1522–1590
https://archive.org/[...]
E. P. Dutton
[41]
문서
성세 등 저서, p. 492
[42]
서적
Liste der Päpste (seit Gregor VII.)
https://www.schoenin[...]
Brill Schöningh
2008-01-01
[43]
저널
FRENCH INTERVENTION IN THE THIRTY YEARS WAR
https://www.academia[...]
[44]
웹인용
Battle Of Breitenfeld, 1631 - The Thirty Years War - About History
https://about-histor[...]
2023-06-03
[45]
웹인용
Making Peace in an Age of War: Emperor Ferdinand III
https://docs.lib.pur[...]
2019-11
[46]
저널
The Peace of Westphalia (1648) as a Secular Constitution
http://dx.doi.org/10[...]
2007
[47]
서적
Peace Treaties From Westphalia to The Revolutionary Era
https://www.schoenin[...]
Brill Schöningh
2011-01-01
[48]
저널
The 30 Years' War and Violent Crime in the Late 19th Century
https://www.scienced[...]
2023-04-01
[49]
서적
Richelieu: ein Leben im Dienste des Königs und Frankreichs
Ferdinand Schöningh
2018
[50]
웹인용
Another Ferdinand: Ferdinand III
https://www.habsburg[...]
2023-06-03
[51]
웹인용
https://www.research[...]
2012-01
[52]
웹인용
Ferdinand Iii (holy Roman Empire)
https://www.encyclop[...]
2023-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