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쿠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쿠산은 일본 이시카와현에 위치한 산으로, 717년 태정 상인이 처음 등반했다고 전해진다. 하쿠산 신앙의 영산으로 여겨져 많은 사람들이 참배했으며, 시라야마히메 신사가 총본사로 자리 잡고 있다. 1980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고산 식물과 동물이 서식하는 자연 보고이다. 현재는 하쿠산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여러 등산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하쿠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하쿠 산 |
다른 이름 | 시로야마 (白山) |
로마자 표기 | Haku-san |
일본어 표기 | 白山 |
일본어 발음 | /hakɯ̥saɴ/ |
뜻 | 흰 산 |
종류 | 성층 화산 (활화산) |
산맥 | 료하쿠 산맥 |
좌표 | 36°09′18″N 136°46′17″E |
위치 | 기후현 후쿠이현 이시카와현 일본 |
해발고도 | 2702.2m |
돌출 높이 | 1897m |
최초 등반 | 다이초 (717년) |
지질학적 정보 | |
형성 시기 | 300,000–400,000년 전 |
마지막 분화 | 1659년 4월 ~ 8월 |
지형도 | 국토지리원, 25000:1 시로야마 (白山) 국토지리원, 50000:1 시로야마 (白山) |
기타 | |
관련 목록 | 일본의 산 목록 (높이순) 일본 100명산 일본의 화산 목록 돌출봉 |
이미지 | |
![]() |
2. 역사와 문화
하쿠산(白山)이라는 이름은 연중 많은 기간 눈에 덮여 하얗게 보이는 모습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19] 고대에는 "에치고의 시라네(越のしらね)" 또는 "에치고의 시라야마(越のしらやま)"로 불렸으며, 고금와가집(古今和歌集)에도 그 이름이 등장한다.[19]
717년 수행승 태초(太朝)가 처음 등반했다고 전해지며, 이를 계기로 하쿠산 신앙이 시작되었다. 오랜 세월 신앙의 대상지였으며, 가가(加賀) 지역의 일궁(一宮)인 하쿠산히메 신사의 별궁이 산에 위치한다. 이 신사는 일본 전역 약 2,700개 하쿠산 신사의 총본사이다. 중세에는 하쿠산 수행의 영산으로 여겨졌고, 등산로 입구의 수행 도장은 신앙 확산의 거점이 되었다.[20]
역사적으로 하쿠산은 여러 차례 분화했으며, 가장 최근 기록은 1659년이다.[9] 에도 시대인 1668년에는 에도 막부가 하쿠산 산기슭의 18개 마을을 직할령(덴료)으로 관리하기도 했다.[24]
근대에 들어서는 외국인의 등반 기록도 나타난다. 1871년 미국인 윌리엄 그리피스가 외국인 최초로 등반했고,[25][26] 1874년에는 독일인 지질학자 요하네스 유스투스 라인이 지질 조사를 위해 등반했다.[24] 1871년 폐번치현 이후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하쿠산 일대는 이시카와현 소속이 되었으며,[24] 1872년에는 태정관포고로 여성의 입산을 금지하던 여자금제가 해제되었다.[24]
하쿠산의 자연적 가치는 꾸준히 인정받아 왔다. 1955년 국정공원으로 지정된 데 이어 1962년 하쿠산 국립공원으로 승격되었고,[28][29] 1980년에는 48000ha 면적이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Man and the Biosphere Reserve)으로 지정되어[3] 일본 최초의 유네스코 에코파크가 되었다. 또한, 2011년 하쿠산 테토리가와 지오파크가 일본 지오파크 위원회 인증을 받았고,[19][24] 2023년에는 하쿠산시 전역이 하쿠산 테토리가와 유네스코 세계 지오파크로 인정받았다.
2. 1. 하쿠산 신앙
717년 산악 수행승 태초(太朝)가 처음 하쿠산에 오른 것을 계기로 시작되었다고 전해지는 하쿠산 신앙(白山信仰|하쿠산 신코일본어)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21] 수백 년 동안 사람들은 신앙을 위해 하쿠산을 찾았으며, 중세에는 하쿠산 수행의 영산으로 번성했다. 등산로 입구에는 수행의 도장이 열려 하쿠산 신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기반이 되었고,[20] 가가(加賀)의 일궁(一宮)이었던 하쿠산히메 신사는 일본 전역 약 2,700개 하쿠산 신사(白山神社|하쿠산 진자일본어)의 총본사이며, 산에는 그 별궁이 자리 잡고 있다.
연도 | 내용 |
---|---|
717년 (양로 원년) | 태정 상인이 하쿠산을 개산했다고 전해짐.[21] |
832년 (천장 9년) | 에치젠, 가가, 미노 세 방향에서 하쿠산으로 오르는 참배 길(선정도)이 열렸다고 함.[24] |
848년 (가쇼 원년) | 칙령에 따라 신전과 불각이 건립되고, 진호국가의 도장으로 정해짐 (『하쿠산기』).[22] |
1163년 (초관 원년) | 하쿠산히메 신사의 가장 오래된 유래서인 『하쿠산기』에서 하쿠산 참배의 원형이 생겨났다고 함.[24] |
1183년 (주영 2년) | 겐 요시나카가 구리가라 고개 전투에서 승리하고 하쿠산히메 신사에 신마를 봉납함. 같은 해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신령에 기진함 (『헤이케모노가타리』).[22] |
1480년 (문명 12년) | 대화재로 하쿠산히메 신사의 40여 개 당탑 가람이 소실됨. 현재 위치의 말사 삼궁으로 이전.[22] |
1554년 (덴분 23년) 4월 1일 | 하쿠산 분화 시작. 1556년 (홍치 2년)까지 지속.[23] |
1659년 (만지 2년) 6월 | 하쿠산 분화 (가장 최근 기록).[9] |
1668년 (관문 8년) | 에도 막부가 하쿠산 산록 18개 마을을 직할령(덴료)으로 삼음.[24] |
1822년 (분세이 5년) | 본초학자 아이다 반존이 등산하여 『하쿠산초목지』를 저술 (하쿠산 최초의 박물지).[24] |
1871년 (메이지 4년) 8월 23일~8월 24일 | 후쿠이 번 고용 외국인 윌리엄 그리피스(미국인)가 외국인 최초로 하쿠산 등반.[25][26] |
1871년 (메이지 4년) 8월 29일 | 폐번치현. 하쿠산 산록 18개 마을이 1872년 이후 이시카와현 소속이 됨.[24] |
1872년(메이지 5년) | 태정관포고에 따라 여자금제 해제. 돗토리현 여성이 최초로 등정했다고 함.[24] |
1873년(메이지 6년) | 하쿠산 정상의 사전(祠殿)을 하쿠산히메 신사 오쿠미야(奥宮)로 함.[24] |
1874년(메이지 7년) | 독일인 지질학자 요하네스 유스투스 라인이 하쿠산에 등정하여 지질 조사 실시.[24] |
1893년(메이지 26년) | 정상의 삼각점이 일등 삼각점(점명 하쿠산)으로 선정됨. |
1925년(다이쇼 14년) | 하쿠산히메 신사 소유의 하쿠산 유래기가 국가 중요문화재로 지정됨.[27] |
1951년(쇼와 26년) | 하쿠산 정상부가 하쿠산히메 신사 경내지가 됨.[24] |
1955년(쇼와 30년) 7월 1일 | 일대가 하쿠산 국정공원으로 지정됨. |
1962년(쇼와 37년) 11월 12일 | 하쿠산 국정공원이 하쿠산 국립공원으로 변경 지정됨.[28][29] |
1977년(쇼와 52년) 8월 26일 | 하쿠산 시라카와고 화이트로드(당시 하쿠산 슈퍼 임도) 개통. |
1980년(쇼와 55년) 8월 22일 | 히로노미야 나루히토 친왕(당시)이 정상 등반 후 하쿠산 무로도에서 숙박.[30] |
1980년(쇼와 55년) | 하쿠산 일대 48000ha 면적이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Man and the Biosphere Reserve)으로 지정됨.[3] 국내 최초의 유네스코 에코파크로 등록됨. |
2002년(헤이세이 14년) | 하쿠산 무로도 비지터 센터 리뉴얼 오픈.[24] |
2003년(헤이세이 15년) 7월 1일 | 이시카와현 출신 후카다 히사야 탄생 100주년 기념 우표 발행.[31][32] |
2005년(헤이세이 17년) 2월 1일 | 마츠토시와 이시카와군 7개 정촌이 합병하여 하쿠산시 출범. |
2009년(헤이세이 21년) 6월 2일 | 이시카와현 하쿠산 자연보호센터가 멸종 추정 라이초 암컷 1마리 확인. |
2011년(헤이세이 23년) 9월 | 하쿠산 테토리가와 지오파크가 일본 지오파크 위원회로부터 인정받음.[19][24] |
2023년(레이와 5년) 5월 24일 | 하쿠산시 전역이 하쿠산 테토리가와 유네스코 세계 지오파크로 인정받음. |
3. 지리
하쿠산(白山)은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 기후현의 4개 현에 걸쳐 있는 산이다.[16] 양백산지의 일부이며, 이시카와현의 최고봉이기도 하다. 일본에서는 하쿠산보다 서쪽에 2000m 이상의 산이 없기 때문에, 2000m급 고산 중에서는 가장 서쪽에 위치한다.[58]
1955년에 준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1962년에는 국립공원으로 승격되어 백산국립공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공원 구역은 산의 경계를 넘어 도야마현까지 확장되어 있다.[4] 산의 중앙부는 험준한 지형이 많아 도로가 매우 적고 인간의 간섭이 거의 없으며, 38061ha가 넘는 면적이 야생동물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4]
정상 부근은 복합화산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약 30만~40만 년 전부터 화산 활동을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1659년의 분화가 가장 최근의 기록이다.[9] 일본 기상청은 하쿠산을 C등급의 활화산으로 분류하고 있다.[33]
'하쿠산'이라는 명칭은 최고봉인 御前峰|고젠미네일본어(표고 2702m), 剣ヶ峰|겐가미네일본어(2677m), 大汝峰|오난지미네일본어(2684m)의 세 봉우리를 가리키는 "하쿠산 삼봉"(白山三峰/白山三山)을 중심으로 한 주변 산봉우리 전체를 일컫는다.[9][16] 때로는 벳산(別山)과 미노미네(三ノ峰)를 더하여 "하쿠산 오봉"(白山五峰)이라고 부르거나, "하쿠산 연봉"(白山連峰)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또한 하쿠산은 쇼가와, 데토리강 등 일본해로 흘러드는 여러 하천의 발원지이기도 하다.
3. 1. 지질
하쿠산(白山) 주변 지역은 일본에서 드물게 중생대 쥐라기 시대의 오래된 지층이 분포하는 곳으로, 일본을 대표하는 공룡 화석이 다수 발견되는 산출지이다. 주요 암석 노두 중 하나는 구와시마(桑島) 지역에 있으며, "구와시마 화석벽"(桑島化石壁 ''Kuwashima Kasekikabe'')으로 알려져 있다. 1874년에는 요하네스 유스투스 라인이 하쿠산 주변에서 식물 화석을 채집하기도 했다. 구와시마 화석벽은 1957년 7월 10일에 국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37]
하쿠산은 과거 분화 기록이 있는 휴화산이지만, 일본 기상청은 C등급의 활화산으로 분류하고 있다.[33] 이 때문에 산 주변에는 많은 온천이 있다. 정상부에는 약 15개의 분화구가 있으며, 일부는 녹색 연못(翠ヶ池)과 같은 화구호를 이루고 있다. 녹색 연못 남쪽에 있는 단조지옥(鍛冶屋地獄) 분화구는 가장 최근인 1659년 분화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하쿠산의 화산 활동 역사는 다음과 같다.
연대 | 비고 |
---|---|
가가젠정도(加賀禅定道)의 가가무로자취(加賀室跡) 부근에 성층화산인 가가무로화산(加賀室火山)이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34] | | |
정상 북쪽 지고쿠다니(地獄谷) (테토리가와(手取川) 수계 나카가와(中川)의 발원부) 부근에 구백산화산(古白山火山)이 형성되었다. 화산체의 대부분은 침식으로 사라졌고, 지고쿠다니 동쪽의 히노미코미네(火の御子峰)의 거친 암벽에서 일부를 볼 수 있다. 지고쿠다니 하류에는 암석 사이의 분천탑군이 있다. | | |
현재의 정상부에 신백산화산(新白山火山)이 형성되었다. | | |
고젠미네(御前峰)와 켄가미네(剣ヶ峰)에 있던 원추형 화산이 동쪽으로 대규모 붕괴되어 시라미즈코(白水湖)까지 화쇄류가 발생했다. | | |
켄가미네(剣ヶ峰)의 용암돔이 형성되었다. | | |
706년 | 『속일본기(続日本紀)』에 에치젠국(越前国)에서 산불이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다 (하쿠산의 분화에 의한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17] | 경운(慶雲) 3년 | |
1042년 | 『백산기(白山之記)』에 가가무로(加賀室)(다이뇨호(大汝峰)와 센다가미네(千蛇ヶ峰) 사이에 있던 시츠도(室堂))에 승려 1명이 남아 있던 중 토사가 쏟아져 시츠도(室堂)가 매몰되는 것을 목격했다는 기록이 있다 (수증기 폭발로 추정됨).[17] | 장구(長久) 3년 | |
1547년 | 5월 말부터 정상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화염과 토사가 분출되었다(「사루마루 마타에몬케이케이 유슈쇼(猿丸又右ェ門家景由緒書)」).[17] | 덴분(天文) 16년 | |
1554년 | 2년에 걸쳐 활발한 화산 활동이 계속되었다.[9] 『백산장엄강중기록(白山荘厳講中記録)』 등에 자세한 화산 활동 상황이 기록되어 있다. | 덴분(天文) 23년 | |
1659년 | 하쿠산이 분화하였다. 이것이 현재까지 가장 최근의 분화이다.[9] | 만지(万治) 2년 |
3. 2. 주변 산
백산은 최고봉인 御前峰|고젠가미네일본어(표고 2702m), 剣ヶ峰|겐가미네일본어(2677m), 大汝峰|오난지미네일본어(2684m)의 세 봉우리를 가리키는 "하쿠산 삼봉"(白山三峰/白山三山)을 중심으로 한 주변 산봉우리 전체를 일컫는 말이다[9][16]. 따라서 엄밀히 말하면 단일 봉우리가 아니며, 벳산(別山)과 미노미네(三ノ峰)를 더하여 "하쿠산 오봉"(白山五峰)이라고도 부른다. 때로는 "하쿠산 연봉"(白山連峰)이라고 불리기도 한다.주요 주변 산들은 다음과 같다.
명칭 | 표고 (m) | 삼각점 등급과 점명[6] | 백산으로부터의 방향과 거리(km) | 비고 |
---|---|---|---|---|
오쿠나가쿠라산 | 1,711 | 북북서 7.1km | ||
나나쿠라산 | 2,557 | 북북서 2.1km | ||
오난지미네 | 2,684 | 북북서 0.9km | 정상에 大汝神社|다이뇨 신사일본어 | |
겐가미네 | 2,677 | 북북동 0.3km | 등산로 없음 | |
백산 (御前峰|고젠가미네일본어) | 2,702.14 | 일등 "백산" | - 0 | 이시카와현의 최고봉 양백산지의 최고봉 일본 100명산 |
하쿠산 샤카가타케 | 2,053.14 | 삼등 "샤카가타케" | 서 3.2km | |
벳산 | 2,399.31 | 이등 "벳산" | 남 5.6km | |
미노미네 | 2,128 | 남 7.5km |
3. 3. 하천과 온천
하쿠산은 휴화산이기 때문에 많은 온천으로 유명하다.하쿠산 정상부에는 여러 개의 연못이 있으며, 주변을 산책할 수 있는 등산로가 정상의 연못 순례 코스로 정비되어 있다.[16][38] 미도리가이케(翠ヶ池)와 콘야가이케(紺屋ヶ池)는 화구호이다.[38]
이미지 | 명칭 | 읽기 | 설명 |
---|---|---|---|
-- | 미도리가이케(翠ヶ池)[16] | 미도리가이케 | 1042년 분화로 형성된 화구호. 기후현 쪽에 있는 주변에서 가장 큰 연못이다.[39] |
-- | 콘야가이케(紺屋ヶ池) | 콘야가이케 | 겐가미네(剣ヶ峰) 바로 아래 서쪽에 있는 화구호. |
-- | 아부라가이케(油ヶ池) | 아부라가이케 | 고젠미네(御前峰)의 오타카라코(御宝庫) 바로 아래 북쪽에 있다. |
-- | 치노이케(血ノ池) | 치노이케 | 고젠미네(御前峰)와 다이난지미네(大汝峰) 사이에 있다. |
-- | 센자가이케(千蛇ヶ池) | 센자가이케 | 센자가이케 설빙(다년생 설빙)의 눈이 녹은 후에 나타나는 연못. 하쿠산을 개산한 다이초(泰澄)의 센자가이케 전설이 전해진다. |
-- | 햐쿠쇼이케(百姓池) | 햐쿠쇼이케 | 연못 주변에 고산식물이 군생한다. |
-- | 고시키이케(五色池) | 고시키이케 | 햐쿠쇼이케 바로 북쪽에 있다. |
다음은 일본해로 흘러드는 하천의 발원지이다.
- 쇼가와(庄川)의 지류인 다이하쿠가와(大白川)
- 오소에가와(尾添川)의 지류인 나카가와(中川), 마루이시다니(丸石谷)(–햐쿠시죠타키(百四丈滝)), 히즈케다니(日附谷)
- 데토리강(手取川) 우시쿠비가와(牛首川)의 지류인 야나기다니(柳谷)
하쿠산 주변에는 온천이 많다. 산기슭에는 중궁온천, 백산이치리노온천, 백봉온천, 이와마온천, 신이와마온천, 시라카와고 히라세온천, 하토가유(鳩ヶ湯)온천 등의 온천이 있다. 오소에(尾添)에 있는 계곡에는 온천이 스스로 분출하며, 온천 성분이 응결되어 생성된 덩어리가 탑 모양으로 늘어서 있는 곳이 있다. 이곳은 이와마의 분천탑군[59]이라 불리며, 1954년 12월 25일에 일본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60]. 하쿠스이호(白水湖) 서쪽의 지고쿠다니(地獄谷)에는 분기공이 있으며, 그 주변의 온천을 이용하여 하쿠스이호반 로지의 다이하쿠센(大白川) 노천탕에 사용되고 있다[61].
주변의 가가온천향, 쇼가와온천향, 아와라온천향 등은 하쿠산 유래의 온천으로 여겨지고 있다.
4. 자연
하쿠산(白山)은 1955년 준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1962년에는 국립공원으로 승격되어 백산국립공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공원의 범위는 산의 경계를 넘어 도야마현까지 확장된다.[4]
산 중앙부는 험준한 지형이 많아 도로가 거의 없고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곳이 많다. 이러한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38061ha가 넘는 면적이 국가지정 하쿠산 조수보호구(대규모 서식지)로 지정되어 인간의 간섭이 제한되고 있다.[4]
하쿠산 일대는 폭설지대로 유명하며, 산악 지역인 하쿠산시와 시라카와무라는 「폭설지대 대책 특별조치법」에 따라 특별 폭설지대로 지정되어 있다. 겨울에는 산 전체가 눈으로 하얗게 뒤덮인다. 정상 부근에는 간쿠라(勘倉), 미즈야지리(水屋尻), 센자가이케(千蛇ヶ池), 히루바오(蒜場) 등의 설계(雪渓, 눈 계곡)가 있으며, 여름 늦게까지 눈이 남아 만년설이 되는 곳도 있다.[40]
무로도(室堂) 하부 부근부터 위쪽은 수목한계선을 이루는 눈잣나무 지대이다. 정상 부근에는 가장 큰 미도리가이케(翠ヶ池)를 비롯하여 곤야가이케(紺屋ヶ池), 유가이케(油ヶ池), 치노이케(血の池), 센자가이케(千蛇ヶ池), 고시키이케(五色池), 햐쿠쇼이케(百姓池) 등 7개의 화구호가 있다.
4. 1. 동식물


하쿠산은 다양한 식물상으로 유명하며, 일본에서 손꼽히는 꽃의 산으로도 알려져 있다. 사보 등산로를 따라 진노스케 산장을 지나면 다양한 고산식물 군락이 펼쳐진다. 특히 이시카와현의 현화(縣花)이기도 한 초콜릿 백합(''쿠로유리'')은 일본 내 최대 개체 수를 자랑하며 군생하는 모습이 장관이다.[41]
하쿠산은 일본에서 고산대를 가진 산 중 가장 서쪽에 위치하여 일찍부터 식물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그 결과 프리뮬라 쿠네이폴리아(''하쿠산코자쿠라''), 아네모네 나르키시플로라(''하쿠산이치게''), 닥틸로리자 아리스타타(''하쿠산치도리''), 게라니움 예소엔세(''하쿠산후우로''), 로도덴드론 브라키카르품(''하쿠산샤쿠나게'') 등 '하쿠산'이라는 이름이 붙은 식물이 많다. 이들은 하쿠산 신사로 이어지는 오래된 등산로에서 처음 발견되어 명명되었으며, 이명을 포함하여 20종 이상 자생한다.[43] 산매자나무(''고젠타치바나'') 역시 최고봉인 고젠미네(御前峰)에서 이름이 유래했다.
초콜릿 백합 (쿠로 유리) | 프리뮬라 쿠네이폴리아 (하쿠산코자쿠라) | 아네모네 나르키시플로라 (하쿠산이치게) | 닥틸로리자 아리스타타 (하쿠산치도리) |
---|---|---|---|
![]() | ![]() | ![]() | ![]() |
하쿠산 중턱에는 너도밤나무(''부나'') 원시림이 넓게 펼쳐져 있으며, 둘레 5m가 넘는 일본 최대급 거목도 존재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원래 하쿠산에 서식하지 않던 돌매화(''코마쿠사'')가 발견되어, 외부 유입종에 의한 생태계 교란이 우려되고 있다.[42]
2010년 이시카와현은 흰승마(''하쿠산이치게''), 흰큰질경이(''하쿠산오오바코''), 흰솔잎란(''하쿠산스게'')을 멸종위기II류(VU)로, 흰딸기나무(''하쿠산이치고츠나기''), 흰꼬리털쥐꼬리풀(''하쿠산코자쿠라''), 흰갯방풍(''하쿠산사이코''), 흰난초(''하쿠산치도리''), 흰꽃다닥냉이(''하쿠산하타자오'')를 준멸종위기종(NT)으로 지정했다.[44] 기후현은 하쿠산아자미(''하쿠산아자미'')와 하쿠산오미나에시(''하쿠산오미나에시'')를 준멸종위기종으로 지정했다. 환경성 레드리스트 지정 종은 없다.[45]
'''하쿠산(白山) 명칭이 포함된 식물 목록'''
일본 이름 | 학명 | 속 | 과 | 멸종위기종 분류 비고 |
---|---|---|---|---|
흰가시엉겅퀴(ハクサンアザミ)・백산엉겅퀴 | Cirsium matsumurae | 엉겅퀴속(アザミ属)・Cirsium | 국화과(キク科)・Asteraceae | NT・기후 |
흰승마(ハクサンイチゲ)・백산일화 | Anemone narcissiflora | 바람꽃속(イチリンソウ属)・Anemone | 미나리아재비과(キンポウゲ科)・Ranunculaceae | VU・이시카와 |
흰딸기나무(ハクサンイチゴツナギ)・백산딸기나무 | Poa hakusanensis | 참억새속(ナガハグサ属)・Poa | 벼과(イネ科)・Poaceae | NT・이시카와 |
흰큰질경이(ハクサンオオバコ)・백산큰질경이 | Plantago hakusanensis | 질경이속(オオバコ属)・Plantago | 질경이과(オオバコ科)・Plantaginaceae | VU・이시카와 |
흰패랭이꽃(ハクサンオミナエシ)・백산패랭이꽃 | Patrinia triloba var. triloba | 패랭이꽃속(オミナエシ属)・Patrinia | 마타리과(オミナエシ科)・Valerianaceae | 이명 코킨레이카, NT・기후 |
흰박쥐나물(ハクサンカニコウモリ)・백산박쥐나물 | Parasenecio × cuneatus | 박쥐나물속(コウモリソウ属)・Parasenecio | 국화과・Asteraceae | |
흰거북꼬리풀(ハクサンカメバヒキオコ시)・백산거북꼬리풀 | Isodon umbrosus var. hakusanensis | 꿀풀속(ヤマハッカ属)・Monarda | 꿀풀과(シソ科)・Lamiaceae | |
흰꼬리털쥐꼬리풀(ハクサンコザクラ)・백산꼬리풀 | Primula cuneifolia var. hakusanensis | 앵초속(サクラソウ属)・Primula | 앵초과(サクラソウ科)・Primulaceae | NT・이시카와 |
흰갯방풍(ハクサンサイコ)・백산갯방풍 | Bupleurum nipponicum | 갯방풍속(ミシマサイコ属)・Bupleurum | 미나리과(セリ科)・Apiaceae | NT・이시카와 |
흰잔대(ハクサンシャジン)・백산잔대 | Adenophora triphylla var. hakusanensis | 잔대속(ツリガネニンジン属)・Adenophora | 초롱꽃과(キキョウ科)・Campanulaceae | |
흰솔잎란(ハクサンスゲ)・백산솔잎란 | Carex curta | 솔잎란속(スゲ属)・Carex | 사초과(カヤツリグサ科)・Cyperaceae | VU・이시카와 |
흰산철쭉(ハクサンシャクナゲ)・백산산철쭉 | Rhododendron brachycarpum | 진달래속(ツツジ属)・Rhododendron | 진달래과(ツツジ科)・Ericaceae | |
흰대극(ハクサンタイゲキ)・백산대극 | Euphorbia togakusensis | 대극속(トウダイグサ属)・Euphorbia | 대극과(トウダイグサ科)・Euphorbiaceae | |
흰난초(ハクサンチドリ)・백산난초 | Dactylorhiza aristata | 흰난초속(ハクサンチドリ属)・Dactylorhiza | 난초과(ラン科)・Orchidaceae | NT・이시카와 |
흰투구꽃(ハクサントリカブト)・백산투구꽃 | Aconitum hakusanense | 투구꽃속(トリカブト属)・Aconitum | 미나리아재비과(キンポウゲ科)・Ranunculaceae | |
흰꽃다닥냉이(ハクサンハタザオ)・백산깃대 | Arabidopsis halleri subsp. gemmifera | 벼룩나물속(シロイヌナズナ属)・Arabidopsis | 겨자과(アブラナ科)・Brassicaceae | NT・이시카와 |
흰제라늄(ハクサンフウロ)・백산제라늄 | Geranium yesoemse var. nipponicum | 제라늄속(フウロソウ属)・Geranium | 쥐손이풀과(フウロソウ科)・Geraniaceae | |
흰바디나물(ハクサンボウフウ)・백산바디나물 | Peucedanum multivittatum | 바디나물속(カワラボウフウ属)・Peucedanum | 미나리과(セリ科)・Apiaceae | |
흰말채나무(ハクサンボク)・백산나무 | Viburnum japonicum | 산수유속(ガマズミ属)・Viburnum | 인동과(スイカズラ科)・Caprifoliaceae | |
흰쑥(ハクサンヨモギ)・백산쑥 | Artemisia schmidtiana | 쑥속(ヨモギ属)・Artemisia | 국화과(キク科)・Asteraceae | 이명 아사기리소우 |
흰감탕나무(ハクサンモチ)・백산감탕나무 | Ilex buergeri | 감탕나무속(モチノキ属)・Ilex | 감탕나무과(モチノキ科)・Aquifoliaceae | 이명 시이모치 |
흰점난초(ウズラバハクサンチドリ)・메추라기잎흰난초 | Dactylorhiza aristata | 흰난초속(ハクサンチドリ属)・Dactylorhiza | 난초과・Orchidaceae | |
흰갈래잎바디나물(キレハノハクサンボウフウ)・갈래잎백산바디나물 | Peucedanum multivittatum f. dissectum | 바디나물속(カワラボウフウ属)・Peucedanum | 미나리과(セリ科)・Apiaceae | |
털흰가시엉겅퀴(ケハクサンアザミ)・털백산엉겅퀴 | Cirsium matsumurae var. pubescens | 엉겅퀴속(アザミ属)・Cirsium | 국화과(キク科)・Asteraceae | |
털흰큰질경이(ケハクサンオオバコ)・털백산큰질경이 | Plantago hakusanensis f. glabra | 질경이속(オオバコ属)・Plantago | 질경이과(オオバコ科)・Plantaginaceae | |
작은흰말채나무(コハクサンボク)・작은백산나무 | Viburnum japonicum var. boninsimense | 산수유속(ガマズミ属)・Viburnum | 인동과(スイカズラ科)・Caprifoliaceae |
동물로는 이시카와현의 현조(縣鳥)인 참수리(''이누와시'')와 쿠마타카가 서식한다.[46] 기후현의 현조인 바위뇌조(''라이초'')[5] 역시 과거 하쿠산 산록에 서식했으나, 메이지 시대에 지역 개체군이 멸종했다. 그러나 2009년 6월 2일 암컷 1마리가 재발견되었고, 이 개체는 북알프스에서 날아온 것으로 추정된다. 2011년 6월 1일에도 같은 개체가 다시 확인되었으며,[47] 최근 주민들에 의해 뇌조 목격담이 보고되기도 한다. 산비탈에는 쓰키노와구마(반달가슴곰)와 니혼가모시카(일본산양) 등도 서식한다.
하쿠산 주변에는 약 2,000종의 곤충이 서식하며, '하쿠산' 명칭이 붙은 종으로는 하쿠산시리아게(시리아게목 시리아게과, ''Panorpa hakusanensis''), 하쿠산하바치(벌목 잎벌과, ''Neocolochelyna hakusana''), 하쿠산고마후아부(파리목 등에과, ''Haematopota hakusanensis'') 등이 있다.[48] 털보검정파리(''케부카쿠로바에'', 검정파리과)는 초콜릿 백합(''쿠로유리'')의 수분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8년에는 하쿠산 봉우리 상류의 테토리가와에서 거대한 수각류 공룡의 어금니 화석이 발견되었다. 길이 8.2센티미터의 완전한 형태인 이 화석은 일본 내 최대 크기의 수각류 이빨 화석이다. 이 공룡은 백악기 전기 알비안절에 서식했으며, 몸길이 약 8.5m의 육식 공룡으로 추정된다.[49]
하쿠산 일대는 백산국립공원 및 국가지정 하쿠산 조수보호구(면적 38061ha)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주변 지역은 폭설지대로, 겨울에는 산 전체가 눈으로 덮이며 정상 부근에는 여름까지 눈이 남아 만년설이 되는 곳도 있다.[40] 무로도 하부부터는 수목한계선을 이루는 잎눈나무 지대가 나타난다.
4. 2. 등산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세 개의 등산로는 관광신도(観光新道, Kankō Shinmichi), 사방신도(砂防新道, Sabō Shinmichi), 그리고 평세도(平瀬道, Hirase-dō)이다. 관광신도와 사방신도는 모두 이시카와현 하쿠산시에서 시작하지만, 평세도는 기후현의 오시라카와 댐(大白川ダム, Ōshirakawa Dam)에서 시작된다.하쿠산은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등산로 개설이 제한적이다. 위에 나열된 세 등산로는 하루 만에 오르내리기에 비교적 쉬운 편이지만, 다른 등산로들은 정비가 부족하고 지형이 험하여 2~3일이 소요될 수 있다.
=== 젠도(禅定道) ===
832년(덴쵸 9년)에 에치젠(越前), 가가(加賀), 미노(美濃) 세 방면에서 하쿠산으로 오르는 참배 길인 젠도(禅定道)가 열렸다. 현재도 대부분 하쿠산으로 이어지는 등산로로 이용되고 있다.
- '''에치젠 젠도(越前禅定道)''' - 후쿠이현 카츠야마시의 헤이젠지 하쿠산 신사 (에치젠 마바)에서[50] 호온지산(法恩寺山), 이치노세(市ノ瀬), 유키오산(指尾山), 무로도(室堂)를 거쳐 고젠미네(御前峰, 하쿠산 정상)로 이어지는 길이다.
- '''가가 젠도(加賀禅定道)''' - 이시카와현 하쿠산시의 하쿠산히메 신사 (가가 마바)에서[50] 히노신궁(桧新宮), 나가쿠라산(長倉山), 텐치무로아토(天池室跡), 시즈카야마(四塚山), 오오누보미네(大汝峰)를 거쳐 정상으로 이어지는 길이다.
- '''미노 젠도(美濃禅定道)''' - 기후현 구조시의 하쿠산나가타키 신사(白山長滝神社, 미노 마바)에서[50] 하쿠산나카이 신사, 이시토시로노오스기, 신큐샤아토(神鳩社跡), 미즈노미곤겐샤아토(水呑権現社跡), 미노미네(三ノ峰), 미타라이이케・벳산무로아토(御手洗池・別山室跡), 난류가마바(南竜ヶ馬場), 무로도(室堂)를 거쳐 정상으로 이어지는 길이다.
정상 부근에는 가가국의 일궁(一宮)인 하쿠산히메 신사의 오쿠궁(奥宮)이 있다.
=== 주요 등산로 ===
세 개의 코스가 자주 이용되는 등산로이며, 어느 코스에서든 많은 고산식물을 볼 수 있다.[38][51][52]
- 사방신도(砂防新道)[16] - 이시카와현 하쿠산시 벳토데아이(別当出合)가 출발점이다.[16] 조망은 부족하지만 소요 시간이 짧아 당일 등산에 많이 이용된다. 다이쇼 시대 말기부터 쇼와 시대 초기에 걸쳐 사방 공사용 통로를 등산객에게 개방한 등산로로 여겨진다.[50]
- 관광신도(観光新道)[50] - 이시카와현 하쿠산시 벳토데아이(別当出合)가 출발점이며, 전망이 좋고 하산길로 많이 이용된다. 사방신도보다 경사가 가파르기 때문에 체력이 좋은 사람에게 적합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9년(쇼와 24년)에 하쿠산 관광 협회가 개척한 등산로로 일부는 에치젠 젠도(越前禅定道)와 경로가 겹친다.[50]
- 히라세도(平瀬道)[50] - 기후현 오오노군 시라카와무라(大野郡白川村)의 다이하쿠가와 댐(大白川ダム)이 출발점이다. 하부는 너도밤나무 숲이며 북알프스의 전망이 있고, 당일 등산에도 이용된다. 도카이 지방의 등산객들이 많이 이용하는 루트이다.[50]
하쿠산은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역사가 오래되어 새로운 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람 손이 닿지 않은 지역이 넓기 때문에 위의 세 등산로 외에는 상급자에게 적합하며 접근이 어렵다.[50]
=== 기타 등산로 ===

코스 이름 | 경로 |
---|---|
이시토시로도(石徹白道) (미노 젠조도(美濃禅定道)・남종주로(南縦走路))[50] | 하쿠산나카이 신사 - 이시토시로노오스기 - 신바토노미야 피난 오두막(神鳩ノ宮避難小屋) - 쵸시가미네(銚子ヶ峰) - 이치노미네(一ノ峰) - 니노미네(ニノ峰) - 사노미네 피난 오두막(三ノ峰避難小屋) - 사노미네(三ノ峰) - 벳산다이라(別山平) - 벳산(別山)(료하쿠산지(両白山地)) - 유사카노가시라(油坂の頭) - 난류산장(南竜山荘) - 무로도(室堂) - 하쿠산 |
하쿠산(구 에치젠) 젠조도(白山(旧越前)禅定道) | 이치노세(市ノ瀬) - 로쿠만잔(六万山) - 시보산(指尾山) - 관광신도 분기점 - 관광신도(센닌쿠츠(仙人窟) - 덴가이케 피난 오두막(殿ヶ池避難小屋) - 헤비즈카(蛇塚) - 쿠로보코이와(黒ボコ岩) - 미다가하라(弥陀ヶ原) - 무로도(室堂) - 하쿠산) |
샤카신도(釈迦新道) | 이치노세(市ノ瀬) - 유다니 림도(湯谷林道) - 하쿠산 샤카다케(白山釈迦岳) - 미즈바쇼 군생지(ミズバショウ群生地) - 나나쿠라노츠지(七倉ノ辻) - 오테미즈바치(御手水鉢) - 다이묘봉(大汝峰) - 오이케메구리(お池巡り) - 하쿠산 |
카가신도(加賀新道) | 하쿠산 이치리노온센 스키장(白山一里野温泉スキー場) - 곤돌라 정상역 - 히키쿠라(檜倉) - 시카리바(しかり場) - 구치나가쿠라야마(口長倉山) - 오쿠나가쿠라야마 피난 오두막(奥長倉山避難小屋) - 오쿠나가쿠라야마(奥長倉山) - 비죠자카노가시라(美女坂の頭) - 백사십장폭포(百四丈滝) 전망대 - 텐케싯토(天池室跡) - 유이케(油池) - 요츠카야마(四塚山) - 나나쿠라노츠지(七倉ノ辻) - 오테미즈바치(御手水鉢) - 다이묘봉(大汝峰) - 오이케메구리(お池巡り) - 하쿠산 |
카가젠조도(加賀禅定道) (히노신구 참도(檜新宮参道))[50] | 하쿠산 이치리노온센(白山一里野温泉) - 히노신구(檜新宮) - 시카리바(しかり場) 카가신도 합류점 - (카가신도 경로 이용) - 하쿠산 |
락락신도(楽々新道) | 신이와마온센(新岩間温泉) - 코자쿠라다이라 피난 오두막(小桜平避難小屋) - 모미가오카(樅ヶ丘) - 세이죠가하라(清浄ヶ原) - 나나쿠라야마(七倉山) - 나나쿠라노츠지(七倉ノ辻) - 오테미즈바치(御手水鉢) - 다이묘봉(大汝峰) - 오이케메구리(お池巡り) - 하쿠산 |
이와마도(岩間道) | 신이와마온센(新岩間温泉) - 이와마온센(岩間温泉)(이시카와현) 휴식처(露天風呂) - 코에도(コエド) - 약사산(薬師山) - 모미가오카(樅ヶ丘) 락락신도 합류점 - (락락신도 경로 이용) - 하쿠산 |
주궁도(中宮道)[50] | 추궁온센(中宮温泉) - 온센잔(温泉山) - 시나노키다이라 피난 오두막(しなのき平避難小屋) - 고마다이라 피난 오두막(ゴマ平避難小屋) - 고마토게(ゴマ峠) - 고마노가시라(ゴマの頭) - 미마타토게(三俣峠) - 지고쿠노조키(地獄覗き) - 키타미다가하라(北弥陀ヶ原) - 오하나마츠바라(お花松原) - 오이케메구리(お池巡り) - 하쿠산 |
북종주로(北縦走路) | 시라카와고(白川郷) - 우마가리(馬狩) - 하쿠산 시라카와고 화이트 로드(白山白川郷ホワイトロード) - 산포이와다케(三方岩岳) - 우마가리 소우지산(馬狩荘司山) - 노타니 소우지산(野谷荘司山) - 모우센다이라(もうせん平) - 묘호산(妙法山)(료하쿠산지(両白山地)) - 신노다니(シンノ谷) - 고마다이라 피난 오두막(ゴマ平避難小屋) 추궁도 합류점 - (추궁도 경로 이용) - 하쿠산 |
츠루히라신도(鶴平新道) | 시라카와고(白川郷) - 우마가리(馬狩) - 오오쿠보(大窪) - 아카토산(赤頭山) - 북종주로 합류점 - (북종주로 경로 이용) - 하쿠산 |
=== 무로도(室堂) 주변의 서브 코스 ===
=== 등산객 증가와 환경 문제 ===

1960년대 초반 하쿠산의 연간 등산객 수는 약 1만 5천 명이었다. 1967년(쇼와 42년) 무로도(室堂) 비지터센터 개축 이후 연간 2만 명을 넘어서며 등산객이 증가했다. 1983년(쇼와 58년)부터 무로도 비지터센터 재개축 공사 전 해인 1998년(헤이세이 10년)까지는 연간 약 3만 명 수준을 유지했다.[55] 1999년(헤이세이 11년)부터 공사 기간 중 식사 제공이 중단되면서 1만 명대로 감소했으나, 2002년(헤이세이 14년)에는 약 3만 7천 명으로 다시 증가하였다.[56]
등산객 증가는 고산식물 군락지 훼손 문제를 야기했다. 이에 미타가하라(弥陀ヶ原) 등에는 목도(木道)가 설치되었고, 고산식물 복원 작업도 진행되었다. 무로도에서 고젠미네(御前峰)로 이어지는 등산로와 무로도 주변의 훼손된 등산로는 바위를 평평하게 깔아 복구되었다.
또한 등산객 증가와 함께 하쿠산의 고산대와 아고산대에서 기존에 서식하지 않던 외래종인 도깨비바늘, 서양민들레, 토끼풀 등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외래종의 확산을 막기 위해 조사 및 제거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57]
참조
[1]
웹사이트
Japan Ultra-Prominences
http://www.peaklist.[...]
Peaklist.org
2015-01-01
[2]
웹사이트
http://www.g-hakusan[...]
[3]
웹사이트
Biosphere Reserve Information - Mount Hakusan
http://www.unesco.or[...]
UNESCO
2011-04-29
[4]
웹사이트
UNESCO Biosphere Reserve Information: Mount Hakusan
http://www.unesco.or[...]
UNESCO
2008-05-16
[5]
간행물
A Statistical Guide to Gifu Prefecture 2007
http://www.pref.gifu[...]
Gifu Prefecture
2008-05-16
[6]
웹사이트
基準点成果等閲覧サービス
https://sokuseikagis[...]
국토지리원
2014-07-30
[7]
웹사이트
日本の主な山岳標高(石川県)
https://www.gsi.go.j[...]
국토지리원
2010-12-06
[8]
웹사이트
白山国立公園の概要
https://www.env.go.j[...]
환경성
2011-02-11
[9]
웹사이트
日本の火山 vol.41 白山(石川県・岐阜県)
https://www.bousai.g[...]
내각부방재정보 페이지
[10]
간행물
土地分類基本調査「越前勝山・白山」(p.11-12)
https://nlftp.mlit.g[...]
국토교통성
2006
[11]
문서
일본 3대 일람#산악
[12]
서적
日本百名山
아사히 신문사
1982-07
[13]
서적
新日本百名山登山ガイド〈上〉
산과 계곡사
2006-04
[14]
서적
꽃의 백명산(애장판)
분춘문고
1997-06
[15]
서적
신·꽃의 백명산
분춘문고
1995-06
[16]
뉴스
福井市から1時間半で登山口、2000メートル級の峰々が広がる白山…「いつかは」でなく今夏に登ってほしい【ふくいのそと遊び】
https://www.fukuishi[...]
2022-07-01
[17]
간행물
白山の自然誌12 白山火山
https://www.pref.ish[...]
이시카와현 하쿠산 자연보호센터
2018-03
[18]
뉴스
白山比咩神社、方位盤を山頂から境内移設 雷で破損、歴史や自然物語る
https://www.hokkoku.[...]
2023-12-29
[19]
간행물
東野外志男、日比野剛「白山手取川ジオパーク」
https://www.pref.ish[...]
이시카와현 하쿠산 자연보호센터
2013
[20]
문서
平泉
2004
[21]
서적
일본의 산 1000
산과 계곡사
1992-10
[22]
웹사이트
白山比咩神社公式ウェブサイト「歴史」
http://www.shirayama[...]
[23]
서적
고향 이시카와 역사관
북국신문사
2002-06-10
[24]
간행물
白山の自然誌38 白山登山のうつりかわり
https://www.pref.ish[...]
이시카와현 하쿠산 자연보호센터
2018-03
[25]
간행물
그리피스와 하쿠산-일본은 바다의 스위스-
후쿠이현 향토지 연구담화회
1987
[26]
간행물
白山登山のうつりかわり
이시카와현 하쿠산 자연보호센터
2018
[27]
웹사이트
紙本支那禅刹図式 寺伝五山十刹図・羅漢供養講式稿本断簡 道元筆・紙本墨書 白山縁起
https://www.pref.ish[...]
이시카와현 교육위원회 문화재과
2010-09-14
[28]
웹사이트
広報かつやま 第439号
https://www.city.kat[...]
가쓰야마시 비서홍보과
1992-06-11
[29]
뉴스
白山・立山・富士山、日本三霊山で連携 石川、富山、静岡3県知事が懇談、合意
https://www.hokkoku.[...]
2022-07-28
[30]
서적
걸어보고 싶은 일본의 명산
세이토샤
2004-05
[31]
웹사이트
平成15年ふるさと切手 「山を愛した文学者(深田久弥生誕100年)」の発行
https://www.post.jap[...]
일본우편
2011-02-06
[32]
서적
일본 백명산과 심다 큐야
하쿠산 서점
2004-11
[33]
웹사이트
활화산·하쿠산
https://www.data.jma[...]
기상청HP
2011-02-14
[34]
웹사이트
하쿠산 이야기
http://www.g-hakusan[...]
굴뚝 하쿠산
2011-02-14
[35]
서적
컨사이스 일본 산명 사전
산세이도
1992-10
[36]
서적
北陸地方土木地質図
1990-00-00
[37]
문화유산
手取川流域の珪化木産地
[38]
서적
白山 荒島岳 (山と高原地図 43)
昭文社
2010-03-00
[39]
웹사이트
地図閲覧サービス「翠ヶ池」
http://watchizu.gsi.[...]
国土地理院
2014-02-08
[40]
웹사이트
「はくさん」第34巻 第1号
http://www.pref.ishi[...]
石川県白山自然保護センター
2011-07-22
[41]
웹사이트
白山のクロユリ
http://www.pref.ishi[...]
石川県
2011-07-20
[42]
웹사이트
国立公園内生物多様性保全対策費
https://www.env.go.j[...]
環境省
2011-07-22
[43]
서적
日本の高山植物(山渓カラー名鑑)
山と渓谷社
1988-09-00
[44]
웹사이트
絶滅のおそれのある野生植物(石川県・2010年)
http://www.pref.ishi[...]
石川県環境安全部自然保護課
2011-02-12
[45]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ハクサン)
http://jpnrdb.com/se[...]
エンビジョン環境保全事務局
2011-02-12
[46]
논문
クマタカとイヌワシ
https://www.pref.ish[...]
[47]
웹사이트
白山国立公園でのライチョウの再確認について
http://chubu.env.go.[...]
中部地方環境事務所
2011-07-22
[48]
웹사이트
「はくさん」第31巻 第2号
http://www.pref.ishi[...]
石川県白山自然保護センター
2011-07-22
[49]
서적
日本の恐竜図鑑 -じつは恐竜王国日本列島-
築地書館
2012-00-00
[50]
웹사이트
加賀・飛騨・越前にまたがる白山①
https://plus.chunich[...]
2023-02-17
[51]
서적
白山に登ろう
北國新聞社
2010-07-00
[52]
서적
ヤマケイアルペンガイド21白山と北陸の山
山と渓谷社
2000-08-00
[53]
뉴스
夏山開き準備着々 白山にヘリで物資
http://www.hokkoku.c[...]
北國新聞
2012-06-05
[54]
웹사이트
白川村平瀬道から登る白山登山と花
http://shirakawa-go.[...]
白川郷観光情報
2011-02-14
[55]
웹사이트
「はくさん」第26巻 第4号
http://www.pref.ishi[...]
石川県白山自然保護センター
2011-07-22
[56]
웹사이트
白山まるごと観光交流プラン
http://www.city.haku[...]
白山市
2011-07-22
[57]
웹사이트
「はくさん」第34巻 第3号
http://www.pref.ishi[...]
石川県白山自然保護センター
2011-07-22
[58]
문서
日本国内の2,000m以上の山として最西端に位置する無名峰に関する記述
2015-04-00
[59]
웹사이트
岩間の噴泉塔群|【公式】白山市観光・旅行情報サイト|うらら白山人
https://www.urara-ha[...]
2023-08-08
[60]
문화유산
岩間の噴泉塔群
[61]
웹사이트
白川郷観光情報
http://shirakawa-go.[...]
白川村
2011-02-14
[62]
문서
판의 섭입에 대한 설명
[63]
문서
소멸된 판
[64]
문서
백악기에서 고제3기에 걸쳐 형성된 지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