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협의 체제에 관한 몽트뢰 협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트뢰 협약은 흑해와 지중해를 잇는 해협의 통행 자유와 관련하여 1936년 스위스 몽트뢰에서 체결된 국제 조약이다. 19세기부터 이어진 해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체결된 일련의 협정 중 하나로, 터키의 해협 통제권을 강화하고, 상선과 군함의 통행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을 담고 있다. 주요 내용은 상선의 자유 통행 보장, 군함의 종류, 톤수, 척수 제한, 흑해 연안국과 비연안국의 차등 적용, 전시 상황에서의 통행 제한 등이다. 몽트뢰 협약은 제2차 세계 대전과 냉전 시기에 터키와 소련의 이익에 부합하며, 미국의 흑해 진출을 규제하는 역할을 했다. 이스탄불 운하 건설 계획, UNCLOS와의 관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현재까지도 다양한 쟁점과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6년 발효된 조약 - 프랑스-소련 상호원조조약
    프랑스-소련 상호원조조약은 1935년 프랑스와 소련이 나치 독일의 팽창주의에 대응하기 위해 체결한 상호 방위 조약으로, 양국이 서로를 공격하는 국가에 대해 상호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 1936년 7월 - 1936년 지리산 쌍계사 지진
    1936년 4월 26일, 규모 약 M5.0으로 추정되는 지리산 쌍계사 지진은 지리산 일대에 큰 피해를 입혔으며, 특히 화개면에 피해가 집중되고 쌍계사 오층 석탑 붕괴 및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균열 등의 문화재 피해를 야기했다.
해협의 체제에 관한 몽트뢰 협약
조약 개요
명칭해협의 체제에 관한 몽트뢰 협약
다른 이름몽트뢰 협약
원어 명칭 (프랑스어)Convention concernant le régime des Détroits
원어 명칭 (영어)Convention Regarding the Regime of the Straits
서명 및 발효
서명일1936년 7월 20일
서명 장소몽트뢰, 스위스
발효일1936년 11월 9일
당사국
원 서명국오스트레일리아
불가리아
프랑스
그리스
일본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
튀르키예
영국
소련
내용
주요 내용보스포루스 해협 등 튀르키예 해협의 통항 제도에 관한 내용
관련 조약국련 해양법 협약
로잔 조약
기타
언어프랑스어

2. 역사적 배경

보스포루스 해협다르다넬스 해협의 위치


이 협약은 흑해지중해 사이의 전략적으로 중요한 해상 통로의 통제권을 둘러싼 오랜 해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체결된 여러 협정 중 하나이다. 1923년 로잔 조약다르다넬스 해협을 비무장화하고, 국제 연맹 산하의 국제 해협 위원회 감독 아래 민간 및 군사 선박의 자유로운 통행을 위해 해협을 개방했다.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만 제국의 해협 주권을 제한하고 국제적인 관리 체제를 도입한 조치였다.

그러나 1930년대 후반에 이르러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팽창주의 정책으로 지중해의 전략적 상황이 크게 변화했다. 이탈리아는 터키 서해안의 도데카니소스 제도를 통제하며 로도스섬, 레로스섬, 코스섬 등에 군사 요새를 건설했다. 이는 터키에게 이탈리아가 해협 접근권을 이용해 아나톨리아와 흑해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할 수 있다는 심각한 안보 위협으로 다가왔다. 또한 불가리아의 재무장 움직임 역시 터키의 우려를 더했다.[12] 이러한 상황 변화 속에서 터키는 로잔 조약 체제로는 자국의 안보를 보장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비록 로잔 조약에 따라 해협 재무장이 금지되어 있었지만, 터키는 비밀리에 해협 요새화 작업을 진행했다.[13]

결국 1935년 4월, 터키 정부는 로잔 조약 서명국들에게 외교 각서를 보내 변화된 국제 정세를 설명하고 해협에 대한 새로운 관리 체제를 수립하기 위한 회의 개최를 공식 제안했다. 터키는 해협의 안전 보장과 자국의 방어권 확보를 강력히 주장하며 조약 개정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터키의 이러한 요구는 국제 사회의 공감을 얻어 1936년 스위스 몽트뢰에서 국제 회의가 개최되었고, 이는 몽트뢰 협약 체결로 이어지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2. 1. 제1차 세계 대전과 세브르 조약

보스포루스 해협, 마르마라 해, 다르다넬스 해협과 그 주변 지역은 "해협 지대"로 불린다. 이곳은 지중해흑해를 연결하는 중요한 길목이기 때문에, 이곳을 어떻게 통과할지에 대한 규칙은 18세기 쿠추크 카이날르지 조약 이후 오랫동안 국제적인 관심사였다. 오스만 제국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한 후 맺은 세브르 조약에 따라 해협 지대에 대한 주권을 포기해야 했다. 이로 인해 해협 지대는 강력한 권한을 가진 해협 위원회라는 국제 기구의 관리 아래 놓이게 되었다.

2. 2. 로잔 조약 (1923)

오스만 제국제1차 세계 대전 패배 후 맺은 세브르 조약으로 해협 지대의 주권을 상실하고, 해당 지역은 국제적인 관리 하에 놓이게 되었다. 이후 오스만 제국이 멸망하고 터키 공화국이 새롭게 성립되면서 상황은 변화하였다.

1923년에 체결된 로잔 조약은 신생 터키 공화국의 해협 지대에 대한 주권을 다시 인정하고 회복시켰다. 하지만 이는 완전한 주권 회복은 아니었다. 로잔 조약에 따라 해협 지대는 비무장 상태로 유지되어야 했으며, 비록 세브르 조약 시기의 위원회보다는 권한이 축소되었지만 해협 지대를 감시하기 위한 해협 위원회가 여전히 설치되었다. 이러한 조건들은 터키에게 불만족스러운 부분으로 남았고, 이후 해협 지대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으로 이어지게 된다.

2. 3. 몽트뢰 협약 체결 (1936)

1923년 로잔 조약다르다넬스 해협을 비무장화하고 국제 연맹 산하 국제 해협 위원회의 감독 아래 민간 및 군사 선박의 자유로운 통행을 보장했다. 이는 흑해지중해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의 통제권을 둘러싼 오랜 해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 중 하나였다.

그러나 1930년대 들어 파시스트 이탈리아가 세력을 확장하면서 지중해의 상황이 급변했다. 이탈리아는 터키 서해안의 도데카니소스 제도를 점령하고 로도스섬, 레로스섬, 코스섬 등에 요새를 구축했다. 이는 터키에게 이탈리아가 해협을 통해 아나톨리아와 흑해 지역으로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다는 우려를 안겨주었다. 불가리아의 재무장 움직임 역시 터키의 불안감을 키웠다.[12] 비록 로잔 조약에 따라 해협 재무장이 금지되었지만, 터키는 비밀리에 요새화를 진행하고 있었다.[13]

결국 1935년 4월, 터키 정부는 로잔 조약 서명국들에게 외교 각서를 보내 해협에 대한 새로운 체제를 논의하기 위한 회의 개최를 제안했다. 터키 외무장관 테브피크 뤼슈튀 아라스는 이 각서에서 1923년 이후 국제 정세가 크게 변화했음을 지적했다. 군축 분위기 속에서 체결된 로잔 조약과 달리, 아비시니아 위기(1934-1935), 독일의 베르사유 조약 파기 선언, 각국의 재무장 경쟁 등으로 인해 해협의 안전을 보장할 국제적 장치가 사실상 사라졌다는 것이다. 아라스는 기존 체제가 집단 안보 보장에 비효율적이며, 터키 스스로 방어할 권한이 없다는 점을 문제 삼으며 새로운 협정 체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터키의 제안은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어, 1936년 6월 22일 스위스 몽트뢰에서 국제 회의가 열렸다. 회의에는 오스트레일리아, 불가리아, 프랑스, 독일, 그리스, 일본, 루마니아, 소련, 터키, 영국, 유고슬라비아가 참여했다. 그러나 정작 회의 개최의 빌미를 제공한 이탈리아는 참석을 거부했고, 고립주의 노선을 걷던 미국 역시 옵서버조차 보내지 않았다.[15]

회의에서 각국은 자국의 이해관계를 반영한 입장을 내놓았다. 영국프랑스의 지지를 받으며 기존처럼 해협 통행을 제한하여 소련 함대가 지중해로 자유롭게 진출하는 것을 견제하려 했다. 이는 인도, 이집트, 극동 등 자국의 식민지로 향하는 해상 경로를 보호하기 위함이었다.[16] 반면 터키는 해협에 대한 완전한 주권 회복과 통제권 재확립을 목표로 했고, 소련은 모든 선박의 자유로운 통행을 주장했다.

300px


협상 끝에 영국은 일부 입장을 철회했고, 소련은 흑해 연안국이 비연안국에 비해 군함 통행 제한에서 유리한 조건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최종적으로 몽트뢰 협약은 터키의 해협 재무장 요구를 인정하고, 기존 로잔 조약의 해협 관련 조항을 대체하는 내용으로 1936년 7월 20일 타결되었다.

이 협약은 회의 참가국 대부분이 비준했으나, 독일은 로잔 조약 서명국이 아니었기에 제외되었고 일본은 일부 조항에 유보 입장을 표명했다.[17] 협약은 1936년 11월 9일에 공식 발효되었으며,[15] 같은 해 12월 11일 국제 연맹 조약집에 등록되었다.[18]

영국이 터키의 요구를 상당 부분 수용한 배경에는 터키가 아돌프 히틀러독일이나 베니토 무솔리니이탈리아와 동맹을 맺거나 그 영향력 아래 들어가는 것을 막으려는 전략적 판단이 있었다.[19][20] 이는 향후 추축국과의 전쟁 발발 시 터키의 중립을 확보하거나 서방 연합국 측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영국의 외교적 노력의 일환으로 평가된다.[15] 몽트뢰 협약 체결로 로잔 조약의 해협 통항 관련 규정은 효력을 상실했다.

3. 주요 내용

에게해와 흑해, 터키 해협의 위치. 빨간색: 보스포루스 해협, 노란색: 다르다넬스 해협


몽트뢰 협약은 서문에서 밝히고 있듯이, 해협 문제에 관한 1923년 로잔 조약의 관련 조항들을 대체했다.[21] 로잔 조약은 그리스의 렘노스와 사모트라케 섬, 마르마라해, 보스포루스 해협, 다르다넬스 해협, 그리고 터키의 임브로스 섬, 보즈자아다 섬 및 토끼 섬(토프샨 섬)의 비무장화를 규정했었다.

이 협약은 총 29개의 조항, 4개의 부속서 및 1개의 의정서로 구성되어 있다. 제2조부터 제7조까지는 상선의 통과를, 제8조부터 제22조까지는 군함의 통과에 대해 다룬다. 협약의 핵심 원칙인 통행 및 항행의 자유는 제1조와 제2조에 명시되어 있다. 제1조는 "고등 계약 당사국들은 해협에서의 해상 통행 및 항행의 자유 원칙을 인정하고 확인한다"고 규정하며, 제2조는 "평화 시에는 상선은 국기 및 화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주야를 불문하고 해협을 자유롭게 통과하고 항행할 수 있다"고 명시하여 상선의 자유로운 통행을 보장한다.

협약 체결로 국제 해협 위원회가 폐지되었고, 터키는 해협에 대한 완전한 군사적 통제권을 회복하고 다르다넬스 해협을 재요새화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터키는 자국이 전쟁 중이거나 침략의 위협을 받을 경우, 모든 외국 군함의 해협 통과를 금지할 권한을 부여받았다. 터키와 전쟁 중인 국가에 속한 상선의 통과를 거부할 권리도 인정되었다.

군함의 통과에 대해서는 함종, 톤수, 통과 절차 등에 관한 구체적인 제한이 있으며, 특히 흑해 연안국과 비연안국을 구분하여 규정한다.[22][23][44][24] 예를 들어, 비흑해 연안국 군함의 흑해 내 총 톤수와 체류 기간은 엄격히 제한된다. 제14조와 제18조 등 이러한 군함 통과 관련 조항의 개정은 서명국의 3/4 이상 다수결과 터키의 동의가 필요하다.

제12조에 따라 흑해 연안국은 흑해 외부에서 건조, 구매했거나 수리를 위해 이동하는 잠수함을 사전 통지 후 해협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흑해 연안국에 대한 완화된 규정은 당시 상당한 규모의 해군력을 보유했던 소련을 고려한 결과였다.[20][25] 한편, 지중해와 흑해 사이의 민간 항공기 통과는 터키 정부가 승인한 노선을 통해서만 가능하다.[26]

전쟁 시 터키가 교전국이 아닐 경우, 교전국의 군함은 기지로 돌아가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해협을 통과할 수 없다(제19조). 터키가 교전국이거나 전쟁의 위협을 느낄 경우에는 군함 통과에 대한 결정권이 터키에 주어진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법에서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해협의 통과 통항권을 인정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이는 유엔 해양법 협약 제3부에도 반영되었다. 그러나 터키 정부는 보스포루스 해협 등이 해양법 협약 제35조 (c)[59]에 따라 통과 통항권의 대상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몽트뢰 협약 체제를 유지하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는 터키가 과거 상실했던 주권을 협상을 통해 되찾은 역사적 경험과 해협의 지정학적 중요성, 그리고 냉전 시기 해협에서의 긴장 상태 등을 고려한 결과이다. 또한 1980년대 이후 유조선 등 대형 선박의 통행량 증가로 인한 해난 사고 빈발과 해협 과밀화 문제도 터키가 현행 규제 완화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이유 중 하나이다. 특히 이스탄불 인근 해역에서 발생한 해난 사고는 터키 정부가 유해 물질 운반 선박 통제 강화 등 오히려 규제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게 만들었다.

3. 1. 상선의 통행

몽트뢰 협약 제2조에 따라, 상선은 평시에 국기나 화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보스포루스 해협다르다넬스 해협을 자유롭게 통과하고 항해할 수 있다. 이는 기본적인 원칙으로 보장된다.

전시 상황에서도 상선의 자유 항행 원칙은 기본적으로 유지된다(협약 제4조). 그러나 터키가 전쟁의 당사국이 되거나, 전쟁의 위협을 느낀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선의 통행에 일부 제한을 가할 수 있다(협약 제5조·제6조).

3. 2. 군함의 통행

(a) 항공모함, 보조 함정 및 (b) 이외의 전투 함정으로, 배수량 10000ton 이상 또는 구경 약 20.32cm 이상의 함포를 탑재한 함선
(b) 항공모함 이외의 전투 함정으로, 배수량 8000ton 이하이지만 구경 약 20.32cm 이상의 함포를 탑재한 함선항공모함항공기를 탑재하고 운용하는 군함경수상함
(Light Surface Vesselseng)배수량 10000ton 미만의 전투 함정으로, 구경 약 20.32cm 이상의 함포를 탑재하지 않은 함선 등잠수함소형 군함
(Minor War Vesselseng)보조 함정 이외의 전투 함정으로, 배수량 2000ton 미만이며 구경 약 15.49cm 이상의 함포를 탑재하지 않은 함선 등보조 함정전투 이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함정으로, 무장은 구경 약 15.49cm 이상의 함포를 탑재하지 않은 함선 등



=== 평시 ===

평시에는 일정한 제한 하에 소규모 함선은 자유롭게 항행할 수 있지만, 대규모 함선에는 다양한 제한이 적용된다.

==== 일반 규정 ====



==== 흑해 연안국 ====

==== 비 흑해 연안국 ====

=== 전시 ===

전시 상황에서는 터키의 교전 여부에 따라 군함의 항행 조건이 달라진다.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발생하자, 터키 정부는 2월 28일 흑해 연안국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국가의 군함에 대해 해협 통과를 허용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다만, 조약에 따라 흑해 연안국의 선박이 모항으로 귀환하는 것은 예외적으로 허용된다고 밝혔다. 이 조치는 전쟁 당사국 여부나 흑해 연안국 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국가에 적용된다.[60]

3. 3. 항공모함 관련 규정

몽트뢰 협약은 터키 정부가 항공모함의 해협 통과를 금지하는 근거로 자주 언급되지만,[29] 실제 조약에는 항공모함 자체를 명시적으로 금지하는 조항은 없다. 그러나 현대의 항공모함은 대부분 군함에 부과된 15,000톤의 배수량 제한을 초과하기 때문에, 흑해 연안국이 아닌 국가가 현대식 항공모함을 해협으로 통과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63][64]

협약 제11조에 따르면, 흑해 연안국은 톤수에 관계없이 주력함을 해협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하지만 협약 부속서 II는 항공모함을 주력함의 정의에서 명시적으로 제외하고 있다. 1936년 협약 체결 당시 항공모함은 "해상에서 항공기를 탑재하고 운용할 목적으로 특별히 설계되거나 개조된 군함"으로 정의되었으며, 단순히 정찰기 등을 탑재한 다른 종류의 함선은 항공모함으로 분류되지 않았다.

소련은 이러한 규정을 이용하여 ''키예프''급과 ''쿠즈네초프''급 함선을 항공 순양함으로 지정했다. 이 함선들은 항공기 운용 능력 외에도 P-500 바잘트 및 P-700 그래닛과 같은 강력한 순항 미사일을 주무장으로 탑재했는데, 이는 슬라바급 순양함이나 키로프급 미사일 순양전함의 주무장과 유사했다. 결과적으로 소련 해군은 이 '항공 순양함'들을 조약상 주력함으로 분류하여 해협을 통과시킬 수 있었고, 동시에 15,000톤 제한 규정은 NATO 국가들의 대형 항공모함 통과를 막는 효과를 가져왔다.[30][31][32][33] 소련은 흑해 연안의 조선소에서 이 항공 순양함들을 건조했지만, 소련이나 이후의 러시아 모두 이 함선들을 흑해 함대에 배치한 적은 없다.

터키는 소련의 이러한 '항공 순양함' 분류를 받아들였다. 만약 몽트뢰 협약이 개정될 경우, 터키가 해협에 대해 가지는 통제력이 오히려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당시 해양법에 관한 국제연합 협약이 이미 다른 주요 해협들에 대해 더 자유로운 통항 원칙을 확립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터키는 소련의 항공 순양함 통과를 허용하는 대신, 기존의 더 제한적인 몽트뢰 협약 체제를 유지하는 실리를 택한 것으로 평가된다.[33]

4. 협약의 이행과 논란

몽트뢰 협약은 1930년대 중반의 국제 정세를 반영하여 체결되었으며, 터키가 해협에 대한 군사적 통제권을 회복하고 소련흑해에서의 영향력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26] 이 협약은 소련 해군력의 지중해 진출을 제한하여 영국의 우려를 해소하는 한편, 외부 세력이 해협을 통해 소련을 위협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몽트뢰 체제는 추축국 함대의 해협 통과를 막아 소련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로 인해 추축국은 흑해 전역에서 해군력 운용에 큰 제약을 받았다. 그러나 보조 선박이나 무장 상선과 같이 협약 규정이 불분명한 선박의 통과 문제는 논란을 일으켰다. 일부 독일 보조 선박의 통과가 허용되자 연합국, 특히 모스크바와 런던의 항의가 이어졌고, 결국 터키 정부는 1944년 6월부터 "의심스러운" 추축국 선박의 통행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다.[27][28] 협약 체결 이후에도 해협 통과 규칙의 해석과 적용을 둘러싼 다양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발생해 왔다.

4. 1. 제2차 세계 대전과 냉전 시기

몽트뢰 협약의 조항들은 1930년대 중반 국제 정세를 반영한 것으로, 터키가 해협에 대한 군사적 통제권을 되찾고 소련이 흑해에서의 영향력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26] 이 협약은 소련 해군력의 지중해 진출을 제한하여 영국의 우려를 덜어주는 동시에, 외부 세력이 해협을 통해 소련을 위협하는 것을 막는 효과도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몽트뢰 체제는 추축국이 해협을 통해 소련을 공격하는 것을 방해했다. 이로 인해 추축국은 흑해 전역에서 해군력 사용에 큰 제약을 받았고, 주로 철도와 운하를 통해 육상으로 운반된 소형 선박에 의존해야 했다.

보조 선박이나 무장 상선의 해협 통과 문제는 불분명한 부분이 있었고, 일부 독일 보조 선박의 통과가 허용되자 연합국과 터키 사이에 마찰이 생겼다. 모스크바와 런던의 반복적인 항의 끝에 터키 정부는 1944년 6월부터 "의심스러운" 추축국 선박의 통행을 금지했다.[27][28]

제2차 세계 대전 중과 이후 냉전 시기에 소련은 몽트뢰 협약에 여러 차례 문제를 제기했다. 1939년 초, 이오시프 스탈린은 해협 문제를 다시 꺼내 터키와 소련이 해협을 공동으로 통제하자고 제안하며, "영국의 지원을 받는 작은 국가[터키]가 강력한 국가의 목을 죄고 출구를 주지 않는다"고 불만을 표했다.[40] 소련나치 독일 사이에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이 체결된 후, 소련 외무장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는 독일 측에 소련이 해협에 대한 군사 통제권을 확보하고 자체 군사 기지를 설치하기를 원한다고 알렸다.[41]

소련은 1945년과 1946년에 다시 이 문제를 제기하며 몽트뢰 협약 개정을 요구하는 회의를 열었으나, 이 회의에는 대부분의 협약 서명국이 참여하지 않았다. 소련은 해협에 소련군이 영구적으로 주둔하고 해협을 공동으로 통제할 것을 요구했다. 터키는 소련의 지속적인 압박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요구를 단호히 거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몇 년간 소련은 자국 군함 중 하나를 항상 해협에 배치하여 외국 군함 수 제한 규정을 이용했고, 이는 사실상 터키 외 다른 국가가 해협을 통해 군함을 보내는 것을 막는 효과를 냈다.[42] 소련의 압력은 1946년 터키 해협 위기로 이어졌고, 결국 터키는 기존의 중립 정책을 포기하게 되었다. 1947년 터키는 트루먼 독트린봉쇄 정책에 따라 미국의 군사 및 경제 지원을 받기 시작했으며, 1952년에는 그리스와 함께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 가입했다.[43]

4. 2. 미국의 입장

미국은 협약에 서명하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이를 준수해 왔다.[44] 그러나 미국의 군함이 해협을 통과하는 문제는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이는 협약이 흑해 연안국이 아닌 국가의 군함에 대해 구경이 약 20.32cm를 초과하는 무기의 통과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1960년대 미국 해군은 직경 30.5cm의 ASROC 대잠 미사일을 탑재한 군함을 해협으로 보냈고, 이는 소련의 항의를 불러일으켰다.[45][61] 이에 대해 터키 정부는 소련의 항의를 거부하며, 미사일은 협약에서 명시적으로 금지하는 무기가 아니며, 이러한 종류의 무기는 협약 체결 당시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제한 대상이 아니라고 해석했다.[45][61]

Antiwar.com의 제이슨 디츠는 몽트뢰 협약이 흑해 연안을 공유하지 않는 국가들의 군함 통행을 규제하는 조항 때문에 미국 해군의 흑해 전력 증강에 걸림돌이 된다고 지적했다.[46] 미국의 싱크탱크 스트랫포(Stratfor) 역시 이러한 조항들이 터키와 미국과의 관계, 그리고 나토(NATO) 회원국으로서 터키의 의무가 러시아 및 몽트뢰 협약의 규정과 상충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47]

4. 3. 그리스 섬의 무장 문제

몽트뢰 협약은 이전에 체결된 해협에 관한 로잔 조약의 일부 조건을 무효화했는데, 여기에는 그리스레스보스섬과 사모트라케섬의 비무장화 조항도 포함되었다. 터키는 1936년 5월 6일, 아테네 주재 터키 대사 루셴 에쉬레프가 그리스 총리에게 보낸 서한을 통해 그리스가 이 섬들을 군사화할 권리가 있음을 인정했다. 터키 정부는 몽트뢰 협약 비준을 기념하여 터키 대국민 의회에서 연설한 외무부 장관 뤼쉬튀 아라스를 통해 다시 한번 이 입장을 확인하며, "1923년 로잔 조약에 따라 비무장화되었던, 우리의 이웃이자 우방인 그리스에 속하는 레스보스섬과 사모트라케섬에 관한 조항도 새로운 몽트뢰 조약에 의해 폐지되었으며, 이는 우리에게 큰 기쁨을 준다"고 밝혔다.[48]

그러나 수십 년에 걸쳐 그리스와 터키 간의 관계가 악화되자, 터키는 기존 입장을 번복하고 몽트뢰 협약이 해당 그리스 섬들의 지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더 나아가 터키는 해협에 관한 로잔 조약의 관련 부분을 다시 발효시키려고 시도했다.[49][50]

4. 4. 1994년 해양법 협약(UNCLOS)과의 관계

1994년 11월 해양법에 관한 국제 연합 협약(UNCLOS)이 발효되면서, 국제 항행에 사용되는 해협에 대한 UNCLOS의 규정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몽트뢰 협약을 개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터키는 오랫동안 UNCLOS에 서명하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몽트뢰 협약은 별도의 수정 없이 계속 효력을 유지하고 있다.[51] 터키는 설령 UNCLOS를 비준하더라도, UNCLOS 제35조 (c)항[59]에 명시된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되어 온 국제 협약"으로서 몽트뢰 협약이 해협 통행을 계속 규율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는 터키가 과거 상실했던 해협에 대한 주권을 오랜 협상을 통해 자국에 유리한 방식으로 되찾은 역사적 배경과, 협약 완화 시 다시 주변국들의 간섭이 커질 것을 경계하기 때문이다. 해협의 지정학적 중요성과 냉전 시기 미소 함대가 대치했던 긴장 상태 역시 터키의 신중한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법에서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해협의 항행에 대해 연안국이 제한을 가할 수 없다는 인식이 자리 잡았고, 이는 유엔 해양법 협약(UNCLOS) 제3부에 성문화되었다. 이 관점에 따르면 보스포루스 해협 등도 UNCLOS상의 국제 해협에 해당하여, 군함을 포함한 모든 선박이 통과 통항권을 행사하며 자유롭게 항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터키 정부는 앞서 언급한 UNCLOS 제35조 (c)항을 근거로 보스포루스 해협 등이 통과 통항권의 적용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을 유지하며, 몽트뢰 협약의 내용을 완화하는 것에 대해 일관되게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한편, 협약 체결 당시인 1934년 연간 4,500척 수준이었던 해협 통과 선박 수가 1998년에는 49,304척으로 급증하면서, 보스포루스 해협의 항행 안전 문제는 더욱 중요해졌다. 특히 해협이 1,400만 명 이상이 거주하는 대도시 이스탄불을 관통하고 있어, 해양 사고 발생 시 환경 문제뿐만 아니라 심각한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몽트뢰 협약 자체에는 안전이나 환경 보호를 위한 구체적인 해운 규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터키 정부는 1994년 1월, 몽트뢰 협약의 자유 통항 원칙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항행, 생명 및 재산의 안전을 보장하고 이 지역의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새로운 "터키 해협 및 마르마라 지역 해상 교통 규정"을 채택했다. 이 새로운 규정은 러시아, 그리스, 키프로스,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불가리아 등 관련국들의 반발을 사며 논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국제 해사 기구(IMO)는 해당 규정이 "국제법에 따라 해협을 이용하는 모든 선박의 권리를 침해할 의도가 없다"고 판단하여 이를 승인했다. 이후 1998년 11월, 러시아 측의 우려를 일부 반영하여 규정이 수정되었다.[52]

1980년대 이후 유조선을 비롯한 선박의 대형화와 통행량 급증으로 해난 사고가 빈번해지면서 해협의 과밀화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스탄불 인근에서 해난 사고에 기인한 암모니아 유출 위험이 있었던 사례처럼, 유해 물질 운반 선박의 사고는 대규모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이 때문에 터키 정부는 유해 물질을 적재한 선박의 항행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며, 자국법을 통해 폐기물 운반선 등의 통항을 제한하는 등 오히려 규제를 강화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터키의 입장은 구체적인 사례에서도 나타났다. 미완성 상태였던 우크라이나의 항공모함 바랴크를 중국으로 회항시킬 당시, 터키는 몽트뢰 협약상 항공모함의 통과 금지 조항과 대형 무동력 선박 예인에 따른 안전 문제를 이유로 통과를 불허했다. 오랜 협상 끝에 중국 측이 터키에 대한 관광객 송출 확대를 약속하는 등 정치적 타협이 이루어진 후인 2001년에야 통과가 허가되었다.

가장 최근에는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발발하자, 터키 정부는 2월 28일 흑해 연안국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국가의 군함에 대해 해협 통과를 허용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몽트뢰 협약 제19조에 따른 조치로, 전쟁 시 교전국 군함의 통과를 제한할 수 있다는 내용에 근거한다. 다만, 협약에 따라 흑해 연안국의 군함이 모항으로 귀환하는 것은 예외적으로 허용된다고 덧붙였다.[60]

4. 5. 이스탄불 운하 건설 계획

오래전부터 제안된 이스탄불 운하 사업은 현실화될 경우, 21세기에 터키가 몽트뢰 협약을 회피하고 흑해에서 마르마라해로 통과하는 군함(수량, 톤수, 무기 제한 포함)에 대해 더 큰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여겨진다. 이 사업은 트라키아를 관통하여 마르마라해와 흑해를 연결하는 약 45km 길이의 인공 수로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4] 이 경로는 보스포루스 해협과 거의 평행하게 이어질 예정이며, 터키 측은 이 운하를 통과하는 선박이 몽트뢰 협약의 적용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35] 현재 보스포루스 해협은 선박 운항이 매우 혼잡하여 통과를 위해 장시간 대기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스탄불 운하 사업의 공식적인 목적은 대체 해상 항로를 제공하여 선박 운항 속도를 높이고 수익을 증대시키는 것이다.[11][36]

2018년 1월, 당시 터키 총리이자 전 교통부 장관이었던 비날리 이을드름은 이스탄불 운하가 몽트뢰 협약의 적용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37] 이 발표는 러시아 언론과 정부로부터 부정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많은 이들이 터키 정부의 협약 해석에 이의를 제기했다.[38][39]

4. 6.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022~)

2022년 2월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우크라이나 정부는 튀르키예에 몽트뢰 협약에 따른 권한을 행사하여 러시아 군함의 지중해에서 흑해로의 통과를 제한해 달라고 요청했다. 침공 직전인 2월에는 최소 6척의 러시아 군함과 1척의 잠수함이 튀르키예 해협을 통과한 바 있다.[53]

튀르키예는 처음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국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주저했으나,[53] 2월 27일 외무장관 메블뤼트 차부쇼을루는 튀르키예 정부가 러시아의 침공을 법적으로 "전쟁"으로 인정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군함 통과와 관련하여 협약을 발동할 근거가 되었다.[9] 이 조치로 NATO 해군 함정 역시 지중해에서 흑해로 이동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차부쇼을루 장관은 협약 조건에 따라 흑해에 기지를 둔 러시아 군함이 등록된 모항으로 귀환하는 것은 막을 수 없다고 거듭 밝혔다.[53] 실제로 2월 27일과 28일경, 튀르키예는 4척의 러시아 군함 중 3척에 대해 모항이 흑해에 없다는 이유로 흑해 진입을 거부했다.[54]

튀르키예 정부는 2월 28일, 흑해 연안국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국가의 군함에 대해 해협 통과를 허용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다만, 협약에 따라 연안국 선박이 모항으로 귀항하는 것은 예외적으로 허용된다고 덧붙였다.[60]

2022년까지 러시아는 ''킬로''급 잠수함을 흑해에서 지중해로 이동시켰는데, 발트해 시설에서 "유지 보수"를 받을 예정이라고 주장했다. 이 잠수함들이 상당 기간 지중해에 머물렀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2022년 5월 분석에 따르면, 러시아가 흑해와 발트해 사이에서 ''킬로''급 크기 선박의 통과를 위해 자국 내부 수로를 이용하는 방안을 찾았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내부 수로 이용 가능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55]

러시아 태평양 함대의 기함인 미사일 순양함 ''바랴크''와 대형 대잠 구축함 ''아드미랄 트리부츠'' 두 척은 흑해 진입을 위해 9개월간 지중해에서 대기했다. 2022년 10월, 이들은 통과 허가를 받지 못하고 수에즈 운하를 통해 지중해를 떠났다.[56]

2024년 1월 2일, 튀르키예는 영국 왕립 해군우크라이나 해군에 기증한 기뢰 탐색기 두 척의 해협 통과를 협약 위반을 이유로 거부했다.[57]

5. 일본의 입장

로잔 조약에 따라 해협 위원회가 설치되었을 때, 일본은 국제 연맹의 상임이사국으로서 위원을 파견하였다. 몽트뢰 협약이 체결된 1936년에는 일본이 이미 국제 연맹을 탈퇴한 상태였으나, 탈퇴 후에도 해협 위원회의 구성원 자격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몽트뢰 협약의 체결국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조약 초안 단계에서 터키는 군함의 해협 통과 상황을 정기적으로 국제 연맹 사무국에 통고하는 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일본은 군함이 통과할 때마다 체결 각국에 통지하도록 요구하여 이를 관철시켰다. 이러한 요구는 일본에게 소비에트 연방의 흑해 함대 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66]

일본은 몽트뢰 협약 중 국제 연맹 규약과 관련된 조항에 대해서는 유보한 채로 비준하였다. 이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제8조 (b)에 따라, 일본은 이 협약상의 모든 권리와 이익을 포기하게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Convention regarding the Regime of the Straits https://treaties.fcd[...] 2022-04-17
[2] 웹사이트 Convention regarding the Regime of the Straits https://treaties.un.[...] 2022-04-17
[3] 웹사이트 Montreux Convention {{!}} European history https://www.britanni[...] 2022-02-27
[4] 웹사이트 Le Montreux Palace over the years http://www.fairmont.[...] Fairmont.com 2014-09-15
[5] 웹사이트 Straits Question {{!}} European history https://www.britanni[...] 2022-02-27
[6] 웹사이트 Montreux Convention 1936 https://www.globalse[...] 2022-02-27
[7] 웹사이트 Implementation of the Montreux Convention https://www.mfa.gov.[...] 2024-01-03
[8] 문서 Defined as warships displacing more than 100 tons but not above 10,000 tons.
[9] 웹사이트 Turkey, overseeing passage to Black Sea, calls Russian invasion 'war' https://www.msn.com/[...]
[10] 간행물 Turkey, the Montreux Convention, and Russian Navy Transits of the Turkish Straits https://www.usni.org[...] US Naval Institute Proceedings 2023-04-05
[11] 웹사이트 Montreux Convention, at 85, Needs Tending for US-NATO-Russia Security and Stability https://www.justsecu[...] 2022-02-27
[12] 서적 The Turkish Straits Martinus Nijhoff 1987
[13] 문서 Dardanelles or Çanakkale Bogazi. The Columbia Encyclopedia 2004
[14] 뉴스 Groundbreaking ceremony for bridge over Dardanelles to take place on March 18 http://www.hurriyetd[...] 2017-03-19
[15] 서적 The Turkish Straits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87
[16] 서적 Handbook on Ocean Politics and Law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2
[17] 문서 Montreux Convention (1936) The Columbia Encyclopedia 2004
[18] 웹사이트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https://treaties.un.[...] 2022-03-23
[19] 문서 Montreux Convention Chambers Dictionary of World History 2005
[20] 서적 Etatism and Diplomacy in Turkey Brill 1998
[21] 웹사이트 Text of the Convention, page 215 https://treaties.un.[...] 2022-02-24
[22] 웹사이트 Rapport Annuel Sur Le Mouvement Des Navires A Travers Les Detroits Turcs 2014, 78ème année http://www.mfa.gov.t[...]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urkey 2015-12
[23] 웹사이트 From Rep. Of Turke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ttps://www.mfa.gov.[...] 2021-11-19
[24] 웹사이트 Text of the Convention, p. 231 – article 29 https://treaties.un.[...] 2022-02-24
[25] 서적 The law of the sea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9
[26] 서적 Arms control: the new guide to negotiations and agreements
[27] 서적 The Turkish Straits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87
[28] 서적 Turkish Foreign Policy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n 'Active' Neutr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9] 웹사이트 Implementation of the Montreux Convention http://www.mfa.gov.t[...] Republic of Turke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3-07-20
[30] 간행물 Kiev and the Montreux Convention: The Aircraft Carrier That Became a Cruiser to Squeeze through the Turkish Straits
[31] 웹사이트 The Tbilisi and the Montreux Convention http://www.osaarchiv[...]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1988-11-14
[32] 웹사이트 Montreux Convention 1936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3-07-20
[33] 서적 Soviet Carriers in the Turkish Straits http://apps.dtic.mil[...] Naval War College 2016-11-14
[34] 문서 “Erdogan's Dream, Istanbul's Nightmare“ en.qantara.de/conten[...]
[35] 뉴스 İstanbul Canal project to open debate on Montreux Convention https://web.archive.[...] 2010-10-08
[36] 웹사이트 Turkey slams admirals' warning over Bosphorus treaty https://english.alar[...] 2021-04-04
[37] 웹사이트 How Istanbul's man-made canal project could trigger an arms race https://www.scmp.com[...] 2018-06-03
[38] 문서 Moscow Worried about Ankara’s Plans for Canal Bypassing Bosporus Straight jamestown.org/progra[...] 2020-12-27
[39] 뉴스 Erdogan pushes 'crazy' Istanbul canal dream despite opposition reuters.com/article/[...] reuters.com 2019-12-27
[40] 서적 Origins of Containment: A Psychological Explan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9
[41] 서적 The Turkish Straits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87
[42] 간행물 Montreux Convention (1936). The Companion to British History, Routledge 2001
[43] 간행물 Turkey 1. The Columbia Encyclopedia 2004
[44] 웹사이트 An Unconventional Canal: Will Turkey Rewrite the Rules for Black Sea Access? https://www.foi.se/r[...] Swedish Defence Research Agency 2021-04-05
[45] 서적 The Regime of Straits in International Law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46] 뉴스 NATO Seeks Further Buildup in Black Sea, Eastern Europe https://news.antiwar[...] Antiwar.com 2017-02-16
[47] 뉴스 The Turkish Enigma https://worldview.st[...] Stratfor 2015-07-21
[48] 서적 Gazette of the Minutes of the Turkish National Assembly, volume 12 1936-07-31
[49] 웹사이트 Turkish claims regarding the demilitarization of islands in the Aegean Sea https://www.mfa.gr/e[...] 2020-12-31
[50] 웹사이트 Militarization of Eastern Aegean Islands Contrary tp the Provisions of International Agreements http://www.mfa.gov.t[...] 2020-12-31
[51] 간행물 Montreux Convention International Law: A Dictionary, Scarecrow Press 2005
[52] 서적 The Security of the Caspian Sea Reg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53] 웹사이트 Turkey to Implement Pact Limiting Russian Warships to Black Sea https://www.usnews.c[...] 2022-02-27
[54] 웹사이트 Turkey rejects Russia's request for navy ships to pass Bosporus https://asia.nikkei.[...] 2022-03-02
[55] 웹사이트 H I Sutton – Covert Shores http://www.hisutton.[...] 2022-05-23
[56] 웹사이트 Russia withdraws two war ships after Turkey denies Black Sea access https://www.middleea[...] 2022-11-26
[57] 웹사이트 Turkey blocks Royal Navy minehunters going to Ukraine https://news.yahoo.c[...] 2024-01-03
[58] 문서 題名は後述のローザンヌ条約の一部を成す条約と同一である。
[59] 문서 「特にある海峡について定める国際条約であって長い間存在し現に効力を有しているものがその海峡の通航を全面的又は部分的に規制している法制度」。
[60] 웹사이트 トルコ、黒海に続く海峡の軍艦通行を認めず 各国に警告 https://www.cnn.co.j[...] 2022-03-01
[61] 서적 The Regime of Straits in International Law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62] 웹사이트 Implementation of the Montreux Convention http://www.mfa.gov.t[...] Republic of Turke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3-07-20
[63] 서적 Soviet Carriers in the Turkish Straits https://apps.dtic.mi[...] Naval War College 2020-11-20
[64] 문서 ソ連海軍/ロシア海軍の[[キエフ級航空母艦]]は基準排水量約30,000トンである。航空母艦であれば、艦隊の総排水量15,000トンの制限に抵触する(条約第14条)。条約上の(航空母艦が除かれている)「主力艦」ならば、黒海沿岸国の艦でもあり、排水量15,000トン超であっても通航できる(条約第11条)。
[65] 웹사이트 トルコ海峡の航行安全に係る負担分担について http://www.nmc.com.s[...] 2008-04-25
[66] 뉴스 非連盟国・日本の要求を全面的に承認 大阪毎日新聞 1936-07-19
[67] 웹인용 Le Montreux Palace over the years http://www.fairmont.[...] Fairmont.com 2014-09-15
[68] 문서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69] 문서 Erdogan's Dream, Istanbul's Nightmare en.qantara.de/conten[...] 2020-12-27
[70] 뉴스 İstanbul Canal project to open debate on Montreux Convention http://www.todayszam[...] 2010-10-08
[71] 웹인용 How Istanbul's man-made canal project could trigger an arms race https://www.scmp.com[...] 2020-12-27
[72] 웹사이트 Moscow Worried about Ankara’s Plans for Canal Bypassing Bosporus Straight jamestown.org/progra[...] 2020-12-27
[73] 뉴스 Erdogan pushes 'crazy' Istanbul canal dream despite opposition reuters.com/article/[...] 2020-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