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밀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밀빵은 호밀 가루를 주재료로 만들어지는 빵으로, 펌퍼니켈, 루그브뢰드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호밀빵은 밀가루를 섞거나, 호밀만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으며, 캐러웨이, 향신료 등을 첨가하여 풍미를 더하기도 한다. 독일에서는 호밀의 배합 비율에 따라 빵의 명칭이 달라지며, 유대식 호밀빵은 샌드위치나 델리카트슨에 활용된다. 호밀빵은 섬유질, 비타민 B군, 미네랄이 풍부하며, 혈당 지수가 낮아 건강에 이로운 식품으로 평가받는다. 딱딱한 식감 때문에 얇게 썰어 버터나 햄, 치즈 등과 함께 섭취하며, 샌드위치나 토스트, 수프 등으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밀빵 - 크네케브뢰드
    크네케브뢰드는 스웨덴과 핀란드에서 유래된 납작하고 바삭한 빵으로, 호밀가루 등을 사용해 만들어 건조하여 섭취하며 일상적인 식사나 비상식량으로 활용된다.
  • 호밀빵 - 루피마이제
    루피마이제는 라트비아어로 "거친 빵"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 빵에 관한 - 피자
    피자는 튀르키예 피데에서 유래하여 납작한 빵에 토핑을 얹어 구운 요리로,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토마토와 치즈를 사용하여 현대적인 형태를 갖추었으며 세계적인 음식으로 발전했다.
  • 빵에 관한 - 팬 피자
    팬 피자는 금속 팬에 구워 바삭한 크러스트와 부드러운 속을 가진 피자의 한 종류로, 이탈리아에서 기원하여 피자헛에 의해 미국에서 대중화되었으며, 다양한 토핑과 지역별 변형이 존재한다.
  • 빵 - 프렌치 토스트
    프렌치 토스트는 얇게 썬 빵을 달걀과 우유 혼합물에 적셔 버터에 구운 요리로, 'Aliter Dulcia'라는 고대 조리법에서 기원하여 중세 유럽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발전해왔고,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아침 식사나 디저트로 널리 즐겨진다.
  • 빵 - 멜론빵
    멜론빵은 멜론 껍질과 유사한 무늬를 가진 일본식 빵으로,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1930년대 이후 널리 퍼졌고 변형과 대중문화 속에서 활용된다.
호밀빵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다양한 종류의 호밀빵
종류
주요 재료호밀 가루
그 외 재료밀가루
영양 정보 (100g 당)
수분37.30g
열량259 kcal
단백질8.50g
지방3.30g
탄수화물48.30g
섬유질5.8g
당류3.85g
칼슘73mg
철분2.83mg
마그네슘40mg
125mg
칼륨166mg
나트륨603mg
아연1.14mg
비타민 C0.4mg
티아민 (비타민 B1)0.434mg
리보플라빈 (비타민 B2)0.335mg
니아신 (비타민 B3)3.805mg
비타민 B60.075mg
비타민 A7 IU
비타민 D0 IU
비타민 E0.33mg
비타민 K1.2ug
역사 및 기원
기원유럽, 북아메리카, 이스라엘
호밀 재배 시작카르파티아 분지 (최초 시작 ~ 로마 시대)
활용
용도식사
종류
종류검은빵

2. 종류

호밀빵은 다양한 종류가 있다. 루그브뢰드, 루피마이제, 보르딘스키, 크네케브뢰드, 품퍼니켈, 플라트카카 등이 대표적이다.

매우 밀도가 높은 통곡물 펌퍼니클


순수한 호밀빵은 밀가루 없이 호밀 가루만으로 만든다. 미국에서는 "호밀"로 표시된 빵에 캐러웨이가 들어가는 경우가 많지만, "씨 없는"으로 명시된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캐나다(특히 몬트리올)에서는 "호밀" 빵은 씨가 없는 경우가 많고, "키멜" 빵은 보통 캐러웨이 씨가 들어간 호밀빵이다. 회향, 고수, 아니스, 시트러스 껍질 등 독특한 향신료를 넣거나, 캐러멜, 당밀, 커피, 코코아, 구운 빵 부스러기 등을 넣어 펌퍼니켈처럼 진한 색과 풍미를 내기도 한다.[10]

핀란드 ruisreikäleipä 구멍빵


사워도우 발효종과 호밀 가루를 사용하면 밀빵보다 덜 부풀지만, 촉촉하고 보존 기간이 긴 호밀빵을 만들 수 있다. 덴마크의 루그브뢰드(rugbrød)는 사워도우를 사용하며, 호밀 가루만 쓰거나 통호밀, 금이 간 호밀 커널을 섞기도 한다. 호박, 양귀비, 캐러웨이 등의 씨앗으로 맛을 내기도 하며, 주로 점심 식사에 차갑거나 따뜻한 생선, 고기, 치즈, 콜드 컷 등을 곁들여 먹는다. 호밀빵은 보존 기간이 매우 길어(몇 달) 보트 여행이나 야외 원정 시 저장 식량으로 인기가 높다. 밀도가 높아 얇게 썰어 판매되는 경우가 많다.[12]

당밀, 건포도, 향신료를 넣은 스코틀랜드 호밀빵은 "새해 진저브레드"라고도 불린다.[13]

핀란드의 루이슬레이패(ruisleipä)는 어두운 색의 사워도 호밀빵으로, 호밀가루, 물, 소금, 천연 효모로 만든다. 2017년 핀란드 국민 음식으로 선정되었으며, 2월 28일은 ''루이슬레이밴 파이배''(호밀빵의 날)로 기념한다.[14]

호밀은 다른 곡물, 씨앗과 섞는 경우도 많다. 독일 남부, 스위스에서는 해바라기 씨를 넣은 폴콘브로트가 있으며, 일부 전통 레시피는 호밀 대신 통밀을 사용한다.[15] 북아메리카 식민지 시대, 특히 미국에서는 호밀과 옥수수 가루를 섞은 "호밀과 인디언", 밀가루를 추가한 "3분의 1" 빵이 있었다.

중세 유럽에서는 호밀과 밀을 섞은 "마슬린" 빵이 부유한 농민들의 주식이었다.[16]

북유럽 크리스프브레드


호밀 크리스프브레드는 효모 발효, 사워도우 발효, 크리스프브레드 세 종류가 있다. 스칸디나비아 크리스프브레드는 대부분 3~4시간 발효 후 굽는다. 사워도우 크리스프브레드는 에스토니아, 핀란드, 라트비아,[17] 리투아니아, 폴란드, 독일, 인도에서 사용된다.[18] 하드택의 일종인 차가운 빵 크리스프브레드는 팽창제를 넣지 않고 굽는다.[19] 크리스프브레드는 수분 함량이 매우 낮아(5~7%) 유통 기한이 길다. 와사브뢰드는 스웨덴에서 설립된, 호밀 플랫브레드 최대 생산자 중 하나이다.

호밀가루는 퀵 브레드 레시피에도 사용되며, 아이리쉬 소다 브레드와 유사하게 반죽형 또는 반죽형으로 사용된다.

2. 1. 독일의 호밀빵

순수한 호밀빵은 밀가루 없이 호밀 가루만으로 만들어진다. 독일식 펌퍼니켈은 어둡고 밀도가 높으며 조직이 치밀한 빵으로, 으깨거나 갈은 통호밀 곡물을 사용하여 만들며, 일반적으로 밀가루는 사용하지 않고 덮인 통에 넣어 낮은 온도에서 오랫동안 굽는다. 호밀과 밀가루는 펌퍼니클보다 가볍고 색상과 풍미가 좋은 호밀빵을 생산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밝은" 또는 "어두운" 호밀 가루는 호밀빵을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가루는 제분 후 가루에 남은 겨의 양에 따라 분류된다. 호밀빵에는 착색을 위해 캐러멜이나 당밀, 캐러웨이가 자주 첨가된다.[10]

호밀만을 사용한 단순한 호밀빵은 사워도우 발효종과 호밀 가루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밀빵만큼 부풀어 오르지는 않지만, 훨씬 촉촉하고 보존 기간이 훨씬 길다. 이러한 빵은 종종 '검은 빵'(Schwarzbrot|슈바르츠브로트de, чёрный хлеб|쵸르니 흘례프ru)이라고 불리며, 밀빵보다 색이 더 어둡다(장시간 굽는 과정에서 빵 속에서 마이야르 반응이 일어나 색이 더 진해진다). 독일의 폴콘브로트(통곡물 빵)은 호밀 가루와 금이 간 통호밀 곡물(일반적으로 반죽에 넣기 전에 하룻밤 동안 담가둔다)을 모두 포함하는 전형적인 예이다. 샌드위치 빵으로도 사용되며, 훈제 생선이나 캐비어와 같은 재료의 애피타이저 베이스로도 사용된다. 독일식 펌퍼니켈은 토스트된 남은 빵과 기타 재료에서 파생된 훨씬 더 어두운 색상을 가지고 있다. 빵의 밀도 때문에 발효종의 효모는 빵을 부풀리는 것만큼이나 빵 자체의 발효 특성을 위해 사용된다.[12]

폴콘브로트의 일종


독일 빵의 경우, 호밀의 배합률로 명칭이 결정된다. 밀은 바이트첸(), 호밀은 로겐(), 섞는다는 의미는 미슈(misch|미슈de), 빵은 브로트(Brot|브로트de)이므로, "밀 또는 호밀(Weizen|바이첸de 또는 Roggen|로겐de)" + ("섞는다"(misch|미슈de) +) "빵(Brot|브로트de)"이라는 표기 방법이 된다. 독일에서 정해져 있는 명칭은 다음과 같다.[26]

호밀의 비율밀의 비율이름
10% 미만90% 이상바이트첸브로트 또는 바이스브로트(Weizenbrot oder Weißbrot)
10% 이상 50% 미만50% 이상 90% 미만바이트첸미슈브로트(Weizenmischbrot)
50% 이상 90% 미만10% 이상 50% 미만로겐미슈브로트(Roggenmischbrot)
90% 이상10% 미만로겐브로트(Roggenbrot)



"독일 식품 편람(Deutsches Lebensmittelbuch: 도이체스 레벤스미텔부흐)"의 "대형 및 소형 빵의 지도 원칙(Leitsätze für Brot und Kleingebäck: 라이트제체 퓌어 브로트 운트 클라인게벡)"에 수록된 호밀을 사용한 빵에는,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26]


  • 로겐폴콘브로트(Roggenvollkornbrot): 최소 호밀 통밀가루를 90% 사용하고, 첨가하는 산의 2/3 이상은 사워종(Sauerteig: 자우어타이크)에 기인하는 호밀빵.
  • 폴콘브로트(Vollkornbrot): 호밀 통밀 제품과 밀 통밀 제품을 임의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최소 90% 사용하고, 첨가하는 산의 2/3 이상은 사워종에 기인하는 호밀빵.
  • 로겐바이트첸폴콘브로트(Roggenweizenvollkornbrot): 50% 이상의 호밀 통밀가루를 사용한 호밀빵.
  • 로겐슈로트브로트(Roggenschrotbrot): 90% 이상의 거친 호밀가루를 사용한 호밀빵.
  • 슈로트브로트(Schrotbrot): 거친 호밀가루와 거친 밀가루를 임의의 비율로 혼합한 가루를 90% 이상 사용하는 호밀빵.
  • 펌퍼니켈(Pumpernickel): 거친 호밀가루와 호밀 통밀가루를 90% 이상 사용하고, 첨가하는 산의 2/3 이상은 사워종에 기인하는 것을 사용하며, 굽는 데 16시간 이상의 시간을 소요하는 호밀빵.

2. 2. 유대식 호밀빵

밀-호밀 빵은 특히 델리카트슨을 중심으로 유대 요리와 유대계 미국 요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옅은 호밀빵(sissel|시셀yi), 미국식 펌퍼니켈, 그리고 이 두 가지를 혼합한 "마블 호밀" 등을 포함한다. 반죽은 통째로 또는 부분적으로 사워도우로 발효되는 경우가 많지만, 때로는 호밀 아밀라아제를 중화하는 데 필요한 낮아진 pH를 얻기 위해 소량의 구연산 또는 식초를 첨가하기도 한다.[10] 소위 "유대식 호밀빵"은 통 캐러웨이 열매로 양념하고 달걀물을 입히며, 전통적으로 소고기 절임과 파스트라미와 같은 소금에 절인 고기와 연관되어 있다.

고(高)글루텐 밀가루는 호밀가루와 함께 사용하여 베이글에 적합한 반죽을 만들 수 있다. 유대식 미국 호밀빵은 때때로 "콘 호밀"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이디시어 korn|콘yi('곡물')에서 유래되었거나, 또는 코팅 및 취급 보조제로 옥수수 가루를 사용하기 때문일 수 있다.[20]

유대계 미국식 호밀빵은 러시아 유대인 스타일의 갈색 빵, 폴란드 유대인 스타일의 호밀빵, 그리고 라트비아 유대인 스타일의 호밀빵을 포함하여 동유럽 및 중부 유럽 유대인의 선례를 가지고 있다.[21]

유대식 호밀빵의 종류
국가종류특징
스칸디나비아보르트림파아니스, 회향 또는 카다멈과 같은 향신료, 감미료 및/또는 감귤 껍질을 포함하며, 때로는 축제에 사용되기도 한다.
이스라엘대량 생산 호밀빵거의 모든 빵집과 식료품점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미국의 대량 생산 버전과 매우 유사하지만, 종종 매우 부드럽다.
레스토랑 빵집 호밀빵텔아비브예루살렘과 같은 지역의 많은 레스토랑 빵집에서는 호밀빵을 재정의하여 때로는 전통적인 유대인 호밀빵을 변형하거나, 때로는 가장 전통적인 아슈케나지 스타일의 호밀빵으로 돌아가는 자체 버전을 굽고 있다.
캐나다대량 생산 호밀빵Oroweat와 같은 대량 생산된, 미리 포장된 브랜드가 있다.
정통 아슈케나지 유대식 호밀빵몬트리올, 토론토, 위니펙, 밴쿠버와 같이 유대인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는 많은 코셔 및 코셔 스타일 베이커리, 델리, 레스토랑 및 코셔 식료품점에서 구할 수 있다.



위니펙 스타일 호밀빵은 실제로는 호밀가루가 거의 또는 전혀 들어 있지 않은 빵이다. 대신, 이 유대교의 영향을 받은 빵은 밀가루에 귀리 가루 또는 거친 호밀 meal(거친 곡물 가루)을 첨가하여 만든다.[22][23] 위니펙 스타일 호밀빵에는 캐러웨이 열매가 들어 있지 않다.

3. 생화학

대략 에서 10시간 동안 신선한 호밀 사워도우 배양액이 부풀어 오르는 타임랩스


호밀과 밀은 유전적으로 교배가 가능할 정도로 유사하지만(그 결과는 트리티케일이라는 잡종), 빵 제조 과정에 영향을 미칠 만큼 생화학적 특성이 다르다. 핵심 문제는 서로 다른 아밀레이스 효소로, 이는 전분을 설탕으로 분해한다. 밀 아밀레이스는 일반적으로 열에 안정적이지 않아 밀 빵의 구조를 제공하는 더 강한 밀 글루텐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호밀 아밀레이스는 훨씬 더 높은 온도에서 활성을 유지한다. 호밀 글루텐(세칼린)은 특히 강하지 않기 때문에 호밀 반죽 구조는 호밀 전분과 펜토산을 포함한 복잡한 다당류를 기반으로 한다. 그 결과 호밀 밀가루의 아밀레이스는 반죽 구조를 분해하여 부풀어 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7]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통적인 방법과 현대적인 방법이 사용된다.

호밀빵에는 페놀산과 페룰산 데히드로다이머가 들어 있다.[9]

3. 1. 전통적인 해결 방법

밀과 호밀은 유전적으로 교배가 가능할 정도로 유사하지만(교배 결과는 트리티케일이라는 잡종), 빵 제조 과정에 영향을 주는 생화학적 특성 차이가 있다. 핵심은 서로 다른 아밀레이스 효소인데, 이는 전분을 설탕으로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밀 아밀레이스는 보통 열에 안정적이라 밀 빵의 구조를 형성하는 강한 밀 글루텐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호밀 아밀레이스는 훨씬 높은 온도에서도 활성 상태를 유지한다. 호밀 글루텐(세칼린)은 강하지 않기 때문에 호밀 반죽 구조는 호밀 전분과 펜토산 등 복잡한 다당류를 기반으로 한다. 결과적으로 호밀 밀가루의 아밀레이스는 반죽 구조를 분해하여 빵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막을 수 있다.[7]

전통적인 방식은 반죽 산성화를 통해 호밀 아밀레이스의 기능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불리한 재배 조건이나 공급 문제로 밀을 구하기 어려웠던 곳에서 개발되었다. 그러나 반죽의 pH를 낮추면 산에 비교적 약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기반 제빵용 효모 사용이 어려워진다. 대신, 자연적으로 산성을 띠는 ''락토바실러스'' 사워도우 배양액을 첨가하면 빵의 pH가 낮아져 산에 강한 효모 균주가 잘 자라고, 반죽 내에서 전분 젤라틴화를 돕는다. 이 방법으로 만들어진 빵은 더 가벼워지는 특징이 있다.

3. 2. 현대적인 해결 방법



호밀과 밀은 유전적으로 교배할 만큼 충분히 유사하지만(그 결과는 트리티케일로 알려진 잡종임), 빵 제조 과정에 영향을 미칠 만큼 생화학적 특성이 다르다. 핵심 문제는 서로 다른 아밀레이스 효소로, 이는 전분을 설탕으로 분해한다. 밀 아밀레이스는 일반적으로 열에 안정적이지 않아 밀 빵의 구조를 제공하는 더 강한 밀 글루텐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호밀 아밀레이스는 훨씬 더 높은 온도에서 활성을 유지한다. 호밀 글루텐(세칼린)은 특히 강하지 않기 때문에 호밀 반죽 구조는 호밀 전분과 펜토산을 포함한 복잡한 다당류를 기반으로 한다. 그 결과 호밀 밀가루의 아밀레이스는 반죽 구조를 분해하여 부풀어 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7]

두 가지 일반적인 해결책이 있다. 전통적인 방식은 불리한 재배 조건이나 공급 어려움으로 인해 밀을 얻는 것이 비실용적이었던 곳에서 개발되었으며, 반죽 산성화를 사용하여 호밀 아밀레이스의 기능을 방해한다. 그러나 반죽의 pH를 낮추면 비교적 산에 내성이 없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기반의 "제빵용 효모" 사용이 손상된다. 대신, 자연적으로 산성인 ''락토바실러스'' "사워도우" 배양액을 첨가하면 빵의 pH가 낮아지고, 산에 강한 효모 균주의 성장을 촉진하며, 반죽 매트릭스에서 전분 젤라틴화를 돕는다. 이 방법의 부산물은 더 가벼운 빵이다.

고글루텐 경질 밀을 쉽게 구할 수 있는 지역에서는 호밀 밀가루에 경질 밀가루의 비율을 많이 첨가하여 세균과 효모의 복잡한 혼합 배양의 필요성을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다. 첨가된 글루텐은 반죽의 전분에 대한 아밀레이스 활동을 보상하여 빵이 구워지는 동안 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미국의 "델리 호밀" 전통은 이러한 곡물의 혼합에 기반한다. 고글루텐 밀가루를 사용하면 옥수수 가루와 호밀, 밀을 하나의 덩어리로 결합한 미국의 식민지 시대의 "호밀과 인디언" 빵과 같이 다양한 곡물을 사용한 빵도 만들 수 있다.[8]

4. 영양 및 건강상 이점

호밀빵은 다량의 섬유질, 다양한 생리활성 화합물 및 소량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다.[24] 흰빵과 같은 일부 빵에 비해 혈당 지수가 낮아 섭취 후 흰빵보다 혈당 증가 속도가 느리다.[25] 비타민 B군을 비롯하여, 미네랄과 식이섬유가 많아 영양가가 높다. 또한, 밀가루 빵보다 당류가 적기 때문에, 식후 혈당이 완만하게 상승하는 특징을 가진 "저GI 식품"이다.

호밀빵 영양 성분 (100g당)
영양소함량
37.30g
열량259kcal
단백질8.50g
지방3.30g
탄수화물48.30g
섬유질5.8g
당류3.85g
칼슘73mg
철분2.83mg
마그네슘40mg
125mg
칼륨166mg
나트륨603mg
아연1.14mg
비타민C0.4mg
티아민0.434mg
리보플라빈0.335mg
니아신3.805mg
비타민B60.075mg
비타민A7IU
비타민D0IU
비타민E0.33mg
비타민K1.2ug


5. 섭취 방법

호밀만을 사용한 빵은 사워도우 발효종과 호밀 가루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밀빵만큼 부풀어 오르지는 않지만, 훨씬 촉촉하고 보존 기간이 길다. 독일의 폴콘브로트는 호밀 가루와 통호밀 곡물을 모두 포함하는 빵으로, 샌드위치나 훈제 생선, 캐비어 같은 재료를 얹어 먹는 데 사용된다. 덴마크의 루그브뢰드는 호밀 가루만 사용하거나 통호밀, 또는 금이 간 호밀 커널과 혼합하여 만들며, 여러 씨앗을 넣어 맛을 낸다. 이러한 호밀빵은 저장성이 좋아 장기간 보관하며 먹을 수 있다.[12]

스코틀랜드에서는 당밀, 건포도, 향신료를 넣은 호밀빵을 "새해 진저브레드"라고 부르기도 한다.[13] 핀란드의 루이슬레이패는 어두운 색의 사워도 호밀빵으로, 2017년 핀란드의 국민 음식으로 선정되었다.[14]

호밀은 다른 곡물이나 씨앗과 섞어 빵을 만들기도 한다. 독일 남부와 스위스에서는 해바라기 씨를 넣은 폴콘브로트 변형을 볼 수 있다.[15] 미국에서는 호밀과 옥수수 가루를 섞은 "호밀과 인디언" 빵이나 밀가루를 첨가한 "3분의 1" 빵이 만들어졌다. 중세 유럽에서는 호밀과 밀을 섞은 빵인 마슬린이 있었다.[16]

호밀 크리스프브레드는 효모 발효, 사워도우 발효, 그리고 차가운 빵 크리스프브레드의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사워도우 크리스프브레드는 에스토니아, 핀란드, 라트비아,[17] 리투아니아, 폴란드, 독일, 인도에서 사용된다.[18] 차가운 빵 크리스프브레드는 팽창제를 첨가하지 않고 구워 만들며, 낮은 수분 함량으로 인해 유통 기한이 길다.[19] 스웨덴의 와사브뢰드는 유명한 호밀 크리스프브레드 생산 업체 중 하나이다.

호밀가루는 퀵 브레드 레시피에도 사용된다. 밀-호밀 빵은 델리카트슨을 중심으로 유대 요리와 유대계 미국 요리에 자주 사용되며, 옅은 호밀빵, 미국식 펌퍼니켈, "마블 호밀" 등이 있다. 유대식 호밀빵은 통 캐러웨이 열매로 양념하고 달걀물을 입히며, 소고기 절임, 파스트라미와 같은 절인 고기와 함께 먹는다.

고(高)글루텐 밀가루는 호밀가루와 함께 베이글 반죽을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유대식 미국 호밀빵은 "콘 호밀"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이디시어 ('곡물')에서 유래되었거나, 옥수수 가루를 사용하기 때문일 수 있다.[20] 유대계 미국 호밀빵은 동유럽 및 중부 유럽 유대인의 빵에서 유래되었다.[21] 스칸디나비아에서는 비슷한 빵이 만들어지는데, 일부는 감미료, 감귤 껍질, 아니스, 회향, 카다멈 등을 포함하기도 한다. 이스라엘에서는 호밀빵이 인기가 많으며, 다양한 종류의 호밀빵을 빵집과 식료품점에서 찾을 수 있다.

캐나다에도 여러 종류의 유대식 호밀빵이 있다. 위니펙 스타일 호밀빵은 호밀가루 대신 귀리 가루나 거친 호밀 가루를 첨가하여 만든다.[22][23]

호밀빵은 로 만든 빵에 비해 식감이 딱딱하여 "하드빵"으로 분류된다. 호밀빵은 주로 사워도우를 사용하여 발효시키기 때문에 신맛이 난다. 호밀에는 글루텐이 적어[27] 빵이 잘 부풀지 않아 밀도가 높고 촘촘하다. 호밀빵은 비타민 B군, 미네랄,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당류가 적어 식후 혈당 상승이 완만한 "저GI 식품"이다.[28]

호밀빵은 얇게 썰어 버터, 라드, 슈말츠, 사워크림 등을 발라 먹거나, 연어알, 캐비어, 오일 사딘, , 치즈, 훈제 연어 등을 넣어 샌드위치로 만들어 먹는다. 루벤 샌드위치는 얇게 썬 호밀빵에 파스트라미, 콘비프, 자우어크라우트, 스위스 치즈 등을 넣어 만든다. 라클렛 같은 치즈를 구워 얇게 썬 빵에 올려 먹기도 한다.

딱딱해진 호밀빵은 물, 술, 수프에 적셔 부드럽게 하거나, 죽이나 수프로 만들어 먹는다. 또한 호밀빵(흑빵)을 뜨거운 물에 녹여 맥주와 같은 청량 음료를 만들기도 하는데, 러시아의 콰스가 대표적이다.[29]

6. 역사적 배경 및 기타

일반적인 흑빵은 호밀로 만들어지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시베리아 억류수용소에 수용된 전 일본 병사들에게는 호밀이 사용되지 않은 흑빵이 지급되었다. 이것은 거친 밀가루에 보리 가루나 양파 가루, 등으로 만들어진 조악한 것으로, 매우 신맛이 강하고 수분이 많은 무거운 빵이었다.[30]

참조

[1] 웹사이트 The Atlas of Economic Complexity by @HarvardGrwthLab http://atlas.cid.har[...]
[2] 간행물 The Rural Economy of Roman Britain https://doi.org/10.5[...] Archaeology Data Service 2018
[3] 간행물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rye (Secale cereale) in the Iberian Peninsula https://doi.org/10.1[...] 2023-05
[4] 학술지 Archaeobotanical overview of rye (''Secale Cereale'' L.) in the Carpathian-basin I. from the beginning until the Roman age http://docplayer.net[...] 2016-07-14
[5] 웹사이트 https://www.fob.uk.c[...]
[6] 웹사이트 https://www.sustainw[...]
[7] 서적 The Bread Builders: Hearth Loaves and Masonry Ovens https://books.google[...] Chelsea Green Publishing 1999-07-01
[8] 웹사이트 Society-Lifestyle: Recipes: Breads-Cakes: Rye and Indian Bread http://www.colonials[...] Colonial Sense 2013-05-26
[9] 학술지 European Food Research And Technology 2002
[10] 웹사이트 Briess Processes - The Classes of Malt Ingredients http://www.briess.co[...] 2014-12-21
[11] 웹사이트 Black Bread recipe from master baker Jeffrey Hamelman https://archive.toda[...]
[12] 웹사이트 Herkules rugbrød https://www.kohberg.[...]
[13] 서적 The Silver Bough: A calendar of Scottish national festivals: Hallowe'en to yule https://books.google[...] W. Maclellan 1961
[14] 웹사이트 The people have spoken - rye bread is the national food https://yle.fi/a/3-9[...] 2017-01-19
[15] 서적 The [[Laurel's Kitchen]] Bread Book Random House 2003
[16] 서적 English Bread and Yeast Cookery Penguin Books
[17] 웹사이트 Sosland Publishing http://www.bsimagazi[...] 2013-05-26
[18] 웹사이트 Rye Dough - Culinary Encyclopedia http://www.ifood.tv/[...] Ifood.tv 2013-05-26
[19] 서적 The Princesses Cook Book Albert Bonnier Publishing 1936
[20] 서적 Jewish Cooking in America Alfred A. Knopf
[21] 서적 Please to the Table Workman Publishing 1990
[22] 뉴스 Give us this day our daily Winnipeg rye bread... http://www.winnipegf[...] 2013-05-26
[23] 웹사이트 Winnipeg Rye Bread Recipe http://allrecipes.co[...] Allrecipes.com 2013-05-26
[24] 학술지 Rye and health - Where do we stand and where do we go? 2018-09
[25] 학술지 Rosén Liza et al. Endosperm and whole grain rye breads are characterized by low post-prandial insulin response and a beneficial blood glucose profile, ''Nutrition Journal'', 2009, 8:42 Nutritionj.com 2009-09-25
[26] 웹사이트 「【独逸見聞録】ブロートの定義 〜大型パン(其の壱)〜」 http://www.tsujicho.[...] 辻調グループ総合情報サイト内 2011年6月15日 2015-04-11
[27] 문서 燕麦などと異なり、グルテンを含まないわけではない。[[セカリン]]と呼ばれる[[グルテリン]](グルテニンとも言いうる)を含んでいることもあり、ライ麦のグルテンが生地膨張を全く支えないわけではない。
[28] 웹사이트 みんなの健康:ヘルシーなパンって一体どんなもの? https://minnakenko.j[...]
[29] 서적 第92回あなたはまだ知らない?パンケーキの国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2020-03-09
[30] 서적 シベリア抑留全史 原書房
[31] 뉴스 변비해결에 만점, 호밀빵 만들기 https://news.naver.c[...] 2011-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