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무 (뿌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무는 배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채소로, 둥근 뿌리를 식용한다. 원산지는 중앙아시아로 추정되며, 유럽과 동아시아로 전파되었다. 순무는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며, 특히 일본에서 재배 역사가 오래되어 품종이 풍부하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재배되었으며, 김치, 깍두기, 동치미 등 다양한 음식에 활용된다. 순무는 영양가가 풍부하며, 특히 잎에는 비타민과 식이섬유가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라시카 라파 - 청경채
청경채는 중국이 원산지인 배추속 채소로, 푸른 줄기 채소라는 뜻의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결구하지 않는 녹색 잎과 굵은 줄기가 특징이고, 다양한 품종이 있으며, 비타민이 풍부하여 여러 요리에 활용된다. - 브라시카 라파 - 배추
배추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1년생 채소로, 결구된 잎을 식용하며 김치 제조의 핵심 재료로 쓰이고, 중국에서 기원하여 한국과 일본을 거쳐 전 세계로 퍼져나가 다양한 품종이 재배된다. - 뿌리채소 - 우엉
우엉은 국화과에 속하는 2년생 초본식물로, 굵은 뿌리와 잎, 자줏빛 꽃이 특징이며 뿌리는 식용으로 이용되고 다양한 품종이 재배되며 식이섬유, 칼륨, 칼슘 등이 풍부하다. - 뿌리채소 - 캐러웨이
캐러웨이는 미나리과 식물로, 씨앗은 향신료로 사용되며, 빵, 유럽 요리, 소화 불량 개선 등에 활용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순무 (뿌리)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Brassica rapa var. rapa |
학명 (기타) | Brassica rapa var. glabra |
영어 이름 | Turnip |
일본어 이름 | 카부 (蕪) |
영양 정보 (생 순무 100g 기준) | |
수분 | 91.87g |
에너지 | 28 kcal (117 kJ) |
단백질 | 0.9g |
지방 | 0.1g |
탄수화물 | 6.43g |
섬유질 | 1.8g |
당류 | 3.8g |
칼슘 | 30mg |
철분 | 0.3mg |
마그네슘 | 11mg |
인 | 27mg |
칼륨 | 191mg |
나트륨 | 67mg |
아연 | 0.27mg |
망간 | 0.134mg |
셀레늄 | 0.7μg |
비타민 C | 21mg |
티아민 (비타민 B1) | 0.04mg |
리보플라빈 (비타민 B2) | 0.03mg |
니아신 (비타민 B3) | 0.4mg |
판토텐산 (비타민 B5) | 0.2mg |
비타민 B6 | 0.09mg |
엽산 | 15μg |
콜린 | 11.1mg |
비타민 B12 | 0μg |
비타민 A | 0μg |
베타카로틴 | 0μg |
루테인 | 0μg |
비타민 E | 0.03mg |
비타민 D | 0 IU |
비타민 K | 0.1μg |
포화 지방 | 0.011g |
단일 불포화 지방 | 0.006g |
다중 불포화 지방 | 0.053g |
순무 (잎, 소금 없이 조리된 것 100g 기준) | |
에너지 | 84 kJ |
수분 | 93.2g |
단백질 | 1.1g |
지방 | 0.2g |
탄수화물 | 4.4g |
섬유질 | 3.5g |
당류 | 0.5g |
칼슘 | 137mg |
철분 | 0.8mg |
마그네슘 | 22mg |
인 | 29mg |
칼륨 | 203mg |
나트륨 | 29mg |
망간 | 0.337mg |
비타민 C | 27.4mg |
티아민 (비타민 B1) | 0.045mg |
리보플라빈 (비타민 B2) | 0.072mg |
니아신 (비타민 B3) | 0.411mg |
판토텐산 (비타민 B5) | 0.274mg |
비타민 B6 | 0.18mg |
엽산 | 118μg |
비타민 A | 381μg |
베타카로틴 | 4575μg |
루테인 | 8440μg |
비타민 E | 1.88mg |
비타민 K | 368μg |
순무 (뿌리, 소금 없이 조리된 것 100g 기준) | |
에너지 | 92 kJ |
수분 | 93.6g |
단백질 | 0.7g |
지방 | 0.1g |
탄수화물 | 5.1g |
섬유질 | 2.0g |
당류 | 3.0g |
칼슘 | 33mg |
철분 | 0.18mg |
마그네슘 | 9mg |
인 | 26mg |
칼륨 | 177mg |
나트륨 | 16mg |
아연 | 0.12mg |
망간 | 0.071mg |
비타민 C | 11.6mg |
티아민 (비타민 B1) | 0.027mg |
리보플라빈 (비타민 B2) | 0.023mg |
니아신 (비타민 B3) | 0.299mg |
판토텐산 (비타민 B5) | 0.142mg |
비타민 B6 | 0.067mg |
엽산 | 9μg |
2. 어원
'순무'라는 단어의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선반에서 깎아 둥글게 만든다는 의미의 'turn'과 식물을 뜻하는 라틴어 'napus'에서 유래된 'neep'의 합성어일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된다. An Universal Etymological English Dictionary에 따르면, 'turn'은 "일반적으로 긴 napus와 구별하기 위해 둥근 napus"를 의미한다.[2]
순무의 야생종은 서아시아와 유럽에서 발견되며, 기원전 2000년경부터 지중해에서 인도에 이르기까지 여러 번 재배되었다.[3] 식용 순무는 수천 년 전 중앙아시아에서 처음 재배되었으며, 유전 연구를 통해 중앙아시아 품종이 가장 다양하다는 것이 밝혀졌다.[5]
일본어 카브(カブ)의 어원은 여러 설이 있지만, 한 설에 따르면 비대해진 뿌리 부분의 모양이 둥근 데에서 머리를 의미하는 "가부리(かぶり)"에 비유한 것이 유래라고 한다. 다른 설에서는 뿌리를 의미하는 "주(株)", 또는 카브라의 방언인 "오카부"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별명으로는 '''스즈나'''라고도 불리며, 봄의 7가지 풀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스즈나의 "스즈"는 카브의 둥근 모양을 둥근 항아리 모양의 술병인 주석제의 병자에 비유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에도 시대에는 한자로 '''무청'''(蕪菁, 현대 중국어병음:wujing), '''만청'''(蔓菁, manjing), '''편나복'''(扁蘿蔔, bianluobo) 등으로 불렸다.
영어로는 turnip(터니프), 프랑스어로는 navet(나베), 이탈리아어로는 rapa(라파)라고 불린다.
3. 역사
이후 순무는 유럽과 동아시아로 퍼져나갔다. 유럽에서는 헬레니즘과 로마 제국 시대에 중요한 음식이 되었으며,[3] 16세기부터는 사료 용도로도 널리 보급되었다. 동유럽 등 한랭지에서는 겨울철 식량이나 구황 작물로 활용되었다.[17]
순무는 중국을 거쳐 일본에도 전래되었는데, 일본서기에 따르면 나라 시대 (710년~794년)에 지토 천황이 순무 재배를 장려했다는 기록이 있다.[3] 에도 시대에는 일본 각지로 퍼져나가 다양한 품종이 만들어졌다.[17]
미국에서는 미국 남북 전쟁 이전에 잎과 뿌리를 모두 식용으로 활용하는 중요한 작물이었다.[6]
3. 1. 한국의 순무 역사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순무를 재배해 온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 시대 문헌인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에 순무 김치(숭니김치)에 대한 기록이 있다. 조선 시대에는 순무가 구황작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 등 농서에 순무 재배법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강화도 순무는 조선 시대부터 유명한 특산물이었으며, 현재까지도 재배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품종의 순무가 도입되어 재배되기도 했으나, 광복 이후에는 한국 재래종 순무의 재배가 다시 활발해졌다.[17]
4. 특징
순무는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채소로, 키는 30~50cm이다. 잎은 주걱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3~5월에 꽃자루를 수직으로 뻗어 총상꽃차례에 지름 1cm 정도의 노란색 십자 모양의 꽃잎 4개를 가진 꽃이 핀다. 꽃이 진 후에는 녹색 열매가 열린다.[18]
순무는 다른 배추과 식물과 교잡하기 쉽다. 무 (무속)와는 교잡하지 않지만, 갓이나 배추 등 (배추속)과는 교잡한다. 비대해진 구형의 뿌리를 식용하는데, 이는 발생학상 배축이라 불리는 부위이다.[19] 진짜 뿌리는 그 아래로 뻗은 수염 모양의 부위이다.[18] 절임용 히야스나나 향신료용 도노무 등에서는 이 배축이 무처럼 길게 자라지만, 노자와나에서는 거의 비대해지지 않는다. 배축과 뿌리의 색은 대부분 흰색이지만, 붉은색을 띠는 '적무'도 있다.
가장 흔한 종류의 순무는 대부분 흰색 껍질을 가지고 있으며, 지면 위로 튀어나와 햇볕을 받는 부분은 보라색, 빨간색 또는 녹색을 띤다. 뿌리는 대략 둥근 모양이며, 지름 5cm 에서 20cm이고 옆 뿌리가 없다. 아래쪽에는 원뿌리가 얇고 10cm 이상 뻗어있다. 잎은 뿌리의 지상 어깨에서 직접 자라며, 눈에 띄는 윗부분이나 목이 거의 없다.
순무 뿌리는 최대 1kg까지 무게가 나가지만, 일반적으로 더 작을 때 수확한다. 순무의 잎은 때때로 "순무 잎"으로 먹으며, 겨자 잎과 맛이 비슷하다. 순무 잎은 미국 남동부 요리에서 흔한 반찬이다. 잎을 위해 특별히 재배된 순무 품종은 겨자 잎과 비슷하며 작은 뿌리가 있다. 여기에는 라피니, 청경채, 배추가 포함된다. 날것의 양배추 또는 무와 마찬가지로 순무 잎과 뿌리는 톡 쏘는 맛을 가지고 있는데, 요리 후에는 맛이 부드러워진다.
5. 품종
순무의 품종은 계통별로 아시아계와 유럽계로 나뉘며, 크기에 따라 대, 중, 소로 구분된다.[10] 일본에는 흰색 둥근 소형 순무를 비롯하여 적순무, 장순무, 대형 순무 등 약 80여 품종이 각지에서 재래종으로 정착되어 있다.[11][10] 이는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는 일본의 전통 채소의 대표적인 예이다.
일본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은 유럽에서 한반도를 거쳐 건너온 추위에 강한 소형 흰 순무 계통이며, 카나마치 소카브가 대표적이다.[11] 순무는 크기에 따라 지름 10cm를 넘는 대형,[11] 근경부가 길이 20cm 이상인 장순무,[11] 뿌리 색깔에 따라 붉은색의 적순무, 노란색의 황순무 등으로 나뉜다.[12] 쇼고인 카브와 같은 대형 순무는 섬유질이 적고 육질이 치밀하다.[1] 흰색이 아닌 순무는 "색순무"라고도 불리며, 홍색, 홍자색, 윗부분은 홍색이고 아랫부분은 흰색 등 다양한 품종이 동해 쪽에 많이 재배되고 있다.[1] 일본은 "순무의 두 번째 원산지"라고 불릴 정도로 품종이 풍부하다.[13]
도쿄 근교에서 재배되는 카나마치 소카브는 수많은 계통이 있으며, 일본 전국 각지에서 재배된다.[1] 지방 특산 재래종도 많으며, 소순무 이외에는 연중 생산되지 않는다.[1] 지방 품종을 유럽계(동일본)와 아시아계(서일본)로 나누는 선은 세키가하라 부근에 그을 수 있으며, 잎이나 줄기에 털의 유무로 구분된다.[14] 농사 관계자는 이 선을 "카브라 라인"이라고 부른다(나카오 사스케 명명).
일본 국내에서 생산되는 서양종으로는 대형으로 노란색인 골든 볼, 스노우 볼 얼리, 여름 수확의 퍼플 톱 밀란(밀란 루즈) 등이 있다.[15][1]
배추, 청경채, 갓 등은 모두 순무의 종류이며, 광의의 순무채류에 포함되어 상호 교배가 용이하다. 이는 품종 개량을 통해 다양한 채소가 만들어진 결과이다.
(하위 섹션 '한국의 주요 품종'에서 한국의 품종에 대한 내용이 이어진다.)
5. 1. 주요 품종 (일본 중심)
- '''카나마치 소카브(金町小かぶ)''' - 도쿄의 재래종으로, 일본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대표 품종이다. 뿌리는 희고 부드러우며, 봄에 나오는 것은 단맛이 있어 생으로 먹기에 좋다.[1]
- '''쇼고인 카브(聖護院かぶ)''' - 교토의 전통 채소 중 하나이다.[2] 일본에서 가장 큰 품종으로, 큰 것은 무게가 5kg에 달한다. 센마이즈케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3]
- '''텐노지 카브(天王寺かぶ)''' - 서일본에서 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중형 품종이다. 오사카의 재래종으로 뿌리는 희고 약간 납작한 둥근 모양이다.[4] 노자와나의 원종으로,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와카브라고도 한다.[5]
- '''아쓰미 카브(温海かぶ)''' - "카노카브"라고도 불린다. 야마가타현 쓰루오카시 아쓰미 지역의 특산품으로, 에도 시대부터 300년 이상 재배되어 온 재래 품종이다.[6] 화전 재배가 특징인 붉은색 순무이다.[7]
- '''히다 베니카브(飛騨紅かぶ)''' - 기후현 다카야마시를 중심으로 재배되는 붉은색 순무이다. 안쪽은 하얗고, 육질은 부드럽다.[8]
- '''히노 카브(日野菜かぶ)''' - 시가현 히노정의 특산품이다. 뿌리는 무처럼 가늘고 길며, 윗부분은 붉은 보라색, 아랫부분은 흰색이다.[9]
5. 2. 한국의 주요 품종
강화 순무는 겉은 보라색, 속은 흰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쌉쌀하면서도 달콤한 맛이 나며, 인삼 향이 난다. 서울 순무는 흰색의 둥근 모양이며, 육질이 단단하고 단맛이 강하다. 진주 순무는 붉은색을 띠며, 육질이 부드럽고 단맛이 난다. 이천 순무는 흰색과 붉은색이 섞여 있으며, 아삭한 식감과 매운맛이 특징이다.6. 재배
순무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며, 생육 적온은 15~20℃, 발아 적온은 15~25℃이다.[19] 일반적으로 소순무는 한여름을 피해 봄 파종과 가을 파종으로 1년에 두 번 재배할 수 있다.[20][21] 파종에서 수확까지 걸리는 기간은 45~50일 정도로 짧다.[22] 씨앗을 많이 뿌리고 솎아내기를 하면서 뿌리를 굵게 키운다.
옮겨심기는 불가능하므로 밭에 직파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소순무는 플랜터를 이용해 가정에서도 재배할 수 있다. 연작 피해가 있으므로, 같은 밭에서 반복 재배할 때는 1~3년 정도 비워둘 필요가 있다.
높이 5~10센티미터(cm), 폭 60cm 정도의 이랑을 만들고, 줄 간격 20~30센티미터(cm) 정도의 고랑을 만들어 1~2센티미터(cm) 간격으로 씨앗을 줄뿌림한다. 솎아내기 수확을 하지 않을 경우 점뿌림으로도 키울 수 있다.
솎아내기는 3차례에 걸쳐 진행한다.
솎아내기 단계 | 시기 | 간격 |
---|---|---|
1차 | 떡잎이 나오기 시작할 무렵 | 약 3cm |
2차 | 떡잎 2~3개 | 5cm~6cm |
3차 | 떡잎 4~5개 | 10cm |
솎아낸 잎은 식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솎아내기 후에는 웃거름과 흙덮기를 한다. 웃거름은 2주에 한 번 정도 계분이나 퇴비 등을 준다. 흙덮기는 순무가 흙 밖으로 올라와 뿌리가 흔들리는 것을 막아준다.
마지막 솎아내기를 마친 후 포기 간격은 소순무는 약 10~12센티미터(cm), 중순무는 15~20센티미터(cm), 대순무는 25~30센티미터(cm) 정도이다. 수확은 뿌리가 비대해진 정도를 보고 진행하며, 커진 것부터 줄기 뿌리를 잡고 뽑는다. 소순무는 직경 5~6센티미터(cm), 대순무는 8~10센티미터(cm)가 수확 기준이다.
병해충으로는 진딧물, 십자화잎벌레, 배추흰나비, 배추좀나방, 잎굴파리 유충 등이 발생하기 쉽다. 방제책으로는 파종 직후 터널 재배를 하거나 방충망, 방조망을 씌우는 방법이 있다.
병으로는 흰녹병, 무름병, 뿌리혹병 등이 발생하기 쉽다. 예방을 위해 배수와 잡초 제거를 철저히 한다.
7. 영양
순무 뿌리는 약 94%가 수분이며, 100g당 약 20kcal의 에너지를 낸다. 탄수화물 4.0g, 단백질 0.7g, 회분 0.6g, 지질 0.1g이 포함되어 있으며,[18] 비타민 C, 칼륨, 식이 섬유를 함유하고 있어 무와 영양소가 거의 같다.[18]
순무 뿌리에는 전분을 분해하는 소화 효소인 아밀레이스(디아스타제)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생으로 먹으면 밥, 빵, 면 등 주식을 과식했을 때 위 불편이나 속쓰림 해소에 효과가 있다.[18] 또한, 자극성 매운맛 물질인 글루코시놀레이트를 함유하고 있어, 가열하여 섭취하면 간의 해독 작용을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8]
순무 잎은 녹황색 채소로 분류되며, 뿌리와는 전혀 다른 영양소를 가지고 있다.[18] β-카로틴, 비타민 C, 칼슘이 풍부하며,[18] 특히 체내에서 비타민 A로 변환되는 β-카로틴은 100g당 2800mg으로 매우 풍부하다.[18] 비타민 C는 면역력 저하를 예방하고, 식이 섬유는 변비 해소 및 생활 습관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18]
8. 이용
순무는 절임, 찜, 볶음, 스튜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며, 조리법에 따라 식감도 변화한다[20]. 그대로는 단단하기 때문에 생식보다는 조림이나 된장국, 스튜 재료로 많이 사용되지만, 무즙처럼 메밀국수 고명으로도 사용된다. 가열하면 매우 부드러워지기 때문에 무처럼 푹 익히는 요리에는 적합하지 않다. 잎 부분은 신선할 때 겉절이나 기름에 볶아 먹을 수 있으며[20], 아린 맛이 적어 삶아서 데친 나물이나 국물 재료로도 적합하다[21]. 적색 무 등 색깔 무는 대부분 절임 등으로 가공하여 이용된다[22].
일본 요리에서는 후로후키에 이용되며[21][22], 겉절이, 누카즈케, 센마이즈케(성호원 무), 순무 등의 절임으로 가공된다. 무 스시는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의 향토 요리로, 동해에서 잡은 소금에 절인 방어를 얇게 썬 가나자와 푸른 무 사이에 넣고 쌀누룩으로 절인 에도 시대부터 이어져 온 전통 요리이다[22].
8. 1. 한국에서의 이용
순무는 김치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는데, 아삭한 식감과 시원한 맛이 특징이다. 특히 강화도 순무 김치가 유명하다. 순무로 담근 깍두기는 무 깍두기와는 다른 매력이 있으며, 동치미는 시원하고 깔끔한 맛으로 입맛을 돋우는 데 좋다. 순무 잎은 데쳐서 나물로 무쳐 먹거나, 국이나 찌개에 넣어 먹기도 한다.9. 기타
러시아 민화에는 커다란 순무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순무는 러시아에서 친숙한 채소이다.[17] 오스트리아 빌트쇼나우 지역 농부들은 18세기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의 허가를 받아, Brassica rapa ssp. Rapa의 변종으로 크라우팅거라는 슈냅스를 생산한다.[10] 크라우팅거는 독특한 맛과 냄새로 유명하다. 문장학에서 순무는 오래된 문장이다.
10. 한국의 순무 관련 문화
순무|순무한국어와 관련된 한국 속담에는 "순무 장수 똥은 개도 안 먹는다"가 있다. 이는 순무 장수가 순무를 너무 많이 먹어서 똥이 묽다는 뜻으로,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지나치면 해롭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순무 타령"은 순무를 심고 가꾸는 과정을 노래한 민요이다.
매년 가을 강화도에서는 순무 수확 시기에 맞춰 순무 축제가 열린다.
참조
[1]
뉴스
Are 'neeps' swedes or turnips?
https://www.theguard[...]
2010-01-25
[2]
웹사이트
An universal etymological 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org/[...]
2023-10-21
[3]
서적
The Cultural History of Plants
Routledge
2005
[4]
서적
Domestication of plants in the Old World : the origin and spread of domesticated plants in Southwest Asia, Europe, and the Mediterranean Basin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5]
간행물
Brassica rapa domestication: untangling wild and feral forms and convergence of crop morphotypes
https://academic.oup[...]
2021-04-30
[6]
문서
Hog Meat and Hoecake: Food Supply in the Old South, 1840–1860
2014
[7]
웹사이트
Household Cyclopedia of 1881
https://archive.org/[...]
Matthew Spong
[8]
서적
Vegetable Gardening the Colonial Williamsburg Way
Rodale
[9]
서적
The Industrial Revol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0]
뉴스
Wildschönauer Krautinger
https://info.bml.gv.[...]
[11]
웹사이트
Keutschach am See, Carinthia (Austria)
https://www.crwflags[...]
2023-08-24
[12]
웹사이트
Kiikala
https://www.heraldry[...]
2021-02-14
[13]
YList
2023-04-29
[14]
YList
2023-04-29
[15]
YList
2023-04-29
[16]
문서
これは重宝 漢字に強くなる本
光文書院
1979-06-15
[17]
웹사이트
第9回 講演「かぶ」(株)武蔵野種苗園 林信一氏
http://www.shoukumi.[...]
東京都青果物商業協同組合
2011-12-18
[18]
서적
旬の食材:秋・冬の野菜
講談社
2004
[19]
NAID
根こぶ病抵抗性青カブF1品種「加賀姫青」の育成
[20]
뉴스
根はカブ、葉は水菜のよう「小粋菜」生産に本腰
JA広島中央
2020-11-26
[21]
사전
広辞苑
[22]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冬
講談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