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조공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조공학은 건축물, 토목 구조물, 기계적 구조물 등 다양한 구조물의 설계, 건설, 유지 관리에 관한 공학 분야이다. 구조공학의 역사는 고대 피라미드 건설에서 시작하여 산업 혁명과 컴퓨터 기술 발전을 거치며 발전해왔다. 주요 세부 분야로는 건물 구조, 지진 공학 구조물, 토목 구조물, 기계적 구조, 항공우주 구조 등이 있으며, 각 분야는 하중, 재료, 환경 조건 등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구조 요소로는 기둥, 보, 트러스, 판, 셸, 아치, 현수선 등이 있으며, 구조공학은 응용역학, 재료과학, 응용수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고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한다.

2. 구조공학의 역사

구조공학의 역사는 인류가 구조물을 짓기 시작하면서 시작되었다. 고대 이집트피라미드, 로마의 수도교 등은 초기 구조공학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한국의 전통 건축물 (예: 석굴암, 불국사) 또한 당대의 뛰어난 구조공학 기술을 보여준다.

19세기 후반 산업혁명이 일어나면서 건축과 구별되는 전문분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 이전까지는 건축가와 구조공학자를 구분 없이 건설장인(:en:master builder)이라 불렀다. 19세기와 20세기 초반에 구조 이론에 대한 전문 지식이 개발되면서 전문적인 구조공학자들이 나타났다.

현대 구조공학자의 역할은 정적인 하중과 동적인 하중, 그리고 그러한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구조물에 대한 깊은 이해를 포함한다. 현대 건축물의 복잡성은 구조물이 부하를 지탱하고 견디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공학자의 큰 창의성을 요구한다. 일반적으로 구조공학자는 학사 학위를 따기 위해 4~5년을 공부하며, 이후 자격을 완전히 갖추기 위해 3년 이상 실무 경험을 쌓는다.

2. 1. 고대 및 중세 시대

기원전 19세기 경에 프랑스에 지어진 로마 수도교 퐁뒤가르


구조공학의 시초는 기원전 2700년 경 임호텝이 파라오 조세르를 위해 계단 피라미드를 건설한 것이다. 피라미드는 기본적으로 안정적이고 거의 무한히 크기를 늘릴 수 있어서 고대 문명에서 제일 흔히 건축된 주요 구조물이었다.[20] 피라미드의 구조적인 안정성은 주로 형태를 통해 얻었지만, 건설에 사용한 암석의 강도와 상부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특성에도 의존했다.[18] 석회암 벽돌은 흔히 건설 장소 근처의 채석장에서 가져왔고 30에서 250 MPa (MPa = Pa * 106)에 이르는 압축강도를 가졌다.[19]

고대와 중세 시대에 대부분의 건축 설계와 건설은 석공과 목수와 같은 장인들이 명건축가의 역할을 맡아 진행했다. 구조 이론은 존재하지 않았고, 구조가 어떻게 서 있는지에 대한 이해는 극히 제한되었으며, 거의 전적으로 '전에 어떻게 작업했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증거에 기반했다. 지식은 길드가 관리했으며 진보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구조물은 반복적이었고, 규모는 점진적으로 증가했다.[20]

2. 2. 근대

산업혁명과 콘크리트의 재발명(콘크리트의 역사 참조) 이후, 구조공학은 전문 분야로 발전하였다. 구조 공학의 기초가 되는 물리학은 르네상스 시대에 이해되기 시작하여, 1970년대에 컴퓨터를 사용한 설계가 시작되기 전까지 꾸준히 발전해왔다.[21]

구조공학 발전에 기여한 주요 인물과 그 업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인물업적
1638갈릴레오 갈릴레이두 개의 신과학(:en:two New Sciences) 출간, 단순 구조물의 파괴 설명
1660로버트 훅훅 법칙 발견
1687아이작 뉴턴뉴턴의 운동 법칙을 다룬 프린키피아 출간
1750레온하르트 오일러, 다니엘 베르누이오일러-베르누이 보 이론(:en:Euler–Bernoulli beam equation) 정립
1700–1782다니엘 베르누이가상일의 이론 도입
1707–1783레온하르트 오일러기둥의 좌굴 이론 개발


2. 3. 현대

20세기 이후, 컴퓨터 기술의 발전은 구조 해석 및 설계에 혁신을 가져왔다. 유한요소법과 같은 고급 해석 기법이 개발되어 복잡한 구조물의 설계를 가능하게 했다. 1970년대에 개척된 컴퓨터 기반 응용 프로그램은 이러한 발전을 이끌었다.[6]

한국에서는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계기로 대규모 건축물 건설이 활발해지면서 구조공학 기술이 크게 발전했다.

2. 3. 1. 연대기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책 두 개의 신과학에서는 단순한 구조물의 파괴를 설명한다.

아이작 뉴턴은 뉴턴의 운동 법칙을 기술하는 프린키피아를 출판했다.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기둥의 좌굴의 이론을 개발했다.

2. 4. 구조 파괴

구조공학의 역사는 수많은 붕괴와 파괴를 포함한다. 때로는 페티옹빌 학교 붕괴처럼 명백한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이 사건에서는 포르탱 오귀스탱 목사가 "건설에 대해 잘 알고 있다는 듯이" 말하며 엔지니어 없이 3층 높이의 학교 건물을 지었고, 결국 붕괴로 이어져 대부분 아이들인 94명의 사람들이 사망했다.

다른 경우에는 구조 파괴에 대한 주의 깊은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실용적인 노하우를 축적하고 구조공학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돕는다. 이러한 연구 중 일부는 원래의 공학자가 당시의 기술 수준과 허용 가능한 관행에 따라 모든 것을 완료했지만 여전히 파괴가 발생한 경우 법공학적 기법으로 조사한 결과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구조적 지식과 적용이 향상된 유명한 사례는 1970년대 호주에서 발생한 상자형 보의 붕괴 사례에서 찾아볼 수 있다.[1]

3. 구조공학의 세부 분야

구조공학은 다루는 대상에 따라 다양한 세부 분야로 나뉜다. 구조공학자는 보통 건물, 교량, 파이프라인, 산업 시설, 터널, 차량, 선박, 항공기, 우주선과 같은 특정 부문을 전문적으로 다룬다.[17] 건물에 특화된 구조공학자는 콘크리트, 강철, 목재, 석재, 합금, 복합재료와 같은 특정 건축 자재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거나, 사무실, 병원, 주거용 건물 등 특정 종류의 건물에 집중하기도 한다.

구조공학은 사람이 구조물을 짓기 시작할 때부터 존재해왔지만, 19세기 후반 산업혁명과 함께 건축에서 분리된 전문 분야로 발전하였다. 그 이전에는 건축가와 구조공학자를 구분 없이 건설장인이라 불렀다.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구조 이론에 대한 전문 지식이 개발되면서 전문적인 구조공학자가 등장하게 되었다.[17]

오늘날 구조공학자는 정적/동적 하중과 이에 견딜 수 있는 구조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현대 건축물의 복잡성으로 인해 구조공학자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높은 창의성을 발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구조공학자가 되기 위해서는 4~5년의 학사 학위 취득 후 3년 이상의 실무 경험이 필요하다. 구조공학자는 영국의 Institution of Structural Engineers와 같은 학회 및 규제 기관을 통해 자격을 인정받는다.[17]

3. 1. 건물 구조

건물 구조 공학은 주거, 상업, 공공 건물 등 다양한 건축물의 구조 설계를 다루며, 건축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건축가와 협력하여 건물의 안전성, 기능성,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조 설계는 건물이 안전하게 서 있고,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 하중, 바람, 지진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 크리프, 균열 등도 고려해야 한다.

요른 웃손과 아럽이 구조 설계를 한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리처드 로저스와 뷰로 해폴드가 설계한 영국 런던의 밀레니엄 돔


두바이에 위치한 부르즈 할리파. 2007년 건설 당시 세계에서 제일 높은 건물이었다.


대부분의 건물은 건축가가 설계를 주도하지만, 장력 구조, 셸, 격자셸과 같이 특이한 형태의 구조물은 구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공학자가 형태와 미학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현대 건물 구조의 설계는 매우 복잡할 수 있으며, 완공하기 위해 다수의 인력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3. 1. 1. 관련 분야

건물 구조 공학의 세부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지진 공학: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저항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술
  • 파사드 공학: 건물 외피(Facade)의 구조적 성능과 디자인을 다루는 분야
  • 화재 공학: 화재 발생 시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기술
  • 지붕 공학: 지붕 구조의 설계 및 시공과 관련된 분야
  • 타워 공학: 고층 타워의 구조 설계를 다루는 분야
  • 풍공학: 바람이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설계에 반영하는 기술

3. 2. 지진 공학 구조물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구조물이다.[11] 지진공학의 주요 목표는 흔들리는 지반과 구조물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고, 예상되는 지진의 결과를 예측하며, 지진 발생 시 구조물이 적절한 성능을 발휘하도록 설계하고 건설하는 것이다.[11]

내진 피라미드 엘 카스티요, 치첸이트사


지진에 강한 구조물이 반드시 매우 튼튼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치첸이트사의 엘 카스티요 피라미드처럼 극단적으로 강인할 필요는 없다.[11]

지진 공학의 중요한 도구 중 하나는 구조물의 기초가 지진과 함께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해주는 면진이다.[11]

3. 3. 토목 구조물

토목 공학은 교량, , 터널,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 사회 기반 시설의 구조 설계를 다룬다. 이러한 구조물은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환경 조건과 하중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토목 구조물은 흔히 온도의 큰 변화, 파도나 교통과 같은 동적 부하, 물이나 압축된 기체로 인한 큰 압력과 같은 극한의 힘을 받게 된다. 또한 바다, 산업 시설, 지하와 같이 부식되기 쉬운 환경에서도 자주 건설된다.[11]

한국은 산악 지형과 해안선이 복잡하여 교량, 터널, 해안 구조물 건설에 높은 기술력이 요구된다. 대표적인 토목 구조물로는 이순신대교, 거가대교, 인천국제공항 등이 있다.

3. 4. 기계적 구조



오토바이


구조공학은 다양한 기계적 (움직일 수 있는)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정적인 구조물 설계는 동일한 기하학을 가정하지만, 움직이는 구조물 설계는 피로, 하중을 견디는 방식의 변화, 구조의 왜곡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11]

기계에는 다양한 힘이 다양한 빈도로 가해질 수 있다. 선박이나 항공기는 정해진 수명 동안 수천 번 넘게 다양한 규모의 힘을 견뎌야 한다. 기계 구조를 설계할 때는 정해진 수명이 다 될 때까지 망가지지 않고 예측되는 부하를 견딜 수 있도록 해야 한다.[12]

기계적 구조공학이 필요한 분야는 다음과 같다.

분야
보일러와 압력 용기
차체와 객차
기중기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선박 건조


3. 5. 항공우주 구조

세계에서 제일 큰 여객기인 에어버스 A380


미사일 설계는 구조 해석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필요로 한다.


항공우주 구조는 발사체(아틀라스, 델타, 타이탄), 미사일(ALCM, 하푼), 극초음속 비행체(우주 왕복선), 군용 항공기(F-16, F-18), 상용 항공기(보잉 777, MD-11) 등을 포함한다. 항공우주 구조는 일반적으로 얇은 판(외부 표면), 보강재, 벌크헤드 및 프레임(형상 유지), 파스너(:en:Fastener)(용접, 리벳, 나사, 볼트) 등으로 구성된다.[11]

3. 6. 나노 규모의 구조물

나노구조는 분자 규모와 마이크로미터 규모 사이의 중간 크기를 갖는 구조를 말한다. 나노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나노 규모의 차원을 구분하는 것이 필요하다.

  • 나노조직표면(Nanotextured surface): 나노 규모에서 한 개의 차원을 갖는다. 즉, 물체 표면의 두께가 0.1에서 100나노미터(nm) 사이이다.
  • 나노튜브: 나노 규모에서 두 개의 차원을 갖는다. 튜브의 직경은 0.1에서 100nm 사이이며, 길이는 훨씬 더 길 수 있다.
  • 구형 나노입자: 나노 규모에서 세 개의 차원을 갖는다. 공간 상의 각 차원에서 0.1에서 100nm 사이의 크기를 갖는다.


나노입자(nanoparticle)와 초미입자(ultrafine particles, UFP)는 흔히 같은 의미로 사용되지만, UFP는 마이크로미터 규모의 입자까지 포함하는 더 넓은 개념이다. '나노구조'라는 용어는 자기 기술을 언급할 때 자주 사용된다.[1]

3. 7. 의학을 위한 구조공학

의료 장비를 설계하기 위해선 구조공학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의료 기기(아르마멘타리움(armamentarium)이라고도 함)는 질병의 진단, 감시 또는 치료를 돕기 위해 설계된다. 의료 기기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기본적인 유형이 있다.

  • '''진단 장비''': 진단을 돕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 영상 장비를 포함한다.
  • '''치료 장비''': 주입 펌프, 의료용 레이저, 라식 수술 장비 등이 있다.
  • '''의료 모니터''': 의료진이 환자의 의학적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며, 심전도(ECG), 뇌파(EEG), 혈압 및 혈액 내 용존 가스 등 환자의 활력 징후와 기타 매개변수를 측정할 수 있다.


진단 의료 장비는 특정 목적(예: 당뇨병 관리)을 위해 가정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생의학 장비 기술자(BMET)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주로 병원에 고용되는 BMET는 시설의 의료 장비를 유지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11]

4. 구조 요소

균등하게 분포된 하중을 받는 정정 단순 지지 보의 굽힘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기둥, 보, 판, 아치, 셸, 현수선과 같은 몇 가지 유형의 요소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형태(직선, 평면/곡선)와 차원(1차원/2차원)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1차원2차원
직선곡선평면곡선
(주로) 굽힘연속 아치판, 콘크리트 슬래브평면 라미나,
(주로) 인장 응력로프, 타이현수선
(주로) 압축교각, 기둥내력벽


  • 기둥: 축 방향의 힘(압축)이나 축 방향의 힘과 굽힘을 모두 받는 부재이다.
  • : 한 차원의 길이가 다른 두 차원보다 길고, 하중이 주축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요소이다.
  • 트러스: 여러 개의 직선 부재를 연결하여 만든 구조로, 주로 다리, 지붕 등에 사용된다.
  • : 두 방향으로 휨을 지탱하는 요소이다.
  • : 형태에서 강도를 얻으며, 압축력을 두 방향으로 지탱하는 요소이다.
  • 아치: 압축력만 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요소이다.
  • 현수선: 처짐을 통해 수평 방향의 힘을 순수 인장 상태로 받는 요소이다.

4. 1. 기둥 (Column)

기둥은 축 방향의 힘(압축)만 또는 축 방향의 힘과 굽힘을 모두 전달하는 부재이다.(기술적으로는 보-기둥이라고 부르지만, 실제로는 단순하게 기둥이라고 부른다).[1] 기둥을 설계할 때는 부재의 축 방향 능력과 좌굴 능력을 확인해야 한다.[1]

좌굴 능력은 좌굴하려는 경향에 견디는 부재의 능력이다.[3] 그 능력은 형상, 재료, 기둥의 유효 길이에 따라 달라지며, 기둥의 상하 구속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3]

기둥의 축 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능력은 기둥이 받는 굽힘의 정도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상호 작용 그림으로 표시된다. 이는 복잡한 비선형 관계이다.[3]

4. 2. 보 (Beam)

보는 한 차원에서의 길이가 다른 두 차원에서의 길이보다 훨씬 긴 요소로 정의할 수 있으며, 가해진 하중은 대개 요소의 주축(main axis)에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한다. 보와 기둥은 선 요소(line element)라고 불리며 보통 구조적 모델링에서 단순한 선으로 표현된다.

보는 단순 휨(:en:pure bending)만을 지탱하는 요소이다. 휨은 보를 길게 두 부분으로 구분할 때 한쪽은 압력이, 다른 쪽은 장력이 가해지도록 한다.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은 찌그러짐과 으스러짐을, 장력이 가해지는 부분은 장력을 적절히 견디도록 설계되어야 한다.[1]

보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외팔보 (지지부가 1개인 보)
  • 단순보 (양 끝에서 수직 병진을, 한 지지부에서 수평 병진을 막도록 고정되었으며, 지지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보)
  • 고정보 (양 끝에서 모든 방향의 병진과 회전을 막도록 고정된 보) : 고정단 모멘트 참고.
  • 연속보 (지지부가 N개인 보)
  • 혼합보 (ex. 양쪽과 가운데에서 지지되는 보)

4. 3. 트러스 (Truss)

트러스는 여러 개의 직선 부재를 연결하여 만든 구조로, 주로 다리, 지붕 등에 사용된다. 부재들이 절점(node)에서 연결되고 힘이 절점에 가해지면 부재에 장력이나 축력이 작용하게 된다. 축력이 작용하는 부재는 압축재, 버팀대라고 불리는 반면, 장력이 작용하는 부재는 인장재, 타이라고 불린다.

대부분의 트러스는 구조 요소를 교차 연결하기 위해 연결판를 사용한다. 연결판은 비교적 유연하며 휨모멘트를 전달할 수 없다. 연결 부위는 보통 부재들의 역선이 연결점(joint)에서 일치해서 트러스 부재들이 순인력, 혹은 순장력에서 작용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트러스는 일반적으로 단단한 빔을 사용하기엔 경제적이지 않은 폭이 넓은 구조물에 활용된다.

4. 4. 판 (Plate)

판은 두 방향으로 휨을 지탱한다. 평평한 콘크리트 슬래브도 판이라고 할 수 있다. 판은 연속체 역학을 활용하여 이해할 수 있지만, 내포한 복잡성이 크기 때문에 보통은 성문화된 실증적인 접근법이나 컴퓨터 분석을 활용하여 설계된다.

판은 가정된 붕괴 기전이 붕괴 하중의 상한을 부여하기 위해 (가소성 참고) 분석되는 항복선 이론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술은 실제로 사용되기도 하지만[22] 이 방식이 불안정한 붕괴 하중의 예측 등의 상한을 제시하기 때문에, 붕괴 기전을 허술하게 가정한 경우 현실적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23]

4. 5. 셸 (Shell)

셸은 형태에서 강도를 얻으며, 압력의 힘을 두 방향으로 지탱한다. 은 셸의 한 형태이다.[1] 셸 구조는 순장력 상태에서 현수선으로 작용하는 hanging-chain model을 만들고, 그 형태를 순압력이 가해지도록 뒤집는 방식으로 설계할 수 있다.[1]

4. 6. 아치 (Arch)

아치는 압축력만 한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암석이 아치 건설에 적합하다. 힘의 추력선(:en:Line of thrust)이 아치의 깊이 안에 남도록 설계되며, 주로 모든 구조물에 풍부함을 더하기 위해 활용된다.[1]

4. 7. 현수선 (Catenary)

현수선은 그 형태로부터 힘을 이끌어내며, 처짐으로써 수평 방향의 힘을 순수한 인장 상태로 받는다. (마치 누군가가 그 위를 걸을 때 줄타기가 처지는 것처럼)[1] 이는 대부분 케이블 또는 천 구조이다.[1] 천 구조는 2방향 현수선으로 기능한다.[1]

5. 구조공학 이론

구조공학은 구조물이 자체 무게와 외부에서 가해지는 무게를 어떻게 지탱하고 견디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응용역학, 재료과학, 응용수학에 대한 자세한 지식을 활용한다. 구조공학자는 이러한 지식을 올바르게 적용하기 위해 관련 경험적 및 이론적 구조해석 기술, 재료 및 구조물의 부식 저항성(특히 구조물이 외부 환경에 노출될 때)에 대한 약간의 지식이 필요하다.

1990년대 이후에는 구조 설계에 도움을 주는 전문 소프트웨어가 출시되어, 최대한 정밀하게 구조물의 도면 작성, 분석, 설계를 지원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에는 오토캐드, StaadPro, ETABS, Prokon, Revit Structure, Inducta RCB 등이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지진이나 바람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도 고려할 수 있다.

전단 응력을 받는 볼트의 그림. 위 그림은 단일 전단을, 아래 그림은 이중 전단을 보여준다.

6. 재료

구조 공학에서는 하중을 지지하고 저항하는 다양한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고 활용한다. 주요 구조 재료는 다음과 같다.



각 재료는 고유한 특성을 가지며, 구조물의 용도와 환경에 따라 적합한 재료가 선택된다.

6. 1. 철

연철, 주철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강도가 높고 가공성이 우수하여 구조 재료로 널리 사용된다.

6. 2. 콘크리트

콘크리트는 철근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압축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6. 3. 강철

강철, 스테인리스강 등 다양한 합금이 사용된다. 강철은 인장 강도가 높고 연성이 우수하다.[1]

6. 4. 목재

목재는 경재, 연재(:en:softwood)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볍고 가공성이 우수하며 친환경적이다.

6. 5. 알루미늄

알루미늄은 가볍고 부식에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항공기, 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된다.

6. 6. 복합재료

복합재료에는 합판, 탄소섬유, 섬유 강화 플라스틱(:en: fiber reinforced plastic) 등이 있으며, 경량화와 고강도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FAO online publication http://www.fao.org/d[...] 2016-11-19
[2] 웹사이트 What is a structural engineer http://www.rmg-engin[...] 2015-11-30
[3] 보고서 Building the Great Pyramid in a Year: An Engineer's Report Algora Publishing: New York
[4] 웹사이트 Some Useful Numbers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Materials (Geologic and Otherwise) http://www.stanford.[...] Stanford University 2013-12-05
[5] 웹사이트 Lecture notes in Struc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Colorado 2007-11-02
[6] 웹사이트 ETABS receives "Top Seismic Product of the 20th Century" Award http://www.structure[...] Structure Magazine 2012-04-20
[7] 웹사이트 IABSE "Organisation", iabse website http://www.iabse.org[...] 2004-08-06
[8] 웹사이트 Assessment of a Pair of Reinforced Concrete Roof Slabs http://www.ramsay-ma[...] Ramsay Maunder Associates 2011
[9] 웹사이트 Reappraisal of a Simply Supported Landing Slab http://www.ramsay-ma[...] Ramsay Maunder Associates 2011
[10] 웹사이트 What is a structural engineer http://www.rmg-engin[...] 2015-11-30
[11] 간행물 FAO online publication http://www.fao.org/d[...] 2016-11-19
[12] 웹사이트 What is a structural engineer http://www.rmg-engin[...] 2015-11-30
[13] 문서 http://www.ramsay-maunder.co.uk/downloads/precast_roof_slabs.pdf
[1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ramsay-ma[...]
[15] 간행물 FAO online publication http://www.fao.org/d[...] 2016-11-19
[16] 웹인용 What is a structural engineer http://www.rmg-engin[...] 2015-11-30
[17] 웹사이트 IABSE "Organisation", iabse website http://www.iabse.org[...] 2004-08-06
[18] 보고서 Building the Great Pyramid in a Year : An Engineer's Report Algora Publishing: New York 2013-12-05
[19] 웹인용 Some Useful Numbers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Materials (Geologic and Otherwise) http://www.stanford.[...] Stanford University 2013-12-05
[20] 웹인용 Lecture notes in Structural Engineering http://ceae.colorado[...] University of Colorado 2007-11-02
[21] 웹인용 ETABS receives "Top Seismic Product of the 20th Century" Award http://www.structure[...] Structure Magazine 2012-04-20
[22] 문서 http://www.ramsay-maunder.co.uk/downloads/precast_roof_slabs.pdf
[23]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ramsay-ma[...] 2014-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