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간부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급성 간부전은 간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어 발생하는 심각한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대한민국에서는 약물, 바이러스성 간염, 독성 물질 등이 주요 원인이다. 초기에는 황달, 쇠약감, 정신 상태 변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뇌부종, 응고병증, 신부전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진단은 혈액 검사, 영상 검사, 간 생검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중환자실 관리, 특이 치료, 간 이식 등을 포함한다. 급성 간부전은 과거 높은 사망률을 보였으나, 최근 간 이식 및 집중 치료의 발달로 생존율이 향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기 부전 - 다발성 장기 부전
다발성 장기 부전은 감염, 부상 등으로 유발되는 전신 염증 반응으로 인해 둘 이상의 장기가 기능 부전을 일으키는 상태이며, 조기 진단과 공격적인 치료가 중요하다. - 장기 부전 - 호흡부전
호흡 부전은 혈액 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상태이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폐, 심장, 신경근육 질환 등으로 분류되고, 동맥혈 가스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하며, 산소 요법, 기계 환기 등의 치료를 통해 관리한다. - 생물의 기관 - 오장육부
오장육부란 한의학에서 생명 유지 활동을 주관하는 오장(간, 심, 비, 폐, 신)과 소화, 흡수, 배설을 담당하는 육부(담, 소장, 위, 대장, 방광, 삼초)를 통칭하는 기능적, 관계적 개념으로, 음양오행 철학에 기반하여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현대 의학에서는 유사과학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생물의 기관 - 머리카락
머리카락은 털과 털주머니로 구성된 털 기관의 일부로서 몸을 보호하고 보온하며, 모수질, 모피질, 모표피의 3중 구조와 멜라닌 색소로 색깔이 결정되고, 모주기를 거치면서 화학적, 물리적 요인에 따라 성질이 변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사인별 죽음 - 뇌졸중
뇌졸중은 뇌로 가는 혈액 공급이 막혀 뇌세포가 손상되는 질환으로, 허혈성 뇌졸중과 출혈성 뇌졸중으로 나뉘며, 조기 진단과 치료, 그리고 위험 요인 관리를 통한 예방이 중요하다. - 사인별 죽음 - 감전
감전은 전류가 인체를 통과하며 발생하는 전기적 충격으로, 다양한 요인에 따라 위험성이 달라지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고, 예방을 위해 안전 수칙 준수가 필수적이지만, 의료적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하며 윤리적 논란의 여지도 있다.
급성 간부전 | |
---|---|
급성 간부전 정보 | |
![]() | |
다른 이름 | 동의어 없음 |
증상 | 황달 과도한 출혈 의식 변화 과다역동 순환 간세포 괴사 저혈압 |
합병증 | 간성뇌증 신부전 혈소판 감소증 저나트륨혈증 |
발병 시기 | 알 수 없음 |
지속 시간 | 알 수 없음 |
유형 | 알 수 없음 |
원인 | 알 수 없음 |
위험 요인 | 알 수 없음 |
진단 | 프로트롬빈 시간 측정 전혈구 검사 |
감별 진단 | 알 수 없음 |
예방 | 알 수 없음 |
치료 | 간 이식 |
약물 | 알 수 없음 |
예후 | 알 수 없음 |
빈도 | 알 수 없음 |
사망 | 알 수 없음 |
2. 원인
급성 간부전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흔한 원인으로는 아세트아미노펜 과다 복용이나 특정 약물(테트라사이클린, 트로글리타존 등)에 대한 특이 반응, 과도한 알코올 섭취로 인한 심한 알코올성 간염, A형 간염 또는 B형 간염과 같은 바이러스성 간염(C형 간염은 드묾), 임신성 급성 지방간 등이 있다. 때로는 뚜렷한 원인을 찾기 어려운 경우(특발성)도 있다.
드물지만 라이 증후군(주로 어린이에게 발생하며 아스피린 사용과 관련), 윌슨병(유전성 구리 축적 질환), 독버섯(''Amanita phalloides'' 등 아마톡신 생성 버섯) 섭취, 특정 세균(''Bacillus cereus'') 감염 등도 급성 간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14][15][16][17][18][19]
2. 1. 주요 원인
급성 간부전의 흔한 원인은 다음과 같다.- 약물: 아세트아미노펜 과다 복용이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또한 테트라사이클린, 트로글리타존과 같은 특정 약물에 대한 개인의 특이 체질 반응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다.
- 바이러스성 간염: A형 간염 또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이 될 수 있다. C형 간염으로 인해 급성 간부전이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 알코올: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심한 알코올성 간염을 유발하며, 이는 급성 간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 독성 물질:
- 독버섯, 특히 ''Amanita phalloides''와 같이 아마톡신을 생성하는 곰팡이 종에 의한 버섯 중독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식중독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특정 ''Bacillus cereus'' 균주는 세룰리드(cereulide)라는 독소를 생성하여 전격성 간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14] 이 독소는 간세포의 미토콘드리아를 파괴하여 세포 사멸을 유발한다. 대부분의 ''B. cereus'' 감염은 신체의 면역 체계에 의해 해결되어 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간 손상을 초래하는 심각한 경우에는 즉각적인 치료나 간 이식이 없으면 치명적일 수 있다.[15][16][17][18][19]
- 임신 관련: 임신성 급성 지방간은 임신 후기에 발생할 수 있는 급성 간부전의 원인이다. 임신 후기에는 간 기능이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으며[12], 이로 인해 사망한 환자 중 다수가 질 분만을 경험했다.[13] 초기 임상 증상으로는 무력감, 식욕 감소, 암갈색 소변, 심한 황달, 메스꺼움, 구토, 복부 팽만 등이 나타날 수 있다.[12]
- 기타 질환:
- 라이 증후군은 주로 어린이에게서 발생하는 급성 간부전으로, 수두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 후 아스피린 사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윌슨병은 유전적으로 구리가 간에 축적되는 질환으로, 드물게 급성 간부전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 특발성: 뚜렷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
2. 2. 기타 원인
라이 증후군은 바이러스 감염(예: 수두)이 있는 어린이에게서 발생하는 급성 간부전이며, 아스피린 사용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윌슨병 (유전성 구리 축적)은 드물게 급성 간부전으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독버섯(''Amanita phalloides'')과 다른 아마톡신 생성 곰팡이 종에 의한 버섯 중독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식중독의 원인으로 알려진 세균 ''Bacillus cereus''의 특정 균주는 세룰리드라는 독소를 생성하여 전격성 간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14] 이 세룰리드는 손상된 간세포의 미토콘드리아를 파괴하여 세포 사멸을 유발한다. 대부분의 ''B. cereus'' 감염은 신체의 면역 체계에 의해 해결되어 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간 손상을 초래하는 심각한 경우에는 즉각적인 치료나 간 이식이 필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 있다.[15][16][17][18][19]
3. 병태 생리
급성 간부전(ALF)의 핵심적인 병태 생리는 간 소엽 내에서 발생하는 광범위한 간세포 괴사이다. 이러한 괴사는 일반적으로 간 소엽의 중심 구역(제3구역)에서 시작하여 문맥 주변(제1구역)으로 진행되는 양상을 보인다. 간 실질 조직의 염증 정도는 다양하게 나타나며, 질병이 지속된 기간에 비례하여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8][20][21]
3. 1. 간세포 손상 기전
대부분의 급성 간부전(ALF)은 간 소엽의 특정 구역에서 간세포 괴사가 시작되어 넓게 퍼지는 양상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손상은 간 소엽의 중심부(중심 정맥 주변, 제3구역)에서 시작하여 문맥 쪽(제1구역)으로 진행된다. 간 실질 조직의 염증 정도는 다양하며, 질병이 지속된 기간에 따라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8][20][21]
간세포 손상이 시작되는 부위는 원인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 있다.
- 제3구역 (중심 소엽): 간 소엽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이 구역은 여러 요인에 의해 손상받기 쉽다. 허혈성 손상, 특정 독성 물질의 영향(사염화탄소 노출, 클로로포름 섭취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급성 아세트아미노펜 과다 복용으로 인한 독성화는 주로 제3구역에서 발생한다. 이는 약물 대사에 관여하는 P450 효소가 이 구역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산소 공급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조건들이 제3구역을 초기 손상 부위로 만든다.
- 제1구역 (문맥 주위): 문맥 삼조(portal triad) 주변부인 이 구역은 인 중독이나 자간전증과 같은 상태에서 주로 손상된다.
- 제2구역 (중심 구역): 제1구역과 제3구역 사이의 중간 지대로, 이 구역이 주로 손상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황열병에서 관찰될 수 있다.
3. 2. 간 손상 부위
대부분의 급성 간부전(ALF)은 간 소엽의 중심 구역(제3구역)에서 시작하여 문맥 주변 구역(제1구역)으로 진행되는 광범위한 간세포 괴사를 특징으로 한다. 실질의 염증 정도는 다양하며 질병의 지속 기간에 비례한다.[8][20][21]
간 소엽의 구역별 손상 원인은 다음과 같다.
구역 | 주요 손상 원인 |
---|---|
제1구역 (문맥 주위) | 인 중독, 자간전증 |
제2구역 (중심 구역) | 황열병 (드물게 발생) |
제3구역 (중심 소엽) | 허혈성 손상, 독성 효과, 사염화탄소 노출, 클로로포름 섭취, 아세트아미노펜 과다 복용 |
특히 급성 아세트아미노펜 과다 복용으로 인한 독성화는 주로 제3구역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해당 구역의 P450 미세소체 효소 농도가 가장 높고 산소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건은 제3구역이 손상의 초기 부위가 되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4. 증상 및 징후
급성 간부전의 주요 특징은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황달과 심한 쇠약감이다. 병이 진행되면 정신 상태의 변화가 나타나는데, 처음에는 가벼운 혼란 증세를 보이다가 심각해지면 간성 뇌증으로 인한 혼수 상태에 빠질 수 있다.[3]
4. 1. 초기 증상
급성 간부전의 초기에는 급격한 황달(피부와 눈 흰자위가 노랗게 변하는 증상)과 함께 심한 피로감, 쇠약감(무력감)이 나타날 수 있다.[3][12] 또한, 식욕이 떨어지고 메스꺼움이나 구토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소변 색깔이 암갈색으로 변하기도 한다.[12] 간이 위치한 오른쪽 윗배에 불편감을 느끼거나 배가 불러오는 복부 팽만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12] 병이 진행되면 정신 상태의 변화가 나타나는데, 처음에는 경미한 혼란으로 시작하여 심하면 간성 뇌증으로 인한 혼수 상태에 이를 수 있다.[3]4. 2. 진행된 증상
급성 간부전이 진행되면 급격한 황달, 쇠약과 함께 정신 상태의 변화가 나타난다. 이는 처음에는 경미한 혼란으로 시작하지만 심하면 혼수 상태까지 이를 수 있으며, 이를 간성 뇌증이라고 한다.[3]응고병증 또한 급성 간부전(ALF)의 중요한 특징이다. 간은 거의 모든 응고 인자와 일부 응고 및 섬유소 용해 억제제를 합성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간세포가 괴사하면 많은 응고 인자와 그 억제제의 생합성에 문제가 생긴다. 이로 인해 프로트롬빈 시간이 길어지는데, 이는 간 손상의 심각도를 확인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지표이다. 또한, 혈소판 기능에도 심각한 장애가 발생하여(양적 및 질적 결함 모두) 진행성 혈소판 감소증이 거의 모든 환자에게 나타난다. 이러한 혈소판 감소증은 DIC의 동반 여부와 관계없이 뇌내 출혈의 위험을 증가시킨다.[8]
급성 간부전 환자의 약 60%는 감염이 없더라도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SIRS)의 기준을 충족한다.[7] 이는 종종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면역 기능 저하(옵소닌화, 주화성 및 세포 내 살상 능력 저하)로 인해 숙주 방어 기전이 손상되어 패혈증의 위험이 상당히 증가한다. 그람 양성균에 의한 세균성 패혈증은 최대 80%의 환자에게서, 진균성 패혈증은 최대 30%의 환자에게서 관찰될 수 있다.[8]
4. 3. 합병증
급성 간부전에서 간성 뇌증은 뇌부종, 혼수, 뇌 탈출을 일으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뇌증의 정도는 경미한 인지 기능 저하부터 심한 혼수 상태(4단계)까지 다양하다. 특히 급성 및 초급성 간부전 환자는 뇌부종 발생 위험이 높다. 암모니아, 메르캅탄, 세로토닌, 트립토판과 같은 독성 물질 축적, 신경 전달 물질 변화, 신경 세포인 별세포의 부종 등이 원인으로 추정되며, 이는 두개 내압 상승으로 이어진다.[2][4][5] 유두 부종이나 동공 반사 소실 같은 두개 내압 상승 징후는 질병 후기에 나타나 신뢰하기 어렵고, CT 영상 역시 초기 뇌부종 감지에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두개 내 출혈 배제를 위해 CT를 시행하며, 때로는 침습적인 두개 내압 모니터링이 권장되기도 한다. 치료 목표는 두개 내압을 25mmHg 미만, 뇌 관류압을 50mmHg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6][2]응고병증 역시 급성 간부전의 주요 특징이다. 간은 대부분의 응고 인자와 일부 응고 및 섬유소 용해 억제제를 합성하는데, 간세포 괴사로 인해 이러한 생합성 과정에 문제가 생긴다. 이로 인해 프로트롬빈 시간이 연장되며, 이는 간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또한, 혈소판 감소증과 혈소판 기능 장애가 흔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혈액 응고 장애는 DIC 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뇌출혈의 위험을 증가시킨다.[8]
신부전은 급성 간부전 환자의 50% 이상에서 발생하는 흔한 합병증이다. 원인 약물(아세트아미노펜 등)에 의한 급성 세뇨관 괴사나, 과다역동성 순환으로 인한 기능적 신부전(간신 증후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간 기능 저하로 요소 생성이 감소하므로 혈중 요소 농도는 신장 손상 정도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환자의 약 60%는 감염이 없더라도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SIRS) 기준을 만족하며[7], 이는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면역 기능 저하(옵소닌화, 주화성 저하 등)로 인해 패혈증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그람 양성균에 의한 세균성 패혈증은 최대 80%, 진균성 패혈증은 최대 30%의 환자에서 관찰된다.[8]
과다역동 순환 상태가 되어 말초 혈관 확장으로 전신 혈관 저항이 낮아지고 저혈압이 발생하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심박출량이 증가한다. 약 60%의 환자에서 부신 기능 부전이 보고되었으며, 이는 혈역학적 불안정을 악화시킬 수 있다.[9] 또한,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은 유지되지만 조직의 산소 이용률이 감소하여 조직 저산소증과 젖산 산증이 발생할 수 있다.[10]
폐 합병증은 환자의 최대 50%에서 발생하며[11], 심각한 폐 손상과 저산소혈증은 사망률을 높인다. 가장 흔한 원인은 패혈증 유무와 관계없이 발생하는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ARDS)이다. 이 외에도 폐 출혈, 흉수, 무기폐, 폐 내 단락 등이 호흡 곤란을 유발할 수 있다.
5. 진단
급성 간부전은 환자의 임상 증상, 혈액 검사, 영상 검사 결과, 병력 등을 종합하여 진단한다.[23]page 1557 진단 기준은 기존 간 질환이 없는 환자에게 응고병증(혈액 응고 장애)과 정신 상태 변화(뇌병증)를 동반하는 간 기능 부전이 빠르게 발생하는 것이다.[23]page 1557 따라서 신체 검사, 검사 결과, 병력 청취를 통해 이러한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23]page 1557
중등도 이상의 급성 간염 증상이 의심되면 즉시 프로트롬빈 시간 측정과 정신 상태 평가가 필요하다.[22] 프로트롬빈 시간이 연장되거나(INR ≥ 1.5) 의식 장애가 나타나면 급성 간부전을 강력히 의심하고 입원해야 한다.[22] 초기에는 원인과 중증도 파악을 위해 광범위한 검사가 이루어진다.[22]
자세한 병력 청취를 통해 바이러스 감염, 약물 또는 독소 노출 가능성을 확인하고 기저 만성 질환 여부를 배제해야 한다.[22] 간 생검은 응고병증 위험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다.[22]
발병 속도에 따른 분류도 있는데, 정의는 다소 차이가 있다. 한 분류는 간 증상 발현 후 26주 내 뇌병증 발생 시 급성 간부전으로 보며, 8주 이내는 '전격성 간부전', 8~26주는 '아전격성'으로 세분한다.[24] 다른 분류는 7일 이내를 '초급성', 7~28일을 '급성', 28일~24주를 '아급성'으로 나누기도 한다.[23]page 1557
급성 간부전은 빠르게 악화될 수 있어 신속한 중환자실(ICU) 입원 결정이나 간 이식 가능 병원으로의 이송 고려가 필요하며, 가능한 한 빨리 이식 센터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하다.[22]
5. 1. 혈액 검사
급성 간부전이 의심될 경우, 즉시 프로트롬빈 시간을 측정하고 정신 상태를 면밀히 평가해야 한다.[22] 프로트롬빈 시간이 정상보다 약 4–6초 이상 길어지거나(INR ≥ 1.5), 의식 장애의 증거가 나타나면 급성 간부전 진단을 강력히 의심하고 즉시 병원에 입원해야 한다.[22] 초기 검사는 원인과 중증도를 파악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며, 주요 혈액 검사 항목은 다음과 같다.[22]:'''간 기능 검사''': AST, ALT, ALP, GGT, 총 빌리루빈, 알부민 수치를 확인하여 간 손상 정도와 기능을 평가한다.[22]
:'''응고 검사''': 프로트롬빈 시간(PT)과 INR을 측정하여 혈액 응고 능력을 평가한다. 이는 급성 간부전 진단 및 중증도 판단에 매우 중요하다.[22]
:'''전혈구 계산(CBC)''': 빈혈, 혈소판 감소증 등 혈액 세포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22]
:'''신장 기능 및 전해질 검사''': 크레아티닌, BUN, 나트륨, 칼륨, 염화물, 중탄산염, 칼슘, 마그네슘, 인산염 수치를 확인하여 신장 기능과 전해질 불균형 여부를 평가한다.[22]
:'''동맥혈 가스 분석''': 혈액 내 산소, 이산화탄소 농도 및 산-염기 균형을 평가하고, 젖산 수치도 함께 확인한다.[22]
:'''암모니아 수치''': 간성 뇌증의 진단 및 평가를 위해 혈중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한다. 가능하면 동맥혈에서 측정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22]
:'''바이러스 간염 혈청 검사''':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항-HAV IgM), B형 간염 표면 항원(HBsAg), B형 간염 핵심 항체(항-HBc IgM), C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항-HCV) 등을 검사하여 바이러스성 간염이 원인인지 확인한다.[22]
:'''자가면역 항체 검사''': 항핵 항체(ANA), 항평활근 항체(ASMA), 간/신장 미세소체 항체(LKM1) 등 자가면역 표지자와 면역글로불린 수치를 검사하여 자가면역성 간염을 감별 진단한다.[22]
:'''약물 및 독성 물질 검사''': 아세트아미노펜(파라세타몰) 수치를 포함하여, 간 손상을 유발했을 가능성이 있는 약물이나 독성 물질에 대한 검사를 시행한다.[22]
:'''기타 검사''':
:: 혈당 수치를 확인하여 저혈당 또는 고혈당 여부를 평가한다.[22]
:: 췌장염 감별을 위해 아밀라아제 및 리파아제 수치를 확인한다.[22]
:: 혈액형 및 교차 반응 검사를 시행하여 수혈이나 간 이식 가능성에 대비한다.[22]
:: 윌슨병이 의심되는 경우 세룰로플라스민 수치를 측정한다.[22]
:: 가임기 여성의 경우 임신 테스트를 시행하여 임신 관련 간 질환 가능성을 확인한다.[22]
:: 간 이식을 고려할 경우 HIV 감염 여부를 확인한다.[22]
5. 2. 영상 검사
뇌의 CT 영상은 초기 뇌부종을 감지하는 데 직접적인 도움을 주지는 않지만, 두개 내 출혈과 같은 다른 심각한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자주 시행된다.[6] 간성 뇌증이 심한 경우, CT 촬영을 통해 뇌부종이나 뇌출혈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5. 3. 간 생검
간 생검은 급성 간부전의 진단 과정에서 드물게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다. 급성 간부전 환자는 응고병증(혈액 응고 장애)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간 생검 시 출혈 위험이 높으므로, 생검을 시행해야 할 경우 경정맥 경로를 통해 수행된다.[22]6. 치료
급성 간부전(ALF)은 정신 상태가 급격히 나빠지고 여러 장기가 동시에 기능을 잃는 다장기 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매우 위중한 상태이므로, 환자는 반드시 중환자실(ICU)에서 집중적인 치료와 관찰을 받아야 한다.[26] 병의 진행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간 이식이 가능한 병원이 아닌 곳에 있다면 가능한 한 빨리 이식 전문 시설과 상의하고 환자를 옮기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환자의 의식 상태에 변화가 보이기 시작하면 이식 센터로의 이송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26][27] 또한, 특정 원인이 밝혀진 경우(예: 아세트아미노펜 중독) 해독제 투여 등 원인에 맞는 치료를 신속하게 시작하면 간 이식을 피하거나 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27]
급성 간부전 환자는 혈액 순환에 특징적인 변화를 보이는데, 몸 전체의 혈관 저항이 낮아져 저혈압이 발생하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심박출량 (심장이 혈액을 내보내는 양)이 증가하는 과다역동 순환 상태가 나타난다. 약 60%의 환자에게서는 부신 기능 부전이 동반되어 혈압 조절을 더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9] 저혈압이 발생하면 우선 수액을 충분히 공급하여 혈압을 조절하며, 이것으로 부족할 경우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과 같은 승압제를 사용해야 한다. 바소프레신 계열의 혈관 수축제는 일반적으로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몸 전체에 산소는 잘 전달되지만 정작 세포들이 산소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해 조직 저산소증과 젖산 산증이 발생할 위험도 있다.[10]
폐와 관련된 합병증도 흔하게 발생하여, 환자의 약 50%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11] 심각한 폐 손상 및 저산소혈증은 사망 위험을 크게 높인다.
6. 1. 일반적인 치료
간성 뇌증의 관리는 급성 간부전 치료의 핵심이다. 뇌증 I–II 등급 환자는 간이식을 고려하여 관련 시설로 이송하고 이식 대기자 명단에 등록하는 것이 좋다. 뇌 CT는 다른 정신 상태 변화 원인을 배제하기 위해 고려될 수 있다. 두개내압(ICP) 상승을 유발할 수 있는 과도한 자극이나 수분 공급은 피해야 한다. 심한 흥분 상태는 단기 작용 벤조디아제핀 소량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 단계에서 락툴로스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 뇌증이 III–IV 등급으로 진행되면 기도를 확보하기 위해 기관 삽관이 필요하며, 많은 의료기관에서는 뇌 혈류 감소 효과를 기대하며 진정제로 프로포폴을 사용한다. 환자의 침상 머리는 30도 높이고, 전해질, 혈액 가스, 포도당 수치 및 신경학적 상태를 자주 확인해야 한다. 두개내압 상승 징후는 신뢰도가 낮고 늦게 나타나므로[2][4][5], 침습적 두개내압 모니터링이 권장되기도 하지만 합병증 위험(치명적 출혈 1%)과 이점을 고려해야 한다.[6] 치료 목표는 두개내압을 25mmHg 미만, 뇌 관류압을 50mmHg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2]수액 및 전해질 불균형 교정이 중요하다. 저나트륨혈증은 수분 저류와 세포 내 나트륨 이동 변화로 인해 흔하게 나타난다. 저칼륨혈증은 신장의 암모니아 생성을 증가시켜 뇌병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교정해야 한다. 저인산혈증 역시 흔하며, 특히 아세트아미노펜 유발성 간부전 환자에게서 자주 관찰된다. 수액 보충 시에는 결정질 용액(예: 생리 식염수)보다 교질 용액(예: 알부민) 사용이 선호되며, 모든 수액에는 정상 혈당 유지를 위해 포도당이 포함되어야 한다. 저혈당증은 간의 글리코겐 저장고 고갈과 포도당 신생합성 장애로 인해 흔하게 발생하므로, 혈당을 자주 측정하고 필요시 고농도 포도당을 투여해야 한다.
영양 공급은 뇌병증 1~2단계 환자의 경우 조기에 경장영양을 시작하는 것이 권장된다. 정맥영양은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어 경장영양이 불가능할 때만 사용해야 한다. 단백질 섭취를 과도하게 제한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하루 60g 정도의 단백질 공급이 적절하다.
감염 예방 및 관리가 필수적이다. 급성 간부전 환자는 면역 기능 저하, 침습적 시술 등으로 인해 세균 및 진균 감염 위험이 매우 높다 (세균 감염 최대 80%, 진균 감염 최대 30%).[8] 발열 등 전형적인 감염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뇌병증 악화나 신기능 저하가 유일한 단서일 수도 있다. 따라서 혈액, 소변, 객담 배양 검사, 흉부 방사선 촬영 등 적극적인 감시가 필요하다. 예방적 항생제의 효과는 명확하지 않으므로, 감염이 의심되거나 확인되면 즉시 적절한 항생제나 항진균제를 사용해야 한다.[7]
폐 합병증은 환자의 약 50%에서 발생하며[11],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 폐 출혈, 흉수, 무기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저산소혈증이 심하면 기계환기가 필요할 수 있으나, 양압 종말 호기 압력(PEEP)은 뇌부종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31]
이 외에도 응고병증으로 인한 출혈 위험 증가[8], 신부전(환자의 50% 이상에서 발생), 과다역동순환으로 인한 저혈압 및 부신부전 가능성[9] 등 다양한 합병증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6. 2. 특이 치료
정맥 내 N-아세틸시스테인은 아세트아미노펜 중독으로 인한 급성 간부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아세트아미노펜과 관련 없는 원인으로 발생한 급성 간부전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35][36]6. 3. 간 이식
간 이식은 급성 간부전 환자의 생존율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킨 치료법이다. 이식이 도입되기 전 생존율은 15%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60% 이상으로 높아졌으며, 이식을 받은 환자의 생존율은 56~90%에 달한다.[27] 물론 중환자실 치료 기술의 발전과 아세트아미노펜 중독과 같이 상대적으로 예후가 좋은 원인의 증가도 생존율 향상에 기여했다. 현재 자연 생존율(이식 없이 생존하는 비율)은 약 40% 정도로 추정된다.[27]급성 간부전은 정신 상태의 급격한 악화와 다장기 부전의 위험을 동반하므로 환자는 중환자실(ICU)에서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다.[26] 병의 진행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이식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가능한 한 빨리 이식 센터와 상담하고, 필요한 경우 환자를 이식 시설로 옮기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26][27]
간 이식이 필요한 환자를 선별하기 위해 여러 기준이 사용되는데, 대표적인 것이 킹스 칼리지 병원 기준이다.[25]
원인 | 기준 |
---|---|
아세트아미노펜 중독 | pH < 7.3 또는 다음 두 조건과 3~4단계 간성 뇌증 동반: |
기타 원인 | 프로트롬빈 시간 > 100초 또는 다음 중 세 가지 이상 해당: |
하지만 간 이식은 여전히 모든 환자에게 적용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식에 적합한 간을 제때 구하는 것이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이다. 미국의 한 대규모 연구에서는 급성 간부전 환자의 29%만이 간 이식을 받았으며, 이식을 위해 등록된 환자 중 1/4(전체 환자의 10%)가 이식을 기다리다 사망했다. 다른 연구에서는 이식 대기 중 사망률이 40%에 달한다고 보고하기도 했다.[27]
미국 급성 간부전 연구 그룹(ALFSG)의 자료에 따르면, 이식률은 자연 생존율이 낮은 그룹에서 더 높았지만, 전체 생존율은 원인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아세트아미노펜 73%, 약물 유발 70%, 원인 불명 64%, 기타 61%). 입원 후 3주 이내에 사망한 환자들의 주요 사망 원인으로는 뇌부종, 다장기 부전, 패혈증, 심장 부정맥 또는 심정지, 호흡 부전 등이 있었으며, 입원 후 사망까지 걸린 시간의 중간값은 5일이었다.[27]
7. 예후
과거 급성 간부전은 사망률이 80%를 넘을 정도로 매우 치명적인 질환이었다.[37] 하지만 최근 간 이식과 다학제적 집중 치료 기술의 발전으로 생존율이 크게 향상되었다. 간 이식 도입 이전 시대의 생존율은 15%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이식을 포함한 전체 단기 생존율이 65% 이상으로 높아졌다.[38]
간 이식은 급성 간부전(ALF) 환자의 중요한 치료법이며, 이식을 통해 56~90%의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중환자 관리 기술의 발전과 아세트아미노펜 과다 복용과 같이 상대적으로 예후가 좋은 원인으로 인한 발병 비율 변화 등도 전체 생존율 개선에 기여했다. 현재 특별한 치료 없이 회복되는 자연 생존율은 약 40% 정도로 추정된다.
하지만 여전히 급성 간부전 환자 중 간 이식을 받는 비율은 낮은 편이며, 이는 간 이식의 잠재력이 완전히 실현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미국에서 진행된 대규모 연구에서는 환자의 29%만이 간 이식을 받았으며, 전체 환자의 10%(이식 대기 등록 환자의 1/4)가 이식을 기다리던 중 사망했다. 다른 연구에서는 이식 대기 중 사망률이 40%에 달한다고 보고하기도 했다. 적시에 이식 가능한 간을 확보하는 것이 이식 결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급성 간부전의 예후는 원인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인다. ALFSG(Acute Liver Failure Study Group) 연구 결과에 따르면, 원인별 전체 생존율은 다음과 같다.
원인 | 전체 생존율 |
---|---|
아세트아미노펜 과다 복용 | 73% |
기타 약물 유발성 간 손상 | 70% |
원인 불명 | 64% |
기타 원인 | 61% |
3주 이내에 사망한 환자들의 주요 사망 원인으로는 뇌부종, 다발성 장기 부전, 패혈증, 심장 부정맥 또는 심정지, 호흡 부전 등이 있었다. 환자가 병원에 입원한 후 사망에 이르기까지 걸린 시간의 중간값은 5일이었다.
환자의 사망 위험을 예측하고 조기에 간 이식이 필요한 환자를 식별하기 위해 여러 예후 점수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시스템으로는 킹스 칼리지 병원 기준, MELD 점수, 클리시 기준 등이 있다.[39][40]
참조
[1]
논문
Acute liver failure: redefining the syndromes
[2]
논문
Acute liver failure
[3]
간행물
Acute Liver Failure
http://www.ncbi.nlm.[...]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2012
[4]
논문
Hepatic encephalopathy: An update of pathophysiologic mechanisms
[5]
논문
Brain edema in liver failure: basic physiologic principles and management
[6]
논문
Complications of intracranial pressure monitoring in fulminant hepatic failure
[7]
논문
Prognostic implications of hyperlactatemia, multiple organ failure, and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in patients with acetaminophen-induced acute liver failure
[8]
논문
Fulminant and late onset hepatic failure
[9]
논문
The clinical importance of adrenal insufficiency in acute hepatic dysfunction
[10]
논문
Tissue hypoxia during fulminant hepatic failure
[11]
논문
Incidence and pathophysiology of pulmonary edema in fulminant hepatic failure
[12]
논문
Clinical characteristics of fulminant hepatitis in pregnancy
[13]
논문
Prognostic factors of fulminant hepatitis in pregnancy
[14]
웹사이트
News on cereulide, the emetic toxin of ''Bacillus Cereus''
http://www.biocenter[...]
[15]
논문
An autopsy case of food poisoning associated with ''Bacillus cereus''
[16]
논문
Fulminant liver failure in association with the emetic toxin of ''Bacillus cereus''
[17]
논문
Fatal family outbreak of Bacillus cereus-associated food poisoning
[18]
논문
Rapid Detoxification of Cereulide in ''Bacillus cereus'' Food Poisoning
http://pediatrics.aa[...]
[19]
논문
Sudden Death of a Young Adult Associated with ''Bacillus cereus'' Food Poisoning
[20]
논문
Pattern of necrosis in acute viral hepatitis. Prognostic value of bridging (subacute hepatic necrosis)
[21]
논문
Acute liver failure is regulated by MYC- and microbiome-dependent programs
https://www.nature.c[...]
2020-12
[22]
논문
AASLD position paper: the management of acute liver failure
[23]
서적
Sleisenger & Fordtran's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 pathophysiology, diagnosis, management
http://www.mdconsult[...]
MD Consult
[24]
웹사이트
Acute Liver Failure
http://emedicine.med[...]
Mescape
2011-12-14
[25]
논문
Early indicators of prognosis in fulminant hepatic failure
[26]
논문
Acute liver failure: current management and future prospects.
2005
[27]
논문
AASLD position paper: the management of acute liver failure.
2005-05
[28]
논문
Intracranial hypertension in acute liver failure: pathophysiological basis of rational management.
2003-08
[29]
논문
Moderate hypothermia prevents cerebral hyperemia and increase in intracranial pressure in patients undergoing liver transplantation for acute liver failure.
2003-06-27
[30]
논문
The effect of hypertonic sodium chloride on intracranial pressure in patients with acute liver failure.
2004-02
[31]
논문
Propofol to control intracranial pressure in fulminant hepatic failure.
2002-06
[32]
논문
Recombinant activated factor VII for coagulopathy in fulminant hepatic failu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therapy.
2003-02
[33]
논문
A survey of liver transplantation from living adult donors in the United States.
2003-02-27
[34]
논문
Liver transplantation for fulminant hepatic failure: experience with more than 200 patients over a 17-year period.
2003-05
[35]
논문
Intravenous N-acetylcysteine improves transplant-free survival in early stage non-acetaminophen acute liver failure
2009-09
[36]
논문
N-acetylcysteine for non-paracetamol (acetaminophen)-related acute liver failure
2020-12-09
[37]
논문
Fulminant hepatitis: Mayo Clinic experience with 34 cases
[38]
논문
Results of a prospective study of acute liver failure at 17 tertiary care centers in the United States
[39]
논문
Liver transplantation for acute hepatic failure
2006
[40]
논문
MELD is superior to King's college and Clichy's criteria to assess prognosis in fulminant hepatic failure
2007-06
[41]
논문
The management of fulminant hepatic failure
[42]
논문
Multivariate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in fulminant hepatitis B
[43]
논문
Late onset hepatic failure: clinical, serolog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44]
논문
Fulminant hepatic failure
[45]
논문
http://linkinghub.el[...]
[46]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