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니가와 (열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니가와는 일본 조에츠 신칸센에서 운행되는 열차로, 1997년 10월 1일부터 도쿄역과 에치고유자와역 구간을 오가며, 겨울에는 갈라유자와역까지 연장 운행한다. 과거에는 185계, 200계, E1계, E2계, E4계 전동차가 운행되었으며, 2019년부터는 E7계가 투입되어 그란클래스 좌석을 제공한다. 현재는 E7계 12량 편성으로 운행되며, 도쿄역 - 에치고유자와역 간 9왕복, 도쿄역 - 다카사키역 간 3왕복이 정기적으로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칸센의 열차 - 미니 신칸센
    미니 신칸센은 일본에서 기존 협궤 선로를 표준궤로 개궤하여 신칸센과 직통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며, 야마가타 신칸센과 아키타 신칸센에 적용되어 건설 비용 절감 등의 장점이 있으나, 속도 제한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 신칸센의 열차 - 하쿠타카
    하쿠타카는 호쿠리쿠 신칸센의 고속 열차로, 다테 산의 백응 전설 속 흰 매에서 유래되었으며, 최고 260km/h의 속도로 도쿄역에서 쓰루가/가나자와/나가노역을 잇는다.
  • 조에쓰 신칸센 - 니가타역
    니가타역은 JR 동일본의 철도역으로, 조에쓰 신칸센, 신에쓰 본선, 하쿠신 선, 에치고 선이 연결되는 니가타 지역의 주요 교통 중심지이며, 현대화된 시설과 개선된 접근성을 제공하는 니가타시의 주요 관문 역할을 한다.
  • 조에쓰 신칸센 - 에치고유자와역
    에치고유자와역은 JR 동일본의 조에쓰 신칸센, 조에쓰선, 호쿠에쓰 급행의 호쿠호쿠선이 이용하는 역으로, 1925년에 개업하여 에치고유자와 온천 주변에 숙박 시설이 밀집해 있다.
  • 동일본 여객철도의 열차 - 나리타 익스프레스
    나리타 익스프레스는 JR 동일본의 공항철도로, 신주쿠역 또는 오후나역에서 출발하여 도쿄역을 경유, 나리타 국제공항역까지 E259계 전동차로 운행되며 모든 좌석이 지정석이고, 도쿄역과 나리타 공항역 간 소요시간은 약 53분에서 1시간이다.
  • 동일본 여객철도의 열차 - 하쿠타카
    하쿠타카는 호쿠리쿠 신칸센의 고속 열차로, 다테 산의 백응 전설 속 흰 매에서 유래되었으며, 최고 260km/h의 속도로 도쿄역에서 쓰루가/가나자와/나가노역을 잇는다.
다니가와 (열차)
개요
E7계 전동차로 운행하는
E7계 전동차로 운행하는 "다니가와" (2022년 10월 15일 오미야역)
노선 종류신칸센 (지역)
운행 상황운행 중
운행 지역혼슈, 일본
이전 노선도키
첫 운행1982년 11월 15일 (특급)
1997년 10월 1일 (신칸센)
후속 노선해당 없음
운영 주체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이전 운영 주체일본국유철도 (JNR)
기점도쿄역
종점에치고유자와역 또는 갈라유자와역
운행 거리해당 없음
소요 시간해당 없음
운행 빈도해당 없음
열차 번호해당 없음
사용 노선조에쓰 신칸센
갈라유자와선
등급스탠다드 + 그린 + 그란 클래스
접근성해당 없음
좌석해당 없음
식사트롤리 서비스
엔터테인먼트해당 없음
수하물해당 없음
기타 편의 시설해당 없음
사용 차량E7계
전력 공급(가공 전선)
소유주해당 없음
노선 번호해당 없음
지도해당 없음
비고갈라유자와 스키장 영업 기간에는 조에쓰선 갈라유자와 지선 갈라유자와역 발착 열차 운행
이 경우 도쿄 - 갈라유자와 간 영업 거리는 201.2 km
열차 명칭
로마자 표기Tanigawa
운행 정보
운행 구간도쿄역 - 다카사키역에치고유자와역
주요 정차역우에노역, 오미야역, 구마가야역, 혼조와세다역, 다카사키역, 조모코겐역, 에치고유자와역, 갈라유자와역
열차 번호호수+C
호수+E (470호, 477호)
2000C+호수 (갈라유자와역으로 되돌아가는 에치고유자와역 발착 열차)
4000C+호수 (갈라유자와 발착)
사용 차량E7계 전동차 (나가노 신칸센 차량 센터・니가타 신칸센 차량 센터
W7계 전동차 (JR 서일본 하쿠산 종합 차량소)
좌석 종류그란클래스 지정석
그린차 지정석
보통차 지정석
보통차 자유석
장애인 편의 시설7호차, 11호차
역사
이전 명칭신칸센 "아사히", "도키" "Max 다니가와"

2. 역사

다니가와는 1982년 11월 15일 일본국유철도에서 우에노역조에쓰선미나카미역을 잇는 특급 열차로 처음 도입되었다.[3] 1997년 10월 1일부터는 도쿄와 조에쓰 신칸센에치고유자와역 간의 각역 정차 열차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겨울 스키 시즌에는 임시 가라유자와역까지 운행한다.[1]

이후 여러 차례 차량 변경과 운행 조정이 있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2. 1. 일본국유철도 시절

1982년 11월 15일일본국유철도에서 특급열차로 신설했다. 당시 도쿄 우에노에서 미나카미까지 운행했다.[29]

1997년 9월 30일 조에쓰 신칸센 명칭으로 선정되면서 기존에 운행했던 열차는 '''미나카미'''(みなかみ일본어)로 변경되었다. 가라 유자와 스키장 영업 기간 중에는 에치고유자와역 옆 가라유자와역까지 연장 운행하는 열차도 있다. 연장 구간은 재래선 특급 취급으로 특급 요금 불필요의 특례도 없기 때문에, 승차하는 경우에는 승차권 외에 특급 요금 100JPY이 필요하다. 이 구간만의 지정권은 발매되지 않으며, 보통 열차용 기획 승차권인 청춘 18 티켓이나 홋카이도&동일본 패스로는 승차할 수 없다.

연장 운행 횟수는 많지 않으며, 하행은 오전 8시대 3편을 제외하고는 1시간에 1편 정도이며, 12시대 이후에는 최종인 18시대 에치고유자와역 발까지 6시간 정도 운행되지 않는다. 상행은 시발부터 15시대 2편 외에는 1시간에 1편 정도 운행으로, 2시간 정도 운행 간격이 벌어지는 시간대도 있으며, 19시대 가라유자와역 발로 종료된다. 단,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등 승객이 많은 시기에는 다수의 임시 열차가 설정되기 때문에 이보다 횟수가 많아진다.

그 외, 2015년 3월 14일 다이어 개정으로 낮 시간대 "타니가와"(열차)가 운행되지 않게 됨에 따라, 2015-2016년 시즌과 2016-2017년 시즌에는 이 시간에 에치고유자와역 - 가라유자와역 간만을 운행하는 열차가 설정되었다. 개업 초기에는 이 구간 내만을 운행하는 "셔틀 가라"가 운행되었으며, 최성기인 1992-1993년 시즌에는 하행 12편, 상행 13편이 운행되었다. 그러나 이 구간에 병행하는 형태로 무료 셔틀 버스가 빈번하게 운행되었기 때문에 이용객이 많지 않았고, 게다가 도쿄 방면으로부터의 직통 열차도 증가하면서 1994-1995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운행되지 않게 되었다.

호수는 "셔틀 가라" 시대와 마찬가지로 200호대가 할당되었으며, 전차 자유석으로 그린샤는 폐쇄되었다. 또한 "Max 토키 311호"와 병결하는 "Max 타니가와 311호", "Max 토키 338호"와 병결하는 "Max 타니가와 338호" (모두 도쿄역 - 가라유자와역 간 운행)와 같은 임시 열차도 설정되었다.

2017-2018년 시즌은 에치고유자와역 - 가라유자와역 간 구간 운행 열차 운행은 다시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으며, "타니가와" 운행 자체가 없는 시간대는 에치고유자와역으로부터의 셔틀 버스 등에 의한 접근이 된다.

2. 2. 신칸센 시절

1997년 10월 1일, 조에쓰 신칸센 개통과 함께 도쿄 ~ 에치고유자와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 등급이 신설되었다.[29] 겨울에는 갈라유자와까지 운행한다.[29] 2001년에는 E4계를 도입했고,[30] 2002년에는 E2계를 도입했다.[30] 2004년 3월 13일 다이야 개정으로 E2계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같은 해 10월 23일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으로 조에쓰 신칸센 운행이 중단된 후 12월 28일 임시 다이야 개정으로 복귀하여 정상 운행에 들어갔다.[30]

2004년 8월, 성수기를 맞아 도쿄 방면 운행 시 임시 '''Max 다니가와'''를 운행했다. 이 열차는 다카사키에서 '''Max 도키'''와 중련하여 도쿄까지 운행했다. 2007년부터 전 차량 금연 정책을 실시했다. 2012년 E1계 차량 퇴역 후 E4계로 대체되었다. 2013년 다이야 개정으로 E2계 차량이 다시 도입되었다.[38][31]

2013년 3월, 200계 차량 퇴역으로 일부 시간대에 E4계 운행으로 변경되었고, '''Max 도키'''와 중련하는 경우 도쿄 방면은 다카사키에서, 니가타 방면은 '''Max 다니가와'''가 에치고유자와까지, '''Max 도키'''는 에치고유자와에서 분리되어 니가타까지 8량 편성으로 운행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32] 2015년 다이야 개정과 함께 차내 판매가 종료되었다.[33]

2017년 4월, 동일본여객철도2018년부터 E4계를 교체하고 E7계 도입을 확정했다.[34] 2019년 3월 16일부터 E7계 운행과 함께 도키, 다니가와 노선에 그랜클래스 좌석을 제공하기 시작했다.[35][36]

신칸센 E4계


1997년 10월 1일부터 "다니가와"(たにがわ)는 기존의 '도키' 각역 정차 열차를 대체하여 도쿄와 조에쓰 신칸센에치고유자와역 간의 각역 정차 열차에 사용되었다.[1] 겨울 스키 시즌에는 임시 가라유자와역에서 열차가 종착역 및 시발역으로 운행한다.[1]

E2계 10량 편성 열차가 2013년 1월 26일부터 하루 3편의 왕복 '다니가와' 열차에 도입되었으며, 최고 240km/h로 운행했다.[2][4]

E2계 열차는 2023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을 통해 조에쓰 신칸센의 '다니가와' 열차(및 더 빠른 '도키' 열차)에서 제거되었으며, 노선의 운행 속도가 275km/h로 증가했다.[5]

2. 3. 연혁 (일본어판 요약)

1982년 11월 15일조에쓰 신칸센 개통. 속달형 "아사히", 각역 정차형 "도키" 운행.

1994년 7월 15일E1계('Max') 영업 운전 개시. "Max 아사히", "Max 도키" 신설.

1997년 10월 1일:도호쿠・조에쓰 신칸센 열차명 운전 구간별 변경. 도쿄・에치고유자와 - 니가타 간 "아사히", 도쿄 - 다카사키・에치고유자와 간 "다니가와" 지정.[29] 이전 다카사키선조에쓰선 우에노역 - 미나카미역 간 재래선 특급 "미나카미"로 개칭.

2001년 5월 7일E4계 운용 개시 ('Max 다니가와 474호').[30]

2002년 12월 1일E2계 운용 개시.

2004년
2007년 3월 18일:조에쓰 신칸센 전 열차 금연.

2012년 9월 29일:"Max 다니가와" E4계 통일, E1계 철수.

2013년

  • 1월 26일:조에쓰 신칸센 E2계 재개, 200계 "다니가와" 일부 E2계 대체.[38][31]
  • 3월 16일200계 철수. 에치고유자와/다카사키 분할・병합 에치고유자와 발착 "Max 도키"->"Max 다니가와" 개칭. "Max 다니가와" 일부 역 통과.[32]

2015년 3월 14일호쿠리쿠 신칸센 가나자와 연장, 다이어 개정. "다니가와" 감편(도쿄-에치고유자와 9왕복, 도쿄-다카사키 3왕복). 차내 판매 종료.[33]

2019년 3월 16일E7계 운용, 그랜클래스 영업 개시.[34][35][36]

2020년
2021년

  • 1월 16일: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 방지, 차내 판매, 그랜클래스 지정석, "다니가와" 그랜클래스 영업 중지.[25]
  • 3월 13일:다이어 개정.[26]
  • ** "다니가와" 2왕복 E7계 투입.
  • ** 우에노-오미야 (사이타마현 내) 최고 110km/h->130km/h, 소요 시간 단축.
  • ** 다카사키 발 우에노행 "다니가와" 472호 도쿄행, 토휴일 운행.
  • ** 우에노 발 다카사키행 "다니가와" 473호 토휴일 운휴.
  • 10월 1일E4계 정기 운행 철수. "Max 다니가와" 종료.
  • 10월 2일: "다니가와" 2.5왕복 E7계 투입. "다니가와" 통일.

2022년 3월 12일:도쿄-에치고유자와 1왕복 폐지/임시, 우에노 발 다카사키행 1편 임시, 다카사키 발 도쿄행 1편 토휴일 운휴.[27]

2023년 3월 18일E2계 정기 운행 철수. 최고 275km/h 인상.[28]

3. 운행 현황

다니가와는 현재 도호쿠 신칸센조에쓰 신칸센 구간에서 운행되고 있다. 정기 열차는 도쿄역 - 에치고유자와역 간 9왕복, 도쿄역 - 다카사키역 간 3왕복 운행한다.[16] 또한, 가라유자와역을 출발·도착하는 임시 열차도 있는데, 이 열차는 우에노역, 오미야역, 다카사키역, 에치고유자와역에만 정차한다. 다카사키역을 출발·도착하는 다니가와는 통근·통학 열차의 성격을 띠며, 주로 출퇴근 시간에 운행된다.

2004년 8월 16일부터 한동안 성수기 귀경객이 몰리는 시간에는 니가타에서 우에노·도쿄행 임시 "Max 다니가와"가 운행되기도 했다. 이 열차는 니가타역을 바로 출발하는 후속 "Max 도키"와 다카사키역에서 연결되었다. 2007년 3월 18일부터 모든 차량이 금연석으로 지정되었다.

2013년 3월 16일부터는 다카사키역·에치고유자와역에서 연결·분리하는 16량 편성의 "Max 도키" 중 다카사키역·에치고유자와역 출발·도착 편성을 "Max 다니가와"로, 니가타역 출발·도착 편성을 "Max 도키"로 변경했다. 차내 판매는 도쿄역·에치고유자와역을 각각 9시에서 19시 사이에 출발하는 열차에서만 이루어졌으나, 2015년 3월 13일부로 종료되었다.[16]

2021년 10월 1일, E4계 열차가 운행을 종료하면서 2층 차량으로 운행되던 "Max 다니가와"도 폐지되었다. 가라 유자와 스키장 영업 기간에는 에치고유자와역 옆의 가라유자와역까지 연장 운행하는 열차도 있다. 연장 구간은 재래선 특급으로 취급되어 별도의 특급 요금이 필요하다.

다니가와 (열차)의 운행 현황
운행 노선열차 번호운행 구간차량비고
도호쿠 & 조에쓰400호 ~ 417호도쿄 ~ 에치고유자와E7계
470호 ~ 475호도쿄 ~ 다카사키


3. 1. 정차역

상행 2편은 토요일·휴일 운휴상행 1편●●●●←●다니가와 472호colspan="10" |


4. 운행 열차

JR 동일본은 신칸센 노선별로 사용 차량을 통일하는 방침이며, 조에츠 신칸센은 E7계로 통일되어 있다. "다니가와"는 E7계 12량 편성[12]으로 운행된다. 그란클래스의 영업도 이루어지지만, 전담 어텐던트에 의한 차내 서비스는 없으며, 좌석만 영업한다.

E7계 신칸센 열차


E1계


E4계


과거에는 E1계(~2012년 9월 28일까지), 200계(~2013년 3월 15일까지), E4계(~2021년 10월 1일까지), E2계(~2023년 3월 17일까지)[13]도 사용되었다.

4. 1. 현재 운행 열차



E7계 12량 편성[12]으로 운행된다. 그란클래스의 영업도 이루어지지만, 전담 어텐던트에 의한 차내 서비스는 없으며, 좌석만 영업한다. JR 동일본은 신칸센 노선별로 사용 차량을 통일하는 방침이며, 조에츠 신칸센은 E7계로 통일되어 있다.[37]

차량운행 개시일
E7계2019년 3월 3일 ~


4. 2. 과거 운행 열차

5. 기타 유형

주어진 원본 소스에 '기타 유형'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할 내용이 없다.

5. 1. Max 다니가와

'''Max 다니가와'''(Max たにがわ일본어)는 다니가와 중 2층 차량을 이용하는 고속열차의 명칭으로 주로 E1계, E4계 차량을 의미한다. E4계의 경우 8량 편성과 2편성 중련 운행하는 유형이 있으며 그 중 16량 편성으로 운행하는 '''Max 도키''' 열차와 중련하는 경우 도쿄 방면 운행 시 다카사키에서 병결한다. 니가타 방면 운행 시 에치고유자와까지 운행하며 '''Max 도키'''의 경우 에치고유자와에서 분리해 니가타까지 8량 편성으로 운행했다.[1]

정기 열차는 도쿄역 - 에치고유자와역 간 9왕복, 도쿄역 - 다카사키역 간 3왕복이 운행되고 있다. 가라유자와역 시발·종착의 임시 "다니가와"는 우에노역, 오미야역, (다카사키역), 에치고유자와역만 정차하는 열차도 존재한다(2016년 겨울의 "다니가와/Max 다니가와 71, 73, 75, 79호" 등). 혼조와세다역 개업 후 한동안 정기 열차에서도 일부 중간역을 통과하는 "다니가와"도 설정되었다. 2020년 3월 14일 시간표 개정으로 다카사키 발 우에노행 "다니가와 472호"에는 혼조와세다역만 통과하는 형태로 설정되었다.[1]

다카사키역 발착의 "다니가와"는 통근·통학 열차의 성격이 강하며, 기본적으로 러시 아워에만 운행되고 있다.[1]

2004년 8월 16일부터 한때, 성수기 U턴 러시 피크일 등에는 니가타 발 우에노·도쿄행으로 운행하는 임시 "Max 다니가와"가 운행되었다. 이 열차는 니가타역을 바로 출발하는 후속 "Max 도키"와 다카사키역에서 연결을 하고 있었다. 단, 하행 열차에서 유사한 열차의 운행 실적은 없다.[1]

2007년 3월 18일부터 전 차량 금연이 되었다.[1]

2013년 3월 16일부터, 다카사키역·에치고유자와역에서 연결·분리하는 16량 편성의 "Max 도키"에 대해, 다카사키역·에치고유자와역 발착의 편성을 "Max 다니가와"로 하고, 니가타역 발착의 편성을 "Max 도키"로 하게 되었다.[1]

차내 판매는 도쿄역·에치고유자와역을 각각 9시 - 19시 사이에 출발하는 열차만 영업했지만, 2015년 3월 13일을 기해 종료되었다.[1]

2021년 10월 1일에 E4계가 철수하면서 2층 차량으로 운행되는 "Max 다니가와"가 폐지되었다.[1]

참조

[1] 서적 Kōtsū Shimbun
[2] 웹사이트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3-01-27
[3] 서적 Railway Journal 1995-08
[4] 웹사이트 http://www.jreast.co[...] East Japan Railway Company 2012-11-16
[5] 웹사이트 JR東日本,3月18日にダイヤ改正を実施 https://railf.jp/new[...] 2022-12-19
[6] 뉴스 JR6社が秋のダイヤ改正 交通新聞社 1997-07-29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02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002-07-01
[15] PDF 2013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JR東日本新潟支社
[16] 간행물 一部の新幹線・在来線特急列車の車内販売サービスと新幹線「グリーンアテンダント」によるサービスの終了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15-01-16
[17] 웹사이트 2020年3月 ダイヤ改正について JR東日本高崎支社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2-19
[18] 간행물 新幹線・在来線特急列車等の車内サービスの中止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0-04-08
[19] 간행물 6月の「グランクラス」発売見合わせ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0-04-25
[20] 간행물 新幹線および中央線特急、常磐線特急の指定席発売見合わせ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0-04-27
[21] 간행물 発売見合わせ中の新幹線および在来線特急等の運転計画・指定席発売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0-05-13
[22] 간행물 6月以降の新幹線・在来線特急列車等の車内サービスの中止継続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0-05-13
[23] 간행물 5月28日以降の新幹線および中央線・常磐線特急の運転計画変更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0-05-22
[24] 간행물 上越、北陸新幹線と「サフィール踊り子」の車内サービスの再開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0-07-25
[25] 간행물 新幹線・在来線特急列車等の車内サービスの中止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1-01-13
[26] 간행물 2021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0-12-18
[27] 웹사이트 2022年3月 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2-19
[28] 웹사이트 2023 年 3 月 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2-19
[29] 서적 Railway Journal 1995-08
[30] 서적 東北・上越新幹線 JTB Can Books
[31] 웹인용 http://www.jreast.co[...] East Japan Railway Company 2012-11-16
[3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jrniigata[...] 동일본여객철도 2014-12-01
[33] 웹인용 一部の新幹線・在来線特急列車の車内販売サービスと新幹線「グリーンアテンダント」によるサービスの終了について http://www.jreast.co[...] [[동일본여객철도]] 2015-01-16
[34] 웹인용 日 고속열차 신칸센 '2층열차' 역사 속으로 http://www.yonhapnew[...] 2017-05-07
[35] 웹인용 上越新幹線への新車投入について http://www.jreast.co[...] [[동일본여객철도]] 2017-04-04
[36] 웹인용 2019年の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동일본여객철도 2018-12-14
[37] 문서 2019년부터 순차별로 도입될 예정으로 신칸센 E4계 전동차|E4계 차량을 대체한다.
[38] 웹인용 上越新幹線でE2系の定期運用再開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3-01-27
[39] 서적 JR Timetable Kotsu Shimbunsha 201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