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칸센 E4계 전동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칸센 E4계 전동차는 1997년부터 2003년까지 총 26편성이 도입되었으며, 2021년 10월에 모든 차량이 퇴역했다. 1990년대 신칸센 수요 증가와 기존 200계 차량 교체 필요성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도호쿠 신칸센과 조에쓰 신칸센 등에서 운행되었다. 8량 1편성으로 구성되며, 2편성을 연결하여 16량 편성으로 운행할 수 있었다. 2014년부터는 새로운 도색이 적용되었고, 일부 편성은 호쿠리쿠 신칸센의 급경사 및 주파수 대응 개조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층 고속열차 차량 - 신칸센 E1계 전동차
    신칸센 E1계 전동차는 JR 동일본이 도호쿠 및 조에쓰 신칸센의 이용객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한 2층 신칸센 차량으로, 대량 수송을 위해 모든 차량이 2층으로 설계되었고 일반실에 3+3 배열 좌석을 채택하여 좌석 수를 늘렸으나, 현재는 전 차량 폐차되어 M4 편성 1호차가 철도박물관에 보존되어 전시되고 있다.
  • 이층 고속열차 차량 - 유로듀플렉스
    유로듀플렉스는 SNCF TGV POS 모델과 동일한 동력차를 사용하며, 유럽 철도 교통 관리 시스템을 적용하고 2층 구조에 다양한 편의 시설을 갖춘 고속 열차이다.
  • 동일본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미니 신칸센
    미니 신칸센은 일본에서 기존 협궤 선로를 표준궤로 개궤하여 신칸센과 직통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며, 야마가타 신칸센과 아키타 신칸센에 적용되어 건설 비용 절감 등의 장점이 있으나, 속도 제한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 동일본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E8계 전동차
    야마가타 신칸센에 투입하기 위해 개발된 신칸센 E8계 전동차는 E6계를 기반으로 산업 디자이너 오쿠야마 기요유키가 디자인을 담당하여 2023년부터 도입되어 기존 E3계를 대체하고 최고 속도 향상 및 좌석 개선 등을 통해 서비스 향상을 목표로 하며, 야마가타현의 자연을 모티브로 디자인된 외관과 그린샤와 보통차로 구성된 객실을 갖추고 2026년까지 순차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 조에쓰 신칸센 - 니가타역
    니가타역은 JR 동일본의 철도역으로, 조에쓰 신칸센, 신에쓰 본선, 하쿠신 선, 에치고 선이 연결되는 니가타 지역의 주요 교통 중심지이며, 현대화된 시설과 개선된 접근성을 제공하는 니가타시의 주요 관문 역할을 한다.
  • 조에쓰 신칸센 - 에치고유자와역
    에치고유자와역은 JR 동일본의 조에쓰 신칸센, 조에쓰선, 호쿠에쓰 급행의 호쿠호쿠선이 이용하는 역으로, 1925년에 개업하여 에치고유자와 온천 주변에 숙박 시설이 밀집해 있다.
신칸센 E4계 전동차
기본 정보
E4계열 열차 세트 P20, 2021년 2월 조에쓰 신칸센
E4계열 열차 세트 P20, 2021년 2월 조에쓰 신칸센 "Max Tanigawa" 운행 중
노선조에쓰 신칸센
도호쿠 신칸센
별칭Multi Amenity Express (Max)
서비스 시작1997년 12월 20일 (도호쿠 신칸센)
2001년 5월 (조에쓰 신칸센)
서비스 종료2021년 10월 17일 ()
대체 차량E7계열
보존 차량 수1량
제작 정보
제작사히타치
가와사키 중공업
제작 기간1997년 - 2003년
제작 대수208량 (26개 편성)
폐차 기간2013년 - 2022년
차량 정보
차량 종류신칸센
차체 재질알루미늄
편성8량 편성
편성당 정원817명 (그린차 54석 + 일반석 763석)
차량 길이선두차: 25,700mm
중간차: 25,000mm
차량 폭3,380mm
최고 속도240km/h
가속도1.65km/h/s
감속도상용: 2.69km/h/s
비상: 4.04km/h/s
견인 장치IGBT-VVVF (미쓰비시 전기)
견인 전동기16 x 420kW AC 견인 전동기
출력6.72MW (9,010마력)
전기 시스템25kV AC, 50Hz 가공 전차선
25kV AC, 50Hz 및 60Hz (P81 및 82편성만 해당, 호쿠리쿠 신칸센용)
집전 방식팬터그래프
제동 장치공압 및 회생 제동
신호 장치ATC-2, DS-ATC
병결 운행400계 신칸센/E3-1000계열/E3-2000계열
UIC 분류2′2′+Bo′Bo′+Bo′Bo′+2′2′+2′2′+Bo′Bo′+Bo′Bo′+2′2′
차량 무게428톤

2. 역사

등장 당시 도색의 E4계


200계를 교체하고 E1계 도입 후에도 증가하는 신칸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1997년부터 제조되었다. 같은 해 12월도호쿠 신칸센에서 최초로 운행을 시작했다. 전 차량 2층 차량으로, '''Max 나스노''', '''Max 야마비코''', '''Max 도키''', '''Max 다니가와'''라는 애칭으로 불렸다.

1999년 4월 야마가타 신칸센 쓰바사와 중련 운전을 시작했으며, 400계, E3계와 병결할 수 있는 장치가 모든 편성에 배치되었다. 2004년 3월 13일 다이어 개정 이후 200계와의 병결은 폐지되었다.[66]

2001년부터 조에쓰 신칸센나가노 신칸센 노선을 운행하기 시작했다. 당시 '''Max 아사마'''로 도쿄 ~ 카루이자와 구간을 운행했으나 2003년 9월 운행을 종료했다. 2005년 12월 10일 센다이 이북 구간에서 정기 운용을 종료했다.[68]

2011년 E5계 도입으로 운행이 줄어들었다. 2012년 3월 조에쓰 신칸센 에치고유자와 이북 구간에서 16량 편성 영업 운전을 시작하면서 오미야 이북 구간 16량 편성은 운행이 종료되었다.[68][69] 같은 해 9월 28일 오미야 이북 구간 운행이 종료되면서 E2계로 변경되었다.[70]

2014년 내외장을 리뉴얼한 차량이 등장했다. 도장은 E1계, E2계와 같이 흰색과 파란색을 중심으로 경계선에 분홍색 띠를 추가하고, 따오기 일러스트를 추가한 로고를 적용했다.[71][72] 2016년 하반기 모든 편성의 내외장 리뉴얼 작업이 완료되었다.

2011년 동일본여객철도는 향후 5년간 전량 퇴역을 검토했으나[73], 2013년부터 순차적으로 퇴역하기 시작했다.[74]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나가노 신칸센 차량 센터 침수로 퇴역이 한 차례 연기된 끝에 2021년 10월 1일 다이야 개정으로 운행이 중단되었고, 같은 해 10월 17일10월 27일 고별 운행을 끝으로 운행이 종료되었다.[76]

2011년 3월, 초기 옐로우 스트라이프 도색을 한 P5 편성. 열차 뒤편에는 E4와 병결 운행 중인 E3계 신칸센이 보인다.

2. 1. 개발 배경 및 초기 도입

200계의 계속적인 교체와 E1계 도입 후에도 계속 증가하는 신칸센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1997년부터 제조되었다. 같은 해 12월도호쿠 신칸센에서 최초로 운행을 시작했다. 1999년 4월야마가타 신칸센 쓰바사와 중련 운전을 시작했다.[66]

도호쿠·조에쓰 신칸센 개업 시 도입된 200계 초기 차량의 교체와 증가하는 통근 여객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1997년(헤이세이 9년) 10월에 3개 편성(24량)이 완성되어[17], 12월 20일부터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18] 2003년(헤이세이 15년) 11월까지 총 8량 편성 26개(208량)가 제조되었다.[17]

디자인 컨셉은 "BIG WAVE"(웅대)로, 익스테리어 키워드는 "ELASTIC"(유연)[19], "WAVE MOTION"(약동, 생동감)으로 했다.[17]

기본 편성은 E1계의 12량에서 8량으로 단축했다. 이는 수송 수요가 많은 시간대의 열차에 대해 2편성을 연결한 16량 편성으로 하여 수요의 다과에 따른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과, 도호쿠 신칸센의 경우, "쓰바사"로 운용하고 있던 400계, E3계 L편성(미니 신칸센 차량)을 병결하는 경우 플랫폼 유효 길이가 신칸센 차량의 표준인 25m급 차량 16량분이기 때문에, 병결 상대 차량의 운용에 대해서도 중복성을 가지게 하기 위함이다.

2편성을 연결한 16량 편성의 정원은 1,634명으로 고속철도 차량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이다.[20]

2. 2. 차량 증비 및 노선 확장

200계의 지속적인 교체와 E1계 도입 후에도 계속 증가하는 신칸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1997년부터 신칸센 E4계 전동차의 제조가 시작되었다. 같은 해 12월도호쿠 신칸센에서 최초로 운행을 시작했다.[66] 2001년부터 조에쓰 신칸센나가노 신칸센 노선에 투입되기 시작했다.[68]

2003년 11월까지 총 26개 편성이 제조되었다.[17] 이 중 P51, P52 편성은 호쿠리쿠 신칸센의 급경사에 대응하도록 설계되었고,[3] P81, P82 편성은 급경사 대응과 더불어 50Hz/60Hz 주파수 모두에서 운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3]

2013년 7월부터 P2편성과 P3편성을 시작으로 퇴역이 시작되었다.[10]

E4계의 편성 목록은 다음과 같다.[17]

E4계 편성 일람표
편성 번호신제작일제조 회사센다이→니가타 전속신도장화제적일비고
P11997년 10월 8일 (센다이)가와사키 중공업2012년 9월 1일2015년 5월 12일2016년 4월 2일
2017년 6월 19일
E444-1만 2017년 6월 19일 폐차. 보존을 위해 양도
P21997년 10월 20일 (센다이)히타치 제작소2012년 9월 1일-2013년 7월 3일
P31997년 10월 27일 (센다이)가와사키 중공업2012년 9월 29일-2013년 7월 26일
P41999년 2월 10일 (센다이)히타치 제작소2012년 9월 29일2016년 2월 10일2017년 9월 13일
P51999년 2월 22일 (센다이)가와사키 중공업2012년 9월 29일2014년 4월 3일2017년 12월 4일
P61999년 3월 15일 (센다이)히타치 제작소2012년 8월 1일2014년 6월 11일2017년 12월 25일
P71999년 4월 19일 (센다이)2012년 8월 1일2015년 3월 25일2019년 5월 29일
P81999년 5월 31일 (센다이)가와사키 중공업2012년 3월 17일2015년 7월 3일2019년 6월 20일
P91999년 6월 21일 (센다이)히타치 제작소2003년 11월 5일2015년 8월 20일2019년 7월 12일
P101999년 7월 12일 (센다이)가와사키 중공업2003년 11월 5일2015년 2월 4일2019년 5월 7일
P112000년 7월 26일 (센다이)히타치 제작소2001년 9월 22일2016년 3월 3일2021년 10월 28일라스트 런 장식 편성
P122000년 8월 28일 (센다이)2001년 9월 22일2016년 4월 13일2021년 11월 24일라스트 런 장식 편성
P132000년 9월 11일 (센다이)가와사키 중공업2001년 9월 22일2016년 5월 10일2021년 12월 20일라스트 런 장식 편성
P142000년 10월 3일 (센다이)히타치 제작소2001년 9월 22일2016년 6월 1일2022년 1월 18일라스트 런 장식 편성
P152000년 10월 16일 (센다이)가와사키 중공업2001년 9월 22일2016년 10월 17일2019년 12월 17일
P162000년 11월 27일 (센다이)히타치 제작소2001년 9월 22일2014년 5월 1일2020년 8월 26일
P512001년 1월 31일 (센다이)가와사키 중공업2003년 2월 13일2014년 7월 7일2020년 11월 25일
P522001년 2월 20일 (센다이)2003년 3월 12일2014년 8월 27일2021년 10월 5일라스트 런 장식 편성
P172001년 3월 21일 (센다이)히타치 제작소2001년 12월 2일2014년 9월 30일2022년 2월 14일라스트 런 장식 편성
P182001년 6월 4일 (센다이)가와사키 중공업2005년 12월 10일2015년 4월 30일2021년 2월 22일
P192001년 6월 25일 (센다이)2006년 8월 1일2015년 8월 20일2021년 3월 18일
P202001년 7월 26일 (센다이)히타치 제작소2012년 3월 17일2015년 10월 9일2021년 4월 26일
P212001년 10월 9일 (센다이)가와사키 중공업2012년 3월 17일2015년 11월 4일2021년 5월 27일
P222001년 11월 20일 (센다이)2011년 12월 12일2015년 12월 18일2021년 6월 21일
P812003년 7월 30일 (니가타)히타치 제작소2012년 9월 1일2015년 7월 22일2021년 5월 7일
P822003년 11월 20일 (니가타)가와사키 중공업2012년 9월 29일2016년 1월 19일2022년 3월 30일라스트 런 장식 편성
E4계 최종 폐차 편성


2. 3. 도호쿠 신칸센 운행 종료 및 조에쓰 신칸센 집중

2011년부터 E5계 도입으로 도호쿠 신칸센에서의 운행이 점차 감소했다.[68][69] 2012년 9월 28일에는 도호쿠 신칸센에서 완전히 운행이 종료되었고, 조에쓰 신칸센 전용으로 운행되었다.[70] 이와 함께 야마비코, 나스노E2계로 변경되었고, 야마가타 신칸센 쓰바사와 중련 운행도 E2계로 변경되었다.

2012년 3월부터는 조에쓰 신칸센 에치고유자와 이북 구간에서 16량 편성 운행을 시작했다.[68][69]

도호쿠 신칸센 운행 종료를 기념하여, 2012년 9월 22일에 센다이-도쿄 간 단체 전용 열차 "고마워! Max 야마비코호"(ありがとう!Maxやまびこ号일본어)가 8량 편성으로 운행되었다.[50]

운행일열차명운행 구간(시발·종착 시각)중간 정차역사용
편성
비고
9월 22일고마워! Max 야마비코호센다이 7:20발 → 도쿄 9:20착후쿠시마, 고리야마, 신시라카와, 오미야, 우에노P8단체 전용 열차


2. 4. 도색 변경 및 퇴역

2014년부터 E1계, E2계와 같이 흰색과 파란색을 중심으로 경계선에 분홍색 띠를 추가하고, 따오기 일러스트를 추가한 로고를 적용하는 새로운 도색으로 변경하는 작업이 시작되었다.[71][72] 2014년 4월 초에 P5편성이 처음으로 새로운 도색을 적용받아 운행을 재개했으며,[8] 2015 회계연도 말까지 전체 차량에 이 작업이 완료될 예정이었다.[9]

2014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열린 니가타 데스티네이션 캠페인에 맞춰 도색 변경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44] 차체 색상은 E1계의 리뉴얼 도색과 유사하며, 띠 색상은 "연분홍"색으로 불리는 분홍색이 사용되었고, 로고 마크에는 따오기 3마리의 일러스트가 추가되었다.[45]

2014년 4월 7일, "Max 도키 491호"(나가오카 출발 니가타 행)부터 신도색 차량 운행이 시작되었다. P5편성이 첫 번째 도색 변경 편성이었으며, 과도기에는 구도색 차량과 신도색 차량이 함께 운행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2016년 가을까지, 변경 시작 이전에 폐차된 차량을 제외한 모든 편성에 신도색이 적용되었다.

2011년 동일본여객철도는 향후 5년간 E4계를 전량 퇴역시킬 계획을 발표했으나[73], 실제 퇴역은 2013년부터 순차적으로 시작되었다.[74] 2019년까지 11편성이 폐차된 것으로 알려졌다. 2017년 4월, 동일본여객철도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E7계로 교체하며 순차적으로 퇴역시킬 예정이라고 발표했으나,[75] 태풍 하기비스로 인해 나가노 신칸센 차량 센터가 침수되어 E7계 차량 중 120량이 폐차되면서 조에쓰 신칸센의 차량 부족으로 퇴역이 연기되었다. 결국 2021년 10월 1일 다이야 개정으로 정기 운행이 중단되었고,[7] 같은 해 10월 17일 '''고마워요 Max 도키&야마비코'''(サンキューMaxとき&やまびこ일본어)와 10월 27일 '''고마워요 Max 도키'''(サンキューMaxとき일본어) 고별 운행을 끝으로 E4계는 완전히 퇴역했다.[76]

P13편성 신도색
(2021년 오미야역)


구도색과 신도색의 병결 (2014년 도쿄역)

3. 디자인 및 특징

E4계 전동차200계의 노후화 및 E1계 도입 이후에도 증가하는 신칸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1997년부터 제조된 전 차량 2층 열차이다. 도호쿠 신칸센에서는 '''Max 나스노''', '''Max 야마비코''', 조에쓰 신칸센에서는 '''Max 도키''', '''Max 다니가와'''라는 애칭으로 운행되었다.

차체는 흰색과 파란색을 기본으로 황색 띠를 둘렀으며, 1999년부터 야마가타 신칸센 쓰바사와 연결 운행을 시작했다. 400계, E3계와 연결 가능한 장치가 편성되어 있다. 일부 차량은 호쿠리쿠 신칸센의 경사 및 주파수(50Hz/60Hz)에 대응하며, 모든 차량에 디지털 ATC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67]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 방식(IGBT)을 채택했으며, E1계보다 높은 정격 출력(420kW)의 모터를 사용한다. 2001년부터 조에쓰 신칸센호쿠리쿠 신칸센에서 운행을 시작했고, 2014년 내외장 리뉴얼을 통해 흰색과 파란색 바탕에 분홍색(따오기색) 띠, 따오기 일러스트 로고가 추가되었다.[71][72]

2011년 전량 퇴역이 검토되었으나,[73] 2013년부터 순차 퇴역,[74]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차량 부족으로 연기되었다가 2021년 운행이 중단되었다.[76] 1997년부터 2003년까지 총 26편성이 도입되었고, 현재는 전 차량 폐차되었다.[79]

E4계 전동차의 편성별 도입 및 운행 중단 시기는 다음과 같다.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P11997년2016년[80]
P22013년[74]신도색 미적용 폐차
P3
P41999년2017년[81]
P52014년 최초 내외장 리뉴얼 차량[82]
P6
P72019년
P82012년 도호쿠 신칸센 마지막 운행 기념 (ja)[83]
P9
P10
P112000년2021년
P122017년 도호쿠 신칸센 개통 35주년 임시 열차 운행[84]
P13
P14
P152019년
P162020년
P512001년호쿠리쿠 신칸센 가루이자와까지 입선 가능
P522021년
P17
P18
P19
P20
P21
P22
P812003년호쿠리쿠 신칸센 나가노까지 입선 가능, 교류 주파수 변환장치 탑재. P82는 2021년 마지막 운행 (ja, サンキューMaxとき일본어)[76]
P82


3. 1. 디자인 콘셉트

"BIG WAVE"(웅대)를 기본 콘셉트로, "ELASTIC"(유연), "WAVE MOTION"(약동, 생동감)을 키워드로 디자인되었다.[17][19]

3. 2. 외형 및 차체

신칸센 E4계 전동차는 E1계와 같이, 차량 바닥면 아래에 탑재하는 주행기기를 차량 위에 배치했다. 차체는 E1계의 마일드스틸제 차체와 달리 알루미늄 합금 압출형재로 변경되어 경량화를 이루었다. 터널 미기압파 현상 및 고속 주행 시 소음 대책으로 선두 차량의 전두부는 E1계보다 긴 롱노즈 형태(E1계: 9.4m, E4계: 11.5m)가 되었다.[21] 그러나, 이 때문에 전두부 형상이 매우 특이하여 "하마"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차체 높이는 4485mm이다.[21]

차체 도색은 흰색과 파란색의 투톤이며, 경계선에 황색 띠가 들어갔다. 2014년부터는 E1계, E2계와 같이 흰색과 파란색을 중심으로 경계선에 분홍색(따오기색) 띠가 있는 형태로 변경되었다.[71][72]

2014년 4월, 처음으로 리버리 변경이 적용된 P5편성


전조등은 바깥쪽에 실드 빔 라이트, 안쪽에 HID 램프를 사용하고 있다. 미등은 적색 LED가 직사각형으로 배치된 형태이다.

선두차에는 분할·병합 장치가 있어 400계[22]E3계 (L편성)과의 연결 운전, 또는 E4계끼리의 연결 운전이 가능하다.

3. 3. 실내 디자인 및 좌석 배치

차내는 "ADVANCE"(선진성, 매력적, 미래적), "COMFORT"(편안함)를 키워드로[17] 디자인되었다. 그린차는 고품질에 차분한 실내, 보통차 2층은 두근거리는 즐거움이 있는 실내, 보통차 1층은 밝고 편안하게 쉴 수 있는 따뜻한 실내를 목표로 했다.[17]

객실 천장은 E1계와 동일하며[21], 1층석은 1970mm[21], 2층석 그린차는 1975mm[21], 2층석 보통차는 1955mm[21]이다. 2, 4, 6호차의 차단부에 설치된 (홈 높이와 동일) 중 2층석은 2000mm[23]이다. 커튼은 모든 차량에서 프리 스톱 타입의 롤 커튼을 채용했다.[23]

보통차는 E1계와 마찬가지로 도쿄 방향 3량(1 - 3호차)의 2층 부분의 좌석은 가로 3열+3열의 6어브레스트[23]이며, 리클라이닝 기능이나 좌석 중앙의 팔걸이가 생략된 회전 크로스 시트이다. 시트 피치는 980mm , 좌석 폭은 창측·통로측 430mm, 중앙석 450mm로 E1계에 비해 10mm씩 확대되었으며, 팔걸이 부분을 제외하면 가로 3열+2열의 좌석과 같은 치수가 되었다. 과거에 수차례 성수기에 이 부분도 지정석으로 사용된 적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자유석이다.

그 외의 보통차 좌석(1 - 3, 7, 8호차의 1층과 4 - 6호차)은 200계 등과 마찬가지로 가로 3열+2열의 5어브레스트[23]로, 중앙에는 팔걸이가 있는 프리 스톱식 리클라이닝 기능 부착 회전 크로스 시트이며, 좌면 슬라이드 기구도 갖추고 있다.[23] 시트 피치는 980mm이다.

7, 8호차의 2층석(그린석)은 2열+2열의 4어브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시트로, 풋 레스트는 없지만 각 좌석 레그 레스트를 장비했다. 벽쪽 좌석의 발 받침대만 이동할 수 있다. 리클라이닝과 연동하여 좌면이 가라앉으면서 자세 유지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테이블은 E1계에서는 팔걸이 내장이었지만 E4계에서는 앞좌석 뒷면에 설치되어 있다. 일부 편성에서는 베개가 상하 가동식이다.

보통차의 시트 모켓은 2층석은 보라색, 1층석은 오렌지색이 사용되었으며, 그린석의 모켓에는 짙은 녹색 바탕에 노란색 기하학 무늬가 그려져 있다. 2층석의 천장 데코라는 파란색 계통, 1층석은 노란색 계통으로 통일되어 있다. 좌석 커버는 보통석은 흰색이지만 그린석은 노란색이다. 조명의 색상도, 보통석은 백색의 직접 조명[19], 그린석은 전구색의 간접 조명이다.[19] 보통석은 빛이 끊어지지 않도록 형광등 사이에 다운 라이트가 채용되었고, 그린차에서는 조명 커버에 둥근 구멍을 내는 가공이 시공되었다.[19]

배리어 프리 설비로는, 6호차 1층석과 8호차 2층석에 휠체어를 고정할 수 있는 좌석이 마련되어 있다. 8호차에는 급환자 등의 대응을 위해 다목적실이 있으며, 실내에 접이식 침대와 좌석을 설치했다.[25]

3. 4. 편의 시설

신칸센 E4계 전동차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8호차에는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엘리베이터와 휠체어를 고정할 수 있는 좌석이 마련되어 있다.[20] 또한, 급환자 등을 위한 다목적실이 있는데, 여기에는 접이식 침대와 좌석이 설치되어 있다.[25]

5호차와 8호차에는 휠체어 대응 다기능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으며,[28] 이 화장실에는 아기 침대도 마련되어 있다.[28] 다목적 화장실 문은 자동 미닫이문으로, 터치 스위치를 누르면 열리고 닫힌다.[28]

5호차(E459형 200번대)에는 매점이 설치되어 있다.[28] 매점에는 쇼케이스, 냉장고, 커피 메이커 등이 갖춰져 있다.[28] E1계에서는 계단 때문에 왜건을 사용할 수 없어 바구니를 사용했지만, E4계에는 각 차량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왜건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20] 다만, 8호차(16량 편성의 경우)는 엘리베이터가 휠체어 전용이므로 왜건 판매를 하지 않는다.

자동판매기는 4호차(E458형)에만 설치되어 있다.[28]

4. 기술 사양

E4계는 E1계와 같이 차량 바닥 아래(상하, 床下)에 탑재하는 주행 기기를 차량 상부(상상, 床上)에 배치했다.[66] 제어 방식은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을 채택했는데, GTO에서 IGBT(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 소자로 변경되어 성능이 향상되었다.[66]

E4계는 기본 MT비가 1:1(4M4T)로, 대출력 모터를 사용한다. E1계의 정격 출력이 410kW였던 것에 비해 E4계는 420kW로 향상되었다.[66] 주 전동기(MT206)는 농형 삼상 유도 전동기를 채용했다.[21][27] 기동 가속도는 1.65km/h/s이다.

주 회로 제어에는 VVVF 인버터 제어가 사용되었다. 주 변압기(TM209)는 강제 풍냉식을 채택하고, 4,150kVA의 용량을 갖는다.[29] 주 변환 장치(CI 9)는 IGBT 소자를 사용한 3레벨 컨버터 + 3레벨 인버터로 구성되어 있다. 보조 전원 장치는 IGBT를 사용한 고주파 컨버터/인버터 변환 방식(고주파 링크형 변환 방식)을 채택했다.[32][33]

대차는 고무 병용 판 스프링식 볼스터리스 대차이다. 전동 대차는 DT208[35], 부수 대차는 TR7007이다.[35] 제동 시스템은 회생 제동 병용 전기 지령식 공기 브레이크[28]이며, 고속 감속 시 전동차 회생 브레이크로 부수차 브레이크력도 부담하는 지연 제어를 도입했다.[35] 기초 브레이크는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 (차륜 디스크 브레이크)를 장비한다. 집전 장치는 하부 교차형 팬터그래프(PS201)를 채용했다.[38]

4. 1. 주요 기기 배치

E4계는 E1계와 마찬가지로, 차량 바닥 아래에 설치하는 주행 기기를 차량 상부에 배치했다. GTO에서 IGBT(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로 변경된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 방식을 채택했다. E4계는 기본 MT비가 1:1(4M4T)이므로 대출력 모터를 사용하며, E1계의 410kW였던 정격 출력이 E4계에서는 420kW로 향상되었다.[21][27]

선두차는 객차 하부(전위 측 대차 바로 뒤)에 물탱크, 보조 전원 장치, 공기 압축기, 공조 장치의 실외기를 설치했다[17]. 2·6호차의 평층 부분(도쿄 쪽)은 객실 공간으로 활용되었다[17].

중간차는 E1계와 같이 물탱크, 오물 탱크, 주 전동기 전동 송풍기를 객차 하부에 설치하고, 주 변압기·주 변환 장치는 기기실로, 차단부의 객차 상부에 탑재한다[17]. 기기실은 실내와 기밀 벽으로 구분되어 있다.

4량(T+M1+M2+T)으로 1유닛을 구성하고, M1차에 주 변환 장치를, M2차에 주 변압기·주 변환 장치를 탑재한다. 8량 편성 중 전동차 1.5량(3대차 분)을 컷한 상태(2.5M5.5T, 통상 동력의 62.5%)로, 25‰ 오르막 경사에서 기동할 수 있다[21].

전동기(MT206)는 농형 삼상 유도 전동기를 채용하고, E1계보다 연속 정격 출력을 증강한 420kW로 했다.[21][27] 편성 MT비는 1:1이며, 기동 가속도는 1.65km/h/s로 E1계보다 향상되었다.

주 회로 제어에는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 (VVVF 인버터 제어)가 채용되었다. 주 변압기(TM209)는 강제 풍냉식을 채용하고, 4,150kVA의 용량을 갖는다[29]. 중량은 3,460kg이며, 2차 권선 출력은 3,550 kVA, 3차 권선(보조 회로용) 출력은 600 kVA이다[18]. 주 변압기는 교류 25,000 V를 교류 2,600 V로 강압하여 주 변환 장치(CI)에 공급한다[18]. 주 회로 기기는 미쓰비시 전기(三菱電機)·히타치 제작소(日立製作所)·도시바(東芝)에서 제작했다[30][31].

주 변환 장치 (CI 9)는 IGBT소자 (미쓰비시 전기제는 IPM, 소자 보호 기능 부착 IGBT[30])를 사용한 3레벨 컨버터 + 3레벨 인버터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 제어를 1량 단위에서 대차 단위로 변경했다[21]. 주 변환 장치는 컨버터부와 인버터부를 일체화했으며, 차량 좌우 측면에 1군분 (2대로 2군분 제어)을 탑재하여 좌우 중량 균등화와 소형 경량화를 실현했다[25].

보조 전원 장치는 도요 전기 제조(東洋電機製造)에서 IGBT를 사용한 고주파 컨버터/인버터 변환 방식(고주파 링크형 변환 방식)을 채용했다[32][33]. 주 변압기 3차 권선의 단상 교류 400V를 전원으로, 출력 전압은 직류 100V(60kW), 교류 100V(16kVA)이다[32]. 1편성에 2대가 설치되어 1대가 고장나도 나머지 1대로 편성 전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32]. 기기는 선두차 객차 하부의 좁은 장소에 설치되어 소형화되었고[33], 소형 팬에 의한 강제 풍냉 방식으로 냉각한다[33].

전동 공기 압축기는 저소음형 스크롤 회전식 MH1128-C1200E를 채용한다[27][18].

보안 장치는 ATC-2형을 탑재하며, 2001년도 낙성차(P18 편성 이후)는 ATC-2형과 DS-ATC를 함께 탑재했다[27]. 이전 편성들은 2003년도에 DS-ATC 부착 공사가 이루어졌다[27].

E2계, E3계에 이어 차량 정보 제어 장치(MON12형)를 채용했다[34]. 32비트 CPU와 전송 속도 2.5Mbps의 정보 전송 시스템으로,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한 양방향 루프형 전송 방식이다[18][34]. 계전기 회로 및 총괄 배전반 기능도 소프트웨어화하여 차량 내 배선 수를 줄이고, E1계에서 기기 공간이었던 차단부를 여객 공간화했다[34][18].

대차는 고무 병용 판 스프링식 볼스터리스 대차이다. 전동 대차는 DT208[35], 부수 대차는 TR7007이다[35]. 차륜 지름 및 축거는 200계 및 E1계와 동일(각각 910mm, 2,500mm)하며[36], 대차 틀 및 기어 장치는 E1계와 호환된다[37]. 차축 베어링에는 그리스 윤활이 채용되었다[37]. 대차는 가와사키 중공업(川崎重工業)과 스미토모 금속공업(住友金属工業) (현·일본제철)에서 제작했다[31].

브레이크 시스템은 회생 제동 병용 전기 지령식 공기 브레이크[28]이며, 고속 감속 시 전동차 회생 브레이크로 부수차 브레이크력도 부담하는 지연 제어를 도입했다[35]. 억속 브레이크 및 정속 운전 성능이 강화되었다.

4M4T 편성에서 기초 브레이크는 전동·부수 대차 모두 각 차륜에 유압식 브레이크 캘리퍼에 의한 디스크 브레이크 (차륜 디스크 브레이크)를 장비한다. 부수 대차는 차축 내측에 1축당 2장의 디스크 브레이크를 추가로 장비한다[35].

전동차 회생 브레이크가 강력하여 가루이자와-안나카하루나 간(실거리 23.3km, 고도차 648m, 최대 경사 30‰) 내리막 급경사에서 차륜 디스크 브레이크(기초 브레이크)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억속과 감속이 가능했다.

집전 장치는 200계와 같은 하부 교차형 팬터그래프(고신 정공소(工進精工所) 제 PS201)를 채용했다. 가동식 미동 슬립판을 채택하여 가선 추종성을 높이고, 대차 틀을 FRP제로 하여 유도 장애를 줄였다[38]. 강설 대책으로 밀어 올림력을 5.5kg에서 7.5kg까지 향상시켰다[38].

차체가 차량 한계까지 만들어져 팬터그래프 커버는 없고, 팬터그래프 설치부 지붕이 한 단 낮아져 있다.

4. 2. 제어 방식 및 주행 성능

신칸센 E4계 전동차는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을 채택했다. IGBT(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 소자를 사용한 3레벨 컨버터 + 3레벨 인버터 구성의 주 변환 장치를 사용했다. 기본 MT 비는 1:1(4M4T)로, 대출력 모터를 사용했지만, E1계의 정격 출력 410kW에서 E4계는 420kW로 향상되었다.[66] 기동 가속도는 1.65km/h/s였다.

4. 3. 동력 장치

E4계에서는 E1계와 같이, 통상은 차량의 바닥면 아래에 탑재하는 주행 기기를 차량의 바닥 위쪽에 배치하고 있다. 제어 방식은 E1계와 같은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 방식이지만, 제어 소자가 GTO(게이트 턴 오프 사이리스터)에서 IGBT(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로 바뀌었다. Max는 기본 MT비가 1:1(E1계는 6M6T, E4계는 4M4T)이기 때문에 대출력 모터를 사용하고 있지만, E1계의 경우 정격 출력이 410kW였던 것이 E4계에서 420kW로 향상되었다.[66]

4. 4. 대차 및 제동 시스템

고무 병용 판 스프링식 볼스터리스 대차(DT208: 전동 대차, TR7007: 부수 대차)를 사용했다. 제동 시스템은 회생 제동 병용 전기 지령식 공기 브레이크를 사용했다. 기초 브레이크는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차륜 디스크 브레이크)를 사용했다.

4. 5. 집전 장치

E1계와 마찬가지로, 통상 차량 바닥면 아래에 탑재하는 주행기기를 차량 바닥면 위에 배치하고 있다. E4계는 하부 교차형 팬터그래프(PS201)를 사용했으며, 팬터그래프 설치부 지붕은 한 단 낮게 설계되었다.

5. 편성 및 차량 종류

200계의 계속적인 교체와 E1계 도입 후에도 계속 증가하는 신칸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1997년부터 제조되었다.[66] 전 차량 2층 구조로, 도호쿠 신칸센Max 나스노, Max 야마비코, 조에쓰 신칸센Max 도키, Max 다니가와 등의 열차에 투입되었다.

E4계는 E1계와 같이 차량 바닥 아래에 탑재하는 주행기기를 차량 바닥 위에 배치했다. 제어방식은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 방식이지만, 제어소자가 GTO에서 IGBT(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로 변경되었다. E1계의 정격출력(410kW)보다 향상된 420kW의 대출력 모터를 사용한다.[66] 차체는 알루미늄 합금 압출형재로 변경되었고, 터널 미기압파 현상 및 고속주행시 소음에 대비해 선두차량 전두부가 E1계(9.4m)보다 긴 11.5m로 설계되었다.[66]

2001년부터 조에쓰 신칸센나가노 신칸센 노선에 투입되어 '''Max 아사마'''로 운행되었으나, 2003년 9월에 운행을 종료했다.[68] 2012년 9월 28일 오미야 이북 구간 운행이 종료되면서 E2계로 대체되었다.[70] 2014년부터 내외장 리뉴얼을 통해 도색이 변경되었고, 2016년 하반기에 전 편성이 리뉴얼되었다.[71][72]

2011년 동일본여객철도는 E4계를 전량 퇴역시킬 계획을 발표했으나,[73]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차량 부족으로 연기되었다.[76] 2021년 10월 1일 정기 운행이 중단되었고, 같은 해 10월 27일 '''고마워요 Max 도키&야마비코'''(サンキューMaxとき&やまびこ일본어) 운행을 끝으로 운행이 종료되었다.[76]

E4계는 8량 편성으로, P1~P22, P51, P52, P81, P82 편성이 존재한다. 초기에는 신칸센 종합 차량 센터 소속이었으나, 2012년 이후 니가타 신칸센 차량 센터 소속으로 변경되었다.[77] 일부 편성은 호쿠리쿠 신칸센의 경사 및 주파수에 대응하여 가루이자와 또는 나가노까지 운행이 가능했다.[77]

편성 번호제조사인도일재도색일퇴역일
가와사키 HI1997년 10월 8일2015년 5월 12일2016년 4월 2일[13]
히타치1997년 10월 20일-2013년 7월 3일[10]
[10]
P5가와사키 HI1999년 2월 22일2014년 4월 3일2017년 12월 5일[14]
히타치1999년 3월 15일2014년 6월 11일2018년 1월 13일[14]
P8가와사키 HI1999년 5월 31일2015년 7월 3일2019년 6월 20일
P10가와사키 HI1999년 7월 12일2015년 2월 4일2019년 5월 7일
히타치2000년 7월 26일2016년 3월 3일2021년 10월 28일
P13가와사키 HI2000년 9월 11일2016년 5월 10일2021년 12월 20일
P15가와사키 HI2000년 10월 16일2016년 10월 17일2019년 12월 17일
히타치2000년 11월 27일2014년 5월 1일2020년 8월 24일
P18가와사키 HI2001년 6월 4일2015년 4월 30일2021년 2월 22일
P20히타치2001년 7월 16일2015년 10월 9일2021년 4월 26일
가와사키 HI2001년 10월 9일2015년 11월 4일2021년 5월 27일
P512001년 1월 31일2014년 7월 7일2020년 11월 25일
P81히타치2003년 7월 30일2015년 7월 22일2021년 5월 7일
[3] 16량 편성 시 정원은 1,634명으로 고속철도 차량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이다.[20]

E4계(P편성) 편성표
호차1(9)2(10)3(11)4(12)5(13)6(14)7(15)8(16)
형식E453형
(T1c)
E455형
(M1)
E456형
(M2)
E458형
(T)
E459형
(Tk)
E455형
(Mp)
E446형
(M2s)
E444형
(Tpsc)
번대100번대100번대100번대0번대200번대0번대0번대0번대
좌석일반석 3+3열(2층)
일반석 3+2열(1층)
일반석 3+3열(2층)
일반석 3+2열(F*)
일반석 3+3열(2층)
일반석 3+2열(F*)
일반석 3+2열
(2층&1층)
일반석 3+2열
(2층&1층)
일반석 3+2열
(2층&1층)
그린차 2+2열(2층)
일반석 2+2열(F*)
그린차 2+2열(2층)
일반석 3+2열(1층)
정원751331191241101229143
중량53.3t52.3t56.9t50.3t51.2t52.9t56.9t54.2t
유닛1유닛2유닛





※F: 플랫 시트(계단을 사용하지 않고 착석 가능한 좌석)



차량 번호에 따른 세부 형식은 다음과 같다.

  • E444형 (Tpsc): 제어차 (8호차), 1층 일반석/2층 그린석, 니가타 방향 운전대, 다목적실, 휠체어 대응 설비, 정원 43명.[4]
  • E446형 (M2s): 중간 전동차 (7호차), 1층 일반석/2층 그린석, 도쿄 방향 공중 전화, 정원 91명.[4]
  • E453형 (T1c): 제어 부수차 (1호차), 일반석, 도쿄 방향 운전대, 정원 75명, 0번대 없음.[4]
  • E455형 (M1, Mp): 중간 전동차, 일반석, 주 변환 장치 탑재.[4]
  • 0번대 (Mp): 6호차, 휠체어 대응 좌석, 집전 장치, 정원 122명.
  • 100번대 (M1): 2호차, 정원 133명, 도쿄 방향 공중 전화.
  • E456형 (M2): 중간 전동차 (3호차), 일반석, 도쿄 방향 공중 전화, 정원 119명, 0번대 없음.[4]
  • E458형 (T): 중간 부수차 (4호차), 일반석, 자동 판매기, 집전 장치, 정원 124명.[4]
  • E459형 (Tk): 중간 부수차 (5호차), 일반석, 도쿄 방향 승무원실/매점, 정원 110명, 0번대 없음.[4]

5. 1. 편성 구성

신칸센 E4계 전동차는 8량 1편성으로 구성되며, 2편성을 연결하여 16량 편성으로 운행할 수 있다. 기본 편성은 4량(T1c+M1+M2+T) 1유닛으로 구성된다.[20] 16량 편성 시 정원은 1,634명으로 고속철도 차량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이다.[20]

차량의 기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차량 번호12345678
부호T1cM1M2TTkMpMsTpsc
차량 번호E453-100E455-100E456-100E458E459-200E455E446E444
좌석 정원751331191241101229143



4호차와 6호차에는 PS201형 팬터그래프가 설치되어 있다.[3]

1997년 10월부터 2003년 11월까지 총 26개 편성(208량)이 제조되었다.[17] 제작 시기 및 사양에 따라 4개의 차수로 구분된다.


  • 1차차 (P1~P3 편성): 1997년 10월 제조
  • 2차차 (P4~P10 편성): 1999년 2월~7월 제조
  • 3차차 (P11~P22, P51, P52 편성): 2000년 7월~2001년 11월 제조
  • 4차차 (P81, P82 편성): 2003년 제조, 니가타 신칸센 차량 센터 배치[46]


편성별 운행 구간은 다음과 같다.

3차차 중 P51, P52 편성은 호쿠리쿠 신칸센의 30‰ 급경사 구간 주행에 대응하며, 4차차(P81, P82 편성)는 가루이자와역사쿠다이라역 사이의 전원 주파수(50Hz/60Hz) 전환 장치를 탑재하여 나가노역까지 운행 가능하다.[17]

편성별 제조 이력, 소속, 도색 변경, 폐차 일자는 아래 표와 같다.

편성 번호신제작일제조 회사센다이→니가타 전속신도장화제적일비고
P11997년 10월 8일(센다이)가와사키 중공업2012년 9월 1일2015년 5월 12일2016년 4월 2일
2017년 6월 19일
E444-1만 2017년 6월 19일 폐차. 보존을 위해 양도
P21997년 10월 20일(센다이)히타치 제작소2012년 9월 1일-2013년 7월 3일
P31997년 10월 27일(센다이)가와사키 중공업2012년 9월 29일-2013년 7월 26일
P41999년 2월 10일(센다이)히타치 제작소2012년 9월 29일2016년 2월 10일2017년 9월 13일
P51999년 2월 22일(센다이)가와사키 중공업2012년 9월 29일2014년 4월 3일2017년 12월 4일
P61999년 3월 15일(센다이)히타치 제작소2012년 8월 1일2014년 6월 11일2017년 12월 25일
P71999년 4월 19일(센다이)2012년 8월 1일2015년 3월 25일2019년 5월 29일
P81999년 5월 31일(센다이)가와사키 중공업2012년 3월 17일2015년 7월 3일2019년 6월 20일
P91999년 6월 21일(센다이)히타치 제작소2003년 11월 5일2015년 8월 20일2019년 7월 12일
P101999년 7월 12일(센다이)가와사키 중공업2003년 11월 5일2015년 2월 4일2019년 5월 7일
P112000년 7월 26일(센다이)히타치 제작소2001년 9월 22일2016년 3월 3일2021년 10월 28일라스트 런 장식 편성
P122000년 8월 28일(센다이)2001년 9월 22일2016년 4월 13일2021년 11월 24일라스트 런 장식 편성
P132000년 9월 11일(센다이)가와사키 중공업2001년 9월 22일2016년 5월 10일2021년 12월 20일라스트 런 장식 편성
P142000년 10월 3일(센다이)히타치 제작소2001년 9월 22일2016년 6월 1일2022년 1월 18일라스트 런 장식 편성
P152000년 10월 16일(센다이)가와사키 중공업2001년 9월 22일2016년 10월 17일2019년 12월 17일
P162000년 11월 27일(센다이)히타치 제작소2001년 9월 22일2014년 5월 1일2020년 8월 26일
P512001년 1월 31일(센다이)가와사키 중공업2003년 2월 13일2014년 7월 7일2020년 11월 25일
P522001년 2월 20일(센다이)2003년 3월 12일2014년 8월 27일2021년 10월 5일라스트 런 장식 편성
P172001년 3월 21일(센다이)히타치 제작소2001년 12월 2일2014년 9월 30일2022년 2월 14일라스트 런 장식 편성
P182001년 6월 4일(센다이)가와사키 중공업2005년 12월 10일2015년 4월 30일2021년 2월 22일
P192001년 6월 25일(센다이)2006년 8월 1일2015년 8월 20일2021년 3월 18일
P202001년 7월 26일(센다이)히타치 제작소2012년 3월 17일2015년 10월 9일2021년 4월 26일
P212001년 10월 9일(센다이)가와사키 중공업2012년 3월 17일2015년 11월 4일2021년 5월 27일
P222001년 11월 20일(센다이)2011년 12월 12일2015년 12월 18일2021년 6월 21일
P812003년 7월 30일(니가타)히타치 제작소2012년 9월 1일2015년 7월 22일2021년 5월 7일
P822003년 11월 20일(니가타)가와사키 중공업2012년 9월 29일2016년 1월 19일2022년 3월 30일라스트 런 장식 편성
E4계 최종 폐차 편성


5. 2. 차량 종류 및 형식

차량 번호12345678
부호T1cM1M2TTkMpM2sTpsc
차량 번호E453-100E455-100E456-100E458E459-200E455E446E444
좌석 정원751331191241101229143


  • E444형 (Tpsc): 8호차에 사용되는 제어 부수차로, 1층은 일반석, 2층은 그린석이다. 니가타 방향 운전대, 다목적실, 화장실, 세면소(도쿄 방향, 휠체어 대응), 휠체어 승강기(2층 그린석)가 있다. 바닥에는 보조 전원 장치와 공기 압축기가 설치되어 있다. 정원은 43명이다.[4]
  • E446형 (M2s): 7호차에 사용되는 중간 전동차로, 1층은 일반석, 2층은 그린석이다. 도쿄 방향에 공중 전화가 설치되어 있고, 주 변압기와 주 변환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정원은 91명이다.[4]
  • E453형 (T1c): 1호차에 사용되는 제어 부수차로, 일반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쿄 방향 운전대, 업무용실, 화장실, 세면소(니가타 방향)가 설치되어 있다. 바닥에는 보조 전원 장치와 공기 압축기가 탑재되어 있다. 정원은 75명이며, 0번대는 없다.[4]
  • E455형 (M1, Mp): 일반석을 갖춘 중간 전동차로, 주 변환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4]
  • 0번대 (Mp): 6호차에 사용되며, 휠체어 대응 좌석과 집전 장치가 있다. 정원은 122명이다.
  • 100번대 (M1): 2호차에 사용되며, 정원은 133명이다. 도쿄 방향에 공중 전화가 있다.
  • E456형 (M2): 3호차에 사용되는 중간 전동차로, 일반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쿄 방향에 공중 전화가 설치되어 있고, 주 변압기와 주 변환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정원은 119명이며, 0번대는 없다.[4]
  • E458형 (T): 4호차에 사용되는 중간 부수차로, 일반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동 판매기, 화장실, 세면소(도쿄 방향)가 설치되어 있고, 집전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정원은 124명이다.[4]
  • E459형 (Tk): 5호차에 사용되는 중간 부수차로, 일반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쿄 방향에 승무원실(차장실), 매점, 공중 전화가 있고, 니가타 방향에 화장실, 세면소(휠체어 대응)가 설치되어 있다. 정원은 110명이며, 0번대는 없다.[4]

5. 3. 특수 편성

P51, P52 편성은 호쿠리쿠 신칸센의 우스이 고개 급경사에 대응하여 가루이자와까지 운행할 수 있다.[77] 이 편성들은 2001년 1월과 2월에 각각 인도되어 가루이자와행 열차에 사용되었다.[3]

P81, P82 편성은 호쿠리쿠 신칸센의 우스이 고개 급경사에 대응하고, 50Hz/60Hz 주파수 변환 장치를 탑재하여 나가노까지 운행할 수 있다.[77] 단, 60Hz 대응은 긴급 상황에 대비한 것으로, 관련 기기는 50Hz에서의 사용을 고려하고 있어 장시간 운행이나 잦은 연장 운행은 거의 불가능하다.[77] 이 편성들은 2003년 7월과 11월에 각각 인도되어 나가노행 열차에 사용되었다.[3]

E4계 특수 편성 현황
편성 번호신제작일제조 회사센다이→니가타 전속신도장화제적일비고
P512001년 1월 31일(센다이)가와사키 중공업2003년 2월 13일2014년 7월 7일2020년 11월 25일
P522001년 2월 20일(센다이)2003년 3월 12일2014년 8월 27일2021년 10월 5일라스트 런 장식 편성
P812003년 7월 30일(니가타)히타치 제작소2012년 9월 1일2015년 7월 22일2021년 5월 7일
P822003년 11월 20일(니가타)가와사키 중공업2012년 9월 29일2016년 1월 19일2022년 3월 30일라스트 런 장식 편성
E4계 최종 폐차 편성


6. 운행 노선

E4계1997년 12월 도호쿠 신칸센에서 처음 운행을 시작했다.[66] 전 차량 2층으로, 도호쿠 신칸센조에쓰 신칸센에서 운행되었다. 열차 등급에 따라 '''Max 나스노''', '''Max 야마비코''', '''Max 도키''', '''Max 다니가와'''라는 애칭으로 불렸다.

2001년부터는 조에쓰 신칸센나가노 신칸센 노선도 운행하기 시작했다. 호쿠리쿠 신칸센에서는 '''Max 아사마'''로 운행했으나, 2003년 9월에 운행을 종료했다.[68]

2011년부터 E5계 도입으로 운행이 줄어들었고, 2012년 9월 28일에는 도호쿠 신칸센 운행이 종료되었다.[70] 이후 조에쓰 신칸센에서만 운행하다가, 2021년 10월 1일 정기 운행을 종료하고, 같은 해 10월 17일 고별 운행(땡큐 Max 도키)을 끝으로 완전히 퇴역했다.[76]

E4계의 마지막 운행은 아래 표와 같다.[62]

운행일열차명운행 구간(시발·종착 시각)중간 정차역사용
편성
비고
10월 9일땡큐 Max 도키&야마비코니가타 9:29발 → 모리오카 13:58착쓰바메산조, 나가오카, 우라사, 에치고유자와, 오미야, 센다이P82여행 상품 전용 열차
10월 10일모리오카 10:04발 → 니가타 14:18착센다이, 오미야, 에치고유자와, 우라사, 나가오카, 쓰바메산조
10월 16일땡큐 Max 도키니가타 9:29발 → 도쿄 11:32착쓰바메산조, 나가오카, 우라사, 에치고유자와
도쿄 11:44발 → 니가타 13:54착에치고유자와, 우라사, 나가오카, 쓰바메산조
10월 17일니가타 9:29발 → 도쿄 11:32착쓰바메산조, 나가오카, 우라사, 에치고유자와
도쿄 11:44발 → 니가타 13:54착에치고유자와, 우라사, 나가오카, 쓰바메산조


6. 1. 과거 운행 노선



1997년 12월도호쿠 신칸센에서 최초로 운행을 시작했다.[66] 200계의 계속적인 교체와 E1계 도입 후에도 계속 증가하는 신칸센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였다. 도호쿠 신칸센나스노, 야마비코 등급으로 운행하는 열차에 대해서 '''Max 나스노''', '''Max 야마비코'''라는 애칭이 있었다.

1999년 4월야마가타 신칸센 쓰바사와 중련 운전을 시작했다. 400계, 200계, E3계와 병결할 수 있는 병결장치가 모든 편성에 배치되어 있다. 200계와의 병결은 2004년 3월 13일의 다이어 개정을 이후로 폐지되었다.[66]

2005년 12월 10일센다이 이북 구간에서 정기 운용을 종료했다.[68]

2012년 9월 28일에 오미야 이북 구간 운행이 종료되면서 야마비코, 나스노E2계로 변경되었고, 야마가타 신칸센 쓰바사와 중련 운행 시 E2계로 변경되었다.[70] 시간표 개정 이전에 도호쿠 신칸센 운행 종료 기념으로 '''고마워요! Max 야마비코호'''(ありがとう!Maxやまびこ号일본어)로 8량 편성으로 운행했다.

2001년부터 조에쓰 신칸센나가노 신칸센 노선을 운행하기 시작했다. 당시 '''Max 아사마'''로 도쿄 ~ 카루이자와 구간을 운행 했으나 2003년 9월에 운행을 종료했다.[68]

2012년 3월조에쓰 신칸센 에치고유자와 이북 구간에 16량 편성을 영업 운전을 시작하면서 오미야 이북 구간 16량 편성이 운행이 종료되었다.[68][69]

2021년 10월 1일 다이야 개정으로 운행이 중단되었고, 같은 해 10월 17일에 '''고마워요 Max 도키'''(サンキューMaxとき일본어)와 10월 27일에 '''고마워요 Max 도키&야마비코'''(サンキューMaxとき&やまびこ일본어)를 끝으로 운행이 종료되었다.[76]

7. 보존 및 전시 차량

2017년 7월 보존된 E444-1호 차량


P1편성 선두차 E444-1호는 니가타시 니이츠 철도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11] 2017년 6월 20일 이른 시간에 니가타 차량기지에서 박물관으로 도로 운송되었다.[12] 2016년 3월까지 운행하다가 같은 해 4월에 폐차된 P1편성의 선두차(E444-1)가 2017년 6월 19일에 니가타시 신쓰 철도 자료관에 유상으로 양도되어 같은 해 7월 15일부터 전시되고 있다.[63] 차내는 이벤트 시에만 개방되며, 통상 시에는 들어갈 수 없다. 본 형식으로 현존하는 차량은 이 E444-1이 유일하며, 그 외의 차량은 폐차 후 모두 해체되었다.[64]

8. 래핑

시행일편성래핑 종류비고
2008년 7월 19일P11, P21포켓몬"피카노리 서머 2008" 캠페인 홍보[1]
2009년 7월 18일P9, P17포켓몬"피카노리 서머 2009" 캠페인 홍보[2]
2009년 9월 10일 ~ 12월P11 ~ P14"맛이 가득한 니가타""니가타 데스티네이션 캠페인"[3]
2010년 7월 17일P19, P21포켓몬"피카노리 서머 2010" 캠페인 홍보[4]
2012년 11월 상순P81도키E1계 대체, "Max" 로고 마크 오른쪽[5]
2012년 11월 15일P7, P8, P17, P18Suica 펭귄 "고토치 래핑"조에쓰 신칸센 개업 30주년 기념[6]
2020년 9월 2일P22니가타 관광 홍보13편성 차내 매점 공간 장식, Wi-Fi 및 충전 서비스, 캡슐 토이 판매 (2021년 3월까지)[7]
2021년 3월 12일남은 전체 7편성마지막 운행(라스트 런) 로고[8]


참조

[1] 서적 Neko Publishing
[2] 서적 Sanei Mook 2009-04
[3] 서적 Kotsu Shimbunsha 2010-05
[4] 서적 Ikaros Publishing 2004-07
[5] 웹사이트 http://mainichi.jp/s[...] The Mainichi Newspapers 2011-03-09
[6] 서적 Kotsu Shimbunsha 2017-11-15
[7] 웹사이트 JR East to Retire the Last Double-Decker Shinkansen Train – Japan Station https://www.japansta[...] 2021-08-11
[8] 웹사이트 http://rail.hobidas.[...] Neko Publishing Co., Ltd. 2014-04-07
[9] 웹사이트 上越新幹線(E4系)のエクステリアデザインが生まれ変わります! http://www.jrniigata[...] East Japan Railway Company – Niigata Division 2014-03-26
[10] 서적 Kotsu Shimbunsha 2013-12-01
[11] 웹사이트 http://rail.hobidas.[...] Neko Publishing Co., Ltd. 2017-06-07
[12] 웹사이트 http://www.asahi.com[...] 2017-06-21
[13] 간행물 Kōtsū Shimbun 2016-09
[14] 간행물 Kotsu Shimbun 2018-03
[15] 보도자료 10月1日上越新幹線「E4系Max編成」定期運行ラストラン!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新潟支社 2021-06-18
[16] 서적 高速鉄道物語 -その技術を追う- 成山堂書店
[17] 문서 東日本旅客鉄道「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二十年史」146-147P。
[18] 문서 日本鉄道技術協会「JREA」1998年1月号「東北・上越新幹線用E4系新幹線電車の開発」16-20P記事。
[19] 서적 鉄道ファン1998年1月号 特集:近郊型電車進化論 新車ガイド:JR東日本E4系 P55 交友社 1998-01-01
[20] 서적 鉄道ファン1998年1月号 特集:近郊型電車進化論 新車ガイド:JR東日本E4系 P54 交友社 1998-01-01
[21] 서적 鉄道ファン1998年1月号 特集:近郊型電車進化論 新車ガイド:JR東日本E4系 P58 交友社 1998-01-01
[22] 문서 併結運転時では引張力・加減速特性等を400系と同じ性能に調整していた。
[23] 서적 鉄道ファン1998年1月号 特集:近郊型電車進化論 新車ガイド:JR東日本E4系 P59 交友社 1998-01-01
[24] 문서 『新幹線のすべて』 川崎憲一郎、2013年7月18日。 2013-07-18
[25] 문서 日本鉄道車両機械技術協会「ROLLINGSTOCK&MACHINERY」1997年12月号「東北・上越新幹線用E4系新幹線電車の開発」22-25P記事。
[26] 문서 PDFlink|[https://www.giho.mitsubishielectric.co.jp/giho/pdf/1998/9806.pdf 特集論文「車両快適化補助システム」] 三菱電機 1998-06
[27] 서적 JR電車編成表 交通新聞社 2010
[28] 서적 鉄道ファン1998年1月号 特集:近郊型電車進化論 新車ガイド:JR東日本E4系 P60 交友社 1998-01-01
[29] 웹사이트 車両システム・推進制御システム・主変圧器--製品紹介-- http://www.mitsubish[...] 三菱電機 車両システム
[30] 문서 三菱電機『三菱電機技報』1999年1月号「PDFlink|[https://www.giho.mitsubishielectric.co.jp/giho/pdf/backnumber/1999(vol73)/Vol73_01.pdf 新幹線車両用高耐圧・大容量IPM応用主変換装置」] 三菱電機 1999-01
[31] 문서 日本鉄道車輌工業会『車両技術』216号(1998年7月)「JR東日本E4系新幹線電車」 1998-07
[32] 문서 東洋電機製造「東洋電機技報」第101号(1998年5月)「東日本旅客鉄道(株)向 E4系新幹線二階建電車用電機品」 東洋電機製造 1998-05
[33] 문서 東洋電機製造「東洋電機技報」第102号(1998年11月)「新幹線用補助電源装置」 東洋電機製造 1998-11
[34] 간행물 鉄道ジャーナル社「鉄道ジャーナル」2004年9月号「JR東日本における車両情報システム」 2004-09
[35] 서적 鉄道ファン1998年1月号 特集:近郊型電車進化論 新車ガイド:JR東日本E4系 P61 交友社 1998-01-01
[36] 서적 高速鉄道物語 -その技術を追う- 成山堂書店
[37] 서적 新幹線テクノロジー 山海堂
[38] 웹사이트 日本国有鉄道200系新幹線電車用電気機器 富士時報 第55巻第6号(1982年) http://www.fujielect[...] 富士電機 2012-09-12
[39] 간행물 おかげさまで上越新幹線開業30周年! http://shinkansen-ye[...] 東日本旅客鉄道新潟支社 2012-09-12
[40] 간행물 上越新幹線(Max とき・たにがわ編成)で 新潟観光 PR を実施します! https://www.jrniigat[...] 東日本旅客鉄道 新潟支社 2020-08-28
[41] 간행물 上越新幹線 E4 系(Max とき編成)車内で地元の学生と 連携して新潟県産「ル レクチエ」を販売します! https://www.jrniigat[...] 東日本旅客鉄道 新潟支社 2020-11-19
[42] 뉴스 E4系で新潟観光PRラッピング https://railf.jp/new[...] 2020-09-13
[43] 간행물 上越新幹線「E4 系 Max 編成」の ラストラン企画をスタートします!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1-03-12
[44] 간행물 上越新幹線(E4系)のエクステリアデザインが生まれ変わります! http://www.jrniigata[...] 東日本旅客鉄道新潟支社 2014-03-26
[45] 문서 E1系とは異なり、「Max」の文字は小さくなる。
[46] 문서 東日本旅客鉄道「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二十年史」173P。
[47] 뉴스 E4系「MAX」が新青森へ初入線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 2010-06-13
[48] 웹사이트 E4系 Maxの軌跡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1-09-04
[49] 간행물 2012年9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2-07-06
[50] 간행물 新幹線団体列車「ありがとう!Maxやまびこ号(E4系)で行く東京の旅」 発売について http://www.jr-sendai[...] 東日本旅客鉄道仙台支社 2012-08-03
[51] 간행물 「東北&山形新幹線開業」記念商品を発売します〜旅行商品のご案内〜 http://jr-sendai.com[...] 東日本旅客鉄道仙台支社、びゅうトラベルサービス東北支店 2017-04-20
[52]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02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002-07-01
[53] 문서 『新型車両を公開 来春から上越新幹線で運行』平成12年9月29日読売新聞朝刊31面新潟2
[54] 문서 乗客を乗せた状態で[[安中榛名駅]] - 軽井沢駅間の急勾配を登ることができない可能性があったため、上り列車のみの運用となった。
[55] 간행물 2012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1-12-16
[56] 문서 [[グランクラス]]連結となる。
[57] 간행물 上越新幹線への新車投入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7-04-04
[58] 웹사이트 浸水した北陸新幹線、10編成すべて廃車へ 台風19号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9-11-06
[59] 웹사이트 JR東、北陸新幹線に上越向け新造車両を転用へ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10-26
[60] 웹사이트 JR東、上越新幹線の活用検討=台風19号浸水被害の「北陸」で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2019-10-17
[61] 간행물 2021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0-12-18
[62] 뉴스 「E4系」がラストラン…国内唯一の2階建て新幹線車両 https://www.yomiuri.[...] 2021-10-01
[63] 뉴스 新津鉄道資料館 新規実物車輌展示 http://rail.hobidas.[...] 鉄道ホビダス 2017-06-07
[64] 뉴스 E4系新幹線を3年半ぶりに公開 -実物車両は2021年に引退し、唯一残る1両- https://www.city.nii[...] 新潟市 2023-07-07
[65] 서적 Railway Technology Vol.1: Shinkansen Sanei Mook 2009-04-01
[66] 서적 JR Rolling Stock Handbook 2006 Neko Publishing
[67] 문서 반면 [[신칸센 E1계 전동차|E1계]]는 바구니를 이용한다.
[68] 웹인용 2012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동일본여객철도 2011-12-16
[69] 뉴스 E2系とE3系「つばさ」編成の併結運転が始まる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 2012-03-20
[70] 웹인용 2012年9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동일본여객철도 2012-07-06
[71] 웹인용 http://rail.hobidas.[...] Neko Publishing Co., Ltd. 2014-04-07
[72] 웹인용 上越新幹線(E4系)のエクステリアデザインが生まれ変わります! http://www.jrniigata[...] East Japan Railway Company - Niigata Division 2014-03-26
[7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mainichi.jp/s[...] The Mainichi Newspapers 2011-03-09
[74] 서적 Kotsu Shimbunsha 2013-12-01
[75] 웹인용 日 고속열차 신칸센 '2층열차' 역사 속으로 http://www.yonhapnew[...] 2017-05-07
[76] 웹인용 2021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동일본여객철도]] 2020-12-18
[77] 서적 Kotsu Shimbunsha 2010-05
[78] 서적 Kotsu Shimbunsha 2010-05
[79] 서적 Kotsu Shimbunsha 2016-05-20
[80] 잡지 Kōtsū Shimbun 2016-09
[81] 서적 Kotsu Shimbun 2018-03
[82] 웹인용 上越新幹線(E4系)のエクステリアデザインが生まれ変わります! http://www.jrniigata[...] 東日本旅客鉄道新潟支社 2014-03-26
[8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jr-sendai[...] 2012-08-03
[8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jr-sendai.com[...] 2017-05-08
[85] 웹인용 http://www.asahi.com[...] The Asahi Shimbun Company 2017-06-21
[86] 웹인용 http://rail.hobidas.[...] Neko Publishing Co., Ltd. 2017-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