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윗 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윗 왕조는 다윗의 후손으로 여겨지는 왕들의 계통을 의미하며, 텔단 비문을 통해 그 존재가 확인되지만, 다윗 본인을 언급하는 성경 외 기록은 드물다. 기원전 8세기에 웃시야가 왕으로 증명되었으며, 이후 유다 왕국의 여러 왕들이 다윗 가문의 후손으로 기록되었다. 다윗 왕조는 이스라엘 왕국과 유다 왕국으로 분열되었으며, 바빌론 유수 이후 유대인 수장 직을 다윗 가문의 후손이 계승했다. 하스몬 왕조와 헤로데 왕조 시대에는 다윗 가문이 유대 왕실에서 배제되었지만, 중세 시대에는 다윗 가문의 후손들이 유대인 공동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유대교에서는 메시아가 다윗 가문에서 나올 것으로 믿으며, 기독교와 이슬람교에서도 다윗 가문을 중요하게 여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다 국왕 - 르호보암
    르호보암은 솔로몬의 아들이자 유다 왕국의 초대 왕으로, 강압적인 정책으로 이스라엘 왕국을 분열시키고 이집트의 침공으로 국력이 쇠퇴했다.
  • 유다 국왕 - 여호사밧
    여호사밧은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유다 왕국의 4대 왕으로, 여호와를 섬기며 왕국을 강화하고 종교 개혁을 통해 율법을 가르치고 우상 숭배를 억제했으며, 북이스라엘과의 관계 개선, 모압과 암몬의 침략 격퇴 등 정치적, 군사적 업적을 남겼다.
  • 이스라엘 국왕 - 사울
    사울은 사무엘상과 사무엘하에 등장하는 이스라엘의 초대 왕으로, 암몬과의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다윗을 질투하여 길보아 전투에서 자살했다.
  • 이스라엘 국왕 - 다윗
    이스라엘의 2대 왕 다윗은 목동 출신으로 골리앗을 물리치고 이스라엘을 통일하여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종교 및 문화 발전에 기여했지만 밧세바와의 죄와 아들 반란 등 어두운 면도 존재하며, 그의 생애는 여러 종교에서 다양하게 해석되고 역사적 논쟁도 있다.
다윗 왕조 - [인물]에 관한 문서
개요
가문 이름다윗 가문
로마자 표기Bēt Dāwīḏ
국가이스라엘 왕국 (기원전 1010년경–기원전 930년경)
유다 왕국 (기원전 930년경–기원전 587년)
민족히브리인
종교야훼교
기원유다 지파
설립자 (전통)다윗
마지막 통치자치드키야
다윗의 별
다윗의 별
작위이스라엘 왕
유다 왕
종교적 중요성
유대교메시아의 혈통으로 여겨짐.
기독교예수의 혈통으로 여겨짐.
이슬람교다우드의 혈통으로 여겨짐.

2. 역사

텔단 비문으로, "다윗 가문" 언급이 흰색으로 강조되어 있다.


다윗 왕조는 성경에 등장하는 왕조로, 그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 텔단 비문은 "다윗 가문"을 언급하는 성경 외 유일한 기록이지만, 통일 이스라엘 왕국의 역사적 신뢰성은 고고학적으로 불확실하다. 에일라트 마자르의 주장이 맞다면, 예루살렘의 계단식 석조 구조물과 대형 석조 구조물은 다윗 시대에 예루살렘에 어느 정도 인구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예루살렘은 다윗 사후 오랫동안 크게 발전하지 못했으며,[18] 이는 성경에 묘사된 제국의 수도였을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다윗 시대의 수도는 강력한 요새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다윗 가문의 "왕국"은 느슨하게 연합된 지역 정치 체제에 가까웠을 것이다.[18]

키르벳 케이아파[19]와 에글론에서의 발굴,[20] 하소르, 게제르, 메기드도 등 기원전 10세기로 추정되는 유적에서 나온 구조물들은 유다가 미니멀리스트 학자들이 주장하는 것보다 수세기 전에 대규모 도시 사회를 수용할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21][22][23] 일부 학자들은 10세기의 고고학적 증거를 통일된 국가가 존재했던 것과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하기도 한다.[24]

이스라엘 핀켈스타인과 닐 아셔 실버만은 ''성경은 드러났다''에서 다윗과 솔로몬이 "특정 역사적 핵심"에 기반을 두고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성경에 묘사된 부유하고 호화로운 제국을 통치할 수는 없었고, 유다의 비교적 소박한 이스라엘 사회의 족장이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한다.[26]

텔단 비문에서 "다윗 가문"(he의 죽음과 일치시키므로, 두 번째 살해된 왕을 유다의 아하시야로 추정한다. 아하시야는 여호람 시대에 '-야후'로 끝나는 이름을 가진 유일한 왕이기 때문이다.[2]

다윗 가문에서 가장 먼저 명확하게 증명된 왕은 기원전 8세기에 통치한 웃시야이다.[6] 웃시야는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의 연대기에도 언급될 수 있지만, 이 텍스트는 대부분 단편적이다.[7] 1931년 올리브 산의 한 수녀원에서는 제2성전 시대에 웃시야의 무덤(또는 재매장) 장소라고 주장하는 묘비가 발견되었지만, 유물이 실제로 웃시야의 것인지 확인할 방법은 없다.[3] 요아스 석비라고 불리는 논란이 많은 유물은 웃시야보다 약 44년 전에 통치한 유다의 요아스가 수행한 행적을 떠올리게 하지만, 학자들은 이 비문의 진위 여부를 놓고 논쟁을 벌이고 있다.

웃시야 이후 유다의 각 왕은 유다의 아몬을 제외하고 어떤 형태로든 증명된다. 웃시야의 후계자인 요담은 자신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아하스의 인장에 이름이 나타난다.[8] 히스기야는 수많은 왕실 인장[9][10]과 산헤립의 연대기로 증명된다.[11] 므낫세는 에사르하돈에게 조공을 바친 기록이 있다.[12] 요시야는 그를 명확히 언급하는 유물이 없지만, 그의 아들 엘리아십[13]과 관료 나단-멜렉[14][15]과 아사야[16]의 인장이 발견되었다. 유다의 여호아하스 2세, 여호야김, 시드기야는 역사 기록에 명시적으로 언급된 적이 없지만, 대신 암시된다. 그러나 여고니야는 바빌론 문서에 그의 이름이 언급되어 있다.[17]

이후 랍비 당국은 이스라엘 왕 다윗의 부계 혈통을 추적하는 가족 구성원에게 유대인 수장 직을 부여했다. 바빌로니아 유대교의 최고위 관리는 유대인 수장(레쉬 갈루타, "디아스포라의 수장")이었으며, 그 직책을 가진 사람들은 부계로 다윗 가문의 혈통을 추적했다.[28] 이 직책 보유자는 대기 중인 왕으로 여겨졌으며, 아케메네스 제국뿐만 아니라 고전 시대에도 바빌로니아에 거주했다. 세데르 올람 주타는 이 직책을 기원전 6세기에 유대 공동체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언급된 다윗 가문의 구성원인 스룹바벨에게 돌렸으며, 그는 예후드 메디나타의 아케메네스 총독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하스몬 왕조 시대 동안 다윗 가문은 유대의 왕실에서 크게 배제되었지만, 일부 구성원은 종교 및 공동체 지도자로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 중 가장 유명한 사람 중 한 명은 바빌론 출신으로 유대로 이주한 힐렐이었다. 그의 증손자 시메온 벤 감리엘은 제1차 유대-로마 전쟁 당시 유대 지도자 중 한 명이 되었다.[29]

사산 제국의 유대인 유배지는 5세기 말 마르-주트라 2세의 반란으로 잠시 폐지되었고, 그의 아들 마르-주트라 3세는 티베리아스로 이주했다. 마르 아후나이는 마르 주트라 2세 이후 거의 50년 동안 공개적으로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6세기 후반에 유대인 유배자였던 카프나이와 그의 아들 하니나이의 이름이 보존되어 있다.

메소포타미아의 유대인 유배지는 7세기에 아랍 정복 이후 공식적으로 복원되었으며, 초기 칼리파국 시대 동안 계속 기능했다. 11세기까지 유대인 유배자들이 계속 임명되었으며, 다윗 가문의 일부 구성원들은 이슬람 세계 전역으로 흩어졌다. 11세기에 유대인 유배 가문의 운명에 대한 상반된 설명이 존재한다. 한 버전에 따르면, 마지막 유대인 유배자이자 가온이었던 헤제키아 벤 다비드는 투옥되어 고문을 받아 죽었고, 그의 두 아들은 알-안달루스로 도망쳤다. 그러나 ''The Jewish Quarterly Review''는 헤제키아가 감옥에서 풀려나 학원의 수장이 되었으며, 1046년에 동시대인에 의해 그렇게 언급되었다고 언급한다.[31] 파티마 칼리파국에 유대인 유배지를 세우려던 다윗 가문의 다윗 벤 다니엘의 시도는 1094년에 실패했다.

11세기~15세기에 프랑스 남부 (나르본, 프로방스)와 이베리아 반도 북부 (바르셀로나, 아라곤, 카스티야)에 살았던 유대인 유배자들의 후손들은 "나시"라는 칭호를 받았고 "자유인"이라고 불렸다. 그들은 유대인 공동체에서 특별한 경제적, 사회적 지위를 가졌으며, 고문, 세금 징수자/재무 장관으로 일하기도 했다.

이들 가문은 나르본, 바르셀로나, 카스티야에서 특별한 권리를 누렸다. 그들은 부동산을 소유했고 "돈"과 ''de la Kblriih'' (''De la Cavalleria'')라는 칭호를 받았다. "자유인의 아들" 가문 중에는 아브라바넬 가문과 벤베니스테 가문이 있다.

아서 J. 주커먼은 그의 저서 ''봉건 프랑스의 유대인 공국''에서 768년부터 900년까지 유대인 유배자들의 일원이 통치하는 유대인 공국이 봉건 프랑스에 존재했다는 이론을 제시했지만, 이 이론은 널리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32] 헤제키아 벤 다비드의 손자 히야 알-다우디는 카스티야에서 1154년에 사망했으며, 이븐 야흐야 가문의 조상이다. 14세기까지 여러 가문이 다윗 벤 자카이의 형제 요시아에게서 계보를 찾았다.

이베리아 반도와 메소포타미아 내의 많은 유대인 가문들은 후기 중세 시대에 유대인 유배자들로부터의 혈통 전통을 보존했으며, 여기에는 아브라바넬, 이븐 야흐야, 벤-다비드 가문이 포함된다. 라시는 아버지 쪽으로 요하난 하산들라르의 33대손이라고 주장되었고, 마이모니데스는 그와 시메온 벤 유다 하-나시 사이에 37대에 걸쳐 계보가 있다고 주장했다. 메이어 페렐스는 유다 로에브 벤 베잘렐의 조상을 하이 가온까지 추적했다. 메이젤 가문의 족장 이츠하크 아이지크 메이젤스는 유대인 유배자 마르 우크바의 10대손이라고 주장했다. 메크네스의 베르두가 가문은 유대인 유배자 보스타나이로부터 부계 혈통을 주장한다. 유대인 금융 가문 루이 카헨 단베르스는 다윗 가문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 이스라엘의 다윗 왕위 계승을 주장하는 현대 인물 라비 요세프 다얀은 알레포의 다얀 가문에서 유래했는데, 이들은 부계 혈통으로 유대인 유배자 다윗 1세의 동생 하산 벤 자카이에서 유래한다.

2. 1. 이스라엘 왕국과 유다 왕국



타나크에 따르면, 왕으로 선택되고 즉위할 때 머리에 성유를 부어 안수하는 것이 관례였다. 다윗의 경우, 이 일은 예언자 사무엘에 의해 행해졌다.

처음에 다윗은 유다 지파만을 다스리는 왕이었고 헤브론에서 통치했지만, 7년 반 후 이스라엘의 다른 지파들은 이르보셋의 죽음 이후 지도자를 잃고 다윗을 그들의 왕으로 선택했다.[27]

고대 최초의 통일된 이스라엘 왕국과 후기 유다 왕국의 모든 왕들은 이스라엘 지파를 다스릴 왕위 계승을 정당화하기 위해 다윗 왕의 직계 후손임을 주장했다.

다윗 가문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 텔단 비문은 성경 외에 다윗을 언급하는 유일한 기록으로, 통일 이스라엘 왕국의 역사적 신뢰성은 고고학적으로 불확실하다. 에일라트 마자르의 주장이 맞다면, 예루살렘의 계단식 석조 구조물과 대형 석조 구조물은 다윗 시대에 예루살렘에 어느 정도 인구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예루살렘은 다윗 사후 오랫동안 크게 발전하지 못했으며,[18] 이는 성경에 묘사된 제국의 수도였을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다윗 시대의 수도는 강력한 요새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다윗 가문의 "왕국"은 느슨하게 연합된 지역 정치 체제에 가까웠을 것이다.[18] 키르벳 케이아파[19]와 에글론에서의 발굴,[20] 하소르, 게제르, 메기드도 등 기원전 10세기로 추정되는 유적에서 나온 구조물들은 유다가 미니멀리스트 학자들이 주장하는 것보다 수세기 전에 대규모 도시 사회를 수용할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21][22][23] 일부 학자들은 10세기의 고고학적 증거를 통일된 국가가 존재했던 것과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하기도 한다.[24]

이스라엘 핀켈스타인과 닐 아셔 실버만이 저술한 ''성경은 드러났다''에서는 다윗과 솔로몬이 "특정 역사적 핵심"에 기반을 두고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성경에 묘사된 부유하고 호화로운 제국을 통치할 수는 없었고, 유다의 비교적 소박한 이스라엘 사회의 족장이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한다.[26]

2. 1. 1. 북이스라엘 왕국

솔로몬 사후, 이스라엘 왕국의 북쪽 열 지파는 다윗 왕조를 거부하고 솔로몬의 아들 르호보암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다. 대신 여로보암을 왕으로 선택하고 북쪽 이스라엘 왕국을 세웠다. 이 왕국은 기원전 8세기에 신 아시리아 제국에 정복당하여 북쪽 왕국 인구의 상당수가 추방되었고 주권이 종식되었다. 이스라엘 북쪽 왕국의 대다수 인구는 메소포타미아로 강제 이주되었고, 2세기 후 잃어버린 열 지파 또는 추방된 유대인들과 섞이면서 역사에서 대부분 사라졌다. 반면에 사마리아 고지에 남아 있던 이스라엘 사람들은 고전 시대와 현대에 사마리아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2. 1. 2. 남유다 왕국

텔단 비문은 "다윗 가문"(BYTDWD) 통치 왕의 죽음을 언급하는데, 현재까지 다윗을 언급하는 유일한 성경 외 기록이다.[1] 이 비문은 기원전 840년경으로 추정되지만, 비문의 상당 부분이 소실되어 다윗 가문 왕의 이름은 완전히 보존되지 않았다. 이름의 마지막 음절인 신명칭 접미사 '-야후'만 남아있다. 학자들은 비문의 내용이 다윗 가문 왕의 죽음을 [여호]람의 죽음과 일치시키므로, 두 번째 살해된 왕을 유다의 아하시야로 추정한다. 아하시야는 여호람 시대에 '-야후'로 끝나는 이름을 가진 유일한 왕이기 때문이다.[2]

다윗 가문에서 가장 먼저 명확하게 증명된 왕은 기원전 8세기에 통치한 웃시야이다.[6] 웃시야는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의 연대기에도 언급될 수 있지만, 이 텍스트는 대부분 단편적이다.[7] 1931년 올리브 산의 한 수녀원에서는 제2성전 시대에 웃시야의 무덤(또는 재매장) 장소라고 주장하는 묘비가 발견되었지만, 유물이 실제로 웃시야의 것인지 확인할 방법은 없다.[3] 요아스 석비라고 불리는 논란이 많은 유물은 웃시야보다 약 44년 전에 통치한 유다의 요아스가 수행한 행적을 떠올리게 하지만, 학자들은 이 비문의 진위 여부를 놓고 논쟁을 벌이고 있다.

웃시야 이후 유다의 각 왕은 유다의 아몬을 제외하고 어떤 형태로든 증명된다. 웃시야의 후계자인 요담은 자신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아하스의 인장에 이름이 나타난다.[8] 히스기야는 수많은 왕실 인장[9][10]과 산헤립의 연대기로 증명된다.[11] 므낫세는 에사르하돈에게 조공을 바친 기록이 있다.[12] 요시야는 그를 명확히 언급하는 유물이 없지만, 그의 아들 엘리아십[13]과 관료 나단-멜렉[14][15]과 아사야[16]의 인장이 발견되었다. 유다의 여호아하스 2세, 여호야김, 시드기야는 역사 기록에 명시적으로 언급된 적이 없지만, 대신 암시된다. 그러나 여고니야는 바빌론 문서에 그의 이름이 언급되어 있다.[17]

2. 2. 바빌론 유수와 유대인 수장

이후 랍비 당국은 이스라엘 왕 다윗의 부계[28] 혈통을 추적하는 가족 구성원에게 유대인 수장 직을 부여했다. 바빌로니아 유대교의 최고위 관리는 유대인 수장(레쉬 갈루타, "디아스포라의 수장")이었으며, 그 직책을 가진 사람들은 부계로 다윗 가문의 혈통을 추적했다.[28] 이 직책 보유자는 대기 중인 왕으로 여겨졌으며, 아케메네스 제국뿐만 아니라 고전 시대에도 바빌로니아에 거주했다. 세데르 올람 주타는 이 직책을 기원전 6세기에 유대 공동체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언급된 다윗 가문의 구성원인 스룹바벨에게 돌렸으며, 그는 예후드 메디나타의 아케메네스 총독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2. 3. 하스몬 왕조와 헤로데 왕조

하스몬 왕조는 마카베오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헬레니즘 시대의 셀레우코스 제국에 대한 반란 이후 유대에 자체 왕국을 세웠다. 하스몬 왕조는 다윗 가문 및 유다 지파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여겨졌다. 레위인은 항상 이스라엘 왕국에서 배제되었기 때문에, 마카베오가 더럽혀진 제2성전을 재헌납하기 위해 왕좌를 차지했을 때 핵심 규칙이 깨졌다. 정통 유대교 학자들에 따르면, 이것은 그들의 몰락과 유대의 궁극적인 멸망에 기여한 것으로 여겨진다. 내부 분쟁으로 인해 로마의 점령과 헤로데 대왕의 폭력적인 왕으로써 로마 유대 속주에 대한 임명, 그리고 이후 미래의 황제 티투스에 의한 제2성전 파괴가 발생했다.

하스몬 왕조 시대 동안 다윗 가문은 유대의 왕실에서 크게 배제되었지만, 일부 구성원은 종교 및 공동체 지도자로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 중 가장 유명한 사람 중 한 명은 바빌론 출신으로 유대로 이주한 힐렐이었다. 그의 증손자 시므온 벤 감리엘은 제1차 유대-로마 전쟁 당시 유대 지도자 중 한 명이 되었다.[29]

2. 4. 중세 시대

랍비 당국은 유대인 수장 직을 이스라엘 왕 다윗의 부계 혈통을 추적하는 가족 구성원에게 부여했다.[28] 바빌로니아 유대교의 최고위 관리는 유대인 수장 (레쉬 갈루타, "디아스포라의 수장")이었으며, 이 직책을 가진 사람들은 부계로 다윗 가문의 혈통을 추적했다.[28] 세데르 올람 주타는 이 직책을 기원전 6세기에 유대 공동체의 지도자 중 한 명이자 예후드 메디나타의 아케메네스 총독이라는 칭호를 받은 스룹바벨에게 돌렸다.

다윗과 아담까지 유대인 유배자들의 계보, 아브라함 벤 타밈, 카이로 게니자, 1100년대 (카츠 센터/UPenn)


사산 제국의 유대인 유배지는 5세기 말 마르-주트라 2세의 반란으로 잠시 폐지되었고, 그의 아들 마르-주트라 3세는 티베리아스로 이주했다. 마르 아후나이는 마르 주트라 2세 이후 거의 50년 동안 공개적으로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6세기 후반에 유대인 유배자였던 카프나이와 그의 아들 하니나이의 이름이 보존되어 있다.

메소포타미아의 유대인 유배지는 7세기에 아랍 정복 이후 공식적으로 복원되었으며, 초기 칼리파국 시대 동안 계속 기능했다. 11세기까지 유대인 유배자들이 계속 임명되었으며, 다윗 가문의 일부 구성원들은 이슬람 세계 전역으로 흩어졌다. 11세기에 유대인 유배 가문의 운명에 대한 상반된 설명이 존재한다. 한 버전에 따르면, 마지막 유대인 유배자이자 가온이었던 헤제키아 벤 다비드는 투옥되어 고문을 받아 죽었고, 그의 두 아들은 알-안달루스로 도망쳤다. 그러나 ''The Jewish Quarterly Review''는 헤제키아가 감옥에서 풀려나 학원의 수장이 되었으며, 1046년에 동시대인에 의해 그렇게 언급되었다고 언급한다.[31] 파티마 칼리파국에 유대인 유배지를 세우려던 다윗 가문의 다윗 벤 다니엘의 시도는 1094년에 실패했다.

11세기~15세기에 프랑스 남부 (나르본, 프로방스)와 이베리아 반도 북부 (바르셀로나, 아라곤, 카스티야)에 살았던 유대인 유배자들의 후손들은 "나시"라는 칭호를 받았고 "자유인"이라고 불렸다. 그들은 유대인 공동체에서 특별한 경제적, 사회적 지위를 가졌으며, 고문, 세금 징수자/재무 장관으로 일하기도 했다.

이들 가문은 나르본, 바르셀로나, 카스티야에서 특별한 권리를 누렸다. 그들은 부동산을 소유했고 "돈"과 ''de la Kblriih'' (''De la Cavalleria'')라는 칭호를 받았다. "자유인의 아들" 가문 중에는 아브라바넬 가문과 벤베니스테 가문이 있다.

아서 J. 주커먼은 그의 저서 ''봉건 프랑스의 유대인 공국''에서 768년부터 900년까지 유대인 유배자들의 일원이 통치하는 유대인 공국이 봉건 프랑스에 존재했다는 이론을 제시했지만, 이 이론은 널리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32] 헤제키아 벤 다비드의 손자 히야 알-다우디는 카스티야에서 1154년에 사망했으며, 이븐 야흐야 가문의 조상이다. 14세기까지 여러 가문이 다윗 벤 자카이의 형제 요시아에게서 계보를 찾았다.

이베리아 반도와 메소포타미아 내의 많은 유대인 가문들은 후기 중세 시대에 유대인 유배자들로부터의 혈통 전통을 보존했으며, 여기에는 아브라바넬, 이븐 야흐야, 벤-다비드 가문이 포함된다. 라시는 아버지 쪽으로 요하난 하산들라르의 33대손이라고 주장되었고, 마이모니데스는 그와 시메온 벤 유다 하-나시 사이에 37대에 걸쳐 계보가 있다고 주장했다. 메이어 페렐스는 유다 로에브 벤 베잘렐의 조상을 하이 가온까지 추적했다. 메이젤 가문의 족장 이츠하크 아이지크 메이젤스는 유대인 유배자 마르 우크바의 10대손이라고 주장했다. 메크네스의 베르두가 가문은 유대인 유배자 보스타나이로부터 부계 혈통을 주장한다. 유대인 금융 가문 루이 카헨 단베르스는 다윗 가문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 이스라엘의 다윗 왕위 계승을 주장하는 현대 인물 라비 요세프 다얀은 알레포의 다얀 가문에서 유래했는데, 이들은 부계 혈통으로 유대인 유배자 다윗 1세의 동생 하산 벤 자카이에서 유래한다.

3. 유대교에서의 다윗 가문

유대 종말론에서 "메시아"()는 미래의 유대인 을 지칭하며, 다윗 가문 출신으로 성유로 기름 부음을 받고 메시아 시대에 유대 민족을 다스릴 것으로 예상된다.[46][47][43] 메시아는 종종 "메시아 왕"(מלך משיחhe, ), 아람어로는 ''malka meshiḥa''로 불린다.[44]

정통 유대교는 메시아가 부계를 통해 다윗 왕의 후손이며,[45] 유대인을 이스라엘 땅으로 다시 모으고, 평화의 시대를 열고, 제3성전을 건설하고, 남자 상속자를 낳고, 산헤드린을 재설립하는 등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본다. 유대교 전통은 ''''(다윗의 아들 메시아)와 ''Mashiach ben Yosef'' 두 명의 구원자를 언급하며, 이들은 메시아 시대를 여는 데 관여한다.[46][47]

3. 1. 메시아 사상

유대 종말론에서 "메시아"라는 용어는 미래의 유대인 을 지칭하는 말로, 다윗 가문 출신으로 성유로 기름 부음을 받고 메시아 시대에 유대 민족을 다스릴 것으로 예상된다.[46][47][43] 메시아는 종종 "메시아 왕"으로 불린다.[44]

정통 유대교에서는 일반적으로 메시아가 부계를 통해 다윗 왕의 후손이며,[45] 유대인을 이스라엘 땅으로 다시 모으고, 평화의 시대를 열며, 제3성전을 건설하고, 남자 상속자를 낳고, 산헤드린을 재설립하는 등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본다. 유대교 전통은 두 명의 구원자를 암시하는데, 둘 다 라고 불리며 메시아 시대를 여는 데 관여한다. 이들은 와 Mashiach ben Yosef이다. 일반적으로 "메시아"라는 용어는 수식어 없이 (다윗의 아들 메시아)를 가리킨다.[46][47]

4. 다른 아브라함 계통 종교에서의 다윗 가문

기독교이슬람교 등 다른 아브라함 계통 종교에서도 다윗 가문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4. 1. 기독교

기독교적 해석에서, 사무엘하 7장의 다윗 혈통에 대한 "다윗 언약"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해되며, 전통적으로 신약성경에 나오는 예수의 족보를 가리킨다. 다윗 혈통에 대한 기독교적 해석 중 하나는 예수를 요셉의 아들로 간주하는데, 이는 마태복음 1장:1-16에 기록된 솔로몬의 후손과 누가복음 3장:23-38에 기록된 다윗의 아들 나탄의 후손, 즉 마리아의 혈통을 따른 것이다.

유대인들은 역사적으로 메시아가 다윗의 남성 혈통의 후손이라고 믿어왔기 때문에, 예수의 혈통은 유대인들이 그를 메시아로 믿지 않는 이유로 종종 언급된다. 하나님의 아들로 여겨지는 예수는 그의 육신의 부모인 마리아와 요셉의 족보에 따르면, 다윗의 남성 후손이 될 수 없었다. 왜냐하면 그는 마리아의 남성 후손이 될 수 없었고, 요셉은 여고냐의 후손이었기 때문이다. 여고냐의 후손은 하나님에 의해 이스라엘을 다스리는 것으로부터 명시적으로 금지되었다.[52]

또 다른 기독교적 해석은 솔로몬의 형제인 나탄을 통한 다윗의 작은 비왕족 혈통을 강조하는데, 이는 누가복음 3장에 기록되어 있으며 (히브리 성경에는 전혀 기록되지 않음), 종종 마리아의 아버지의 가계도로 이해된다. 널리 퍼진 전통적인 기독교 해석은 솔로몬으로부터 이어진 주요 다윗 혈통의 단절을, 기원전 500년대 초에 시작된 여호야긴의 불경건한 혈통과 연관시킨다. 당시 예레미야는 "[여]고니야"의 후손은 다시는 이스라엘의 왕좌를 차지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함으로써 솔로몬 혈통의 주요 가지를 저주했다. (예레미야 22:30)[53] 일부 기독교 주석가들은 이 동일한 "저주"가 느헤미야 시대의 정당한 솔로몬 왕이었던 스룹바벨이 페르시아 제국 아래에서 왕위를 받지 못한 이유라고 믿는다.[54]

이새의 나무 (다윗의 아버지에 대한 언급)는 예수와 다윗의 족보적 연결을 보여주는 전통적인 기독교 미술 표현이다.

4. 2. 이슬람교

쿠란에서는 다윗의 가문을 한 번 언급하며, "다윗의 가문이여, 감사하며 일하라. 나의 종들 중 감사를 아는 자는 적으니라."라고 적혀있다.[55] 또한, 쿠란은 다윗을 16번 언급한다.

일부 이슬람 자료에 따르면, 아라비아의 유대인 정착민 중 일부는 다윗의 혈통이었다고 한다. 무함마드 바키르 마젤리시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다윗 혈통의 유대인 남자가 메디나에 들어와 사람들이 깊은 슬픔에 잠긴 것을 보았다. 그는 사람들에게 '무슨 일이냐?'고 물었고, 몇몇 사람들이 예언자 무함마드가 돌아가셨다고 대답했다."[56]

참조

[1]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Sacred Texts and Imperial Contexts of the Hebrew Bibl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0-10-05
[2] 서적 A Psychoanalytic History of the Jews https://books.google[...]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2020-10-04
[3] 웹사이트 Moshiach ben Yossef https://web.archive.[...] moshiach.com 2012-12-02
[4] 웹사이트 Messiah in Rabbinic Thought https://www.jewishvi[...] Jewish Virtual Library and Encyclopaedia Judaica 2008 The Gale Group 2012-12-02
[5] 웹사이트 The Messiah https://www.jewishvi[...] The Jewish Virtual Library Jewish Literacy. NY: William Morrow and Co., 1991. Reprinted by permission of the author. 2012-12-02
[6] 간행물 Corpus of West Semitic Stamp Seals Jerusalem: The Israel Academy of Sciences and Humanities 1997
[7] 논문 Azariah of Judah and Tiglath-Pileser III https://www.jstor.or[...] 1909
[8] 웹사이트 First Impression: What We Learn from King Ahaz's Seal http://www.archaeolo[...] Biblical Archaeology Review 1998-07
[9] 웹사이트 Biblical King's seal discovered in dump site http://www.cnn.com/2[...] CNN 2016-05-03
[10] 간행물 King Hezekiah's Seal Bears Phoenician Imagery 1999-03
[11] 간행물
[12] 간행물
[13] 간행물
[14] 뉴스 The Story Behind a 2,600-Year-Old Seal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9-03-30
[15] 뉴스 2,600-year old seal discovered in City of David https://m.jpost.com/[...] Jerusalem Post 2019-04-01
[16] 간행물 THE SEAL OF ˓AŚAYĀHŪ
[17]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9
[18] 논문 Archaeology and the Biblical Narrative: The Case of the United Monarchy https://www.academia[...] 2018-10-12
[19] 웹사이트 Journal 124: Khirbat Qeiyafa preliminary report http://www.hadashot-[...] Israel Antiquities Authority 2018-06-12
[20] 뉴스 Proof of King David? Not yet. But riveting site shores up roots of Israelite era https://www.timesofi[...] 2018-05-14
[21] 서적 The Old Testament in Archaeology and History Baylor University Press
[22] 서적 The Biblical World Routledge
[23] 논문 Solomon, Scripture, and Science: The Rise of the Judahite State in the 10th Century BCE https://jjar.huji.ac[...]
[24] 서적 On the Reliability of the Old Testament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mans
[25]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c. 3000-330 BC, Band 1 https://books.google[...] Routledge
[26] 서적 David and Solomon: In Search of the Bible's Sacred Kings and the Roots of the Western Tradition https://archive.org/[...] Free Press
[27] 서적 Who's Who in the Jewish Bible Jewish Publication Society 2010-01-01
[28] 서적 A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1927
[29] 웹사이트 Simeon II. (Ben Gamaliel I.) http://www.jewishenc[...] 1906
[30] 웹사이트 Genealogy of the Exilarchs to David and Adam https://colenda.libr[...] 2023-11-28
[31] 간행물 Jewish Quarterly Review
[32] 서적 A Jewish princedom in feudal France, 768-900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2
[33] 웹사이트 Rabbi Yehiel Ben Shlomo Heilprin - (Circa 5420-5506; 1660-1746) https://www.chabad.o[...] 2020-06-28
[34] 웹사이트 Early Years https://www.chabad.o[...] 2020-05-21
[35] 웹사이트 The Maharal of Prague's Descent from King David http://chfreedman.bl[...]
[36] 웹사이트 SHERIRA B. ḤANINA - JewishEncyclopedia.com https://www.jewishen[...] 2021-05-17
[37] 웹사이트 HAI BEN SHERIRA - JewishEncyclopedia.com https://www.jewishen[...] 2021-05-17
[38] 웹사이트 Meizels family tree https://www.davidicd[...]
[39] 간행물 Berdugo Family https://referencewor[...] 2010-10-01
[40] 웹사이트 Jews of Turkey Archives • Point of No Return https://www.jewishre[...] 2024-10-13
[41] 웹사이트 Dayyan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0-11-27
[42] 간행물 Dayan Family https://referencewor[...] 2010-10-01
[43] 웹사이트 The Messiah https://www.jewishvi[...] William Morrow and Co 2012-12-02
[44] 웹사이트 Second Temple Period https://www.jewishvi[...] Encyclopaedia Judaica 2008 The Gale Group 2012-12-02
[45] 웹사이트 The Real Messiah A Jewish Response to Missionaries http://www.jewsforju[...] 2012-04-17
[46] 웹사이트 Moshiach ben Yossef https://web.archive.[...] Moshiach.com 2012-12-02
[47] 웹사이트 Messiah in Rabbinic Thought https://www.jewishvi[...] Jewish Virtual Library and Encyclopaedia Judaica 2008 The Gale Group 2012-12-02
[48] 웹사이트 Are you a descendant of the House of David? https://www.jpost.co[...] 2012-01-10
[49] 웹사이트 Leadership https://www.davidicd[...] 2020-10-15
[50] 웹사이트 We Are Family: King David's Descendants Gather for 'Reunion' https://forward.com/[...] 2008-11-10
[51] 웹사이트 Grapevine: Yes, Prime Minister… https://www.jpost.co[...] 2012-01-10
[52] 성경
[53] 서적 Israel: Land and the People 1998
[54] 서적 The Wiersbe Bible Commentary: The Complete Old Testament 2007
[55] Quran
[56] 서적 Bihār al-Anwār Dar Al-Rida Publication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