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식품명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식품명인은 대한민국 식품 분야에서 전통 기술을 보유한 명인을 지정하는 제도이다. 1994년 시작되어 2021년 현재 총 94명이 지정되었으며, 이 중 83명이 활동하고 있다. 식품명인 제도는 식품의 품질 향상과 전통 식품의 계승 발전을 목표로 하며, 주류, 장류, 차류, 한과 등 다양한 분야의 명인을 지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식품명인 |
|---|
2. 식품명인 제도의 역사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wikitext
3. 식품명인 지정 현황
지정 번호 성명 보유 기능 지정일 소재지 비고 제1호 조영귀 송화백일주 1994년 8월 6일 전북 전주 지방무형문화재 제2호 김창수 금산인삼주 1999년 9월 20일 충남 금산 국가무형문화재 제3호 이한영 옥선주 (2000년 8월 지정해제) 충남 금산 - 제4호 지복남 계룡백일주 (2009년 11월 지정해제) 충남 공주 지방무형문화재 제4-가호 이성우 계룡백일주 2010년 1월 4일 충남 공주 - 제5호 이기양 감홍로주 (2000년 10월 지정해제) 전북 전주 제6호 박재서 안동소주 1995년 7월 15일 경북 안동 - 제7호 이기춘 문배주 1995년 7월 15일 경기 김포 국가무형문화재 제8호 송재성 김천과하주 (1999년 6월 지정해제) 전북 전주 제9호 조정형 전주이강주 1996년 4월 4일 전북 전주 지방무형문화재 제10호 유민자 옥로주 1996년 4월 4일 경기 용인 지방무형문화재 제11호 임영순 구기자주 1996년 4월 4일 충북 청양 지방무형문화재 제12호 최옥근 계명주 1996년 4월 4일 경기 남양주 지방무형문화재 제13호 남상란 가야곡왕주 1997년 12월 15일 충남 논산 - 제14호 홍쌍리 매실농축액 1997년 12월 15일 전남 광양 - 제15호 박승규 면천두견주 (2001년 12월 지정해제) 충남 당진 - 제16호 박수근 수제녹차 1999년 5월 15일 경남 하동 - 제17호 송강호 김천과하주 1999년 9월 20일 경북 김천 지방무형문화재 제18호 신광수 야생작설차 1999년 9월 20일 전남 순천 - 제19호 우희열 한산소곡주 1999년 12월 8일 충남 서천 지방무형문화재 제20호 조옥화 안동소주 (2020년 3월 지정해제) 경북 안동 지방무형문화재 제20-가호 김연박 안동소주 2020년 12월 14일 경북 안동 - 제21호 유영군 창평쌀엿 2000년 9월 18일 전남 담양 - 제22호 양대수 추성주 2000년 12월 17일 전남 담양 - 제23호 최봉석 갈골산자 2000년 12월 17일 강원 강릉 - 제24호 임용순 옥선주 2001년 5월 7일 강원 홍천 - 제25호 오희숙 부각 2004년 12월 4일 전남 곡성 - 제26호 김규흔 전통한과 2005년 3월 4일 경기 포천 - 제27호 박흥선 솔송주 2005년 8월 4일 경남 함양 - 제28호 김동곤 우전차 2006년 2월 15일 경남 하동 - 제29호 김순자 포기김치 2007년 5월 4일 경기 부천 - 제30호 홍소술 죽로차 2007년 5월 4일 경남 하동 - 제31호 김병룡 숙황장 (2012년 12월 지정해제) 전북 전주 - 제32호 강봉석 엿, 조청 2008년 7월 2일 충북 충주 - 제33호 박순애 엿강정 2008년 7월 2일 전남 담양 - 제34호 서양원 황차, 말차 (2012년 12월 지정해제) 광주 동 - 제35호 기순도 진장 2008년 8월 5일 전남 담양 - 제36호 문옥례 순창고추장 (2018년 12월 지정해제) 전북 순창 - 제36-가호 조종현 순창고추장 2019년 12월 5일 전북 순창 - 제37호 권기옥 어육장 2010년 1월 4일 경기 용인 - 제38호 유정임 포기김치 2010년 1월 4일 경기 수원 - 제39호 김년임 전주비빔밥 2010년 12월 28일 전북 전주 - 제40호 한안자 동국장 2010년 12월 28일 전남 해남 - 제41호 임장옥 감식초 2012년 3월 5일 전북 정읍 - 제42호 김왕자 노티떡, 신과병 2012년 3월 5일 경기 과천 - 제43호 이기숙 감홍로주 2012년 10월 9일 경기 파주 - 제44호 송화수 홍삼 2012년 10월 9일 전북 진안 - 제45호 성명례 대맥장 2012년 10월 9일 경북 청송 - 제46호 김현의 찹쌀유과 2012년 10월 9일 경남 의령 - 제47호 전중석 초의차, 초의병차 2012년 10월 9일 전남 무안 - 제48호 송명섭 죽력고 2012년 10월 9일 전북 정읍 - 제49호 유청길 산성막걸리 2013년 12월 3일 부산 금정구 - 제50호 윤왕순 천리장 2013년 12월 3일 전북 완주 - 제51호 최명희 소두장 2013년 12월 3일 경북 안동 - 제52호 이연순 승검초단자 2013년 12월 3일 충북 제천 - 제53호 김영숙 복령조화고 2013년 12월 3일 전남 진도 - 제54호 서민수 황차, 말차 2013년 12월 3일 광주 동구 - 제55호 김영희 인삼정과 (2020년 3월 지정해제) 경북 영주 - 제56호 정계임 진주비빔밥 (2021년 5월 지정해제) 경남 진주 - 제57호 강순의 백김치 2014년 12월 23일 경기 광주 - 제58호 이인자 해물섞박지 2014년 12월 23일 경기 남양주 - 제59호 심영숙 유과 2014년 12월 23일 강원 강릉 - 제60호 안복자 유과 2014년 12월 23일 전남 담양 - 제61호 김견식 병영소주 2014년 12월 23일 전남 강진 - 제62호 서분례 청국장 2015년 9월 23일 경기 안성 - 제63호 김영근 도토리묵 2015년 9월 23일 충남 서천 - 제64호 강순옥 순창고추장 2015년 9월 23일 전북 순창 - 제65호 백정자 즙장 2015년 9월 23일 전남 강진 - 제66호 윤미월 배추통김치 2015년 9월 23일 경남 밀양 - 제67호 정승환 죽염홍된장 2015년 9월 23일 경남 하동 - 제68호 강경순 오메기술 2015년 9월 23일 제주 서귀포 - 제69호 김택상 삼해소주 2016년 12월 8일 서울 종로 서울무형문화재 제70호 김명자 옥수수엿 2016년 12월 8일 강원 원주 - 제71호 정영석 인삼정과 2016년 12월 8일 충남 금산 - 제72호 임화자 쇠고기육포 2016년 12월 8일 전남 함평 - 제73호 현경태 흑초 2016년 12월 8일 경북 영천 - 제74호 곽우선 설련주 2016년 12월 8일 경북 칠곡 - 제75호 양정옥 제주막장 2016년 12월 8일 제주 서귀포 - 제76호 오숙자 반지 2018년 12월 19일 광주 동 - 제77호 문완기 식혜 2018년 12월 19일 경기 성남 - 제78호 조정숙 된장 2018년 12월 19일 충북 청주 - 제79호 김용세 연잎주 2018년 12월 19일 충남 당진 - 제80호 원이숙 쌀엿 2018년 12월 19일 전북 임실 - 제81호 구경숙 기정떡 2018년 12월 19일 전남 화순 - 제82호 박규완 가리구이 2018년 12월 19일 전남 담양 - 제83호 최송자 쌀엿 2018년 12월 19일 경북 울진 - 제84호 김희숙 제주고소리술 2018년 12월 19일 제주 서귀포 제주무형문화재 제85호 김순옥 찹쌀조이당조청 2019년 12월 5일 전남 순천 - 제86호 임경만 보리식초 2019년 12월 5일 경북 영천 - 제87호 송성자 가리적 2020년 12월 14일 경기 동두천 - 제88호 박준미 청주신선주 2020년 12월 14일 충북 청주 - 제89호 김외순 가리구이 2021년 12월 6일 경기 수원 - 제90호 고화순 고사리나물 2021년 12월 6일 경기 남양주 제91호 황인수 작설차 2021년 12월 6일 경남 하동
3. 1. 개요
2021년 현재 대한민국식품명인으로 총 94명이 지정되었으며, 이 중 83명이 활동하고 있다. 대한민국식품명인은 전통식품의 계승 및 발전을 위해 우수한 식품 제조 기능 보유자를 지정하는 제도이다.
| 지정 번호 | 성명 | 보유 기능 | 지정일 | 소재지 | 비고 |
|---|---|---|---|---|---|
| 제1호 | 조영귀 | 송화백일주 | 1994년 8월 6일 | 전북 전주 | 지방무형문화재 |
| 제2호 | 김창수 | 금산인삼주 | 1999년 9월 20일 | 충남 금산 | 국가무형문화재 |
| 제3호 | 이한영 | 옥선주 | (2000년 8월 지정해제) | 충남 금산 | - |
| 제4호 | 지복남 | 계룡백일주 | (2009년 11월 지정해제) | 충남 공주 | 지방무형문화재 |
| 제4-가호 | 이성우 | 계룡백일주 | 2010년 1월 4일 | 충남 공주 | - |
| 제5호 | 이기양 | 감홍로주 | (2000년 10월 지정해제) | 전북 전주 | |
| 제6호 | 박재서 | 안동소주 | 1995년 7월 15일 | 경북 안동 | - |
| 제7호 | 이기춘 | 문배주 | 1995년 7월 15일 | 경기 김포 | 국가무형문화재 |
| 제8호 | 송재성 | 김천과하주 | (1999년 6월 지정해제) | 전북 전주 | |
| 제9호 | 조정형 | 전주이강주 | 1996년 4월 4일 | 전북 전주 | 지방무형문화재 |
| 제10호 | 유민자 | 옥로주 | 1996년 4월 4일 | 경기 용인 | 지방무형문화재 |
| 제11호 | 임영순 | 구기자주 | 1996년 4월 4일 | 충북 청양 | 지방무형문화재 |
| 제12호 | 최옥근 | 계명주 | 1996년 4월 4일 | 경기 남양주 | 지방무형문화재 |
| 제13호 | 남상란 | 가야곡왕주 | 1997년 12월 15일 | 충남 논산 | - |
| 제14호 | 홍쌍리 | 매실농축액 | 1997년 12월 15일 | 전남 광양 | - |
| 제15호 | 박승규 | 면천두견주 | (2001년 12월 지정해제) | 충남 당진 | - |
| 제16호 | 박수근 | 수제녹차 | 1999년 5월 15일 | 경남 하동 | - |
| 제17호 | 송강호 | 김천과하주 | 1999년 9월 20일 | 경북 김천 | 지방무형문화재 |
| 제18호 | 신광수 | 야생작설차 | 1999년 9월 20일 | 전남 순천 | - |
| 제19호 | 우희열 | 한산소곡주 | 1999년 12월 8일 | 충남 서천 | 지방무형문화재 |
| 제20호 | 조옥화 | 안동소주 | (2020년 3월 지정해제) | 경북 안동 | 지방무형문화재 |
| 제20-가호 | 김연박 | 안동소주 | 2020년 12월 14일 | 경북 안동 | - |
| 제21호 | 유영군 | 창평쌀엿 | 2000년 9월 18일 | 전남 담양 | - |
| 제22호 | 양대수 | 추성주 | 2000년 12월 17일 | 전남 담양 | - |
| 제23호 | 최봉석 | 갈골산자 | 2000년 12월 17일 | 강원 강릉 | - |
| 제24호 | 임용순 | 옥선주 | 2001년 5월 7일 | 강원 홍천 | - |
| 제25호 | 오희숙 | 부각 | 2004년 12월 4일 | 전남 곡성 | - |
| 제26호 | 김규흔 | 전통한과 | 2005년 3월 4일 | 경기 포천 | - |
| 제27호 | 박흥선 | 솔송주 | 2005년 8월 4일 | 경남 함양 | - |
| 제28호 | 김동곤 | 우전차 | 2006년 2월 15일 | 경남 하동 | - |
| 제29호 | 김순자 | 포기김치 | 2007년 5월 4일 | 경기 부천 | - |
| 제30호 | 홍소술 | 죽로차 | 2007년 5월 4일 | 경남 하동 | - |
| 제31호 | 김병룡 | 숙황장 | (2012년 12월 지정해제) | 전북 전주 | - |
| 제32호 | 강봉석 | 엿, 조청 | 2008년 7월 2일 | 충북 충주 | - |
| 제33호 | 박순애 | 엿강정 | 2008년 7월 2일 | 전남 담양 | - |
| 제34호 | 서양원 | 황차, 말차 | (2012년 12월 지정해제) | 광주 동 | - |
| 제35호 | 기순도 | 진장 | 2008년 8월 5일 | 전남 담양 | - |
| 제36호 | 문옥례 | 순창고추장 | (2018년 12월 지정해제) | 전북 순창 | - |
| 제36-가호 | 조종현 | 순창고추장 | 2019년 12월 5일 | 전북 순창 | - |
| 제37호 | 권기옥 | 어육장 | 2010년 1월 4일 | 경기 용인 | - |
| 제38호 | 유정임 | 포기김치 | 2010년 1월 4일 | 경기 수원 | - |
| 제39호 | 김년임 | 전주비빔밥 | 2010년 12월 28일 | 전북 전주 | - |
| 제40호 | 한안자 | 동국장 | 2010년 12월 28일 | 전남 해남 | - |
| 제41호 | 임장옥 | 감식초 | 2012년 3월 5일 | 전북 정읍 | - |
| 제42호 | 김왕자 | 노티떡, 신과병 | 2012년 3월 5일 | 경기 과천 | - |
| 제43호 | 이기숙 | 감홍로주 | 2012년 10월 9일 | 경기 파주 | - |
| 제44호 | 송화수 | 홍삼 | 2012년 10월 9일 | 전북 진안 | - |
| 제45호 | 성명례 | 대맥장 | 2012년 10월 9일 | 경북 청송 | - |
| 제46호 | 김현의 | 찹쌀유과 | 2012년 10월 9일 | 경남 의령 | - |
| 제47호 | 전중석 | 초의차, 초의병차 | 2012년 10월 9일 | 전남 무안 | - |
| 제48호 | 송명섭 | 죽력고 | 2012년 10월 9일 | 전북 정읍 | - |
| 제49호 | 유청길 | 산성막걸리 | 2013년 12월 3일 | 부산 금정구 | - |
| 제50호 | 윤왕순 | 천리장 | 2013년 12월 3일 | 전북 완주 | - |
| 제51호 | 최명희 | 소두장 | 2013년 12월 3일 | 경북 안동 | - |
| 제52호 | 이연순 | 승검초단자 | 2013년 12월 3일 | 충북 제천 | - |
| 제53호 | 김영숙 | 복령조화고 | 2013년 12월 3일 | 전남 진도 | - |
| 제54호 | 서민수 | 황차, 말차 | 2013년 12월 3일 | 광주 동구 | - |
| 제55호 | 김영희 | 인삼정과 | (2020년 3월 지정해제) | 경북 영주 | - |
| 제56호 | 정계임 | 진주비빔밥 | (2021년 5월 지정해제) | 경남 진주 | - |
| 제57호 | 강순의 | 백김치 | 2014년 12월 23일 | 경기 광주 | - |
| 제58호 | 이인자 | 해물섞박지 | 2014년 12월 23일 | 경기 남양주 | - |
| 제59호 | 심영숙 | 유과 | 2014년 12월 23일 | 강원 강릉 | - |
| 제60호 | 안복자 | 유과 | 2014년 12월 23일 | 전남 담양 | - |
| 제61호 | 김견식 | 병영소주 | 2014년 12월 23일 | 전남 강진 | - |
| 제62호 | 서분례 | 청국장 | 2015년 9월 23일 | 경기 안성 | - |
| 제63호 | 김영근 | 도토리묵 | 2015년 9월 23일 | 충남 서천 | - |
| 제64호 | 강순옥 | 순창고추장 | 2015년 9월 23일 | 전북 순창 | - |
| 제65호 | 백정자 | 즙장 | 2015년 9월 23일 | 전남 강진 | - |
| 제66호 | 윤미월 | 배추통김치 | 2015년 9월 23일 | 경남 밀양 | - |
| 제67호 | 정승환 | 죽염홍된장 | 2015년 9월 23일 | 경남 하동 | - |
| 제68호 | 강경순 | 오메기술 | 2015년 9월 23일 | 제주 서귀포 | - |
| 제69호 | 김택상 | 삼해소주 | 2016년 12월 8일 | 서울 종로 | 서울무형문화재 |
| 제70호 | 김명자 | 옥수수엿 | 2016년 12월 8일 | 강원 원주 | - |
| 제71호 | 정영석 | 인삼정과 | 2016년 12월 8일 | 충남 금산 | - |
| 제72호 | 임화자 | 쇠고기육포 | 2016년 12월 8일 | 전남 함평 | - |
| 제73호 | 현경태 | 흑초 | 2016년 12월 8일 | 경북 영천 | - |
| 제74호 | 곽우선 | 설련주 | 2016년 12월 8일 | 경북 칠곡 | - |
| 제75호 | 양정옥 | 제주막장 | 2016년 12월 8일 | 제주 서귀포 | - |
| 제76호 | 오숙자 | 반지 | 2018년 12월 19일 | 광주 동 | - |
| 제77호 | 문완기 | 식혜 | 2018년 12월 19일 | 경기 성남 | - |
| 제78호 | 조정숙 | 된장 | 2018년 12월 19일 | 충북 청주 | - |
| 제79호 | 김용세 | 연잎주 | 2018년 12월 19일 | 충남 당진 | - |
| 제80호 | 원이숙 | 쌀엿 | 2018년 12월 19일 | 전북 임실 | - |
| 제81호 | 구경숙 | 기정떡 | 2018년 12월 19일 | 전남 화순 | - |
| 제82호 | 박규완 | 가리구이 | 2018년 12월 19일 | 전남 담양 | - |
| 제83호 | 최송자 | 쌀엿 | 2018년 12월 19일 | 경북 울진 | - |
| 제84호 | 김희숙 | 제주고소리술 | 2018년 12월 19일 | 제주 서귀포 | 제주무형문화재 |
| 제85호 | 김순옥 | 찹쌀조이당조청 | 2019년 12월 5일 | 전남 순천 | - |
| 제86호 | 임경만 | 보리식초 | 2019년 12월 5일 | 경북 영천 | - |
| 제87호 | 송성자 | 가리적 | 2020년 12월 14일 | 경기 동두천 | - |
| 제88호 | 박준미 | 청주신선주 | 2020년 12월 14일 | 충북 청주 | - |
| 제89호 | 김외순 | 가리구이 | 2021년 12월 6일 | 경기 수원 | - |
| 제90호 | 고화순 | 고사리나물 | 2021년 12월 6일 | 경기 남양주 | |
| 제91호 | 황인수 | 작설차 | 2021년 12월 6일 | 경남 하동 |
3. 2. 분야별 현황
2021년 현재 대한민국식품명인은 총 94명이 지정되었으며, 이 중 83명이 활동하고 있다. 식품명인 지정 현황은 다음과 같다.
식품명인 제도는 우리 전통 식품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 우수한 기능 보유자를 선정하는 제도이다. 각 분야별 명인들은 전통적인 제조 방법을 보존하고, 이를 현대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식품명인으로 지정되면, 해당 분야의 전문가로서 전통 식품의 우수성을 알리고, 후진 양성에 힘쓰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3. 2. 1. 주류
| 지정번호 | 성명 | 보유기능 | 지정일 | 소재지 | 비고 |
|---|---|---|---|---|---|
| 제1호 | 조영귀 | 송화백일주 | 1994년 8월 6일 | 전북 전주 | 지방무형문화재 |
| 제2호 | 김창수 | 금산인삼주 | 1999년 9월 20일 | 충남 금산 | 국가무형문화재 |
| 제3호 | 이한영 | 옥선주 | (2000년 8월 지정해제) | 충남 금산 | - |
| 제4호 | 지복남 | 계룡백일주 | (2009년 11월 지정해제) | 충남 공주 | 지방무형문화재 |
| 제4-가호 | 이성우 | 계룡백일주 | 2010년 1월 4일 | 충남 공주 | - |
| 제5호 | 이기양 | 감홍로주 | (2000년 10월 지정해제) | 전북 전주 | |
| 제6호 | 박재서 | 안동소주 | 1995년 7월 15일 | 경북 안동 | - |
| 제7호 | 이기춘 | 문배주 | 1995년 7월 15일 | 경기 김포 | 국가무형문화재 |
| 제8호 | 송재성 | 김천과하주 | (1999년 6월 지정해제) | 전북 전주 | |
| 제9호 | 조정형 | 전주이강주 | 1996년 4월 4일 | 전북 전주 | 지방무형문화재 |
| 제10호 | 유민자 | 옥로주 | 1996년 4월 4일 | 경기 용인 | 지방무형문화재 |
| 제11호 | 임영순 | 구기자주 | 1996년 4월 4일 | 충북 청양 | 지방무형문화재 |
| 제12호 | 최옥근 | 계명주 | 1996년 4월 4일 | 경기 남양주 | 지방무형문화재 |
| 제13호 | 남상란 | 가야곡왕주 | 1997년 12월 15일 | 충남 논산 | - |
| 제15호 | 박승규 | 면천두견주 | (2001년 12월 지정해제) | 충남 당진 | - |
| 제17호 | 송강호 | 김천과하주 | 1999년 9월 20일 | 경북 김천 | 지방무형문화재 |
| 제19호 | 우희열 | 한산소곡주 | 1999년 12월 8일 | 충남 서천 | 지방무형문화재 |
| 제20호 | 조옥화 | 안동소주 | (2020년 3월 지정해제) | 경북 안동 | 지방무형문화재 |
| 제20-가호 | 김연박 | 안동소주 | 2020년 12월 14일 | 경북 안동 | - |
| 제22호 | 양대수 | 추성주 | 2000년 12월 17일 | 전남 담양 | - |
| 제24호 | 임용순 | 옥선주 | 2001년 5월 7일 | 강원 홍천 | - |
| 제27호 | 박흥선 | 솔송주 | 2005년 8월 4일 | 경남 함양 | - |
| 제43호 | 이기숙 | 감홍로 | 2012년 10월 9일 | 경기 파주 | - |
| 제48호 | 송명섭 | 죽력고 | 2012년 10월 9일 | 전북 정읍 | - |
| 제49호 | 유청길 | 산성막걸리 | 2013년 12월 3일 | 부산 금정 | - |
| 제61호 | 김견식 | 병영소주 | 2014년 12월 23일 | 전남 강진 | - |
| 제68호 | 강경순 | 오메기술 | 2015년 9월 23일 | 제주 서귀포 | - |
| 제69호 | 김택상 | 삼해소주 | 2016년 12월 8일 | 서울 종로 | 서울무형문화재 |
| 제74호 | 곽우선 | 설련주 | 2016년 12월 8일 | 경북 칠곡 | - |
| 제79호 | 김용세 | 연잎주 | 2018년 12월 19일 | 충남 당진 | - |
| 제84호 | 김희숙 | 고소리술 | 2018년 12월 19일 | 제주 서귀포 | 제주무형문화재 |
| 제88호 | 박준미 | 청주신선주 | 2020년 12월 14일 | 충북 청주 | - |
3. 2. 2. 장류
| 지정번호 | 성명 | 보유기능 | 지정일 | 소재지 |
|---|---|---|---|---|
| 제35호 | 기순도 | 진장 | 2008년 8월 5일 | 전라남도 담양군 |
| 제36-가호 | 조종현 | 순창고추장 | 2019년 12월 5일 | 전라북도 순창군 |
| 제37호 | 권기옥 | 어육장 | 2010년 1월 4일 | 경기도 용인시 |
| 제40호 | 한안자 | 동국장 | 2010년 12월 28일 | 전라남도 해남군 |
| 제45호 | 성명례 | 대맥장 | 2012년 10월 9일 | 경상북도 청송군 |
| 제50호 | 윤왕순 | 천리장 | 2013년 12월 3일 | 전라북도 완주군 |
| 제51호 | 최명희 | 소두장 | 2013년 12월 3일 | 경상북도 안동시 |
| 제62호 | 서분례 | 청국장 | 2015년 9월 23일 | 경기도 안성시 |
| 제64호 | 강순옥 | 순창고추장 | 2015년 9월 23일 | 전라북도 순창군 |
| 제65호 | 백정자 | 즙장 | 2015년 9월 23일 | 전라남도 강진군 |
| 제67호 | 정승환 | 죽염홍된장 | 2015년 9월 23일 | 경상남도 하동군 |
| 제75호 | 양정옥 | 제주막장 | 2016년 12월 8일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 제78호 | 조정숙 | 된장 | 2018년 12월 19일 | 충청북도 청주시 |
3. 2. 3. 차류
| 지정번호 | 성명 | 보유기능 | 지정일 | 소재지 | 비고 |
|---|---|---|---|---|---|
| 제16호 | 박수근 | 수제녹차 | 1999년 5월 15일 | 경남 하동 | |
| 제18호 | 신광수 | 야생작설차 | 1999년 9월 20일 | 전남 순천 | |
| 제28호 | 김동곤 | 우전차 | 2006년 2월 15일 | 경남 하동 | |
| 제30호 | 홍소술 | 죽로차 | 2007년 5월 4일 | 경남 하동 | |
| 제34호 | 서양원 | 황차, 말차 | 2012년 12월 지정해제 | 광주 동 | |
| 제47호 | 전중석 | 초의차, 초의병차 | 2012년 10월 9일 | 전남 무안 | |
| 제54호 | 서민수 | 황차, 말차 | 2013년 12월 3일 | 광주 동구 | |
| 제91호 | 황인수 | 작설차 | 2021년 12월 6일 | 경남 하동 |
3. 2. 4. 한과 및 기타
| 지정번호 | 성명 | 보유기능 | 지정일 | 소재지 | 비고 |
|---|---|---|---|---|---|
| 제21호 | 유영군 | 창평쌀엿 | 2000년 9월 18일 | 전남 담양 | |
| 제23호 | 최봉석 | 갈골산자 | 2000년 12월 17일 | 강원 강릉 | |
| 제26호 | 김규흔 | 전통한과 | 2005년 3월 4일 | 경기 포천 | |
| 제32호 | 강봉석 | 엿, 조청 | 2008년 7월 2일 | 충북 충주 | |
| 제33호 | 박순애 | 엿강정 | 2008년 7월 2일 | 전남 담양 | |
| 제46호 | 김현의 | 찹쌀유과 | 2012년 10월 9일 | 경남 의령 | |
| 제59호 | 심영숙 | 유과 | 2014년 12월 23일 | 강원 강릉 | |
| 제60호 | 안복자 | 유과 | 2014년 12월 23일 | 전남 담양 | |
| 제70호 | 김명자 | 옥수수엿 | 2016년 12월 8일 | 강원 원주 | |
| 제77호 | 문완기 | 식혜 | 2018년 12월 19일 | 경기 성남 | |
| 제80호 | 원이숙 | 쌀엿 | 2018년 12월 19일 | 전북 임실 | |
| 제83호 | 최송자 | 쌀엿 | 2018년 12월 19일 | 경북 울진 | |
| 제85호 | 김순옥 | 찹쌀조이당조청 | 2019년 12월 5일 | 전남 순천 |
3. 3. 지역별 현황
| 지역 | 명인 수 |
|---|---|
| 서울특별시 | 1명 |
| 부산광역시 | 1명 |
| 광주광역시 | 2명 |
| 경기도 | 11명 |
| 강원도 | 5명 |
| 충청북도 | 4명 |
| 충청남도 | 8명 |
| 전라북도 | 9명 |
| 전라남도 | 14명 |
| 경상북도 | 8명 |
| 경상남도 | 7명 |
| 제주특별자치도 | 3명 |
2021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식품명인은 총 94명이 지정되었으며, 이 중 83명이 활동하고 있다. 식품명인의 지역별 현황은 위 표와 같다.
4. 식품명인 지정의 의의와 과제
(이전 출력이 없어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맞게 검토 및 수정하여 출력하겠습니다.)
5. 식품명인, 논란과 비판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맞춰 수정해드리겠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