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데킨트 정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데킨트 정역은 정역의 한 종류로, 여러 가지 동치 조건을 만족하는 정역을 의미한다. 데데킨트 정역은 뇌터 환이면서, 모든 극대 아이디얼에서의 국소화가 주 아이디얼 정역이거나 이산 값매김환이며, 정수적으로 닫힌 정역이면서 크룰 차원이 0 또는 1인 특징을 갖는다. 데데킨트 정역은 체이거나, 영이 아닌 모든 아이디얼이 소 아이디얼로 유일하게 인수분해되며, 0이 아닌 모든 분수 아이디얼이 가역원이라는 특징을 갖는 정역이다. 데데킨트 정역은 대수적 수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대수적 정수환은 데데킨트 정역의 대표적인 예이다. 데데킨트 정역에서 유일 인수 분해가 실패하는 정도는 아이디얼 유군으로 측정되며, 유한 생성 가군은 구조 정리를 통해 분해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수분해 - 산술의 기본 정리
    산술의 기본 정리는 1보다 큰 모든 양의 정수를 소수의 곱으로 유일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정리이다.
  • 인수분해 - 행렬 분해
    행렬 분해는 주어진 행렬을 특정 성질을 갖는 여러 행렬의 곱으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수치 해석에서 행렬 알고리즘 구현 및 선형 연립 방정식 해를 구하거나 행렬 특성 분석에 활용되며 LU 분해, QR 분해, 특잇값 분해 등이 있다.
  • 대수적 수론 - 아이디얼
    아이디얼은 유사환에서 환의 원소와의 곱셈에 대해 닫혀 있는 부분군으로, 왼쪽, 오른쪽, 양쪽 아이디얼로 나뉘며 가환환에서는 세 개념이 일치하고, 환 준동형사상의 핵으로 나타나 잉여환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며, 아이디얼 수 개념에서 유래하여 추상대수학의 주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 대수적 수론 - 밀너 환
    밀너 환은 체 위의 가역원군으로 정의되는 등급환으로, 각 등급 성분인 밀너 K군은 대수적 K-이론, 고차 류체론, 갈루아 코호몰로지, 에탈 코호몰로지, 이차 형식 등 여러 수학 분야와 연결되는 심오한 추측들과 연관된다.
  • 가환대수학 - 매개계
    매개계는 뇌터 국소 가환환과 유한 생성 가군을 사용하여 정의되며, 가군의 길이와 크룰 차원을 활용하여 정칙 국소환에서 정칙 매개계의 성질을 규명하고, 추상대수기하학에서 기하학적 대상의 분류와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가환대수학 - 크룰 차원
    크룰 차원은 환 내의 소수 아이디얼 체인의 길이를 이용하여 정의되며, 환론 및 대수기하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다양한 개념으로 확장되어 사용된다.
데데킨트 정역
개요
유형정역
성질정수환을 일반화함
하위 유형주 아이디얼 정역
정의
정의데데킨트 정역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정역이다.
조건 1뇌터 환이다.
조건 2크룰 차원이 1 이하이다. 즉, 모든 영이 아닌 소 아이디얼은 극대 아이디얼이다.
조건 3정수적으로 닫혀 있다. 즉, 분수체의 모든 정수 원소는 원래 환에 속한다.
예시 1주 아이디얼 정역
예시 2체의 정수적 폐쇄
예시 3대수적 정수환
성질
아이디얼 분해데데킨트 정역에서는 모든 아이디얼이 소 아이디얼의 곱으로 유일하게 분해된다.
분수 아이디얼데데킨트 정역의 모든 분수 아이디얼은 가역적이다.
유일 인수 분해데데킨트 정역의 아이디얼류 군이 자명군일 필요충분조건은 데데킨트 정역이 주 아이디얼 정역인 것이다.
같이 보기
관련 개념정역, 아이디얼,

2. 정의

정역 R (0이 아닌 체)에 대해 다음 조건들은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정역을 '''데데킨트 정역'''이라고 한다.



마지막 조건은 대수기하학적으로 비특이 아핀 대수 곡선을 일반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1]

정역 R이 체가 아닌 경우, 다음 조건들은 모두 동치이다.[1]

:'''(DD1)''' 모든 영 아닌 고유 아이디얼은 소 아이디얼로 인수분해된다.

:'''(DD2)''' R은 뇌터 환이며, 각 극대 아이디얼에서의 국소화는 이산 값매김 환이다.

:'''(DD3)''' R의 모든 영 아닌 분수 아이디얼은 가역이다.

:'''(DD4)''' R은 정수적으로 닫힌, 뇌터 환이며, 크룰 차원이 1이다(즉, 모든 영 아닌 소 아이디얼은 극대 아이디얼이다).

:'''(DD5)''' R의 임의의 두 아이디얼 IJ에 대해, IJ에 포함되는 것은 J가 아이디얼로서 I를 나누는 것과 동치이다.

따라서 데데킨트 정역은 체이거나, (DD1)부터 (DD5)까지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정역이다. 실제로는 (DD4)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쉬운 경우가 많다.[1]

크룰 정역은 데데킨트 정역의 고차원 아날로그이다. 체가 아닌 데데킨트 정역은 차원이 1인 크룰 정역이다.

데데킨트 정역은 호몰로지 대수의 관점에서도 특징지을 수 있다. 정역이 데데킨트 정역인 것은 그 정역이 유전환인 것과 동치이다.[3]

2. 1. 프뤼퍼 정역

정역 R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정역을 '''프뤼퍼 정역'''(Prüfer domain영어)이라고 한다.

조건
R의 영 아이디얼이 아닌 모든 유한 생성 아이디얼은 (분수 아이디얼로서) 가역원이다.
모든 소 아이디얼 \mathfrak p에 대하여, R_{\mathfrak p}값매김환이다.
모든 극대 아이디얼 \mathfrak p에 대하여, R_{\mathfrak m}값매김환이다.
R의 모든 유한 생성 아이디얼R-사영 가군이다.
R의 모든 유한 생성 아이디얼R-평탄 가군이다.
R평탄 가군의 모든 부분 가군은 평탄 가군이다.
반유전환이다.


3. 성질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모든 데데킨트 정역은 뇌터 가환환이다.

:가환환정역 ⊋ 정수적으로 닫힌 정역 ⊋ 크룰 정역유일 인수 분해 정역 ∪ 데데킨트 정역 ⊋ 유일 인수 분해 정역 ∩ 데데킨트 정역 = 주 아이디얼 정역유클리드 정역

크룰-아키즈키 정리에 따르면, R가 데데킨트 정역이고, \operatorname{Frac}(R)가 그 분수체이며, L/\operatorname{Frak}(R)가 그 유한 차원 확대일 때, RL 안에서의 정수적 폐포는 데데킨트 정역이다.[8]

아이디얼 유군은 데데킨트 정역에서 유일 인수 분해가 실패하는 정도를 측정한다. 데데킨트 정역 R에 대해, 다음 조건들은 서로 동치이다.



데데킨트 정역에서는 분수 아이디얼에 대해서도 유일 인수 분해가 성립한다. 즉, 임의의 분수 아이디얼은 R의 소 아이디얼들과 그 역 아이디얼들의 곱으로 유일하게 표현할 수 있다.

모든 0이 아닌 아이디얼은 유일한 소인수 분해를 가지므로, 데데킨트 정역에서 아이디얼의 포함 관계는 인자 관계와 일치한다. 즉, 임의의 두 아이디얼 \mathfrak a,\mathfrak b에 대하여, \mathfrak b\ne0이라면 다음이 성립한다.

:\mathfrak a\subseteq\mathfrak b\iff\mathfrak b\mid\mathfrak a

임의의 가환환에서 아이디얼의 인자 관계는 포함 관계를 함의하지만,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특히, 가 아닌 데데킨트 정역에서, 0이 아닌 모든 소 아이디얼극대 아이디얼과 같다. 소 아이디얼은 인자 관계에 대한 극대 원소이고, 극대 아이디얼은 포함 관계에 대한 극대 원소이기 때문이다. 이는 크룰 차원이 1이라는 것과 같다. (체에서는 (0)이 소 아이디얼이자 극대 아이디얼이다.)

4. 예


  • 모든 주 아이디얼 정역은 데데킨트 정역이다.
  • * 정수환 \mathbb Z나, K에 대한 1변수 다항식환 K[x]는 주 아이디얼 정역이므로 데데킨트 정역이다.
  • * 모든 는 데데킨트 정역이다. 체에서는 0이 아닌 진 아이디얼이 없으므로, 이 경우는 자명하다.
  • 모든 대수적 수체의 대수적 정수환은 데데킨트 정역이다.
  • * 예를 들어, 허수 이차 수체의 정수환 \mathbb Z[\sqrt{-5}]은 데데킨트 정역이지만, 6=2\cdot 3=(1+\sqrt{-5})(1-\sqrt{-5})이므로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 아니다.
  • 단항 아이디얼 정역은 데데킨트 환이다.
  • ''K''를 유리수체 '''Q'''의 유한 차 확대체라고 하면, ''K''의 정수환 ''OK'' (''K''에서의 '''Z'''의 정폐포)는 데데킨트 환이다.

5. 역사

19세기, 고차 다항식 방정식의 정수 해를 구하기 위해 대수적 수을 사용하는 방법이 일반화되었다. 에른스트 쿠머는 1844년에 특정 원분체에서 산술의 기본정리가 성립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9] 1847년, 쿠머는 대수적 정수환에서 오늘날 "아이디얼"이라 부르는 대상에 대해서는 유일 인수 분해가 성립함을 보였다.[9]

정수환 \mathbb Z주 아이디얼 정역이므로 자연수 n과 주 아이디얼 (n)은 구분되지 않지만, 일반적인 대수적 정수환 \mathcal O_K에서는 주 아이디얼이 아닌 아이디얼이 존재한다. 따라서 기존의 수(=주 아이디얼)에 모든 아이디얼을 추가하면 유일 소인수 분해가 성립한다. 쿠머는 이러한 대상을 수의 일반화로 보았고, Idealzahl|이데알찰de이라 불렀다. 이는 ideal|이데알de(이상적인) + Zahl|찰de(수)의 합성어이다. 분수 아이디얼 개념도 여기서 유래했다.

리하르트 데데킨트는 쿠머의 "이데알찰"이 대수적 정수환의 부분 집합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보였다.[10] 데데킨트는 "찰"(수)을 제거하고 Ideal|이데알de이라 불렀다.

대수적 정수환이 일반적인 (가환)환으로 확장되면서, 모든 정역에서 아이디얼의 유일 소인수 분해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대수적 정수환에서 아이디얼 유일 소인수 분해가 성립하는 정역은 데데킨트 정역이라 불리게 되었다.

가우스는 허수 이차체의 정수환이 PID인 경우가 유한함을 보였고, 더 이상의 값은 없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이는 100년 후 쿠르트 헤그너, 앨런 베이커, 해럴드 스타크에 의해 증명되었다.

6. 아이디얼 유군

''R''을 분수체 ''K''를 가진 정역이라고 하자. 분수 아이디얼은 0이 아닌 ''K''의 ''R''-부분 가군 ''I''이며, xI \subset R을 만족하는 0이 아닌 ''x''가 ''K''에 존재한다.

두 분수 아이디얼 ''I''와 ''J''가 주어졌을 때, 곱 ''IJ''는 모든 유한 합 \sum_n i_n j_n, \, i_n \in I, \, j_n \in J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즉, 곱 ''IJ''는 다시 분수 아이디얼이다. 위 곱으로 구성된 모든 분수 아이디얼의 집합 Frac(''R'')는 가환 반군이며 실제로 모노이드이다. 항등원은 분수 아이디얼 ''R''이다.

모든 분수 아이디얼 ''I''에 대해 분수 아이디얼

:I^* = (R:I) = \{x \in K \mid xI \subset R\}

을 정의할 수 있다.

그러면 당연히 I^*I \subset R이 성립한다. 실제로 이것이 등식이 될 필요충분조건은 Frac(''R'') 모노이드의 원소로서 ''I''가 가역원인 것이다. 다시 말해, ''I''가 역원을 가지면 역원은 I^*이어야 한다.

'''주 분수 아이디얼'''은 ''K''의 0이 아닌 어떤 ''x''에 대해 xR의 형태를 가진다. 각 주 분수 아이디얼은 가역원이며, xR의 역원은 단순히 \frac{1}{x}R이다. 우리는 주 분수 아이디얼의 부분군을 Prin(''R'')로 나타낸다.

정역 ''R''이 주 아이디얼 정역(PID)가 될 필요충분조건은 모든 분수 아이디얼이 주 아이디얼인 것이다. 이 경우에 Frac(''R'') = Prin(''R'') = K^{\times}/R^{\times}이며, 두 개의 주 분수 아이디얼 xRyRxy^{-1}이 ''R''의 단위원이 될 때에만 같다.

일반적인 정역 ''R''에 대해, 모든 분수 아이디얼의 모노이드 Frac(''R'')를 주 분수 아이디얼의 부분 모노이드 Prin(''R'')로 나눈 몫을 취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그러나 이 몫 자체는 일반적으로 모노이드일 뿐이다. 실제로 Frac(''R'')/Prin(''R'')에서 분수 아이디얼 ''I''의 클래스가 가역원이 될 필요충분조건은 ''I'' 자체가 가역원인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이제 우리는 (DD3)을 이해할 수 있다. 데데킨트 정역(그리고 데데킨트 정역에서만)에서 모든 분수 아이디얼은 가역원이다. 따라서 이들은 Frac(''R'')/Prin(''R'')이 을 형성하는 정확한 정역 클래스이며, 이는 ''R''의 아이디얼 유군 Cl(''R'')이다. 이 군은 ''R''이 PID일 때에만 자명하므로 일반적인 데데킨트 정역이 PID가 되는 것에 대한 장애물을 정량화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임의의 정역에 대해 피카르 군 Pic(''R'')을 가역 분수 아이디얼 Inv(''R'')을 주 분수 아이디얼의 부분군으로 나눈 군으로 정의할 수 있다. 데데킨트 정역의 경우 이는 물론 아이디얼 유군과 동일하다. 그러나, 뇌터 정역과 크룰 정역을 포함하는 더 일반적인 클래스의 정역에서 아이디얼 유군은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표준 준동형 사상이 있다.

:Pic(''R'') → Cl(''R'')

하지만 이것은 일반적으로 단사 함수전사 함수도 아니다. 이는 특이 대수 곡선에서 카르티에 제수와 베유 제수 사이의 구별과 유사한 아핀 유사이다.

L. 클라본(Claborn 1966)의 주목할 만한 정리는 임의의 아벨 군 ''G''에 대해 아이디얼 유군이 ''G''와 동형인 데데킨트 정역 ''R''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나중에 C.R. 리덤-그린은 이러한 ''R''이 2차 체 확장에서 PID의 정수적 폐포로 구성될 수 있음을 보였다.[1] 1976년에 M. 로젠은 임의의 가산 아벨 군을 타원 곡선의 유리 함수체의 부분환인 데데킨트 정역의 유군으로 실현하는 방법을 보여주었고, 그러한 "타원형" 구성이 일반 아벨 군에 대해 가능해야 한다고 추측했다.[2] 로젠의 추측은 2008년에 P.L. 클락에 의해 증명되었다.[3]

대조적으로, 대수적 수론의 기본 정리 중 하나는 수체의 정수환의 유군이 유한하다는 것이다. 그 크기를 유수라고 하며, 이는 가우스부터 현재까지 많은 선구적인 수학자들의 노고에도 불구하고 중요하고 다소 신비로운 불변량이다.

7. 유한 생성 가군

주 이상 정역(PID) 위의 유한 생성 가군에 대한 구조 정리와 유사하게, 데데킨트 정역 위의 유한 생성 가군에 대한 이론이 존재한다.

PID R 위의 유한 생성 가군 M에서, 꼬임 부분 가군 TR의 0이 아닌 어떤 r에 대해 rm = 0M의 원소 m의 집합이다. 이 경우 다음이 성립한다.

(M1) T는 꼬임 가군들의 직합으로 분해되며, 각 가군은 R의 0이 아닌 이상 I에 대해 R/I 형태이다.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에 의해, 각 R/I는 소 아이디얼의 거듭제곱인 R/P^i 형태의 부분 가군들의 직합으로 분해된다. 이 분해는 유일하지 않지만, 두 개의 분해

:T \cong R/P_1^{a_1} \oplus \cdots \oplus R/P_r^{a_r} \cong R/Q_1^{b_1} \oplus \cdots \oplus R/Q_s^{b_s}

는 인자의 순서만 다르다.

(M2) 꼬임 부분 가군은 직합 인자이다. 즉, M = T \oplus P인 상보적인 부분 가군 P가 존재한다.

(M3PID) P는 유일하게 결정된 음이 아닌 정수 n에 대해 R^n와 동형이다. 특히, P는 유한 생성 자유 가군이다.

M을 임의의 데데킨트 정역 R 위의 유한 생성 가군이라고 하면, (M1)과 (M2)는 그대로 유지된다. 그러나 (M3PID)에서 PID 위의 유한 생성 비꼬임 가군 P가 자유 가군이라는 결론은 R이 PID가 아닌 경우에는 거짓이다. 이는 유수군 Cl(R)의 비자명성 때문인데, 임의의 데데킨트 정역 위의 비꼬임 유한 생성 가군에서 추가적인 구조는 유수군에 의해 정확히 제어된다. 임의의 데데킨트 정역 위에서는 다음이 성립한다.

(M3DD) P는 랭크 1 사영 가군의 직합과 동형이다: P \cong I_1 \oplus \cdots \oplus I_r. 또한, 랭크 1 사영 가군 I_1,\ldots,I_r,J_1,\ldots,J_s에 대해,

: I_1 \oplus \cdots \oplus I_r \cong J_1 \oplus \cdots \oplus J_s

가 성립하는 것은 다음 조건이 만족될 때 뿐이다.

:r = s

그리고

:I_1 \otimes \cdots \otimes I_r \cong J_1 \otimes \cdots \otimes J_s.\,

랭크 1 사영 가군은 분수 아이디얼로 식별될 수 있으며, 마지막 조건은

: [I_1 \cdots I_r] = [J_1 \cdots J_s] \in Cl(R).

로 다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랭크 n > 0의 유한 생성 비꼬임 가군은 R^{n-1} \oplus I로 표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I는 랭크 1 사영 가군이다. R 위의 P에 대한 '''슈타이니츠 클래스'''는 Cl(R)에서 I의 클래스 [I]이며, 이는 유일하게 결정된다.[7]

이러한 결과는 1912년 에른스트 슈타이니츠에 의해 확립되었다.

데데킨트 정역 위의 두 사영 가군이 그로텐디크 군에서 동일한 클래스를 가지면, 추상적으로 동형이다.

참조

[1] 기타
[2] 기타
[3] 기타
[4] 문서 Krull–Akizuki theorem
[5] 기타
[6] 기타
[7] 기타
[8] 서적 Algebraic number theory Springer 1999
[9] 논문 Über die Zerlegung der aus Wurzeln der Einheit gebildeten complexen Zahlen in ihre Primfactoren http://resolver.sub.[...] 1847
[10] 서적 Sur la théorie des nombres entiers algébrique Gauthier-Villars 18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