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만성질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만성 질환은 증후군, 신체적 장애, 질병 등과 같이 장기간 지속되는 다양한 건강 관련 상태를 포괄하는 용어이다. 고혈압, 심혈관 질환, 암, 당뇨병, 만성 호흡기 질환 등이 대표적이며, 알츠하이머병, 자가면역 질환, 정신 질환 등도 포함된다. 만성 질환은 생활 습관,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등 다양한 위험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조기 진단과 예방이 중요하다. 만성 질환은 개인의 정신 건강, 재정적 부담, 사회경제적 지위 등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치며, 옹호 및 연구 단체를 통해 관리 및 개선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질병 - 신경증
    신경증은 윌리엄 컬렌이 처음 사용한 용어로, 정신분석학자들에 의해 심리적 외상 및 무의식적 갈등과 관련된 정신적, 신체적 증상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발전했으나, 현대 정신의학에서는 구체적인 진단명으로 대체되어 사용되지 않는다.
  • 질병 - 황색포도상구균
    황색포도상구균은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그람 양성 구균으로, 인구의 약 30%가 보균하고 있으며 항생제 내성이 널리 퍼져 있어 효과적인 백신 개발과 항생제 내성 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의학 용어 - 후유증
    후유증은 질병이나 외상 이후에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문제이며, 다양한 질환과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고, 진단과 치료,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 의학 용어 - 내부 환경
    내부 환경은 생명체가 외부 환경 변화에도 내부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생리적 상태를 의미하며, 항상성 유지와 세포 통신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고, 건강 유지 및 질병 관련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만성질환
만성 질환 개요
정의장기간 지속되는 건강 상태 또는 질병
특징일반적으로 천천히 진행
장기간 지속
완치가 어려움
예시심혈관 질환
뇌졸중

만성 호흡기 질환
당뇨병
정신 질환 (예: 우울증)
중독
주요 특징
지속 기간장기간 지속 (정확한 기간은 질병에 따라 다름)
발병 속도일반적으로 천천히 진행
치료 목표완치보다는 증상 관리와 삶의 질 향상에 집중
위험 요인
주요 원인흡연
불건강한 식단
신체 활동 부족
과도한 음주
사회경제적 요인사회경제적 불평등과 관련된 건강 불균형 존재
예방 및 관리
예방 전략위험 요인 감소
조기 진단
건강한 생활 습관 장려
관리 방법정기적인 검진
적절한 약물 치료
생활 습관 개선
재활 및 심리 상담
사회적 영향
사회적 부담의료비 증가
생산성 감소
삶의 질 저하
추가 정보
질병 관리의 중요성삶의 질 향상과 의료비 절감에 필수적
역학적 특징전 세계적으로 주요 사망 원인
개발도상국에서 증가하는 추세
용어 관련'만성'이라는 용어는 질병의 진행 속도가 아니라 지속 기간을 의미

2. 만성 질환의 유형

만성 질환은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는 , 심혈관 질환, 만성 호흡기 질환, 당뇨병을 4가지 주요 유형으로 제시한다.[13] 이 외에도 다양한 만성 질환과 건강 상태가 존재한다. 고혈압은 그 자체로 만성 질환일 뿐만 아니라 심장 마비뇌졸중과 같은 질병과도 관련이 있으며,[9] 만성 빈곤과 같이 일상생활에 장애를 초래하는 일부 사회경제적 요인도 만성 질환으로 간주될 수 있다.[10][11][12]

2. 1. 주요 만성 질환

세계보건기구(WHO)는 2015년에 비전염성 질환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하여 다음의 4가지 주요 유형을 제시했다.[13]

  • 심혈관 질환(뇌혈관 질환, 심부전, 허혈성 심장병 포함)
  •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등의 만성 호흡기 질환
  • 당뇨병(1형, 2형, 당뇨병 전 단계, 임신성 당뇨병)

2. 2. 기타 만성 질환

만성 질환은 증후군, 신체적 장애, 질병 등 인체의 다양한 건강 관련 상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역학자들은 만성 질환이 질병, 장애, 신체적/정신적 능력 저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관심을 가진다.[9]

다음은 주요 만성 질환 외의 다른 만성 질환 및 건강 상태이다.

3. 위험 요인

만성 질환은 생활 습관, 유전, 환경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미국의 경우 만성 질환과 관련된 건강 위험 행동으로 인해 의료 및 경제 비용의 대부분이 발생한다. 2006년 모든 의료비의 84%는 하나 이상의 흔한 만성 질환이 있는 인구의 50%에 대해 지출되었다.[14]

만성 질환이 있는 성인은 그렇지 않은 성인보다 삶에 대한 불만이 더 많았고,[17] 만성 질환 아동은 건강한 또래보다 정신 질환이 약 2배 증가했다.[18] 부모의 우울증과 가족 스트레스는 환자에게 더 많은 문제를 예측했고,[19] 형제자매 간의 문제와 가족 전체에 대한 질병의 부담은 환자와 가족에게 더 큰 심리적 부담을 주었다.[19]

3. 1. 생활 습관 요인

미국에서 흔히 발생하는 만성 질환의 많은 부분은 연령과 성별에 따라 위험 요인이 다르지만, 식습관, 생활 습관 및 대사 위험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14] 따라서 이러한 질환은 금연, 건강한 식단 채택, 신체 활동 증가와 같은 행동 변화를 통해 예방할 수 있다.

3. 2. 유전적 요인

가족력은 만성 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 3. 환경적 요인

대기 오염, 유해 물질 노출 등 환경적 요인은 만성 질환 발생 위험을 높인다.

3. 4. 사회경제적 요인

사회적 결정 요인은 만성 질환의 중요한 위험 요인이다.[15] 사회경제적 지위, 교육 수준, 인종/민족과 같은 사회적 요인은 만성 질환 치료에서 나타나는 불균형의 주요 원인이다.[1] 의료 서비스 접근 부족 및 지연은 소수 민족 및 의료 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인구 집단에게 더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16]

미국에서는 소수 민족과 저소득층이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는 데 필요한 예방 서비스를 찾고, 이용하고, 받을 가능성이 적다.[43]

4. 예방

근거들은 예방이 만성 질환의 영향을 줄이는 데 효과적임을 뒷받침한다.[20] 예방 서비스는 일반 의료 서비스보다 이용률이 낮은데, 그 효과가 장기적이거나 사회 전체에 대한 이점이 개인 수준보다 더 클 수 있기 때문이다.[20]

만성 질환 위험 요인을 목표로 하는 학교 기반 정책이 학생들의 건강 행동이나 교직원, 학생들의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여부는 불확실하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25] 만성 질환 환자에게 외래 의료 서비스를 지속하고 예약된 의료 약속에 참석하도록 권장하면 결과를 개선하고 의료 비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환자 중심의 대안을 찾는 접근 방식은 효과가 있다는 강력한 증거는 없다.[26]

4. 1. 건강한 생활 습관 실천

공중보건 프로그램은 대중을 교육하고 건강한 생활 습관과 만성 질환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중요하다.[21]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프로그램은 심혈관 질환, 당뇨병, 암과 관련된 사망률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22] 2008년, 미국의 건강을 위한 신탁 (Trust for America's Health)은 지역사회 기반 프로그램에 연간 1인당 10달러를 투자하고 건강한 생활 습관(신체 활동 증가, 건강한 식단 및 금연)을 장려하면 단 5년 만에 연간 160억달러 이상을 절약할 수 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24]

4. 2. 정기적인 건강 검진

근거들이 예방이 만성 질환의 영향을 줄이는 데 효과적임을 뒷받침하고 있으며, 특히 조기 진단은 질병의 결과를 덜 심각하게 만든다. 임상적 예방 서비스에는 질병의 존재 여부를 위한 선별검사, 질병 발생에 대한 소인 검사, 상담 및 감염성 병원체에 대한 예방 접종이 포함된다.[20]

4. 3. 예방 접종

근거가 증가함에 따라 예방이 만성 질환의 영향을 줄이는 데 효과적임이 뒷받침되고 있다. 특히 조기 진단은 질병의 결과를 덜 심각하게 만든다. 임상적 예방 서비스에는 질병의 존재 여부를 위한 선별검사, 질병 발생에 대한 소인 검사, 상담, 감염성 병원체에 대한 예방 접종이 포함된다.[20]

4. 4. 공중 보건 프로그램

공중보건 프로그램은 대중을 교육하고 건강한 생활 습관과 만성 질환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중요하다.[21] 이러한 프로그램은 여러 수준(주, 연방, 민간)의 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지만, 그 시행은 대부분 지역 기관과 지역사회 기반 단체가 담당한다.[21]

연구에 따르면 공중보건 프로그램은 심혈관 질환, 당뇨병과 관련된 사망률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지만, 결과는 질병의 유형과 관련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라 다소 이질적이다.[22] 예를 들어, 암 예방 및 선별 검사에서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의 결과는 암의 유형에 따라 크게 달랐다.[23]

만성 질환 환자 수의 증가는 예방과 비용 관리에 도움이 되는 잠재적 역할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했다. 2008년, 미국의 건강을 위한 신탁 (Trust for America's Health)은 입증된 효과가 있는 지역사회 기반 프로그램에 연간 1인당 10USD를 투자하고 건강한 생활 습관(신체 활동 증가, 건강한 식단 및 금연)을 장려하면 단 5년 만에 연간 160억달러 이상을 절약할 수 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24]

2017년 검토(2022년 업데이트)에 따르면 건강한 식단 정책, 신체 활동 정책 및 금연 정책과 같은 만성 질환 위험 요인을 목표로 하는 학교 기반 정책이 학생들의 건강 행동이나 교직원과 학생들의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여부는 불확실하다.[25] 2022년 업데이트된 검토에서는 개선된 전략을 사용한 개입이 증가함에 따라 비만 및 신체 활동 측정에서 약간의 개선이 있음을 확인했지만, 알코올 사용 및 위험과 관련된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추가 연구를 계속 요구했다.[25] 만성 질환 환자에게 외래 의료 서비스를 지속하고 예약된 의료 약속에 참석하도록 권장하면 결과를 개선하고 약속 불이행으로 인한 의료 비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26] 의사나 상담사가 의료 약속을 예약하는 것에 대한 환자 중심의 대안을 찾는 것이 만성 질환으로 의료 약속을 놓치는 사람들의 수를 개선하는 수단으로 제시되었지만, 이러한 접근 방식이 효과가 있다는 강력한 증거는 없다.[26]

5. 간호

간호는 만성 질환 환자의 건강 관리와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에티오피아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는 간호사 중심의 지역사회 기반 만성 질환 관리가 효과적일 수 있다.[29]

5. 1. 자가 관리 지원

간호는 만성 질환 환자들이 장수를 누리고 건강을 경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27] 학자들은 현재 신자유주의 시대에는 부유한 지역 사회와 저소득 지역 사회 모두에서 자가 관리를 강조한다고 지적한다.[28] 이러한 자가 관리 중심은 만성 질환 환자 간호에도 적용되어, 환자 스스로 건강 상태를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둔다. 비판적인 시각에서는 보건 의료 시스템과 경제 및 사회 구조가 이러한 관행을 충분히 지원하지 않는 저소득 지역 사회의 만성 질환 환자들에게는 이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하다고 지적한다.[28]

에티오피아의 한 연구는 만성 질환 관리에 간호 중심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 의료 시설과의 거리 문제를 제기하면서, 이 연구는 환자들이 의료 서비스 요청을 늘릴 것을 권장한다. 이 연구는 간호사와 보건 담당자를 활용하여 만성 질환 치료에 대한 많은 충족되지 않은 요구를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충족한다.[29] 간호사와 보건 담당자로 구성된 보건소를 운영했기 때문에, 프로그램 참여에 필요한 특정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새로운 직원들이 만성 질환 관리를 교육받도록 해야 한다.[29] 이 프로그램은 간호사와 보건 담당자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기반의 돌봄과 교육이 효과적임을 보여준다.[29] 이는 간호사가 지역사회의 개인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환자의 요구를 충족하고 가정에서 자가 관리를 위한 교육을 제공하는 데 있어 간호사의 유연성을 강조한다.

5. 2. 지역사회 기반 간호

지역사회 기반 간호는 환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지속적인 건강 관리를 제공하는 데 효과적이다. 특히, 에티오피아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는 간호사와 보건 담당자를 활용한 지역사회 기반 만성 질환 관리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29]

에티오피아의 한 연구는 만성 질환 관리에 간호 중심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 의료 시설과의 거리 문제를 제기하면서, 이 연구는 환자들이 의료 서비스 요청을 늘릴 것을 권장한다. 이 연구는 간호사와 보건 담당자를 활용하여 만성 질환 치료에 대한 많은 충족되지 않은 요구를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충족한다.[29] 간호사와 보건 담당자로 구성된 보건소를 운영했기 때문에, 프로그램 참여에 필요한 특정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새로운 직원들이 만성 질환 관리를 교육받도록 해야 한다.[29] 이 프로그램은 간호사와 보건 담당자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기반의 돌봄과 교육이 효과적임을 보여준다.[29] 이는 간호사가 지역사회의 개인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환자의 요구를 충족하고 가정에서 자가 관리를 위한 교육을 제공하는 데 있어 간호사의 유연성을 강조한다.

6. 역학

만성 질환의 역학은 다양하며, 새로운 치료법에 따라 변하기도 한다. 항레트로바이러스 요법의 발전으로 HIV 감염은 수십 년에 걸친 만성 질환이 되었다.[30]

비만과 체지방 분포는 당뇨병, 심장 질환, 신장 질환과 같은 여러 만성 질환의 위험 요인이 된다.[31] 높은 사회경제적 지위는 만성 질환 발생률이 낮은 것과 상관관계가 있지만, 둘 사이에 직접적인 인과 관계가 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32]

AIDS와 같은 전염성 만성 질환은 비전염성 만성 질환과 역학이 다르다. 사회적 요인이 AIDS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지만, 감염을 위해서는 바이러스 노출만 있으면 된다. 전염성 만성 질환은 약물 치료로만 치료할 수 있다.[33]

6. 1. HIV/AIDS

항레트로바이러스 요법의 발전으로 많은 환자들이 HIV 감염을 수십 년에 걸친 만성 질환으로 경험하고 있다.[30] AIDS와 같은 전염성 만성 질환은 비전염성 만성 질환과 달리 일반적으로 약물 치료로만 치료할 수 있다.[33]

6. 2. 비만

비만과 체지방 분포는 당뇨병, 심장 질환, 신장 질환과 같은 여러 만성 질환의 위험 요인이 된다.[31]

6. 3. 사회경제적 지위

일반적으로 높은 사회경제적 지위는 만성 질환 발생률이 낮은 것과 상관관계가 있지만, 이 두 변수 사이에 직접적인 인과 관계가 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32]

6. 4. 전염성 만성 질환

항레트로바이러스 요법의 성공으로 많은 환자들이 HIV 감염을 수십 년에 걸친 만성 질환으로 경험하고 있다.[30] AIDS와 같은 전염성 만성 질환은 사회적 요인이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지만, 감염되기 위해서는 바이러스에 노출되기만 하면 된다. 전염성 만성 질환은 일부 비전염성 만성 질환과 달리 생활 습관 변화로는 치료할 수 없고, 일반적으로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33]

6. 5. 대한민국 현황

대한민국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만성 질환 환자 수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 질환, 등은 주요 사망 원인으로 꼽힌다.

7. 경제적 영향

만성 질환은 의료비 증가의 주요 원인이며, 생산성 감소와 결근 등으로 인해 경제에 큰 부담을 준다.

7. 1. 대한민국

만성 질환은 대한민국에서 의료비 지출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건강보험 재정에 부담을 주고 있다.[41]

7. 2. 미국

2004년 미국에서는 거의 2명 중 1명(1억 3,300만 명)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었으며, 대부분(58%)은 18세에서 64세 사이였다.[35] 이 수치는 2030년까지 매년 1% 이상 증가하여 약 1억 7,1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35] 2014년 (MEPS)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약 60%가 하나의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약 40%는 두 개 이상의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36]

(CDC)의 연구에 따르면, 만성 질환은 미국 고령 인구에서 특히 문제가 되고 있다. 2002년 65세 이상 미국인 사망 원인 중 뇌졸중, 심장병, 암과 같은 만성 질환이 상위를 차지했으며, 이 인구 집단의 전체 사망 원인의 61%를 차지했다.[38] 현재 고령 미국인의 최소 80%가 어떤 형태의 만성 질환을 앓고 있으며, 이 중 50%는 두 가지 이상의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38]

만성 질환은 미국의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며, 의료비 지출 증가의 주요 원인이기도 하다.[41] 2017년 미국 의료비 3.3조달러 중 90%가 만성 질환 및 상태 치료에 사용된 것으로 추산되었다.[44][1]

만성 질환은 일상 활동 제한, 생산성 감소, 결근으로 인해 경제에도 큰 부담을 준다. 특히 미국 인구 전반에 걸쳐 과체중과 비만의 증가율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 우려된다.[43] 비만은 당뇨병, 뇌졸중, 심혈관 질환, 암과 같은 만성 질환 발생의 주요 위험 요인이다.

8. 사회적 및 개인적 영향

최근에는 사회적 요인과 만성 질환의 유병률 및 결과 사이의 연관성이 제기되고 있다.[48]

8. 1. 정신 건강

만성 질환과 외로움의 연관성은 이미 알려져 있지만, 치료 과정에서 종종 무시되곤 한다. 한 연구에서는 한 사람이 가진 만성 질환의 수가 많을수록 외로움을 느낄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결과가 나왔다.[48] 이는 독립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만성 질환 자체가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기 때문일 수 있다. 65세 이상 성인의 외로움에 대한 연구에서는 낮은 수준의 외로움과 높은 수준의 가족 지원이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여러 만성 질환의 더 나은 결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8]

최근 의료계에서는 만성 질환 환자를 치료할 때 이러한 연관성을 고려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2006년에 개발된 생물심리사회적 접근법은 환자의 "성격, 가족, 문화 및 건강 역학"에 초점을 맞춘다.[49] 의사들은 만성 질환에 대한 심리사회적 접근 방식을 더욱 강조하여 이러한 질환으로 진단받는 사람이 늘어나는 추세에 대처하고 있다.

만성 질환자의 정신 건강은 의사들이 종종 간과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만성 질환 치료사들은 만성 질환의 정신적 부담을 덜기 위한 지원을 제공하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만성 질환을 가진 성인은 건강한 성인과 비제한적 만성 질환 성인보다 우울증과 자존감이 더 낮다.[52] 만성 질환의 정서적 영향은 개인의 지적 및 교육적 발달에도 영향을 미친다.[53] 예를 들어, 1형 당뇨병 환자는 평생 동안 매일 혈당을 확인하고, 인슐린 주사를 맞고, 끊임없이 스스로를 관리해야 하는 단조롭고 엄격한 건강 관리를 견뎌야 한다. 1형 당뇨병 및 기타 만성 질환에서 요구되는 이러한 끊임없는 주의는 심리적 부적응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당뇨병 회복력 이론과 같이, 위험 요인의 영향을 줄이는 보호 과정을 제시하는 몇 가지 이론이 있다.[54]

8. 2. 재정적 부담

만성 질환자는 의료비를 더 많이 직접 부담해야 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인들은 평균 2243USD를 더 지출했다.[55] 이러한 재정적 부담은 약물 복약 순응도를 낮출 수 있다.[56][57]

일부 국가에서는 법률에 따라 만성 질환 환자를 과도한 재정적 책임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08년 기준 프랑스는 만성 질환자에 대한 본인 부담금을 제한했고, 독일은 일반 대중의 2%와 달리 만성 질환자의 비용 분담을 소득의 1%로 제한했다.[58]

8. 3. 성별

여성은 만성질환이 생식 능력에 영향을 미칠 때 더 심각하게 여겨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여성의 건강 불평등을 야기할 수 있다.[62] 역사적으로 여성의 만성 질환은 삶의 다른 측면이나 웰빙에 영향을 미칠 때는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다.[62] 많은 여성들은 전형적인 여성상에 대한 사회적 압력 때문에 생식 능력과 건강의 중요성으로 인해 자신이 '부족한 존재' 또는 '반쪽짜리 여성'이라고 느낀다고 보고한다.[62] 이러한 사회적 장벽은 여성이 삶의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자신의 열망을 향해 온전히 노력하는 능력을 방해한다.[62]

8. 4. 사회경제적 계층 및 인종

소수 인종은 백인보다 대부분의 만성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1.5~2배 더 높다. 비히스패닉 흑인은 비히스패닉 백인보다 고혈압일 가능성이 40% 더 높고, 당뇨병 진단율은 77% 더 높으며, 아메리카 인디언과 알래스카 원주민은 비히스패닉 백인보다 비만일 가능성이 60% 더 높다.[63] 이러한 유병률 중 일부는 환경 인종차별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예를 들어 미시간주 플린트는 저가 주택 지역에 폐기물이 버려진 후 식수에서 납 중독 수치가 높았다.[64] 또한 저소득 지역에 사는 어린이의 경우 해당 지역에서 더 광범위하게 배출되는 오염 물질이 많기 때문에 천식 발병률이 더 높다.[65][66]

9. 옹호 및 연구 단체

만성 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다양한 옹호 및 연구 단체가 활동하고 있다. 국제 단체와 미국 단체로 구분할 수 있다.

9. 1. 국제 단체

유럽 만성 질환 연맹(European Chronic Disease Alliance)은 2011년에 설립되었으며, 10만 명이 넘는 의료 종사자를 대표한다.[67]

9. 2. 미국 단체

미국에는 미국 당뇨병 협회, 알츠하이머 협회, 크론병 및 대장염 재단과 같이 특정 질병에 중점을 둔 여러 비영리 단체가 있다. 또한 미국 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국(National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Directors), 만성 질환 퇴치 파트너십(Partnership to Fight Chronic Disease), 2015년 오레곤주에서 설립된 만성 질환 연합(Chronic Disease Coalition)[68], 만성 질환 관리 연합(Chronic Policy Care Alliance)[69] 등과 같이 일반적인 만성 질환의 옹호 또는 연구에 중점을 둔 더 광범위한 단체들도 있다.

참조

[1] 논문 Use Your Words Carefully: What Is a Chronic Disease? 2016-08-02
[2] 논문 Facial expression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in patients with unipolar depression 1996-09-01
[3] 논문 Managing addiction as a chronic condition 2007-12-01
[4] 웹사이트 WHO Noncommunicable diseases country profiles 2011 https://www.who.int/[...] 2020-09-11
[5] 뉴스 Noncommunicable diseases. Fact sheet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01-01
[6] 서적 Multiple Chronic Conditions Chart-book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4
[7] 논문 Chronic Diseases in America https://www.cdc.gov/[...] 2020-08-10
[8] 논문 Multiple long-term conditions (multimorbidity): making sense of the evidence https://evidence.nih[...] 2021-03-30
[9] 웹사이트 Condition http://www.medicinen[...] 2016-04-13
[10] 논문 Conceptualizing Chronic Poverty 2003-03-01
[11] 논문 A multidimensional conceptualization of racism-related stress: implications for the well-being of people of color 2000-01-01
[12] 논문 Chronic Poverty and Development Policy: An Introduction https://doi.org/10.1[...] 2003
[13] 웹사이트 Noncommunicable disease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04-05
[14] 논문 The preventable causes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comparative risk assessment of dietary, lifestyle, and metabolic risk factors 2009-04-01
[15] 논문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health in the United States: what the patterns tell us 2010-04-01
[16] 서적 Racial and ethnic disparities in US health care: A chartbook The Commonwealth Fund 2008-03-01
[17] 논문 The associations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hronic illness, and health behaviors among U.S. community-dwelling adults 2008-02-01
[18] 논문 The Ontario Child Health Study: social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of siblings of children with chronic health problems 1988-06-01
[19] 논문 Psychosocial risk and resistance factors among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healthy siblings, and healthy controls 1987-06-01
[20] 서적 Handbook of health economics. Elsevier 2000
[21] 논문 Performing public health functions: the perceived contribution of public health and other community agencies 1996
[22] 논문 Evidence links increases in public health spending to declines in preventable deaths 2011-08-01
[23] 논문 Are we finally winning the war on cancer? 2008
[24] 웹사이트 Prevention for a Healthier America http://healthyameric[...] Trust for America's Health 2016-04-05
[25] 논문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implementation of school-based policies or practices targeting diet, physical activity, obesity, tobacco or alcohol use 2022-08-01
[26] 논문 Patient-initiated appointment systems for adults with chronic conditions in secondary care 2020-04-01
[27] 논문 Healthcare Transformation and Changing Roles for Nursing 2017
[28] 논문 Evolution of the concept of self-care and implications for nurses: a literature review 2009-08-01
[29] 논문 A primary healthcare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 in Ethiopia: an example for other countries 2007-06-01
[30] 논문 The end of AIDS: HIV infection as a chronic disease 2013-11-01
[31] 논문 Human body composition and the epidemiology of chronic disease 1995-01-01
[32] 논문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chronic disease risk behaviors among US adolescents 1996-09-01
[33] 논문 Adherence challenges encountered in an intervention programme to combat chronic non-communicable diseases in an urban black community, Cape Town http://repository.uw[...] 2017-10-10
[34] 논문 The role of epidemiology in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2003-07-01
[35] 웹사이트 Chronic Conditions: Making the Case for Ongoing Care. http://www.rwjf.org/[...] Johns Hopkins University 2009-12-07
[36] 논문 Multiple Chronic Conditions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rand.org[...] 2019-06-13
[37] 논문 The growing burden of chronic disease in America 2004
[38] 웹사이트 The state of aging and health in America 2007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Merck Company Foundation 2007
[39] 웹사이트 Common Chronic Conditions and Aging at Home http://www.parentgiv[...]
[40] 서적 Health, United States, 2020–2021 Annual Perspective. https://stacks.cdc.g[...]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2023-01
[41] 논문 National health spending by medical condition, 1996-2005 2009
[42] 보고서 The Burden of Chronic Diseases and Their Risk Factors National and State Perspectives https://stacks.cdc.g[...]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2-02
[43] 논문 Progress toward the healthy people 2010 goals and objectives 2010
[44] 논문 Practice-Based Evidence Supporting Healthy Eating and Active Living Policy and Environmental Changes 2021-03
[45] 보고서 Gaining Costs, Losing Time: The Obesity Crisis in Texas Texas Comptroller of Public Accounts 2011-02
[46] 논문 Loneliness: A disease? 2013-10
[47] 논문 Social isolation, loneliness and health among older adults 2012-12
[48] 논문 Predictors of loneliness in U.S. adults over age sixty-five 2009-10
[49] 웹사이트 Psychological treatment of chronic illness: The biopsychosocial therapy approach. https://psycnet.apa.[...] 2006
[50] 서적 Treatment of chronic medical conditions: cognitive-behavioral therapy strategies and integrative treatment protocol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9
[51] 논문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 by practitioners and patients: are we teaching the wrong things? 2000-02
[52] 논문 Long-term psychosocial effects of persistent chronic illness. A follow-up study of Finnish adolescents aged 16 to 32 years 2002-04
[53] 논문 Emotional dimensions of chronic disease 2000-02
[54] 논문 Diabetes resilience: a model of risk and protection in type 1 diabetes 2012-12
[55] 논문 Chronic conditions and medical expenditures among non-institutionalized adults in the United States 2014-11
[56] 논문 Multimorbidity and out-of-pocket expenditure on medicines: a systematic review 2018-02-01
[57] 논문 The experience of financial burden for people with multimorbidity: A systematic review of qualitative research. 2020-12
[58] 논문 In chronic condition: experiences of patients with complex health care needs, in eight countries, 2008 2009-01-01
[59] 논문 Cost-effective medicine vs. the medical-industrial complex 2014-09
[60] 논문 Effects of prescription drug user fees on drug and health services use and on health status in vulnerable populations: a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2004
[61] 서적 The Medical Industrial Complex Harmony Books 1984
[62] 서적 Chronic conditions, fluid states: Chronicity and the anthropology of illness. Rutgers University Press
[63] 웹사이트 Racial and Ethnic Approaches to Community Health (REACH)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4-05-08
[64] 논문 Flint, environmental racism, and racial capitalism 2016-07
[65] 논문 The health politics of asthma: environmental justice and collective illness experience in the United States 2003-08
[66] 논문 Who's minding the kids? Pollucion, public schools, and environmental justice in Los Angeles. 2002-03
[67] 논문 The ESC goes global: policies to prevent all chronic diseases 2011-10
[68] 웹사이트 Chronic Disease Sufferers and Health-Care Advocates Form Chronic Disease Coalition to Protect Patients' Rights http://finance.yahoo[...] 2015-11-19
[69] 웹사이트 Has your insurer denied a medical claim? Stand up for your rights https://www.statnews[...] 2019-05-17
[70] 웹사이트 厚生労働省・慢性疾患の全体像について https://www.mhlw.go.[...]
[71] 웹사이트 NCD Alliance Japan/用語集 http://ncdjapan.org/[...]
[72] 웹사이트 Chronic diseases http://www.who.int/t[...]
[73] 저널 The preventable causes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comparative risk assessment of dietary, lifestyle, and metabolic risk factors 2009-04-00
[74] 저널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health in the United States: what the patterns tell us 2010-04-00
[75] 서적 Racial and ethnic disparities in US health care: A chartbook The Commonwealth Fund 2008-03-00
[76] 서적 Prevention
[77] 저널 Performing public health functions: the perceived contribution of public health and other community agencies 1996-00-0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