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국의 음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국의 음악은 영국 제도에서 기원하여 종교 음악과 세속 음악을 아우르며 바로크 시대와 현대 클래식 음악의 발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를 포괄한다. 잉글랜드,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는 각자 고유한 음악 형태를 발전시켰으며, 유럽 음악의 주요 흐름에 기여했다. 중세 시대에는 켈트 성가, 캐롤 등 독특한 형태의 음악이 발전했고, 르네상스 시대에는 마드리갈, 류트 에어 등이 등장했다. 바로크 시대에는 헨델과 같은 음악가들이 활동하며 영국 클래식 음악의 기반을 다졌고, 19세기에는 낭만주의 민족주의의 영향을 받아 엘가, 본 윌리엄스 등 작곡가들이 등장했다. 20세기 이후에는 다양한 대중 음악 장르가 발전하여 록 음악, 팝 음악, 전자 음악 등에서 영국 음악가들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음악사 - 비틀즈 앤솔로지
    《비틀즈 앤솔로지》는 비틀즈 멤버들의 관점에서 밴드의 역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시리즈, 미발표곡이 담긴 음반, 그리고 인터뷰와 희귀 사진이 수록된 서적을 아우르는 프로젝트이다.
  • 영국의 음악사 - 라이브 에이드
    라이브 에이드는 1985년 밥 겔도프와 밋지 유르가 기획하여 런던과 필라델피아에서 동시에 개최, 에티오피아 기근 구호를 위해 1억 5천만 파운드 이상을 모금하고 퀸, U2 등 최고의 음악가들이 참여하여 84개국에 생중계, 15억 명 이상이 시청한 역사적인 자선 콘서트이다.
영국의 음악
지도 정보
일반 정보
영국 국기
영국 국기
국가영국
위치서유럽
수도런던
공용어영어
민족잉글랜드인
스코틀랜드인
웨일스인
아일랜드인
종교기독교 (성공회, 로마 가톨릭)
무종교
정치
정치 체제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국왕찰스 3세
총리리시 수낙
의회영국 의회
역사
성립1707년 잉글랜드 왕국과 스코틀랜드 왕국의 통합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1801년
현재 국명 변경1922년 아일랜드 자유국 독립
경제
통화파운드 스털링(GBP)
GDP (명목)3조 3,800억 달러 (2022년)
1인당 GDP (명목)50,000 달러 (2022년)
주요 산업금융, 서비스, 제조업, 관광
음악 산업
산업 규모유럽 최대, 세계 3위
국가 코드
ISO 3166-1GB / GBR
국가 도메인.uk
전화 코드+44

2. 역사

《장미의 로망》의 영국 미니어처


영국 음악은 중세부터 바로크 시대를 거쳐 현대 클래식 음악에 이르기까지, 종교 음악과 세속 음악을 아우르며 다양한 발전을 이루어왔다.[11] 각 지역별로 고유한 음악 양식과 악기를 유지하면서도, 대륙의 영향을 받아 유럽 음악의 주요 흐름에 기여했다.[12]

16세기 엘리자베스 시대는 영국의 황금기로, 셰익스피어와 같은 문학가와 더불어 음악 분야에서도 뛰어난 작품들이 많이 나왔다. 탈리스는 간결하고 명쾌한 양식의 영국 교회음악에 공헌했으며, 대위법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버드는 교회 음악, 세속 합창곡, 버지널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뛰어난 기교와 독창적인 양식을 선보였다.[12] 16세기 말부터 17세기 초, 버드를 비롯한 버지널리스트들은 하프시코드의 일종인 버지널을 위한 음악을 작곡했다. 이들의 작품은 《파르테니아》(1610), 《피츠윌리엄 버지널의 책》(1625년경) 등의 곡집에 수록되어 있으며, 춤곡, 변주곡, 프렐류드, 판타지아 등이 있다.

바로크 시대에는 3국 전쟁과 공화국으로 인해 궁정음악이 혼란을 겪었으나, 스튜어트 왕가 복원 이후 다시 음악 후원이 활발해졌다.[14] 17세기 후반에는 영어 오페라가 발전했다.[13]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은 독일 출신이지만 영국에 귀화하여 영국과 대륙의 음악을 통합하고, 영국의 클래식 음악의 미래를 정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7]

18세기에는 유럽 클래식 전통을 이어받아 음악 작곡, 연주, 교육이 발전했으며, 19세기에는 낭만주의 민족주의의 영향으로 국가적 정체성을 반영한 음악이 등장했다.[18][19] 아서 설리번, 구스타브 홀스트, 에드워드 엘가, 허버트 패리, 랄프 본 윌리엄스, 벤저민 브리튼 등이 이 시기에 활동한 대표적인 작곡가들이다.[20]

2. 1. 중세 시대 (11세기 ~ 15세기)

11세기 이후, 세럼(솔즈베리의 옛 이름)에서 솔즈베리 성가가 발달했으며, 이 성가는 잉글랜드 교회가 성립될 때까지 성행했다.[11] 13세기 말에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카논인 "여름이 왔네 (Sumer is icumen in)"가 작곡되었다. 13세기 전후 프랑스의 카롤이라는 무곡이 영국에 전해져, 14~15세기에 수많은 캐롤이 만들어졌다. 캐롤은 500편의 가사와 100곡이 넘는 선율이 남아있다.

14세기부터 15세기에는 영국 특유의 3도와 6도 화음을 이용한 다성 음악 기법이 개발되었다. 영국은 섬나라이며, 백년 전쟁으로 대륙과의 접촉이 끊기자, 대륙에서 쇠퇴한 기법(예: 노트르담 악파의 이소리듬)이 계속 사용되었고, 독자적으로 발전했다. 백년 전쟁 말기에 잉글랜드 왕국이 북 프랑스를 점령하면서 대륙과 영국의 음악가 교류가 시작되었다. 이 시대의 중요한 작곡가로는 리오넬 파워(1375년경 - 1445년)와 존 던스터블(1380년경 - 1453년)이 있다. 특히 던스터블은 대륙에 영국의 화음 기법을 전파하여 부르고뉴 악파를 성립시키는 동시에 영국에 프랑스의 새로운 기법(포부르동)을 전했다.[12]

2. 2. 르네상스 시대 (16세기 ~ 17세기 초)

헨리 8세(1491년 - 1547년)는 1509년에 왕위에 올라 영국의 음악 활동을 활발하게 이끌었다. 음악에 조예가 깊었던 헨리 8세는 'Pastime with Good Company'와 같은 합창곡을 작곡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캐서린 왕비와의 이혼 및 앤 불린과의 재혼 문제로 클레멘스 7세 교황과 대립했고, 1534년 국왕 지상법을 발포하여 잉글랜드 국교회를 수립하고 로마 가톨릭 교회와 결별했다.[13]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르네상스 음악 시기 토머스 탈리스와 윌리엄 버드는 라틴어(가톨릭)와 영어(잉글랜드 국교회) 곡을 모두 작곡하며 활약했다. 특히 윌리엄 버드는 가톨릭 신자로서 잉글랜드 국교회와의 갈등 속에서 라틴어 미사곡을 작곡했는데, 이는 르네상스 시대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셰익스피어의 극 중에도 등장하는 토머스 몰리는 세속 음악을 발전시켰고, 존 다울랜드는 뛰어난 류트 작품과 가곡을 남겼다.[13]

엘리자베스 시대 후기에는 이탈리아 마드리갈의 영향을 받아 잉글리시 마드리갈이 다수 작곡되었다. 토머스 톰킨스, 올랜드 기번스, 토머스 몰리 등이 대표적인 작곡가로 알려져 있다. 또한, 르네상스 후기 영국의 기악 음악 발전도 주목할 만하다.

16세기 말부터 17세기 초, 윌리엄 버드를 비롯한 버지널리스트들은 버지널을 위한 음악을 작곡했다. 이들의 대표 작품은 <파르테니아(Parthenia, 1610)>, <피츠윌리엄 버지널의 책(Fitzwilliam Virginal Book, 1625년경)> 등의 곡집에 수록되어 있으며, 춤곡, 변주곡, 프렐류드, 판타지아 등이 포함되어 있다.

  • 주요 작곡가

이름생몰년주요 활동
헨리 8세1491년 - 1547년
윌리엄 코니시
로버트 페어팩스
존 태버너
크리스토퍼 타이1500년 - 1573년
토마스 탈리스1505년경 - 1585년
존 셰퍼드
로버트 화이트
윌리엄 버드1542년경 - 1623년
올랜드 기번스1583년 - 1625년
토마스 윌크스
토마스 톰킨스1572년 - 1656년
피터 필립스
토마스 몰리1557년 - 1602년
자일스 파르나비
존 다울랜드1563년 - 1626년


2. 3. 바로크 시대 (17세기 중후반 ~ 18세기 초)

헨리 퍼셀바로크 음악 시대에 활약한 영국의 음악가이다.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영향을 받았지만 독자적인 음악을 창조했다. 그러나 그의 생애는 36년으로 짧았다.[14] 이후, 독일에서 이주, 귀화한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이 활약했다.[17] 퍼셀 사후에 태어난 윌리엄 보이스, 토머스 아른 등은 고전파 직전의 영국의 작곡가들이다.

2. 4. 고전주의 시대 이후 (18세기 후반 ~ 현재)

영국에서의 음악 작곡, 연주 및 훈련은 18세기의 유럽 클래식 전통(헨델의 예)을 이어받았으며 19세기에 크게 확장되었다.[18] 19세기 말, 낭만주의 민족주의는 영국 연합 왕국 내에서 명확한 국가적 정체성과 감성을 장려하여 주목할 만한 많은 작곡가와 음악가를 배출하고 민속 전통에 의존했다.[19]

이러한 전통은 영국 연합 왕국의 구성 국가 및 지방에서 파생된 문화적 경향을 포함하여 아서 설리번, 구스타브 홀스트, 에드워드 엘가, 허버트 패리, 랄프 본 윌리엄스, 벤저민 브리튼과 같은 작곡가들의 작품을 통해 독특한 방식으로 계속 발전했다.[20] 주목할 만한 현존하는 영국의 클래식 작곡가로는 마이클 나이먼, 제임스 맥밀란, 주디스 웨어 등이 있다.

3. 민속 음악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 각 지역은 고유한 민속 음악 전통을 가지고 있다. 19세기 말부터 민속 음악 부흥 운동이 일어나 전통 음악이 보존되고 현대적으로 계승되었다.[21]


  • '''잉글랜드''': 잉글랜드는 중세 시대부터 이어져 온 다양한 민속 음악, 노래, 춤을 보유하고 있다. 19세기 후반부터 세 차례의 부흥 운동을 통해 전통이 보존되고 영국 포크 록, 포크 펑크, 포크 메탈 등 다양한 장르와 융합되었다.[21] 노섬브리아, 콘월과 같은 지역에서 특히 활발하다.[22]
  • '''아일랜드''': 바이올린과 같은 전통 악기가 여전히 인기를 유지하며 활발한 민속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밴 모리슨은 북아일랜드 출신으로 민속 전통의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현대 음악가이다.
  • '''스코틀랜드''': 백파이프, 바이올린, 하프 반주에 맞춰 부르는 발라드애가 등 다양한 종류의 노래가 있다. 전통 춤으로는 왈츠, 릴, 스트라스페이, 지그 등이 있다. 1960년대 뿌리 부흥을 통해 캐시-앤 맥피, 지니 로버트슨과 같은 인물들이 등장했고, 클루사, 더 휘슬빈키스, 더 보이즈 오브 더 로, 인크레더블 스트링 밴드와 같은 그룹들이 밴드 형식에 혁명을 일으켰다.

스코틀랜드 전통 그룹 태너힐 위버스

  • '''웨일스''': 켈트 국가인 웨일스는 툼파스 (공동체 춤)와 그윌 웨린 (음악 축제)에서 연주되는 민속 음악이 특징이다. 남성 합창단과 하프 반주 노래도 포함된다. 20세기 후반 뿌리 부활 운동을 통해 로빈 휴 보웬, 모니아스, 게리노스와 같은 연주자들이 전통 음악을 재건하고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4. 대중 음악

영국은 미국 대중 음악의 영향을 받았지만, 독자적인 발전을 통해 세계 대중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27] 1950년대 후반부터 영국의 젊은 음악가들은 로큰롤을 포함한 미국 음악을 자신들만의 스타일로 재해석하며 독특한 음악적 환경을 만들어냈다. 1960년대 초, 비틀즈를 필두로 한 브리티시 인베이전은 영국 음악가들을 팝 음악록 음악 발전의 주요 주역으로 만들었다.[9]

롤링 스톤스하드 록을 정의하는 강렬한 사운드를 개척했고,[30] 블랙 사바스딥 퍼플헤비 메탈을 창조했다.[31] 섹스 피스톨스는 1970년대 펑크 하위 문화를 촉발시켰다.[33] 데이비드 보위글램 록을 대표하는 음악가로, 화려한 의상과 메이크업, 반짝이 등으로 유명했다.[32]

1990년대에는 걸 밴드 스파이스 걸스브릿팝 밴드 블러, 오아시스쿨 브리타니아 문화를 이끌며 영국에 낙관적인 분위기를 가져왔다.[44]

21세기에는 에이미 와인하우스, 아델, 에드 시런 등이 블루 아이드 소울 장르를 통해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다.[48] 특히 아델은 여러 음반 판매 및 차트 기록을 경신하며, 미국 외 국가 출신 여성 중 가장 많은 그래미 상을 수상했다.[49]

21세기에는 이민자들의 영향으로 영국 아프리카계 카리브인들은 그라임, 아프로비츠, 아프로스윙을 만들었으며, 그라임은 "수십 년 동안 영국에서 가장 중요한 음악적 발전"으로 평가받는다.[53] 영국 아시아인들은 남아시아 디아스포라 내에서 방라를 대중화시켰다.

4. 1. 주요 장르

영국은 다양한 장르의 음악이 발전한 곳으로, 세계 대중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주요 장르는 다음과 같다.

장르설명대표 음악가
팝 록비틀즈
하드 록거칠고 강력한 사운드롤링 스톤스
헤비메탈블랙 사바스, 딥 퍼플
펑크 록1970년대 펑크 하위 문화 부상섹스 피스톨스
글램 록화려한 의상, 메이크업, 통굽 신발, 반짝이 등데이비드 보위
프로그레시브 록인도 라가, 동양 멜로디, 그레고리오 성가 등 다양한 음악 스타일과 로큰롤 결합비틀즈, 더 야드버즈
아트 록예술 학교 경험 바탕, 예술과 독창성 기반 접근 방식
뉴 웨이브1976년 말 등장, 펑크로부터 분리
고딕 록1970년대 후반 포스트 펑크에서 발전수지 앤 더 밴시즈, 조이 디비전, 바우하우스, 더 큐어
블루스 록|
스카|
영국 포크 록|
포크 펑크|
슈게이징|
브릿팝블러, 오아시스
아방 펑크|
네오 소울|
애시드 재즈|
트립 합|
덥스텝|
인더스트리얼 음악|
그라임"수십 년 동안 영국에서 가장 중요한 음악적 발전"
아프로비츠|
아프로스윙|
방라남아시아 디아스포라 내에서 대중화


5. 주요 음악가 (클래식)

16세기 영국은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의 통치 아래 문화적 황금기를 맞이했으며, 윌리엄 셰익스피어와 같은 문학 거장들이 탄생했다. 이 시기에는 기악과 성악 모두에서 뛰어난 음악 작품들이 많이 나왔다. 영국의 교회 음악 발전에 기여한 대표적인 작곡가로는 크리스토퍼 타이(1500-1573)와 토머스 탈리스(1505경-1585)가 있으며, 이들의 작품은 간결하고 명쾌한 특징을 지녔다. 특히 토머스 탈리스는 대위법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12]

엘리자베스 1세 시대 최고의 작곡가로 꼽히는 윌리엄 버드(1542경-1623)는 교회 음악뿐만 아니라 세속 합창곡, 비올을 위한 실내악, 건반 악기 음악 등 당대 유행했던 모든 장르에서 뛰어난 역량을 발휘했다. 그는 독창적인 형식과 양식을 개척하여 다음 세대에 큰 영향을 주었다. 윌리엄 버드는 종교 및 세속 합창곡에서 영어 특유의 리듬감을 살린 대위법 기교를 선보이며 영국 마드리갈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은 건반 악기 분야, 특히 버지널을 위한 작품들에서 찾을 수 있다. 버지널은 건반이 달린 옛 발현악기로, 당시 영국에서 유행하던 쳄발로(하프시코드)의 일종이다. 16세기 말부터 17세기 초까지 윌리엄 버드를 비롯하여 버지널을 위해 음악을 작곡한 음악가들을 '버지널리스트'라고 부른다. 이들의 대표 작품은 《파르테니아(Parthenia, 1610)》와 《피츠윌리엄 버지널 북(Fitzwilliam Virginal Book, 1625년경)》 등의 곡집에 수록되어 있으며, 춤곡, 변주곡, 프렐류드, 판타지아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후 영국 음악은 바로크 시대를 거쳐 현대 클래식 음악으로 발전하면서 유럽 대륙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발라드 오페라 창작과 같이 영국 고유의 전통을 만들려는 노력도 이어졌다.[16] 이 시기 가장 중요한 영국 작곡가로 꼽히는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은 독일 출신 귀화 음악가였지만, 영국과 유럽 대륙의 음악을 융합하여 영국 클래식 음악의 미래를 정의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17]

19세기 말, 낭만주의 민족주의의 영향으로 영국 내에서는 독자적인 국가적 정체성과 감성을 담은 음악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아서 설리번, 구스타브 홀스트, 에드워드 엘가, 허버트 패리, 랄프 본 윌리엄스, 벤자민 브리튼 등이 이 시기의 대표적인 작곡가들이다.[19] 이후에도 마이클 티펫, 피터 맥스웰 데이비스, 해리슨 버트위슬 등 여러 작곡가들이 영국 음악의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켰다.[20] 현대의 주목할 만한 영국 클래식 작곡가로는 마이클 나이먼, 제임스 맥밀란, 제레미 페이튼 존스, 게빈 브라이어스, 앤드루 포피, 주디스 웨어, 샐리 비미쉬, 안나 메러디스 등이 있다.

5. 1. 작곡가

16세기 영국은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의 통치 아래 문화적 황금기를 맞이했으며, 윌리엄 셰익스피어와 같은 문학 거장들이 탄생했다. 이 시기에는 기악과 성악 모두에서 뛰어난 음악 작품들이 많이 나왔다. 영국의 교회 음악 발전에 기여한 대표적인 작곡가로는 크리스토퍼 타이(1500-1573)와 토머스 탈리스(1505경-1585)가 있으며, 이들의 작품은 간결하고 명쾌한 특징을 지녔다. 특히 토머스 탈리스는 대위법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12]

엘리자베스 1세 시대 최고의 작곡가로 꼽히는 윌리엄 버드(1542경-1623)는 교회 음악뿐만 아니라 세속 합창곡, 비올을 위한 실내악, 건반 악기 음악 등 당대 유행했던 모든 장르에서 뛰어난 역량을 발휘했다. 그는 독창적인 형식과 양식을 개척하여 다음 세대에 큰 영향을 주었다.

윌리엄 버드는 종교 합창곡과 세속 합창곡에서 영어 특유의 리듬감을 살린 대위법 기교를 선보이며 영국 마드리갈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은 건반 악기 분야에서 찾을 수 있는데, 특히 버지널을 위한 작품들이 대표적이다. 버지널은 건반이 달린 옛 발현악기로, 당시 영국에서 유행하던 쳄발로(하프시코드)의 일종이다.

16세기 말부터 17세기 초까지 윌리엄 버드를 비롯하여 버지널을 위해 음악을 작곡한 음악가들을 '버지널리스트'라고 부른다. 이들의 대표 작품은 《파르테니아(Parthenia, 1610)》와 《피츠윌리엄 버지널 북(Fitzwilliam Virginal Book, 1625년경)》 등의 곡집에 수록되어 있으며, 춤곡, 변주곡, 프렐류드, 판타지아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후 영국 음악은 바로크 시대를 거쳐 현대 클래식 음악으로 발전하면서 유럽 대륙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발라드 오페라 창작과 같이 영국 고유의 전통을 만들려는 노력도 이어졌다.[16] 이 시기 가장 중요한 영국 작곡가로 꼽히는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은 독일 출신 귀화 음악가였지만, 영국과 유럽 대륙의 음악을 융합하여 영국 클래식 음악의 미래를 정의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17]

19세기 말, 낭만주의 민족주의의 영향으로 영국 내에서는 독자적인 국가적 정체성과 감성을 담은 음악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는 아서 설리번, 구스타브 홀스트, 에드워드 엘가, 허버트 패리, 랄프 본 윌리엄스, 벤저민 브리튼 등 뛰어난 작곡가들이 등장하여 민족적 전통에 기반한 음악을 선보였다.[19]

이후에도 마이클 티펫, 피터 맥스웰 데이비스, 해리슨 버트위슬 등 여러 작곡가들이 영국 음악의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켰다.[20] 현대의 주목할 만한 영국 클래식 작곡가로는 마이클 나이먼, 제임스 맥밀란, 제레미 페이튼 존스, 게빈 브라이어스, 앤드루 포피, 주디스 웨어, 샐리 비미쉬, 안나 메러디스 등이 있다.

5. 2. 지휘자

5. 3. 연주가

5. 4. 앙상블/오케스트라

이름
런던 교향악단
런던 필하모니아 관현악단
필하모니아 관현악단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BBC 교향악단
버밍엄 시립 교향악단
할레 관현악단
본머스 교향악단
로열 스코티시 국립 관현악단


참조

[1] 논문 American Folklife Center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8-21
[2] 웹사이트 Music and the Revolution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2-08-26
[3] 웹사이트 Old-time music https://www.last.fm/[...] 2022-08-21
[4] 논문 Joplin, Scott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8-21
[5] 웹사이트 blues Definition, Artists, History, Characteristics, Types, Songs,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8-21
[6] 웹사이트 TSHA Country Music https://www.tshaonli[...] 2022-08-21
[7] 웹사이트 History of Bluegrass Music https://bluegrassher[...] 2022-08-21
[8]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Article https://www.britanni[...] 2011-01-18
[9] 웹사이트 Pop http://www.oxfordmus[...] 2010-03-14
[10] 웹사이트 Pop http://www.oxfordmus[...] 2010-03-09
[11]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C. 1415- C. 15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A Concise History of Music Frederick Ungar
[13] 서적 Music on the Shakespearian St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서적 England ii, 1603-1642 Boydell
[1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eventeenth-Century Mus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Complete Book of Light Opera Appleton-Century-Crofts
[17] 서적 Materializing Religion: Expression, Performance and Ritual Ashgate Publishing
[18] 서적 Musical Visitors to Britain Routledge
[19] 서적 Electric Folk: The Changing Face of English Traditional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20] 서적 Harvard Dictionary of Music Series I: Diaries Harvard University Press
[21] 서적 The Imagined Village: Culture, Ideology, and the English Folk Revival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2] 서적 Electric Folk: The Changing Face of English Traditional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23] 서적 Popular literature Routledge
[24] 서적 The British Brass Band: a Musical and Social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5] 서적 London Theatres and Music Halls 1850-1950
[26] 서적 The evolution of jazz in Britain, 1880-1935 Ashgate Publishing, Ltd.
[27] 서적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British culture Taylor & Francis
[28] 잡지 Why David Bowie Was the Greatest Rock Star Ever https://www.rollings[...] 2020-09-15
[29] 웹사이트 Pop/Rock » Psychedelic/Garage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0-08-06
[30] 웹사이트 The Rolling Stones Biography & History https://www.allmusic[...] 2020-07-22
[31] 서적 History of Rock and Roll https://books.google[...] Kendall/Hunt Pub. 2020-09-15
[32] 백과사전 Glam Rock https://web.archive.[...] 2008-12-21
[33] 잡지 The Sex Pistols https://archive.toda[...] 2010-05-24
[34] 서적 Up Yours! A Guide to UK Punk, New Wave & Early Post Punk Borderline Publications
[35] 웹사이트 NME Originals: Goth https://web.archive.[...] 2013-09-30
[36] 웹사이트 Various Artists: ''A Life Less Lived: The Gothic Box'' https://pitchfork.co[...] 2007-01-24
[37] 학술지 A Rare Glimpse into a Private World 1983-07-01
[38] 웹사이트 Subscribe to The Australian | Newspaper home delivery, website, iPad, iPhone & Android apps https://www.theaustr[...]
[39] 뉴스 MTV launches the 'second British invasion' https://www.theguard[...]
[40] 서적 Rip It Up and Start Again Postpunk 1978–1984
[41] 웹사이트 Band Bio https://www.ironmaid[...] ironmaiden.com
[42] 뉴스 Culture Club, Police, Duran Duran lead Second Invasion Scripps-Howard News Service printed by The Pittsburgh Press October 31, 1984 https://news.google.[...]
[43] 잡지 Keeping the 'Faith': Six Writers Remember the Six Classic Hit Singles From George Michael's 30-Year-Old Debut https://www.billboar[...]
[44] 뉴스 This time I've come to bury Cool Britannia https://www.theguard[...] 2009-03-29
[45] 웹사이트 British Soul http://allmusic.com/[...]
[46] 웹사이트 Dubstep Music Genre Overview https://www.allmusic[...]
[47] 웹사이트 Local Groove Does Good: The Story Of Trip-Hop's Rise From Bristol https://www.npr.org/[...]
[48] 웹사이트 Adele: Biography https://www.allmusic[...]
[49] 잡지 Beyoncé, Taylor Swift & Lady Gaga Could All Move Up List of Female Artists With the Most Grammys https://www.billboar[...] 2019-11-26
[50] 뉴스 Ed Sheeran named 'artist of the decade' https://www.bbc.co.u[...]
[51] 웹사이트 Little Mix: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the UK's biggest girl group . https://heatworld.co[...]
[52] 웹사이트 Little Mix are ready to own their status as the biggest girl band in the world https://www.gaytimes[...] 2020-11-04
[53] 뉴스 Academic study finds grime as 'disruptive and powerful' as punk https://www.bbc.co.u[...] 2017-1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