첼로 소나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첼로 소나타는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또는 소나티네를 의미하며, 첼로 독주 악기로서의 위상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바로크 시대에는 비발디, 보케리니 등이 첼로 소나타를 작곡했고, 고전주의 시대에는 베토벤이 첼로의 가능성을 탐구했다. 낭만주의 시대에는 브람스, 쇼팽, 라흐마니노프 등이 첼로 소나타를 작곡했으며, 20세기와 현대에도 다양한 작곡가들이 첼로 소나타를 작곡했다. 또한, 다른 악기를 위한 소나타를 첼로로 편곡하여 연주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첼로 소나타 - 첼로 소나타 (라흐마니노프)
첼로 소나타는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가 1901년에 작곡하여 친구 아나톨리 브란두코프에게 헌정한 4악장 구성의 낭만주의 시대 소나타이다. - 첼로 소나타 - 첼로 소나타 (프로코피예프)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가 작곡하고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와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에 의해 초연된 첼로 소나타는 3악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작곡가 연맹의 검열과 니콜라이 먀스콥스키의 극찬 속에 작품성을 인정받은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이다.
첼로 소나타 | |
---|---|
작품 정보 | |
장르 | 소나타 |
악기 구성 | 첼로, 피아노 |
조성 | A단조 |
작품 번호 | D. 821 |
작곡가 | 프란츠 슈베르트 |
작곡 연도 | 1824년 |
헌정 대상 | 빈첸츠 슈스터 |
초연 | 1824년 |
출판 | 1871년 |
다른 악기를 위한 편곡 | 비올라, 플루트, 클라리넷 |
악장 구성 | |
1악장 | Allegro moderato (A단조) |
2악장 | Adagio (E장조) |
3악장 | Allegro moderato (A장조) |
관련 음원 |
2. 역사
첼로는 초기에는 반주 악기로 사용되었고, 비올라 다 감바나 비올로네를 대신했다.[1] 그러다 도메니코 가브리엘리가 작곡한 '리체르카레'를 통해 처음으로 독주 악기 지위를 얻었다.[1] 이후 첼로 소나타는 이탈리아 각지로 퍼져 안토니오 칼다라, 베네데토 마르첼로 등이 베네치아에서 첼로 소나타를 작곡했다.[1] 바로크 후기 프랑스에서 첼로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안토니오 비발디나 프란체스코 제미니아니는 같은 출판사에서 첼로 소나타집을 출판했다.[1]
루트비히 판 베토벤은 첼로를 독주 악기로 본격적으로 다룬 작곡가로, 다섯 곡의 첼로 소나타를 썼다. 요하네스 브람스는 낭만주의 첼로 소나타를 작곡했다.
세자르 프랑크의 바이올린 소나타 가장조나 브람스의 바이올린 소나타 1번(비의 노래)처럼, 기존의 바이올린 소나타를 첼로 소나타로 연주하기도 한다.[1] 프란츠 슈베르트의 아르페조네 소나타도 첼로로 연주되는 유명한 예이다.[1]
바흐의 작품이 재조명되면서, 이자이와 졸탄은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에 영향을 받아 무반주 첼로 소나타를 작곡했다.[1]
2. 1. 바로크 시대
제미니아니, 안토니오 비발디, 보케리니 등은 18세기 초에 초기 첼로 소나타 형식을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연도 | 작곡가 | 작품 |
---|---|---|
1696 | 주세페 마리아 자키니 | 소나타 3번 |
18세기 초 ~ 1739 | 베네데토 마르첼로 | 최소 12개의 첼로 소나타 |
18세기 초 ~ 1741 | 안토니오 비발디 | 최소 9개의 첼로 소나타 |
1760년대 ~ 1805 | 루이지 보케리니 | 최소 19개의 첼로 소나타 |
초기에는 첼로가 반주 악기로 사용되었고, 비올라 다 감바나 비올로네를 대신하였다. 그러다 볼로냐의 도메니코 가브리엘리가 작곡한 '리체르카레'를 통해 처음으로 독주 악기로서의 지위를 부여받은 것으로 여겨진다.[1] 그 후 첼로 소나타는 이탈리아 각지로 퍼져 안토니오 칼다라, 베네데토 마르첼로 등이 베네치아에서 첼로 소나타를 작곡했다.[1] 바로크 후기에 프랑스에서 첼로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안토니오 비발디나 프란체스코 제미니아니는 같은 출판사에서 첼로 소나타집을 출판하기도 했다.[1]
2. 2. 고전주의 시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은 독주 악기로서 첼로를 본격적으로 다룬 작곡가로, 다섯 곡의 첼로 소나타를 썼다. 고전주의 이전에는 제미니아니, 안토니오 비발디, 보케리니 등이 첼로 소나타 형식의 곡을 썼다.연도 | 작곡가 | 작품 | 조표 | 작품 번호 |
---|---|---|---|---|
1760년대 ~ 1805 | 루이지 보케리니 | 최소 19개의 첼로 소나타 | ||
1796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첼로 소나타 1번 | 바장조 | Op. 5, No. 1 |
1796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첼로 소나타 2번 | 사단조 | Op. 5, No. 2 |
1807-8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첼로 소나타 3번 | 가장조 | Op. 69 |
1815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첼로 소나타 4번 | 다장조 | Op. 102, No. 1 |
1815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첼로 소나타 5번 | 라장조 | Op. 102, No. 2 |
2. 3. 낭만주의 시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은 첼로를 독주 악기로 본격적으로 다룬 작곡가로, 다섯 곡의 첼로 소나타를 작곡했다.[1] 낭만주의 시대에 가장 유명한 첼로 소나타는 요하네스 브람스가 작곡한 것이다.[1]프랑크의 "바이올린 소나타 가장조"나 브람스의 "바이올린 소나타 1번"("비의 노래")와 같이 기존의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를 첼로 소나타로 연주하는 사례도 있다.[1] 슈베르트의 "아르페조네 소나타"도 비슷하게 편곡되어 첼로로 연주되는 유명한 예이다.[1]
바흐의 작품이 재조명되면서, 이자이와 졸탄은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에 영향을 받아 무반주 첼로 소나타를 작곡하기도 했다.[1]
다음은 낭만주의 시대의 주요 첼로 소나타 및 첼로 독주곡들을 연도순으로 나열한 표이다.
연도 | 작곡가 | 작품 | 조표 | 작품 번호 |
---|---|---|---|---|
1820 | 조르주 온슬로 | 첼로 소나타 1번 | 바장조 | Op. 16, No. 1 |
1820 | 조르주 온슬로 | 첼로 소나타 2번 | 다단조 | Op. 16, No. 2 |
1820 | 조르주 온슬로 | 첼로 소나타 3번 | 가장조 | Op. 16, No. 3 |
1838 | 펠릭스 멘델스존 | 첼로 소나타 1번 | 내림 나장조 | Op. 45 |
1842-3 | 펠릭스 멘델스존 | 첼로 소나타 2번 | 라장조 | Op. 58 |
1846 | 프레데리크 쇼팽 | 첼로 소나타 | 사단조 | Op. 65 |
1856 | 에두아르 라로 | 첼로 소나타 | 가단조 | |
1856 | 샤를 발랑탱 알캉 | 연주회용 소나타 | 마장조 | Op. 47 |
1862-5 | 요하네스 브람스 | 첼로 소나타 1번 | 마단조 | Op. 38 |
1872-3 | 카미유 생상스 | 첼로 소나타 1번 | 다단조 | Op. 32 |
1883 | 에드바르 그리그 | 첼로 소나타 | 가단조 | Op. 36 |
1883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 첼로 소나타 | 바장조 | Op. 6 |
1886 | 요하네스 브람스 | 첼로 소나타 2번 | 바장조 | Op. 99 |
1892 | 막스 레거 | 첼로 소나타 1번 | 바단조 | Op. 5 |
1898 | 막스 레거 | 첼로 소나타 2번 | 사단조 | Op. 28 |
1899 | 에르뇌 도흐나니 | 첼로 소나타 | 내림 나장조 | Op. 8 |
1901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첼로 소나타 | 사단조 | Op. 19 |
1904 | 막스 레거 | 첼로 소나타 3번 | 바장조 | Op. 78 |
1905 | 카미유 생상스 | 첼로 소나타 2번 | 바장조 | Op. 123 |
1907 | 코다이 졸탄 | 첼로 소나타 | Op. 4 | |
1907 | 샤를-마리 비도르 | 첼로 소나타 | 가장조 | Op. 80 |
1910 | 막스 레거 | 첼로 소나타 4번 | 가단조 | Op. 116 |
1910-11 | 알베릭 마그나르 | 첼로 소나타 | 가장조 | Op. 20 |
1911 | 니콜라이 미야스코프스키 | 첼로 소나타 1번 | 라장조 | Op. 12 |
1912 | 막스 레거 | 첼로 모음곡 1, 2, 3번 | 사장조, 라단조 & 가단조 | Op. 131 |
1913 | 도라 페야체비치 | 첼로 소나타 | 마단조 | Op. 35 |
1915 | 클로드 드뷔시 | 첼로 소나타 | 라단조 | L. 135 |
1915 | 코다이 졸탄 | 무반주 첼로 소나타 | Op. 8 | |
1916 | 프레데릭 델리우스 | 첼로 소나타 | 라단조 | |
1913-17 | 프랭크 브리지 | 첼로 소나타 | 라단조 | |
1917 | 가브리엘 포레 | 첼로 소나타 1번 | 라단조 | Op. 109 |
1921 | 가브리엘 포레 | 첼로 소나타 2번 | 사단조 | Op. 117 |
1923 | 파울 힌데미트 | 첼로를 위한 독주 소나타 | Op. 25 No. 3 | |
1923 | 존 아일랜드 | 첼로 소나타 | 사단조 | |
1929 | 벨러 버르토크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랩소디 | Sz 88 | |
1932 | 새뮤얼 바버 | 첼로 소나타 | 다단조 | Op. 6 |
1932-33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이탈리아 모음곡 | ||
1934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첼로 소나타 | 라단조 | Op. 40 |
1938 | 니콜라이 미야스코프스키 | 첼로 소나타 2번 | Op. 81 | |
1939 | 보후슬라프 마르티누 | 첼로 소나타 1번 | ||
1941 | 보후슬라프 마르티누 | 첼로 소나타 2번 | ||
1944 | 졸탄 가르도니 | 첼로 소나타 | ||
1948 | 프랑시스 풀랑크 | 첼로 소나타 | Op 143 | |
1948 | 엘리엇 카터 | 첼로 소나타 | ||
1949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첼로 소나타 | 다장조 | Op. 119 |
1949 | 앨런 러스손 | 첼로 소나타 | ||
1952 | 보후슬라프 마르티누 | 첼로 소나타 3번 | ||
1956-57 | 어네스트 블로흐 | 첼로 모음곡 1, 2, 3번 | ||
1961 | 벤자민 브리튼 | 첼로 소나타 | 다장조 | |
1962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첼로 소나타 | 내림 나장조 | Op. 71 |
1964 | 벤자민 브리튼 | 첼로 독주 모음곡 1번 | 사장조 | Op. 72 |
1966 | 카렌 하차투리안 | 첼로 소나타 | ||
1967 | 벤자민 브리튼 | 첼로 독주 모음곡 2번 | 라장조 | Op. 80 |
1971 | 벤자민 브리튼 | 첼로 독주 모음곡 3번 | Op. 87 | |
1978 | 알프레트 슈니트케 | 첼로 소나타 |
2. 4. 20세기와 현대
바흐의 작품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이에 영감을 받은 작품들이 이 분야에도 나타나게 되었다. 이자이나 졸탄의 무반주 첼로 소나타는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에 영향을 받았다.다음 목록은 주요 소나타와 첼로와 피아노 또는 첼로 독주를 위한 동등한 작품들을 완성 연도 순으로 정렬한 것이다. (불가피하게 불완전함) 이 목록은 날짜의 불확실성과 초판 또는 개정판이 최종본인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연도 | 작곡가 | 작품 | 조표 | 작품 번호 |
---|---|---|---|---|
1901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첼로 소나타 | 사단조 | Op. 19 |
1904 | 막스 레거 | 첼로 소나타 3번 | 바장조 | Op. 78 |
1905 | 카미유 생상스 | 첼로 소나타 2번 | 바장조 | Op. 123 |
1907 | 코다이 졸탄 | 첼로 소나타 | Op. 4 | |
1907 | 샤를-마리 비도르 | 첼로 소나타 | 가장조 | Op. 80 |
1910 | 막스 레거 | 첼로 소나타 4번 | 가단조 | Op. 116 |
1910-11 | 알베릭 마그나르 | 첼로 소나타 | 가장조 | Op. 20 |
1911 | 니콜라이 미야스코프스키 | 첼로 소나타 1번 | 라장조 | Op. 12 |
1912 | 막스 레거 | 첼로 모음곡 1, 2, 3번 | 사장조, 라단조 & 가단조 | Op. 131 |
1913 | 도라 페야체비치 | 첼로 소나타 | 마단조 | Op. 35 |
1915 | 클로드 드뷔시 | 첼로 소나타 | 라단조 | L. 135 |
1915 | 코다이 졸탄 | 무반주 첼로 소나타 | Op. 8 | |
1916 | 프레데릭 델리우스 | 첼로 소나타 | 라단조 | |
1913-17 | 프랭크 브리지 | 첼로 소나타 | 라단조 | |
1917 | 가브리엘 포레 | 첼로 소나타 1번 | 라단조 | Op. 109 |
1921 | 가브리엘 포레 | 첼로 소나타 2번 | 사단조 | Op. 117 |
1923 | 파울 힌데미트 | 첼로를 위한 독주 소나타 | Op. 25 No. 3 | |
1923 | 존 아일랜드 | 첼로 소나타 | 사단조 | |
1929 | 벨러 버르토크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랩소디 | Sz 88 | |
1932 | 새뮤얼 바버 | 첼로 소나타 | 다단조 | Op. 6 |
1932-33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이탈리아 모음곡 | ||
1934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첼로 소나타 | 라단조 | Op. 40 |
1938 | 니콜라이 미야스코프스키 | 첼로 소나타 2번 | Op. 81 | |
1939 | 보후슬라프 마르티누 | 첼로 소나타 1번 | ||
1941 | 보후슬라프 마르티누 | 첼로 소나타 2번 | ||
1944 | 졸탄 가르도니 | 첼로 소나타 | ||
1948 | 프랑시스 풀랑크 | 첼로 소나타 | Op 143 | |
1948 | 엘리엇 카터 | 첼로 소나타 | ||
1949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첼로 소나타 | 다장조 | Op. 119 |
1949 | 앨런 러스손 | 첼로 소나타 | ||
1952 | 보후슬라프 마르티누 | 첼로 소나타 3번 | ||
1956-57 | 어네스트 블로흐 | 첼로 모음곡 1, 2, 3번 | ||
1961 | 벤자민 브리튼 | 첼로 소나타 | 다장조 | |
1962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첼로 소나타 | 내림 나장조 | Op. 71 |
1964 | 벤자민 브리튼 | 첼로 독주 모음곡 1번 | 사장조 | Op. 72 |
1966 | 카렌 하차투리안 | 첼로 소나타 | ||
1967 | 벤자민 브리튼 | 첼로 독주 모음곡 2번 | 라장조 | Op. 80 |
1971 | 벤자민 브리튼 | 첼로 독주 모음곡 3번 | Op. 87 | |
1978 | 알프레트 슈니트케 | 첼로 소나타 |
루트비히 판 베토벤은 독주 악기로서 첼로를 본격적으로 다룬 작곡가이며, 요하네스 브람스는 가장 유명한 낭만주의 첼로 소나타를 작곡했다.[4]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작품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외젠 이자이와 코다이 졸탄의 무반주 첼로 소나타처럼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에 영향을 받은 작품들이 나타났다.[4]
3. 주요 첼로 소나타 작곡가 및 작품
첼로 소나타 작곡가 및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작곡가 출생년도순 정렬, '소나타(또는 소나티네)'라고 되어 있는 경우는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작품)3. 1. 바로크 시대 (1600-1750)
18세기 초, 베네데토 마르첼로는 최소 12개의 첼로 소나타를 작곡했으며,[1] 안토니오 비발디는 최소 9개의 첼로 소나타를 작곡했다.[1] 1760년대부터 1805년까지 루이지 보케리니는 최소 19개의 첼로 소나타를 작곡했다.[1]
연도 | 작곡가 | 작품 | 작품 번호 |
---|---|---|---|
1696 | 주세페 마리아 자키니 | 소나타 3번 | Op. 3 |
1717-23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6개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 |
18세기 초 ~ 1739 | 베네데토 마르첼로 | 최소 12개의 첼로 소나타 | |
18세기 초 ~ 1741 | 안토니오 비발디 | 최소 9개의 첼로 소나타 | |
1760년대 ~ 1805 | 루이지 보케리니 | 최소 19개의 첼로 소나타 |
3. 2. 고전주의 시대 (1750-1820)
루트비히 판 베토벤은 독주 악기로서 첼로를 본격적으로 다룬 작곡가이며, 다섯 곡의 첼로 소나타를 썼다. 베토벤의 첼로 소나타는 다음과 같다.연도 | 작품 | 조표 | 작품 번호 |
---|---|---|---|
1796 | 첼로 소나타 1번 | 바장조 | Op. 5, No. 1 |
1796 | 첼로 소나타 2번 | 사단조 | Op. 5, No. 2 |
1807-8 | 첼로 소나타 3번 | 가장조 | Op. 69 |
1815 | 첼로 소나타 4번 | 다장조 | Op. 102, No. 1 |
1815 | 첼로 소나타 5번 | 라장조 | Op. 102, No. 2 |
3. 3. 낭만주의 시대 (1820-1900)
루트비히 판 베토벤은 독주 악기로서 첼로를 본격적으로 다룬 작곡가로, 다섯 곡의 첼로 소나타를 썼다.[4] 요하네스 브람스는 가장 유명한 낭만주의 첼로 소나타를 작곡했다.연도 | 작곡가 | 작품 | 조표 | 작품 번호 |
---|---|---|---|---|
1820 | 조르주 옹슬로 | 첼로 소나타 1번 | 바장조 | Op. 16, No. 1 |
1820 | 조르주 옹슬로 | 첼로 소나타 2번 | 다단조 | Op. 16, No. 2 |
1820 | 조르주 옹슬로 | 첼로 소나타 3번 | 가장조 | Op. 16, No. 3 |
1838 | 펠릭스 멘델스존 | 첼로 소나타 1번 | 내림 나장조 | Op. 45 |
1842-3 | 펠릭스 멘델스존 | 첼로 소나타 2번 | 라장조 | Op. 58 |
1846 | 프레데리크 쇼팽 | 첼로 소나타 | 사단조 | Op. 65 |
1856 | 에두아르 랄로 | 첼로 소나타 | 가단조 | |
1856 | 샤를 발랑탱 알캉 | 연주회용 소나타 | 마장조 | Op. 47 |
1862-5 | 요하네스 브람스 | 첼로 소나타 1번 | 마단조 | Op. 38 |
1872-3 | 카미유 생상스 | 첼로 소나타 1번 | 다단조 | Op. 32 |
1883 | 에드바르 그리그 | 첼로 소나타 | 가단조 | Op. 36 |
1883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 첼로 소나타 | 바장조 | Op. 6 |
1886 | 요하네스 브람스 | 첼로 소나타 2번 | 바장조 | Op. 99 |
1892 | 막스 레거 | 첼로 소나타 1번 | 바단조 | Op. 5 |
1898 | 막스 레거 | 첼로 소나타 2번 | 사단조 | Op. 28 |
1899 | 에르뇌 도흐나니 | 첼로 소나타 | 내림 나장조 | Op. 8 |
3. 4. 20세기와 현대 (1900-현재)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작품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이 분야에도 바흐에게 영감을 받은 작품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외젠 이자이와 코다이 졸탄의 무반주 첼로 소나타는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에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예이다.[4]20세기와 현대(1900년~현재) 첼로 소나타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작곡가 | 작품 | 조표 | 작품 번호 |
---|---|---|---|---|
1901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첼로 소나타 | 사단조 | Op. 19 |
1904 | 막스 레거 | 첼로 소나타 3번 | 바장조 | Op. 78 |
1905 | 카미유 생상스 | 첼로 소나타 2번 | 바장조 | Op. 123 |
1907 | 코다이 졸탄 | 첼로 소나타 | Op. 4 | |
1907 | 샤를-마리 비도르 | 첼로 소나타 | 가장조 | Op. 80 |
1910 | 막스 레거 | 첼로 소나타 4번 | 가단조 | Op. 116 |
1910-11 | 알베릭 마그나르 | 첼로 소나타 | 가장조 | Op. 20 |
1911 | 니콜라이 미야스코프스키 | 첼로 소나타 1번 | 라장조 | Op. 12 |
1912 | 막스 레거 | 첼로 모음곡 1, 2, 3번 | 사장조, 라단조 & 가단조 | Op. 131 |
1913 | 도라 페야체비치 | 첼로 소나타 | 마단조 | Op. 35 |
1915 | 클로드 드뷔시 | 첼로 소나타 | 라단조 | L. 135 |
1915 | 코다이 졸탄 | 무반주 첼로 소나타 | Op. 8 | |
1916 | 프레데릭 델리우스 | 첼로 소나타 | 라단조 | |
1913-17 | 프랭크 브리지 | 첼로 소나타 | 라단조 | |
1917 | 가브리엘 포레 | 첼로 소나타 1번 | 라단조 | Op. 109 |
1921 | 가브리엘 포레 | 첼로 소나타 2번 | 사단조 | Op. 117 |
1923 | 파울 힌데미트 | 첼로를 위한 독주 소나타 | Op. 25 No. 3 | |
1923 | 존 아일랜드 | 첼로 소나타 | 사단조 | |
1929 | 벨러 버르토크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랩소디 | Sz 88 | |
1932 | 새뮤얼 바버 | 첼로 소나타 | 다단조 | Op. 6 |
1932-33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이탈리아 모음곡 | ||
1934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첼로 소나타 | 라단조 | Op. 40 |
1938 | 니콜라이 미야스코프스키 | 첼로 소나타 2번 | Op. 81 | |
1939 | 보후슬라프 마르티누 | 첼로 소나타 1번 | ||
1941 | 보후슬라프 마르티누 | 첼로 소나타 2번 | ||
1944 | 졸탄 가르도니 | 첼로 소나타 | ||
1948 | 프랑시스 풀랑크 | 첼로 소나타 | Op 143 | |
1948 | 엘리엇 카터 | 첼로 소나타 | ||
1949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첼로 소나타 | 다장조 | Op. 119 |
1949 | 앨런 러스손 | 첼로 소나타 | ||
1952 | 보후슬라프 마르티누 | 첼로 소나타 3번 | ||
1956-57 | 어네스트 블로흐 | 첼로 모음곡 1, 2, 3번 | ||
1961 | 벤자민 브리튼 | 첼로 소나타 | 다장조 | |
1962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첼로 소나타 | 내림 나장조 | Op. 71 |
1964 | 벤자민 브리튼 | 첼로 독주 모음곡 1번 | 사장조 | Op. 72 |
1966 | 카렌 하차투리안 | 첼로 소나타 | ||
1967 | 벤자민 브리튼 | 첼로 독주 모음곡 2번 | 라장조 | Op. 80 |
1971 | 벤자민 브리튼 | 첼로 독주 모음곡 3번 | Op. 87 | |
1978 | 알프레트 슈니트케 | 첼로 소나타 |
소나타가 아닌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이중주곡은 별도 항목에서 다루며, 여기서는 소나타 또는 소나티네만 열거한다. 소나타 이외의 무반주 작품은 무반주 첼로곡 항목에서 다룬다.
첼로 소나타 작곡가 및 작품 목록 (작곡가의 출생년도순 정렬, '소나타(또는 소나티네)'라고 되어 있는 경우는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작품)
- 1857년 샤를-발랑탱 알캉: 소나타 E장조 작품 47
- 1862년 클로드 드뷔시: 소나타 d단조(1915)
- 1862년 프레데릭 델리우스: 소나타(1916)
- 1864년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소나타 F장조 작품 6(1880-83)
- 1865년 알베릭 마냐르: 소나타 A장조 작품 20(1909-10)
- 1873년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소나타 g단조 작품 19(1901)
- 1873년 막스 레거: 소나타 제1번 f단조 작품 5, 제2번 g단조 작품 28, 제3번 F장조 작품 78, 제4번 a단조 작품 116
- 1879년 존 아이를랜드: 소나타 g단조 작품 27(1923)
- 1879년 프랭크 브리지: 소나타 d단조(1913-17)
- 1881년 니콜라이 먀스콥스키: 소나타 제1번 작품 12(1911), 제2번 작품 81(1948-49)
- 1882년 코다이 졸탄: 소나타 작품 4, K. 31(1909-10), 소나티네 K. 30(1920)
- 1883년 아놀드 박스: 소나타 E♭장조(1923), 전설 소나타 F♯단조(1943), 소나티네(1933)
- 1886년 레베카 클라크: 소나타(1919)
- 1890년 보후슬라프 마르티누: 소나타 제1번 H. 277(1939), 제2번 H. 286(1941), 제3번 H. 340(1952)
- 1891년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소나타 작품 119(1949)
- 1892년 아서 호네거: 소나타(1920)
- 1895년 파울 힌데미트: 소나타 작품 11-3(1919), 무반주 소나타 작품 25-3(1923)
- 1901년 에드먼드 러브라: 소나타(1946)
- 1906년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소나타 d단조, Op. 40(1934)
- 1908년 엘리엇 카터: 소나타(1948)
- 1913년 벤자민 브리튼: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C장조, Op. 65(1961)
- 1926년 죄르지 리게티: 무반주 첼로 소나타
- 1935년 알프레트 슈니트케: 첼로 소나타 1번(1978), 2번(1993/4)
4. 다른 악기를 위한 소나타의 첼로 편곡
기존의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를 첼로 소나타로 연주하는 경우가 있는데, 프랑크의 "바이올린 소나타 가장조"나 브람스의 "바이올린 소나타 1번 ("비의 노래")"가 대표적인 예시이다.[1] 또한 슈베르트의 "아르페조네 소나타 가단조"도 비슷하게 편곡되어 첼로로 연주되는 유명한 예시 중 하나이다.[1]
다음은 다른 악기를 위해 쓰여졌지만, 첼로로 편곡되어 연주되는 소나타 작품들이다.[1]
작곡가 | 원곡 |
---|---|
바흐 | 비올라 다 감바와 통주 저음을 위한 소나타 (전 3곡, BWV 1027~1029) |
헨델 | 리코더 소나타 HWV 360, 362, 365, 367a, 369, 377, 바이올린 소나타 라장조 HWV 371 |
모차르트 | 바이올린 소나타 18번 사장조 K. 301, 바이올린 소나타 32번 바장조 K. 376, 바이올린 소나타 35번 사장조 K. 379 |
베토벤 | 현악 삼중주 1번 내림 마장조 작품3 (타인의 편곡이지만, 작품64의 작품 번호가 부여된 것으로 보아 작가 공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바이올린 소나타 5번 바장조 작품24 《봄》, 9번 가장조 작품47 《크로이처》 |
베버 | 바이올린 소나타 6번 다장조 작품10a-6, J. 104 |
슈베르트 | 아르페지오네 소나타 가단조 D 821,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 작품137 (전 3곡, D 384, 385, 408),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이중주곡 작품162, D 574 |
슈만 | 바이올린 소나타 1번 가단조 작품105, 2번 라단조 작품121, 3번 가단조 WoO 27 |
프랑크 | 바이올린 소나타 가장조 FWV 8 |
브람스 | 바이올린 소나타 1번 사장조 작품78 《비의 노래》, 2번 가장조 작품100, 3번 라단조 작품108, F.A.E. 소나타 제3악장 스케르초, 클라리넷 소나타 작품120 (전 2곡) |
드보르자크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 작품100, B. 183 |
포레 | 바이올린 소나타 1번 가장조 작품13 |
에이미 비치 | 바이올린 소나타 작품34 |
라벨 | 바이올린 소나타 사장조 M. 77 |
루쿠 | 바이올린 소나타 |
시마노프스키 | 바이올린 소나타 작품9 |
로슬라베츠 | 비올라 소나타 1번 |
쇼스타코비치 | 비올라 소나타 작품147 |
레너드 번스타인 | 클라리넷 소나타 |
니콜라 바클리 | 바이올린 소나타 작품32 |
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Sonata | music
https://www.britanni[...]
2021-07-30
[2]
문서
Info from IMSLP listings.
[3]
웹사이트
http://www.britannic[...]
[4]
문서
Info from IMSLP listing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