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 시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춘추 시대는 기원전 771년 주나라가 멸망한 후부터 기원전 453년 진나라가 분열될 때까지의 시기로, 수많은 소국들이 난립하여 각축전을 벌였다. 주 왕실의 권위는 약화되었고, 제후들은 패자를 자처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제(齊), 진(晉), 초(楚) 등의 강국들이 패권을 다투는 가운데, 사회 구조의 변화와 함께 공자, 노자 등 사상가들이 등장했다. 춘추 시대 말기에는 오(吳)와 월(越)이 흥망성쇠를 겪고, 진(晉)이 한(韓), 위(魏), 조(趙)로 분열되면서 춘추 시대는 끝나고 전국 시대로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6세기 중국 - 필 전투
필 전투는 기원전 597년 초나라 장왕이 진나라를 격파한 전투로, 초나라의 정나라 공격에서 시작되어 진나라 내부 불협화음과 장왕의 결단으로 초나라가 승리하며 초나라가 패권을 장악하고 장왕이 춘추오패로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 - 기원전 5세기 중국 - 오 (춘추)
주 문왕의 맏형 태백이 세운 오나라는 장쑤성 남부를 중심으로 세력을 키워 합려왕 시대에 최전성기를 맞이하며 춘추오패 중 하나가 되었으나, 월나라와의 경쟁에서 패하여 기원전 473년에 멸망하였다. - 기원전 5세기 중국 - 조 (춘추)
조는 서주 시대부터 춘추 시대에 걸쳐 존재했던 제후국으로, 국력이 약해 역사 기록이 많이 남아있지 않으며 진과 초의 패권 다툼 속에서 부침을 겪다 기원전 487년에 멸망했다.
춘추 시대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중국어 간체 | 春秋时代 |
중국어 번체 | 春秋時代 |
병음 | Chūnqiū shídài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Chʻun¹-chʻiu¹ Shih²-tai³ |
주음부호 | ㄔㄨㄣ ㄑㄧㄡ ㄕˊ ㄉㄞˋ |
통용병음 | Chunciou shíhdài |
만다린 병음 | Chwūn chyōu shŕdài |
민난어 병음 | Chuēn chiōu shŕdài |
중고음 | /t͡ɕʰiuɪn t͡sʰɨu d͡ʑɨ dʌiᴴ/ |
고대 중국어 (백스터-사가트) | * |
고대 중국어 (정장상팡) | /*tʰjun sʰɯw djɯ l'ɯːɡs/ |
예일 로마자 | Ceon1 cau1 si4 doi6 |
시작 | 기원전 770년경 |
종료 | 기원전 481년경 |
이전 시대 | 서주 |
다음 시대 | 전국 시대 |
역사적 맥락 | |
주요 사건 | 제후들의 권력 강화, 패자의 등장, 전쟁의 빈번화 |
특징 | 봉건 제도의 약화 사회적 변화와 갈등 심화 철기 기술 발달과 전쟁 양상 변화 |
문화와 사상 | |
주요 사상 | 유교 (공자) 도교 (노자) 법가의 맹아 |
주요 저서 | 춘추 좌전 국어 |
관련 개념 | |
관련 개념 | 춘추전국시대 춘추 오패 제자백가 |
기타 | |
춘추 시대의 다른 표기 |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
2. 역사적 배경
기원전 771년, 견융이 증과 신(폐위된 왕세자 이구의 조부인 신후의 봉토) 등 여러 제후국들과 연합하여 서주의 수도 호경을 공격, 유왕을 죽이고 동쪽 수도 낙읍에서 이구를 왕으로 세웠다.[3] 이 사건으로 동주 시대가 시작되었고, 춘추 시대와 전국 시대로 나뉜다.
주나라 왕실은 진(晉)과 정(鄭) 등 주요 지지 세력에 의존했다.[1][2][3] 주 왕실은 권력이 크게 약화되어, 동쪽 수도로 피난하는 동안 이러한 제후국들의 보호에 의존하였다. 평왕은 지지자들에 의해 즉위하였으나,[3] 주나라 영토가 성주와 그 주변 지역으로 크게 축소되면서, 조정은 과거처럼 여섯 개의 군대를 더 이상 지원할 수 없게 되었다. 주 왕들은 침략으로부터의 보호와 내부 권력 투쟁 해결을 위해 강력한 제후국들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했다. 주 조정은 결코 원래의 권위를 회복하지 못하고, 지역 국가들의 명목상 지도자이자 기씨 조상 사당의 의례적 지도자로 전락하였다. 왕은 천명을 유지했지만, 그 칭호는 실질적인 권력을 거의 가지고 있지 않았다.
주나라의 쇠퇴와 함께 황하 유역은 수백 개의 작은 자치 국가로 분열되었는데, 그 대부분은 단일 도시로 구성되었지만, 특히 주변부에 있는 소수의 다도시 국가들은 팽창할 힘과 기회를 가지고 있었다.[4] 이 시대 연대기에 언급된 국가는 총 148개이며, 그중 128개는 이 시대 말까지 네 개의 가장 큰 국가에 흡수되었다.[5]
춘추 시대 동안 중국의 봉건적인 봉건 제도는 대부분 무의미해졌다. 관중 지역에서 고향을 잃은 주 왕실은 명목상의 권력만을 유지했고, 낙읍을 중심으로 한 작은 왕실 영지만을 실질적으로 통치했다. 주 왕조 초기에 주 왕실의 친척과 장군들은 광대한 영토에 대한 주의 권위를 유지하기 위해 봉토를 지배하도록 임명되었다. 주 왕의 권력이 약해짐에 따라 이러한 봉토들은 점점 더 독립적인 국가가 되었다.
왕실이 성주로 천도한 직후, 주왕이 가장 강력한 군사력을 가진 국가의 지도자에게 패자(霸)의 칭호를 수여하는 계층적 동맹 시스템이 생겨났다. 패자는 더 약한 주나라 국가들과 주 왕실을 침입하는 북적, 남만, 동이, 서융 등 비주(非周) 민족들로부터 보호할 의무가 있었다. 이 정치적 틀은 봉건 권력 구조를 유지했지만, 국가 간 및 국가 내 갈등은 종종 종법, 기씨에 대한 존중, 그리고 다른 주나라 사람들과의 연대감에 대한 관심 저하로 이어졌다. 왕의 권위는 국가의 군사 지도자들의 정통성을 부여했고, 오랑캐에 대한 주나라 영토의 집단 방위를 동원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그 후 2세기 동안, 진, 진, 기, 초 등 가장 강력한 네 개의 국가가 권력을 위해 다투었다. 이러한 다도시 국가들은 종종 원조와 보호라는 구실을 이용하여 개입하고 작은 국가들에 대한 종주권을 얻었다. 이러한 급속한 팽창 동안, 국가 간 관계는 저강도 전쟁과 복잡한 외교 사이에서 번갈아 나타났다.
주요 국가들(나중에 십이제후로 알려짐)은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외국 집단이나 반역적인 귀족에 대한 군사 원정과 같은 중요한 문제들을 결정했다. 이러한 회의에서 때로는 한 제후가 패자로 선포되기도 했다.
시대가 계속됨에 따라 더 크고 강력한 국가들이 더 작은 국가들을 병합하거나 종주권을 주장했다. 기원전 6세기까지 대부분의 작은 국가들은 사라졌고, 몇몇 크고 강력한 제후국들만이 중국을 지배했다. 초와 오와 같은 일부 남쪽 국가들은 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고, 주는 그들 중 일부(오와 월)에 대해 전쟁을 벌였다.
국가 간의 권력 투쟁 속에서 내부 갈등 또한 만연했다. 진에서는 6개의 엘리트 토지 소유 가문이 서로 전쟁을 벌였고, 기에서는 정적들이 진씨 가문을 제거하기 위해 활동했으며, 진과 초에서는 여러 왕족들이 내전을 통해 통치자의 정통성에 도전했다. 이러한 강력한 통치자들이 각각의 영토 내에서 확고하게 자리 잡자, 전국 시대가 시작된 기원전 403년, 진의 남은 세 엘리트 가문인 조, 위, 한이 진을 분할하면서 유혈 사태는 전국 시대의 국가 간 갈등에 더욱 집중되었다.
2. 1. 초기 춘추 시대 (기원전 771년 ~ 기원전 685년)
기원전 771년, 주가 수도를 동쪽의 왕성(황하 유역)으로 옮기면서 춘추 시대가 시작되었다. 주 왕실은 권력이 약화되어 주요 제후국, 특히 진(晉)과 정에 의존하게 되었다.[1][2][3] 주 평왕은 명목상의 권위만 유지한 채, 작은 왕실 영지만을 다스렸다.[3]정나라 장공은 주 왕실에 반기를 들고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하였다. 기원전 707년, 주 환왕이 정나라를 공격했으나, 죽여 전투에서 패배하고 왕이 부상을 입었다.[5][6][7] 이는 제후국이 왕에게 반항한 첫 사례였다. 장공 사후, 정나라는 계승 문제로 약화되었다.[2]
춘추 시대 초기에는 148개의 제후국이 난립하였으며,[4] 이 중 128개국이 4개의 강대국(진, 진, 기, 초)에 흡수되었다.[5] 주 왕실은 제후국들의 명목상 지도자로 전락하였다.
2. 2. 춘추 오패 (기원전 685년 ~ 기원전 591년)


춘추 오패는 주 왕실을 대신하여 제후국들을 통솔하고 질서를 유지하려 하였다. 주요 패자로는 제 환공, 송 양공, 진 문공, 진 목공, 초 장왕 등이 있다.
최초의 패자는 제 환공(재위 기원전 685년 ~ 기원전 643년)이었다. 제 환공은 재상 관중의 도움을 받아 제나라의 권력 구조를 중앙집권화하는 개혁을 단행했다. 제나라는 15개의 "현(縣)"으로 구성되었고, 공과 두 명의 고위 대신이 각각 5개 현을 관할했다. 군사 기능도 민정 기능과 통합되었다. 이러한 개혁으로 제나라는 자원 동원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4]
기원전 667년, 제나라는 경제적, 군사적 우위를 바탕으로 노, 송, 진, 정의 지도자들을 소집하여 지도자로 선출되었다. 주 혜왕은 제 환공에게 '패(覇)'의 칭호를 수여하여 군사적 권위를 부여했다.[4][22] 제 환공은 '존왕양이'라는 구호를 내세워 다른 나라들에 대한 지배를 정당화했다. 이후 패자들의 역할도 주 왕조의 권위와 기존 질서의 수호자로 규정되었다. 제 환공은 이 권위를 이용하여 노나라의 권력 투쟁에 개입하고, 연나라를 침략한 서융을 격퇴하고, 위나라와 형나라를 침략한 북적을 격퇴하는 등 8개국 동맹을 이끌고 채나라를 정복하여 초나라의 북진을 막았다.[4]
기원전 643년, 제 환공 사후 다섯 아들이 왕위를 다투면서 제나라 왕위 계승 전쟁이 벌어졌고, 제나라는 약화되어 패자 지위를 잃었다. 이후 거의 10년 동안 패자가 없었다.[4]
thumb
송 양공은 제나라의 쇠퇴 이후 패권을 장악하려 했다. 그는 평화 회의를 주최하고 군사 작전을 수행했지만, 초나라와의 홍 전투(기원전 638년)에서 패배하고 자신도 부상으로 사망했다. 송 양공 사후 후계자들은 신중한 대외 정책을 채택했다.[8] 송 양공은 주 왕으로부터 공식적으로 패자로 인정받지 못하여, 모든 자료에서 오패에 포함되지는 않는다.
진 문공(재위 기원전 636년 ~ 기원전 628년)은 오랜 망명 생활 후 권력을 잡았다. 그는 아버지 진 헌공의 개혁을 바탕으로 국가를 중앙집권화하고, 주 양왕의 왕위 계승 분쟁을 도와 전략적 영토를 하사받았다. 진 문공은 제, 진, 송과 함께 초나라에 대한 군사적 대응을 조율했다. 성복 전투(기원전 632년)에서 초나라를 격파하고, 주 왕으로부터 패자 칭호를 받았다.[4]
기원전 628년 진 문공 사후, 국가 간 긴장이 고조되어 소규모 국가들은 전쟁터가 되었다. 제나라와 진나라도 갈등을 겪었다.[4]
진 목공은 기원전 659년에 즉위하여 진 문공과 동맹을 맺었다. 기원전 624년에는 서쪽 서융을 제압하고 강력한 제후가 되었으나, 다른 제후들과 동맹을 맺지 않았고 왕으로부터 패자로 인정받지 못했다. 따라서 모든 자료에서 오패로 인정하지는 않는다.
초 장왕은 양쯔강 북쪽으로 영토를 확장하여 정나라 등 중원 국가들을 위협했다. 초나라 군대는 주나라 수도 근처까지 진격했고, 초 장왕은 구정의 무게를 문의하며 왕위 계승을 암시했다. 비 전투(기원전 597년)에서 진나라를 격파하고 패권을 확립했다.[9]
초 장왕은 스스로 '왕'이라 칭했지만, 주나라 국가들은 인정하지 않았다. 춘추좌씨전에서는 그를 '자'(子)라고 불렀지만,[9] 후대 역사가들은 오패로 포함시켰다.
2. 3. 춘추 시대 말기 (기원전 591년 ~ 기원전 453년)
진(晉)과 초(楚)의 대립이 격화되면서, 중간에 위치한 제후국들이 고통을 받았다. 제후국 내부에서는 대부(大夫) 세력이 성장하여 제후의 권력을 능가했다. 기원전 579년과 기원전 546년에는 송나라의 중재로 진과 초 사이에 평화 조약이 맺어지기도 했으나, 이는 일시적인 평화에 불과했다.[17]남방에서는 오와 월이 급부상하여 패권을 다투었다. 오왕 합려는 손무, 오자서의 도움으로 초나라를 공격하고, 월나라를 복속시켰다.[12] 그러나 월왕 구천은 와신상담(臥薪嘗膽) 끝에 오나라를 멸망시키고 패자가 되었다.
진에서는 육경의 세력 다툼이 격화되어, 결국 기원전 453년 한, 위, 조로 분열되었다.
3. 정치
주(周)나라가 낙읍(洛邑)으로 동천(東遷)한 후부터 진(秦)이 중국을 통일할 때까지를 춘추전국시대라 칭하며, 그 전반기인 기원전 770~403년을 춘추 시대라 한다. 이 시기에 주나라의 봉건제도는 붕괴되기 시작했다. 주의 동천 후 강국들은 근처의 소국을 병합하여 도시국가에서 영토국가로 발전해 갔다. 서주(西周) 말에 1800개 가까이 되던 국가는 춘추 시대 중기에는 수십 개로 감소되었다.
춘추 시대 초기, 진(晉)이나 초(楚)는 근처의 도시국가를 정복하면 부하에게 그 토지를 영지로 주지 않고 현(縣)이라 이름 붙여 국왕의 직할지로 만들었다. 이와 같이 봉건 질서가 무너지는 가운데에서도 주나라의 종주권으로서 명목을 유지한 것은 패자(覇者)의 힘이었다. 패자는 회맹(會盟)을 주최하여 이민족의 침입을 막고, 주 왕실을 존중하여 소위 존왕양이(尊王攘夷)의 명목으로 중원을 통제했다.[22] 그러나 남방의 초나라는 점차 주나라 왕실을 무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춘추 시대는 봉건제에서 군현제로, 도시 국가에서 영토 국가로, 지방 분권에서 중앙 집권으로 이행되는 과도기였다. 춘추 중기에는 철제 농기구가 등장하여 심경 제초(深耕除草)가 용이해지고 생산력이 증대되었다. 철제 농기구의 보급은 전국 시대에 이루어졌지만, 씨족적인 질서를 분해하고 계급 분화를 촉진했다. 토지 소유는 공동체적 집단 경작에서 개별적 경영으로, 세제는 영주 직영지에 대한 노동 지대(地代) 형태에서 자작농의 현물 지대 수납으로 변화해 갔다. 이러한 변화는 춘추 시대와 전국 시대를 거치며 점진적으로 진행되었다.
3. 1. 외교 관계
제후국들은 서로 회맹(會盟)을 통해 동맹을 맺고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22] 패자는 회맹을 주도하고, 제후국 간의 분쟁을 조정하는 역할을 맡았다. 제(齊)나라 환공의 규구(葵丘) 회맹(기원전 651년), 진(晋)나라 문공의 천토(踐土) 회맹(기원전 632년)이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남방의 초(楚)는 중원으로 진출하여 진(晋)을 격파하고(기원전 597년) 패업을 달성했지만, 주나라 왕실을 무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초나라 장왕(莊王)이 주나라 왕실 권위의 상징인 '큰 솥의 무게를 묻는다'라고 한 것은 주나라 천자의 자리를 노리는 의도를 드러낸 것이었다.『좌전(左傳)』과 『춘추(春秋)』 같은 고대 문헌에는 다양한 외교 활동이 기록되어 있다.
활동 종류 | 설명 |
---|---|
조(朝) | 한 군주가 다른 군주를 방문 |
회(會) | 여러 국가의 관리나 귀족이 만남 |
聘(pìn) | 한 국가의 군주가 다른 국가에 우호적인 문의를 보냄 |
사(使) |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파견된 사신 |
수(狩) | 여러 국가의 대표가 참석하는 사냥 |
초(楚)는 주(周)나라의 기원이 아니었기 때문에 반(半) 야만인으로 간주되었고, 무왕(武王)을 시작으로 그 군주들은 스스로 왕이라고 선포했다. 초나라의 주나라 영토 침범은 다른 여러 국가들에 의해 격퇴되었는데, 특히 성복 전투(기원전 632년), 비(邲) 전투(기원전 595년), 언릉 전투(기원전 575년)가 대표적이며, 이 전투들은 진(陳)나라와 채(蔡)나라를 회복시켰다.
한편, 남쪽 양쯔강 유역에서는 오(吳)와 월(越)이라는 두 신흥 세력이 등장했다. 오는 합려와 부차 두 군주와 명신 손무와 오자서의 힘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오는 초나라의 수도를 함락시키고 멸망 직전까지 몰아넣었으며, 월을 무찔러 복속시키고 황하 유역으로 진출하여 제후들의 맹주 자리를 진(晉)과 다투었다. 그러나 복종했던 월의 반격으로 오는 멸망했다. 월 또한 구천 사후에는 쇠퇴하여 후에 초나라에 멸망했다.
진(晉)에서는 권력을 휘두르던 지씨가 위씨, 한씨, 조씨 연합에 의해 기원전 453년에 멸망당했다(진양 전투). 지씨의 옛 영토를 나눠 가진 세 가문은 각각 위(魏), 한(韓), 조(趙) 나라를 세웠다. 이 세 나라를 합쳐 '''삼진'''이라고도 부른다. 이후 위, 한, 조 삼국은 기원전 403년에 주 왕실로부터 정식으로 제후로 인정받았다. 이 시점을 기점으로 춘추 시대는 완전히 끝나고 전국 시대가 시작되었다.
거의 같은 시기에, 제(齊)에서는 유력한 대부인 전씨가 국정을 완전히 장악하고, 기원전 386년에 전화에 의해 찬탈당하여 태공망 이래의 제나라는 멸망했다. 이후의 제나라를 이전과 구별하여 전제라고도 부른다.
4. 사회
기원전 770년 주(周)가 낙읍(洛邑)으로 동천(東遷)한 후 기원전 221년 진(秦)이 중국을 통일할 때까지, 여러 제후가 대립 항쟁한 시대를 춘추전국시대라 칭하고, 그 전반기인 기원전 770~403년을 춘추 시대라 한다. 춘추 시대는 봉건제에서 군현제로, 도시국가에서 영토국가로, 지방분권에서 중앙집권으로 이행되는 과도기였다. 씨족적인 질서가 해체되고 계급 분화가 촉진되었다. 토지 소유는 공동체적 집단 경작에서 개별적 경영으로, 세제는 영주 직영지의 노동 지대(地代) 형태에서 자작농의 현물 지대 수납으로 변화해 갔다.[22] 이러한 변화는 춘추 시대와 전국 시대를 거치며 점진적으로 진행되었다.
춘추 중기에는 철제 농구가 출현하여 심경 제초(深耕除草)가 용이해지고 생산력이 증대되었다. 철제 농구의 보급은 전국 시대에 이루어졌지만, 씨족 질서 해체와 계급 분화를 촉진했다.[22]
국가 간 분쟁 외에도 국가 지도자와 지역 귀족 간의 내부 갈등도 발생했다. 노(魯), 진(晉), 정(鄭), 위(衛), 제(齊)의 공작들은 모두 강력한 귀족 가문들의 명목상 지도자가 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안영(晏嬰)이나 자산(子産)과 같은 명정치가들이 대부 계급에서 등장했다. 공자(孔子)도 이 시대에 등장하여 후대 중국의 지배적인 사상이 된 유교(儒教)를 창시했다.
5. 경제
춘추 시대 중기에는 철제 농기구가 출현하여 깊이갈이(深耕)와 김매기(除草)가 용이하게 되었고, 농업 생산력이 증대되었다. 철제 농기구의 보급은 전국 시대에 이루어졌지만, 이는 씨족적 질서를 분해하고 계급 분화를 촉진했다. 토지 소유는 공동체적 집단 경작에서 개별적 경영으로, 세제는 영주 직영지에 대한 노동 지대(地代)에서 자작농의 현물 지대 수납으로 변화해 갔다. 이러한 변화는 춘추 시대와 전국 시대에 걸쳐 점진적으로 진행되었다.[22]
6. 문화
춘추 시대에는 오경의 일부가 존재했는데, 『좌전』과 『논어』에서 『시경』과 『서경』을 자주 인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좌전』에는 나중에 『시경』의 정본에 포함된 시를 실제로 지은 인물들이 등장한다. 『논어』에는 "예(禮)"에 대한 언급이 자주 나오지만, 고전 중국어는 책 제목과 일반 명사를 구분하는 구두점이나 표기가 없기 때문에 이것이 『예기』를 의미하는지, 아니면 의례라는 개념 자체를 의미하는지 알 수 없다. 반면, 『역경』의 존재는 『좌전』에서 여러 인물들이 점을 치고 정본을 정확하게 인용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사마천은 춘추 시대 말기에 공자가 『시경』, 『서경』, 『예기』의 정본을 편찬하고, 『역경』에 대한 "십익" 주석을 쓰고, 『춘추』 전체를 저술했다고 주장한다.[14] 하지만 현대 학계에서는 다섯 권의 경전이 모두 한 사람의 작품일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
노자와 손자와 같은 많은 철학자들이 춘추 시대에 활동했지만, 그들의 사상은 다음 전국 시대가 되어서야 기록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6. 1. 주요 인물
- 관중: 제 환공의 재상으로, 개혁을 통해 제나라를 중앙집권화하고 경제적, 군사적으로 압도적인 우위를 확보하여 패자로 만들었다.[15]
- 오자서: 오나라의 명신이자 군사 전략가. 합려를 도와 초나라를 공격하고 수도를 함락시키는 등 오나라의 패업을 도왔다.[12]
- 손무: '손자병법'의 저자로 알려져 있으며, 합려를 도와 초나라를 격파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 공자: 유교의 창시자. 춘추 시대 말기의 혼란을 극복하기 위한 사상을 제시했으며, 노나라의 재상을 지내기도 했다. 오경을 편찬 또는 저술했다고 알려져 있다.
- 백리해: 진나라의 재상
- 범려: 월왕 구천의 모사로 책략을 써서 오나라를 멸망시키는데 큰 공헌을 했다.
- 문중: 월왕 구천의 모사
- 자산: 정나라의 정치가
- 안영: 제나라의 정치가
7. 춘추 시대의 국가
춘추 시대에는 수많은 제후국들이 난립하였으며, 주요 국가로는 제(齊), 진(晉), 초(楚), 오(吳), 월(越) 등이 있었다. 이 시기에는 주(周)나라의 봉건제도가 쇠퇴하고, 각 제후국들이 서로 경쟁하며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
주(周)나라가 기원전 770년에 낙읍(洛邑)으로 천도한 후, 기원전 221년 진(秦)이 중국을 통일할 때까지를 춘추전국시대라 부르며, 그 전반기인 기원전 770년부터 403년까지를 춘추 시대라고 한다. 서주(西周) 말에는 1800개에 가까운 국가가 있었으나, 춘추 시대 중기에는 수십 개로 줄어들었다.[22] 강국들은 주변 소국들을 병합하여 도시국가에서 영토국가로 발전해 나갔다.
춘추 시대 초기에는 진(晉)이나 초(楚)는 주변 도시국가를 정복하면 부하에게 영지를 주는 대신, 현(縣)을 설치하여 국왕의 직할지로 삼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봉건 질서가 무너지는 가운데, 주(周)나라의 종주권은 패자(覇者)의 힘으로 유지되었다. 패자는 회맹(會盟)을 주최하여 이민족의 침입을 막고, 주 왕실을 존중하며 중원을 통제했다. 제나라 환공(桓公)의 규구(葵丘)의 회(기원전 651년), 진나라 문공(文公)의 천토(踐土)의 회(기원전 632년)가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남방의 초(楚)는 중원으로 진출하여 진(晉)을 격파하고(기원전 597년) 패업을 달성했지만, 주 왕실은 무시되었다. 초 장(莊)왕이 주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큰 솥의 무게를 묻는다'라고 한 말은 그가 주나라 천자의 자리를 노리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춘추 시대는 봉건제에서 군현제로, 도시국가에서 영토국가로, 지방분권에서 중앙집권으로 변화하는 과도기였다. 또한 춘추 중기에는 철제 농기구가 등장하여 농업 생산력이 증대되었고, 씨족 질서가 해체되고 계급 분화가 촉진되었다.
춘추 시대 말기에는 북쪽의 진(晉)과 남쪽의 초(楚)의 세력이 약화되고, 양쯔강 하류 남쪽에서 오(吳)와 월(越)이 갑자기 성장했다. 진(晉)은 초(楚)를 견제하기 위해 오(吳)의 군사적 근대화를 지원했고, 오(吳)는 초(楚)의 수도를 함락시킬 정도였다. 초(楚)는 오(吳)의 남쪽에 있는 월(越)과 동맹을 맺어 오(吳)를 공격했고, 두 나라 간의 치열한 싸움은 '와신상담(臥薪嘗膽)'이라는 유명한 고사(故事)를 낳았다. 결국 오왕 부차(夫差)는 패배하여 자살하고 오(吳)는 멸망했다.
승리한 월왕 구천(句踐)은 북쪽으로 세력을 확장하여 산둥(山東)과 허난성(河南省) 남동부의 여러 나라를 복속시키고, 한때 도읍을 낭야(琅邪)로 옮기기도 했다. 오(吳) 역시 왕 부차가 노(魯)와 제(齊)를 무찌르고, 기원전 482년에는 황지(黃池)에서 제후들을 모아 진(晉)과 회맹의 주도권을 다투었다.
진(晉) 내부에서는 범(范), 중행(中行), 지(知), 조(趙), 위(魏), 한(韓) 등 6귀족이 세력을 키워 정치를 장악했다. 이들은 진(晉)후를 정치에서 배제하고 서로 세력을 다투다가, 결국 범씨(范氏)와 중행씨(中行氏)가 멸망하고, 기원전 453년에는 한, 위, 조 3씨가 지씨(知氏)를 공격하여 진(晉)을 3등분하여 독립했다. 이러한 현상은 노(魯)나 제(齊)에서도 나타났으며, 춘추 시대 후반의 일반적인 경향이었다. 기원전 403년, 한·위·조 3씨는 주왕(周王)에게 제후로 인정받았고, 이 해를 기점으로 춘추 시대는 끝나고 전국 시대가 시작된다.
8. 멸망
기원전 453년, 진나라의 유력 가문인 한(韓), 위(魏), 조(趙) 3씨가 가장 강대했던 지씨(知氏)를 공격하여 진나라를 사실상 3등분하고 독립하였다. 춘추 시대를 통하여 제후들을 통제해 온 유력한 대국이었던 진나라가 사실상 멸망한 이 사건을 기점으로 그 전을 춘추 시대, 그 후를 전국 시대라고 부른다.[22]
진나라 내부에서는 범(范), 중행(中行), 지(知), 조(趙), 위(魏), 한(韓) 등 6개 귀족 가문이 발호(跋扈)하여 권력 다툼을 벌였다. 이들은 진나라 공족(公族)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넓은 토지를 소유하며 세력을 키워 공족 출신 귀족들을 누르고 정치 실권을 장악했다. 진나라 행정 조직이 미비했던 탓에, 이들 6대 귀족이 정치를 주도하게 되었고, 진후(晋侯)는 실질적인 힘이 없는 허수아비로 전락하였다. 6귀족은 진후를 정치에서 배제하고 세력 다툼을 벌인 끝에, 범씨(范氏)와 중행씨(中行氏)가 멸망하고 그 영지가 분할되었다.
기원전 403년에는 한·위·조 3씨가 주왕(周王)에게서 제후로 인정받았지만, 실제로는 기원전 453년부터 독립국으로 행동해왔다. 이처럼 귀족이 제후를 억누르고 정치 실권을 장악하는 현상은 노나라나 제나라에서도 나타났으며, 춘추 시대 후반의 일반적인 경향이었다. 기원전 546년 송(宋)나라의 화평회의와 같은 국제 외교도 대부분 귀족들의 손에 의해 이루어졌다.
한편, 제나라에서는 전씨(田氏)가 권력을 장악하여 강씨(姜氏)로부터 제나라를 빼앗는 사건이 발생한다. 이로써 춘추 시대는 완전히 막을 내리고 전국 시대가 시작되었다.
참조
[1]
논문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논문
[6]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Zhonghua Shuju
[7]
논문
[8]
위키소스
Duke Xi years 18–23
[9]
서적
Zuozhuan
[10]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Zhonghua Shuju
[11]
서적
Rites of Zhou
[12]
서적
Zuo Zhuan
[13]
서적
Analects
[14]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Zhonghua Shuju
[15]
논문
[16]
서적
Liji
[17]
서적
周-理想化された古代王朝-
中公新書
[18]
서적
周-理想化された古代王朝-
[19]
기타
[20]
기타
[21]
기타
[22]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