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와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와이'(かわいい)는 일본어로 "귀여움"을 의미하는 단어로, 11세기 소설 《겐지 이야기》에서 '가엾다'는 의미로 처음 사용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사랑스럽다'는 현대적 의미로 변화했으며, 현재는 미학, 칭찬, 애정 표현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된다. '카와이'는 어린아이, 작은 것, 애교 있는 외모에 대한 애착을 표현하는 의미가 강하며, 패션, 상품, 문화 전반에 걸쳐 일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에로카와이', '키모카와이' 등 다양한 파생 개념이 존재하며, 최근에는 일본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문화적 현상으로 자리 잡았다. '카와이' 문화는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여성에게 특정 이미지를 강요한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미학 - 야마토다마시
    야마토다마시는 일본 고유의 정신, 지혜, 실천적 능력을 의미하며, 시대에 따라 그 의미가 변화해왔으나 현대에는 일본인의 정신력을 강조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일본의 미학 - 슈퍼플랫
    슈퍼플랫은 무라카미 다카시가 일본 시각 예술, 애니메이션, 대중문화를 아우르는 평면성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 용어로, 일본 소비 문화의 공허함을 나타내며, 전후 일본 문화의 소비주의, 성적 페티시즘, 오타쿠 문화, 전통 미술과의 연관성을 탐구한다.
  • 일본의 대중문화 - 오타쿠
    오타쿠는 특정 대상에 집착적인 관심을 보이는 사람을 뜻하는 일본어로, 과거 부정적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아키하바라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문화를 지칭하기도 한다.
  • 일본의 대중문화 - 갸루 문자
    갸루 문자는 2002년경 일본 여중고생 사이에서 유행한 문자 표현 방식으로, 여러 문자를 변형하여 메시지 위장이나 감정 표현에 사용되며, 기성세대에게는 반항적인 언어로 여겨지기도 했다.
  • 일본의 하위문화 - 오타쿠
    오타쿠는 특정 대상에 집착적인 관심을 보이는 사람을 뜻하는 일본어로, 과거 부정적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아키하바라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문화를 지칭하기도 한다.
  • 일본의 하위문화 - 만다라케
    만다라케는 만화가 후루카와 마스조가 설립한 일본의 중고 만화 및 오타쿠 상품 판매점으로, 도쿄 나카노 브로드웨이의 작은 서점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국내외에 지점을 둔 대형 유통 업체로 성장했으며, 중고 만화 시장과 오타쿠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카와이
개요
언어일본어
로마자 표기kawaii
의미귀여움, 사랑스러움
관련 문화일본의 대중문화, 패션, 상품 디자인 등
정의 및 특징
정의"귀엽다" 또는 "사랑스럽다"를 의미하는 일본어 형용사
일본 대중문화의 중요한 요소
특징유아적인 외모와 행동, 순수함, 연약함 등을 강조
큰 눈, 작은 입, 통통한 볼, 짧은 팔다리 등의 신체적 특징
밝고 부드러운 색상, 아기자기한 디자인, 장식적인 요소
역사
기원다이쇼 시대 (1912-1926)의 소녀 문화에서 기원
1970년대 헬로 키티와 같은 캐릭터 상품의 등장으로 대중화
발전1980년대 여성의 사회 진출과 함께 '귀여움'이 여성의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인식
1990년대 이후 일본 대중문화의 세계적인 확산과 함께 'kawaii' 문화도 함께 전파
사회적 영향
긍정적 영향상품 판매 촉진, 관광 산업 활성화 등 경제적 효과
개인의 개성 표현 및 자기 긍정감 향상
국제적인 문화 교류 및 이해 증진
부정적 영향지나친 외모 지상주의 및 획일화된 미의 기준 강요
성 상품화 및 상업적 이용에 대한 비판
'어른스러움'을 억압하고 사회적 책임을 회피한다는 비판
관련 용어
모에 (萌え)강한 애정을 느끼는 감정, 특히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캐릭터에 대해 사용
야미카와이 (病みかわいい)병적인 요소와 귀여움을 결합한 스타일
에로카와이 (エロかわいい)섹시함과 귀여움을 결합한 스타일
기타
관련 정보'kawaii'는 일본의 국가적인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활용
지방자치단체의 마스코트 캐릭터, 홍보물 등에 활용
패션, 음악, 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kawaii' 스타일이 나타남

2. 어원 및 역사

'카와이'는 원래 가오하유시/顔映し일본어라는 구절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문자 그대로 "(얼굴이) 빛나다"는 뜻으로, 얼굴이 붉어지는 것을 의미했다.[1][2][3] 시간이 지나면서 그 의미는 "귀여운" 또는 "예쁜"의 현대적 의미로 바뀌었고, 발음은 카와유이/かわゆい일본어를 거쳐 현대의 카와이/かわいい일본어로 변화했다.[1][2][3] 「가호하유시(顔映ゆし)」가 단축된 형태로 「카와유시」라는 단어가 성립되었고, 구어에서는 「카와유이」가 되어, 「카와유이」가 더욱 「카와이이」로 변화했다.

「가호하유시」「카와유시」는 본래, 「상대가 눈부실 정도로 (지위 등으로) 뛰어나서, 얼굴을 마주하기 어렵다」라는 감각으로 「부끄럽다」는 의미였으며, 그것이 전이되어, 「카와유시」의 「정시하기 어렵지만 내버려둘 수 없다」는 감각에서, 앞서 언급한 「가엾다」「딱하다」는 의미로 전이되었고, 불쌍한 상대를 걱정하는 감각에서, 더욱 「카와유시」(「카와유이」「카와이이」)는 현대 일본어에서 일반적인 「사랑스럽다」는 의미로 전이되었다.

일반적으로 히라가나로 카와이/かわいい일본어로 쓰이지만, 아테지 가와이/可愛い일본어도 자주 사용된다.[1][2][3] 아테지에 있는 로마자 한자는 문자 그대로 "사랑할 수 있는/사랑받을 수 있는, 사랑할 수 있다/있을 수 있다, 사랑스러운"으로 번역된다. 중국에서 전래된 문학 등의 문서에서 보이는, 「사랑스럽다」는 의미의 단어 「()」에 유래한다고도 생각된다.

2. 1. 어원

'카와이'는 원래 가오하유시/顔映し일본어라는 구절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문자 그대로 "(얼굴이) 빛나다"는 뜻으로, 얼굴이 붉어지는 것을 의미했다.[1][2][3] 시간이 지나면서 그 의미는 "귀여운" 또는 "예쁜"의 현대적 의미로 바뀌었고, 발음은 카와유이/かわゆい일본어를 거쳐 현대의 카와이/かわいい일본어로 변화했다.[1][2][3] 「가호하유시(顔映ゆし)」가 단축된 형태로 「카와유시」라는 단어가 성립되었고, 구어에서는 「카와유이」가 되어, 「카와유이」가 더욱 「카와이이」로 변화했다.

「가호하유시」「카와유시」는 본래, 「상대가 눈부실 정도로 (지위 등으로) 뛰어나서, 얼굴을 마주하기 어렵다」라는 감각으로 「부끄럽다」는 의미였으며, 그것이 전이되어, 「카와유시」의 「정시하기 어렵지만 내버려둘 수 없다」는 감각에서, 앞서 언급한 「가엾다」「딱하다」는 의미로 전이되었고, 불쌍한 상대를 걱정하는 감각에서, 더욱 「카와유시」(「카와유이」「카와이이」)는 현대 일본어에서 일반적인 「사랑스럽다」는 의미로 전이되었다.

일반적으로 히라가나로 카와이/かわいい일본어로 쓰이지만, 아테지 可愛い|가와이일본어도 자주 사용된다.[1][2][3] 아테지에 있는 로마자 한자는 문자 그대로 "사랑할 수 있는/사랑받을 수 있는, 사랑할 수 있다/있을 수 있다, 사랑스러운"으로 번역된다. 중국에서 전래된 문학 등의 문서에서 보이는, 「사랑스럽다」는 의미의 단어 「()」에 유래한다고도 생각된다.

2. 2. 역사적 변천

''카와이''의 원래 정의는 무라사키 시키부의 11세기 소설 겐지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으며, 가엾은 특성을 지칭했다.[12] 「가호하유시(顔映ゆし)」가 단축된 형태로 「카와유시」라는 단어가 성립되었고, 구어에서는 「카와유이」가 되어, 「카와유이」가 더욱 「카와이이」로 변화했다. 「가호하유시」「카와유시」는 본래, 「상대가 눈부실 정도로 (지위 등으로) 뛰어나서, 얼굴을 마주하기 어렵다」라는 감각으로 「부끄럽다」는 의미였으며, 그것이 전이되어, 「카와유시」의 「정시하기 어렵지만 내버려둘 수 없다」는 감각에서, 앞서 언급한 「가엾다」「딱하다」는 의미로 전이되었고 불쌍한 상대를 걱정하는 감각에서, 더욱 「카와유시」(「카와유이」「카와이이」)는 현대 일본어에서 일반적인 「사랑스럽다」는 의미로 전이되었다.

쇼군 시대에는 신유학의 이념 하에서, 여성에 대한 동물적인 인식은 여성은 유순하다는 개념으로 대체되면서 여성도 카와이의 범주에 포함되게 되었다.[12] 그러나 초기 의미는 현대 표준 일본어 형용사 명사 かわいそう ''kawaisō'' ( 종종 ''ateji''로 可哀相 또는 可哀想로 표기) "가엾은, 불쌍한, 동정을 불러일으키는, 가난한, 슬픈, 유감스러운" (어원적으로 顔映様 "얼굴 / 빛을 투사, 반사 또는 전달, 홍조 / 보이는, 외관")로 남아있다. ''kawaii''와 그 파생어인 ''kawaisō'' 및 ''kawairashii''(''-스럽게/-rashii일본어'')의 형태는 현대 방언에서 11세기 의미인 "사랑스러운"과 "가엾은" 외에도 "당황스러운/당황한, 부끄러운/부끄러운" 또는 "좋은, 멋진, 훌륭한, 훌륭한, 훌륭한, 칭찬할 만한"을 의미하는 데 사용된다.

카와이 일본 필기체의 예시


1970년대에, 카와이 미학의 인기는 필기 스타일에 영감을 주었다.[4] 많은 십 대 소녀들이 샤프 펜슬을 사용하여 옆으로 쓰는 방식으로 독특한 필기체를 발전시켰는데, 이는 두께가 다양하고 세로로 쓰였던 전통적인 일본어와 달리 매우 얇은 선을 만들어냈다.[4] 십 대 소녀들은 크고 둥근 글씨로 쓰고 하트, 별, 이모티콘 얼굴, 라틴 문자의 글자 등 작은 그림들을 추가했다.[4] 1984년부터 1986년까지, 는 이러한 귀여운 필기체(그는 이를 이상한 여성 십 대 필기체라고 불렀다)의 발전을 심층적으로 연구했다.[4] 이러한 종류의 귀여운 일본 필기체는 , , , 등으로 불렸다.[5]

「카와이이」의 한자와 오쿠리가나에 의한 표기인 「可愛い」는 차자라는 설도 있지만, 중국에서 전래된 문학 등의 문서에서 보이는, 「사랑스럽다」는 의미의 단어 「()」에 유래한다고도 생각된다. 이 단어는 현대 중국어의 표준 중국어에서 「쿠어아이(〈〉)」라는 음형을 가지기 때문에, 일본어 「카와이이」와 음도 근사하다. 현대 중국어에서도 「사랑스럽다」는 의미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2. 3. 현대적 의미

'''카와이'''(일본어: かわいい)는 현대 일본어에서 '사랑스럽다'는 의미로 가장 널리 사용된다.[12] 원래는 무라사키 시키부의 11세기 소설 겐지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으며, 가엾은 특성을 지칭했다.[12] 쇼군 시대 신유학의 이념 하에서, 여성에 대한 동물적인 인식은 여성은 유순하다는 개념으로 대체되면서 여성도 카와이의 범주에 포함되게 되었다.[12]

일본어에서 "카와이(かわいい)"의 사용은 일반적이며, 미학을 묘사하거나, 칭찬을 하거나, 대화에 즐거움이나 인사를 더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카와이"는 어린 것, 작은 것, 애교 있는 외관을 가진 모습에 대한 애정이나 애착 등을 표현하는 의미가 강하다.

현대에 있어서는, 주로 젊은층이 인물에 대해 "귀엽다"라고 표현하는 경우, 대상자의 나이·사회지위 등에 대한 존경 표현은 거의 고려되지 않고, 연상의 고령자나 성인남성, 경우에 따라서는 신불의 이나 천황에 대해서 사용되는 예도 있다.[50] 이는 "사랑할 만한" 대상의 적용 범위가, 단순한 외모에 머무르지 않고 성격이나 이미지에 관해서까지 확대됨으로써, 대상에 대해 적의를 품는 요소나 위압적인 요소가 없고, 자신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미점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사용되게 된 것에 기인한다.

또한, 객관적인 우위자에 대한 경우에만 국한되지 않고, 젊은층의 여성이 동경의 염을 포함하여, 자신의 가치관에 기초하여 자신보다 뛰어나다고 인식한 인물에 대해 사용하는 예도 종종 보인다. 특히 그 사람의 사회적 지위나 역할로 보아 자신과 거리가 있어도 어쩔 수 없다고 느끼는 상대의 거리감이 가깝거나, 일시적으로 좁혀졌을 때 "귀엽다"라고 느껴지기 쉽다.

인지 심리 생리학의 이리토노 히로시는 "귀엽다"를 대상이 가진 속성이 아니라, 어떤 대상에 접하여 생기는 개인의 감정으로 파악하고, 생물학적인 기반을 가진 "귀엽다"라는 감정과, 문화적 가치관으로서의 "귀엽다"로 이루어진 이층 모델을 제안했다. 이리토노는 "귀엽다"와 유아는 직접적인 상호 관련이 없다는 것, "귀엽다"라는 감정은 대상에 접근하여 사회적인 관계를 가지려고 하는 동기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시사했다.[52]

'카와이소(かわいそう)'는 '가엾다', '불쌍하다'는 뜻으로, 원래 의미를 일부 유지하고 있다.[12] ''kawaii''와 그 파생어인 ''kawaisō'' 및 ''kawairashii''카와이라시-/(可愛らしい)일본어("-같은, -스럽게")의 형태는 현대 방언에서 11세기 의미인 "사랑스러운"과 "가엾은" 외에도 "당황스러운/당황한, 부끄러운/부끄러운" 또는 "좋은, 멋진, 훌륭한, 훌륭한, 훌륭한, 칭찬할 만한"을 의미하는 데 사용된다.

형태일본어로마자한국어
현재かわいいkawaii귀엽다
현재 부정かわいくないkawaikunai귀엽지 않다
과거かわいかったkawaikatta귀여웠다
과거 부정かわいくなかったkawaikunakatta귀엽지 않았다


3. 다양한 용례

일본어에서 "카와이(かわいい)"의 사용은 일반적이며, 미학을 묘사하거나, 칭찬을 하거나, 대화에 즐거움이나 인사를 더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카와이'' 패션


는 그의 저서 ''카와이 신드롬''에서 "귀여움"과 "깔끔함"이 이전 일본의 미학인 "아름다움"과 "세련됨"보다 우선시되었다고 주장한다.[12] 문화 현상으로서, 귀여움은 일본 문화와 국가 정체성의 일부로서 일본에서 점점 더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는 저서 ''쿨 재팬''에서 "귀여움"이 일본의 조화로운 문화를 기반으로 한다고 믿으며, 도쿄 무사시 대학 사회학 교수 는 "귀여움"이 일본에서 용납되고 바람직한 모든 것을 포괄하는 "마법의 용어"라고 언급했다.[13]

== 인물 ==

일본어에서 "카와이(かわいい)"는 미학, 칭찬, 대화에 즐거움을 더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된다.[23]가와이이/かわいい일본어는 현재형으로 "귀엽다"라는 뜻이며, 과거형은 가와이캇타/かわいかった일본어로 "귀여웠다"라는 뜻이다.

형태일본어로마자한국어
현재かわいいkawaii귀엽다
현재 부정かわいくないkawaikunai귀엽지 않다
과거かわいかったkawaikatta귀여웠다
과거 부정かわいくなかったkawaikunakatta귀엽지 않았다



"카와이"는 어린 것, 작은 것, 애교 있는 외관을 가진 모습에 대한 애정이나 애착 등을 표현하는 의미가 강하며, 과거에는 성인에게 사용하는 경우 실례로 여겨졌다. 그러나 현대에는 주로 젊은 층에서 인물에 대해 "카와이"를 사용할 때 연령, 사회적 지위 등에 대한 존경 표현은 거의 고려되지 않는다.[50] 연상의 고령자, 성인 남성, 심지어 신불의 상이나 천황에 대해서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50]

이는 "사랑할 만한" 대상의 적용 범위가 외모뿐만 아니라 성격, 이미지에 관해서까지 확대되어, 적의나 위압적인 요소가 없고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미점을 가진 대상에 사용되게 된 것에 기인한다. 또한, 객관적인 우위자뿐만 아니라, 젊은 층의 여성이 동경을 포함하여 자신보다 뛰어나다고 인식한 인물에 대해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보인다. 특히, 사회적 지위나 역할로 보아 자신과 거리가 있는 상대와의 거리감이 가깝거나, 일시적으로 좁혀졌을 때 "카와이"라고 느껴지기 쉽다.

인지 심리 생리학의 이리토노 히로시는 "카와이"를 대상이 가진 속성이 아니라, 어떤 대상에 접하여 생기는 개인의 감정으로 파악하고, 생물학적인 기반을 가진 "카와이"라는 감정과, 문화적 가치관으로서의 "카와이"로 이루어진 이층 모델을 제안했다.[52]

== 사물 ==

인간이나 생물의 특징을 갖지 않는 인공물에도 '카와이'가 적용된다.[52] 감성 공학에서는 '카와이'라고 평가되는 인공물의 속성으로 둥근 형태, 밝은 색상, 작은 크기, 부드러운 질감 등을 제시한다.[52]

== 추상적 개념 ==

'카와이'는 어린이나 작은 것, 애교 있는 외관에 대한 애정이나 애착을 표현하는 의미가 강하다.[50] 연인 등을 '귀엽게' 생각하는 경우는 별개로, 성인에게 사용하면 실례로 여겨지기도 했다. 그러나 현대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나이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존경 표현과 관계없이, 연장자나 성인 남성, 심지어 신불의 상이나 천황에게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50] 이는 '사랑할 만한' 대상의 범위가 외모뿐 아니라 성격이나 이미지까지 확대되면서, 대상에게 적의나 위압적인 요소가 없고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미점이 있다고 판단될 때 사용되기 때문이다.

'카와이'라는 감정은 생물의 유체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에서 비롯된다. 부드러움, 둥글고 곡선적인 몸매, 큰 눈과 통통한 뺨, 작은 체구, 서투른 몸짓 등은 귀여움의 필수 요소이다. 이러한 특징은 2차원적이고 추상적인 그림이나 일러스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

현대에는 인간이나 생물의 특징을 갖지 않는 인공물에 대해서도 '카와이'라고 인식하고 평가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수입 잡화점의 빨래집게도 '카와이'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감성 공학에서는 '카와이'라고 평가되는 인공물의 속성으로 곡선적인 형태, 밝고 채도가 높은 색상, 작은 크기, 부드러운 촉감 등을 제시한다.

3. 1. 인물

일본어에서 "카와이(かわいい)"는 미학, 칭찬, 대화에 즐거움을 더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된다.[23]가와이이/かわいい일본어는 현재형으로 "귀엽다"라는 뜻이며, 과거형은 가와이캇타/かわいかった일본어로 "귀여웠다"라는 뜻이다.

형태일본어로마자한국어
현재かわいいkawaii귀엽다
현재 부정かわいくないkawaikunai귀엽지 않다
과거かわいかったkawaikatta귀여웠다
과거 부정かわいくなかったkawaikunakatta귀엽지 않았다



일본에서는 귀여움이 남녀 모두에게 용인된다. 남성이 유아적 외모를 모방하기 위해 다리를 면도하는 경향이 있었고[23], 일본 여성들은 남성을 유혹하기 위해 귀여운 척을 하기도 한다.[23] 가네보의 연구에 따르면, 20대와 30대 일본 여성들은 "어린애 같은 둥근 얼굴"의 "귀여운 외모"를 선호했다.[7] 여성들은 큰 콘택트 렌즈, 속눈썹, 과감한 아이 메이크업을 하거나 심지어 쌍꺼풀 수술로 알려진 동아시아 눈꺼풀 성형술을 받기도 한다.[14]

아이돌(アイドル, aidoru)은 10대와 20대 초반의 미디어 인물로, 특히 매력적이거나 귀엽다고 여겨지며, 몇 달에서 몇 년에 걸쳐 정기적으로 대중 매체에 출연한다. 스피드(Speed), 모닝구 무스메, AKB48, 모모이로 클로버 Z는 2000년대와 2010년대 일본에서 인기 있는 아이돌 그룹의 예이다.[15]

일반적으로 여성 위주의 패션이지만, 일부 남성들도 카와이 트렌드를 따른다. 남성이 남성적인 카와이 액세서리를 착용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대신 가발, 속눈썹, 화장을 하고 카와이 여성 의류를 착용하여 카와이 여성으로 크로스드레싱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21] 일본의 팝스타나 배우들은 종종 SMAP기무라 타쿠야처럼 긴 머리를 하고 있으며, 네오테니적인 외모를 추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2]

"카와이"는 어린 것, 작은 것, 애교 있는 외관을 가진 모습에 대한 애정이나 애착 등을 표현하는 의미가 강하며, 과거에는 성인에게 사용하는 경우 실례로 여겨졌다. 그러나 현대에는 주로 젊은 층에서 인물에 대해 "카와이"를 사용할 때 연령, 사회적 지위 등에 대한 존경 표현은 거의 고려되지 않는다.[50] 연상의 고령자, 성인 남성, 심지어 신불의 상이나 천황에 대해서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50]

이는 "사랑할 만한" 대상의 적용 범위가 외모뿐만 아니라 성격, 이미지에 관해서까지 확대되어, 적의나 위압적인 요소가 없고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미점을 가진 대상에 사용되게 된 것에 기인한다. 또한, 객관적인 우위자뿐만 아니라, 젊은 층의 여성이 동경을 포함하여 자신보다 뛰어나다고 인식한 인물에 대해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보인다. 특히, 사회적 지위나 역할로 보아 자신과 거리가 있는 상대와의 거리감이 가깝거나, 일시적으로 좁혀졌을 때 "카와이"라고 느껴지기 쉽다.

인지 심리 생리학의 이리토노 히로시는 "카와이"를 대상이 가진 속성이 아니라, 어떤 대상에 접하여 생기는 개인의 감정으로 파악하고, 생물학적인 기반을 가진 "카와이"라는 감정과, 문화적 가치관으로서의 "카와이"로 이루어진 이층 모델을 제안했다.[52]

3. 2. 사물

인간이나 생물의 특징을 갖지 않는 인공물에도 '카와이'가 적용된다.[52] 감성 공학에서는 '카와이'라고 평가되는 인공물의 속성으로 둥근 형태, 밝은 색상, 작은 크기, 부드러운 질감 등을 제시한다.[52]

3. 3. 추상적 개념

'카와이'는 어린이나 작은 것, 애교 있는 외관에 대한 애정이나 애착을 표현하는 의미가 강하다.[50] 연인 등을 '귀엽게' 생각하는 경우는 별개로, 성인에게 사용하면 실례로 여겨지기도 했다. 그러나 현대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나이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존경 표현과 관계없이, 연장자나 성인 남성, 심지어 신불의 상이나 천황에게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50] 이는 '사랑할 만한' 대상의 범위가 외모뿐 아니라 성격이나 이미지까지 확대되면서, 대상에게 적의나 위압적인 요소가 없고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미점이 있다고 판단될 때 사용되기 때문이다.

'카와이'라는 감정은 생물의 유체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에서 비롯된다. 부드러움, 둥글고 곡선적인 몸매, 큰 눈과 통통한 뺨, 작은 체구, 서투른 몸짓 등은 귀여움의 필수 요소이다. 이러한 특징은 2차원적이고 추상적인 그림이나 일러스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

현대에는 인간이나 생물의 특징을 갖지 않는 인공물에 대해서도 '카와이'라고 인식하고 평가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수입 잡화점의 빨래집게도 '카와이'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감성 공학에서는 '카와이'라고 평가되는 인공물의 속성으로 곡선적인 형태, 밝고 채도가 높은 색상, 작은 크기, 부드러운 촉감 등을 제시한다.

'카와이'는 애착의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트레일러 운전사가 자신의 트레일러를 '카와이'하다고 표현하는 것은 트레일러의 외형, 기능, 사용 편의성에 대한 애착을 나타낸다. 또한, 동사화된 '귀여워하다'는 '귀엽다고 생각하다'는 의미 외에, '눈여겨보다'는 행위나 반어법적으로 '혹독하게 훈련시키다', '괴롭히다'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4. 파생 개념

1990년대 이후 젊은이들 사이에서, "에로카와이", "키모카와이"와 같이, 다른 형용사와 조합하여, 어떻게 귀여운지를 나타내는 용법이 생겨났다. 이는 "에로하다"나 "기모하다"와 같은 멸시적이거나 아슬아슬한 표현을 "귀엽다"로 받아들여, 그 부정적인 인상을 완화하고 있다.

키모-카와이이(Kimo-kawaii)는 일본어로 "섬뜩-귀여움" 또는 "혐오-귀여움"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카와이이 미학에 공포와 섬뜩함의 스타일 요소를 결합하여 독특한 외관을 가지고 있다.[20] 이 스타일은 1990년대에 일부 사람들이 귀엽고 순수한 캐릭터와 패션에 대한 흥미를 잃으면서 등장했다.[20] 이는 일반적으로 어둡고 짙은 색상을 강조하면서 섬뜩하거나 혐오스러운 의상이나 액세서리를 착용하여 구현된다.[20]

4. 1. 에로카와이 (エロかわいい)



'에로카와이'(エロかわいい)는 '에로'(エロ)와 '카와이'(かわいい)의 합성어로, 섹시함과 귀여움을 겸비한 것을 의미한다. 2002년 smart의 '친카메' 코너에서 처음 확인되며, 2003년에는 게임 소프트 『스타 오션3』의 캐릭터 '소피아'에 대한 2ch 스레드에서 사용되면서 유행어가 되었다.

2004년경 가수 코다 쿠미가 자신의 패션을 '에로카와이'라고 표현하면서 대중화되었고, '에로카와'와 같은 약칭도 생겨났다. 패션 잡지에서도 '에로카와'라는 제목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코다 쿠미는 '에로 멋있다', '에로 멋지고 귀엽다'라는 표현도 사용했다.

에로카와이 의상은 섹시함과 귀여움을 동시에 나타낸다. 피부 노출, 란제리풍 디자인, 시스루, 검은색 사용 등은 섹시한 요소로, 프릴, 리본, 레이스, 물방울 무늬, 분홍색 사용 등은 귀여운 요소로 꼽힌다.

4. 2. 부사카와이 (ブサかわいい)

"부사카와이"는 "못생김"과 "귀여움"의 합성어이다. 드물게 "부스카와이", "부스카와"라고도 한다.[53][54] 주로 애완동물이나 여성에게 사용된다. 여성에게는, 잘 정돈된 외모가 아니라 언뜻 보기에 못생김과 같이 보여도, 애교가 있고 귀여운 여성을 가리킨다. 애완동물에게 "부사카와이"라는 말을 사용할 때는, 퍼그나 불독 등의 애교 있는 얼굴의 귀여움을 표현한다. 다소 못생겼지만, 그것이 오히려 귀엽다는 의미로 사용되는 점은 동일하다.

4. 3. 키모카와이 (キモかわいい)

키모카와이(キモかわいい)는 '징그럽다(키모이, キモい)'와 '귀엽다(카와이이, 可愛い)'를 합쳐 만든 신조어로, 징그럽거나 기분 나쁘면서도 귀여운 모습을 뜻하며, '키모카와(キモかわ)'라고도 한다.

1990년대 말부터 댄싱 베이비와 같은 캐릭터를 지칭하며 사용되기 시작했다. 2000년대에는 만담가 언걸스가 인기를 얻으면서, 그들의 초현실주의적인 모습을 표현할 때도 사용되었다.

고질라처럼 괴수를 귀엽게 데포르메하여 상품화하는 것처럼, 징그러움과 귀여움이 공존하는 경우는 이전부터 있었다. 외국에서도 1984년 미국 영화 그렘린에 나오는 크리처인 모그와이 등, 기분 나쁨과 귀여움을 동시에 표현하는 사례가 있었다.

2000년대 이후 유루캬라 붐과 함께, '키모카와이'로 인기를 얻은 캐릭터가 많다. 주니치 드래곤스의 마스코트 도아라, 나라현 헤이조 천도 1300년 기념 사업의 센토군, 네모바지 스폰지밥, 우사비치, 꼬마 탐정 즈칸, 오리너구리 이코짱 등이 대표적이다.

5. 카와이 문화와 사회

5. 1. 카와이 패션

일본의 스위트 로리타 패션


로리타 패션은 일본에서 매우 잘 알려지고 인지도가 높은 스타일이다. 빅토리아 시대 패션과 로코코 시대를 기반으로, 소녀들은 고딕 스타일과 함께 자신만의 요소를 섞어 도자기 인형 같은 외모를 연출한다.[16] 로리타 패션을 하는 소녀들은 귀엽고, 순수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보이려고 한다.[16] 이 모습은 레이스, 리본, 보우, 러플, 블루머, 앞치마, 러플 페티코트를 통해 연출된다. 양산, 뭉툭한 메리 제인 힐, 보 핍 칼라도 매우 인기가 많다.[17]

스위트 로리타는 로리타 패션의 하위 스타일로, 더욱 많은 리본, 보우, 레이스를 포함하며, 파스텔톤 및 기타 밝은 색상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거대한 보우 또는 보닛과 같은 머리 장식도 매우 흔하며, 더 자연스러운 모습을 연출하기 위해 가벼운 화장을 하기도 한다. 컬링된 헤어 익스텐션은 속눈썹 연장과 함께 베이비 돌 룩을 연출하는 데에도 인기가 있다.[18] "스위트 로리타"와 일부 교차하는 또 다른 귀여운 패션은 페어리 케이이다.

과일, 꽃, 과자 등의 테마는 드레스에 사용되는 직물의 패턴으로 자주 사용된다. 지갑은 종종 테마와 어울리며, 하트, 딸기 또는 봉제 인형 모양이다. ''Baby, the Stars Shine Bright''는 이 스타일의 더욱 인기 있는 의류 매장 중 하나이며, 종종 테마를 다룬다. 매너도 많은 스위트 로리타들에게 중요하다. 스위트 로리타는 때때로 패션뿐만 아니라 라이프 스타일이기도 하다.[18] 이는 2004년 영화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에서 로리타 캐릭터인 모모코가 차만 마시고 과자만 먹는 모습에서도 잘 드러난다.[19]

고딕 로리타, 쿠로 로리타, 시로 로리타, 밀리터리 로리타 또한 하위 스타일이며, 미국의 애니메이션 컨벤션 장면에서는 캐주얼 로리타도 있다.

데코라 패션의 예시


데코라는 자신에게 많은 "장식"을 착용하는 것이 특징인 스타일이다. 이는 자기 장식으로 간주된다. 이 패션의 목표는 가능한 한 생동감 있고 개성 있게 되는 것이다. 이 패션 트렌드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다양한 색상의 머리핀, 팔찌, 반지, 목걸이 등의 액세서리를 착용한다. 여러 겹의 액세서리를 의상에 추가함으로써 이 패션 트렌드는 어린아이 같은 외형을 갖는 경향이 있다. 어떤 사람들은 카와이 미학의 과장된 어린아이 같은 요소를 거부하거나 진정성이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카와이 스타일과 관련된 긍정성, 순수함, 그리고 경쾌함을 높이 평가한다. 또한 장난감과 다색 의류도 포함된다. 데코라와 페어리 계에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페어리계는 1980년대 패션을 기반으로 한 젊은 스타일로, 몽환적이고 향수를 자극하는 느낌을 자아낸다. 이 스타일의 의상은 파스텔 색상, 천사, 장난감, 그리고 일반적으로 귀여운 모티프와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의 서양 완구 라인, 예를 들어 폴리 포켓, 마이 리틀 포니, 스트로베리 쇼트케이크, 레인보우 브라이트, 포플스, 레이디 러블리 락스, 바비, 워즐스, 케어 베어 등에서 가져온 요소와 액세서리로 구성된다. 파스텔 색상의 헤어가 흔하지만, 자연 모발도 인기가 있으며, 헤어스타일은 일반적으로 단순하게 유지하고 귀엽거나 파스텔 색상의 장식으로 꾸민다. 리본이 흔한 테마이다. 페어리계 코디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아이템으로는 빈티지 스웨터, 가디건, 바시티 재킷, 튜튜, 미니 스커트, 타이츠, 오버니삭스, 운동화, 티 파티 슈즈 등이 있다. "페어리계"라는 용어는 잡지 ''Zipper''에서 유래되었다 (도쿄 패션 매장 ''Spank!''의 주인인 타부치 사유리가 이 스타일을 우연히 창조했다는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5. 1. 1. 로리타 패션



로리타 패션은 일본에서 매우 잘 알려지고 인지도가 높은 스타일이다. 빅토리아 시대 패션과 로코코 시대를 기반으로, 소녀들은 고딕 스타일과 함께 자신만의 요소를 섞어 도자기 인형 같은 외모를 연출한다.[16] 로리타 패션을 하는 소녀들은 귀엽고, 순수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보이려고 한다.[16] 이 모습은 레이스, 리본, 보우, 러플, 블루머, 앞치마, 러플 페티코트를 통해 연출된다. 양산, 뭉툭한 메리 제인 힐, 보 핍 칼라도 매우 인기가 많다.[17]

스위트 로리타는 로리타 패션의 하위 스타일로, 더욱 많은 리본, 보우, 레이스를 포함하며, 파스텔톤 및 기타 밝은 색상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거대한 보우 또는 보닛과 같은 머리 장식도 매우 흔하며, 더 자연스러운 모습을 연출하기 위해 가벼운 화장을 하기도 한다. 컬링된 헤어 익스텐션은 속눈썹 연장과 함께 베이비 돌 룩을 연출하는 데에도 인기가 있다.[18] "스위트 로리타"와 일부 교차하는 또 다른 귀여운 패션은 페어리 케이이다.

과일, 꽃, 과자 등의 테마는 드레스에 사용되는 직물의 패턴으로 자주 사용된다. 지갑은 종종 테마와 어울리며, 하트, 딸기 또는 봉제 인형 모양이다. ''Baby, the Stars Shine Bright''는 이 스타일의 더욱 인기 있는 의류 매장 중 하나이며, 종종 테마를 다룬다. 매너도 많은 스위트 로리타들에게 중요하다. 스위트 로리타는 때때로 패션뿐만 아니라 라이프 스타일이기도 하다.[18] 이는 2004년 영화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에서 로리타 캐릭터인 모모코가 차만 마시고 과자만 먹는 모습에서도 잘 드러난다.[19]

고딕 로리타, 쿠로 로리타, 시로 로리타, 밀리터리 로리타 또한 하위 스타일이며, 미국의 애니메이션 컨벤션 장면에서는 캐주얼 로리타도 있다.

5. 1. 2. 데코라 패션



데코라는 자신에게 많은 "장식"을 착용하는 것이 특징인 스타일이다. 이는 자기 장식으로 간주된다. 이 패션의 목표는 가능한 한 생동감 있고 개성 있게 되는 것이다. 이 패션 트렌드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다양한 색상의 머리핀, 팔찌, 반지, 목걸이 등의 액세서리를 착용한다. 여러 겹의 액세서리를 의상에 추가함으로써 이 패션 트렌드는 어린아이 같은 외형을 갖는 경향이 있다. 어떤 사람들은 카와이 미학의 과장된 어린아이 같은 요소를 거부하거나 진정성이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카와이 스타일과 관련된 긍정성, 순수함, 그리고 경쾌함을 높이 평가한다. 또한 장난감과 다색 의류도 포함된다. 데코라와 페어리 계에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5. 1. 3. 페어리 케이

페어리계는 1980년대 패션을 기반으로 한 젊은 스타일로, 몽환적이고 향수를 자극하는 느낌을 자아낸다. 이 스타일의 의상은 파스텔 색상, 천사, 장난감, 그리고 일반적으로 귀여운 모티프와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의 서양 완구 라인, 예를 들어 폴리 포켓, 마이 리틀 포니, 스트로베리 쇼트케이크, 레인보우 브라이트, 포플스, 레이디 러블리 락스, 바비, 워즐스, 케어 베어 등에서 가져온 요소와 액세서리로 구성된다. 파스텔 색상의 헤어가 흔하지만, 자연 모발도 인기가 있으며, 헤어스타일은 일반적으로 단순하게 유지하고 귀엽거나 파스텔 색상의 장식으로 꾸민다. 리본이 흔한 테마이다. 페어리계 코디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아이템으로는 빈티지 스웨터, 가디건, 바시티 재킷, 튜튜, 미니 스커트, 타이츠, 오버니삭스, 운동화, 티 파티 슈즈 등이 있다. "페어리계"라는 용어는 잡지 ''Zipper''에서 유래되었다 (도쿄 패션 매장 ''Spank!''의 주인인 타부치 사유리가 이 스타일을 우연히 창조했다는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5. 2. 카와이 상품

산리오는 헬로 키티[9], 구데타마, Aggretsuko와 같은 캐릭터 상품을 출시하여 '카와이' 트렌드를 성공적으로 활용하고 있다.[9] 헬로 키티는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산리오는 더 깊은 개성을 가진 카와이 캐릭터를 출시하여 더 나이 많은 관객에게도 어필하고 있다.[9] 산리오의 50개 이상의 캐릭터 라인은 연간 10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24]

'카와이'는 사탕, 문구류, 의류, 액세서리 등 다양한 상품에 적용된다.[23][24] 하이츄, 코알라의 마칭, 헬로 팬더와 같은 사탕[23], 그리고 100엔 샵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카와이 상품들이 그 예시이다.

100엔 샵의 카와이 상품 매장


전일본공수 보잉 747, 포켓몬 도색


JNR C11형 기관차, 2014년 일본, 토마스 기차로 재도색


포켓몬스터피카츄는 전일본공수 여객기인 포켓몬 제트에, 리소나 홀딩스는 미피를 ATM 및 신용카드에 사용했다.[25] 일본의 도도부현, 도시, 문화 기관들은 유루캬라로 알려진 귀여운 마스코트 캐릭터를 활용하며, 구마모토현의 구마몬, 히코네시의 히코냥이 대표적이다.[25] 일본 우편의 "유-팩" 마스코트는 양식화된 우편함이며,[26] 일본 경찰은 모에 마스코트를 고반(파출소) 앞에 장식하기도 한다. 공영 방송사인 NHK의 마스코트 도모군은 인터넷 밈과 팬 아트에 등장하기도 한다.

캐비지 패치 키즈 인형은 일본에서 판매가 부진했는데, 이는 일본인들이 헬로 키티와 같은 캐릭터의 평평한 얼굴과 비교하여 이 인형의 얼굴 특징을 "못생겼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12] 바비 인형은 리카에 비해 일본에서 성공하지 못했다.[12]

'카와이'는 일본 현대 문화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으며, 전 세계적으로 카와이 테마를 특징으로 하는 상품들이 인기를 얻고 있다.[29] ''포켓몬스터''와 헬로 키티는 수십억 달러 규모의 판매를 기록하고 있으며,[30] 헬로 키티 상품은 이베이에서 30개 이상의 국가에서 판매되고 있다.[30]

일본 외무성은 2018년에 세 명의 18세 여성을 해외로 파견하여 일본 문화를 알렸다.[32] 카와이 만화와 잡지는 일본 출판 산업에 큰 이익을 가져다주었으며, 닌텐도의 "포켓몬 행성" 관련 상품은 전 세계적으로 50억 달러에 육박하는 수익을 올리고 있다.[30]

5. 3. 공공 부문

"카와이" 개념은 하이츄, 코알라의 마칭, 헬로 팬더와 같은 사탕을 포함한 다양한 제품에 영향을 미쳤다. 귀여움은 하트, 꽃, 별, 무지개와 같은 귀여운 특징을 추가하여 제품에 더할 수 있다.[23][24]

많은 기업, 크고 작은 기업들이 대중에게 상품과 서비스를 알리기 위해 귀여운 마스코트를 사용한다. 예를들어 포켓몬의 캐릭터인 피카츄는 전일본공수(ANA) 여객기 10대인 포켓몬 제트 측면에 장식되어 있다.[23][24] 리소나 홀딩스는 네덜란드 어린이 그림책 시리즈의 캐릭터인 미피를 일부 ATM 및 신용카드에 사용했다. 일본 우편의 "유-팩" 마스코트는 양식화된 우편함이다.[26] 또한 다양한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해 (그중에는 우편 저축 은행도 포함) 다른 귀여운 마스코트 캐릭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우표에도 많이 사용했다. 공영 방송사인 NHK는 자체 귀여운 마스코트를 가지고 있는데, 독특한 외모로 널리 알려진 NHK 마스코트인 도모군은 1998년에 소개되어 빠르게 독자적인 생명력을 얻어 인터넷 밈과 전 세계 팬 아트에 등장했다.

일본의 도도부현뿐만 아니라 많은 도시와 문화 기관들은 관광을 홍보하기 위해 유루캬라로 알려진 귀여운 마스코트 캐릭터를 가지고 있다. 구마모토현 마스코트인 구마몬과 히코네시 마스코트인 히코냥이 가장 인기 있는 캐릭터 중 하나이다.[25] 일본의 일부 경찰은 자체 ''모에'' 마스코트를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고반(파출소) 앞에 장식되어 있다.

6. 다른 문화에 미친 영향

최근 몇 년 동안, 카와이 제품은 일본 국경을 넘어 다른 동아시아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미국에서는 애니메이션만화 팬뿐만 아니라 일본 문화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에게도 인기를 얻고 있다. 귀여운 상품과 제품은 중국 본토, 홍콩, 마카오, 대만, 대한민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특히 인기가 높다.[24][33]

홍콩에서 전시된 카와이 스타일 마스코트


2011년 시안 국제 원예 박람회의 마스코트


6%DOKIDOKI의 소유주이자 카와이 영향력의 세계적인 옹호자인 마스다 세바스찬은 하라주쿠의 품질을 자신의 상점과 예술 작품을 통해 서양 시장으로 가져간다. 이 일본 디자이너의 근본적인 믿음은 "카와이"가 실제로 세상을 구한다는 것이다.[34] 카와이를 다른 세계 시장과 문화에 접목하는 것은 현대 미술, 오디오, 시각, 문학 매체, 특히 여고생들의 패션 트렌드를 통해 이루어진다.[35]

일본의 카와이는 문화적 생산물과 소비재를 "귀엽게" 만드는 것과 연관되어, 세계적인 인기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글로벌 시장을 추구하며,[36] 다른 문화에서 수많은 적용과 해석을 낳고 있다.

일본 청소년 패션과 "카와이 문화"의 확산은 일반적으로 서양 사회와 일본에서 차용하거나 가져온 디자이너들이 설정한 트렌드와 연관된다.[35] 중국, 대한민국, 싱가포르가 세계 경제 중심지로 부상하면서 카와이 상품과 제품의 인기는 다시 동쪽으로 이동했다. 이러한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카와이 컨셉은 타겟 고객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프레젠테이션을 취한다.

타이완 문화, 특히 정부는 카와이를 새로운 수준의 사회적 의식으로 받아들이고 끌어올렸다. A-Bian 인형의 등장은 민주주의를 발전시키고, 타이완 사람들을 위한 집단적 상상력과 국가 정체성을 구축하는 데 기여하는 상징의 발전으로 여겨졌다. A-Bian 인형은 스포츠 스타, 유명 인사, 그리고 현재는 정치인의 카와이 이미지로, 자기 홍보와 잠재적 투표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37] A-Bian 인형의 제작은 천수이볜 타이완 총장의 참모들이 정치인의 "카와이" 이미지를 활용하여 지지를 동원하고 선거 표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도록 했다.[38]

일본의 대중적인 "카와이 문화"는 싱가포르 청소년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일본 문화의 등장은 일본이 세계 경제 강국 중 하나가 된 1980년대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카와이는 몇몇 어린이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인터넷 센세이션으로 발전했다.[39] 싱가포르에서는 일본 미디어가 매우 많이 사용되어 청소년들이 일본 아이돌의 패션을 모방하고, 일본어를 배우고, 일본 관련 상품을 계속 구매할 가능성이 더 높다.[40]

중국, 타이완, 대한민국, 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들은 국제적인 소비를 위한 카와이 상품을 생산하거나, 자국의 청소년 문화의 일부로 카와이를 다루는 웹사이트를 운영한다. 카와이는 자체적인 생명력을 얻어 카와이 웹사이트, 카와이 홈페이지, 카와이 브라우저 테마, 그리고 마지막으로 카와이 소셜 네트워킹 페이지의 형성을 낳았다. 일본이 모든 카와이의 기원이자 메카이지만, 전 세계의 예술가와 기업들은 카와이 테마를 모방하고 있다.[41]

카와이는 진정으로 그 자체보다 "더 위대"해졌다. 오늘날 인터넷을 통한 세상의 상호 연결성은 카와이를 새로운 수준의 노출과 수용으로 이끌어 카와이 "운동"을 만들어냈다.[41]

카와이 개념은 일종의 세계적인 현상이 되었다. 일본의 미적 귀여움은 전 세계 사람들에게 매우 매력적이다. 산리오, 푸신, 구데타마 등은 인기 있는 카와이 상품들이다. 일본 카와이의 광범위한 인기는 종종 "문화적으로 무취"하다는 점에 기인한다. 이국주의와 국가 브랜드의 제거는 카와이가 수많은 타겟 고객에게 도달하고 모든 문화, 계층, 성별 그룹에 걸쳐 확산되는 데 기여했다.[42] 카와이의 매력적인 특성은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게 했고, 그 결과 일본의 세계적인 이미지는 엄격한 정원으로 알려진 것에서 "귀여움 숭배"로 알려진 것으로 바뀌었다.[7]

2014년, 영국의 ''콜린스 영어 사전''은 최신판에 "카와이"를 등재하여 "귀여움을 강조하는 일본의 예술적, 문화적 스타일로, 밝은 색상과 어린아이 같은 외모의 캐릭터를 사용한다"라고 정의했다.[43]

21세기 현대 일본어 "카와이이(귀여운)"는 다른 언어권으로 수출되기도 한다. 거의 모든 수출은 일본어 발음 (IPA) [ ]]aii/}} ] [56]의 음차 형태로 이루어진다.

일본의 팝 문화 연구가인 사쿠라이 타카마사에 따르면, 2009년(헤이세이 21년) 시점에서 "21세기에 들어 세계에서 가장 널리 퍼진 일본어"이며[57], 그 확산은 "귀엽다"에 상당하는 단어──그 언어에서의 "귀엽다"의 차용어──를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고령 세대에게도 의미를 이해하게 할 정도에 이르렀다.[57] 널리 퍼지고 있는 것에 대해 사쿠라이가 제시하는 한 가지 증거로, 외무성이 2009년(헤이세이 21년) 2월 26일에 실시한 팝 문화 발신사(공식 통칭: 카와이이 대사) 취임[57] 기자 회견 및 인터뷰에서, 당국의 배포 자료에 기재되지 않은 "귀엽다"(실제로는 그 로마자 표기인 'kawaii')라는 단어에 대해 일본 외 미디어로부터 일체의 질문이 없었다[58]는 사실이 있다. 이 예에서 보듯이, 일본 외 미디어에서(※ 적어도 그 일본 담당자에서[58]) "귀엽다"라는 단어는 이 시점에서 이미 해설이 필요 없을 정도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58] "귀엽다"와 어느 정도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는 여러 언어에도 있지만, 근본적인 개념에서 극히 유사하다고 볼 수 있는 것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귀엽다", "kawaii"라는 단어가 수출되어 사용되게 되었다고[57], 사쿠라이는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어 이외에서의 어의는, 사전에 실려 있는 현대 일본어 "카와이이(귀여운)" 그대로가 아니라, 그것을 포함하는 상당히 넓은 범위의 의미를 가진 포괄적인 개념이라고 생각하는 편이 좋다고, 사쿠라이는 말하고 있다.[59] 실제로, 일본 외에서의 용법을 일본어 사용자를 위해 해설할 경우에는, 일본어의 용법과 일본어 이외에서의 용법을 명확히 구별할 목적으로, 일본어 이외에서 차용어로 사용되는 것을 "'''카와이이'''"로 가타카나 표기함으로써 나타내려는 예가 많다(※ 본 항목도 이에 준한다). "카와이이"를 상징하는 캐릭터의 대표격으로는 헬로 키티가 있다.[59] 한편, 일본 외제──보다 엄밀히는, 일본이나 도쿄의 취향을 포함하지 않는[59]──스누피와 같은 캐릭터에 "카와이이"는 사용되지 않는다.[59] 즉, 일본어 유래 차용어인 "카와이이"에는 "일본"과 "도쿄"를 문화적 배경으로 하는 것에 대한 평가가 포함되어 있다고, 사쿠라이는 말한다.[59]

일본어 유래 차용어인 "카와이이"는, 10대에서 20대의 젊은 여성 사이에서, 현대 일본적이고 작고 귀엽다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주요 용법이다. 이 외에, 만화나 애니메이션 등 일본 문화가 수출될 때, 현지 독자·시청자가 그들에 등장하는 귀여운 캐릭터에 대해 이 단어를 사용한다.

  • 중국어권에서는, 종래의 중국어 "可爱(귀엽다)(〈〉, )"와 호환성이 있기 때문에, 이 단어가 그대로 일본어의 "카와이이(귀여운)"의 의미로 전용되고 있다[60]. 또한, 그것과는 별도로, 일본어 발음 [ ii/}} (카와이이)] 를 음역한 "(카와이이)(〈〉, 〈〉)"가 현지화되었다[61]. 최초 등장 시기는 불명. 구글 트렌드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가장 오래된 2004년 시점에서 검색어로 사용되고 있다[62] 외에도, 바이두 백과는 2006년 4월에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2006년 4월 시점에서 카와이이의 기사가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에[63], 이보다 더 이전부터 사용되고 있다.

  • 구미의 여러 언어에는, 현대 일본어에서 말하는 "귀엽다"의 개념을 제대로 번역할 수 있는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다.

: 예를 들어, 영어의 "cute(귀여운)()"와 이탈리아어의 "carino(귀여운)()"와 "carina(귀여운)()" [64]는, 모두 "미숙한 것", "유아적 귀여움"이라는 본래의 의미에서의 "귀엽다" 정도의 표현밖에 없기 때문에, 일본 발의 개념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kawaii(카와이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듯하다.

: 러시아어에는, 현대 일본어 "귀엽다"에서 유래한 "(kavaj 등[65], )"와 그 이표기 "(kavaji 등[66], )"가 있지만, 다른 구미 여러 언어와 마찬가지로 만화·애니메이션 문화를 중심으로 퍼졌기 때문에, 일본어 "귀엽다"의 본래 의미보다 일본어 "모에"에 가까운 의미로 사용되는 경향이 강하며, 또한, 형용사화된 "(kavajnyj 등[67], )"도 드물게 보인다.

  • 프랑스에는 "Kilo Shop Kawaii(킬로 샵 카와이이)"를 상호로 내건 헌 옷 가게가 있으며[68], 파리 본점과 루앙점에서 헌 옷을 무게 단위 가격으로 판매(킬로 판매)하고 있다. 2014년 5월 23일부터[69][70], 이 업체는 "KILO SHOP TOKYO"를 내세워 도쿄 오모테산도에도 진출했으며[71], 라포레 하라주쿠점과 고본기점(라포레 하라주쿠 내 소재)이 있다.
  • 일본 (특히 하라주쿠)을 중심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팝 컬처로서의 Kawaii 컬처에 대해서는 '일반 사단법인 GLOBAL KAWAII 협회'[72][73][74]가 일본 국내외에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동 협회 이사이자 문화 사회학자인 메건 캐서린 로즈에 따르면, Kawaii 컬처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는 세계적으로 5~6명 정도밖에 없으며, 명확하게 정리되지 않은 부분이 많다[75]. 또한 동 협회 이사이자 Kawaii 컬처의 대표적인 존재인 쿠레바야시 아메에 따르면 논문 수도 적기 때문에[76], 전체 모습을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연구의 확대가 필요하다.


"카와이이"의 문화론적 저작으로는, 맨체스터 대학교 소속의 영국인사회학 연구자 샤론 킨셀라(Sharon Kinsella)가 1995년에 저술한 『''Cuties in Japan''』, 『뉴욕 타임스』지의 기자 켄 벨슨(Ken Belson)과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지의 도쿄 지국장 브라이언 브레너(Brian Bremner)가 2007년에 간행한 공저 『''The Remarkable Story of Sanrio and the Billion Dollar Feline Phenomenon''(번역 제목: 거액을 벌어들이는 헬로 키티의 생태)』[77], 일본인비교 문학자·요코타 이누히코가 2006년(헤이세이 18년)에 저술한 『「카와이이」론』등이 있다. 이러한 저작에서는, "카와이이"를 일본 발의 감성 가치로 삼은 다음, 미성숙한 것을 불완전한 것으로 간주하는 기존 유럽의 가치관에 대해, 그것들을 "카와이이"한 것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일본적인 미의 원리에 특징을 찾고 있다.

6. 1. 국제적 확산

'카와이'는 인터넷의 확산으로 일본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널리 퍼져나가고 있다.[29] 포켓몬스터와 헬로 키티는 수십억 달러 규모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세계적인 귀여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이다.[30] 특히 헬로 키티는 이베이에서 수백 개의 상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아르헨티나, 바레인, 대만 등 30개국 이상에서 판매될 정도로 인기가 높다.[30]

일본은 카와이 산업의 중심지이며, 도라에몽, 헬로 키티, 피카츄, 세일러 문, 하무타로와 같은 캐릭터 상품들은 휴대폰 액세서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톈 선량 교수는 일본의 미래가 카와이가 인류에게 미치는 영향에 달려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31]

일본 외무성은 카와이 상품의 영향력을 인지하고, 2018년에는 일본 문화를 홍보하기 위해 세 명의 18세 여성들을 해외로 파견하여 일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유니폼과 메이드복을 착용하게 했다.[32]

카와이 만화와 잡지는 일본 출판 산업에 큰 수익을 가져다주었으며,[30] 닌텐도의 "포켓몬 행성" 관련 상품은 전 세계적으로 50억 달러에 육박하는 수익을 기록했다.[30]

최근에는 중국 본토, 홍콩, 마카오, 한국, 대만을 포함한 동아시아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카와이 제품의 인기가 높다.[24][33]

6%DOKIDOKI의 소유주이자 카와이 영향력의 세계적인 옹호자인 마스다 세바스찬은 하라주쿠의 카와이 문화를 자신의 상점과 예술 작품을 통해 서양 시장으로 전파하고 있으며, "카와이"가 세상을 구원할 것이라고 믿는다.[34]

일본의 카와이는 문화적 생산물과 소비재를 "귀엽게" 만드는 것과 관련되어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시장을 추구하며[36] 다른 문화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해석되고 있다.

일본 청소년 패션과 "카와이 문화"의 확산은 서양 사회와 일본에서 차용하거나 가져온 디자이너들이 설정한 트렌드와 관련이 깊다.[35] 중국, 한국, 싱가포르가 세계 경제 중심지로 부상하면서 카와이 상품과 제품의 인기는 다시 동쪽으로 이동했으며, 이러한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카와이 컨셉은 타겟 고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21세기 현대 일본어 "카와이이(귀여운)"는 IPA [ ]]aii/}} ] [56]의 음차 형태로 다른 언어권으로 수출되었다.

팝 문화 연구가인 사쿠라이 타카마사에 따르면, 2009년(헤이세이 21년) 시점에서 "21세기에 들어 세계에서 가장 널리 퍼진 일본어"이며[57], 외무성이 2009년(헤이세이 21년) 2월 26일에 실시한 팝 문화 발신사(공식 통칭: 카와이이 대사) 취임[57] 기자 회견 및 인터뷰에서, 당국의 배포 자료에 기재되지 않은 "귀엽다"(실제로는 그 로마자 표기인 'kawaii')라는 단어에 대해 일본 외 미디어로부터 일체의 질문이 없었다[58]는 사실은 일본 외 미디어에서(※ 적어도 그 일본 담당자에서[58]) "귀엽다"라는 단어가 이 시점에서 이미 해설이 필요 없을 정도로 널리 알려져 있었음을 보여준다.[58]

일본어 이외에서의 어의는, 사전에 실려 있는 현대 일본어 "카와이이(귀여운)" 그대로가 아니라, 그것을 포함하는 상당히 넓은 범위의 의미를 가진 포괄적인 개념이라고, 사쿠라이는 말하고 있다.[59] 일본 외에서의 용법을 일본어 사용자를 위해 해설할 경우에는, 일본어의 용법과 일본어 이외에서의 용법을 명확히 구별할 목적으로, 일본어 이외에서 차용어로 사용되는 것을 "'''카와이이'''"로 가타카나 표기함으로써 나타내려는 예가 많다.

"카와이이"를 상징하는 캐릭터의 대표격으로는 헬로 키티가 있다.[59] 한편, 일본 외제──보다 엄밀히는, 일본이나 도쿄의 취향을 포함하지 않는[59]──스누피와 같은 캐릭터에는 "카와이이"는 사용되지 않는다.[59] 즉, 일본어 유래 차용어인 "카와이이"에는 "일본"과 "도쿄"를 문화적 배경으로 하는 것에 대한 평가가 포함되어 있다고, 사쿠라이는 말한다.[59]

일본어 유래 차용어인 "카와이이"는, 10대에서 20대의 젊은 여성 사이에서, 현대 일본적이고 작고 귀엽다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주요 용법이다. 이 외에, 만화나 애니메이션 등 일본 문화가 수출될 때, 현지 독자·시청자가 그들에 등장하는 귀여운 캐릭터에 대해 이 단어를 사용한다.

중국어권에서는, 종래의 중국어 "可爱(귀엽다)(〈〉, )"와 호환성이 있기 때문에, 이 단어가 그대로 일본어의 "카와이이(귀여운)"의 의미로 전용되고 있다[60]. 또한, 일본어 발음 [ ii/}} (카와이이)] 를 음역한 "(카와이이)(〈〉, 〈〉)"가 현지화되었다[61].

구미의 여러 언어에는, 현대 일본어에서 말하는 "귀엽다"의 개념을 제대로 번역할 수 있는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영어의 "cute(귀여운)()"와 이탈리아어의 "carino(귀여운)()"와 "carina(귀여운)()" [64]는, 모두 "미숙한 것", "유아적 귀여움"이라는 본래의 의미에서의 "귀엽다" 정도의 표현밖에 없기 때문에, 일본 발의 개념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kawaii(카와이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듯하다.

러시아어에는, 현대 일본어 "귀엽다"에서 유래한 "(kavaj 등[65], )"와 그 이표기 "(kavaji 등[66], )"가 있지만, 다른 구미 여러 언어와 마찬가지로 만화·애니메이션 문화를 중심으로 퍼졌기 때문에, 일본어 "귀엽다"의 본래 의미보다 일본어 "모에"에 가까운 의미로 사용되는 경향이 강하며, 또한, 형용사화된 "(kavajnyj 등[67], )"도 드물게 보인다.

프랑스에는 "Kilo Shop Kawaii(킬로 샵 카와이이)"를 상호로 내건 헌 옷 가게가 있으며[68], 파리 본점과 루앙점에서 헌 옷을 무게 단위 가격으로 판매(킬로 판매)하고 있다.

일본 (특히 하라주쿠)을 중심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팝 컬처로서의 Kawaii 컬처에 대해서는 '일반 사단법인 GLOBAL KAWAII 협회'[72]가 일본 국내외에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6. 2.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중국어권에서는 기존의 중국어 단어인 "可爱"(kě'ài, 커아이)가 일본어 '카와이'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며, 일본어 발음을 음역한 '卡哇伊'(kǎwāyī, 카와이)도 사용된다.[60][61] 싱가포르에서는 일본의 "카와이 문화"가 청소년들에게 큰 영향을 미쳐, 일본 아이돌 패션 모방, 일본어 학습, 일본 상품 구매 등으로 나타난다.[39][40] 대만에서는 정치인들이 자신의 이미지를 '카와이'하게 만들어 지지도를 높이기도 하는데, 천수이볜 전 총통의 'A-Bian 인형'이 대표적인 예이다.[37][38]

6. 3. 한국

한국에서도 '카와이' 문화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되고 있으며, '귀요미', '깜찍이' 등의 표현이 '카와이'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된다.[56] K-POP 아이돌 그룹의 '큐트' 콘셉트, 캐릭터 상품, 패션 등에서 '카와이'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일본의 팝 문화가 한국 사회에 유입되면서, '카와이'는 단순한 외형적 귀여움을 넘어, 특정 스타일이나 분위기를 지칭하는 용어로 자리 잡았다.

7. 비판적 시각

철학 교수 사이먼 메이(Simon May)는 그의 저서 『귀여움의 힘』에서 1970년대 무렵부터 다카시 무라카미와 같은 예술가들의 작품을 통해 전쟁의 폭력에서 ''카와이''로의 180도 전환을 일본 역사에서 이야기한다.[44] 1992년까지 ''카와이''는 "현대 일본 생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사랑받는 습관적인 단어"로 여겨졌다.[44] 그 이후, 일본 문화에서 ''카와이''와 그에 대한 기대에 대한 몇 가지 비판이 있었다. 나탈리아 콘스탄티노브스카이아(Natalia Konstantinovskaia)는 자신의 논문 "일본에서 카와이로 산다는 것"에서 스스로를 ''카와이''라고 생각하는 젊은 일본 여성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바탕으로 "어린 시절부터 일본인들은 여성은 ''카와이''해야 한다는 기대를 사회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45] ''카와이''의 개념은 균형을 맞추기 어려울 수 있다. 만약 여성의 ''카와이''에 대한 해석이 지나치다고 여겨지면, 그녀는 "가짜 순진함을 연기하는 여성"인 ''부릿코''로 낙인 찍힌다.[45] 논문 "구체화된 카와이: J-pop의 소녀들의 목소리"에서 현대 음악 연구자들은 여성 J-pop 가수들이 옷, 목소리, 몸짓으로 ''카와이'' - 어리고 귀여운 - 로 인식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J-pop 아이콘이 된 모든 여성은 18세 이상이라도 여성으로 인식되기보다는 계속 ''카와이''하거나 소녀다움을 유지해야 한다.[46]

가짜 카와이 행동(예: 하이톤 목소리, 꺅꺅 웃음소리[47])을 보이는 일본 여성은 억지스럽거나 진정성이 없어 보일 수 있으며, 이를 '부릿코'라고 부르며 이는 피상적인 매력으로 여겨진다.[48]신조어는 1980년대에 생겨났으며, 코미디언 야마다 쿠니코/山田邦子일본어에 의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48]

7. 1. 학술적 비판

철학 교수 사이먼 메이(Simon May)는 1970년대 무렵부터 다카시 무라카미와 같은 예술가들의 작품을 통해 전쟁의 폭력에서 ''카와이''로의 전환을 일본 역사에서 이야기한다.[44] 1992년까지 ''카와이''는 "현대 일본 생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사랑받는 습관적인 단어"로 여겨졌다.[44]

나탈리아 콘스탄티노브스카이아(Natalia Konstantinovskaia)는 "일본에서 카와이로 산다는 것"에서 "어린 시절부터 일본인들은 여성은 ''카와이''해야 한다는 기대를 사회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45] 여성이 ''카와이''를 과도하게 표현하면 "가짜 순진함을 연기하는 여성"인 ''부릿코''로 비춰질 수 있다.[45]

현대 음악 연구자들은 "구체화된 카와이: J-pop의 소녀들의 목소리"에서 여성 J-pop 가수들이 ''카와이'' 이미지로 인식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J-pop 아이콘이 된 여성은 18세 이상이라도 계속 ''카와이''하거나 소녀다움을 유지해야 한다고 비판한다.[46]

7. 2. 피상적 매력

일본 여성들이 가짜 카와이 행동(예: 하이톤 목소리, 꺅꺅 웃음소리[47])을 보일 때, 이는 억지스럽거나 진정성이 없어 보일 수 있다. 이러한 행동은 '부릿코'라고 불리며, 피상적인 매력으로 여겨진다.[48] '부릿코'라는 신조어는 1980년대에 생겨났으며, 코미디언 야마다 쿠니코/山田邦子일본어에 의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48]

참조

[1] 웹사이트 http://gogen-allguid[...] 2006-09-05
[2] 웹사이트 http://dictionary.go[...]
[3] 웹사이트 http://kotobank.jp/w[...]
[4] 웹사이트 Cuties in Japan http://www.kinsellar[...] 2011-05-14
[5] 서적 Women, media, and consumption in Japan Hawai'i Press, USA
[6] 웹사이트 How to Use Kawaii (かわいい): Japan's Obsession with Cuteness https://cotoacademy.[...] 2022-07-21
[7] 뉴스 Japan smitten by love of cute http://www.theage.co[...] TheAge.Com 2006-06-18
[8] 웹사이트 Aichi exhibition showcases Rune Naito, pioneer of 'kawaii' culture http://www.asahi.com[...] 2019-12-25
[9] 웹사이트 The New Breed of Kawaii – Characters Who Get Us https://www.umamibra[...]
[10] 웹사이트 (Research Paper) Kawaii: Culture of Cuteness – Japan Forum http://www.jref.com/[...]
[11] 뉴스 Young Japan: She's a material girl http://www.time.com/[...] Time Asia 1999-05-03
[12] 서적 Cute But Deadly: Women and Violence in Japanese Comics 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 Popular Press
[13] 뉴스 Cuteness a hot-selling commodity in Japan https://www.washingt[...] Associated Press 2006-06-14
[14] 웹사이트 Some Japanese customs that may confuse foreigners. http://www.japantoda[...] Japan Today 2012-02-25
[15] 웹사이트 Momoiro Clover Z dazzles audiences with shiny messages of hope http://ajw.asahi.com[...] 2012-08-29
[16] 서적 A Guide to Japanese Street Fashion 6 Degrees
[17] 뉴스 Gothic Lolitas: Demure vs. Dominatrix https://www.nytimes.[...] 2005-03-13
[18] 서적 A Guide to Japanese Street Fashion 6 Degrees
[19] 웹사이트 Kamikaze Girls https://www.imdb.com[...] IMDB 2004-05-29
[20] 웹사이트 The Rise of Japan's Creepy-Cute Craze https://www.theatlan[...] 2014-04-14
[21] 웹사이트 Makeup Changes Men http://tokyokawaiiet[...] Tokyo Kawaii, Etc
[22] 뉴스 It's all Kawaii: Cuteness in Japanese Culture http://geekout.blogs[...] CNN 2011-11-18
[23] 뉴스 In Japan, Cute Conquers All https://www.bloomber[...] Bloomberg Businessweek 2002-06-24
[24] 웹사이트 Cute Inc. https://www.wired.co[...] WIRED 1999-12
[25] 웹사이트 Top Ten Japanese Character Mascots http://findingfukuok[...] Finding Fukuoka 2012-01-13
[26] 웹사이트 Japan Post site showing mailbox mascot http://www.post.japa[...] 2006-02-21
[27] 뉴스 Arts: Kwest For Kawaii http://www.time.com/[...] Time Asia 2006-02-21
[28] 뉴스 FACT: SHOPPING REBELLION: What the kids want http://www.newyorker[...] The New Yorker 2002-03-20
[29] 웹사이트 (Research Paper) Kawaii: Culture of Cuteness http://www.jref.com/[...] 2013-01-18
[30] 웹사이트 Cute Inc. https://www.wired.co[...] 2013-07-30
[31] 웹사이트 http://www.epochtw.c[...] 2013-03-01
[32] 웹사이트 日本の"卡哇伊文化"_中国台湾网 http://www.chinataiw[...]
[33] 웹사이트 Cute Power! http://www.newsweek.[...] 1999-11-07
[34] 문서
[35] 간행물 Dissemination of Japanese Young Fashion and Culture to the World-Enjoyable Japanese Cute (Kawaii) Fashions Spreading to the World and its Meaning
[36] 논문 Re-framing 'Kawaii': Interrogating Global Anxieties Surrounding the Aesthetic of 'Cute' in Japanese Art and Consumer Products
[37] 웹사이트 A-Bian Family http://www.akibo.com[...] 2012-04-26
[38] 웹사이트 Kawaii in Taiwan politics https://docs.google.[...] 2011-09-00
[39] 웹사이트 All things Kawaii http://www.allthings[...] 2011-11-26
[40] 논문 The impact of japanese popular culture on the Singaporean youth http://www.mediacom.[...] 2012-04-26
[41] 간행물 I love kawaii http://ibukimagazine[...] 2010-10-00
[42] 웹사이트 Triumph of kawaii http://www.wm.edu/re[...] 2011-10-00
[43] 뉴스 Kawaii culture in the UK: Japan's trend for cute http://www.bbc.co.uk[...] 2014-10-24
[44] 서적 The Power of Cut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5] 웹사이트 Being Kawaii in Japan https://csw.ucla.edu[...] 2017-07-21
[46] 논문 Embodied Kawaii: Girls' voices in J-pop: Hughes and Keith 2016-12-00
[47] 서적 The material child: coming of age in Japan and Americ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4-09-29
[48] 서적 Japanese Language, Gender, and Ideology: Cultural Models and Real People https://youeni.com/p[...] Oxford University Press
[49] 웹사이트 可愛い(カワイイ)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4-02-17
[50] 서적 2019-09-21
[5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3-07-30
[52] 서적
[53] 뉴스 ブサかわ犬「わさお」に特別住民票 愛嬌振りまきご機嫌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09-08-11
[54] 뉴스 【雑記帳】「ライオン犬」が人気者に 青森・鰺ケ沢 https://web.archive.[...] 毎日新聞社 2019-09-21
[55] 웹사이트 いくつ知ってる?15種類の“かわいい“を使い分けるティーン「○○かわいい」集 https://cm-marketing[...] マーケティング・広報ラボ
[56] 문서 카와이 표기법 설명
[57] 웹사이트 ポップカルチャー発信使(ファッション分野)の委嘱 - 報道発表 https://www.mofa.go.[...] 外務省 2009-02-25
[58] 문서 일본어 담당자 용어 사용 설명
[59] 문서 스누피에 대한 cute 용어 사용 설명
[60] 웹사이트 “最可愛”的國度 日本 體驗東京的“卡哇伊”文化 https://web.archive.[...] 株式会社マイナビ 2015-11-17
[61] 웹사이트 卡哇伊 https://baike.baidu.[...] 百度
[62] 웹사이트 卡哇伊 - Google トレンド https://trends.googl[...]
[63] 웹사이트 卡哇伊(日文音译词)_历史版本_百度百科 https://baike.baidu.[...]
[64] 문서 carino 와 carina 설명
[65] 문서 러시아어 라틴 문자 표기법 설명
[66] 문서 러시아어 라틴 문자 표기법 설명
[67] 문서 러시아어 라틴 문자 표기법 설명
[68] 웹사이트 重さで値段が決まる! ヨーロッパの古着がおトクに楽しめる「KILO SHOP」へ https://rurubu.jp/an[...] 株式会社JTB 2018-04-23
[69] 웹사이트 ビンテージの量り売りが面白いKILO SHOP TOKYOへ https://co-trip.jp/a[...] 昭文社 2014-05-29
[70] 웹사이트 6月2日 J-WAVE Gratitude - archives http://www.kilo-shop[...] KILO SHOP TOKYO 2014-06-02
[71] 웹사이트 KILO SHOP TOKYO http://kilo-shop.jp/[...] KILO SHOP TOKYO 2019-09-25
[72] 웹사이트 GLOBAL KAWAII ASSOCIATION https://globalkawaii[...] 2024-03-05
[73] 웹사이트 一般社団法人GLOBAL KAWAII協会(法人番号: 1011005010206)の本店所在地・法人基本情報 https://ttzk.graffer[...] 2024-03-05
[74] 웹사이트 https://x.com/90884/status/1702624786613223818?s=20 https://x.com/90884/[...] 홍림대공 2024-03-05
[75] 웹사이트 国際的な架け橋:日本のカルチャーを世界に繋ぐ、一般社団法人GLOBAL KAWAII協会の展望とは? Fashion Tech News https://fashiontechn[...] 2024-03-05
[76] 웹사이트 国際的な架け橋:日本のカルチャーを世界に繋ぐ、一般社団法人GLOBAL KAWAII協会の展望とは? Fashion Tech News https://fashiontechn[...] 2024-03-05
[77] 웹사이트 【校長室より】ハローキティは世界のアイドル https://www.otsuma-t[...] 대妻다마중학교·고등학교 2019-09-24
[78] 서적 The Japanese Self in Cultural Logic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4
[79] 웹사이트 kawaii http://oxforddiction[...]
[80] 웹사이트 Beautiful is an Adjective http://www.guidetoja[...] 2011-05-07
[81] 웹사이트 Inside Look at Japanese Cute Culture http://uniorb.com/AT[...] 2005-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