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퍼레이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퍼레이션은 신체를 의미하는 라틴어 'corpus'에서 유래된 단어로, 법적 실체를 의미한다. 고대 로마 시대부터 존재했으며, 재산 소유, 계약 체결, 소송 등의 권리를 가졌다. 중상주의 시대에는 특허 회사가 설립되어 식민지 개척과 무역 독점을 추구했으며, 19세기에는 산업 혁명과 함께 회사 설립 규제가 완화되었다. 19세기 말 미국에서는 지주 회사와 합병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각국 정부는 독점 금지법을 제정했다. 현대에는 법인 설립을 허용하는 법률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으며, 민영화와 규제 완화가 추진되었다. 코퍼레이션은 미국, 영국, 대한민국 등 각국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주주, 사원, 임원 등으로 구성된다. 법인격을 부여받아 자연인과 동일한 권리를 갖지만, 법인 과실치사 등의 형사 책임을 질 수도 있다. 일부 비판적 관점에서는 법인이 기업 이익만을 추구하며 공공의 이익을 해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퍼레이션 - 코퍼러티즘
    코퍼러티즘은 노동, 자본, 정부를 포함한 사회의 여러 이익 집단이 정책 결정에 참여하는 사회 조직 시스템으로, 고대 그리스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사회 통합과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지만 권력 집중과 같은 비판도 존재한다.
  • 코퍼레이션 - 기업 농업
    기업 농업은 대규모 농장 운영 기업, 농업 기술 제공 기업, 농업 생산, 유통, 소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가족 농장 등과 대비되며 법적 정의, 일반적 정의, 반대 주장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된다.
  • 법인 - 학교법인
    학교법인은 사립학교 설치 및 운영을 위해 설립되는 특별한 재단법인으로, 공공적 성격을 위해 일반 재단법인과 달리 여러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방송대학학원이나 준학교법인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 법인 - 회사
    회사는 영리 추구를 목적으로 설립되어 법인격과 영속성을 지니며, 대한민국 상법상 주식회사, 합명회사, 합자회사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출자, 소유 구조, 법률, 규모 등에 따라 여러 기준으로 분류될 뿐 아니라 주식 공개 여부에 따라 상장, 비상장 회사로 나뉜다.
  • 사업체 유형 - 유한회사
    유한회사는 사원의 출자 금액을 한도로 유한 책임을 지는 회사 형태로, 주식회사보다 설립 절차가 간편하며 1인 회사 설립이 가능하고, 정관에 따라 운영되며 사원총회가 최고 의사결정 기관이고, 이사는 업무를 집행하며 감사는 회계 및 업무 감사를 수행하고, 사원 지분 양도는 제한적이며, 자본 증감은 사원총회 특별결의를 거쳐야 하고, 다른 회사와 합병이 가능하며 해산 및 청산 절차는 상법에 따라 규정된다.
  • 사업체 유형 - 주식회사
    주식회사는 법인격을 가지며, 주주의 유한책임, 지분 양도성, 소유와 경영 분리, 출자자에 의한 소유라는 특징을 지닌 기업 형태로, 이사회가 경영을 담당하고 주주총회가 통제하며 회사법에 따라 운영된다.
코퍼레이션
개요
세계화 워드 클라우드
세계화 워드 클라우드
유형법인
산업다양함
설립 방법법률 또는 등록을 통해 설립
특징법적 인격
영구적인 존재
주주에 의한 소유
이사회에 의한 통제
법적 측면
설립 요건관할 구역에 따라 다름
지배 구조이사회, 경영진
책임주주의 제한된 책임
재정적 측면
자금 조달주식 발행
부채 발행
이익 잉여금
과세관할 구역에 따라 다름 (법인세)
종류
영리 법인이익 추구를 목적으로 함
비영리 법인공익 또는 자선 목적을 위해 설립됨
공공 법인정부 기관 또는 정부가 소유한 법인
사기업주식이 공개적으로 거래되지 않음
상장 기업주식이 증권 거래소에서 거래됨
유한 회사특정 관할 구역에서 사용되는 법인 구조
유한 책임 회사특정 관할 구역에서 사용되는 법인 구조
역사
기원고대 로마 시대의 법적 실체에서 유래
발전중세 시대 길드 및 교회에서 발전
현대산업 혁명 이후 널리 퍼짐
장점
장점자본 조달 용이
영구적인 존재
제한된 책임
단점
단점복잡한 규제
이중 과세 가능성
대리인 문제 (경영진과 주주 간의 이해 상충)

2. 역사

"코퍼레이션"이라는 단어는 신체를 의미하는 라틴어 ''corpus''에서 유래되었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 시대 로마법은 ''Universitas'', ''corpus'', ''collegium'' 등의 기업 실체를 인정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아우구스투스 시대 법에 따라, ''collegia''는 로마 원로원 또는 로마 황제의 승인을 받아 법적 단체로 인가받았다.[6] 여기에는 국가, 지방 자치 단체, 종교 숭배 후원자, 장례 클럽, 정치 단체, 장인 또는 상인 길드 등이 포함되었다.[7] 이들은 재산 소유, 계약 체결, 소송 제기 등의 권리를 가졌다.[8]

코퍼레이션 개념은 11~14세기 법률집 주석가들에 의해 부활했다. 바르톨루스 데 사소페라토와 발두스 데 우발디스는 코퍼레이션을 정치 공동체와 연결하여 국가를 묘사했다.[9][10]

사업을 수행하고 법적 권리의 대상이 된 초기 실체로는 고대 로마의 collegium과 고대 인도의 마우리아 제국 ''sreni''가 있었다.[11] 중세 유럽에서는 교회와 런던 시 법인 등이 법인이 되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 법인으로 알려진 스토라 코파르베리 광산 공동체는 1347년 마그누스 에릭슨 왕으로부터 헌장을 받았다.

중세 시대 상인들은 관습법 구조 (파트너십 등)를 통해 사업을 했다. 초기 길드와 리버리 컴퍼니는 경쟁 규제에 관여했다.

2. 1. 중상주의 시대

네덜란드영국은 17세기에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와 허드슨 만 회사 같은 특허 회사를 설립하여 식민지 개척과 무역 독점을 추구했다. 네덜란드 정부의 특허를 받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포르투갈 군대를 격파하고 향신료 수요가 높은 몰루카 제도에 자리를 잡았다.[12] VOC 투자자들은 주식 소유 증명 서류를 받았고, 최초의 암스테르담 증권 거래소에서 주식을 거래했으며, 회사의 왕실 특허장에서 유한 책임을 명시적으로 부여받았다.[12]

영국 정부는 특정 영토에 대한 독점권을 부여하여 왕실 칙허 또는 의회법에 따라 법인을 만들었다. 가장 잘 알려진 예는 1600년에 설립된 런던동인도 회사였다.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1세희망봉 동쪽의 모든 국가와 무역을 할 수 있는 독점권을 부여했다. 당시 일부 기업들은 정부를 대신하여 해외 활동에서 수익을 가져왔다. 이후 회사는 점점 더 통합되어 영국, 나아가 영국 군사 및 식민지 정책과 통합되었으며, 대부분 영국 해군의 무역로 통제 능력에 의존했다.

"우주에서 가장 웅장한 상인 사회"라고 불린 영국 동인도 회사는 기업의 놀라운 잠재력과 가혹하고 착취적일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방식을 상징했다.[13] 1600년 12월 31일,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은 동인도와 아프리카 간의 무역에 15년 독점권을 회사에 부여했다.[14] 1711년까지 동인도 회사 주주들은 투자에 대해 거의 150%의 투자 수익률을 얻었다. 이후 주식 공모는 회사의 수익성을 보여주었다. 1713~1716년의 첫 번째 주식 공모에서는 418000GBP을, 1717~1722년의 두 번째 공모에서는 1600000GBP을 모금했다.[15]

사우스 씨 컴퍼니는 1711년 스페인 남미 식민지에서 무역하기 위해 설립된 유사한 특허 회사였지만, 성공은 덜했다. 사우스 씨 컴퍼니의 독점권은 1713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이후 체결된 위트레흐트 조약에 의해 뒷받침되었다고 여겨졌으며, 이 조약은 영국에게 30년 동안 이 지역에서 무역할 수 있는 ''아시엔토''를 제공했다. 그러나 스페인은 적대적인 태도를 유지했고 1년에 한 척의 배만 들어오게 했다. 이를 알지 못한 채 기업 홍보자들의 과장된 수익 약속에 현혹된 영국 투자자들은 수천 주를 매입했다. 1717년까지 사우스 씨 컴퍼니는 (실제 사업을 하지 않았음에도) 너무 부유해져서 영국 정부의 공공 부채를 인수했다. 이는 1720년 버블 법과 마찬가지로 주가를 더욱 빠르게 인플레이션시켰으며, (사우스 씨 컴퍼니를 경쟁으로부터 보호하려는 동기로 추정됨) 왕실 칙허 없이는 어떤 회사도 설립할 수 없도록 금지했다. 주가는 급등하여 사람들은 더 높은 가격에 팔기 위해 주식을 샀고, 이는 다시 더 높은 주가로 이어졌다. 이것은 영국이 처음 경험한 투기적 거품이었지만, 1720년 말 거품은 "붕괴"되었고, 주가는 1000GBP에서 100GBP 미만으로 폭락했다. 파산과 비난이 정부와 상류 사회를 휩쓸면서, 기업과 잘못된 이사들에 대한 분위기는 격렬했다.

사우스 씨 컴퍼니의 주가 차트. 1710년대의 주가 급등은 1720년 버블 법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왕실 칙허 없이 회사를 설립하는 것을 제한했다.

2. 2. 근대 회사법의 발전

1858년 ''타운 토크''에 실린 만평 "잭과 거대 합자회사"는 합자회사법 1844 이후 등장한 '괴물' 합자회사 경제를 풍자했다.


18세기 후반, 애덤 스미스를 비롯한 경제학자들의 경제학 혁명으로 고전적 자유주의와 자유 방임 경제 이론이 부상하면서, 중상주의 경제 이론은 폐지되었다. 이에 따라 법인은 정부나 길드와 관련된 단체에서 정부의 지시를 받지 않는 공공 및 사적 경제 주체로 전환되었다.[16] 그러나 애덤 스미스는 1776년 저서 《국부론》에서 대규모 기업 활동은 개인의 기업가 정신에 미치지 못한다고 썼는데, 그 이유는 타인의 돈을 관리하는 사람은 자신의 돈을 관리하는 것만큼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17]

영국에서는 산업 혁명이 가속화되면서 사업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법적 변화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버블법 1720에 따른 회사 설립 금지는 1825년에 폐지되었다.[18] 그러나 이 법의 폐지는 점진적인 규제 완화의 시작이었을 뿐, 원시적인 회사 법안에 따른 사업 벤처는 사기인 경우가 많았다. 일관된 규제가 없이는 "앵글로-벵갈리 무관심 대출 및 생명 보험 회사"와 같은 자본이 부족한 벤처는 부유하게 보수를 받는 기획자를 제외하고는 성공의 희망이 없었다.[19]

법인화 과정은 왕실 칙허나 사법을 통해서만 가능했으며, 의회가 부여된 특권과 이점을 보호했기 때문에 제한적이었다. 그 결과, 많은 사업체들이 수천 명의 회원을 가진 법인화되지 않은 단체로 운영되었다. 이로 인한 소송은 모든 회원들의 공동 명의로 수행되어야 했으며, 이는 매우 번거로웠다. 의회는 때때로 개인에게 법적 절차에서 전체를 대표할 수 있도록 사법을 부여했지만, 이는 좁고 비용이 많이 드는 임시 방편이었으며, 기존 회사에만 허용되었다.

1843년, 윌리엄 글래드스턴은 합자회사에 관한 의회 위원회의 의장이 되었고, 이는 최초의 현대적인 회사법으로 여겨지는 합자회사법 1844로 이어졌다.[20] 이 법은 합자회사 등록관을 설립하여 2단계 절차를 통해 회사를 등록할 수 있도록 했다. 첫 번째 잠정적인 단계는 5GBP가 소요되었고 법인 지위를 부여하지 않았으며, 다른 5GBP를 지불하고 두 번째 단계를 완료한 후에 법인 지위가 부여되었다. 역사상 처음으로 일반 사람들이 간단한 등록 절차를 통해 법인화하는 것이 가능했다.[21] 별도의 법적 인격체로 회사를 설립하는 것의 이점은 주로 행정적인 것으로, 모든 투자자와 관리자의 권리와 의무를 처리할 수 있는 통일된 실체였다.

그러나 여전히 유한 책임은 없었고 회사 구성원은 회사의 무제한 손실에 대해 책임을 져야 했다.[22] 다음으로 중요한 발전은 당시 상무부 부회장이었던 로버트 로](Robert Lowe)]의 요청으로 통과된

2. 3. 현대의 발전

19세기 말, 미국에서는 지주회사와 기업 간 합병 및 인수가 활발해지면서 주주가 분산된 대규모 법인이 등장했다. 이에 따라 각국은 반경쟁 행위를 막기 위해 독점 금지법을 제정하기 시작했고, 법인에게 더 많은 법적 권리와 보호를 부여했다.[26] 뉴저지주는 1896년에 더 많은 사업을 유치하기 위해 "가능하게 하는" 법인법을 채택한 최초의 주였다.[27] 1899년, 델라웨어주는 뉴저지의 선례를 따라 가능하게 하는 법인 법규를 제정했지만, 1896년 뉴저지 법인법의 가능 조항이 1913년에 폐지된 후에야 선도적인 법인 주로 부상했다.[1]

20세기에는 전 세계적으로 등록을 통해 법인을 설립할 수 있도록 하는 회사법 제정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법률은 제1차 세계 대전 전후 많은 국가에서 경제 호황을 이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나타난 또 다른 주요 변화는 복합 기업의 발전으로, 대기업들이 산업 기반을 확장하기 위해 소규모 기업을 인수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1980년대부터는 많은 국가에서 민영화를 추진했는데, 이는 공공 소유 서비스와 기업을 법인에 판매하는 것을 의미한다. 규제 완화는 종종 자유 방임 정책의 일환으로 민영화와 함께 기업 활동에 대한 규제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했다.

3. 각국의 제도

1892년, 독일은 모든 주식이 단 한 사람에게 귀속되더라도 별도의 법인격과 유한 책임을 가진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de(유한 책임 회사)를 도입하여, 다른 국가들이 이러한 법인을 도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1897년 Salomon v. Salomon & Co. 사건에서 영국 상원(House of Lords)은 회사의 별도 법인격을 확인하고, 회사의 부채는 소유주의 부채와 별개임을 명확히 했다. 이 판결은 린들리 경이 주도했다.

19세기 말, 지주 회사와 기업 합병 및 인수로 주주가 분산된 더 큰 법인이 등장했다. 각국은 독점 금지법을 제정하여 반경쟁 행위를 방지하고, 법인에게 더 많은 법적 권리와 보호를 부여했다.

20세기에는 전 세계적으로 법인 설립 관련 법률이 급증하여 제1차 세계 대전 전후 경제 호황을 이끌었다. 복합 기업의 발전으로 대기업들이 소규모 기업을 인수하는 현상도 나타났다.

1980년대부터 많은 국가들이 민영화를 추진, 공공 서비스와 기업을 법인에 판매했다. 규제 완화는 자유 방임 정책의 일환으로 기업 활동 규제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했다.

3. 1. 미국

미국에서는 영리 목적의 사업 코퍼레이션(business corporation), 비영리 법인(non-profit corporation), 지방 정부의 법적 실체인 자치체(municipal corporation) 등 다양한 코퍼레이션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는 사업 코퍼레이션을 코퍼레이션이라고 부른다.

사업 코퍼레이션은 주식회사 형태로, 영국의 주식 유한 책임 회사(limited company)에 해당한다. 미국이나 캐나다에서 각 회사법에 따라 설립 및 운영되는 기본적인 회사 형태이다.

3. 2. 영국

영국의 회사나 LLP는 등기됨으로써 body corporate|바디 코퍼레이트영어가 된다. 또한 영국에서는 사회의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도 회사 community interest company|커뮤니티 인터레스트 컴퍼니영어로 설립할 수 있다.[1]

영국의 2006년 회사법(Companies Act 2006)에 따르면, 바디 코퍼레이트 및 코퍼레이션은 연합 왕국 외에서 설립된 것을 포함하지만, 단독 코퍼레이션(corporation sole)은 포함하지 않으며, 파트너십은 그 준거법상 바디 코퍼레이트로 되어 있지 않으면 법인 여부를 불문하고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1]

영국법에 따른 단독 코퍼레이션은 독임제의 직책(sole office)에 법인격이 부여된 것으로, 국왕, 주교, 고위 관리나 많은 시장 등, 그 지위에 있는 인물의 교체와 관계없이 자격이 계승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단독 코퍼레이션의 효과로, 예를 들어 어떤 단체에서 단독 코퍼레이션으로서의 시장을 해당 단체의 이사로 선임한 경우, 해당 단체의 이사 임기 중에 시장이 교체되더라도 후임 시장이 계속해서 해당 단체의 이사 지위에 있게 된다.[1]

3. 3.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상법은 회사를 합명회사, 합자회사, 유한책임회사, 주식회사, 유한회사의 5가지 형태로 규정한다. 이 중 주식회사가 가장 일반적인 기업 형태이며, 유한책임회사는 2012년 상법 개정을 통해 도입되었다. 대한민국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투명 경영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 개선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4. 구성원

주식회사에서 구성원은 주주로 알려져 있으며, 각 주주의 법인 소유, 통제 및 이익에 대한 지분은 그들이 소유한 회사 주식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주식 회사의 주식의 4분의 1을 소유한 사람은 회사의 4분의 1을 소유하고, 이익의 4분의 1(또는 최소한 주주에게 배당금으로 지급되는 이익의 4분의 1)을 받을 자격이 있으며, 일반 회의에서 투표할 수 있는 투표권의 4분의 1을 갖는다.

다른 종류의 법인에서는 법인을 설립하거나 현재 규칙을 포함하는 법적 문서가 법인 구성원 자격 요건을 결정한다. 이러한 요건은 관련된 법인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노동자 협동조합에서 구성원은 협동조합에서 일하는 사람들이다. 신용 협동조합에서 구성원은 신용 협동조합에 계정을 가진 사람들이다.

사업 코퍼레이션의 경우, 코퍼레이션의 구성원은 주식을 보유하며, 주주(shareholder/stockholder)라고 불린다. 비영리 법인의 경우에는, 코퍼레이션의 구성원은 사원(member)이라고 보통 불린다.

하지만, 영국회사법(Companies Act)에서는 주식을 발행하는 회사라도 그 구성원은 사원(member)이다.

5. 임원

캘리포니아 회사법은 회사의 임원에 대해 명칭(직함)을 포함하여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43] 반면, 모범 회사법이나 델라웨어 회사법은 임원의 명칭(직함)을 회사의 자율에 맡기고 있는데, 이는 표면적 권한을 둘러싼 분쟁이나 임의로 설치된 직책과의 혼동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라고 한다.[43]

6. 법인격

코퍼레이션은 법인격을 부여받아 자연인과 동일한 권리를 갖는다. 예를 들어, 코퍼레이션은 재산을 소유할 수 있으며, 존속하는 동안 소송을 제기하거나 소송을 당할 수 있다. 코퍼레이션은 실제 개인 및 국가를 상대로 인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36][37] 스스로 인권 침해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다.[38] 코퍼레이션은 법률의 효력, 법원의 명령 또는 주주의 자발적인 행위에 의해 "해산"될 수 있다. 지급불능은 채권자가 법원의 명령에 따라 코퍼레이션의 청산 및 해산을 강제할 때 코퍼레이션 실패의 한 형태를 초래할 수 있지만,[39] 대부분 코퍼레이션 소유권의 재구조화로 이어진다. 코퍼레이션은 심지어 영국에서 사기 및 법인 과실치사와 같은 특별 형사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코퍼레이션은 인간처럼 살아있는 존재로 간주되지 않는다.[40]

참조

[1] 논문 The Case for Investor Ordering https://scholarship.[...] 2020-11-16
[2] 웹사이트 Types Of Corporations Incorporate A Business https://web.archive.[...] 2017-06-10
[3] 서적 Company Law Pearson Education
[4] 서적 The Law of Private Companies Bloomsbury Professional
[5] 간행물 Liability of Companies, Shareholders and Director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12-18
[6] 논문 D. 47,22, 1, pr.-1 and the Formation of Semi-Public "Collegia" https://www.jstor.or[...] 2021-06-18
[7] 서적 A History of the Roman Equestrian Orde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12-31
[8] 서적 Law and Revolution (vol. 1): The Formation of the Western Legal Trad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9] 서적 A History of Medieval Political Thought: 300–1450 https://books.google[...] Routledge
[10] 서적 Ideas of Power in the Late Middle Ages, 1296–141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The Economic History of the Corporate Form in Ancient India. https://ssrn.com/abs[...]
[12] 서적 European Commercial Enterprise in Pre-Colonial Ind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13] 서적 The Honorable Company: A History of the English East India Company MacMillan 1991
[14] 웹사이트 British East India Company https://web.archive.[...] 2017-01-19
[15] 문서 Ibid.
[16] 웹사이트 Adam Smith Laissez-Faire http://political-eco[...] 2017-06-10
[17] 서적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
[18] 법률 Bubble Companies, etc. Act 1825
[19] 서적 Martin Chuzzlewit
[20] 보고서 Report of the Parliamentary Committee on Joint Stock Companies
[21] 서적 Introduction to Company La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2] 판례 Re Sea Fire and Life Assurance Co., Greenwood's Case
[23] 웹사이트 The Impact of Limited Liability on Ownership and Control: Irish Banking, 1877–1914 https://web.archive.[...] School of Management and Economics, Queen's University of Belfast 2011-11-16
[23] 웹사이트 The Impact of Limited Liability on Ownership and Control: Irish Banking, 1877–1914 https://web.archive.[...] 2011-11-16
[24] 뉴스 Economist 1926-12-18
[25] 판례 Salomon v A Salomon & Co Ltd
[26] 서적 Corporations and Other Business Organizations: Cases, Materials, Problems LexisNexis
[27] 서적 The Law of Business Organizations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8] 서적 Principles of Finance https://archive.org/[...] Cengage Learning
[29] 웹사이트 Company & Commercial – Netherlands: In a nutshell – one-tier boards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Law Office 2013-05-05
[30] 서적 Business Associations: A Systems Approach https://books.google[...] Aspen Publishing 2024-11-15
[31] 뉴스 Governing Harvard: A Harvard Magazine Roundtable https://harvardmagaz[...] 2020-11-24
[32] 서적 Equity Finance: Venture Capital, Buyouts, Restructurings and Reorganizations https://books.google[...] Aspen Publishers 2020-10-22
[33] 서적 Business Associations: A Systems Approach https://books.google[...] Aspen Publishing 2024-11-15
[34] 서적 Marsh's California Corporation Law https://books.google[...] Aspen Publishers
[35] 서적 Business Associations: A Systems Approach https://books.google[...] Aspen Publishing 2024-11-15
[36] 서적 The Human Rights of Companies: Exploring the Structure of ECHR Protection http://fds.oup.com/w[...] Oxford University Press 2012-06-02
[37] 문서 South African Constitution Sect.8, especially Art.(4)
[38] 문서 The Multinational Challenge to Corporation Law: The Search for a New Corporate Personality
[39] 법률 Business Corporations Act (B.C.)
[40] 법률 Corporate Manslaughter and Corporate Homicide Act 2007
[41] 서적 The Corporation: The Pathological Pursuit of Profit and Power https://www.simonand[...] The Free Press
[42] 학술지 Is the State a Corporation?
[43] 학술지 いわゆる執行役員制度について https://koara.lib.ke[...] 慶應義塾大学法学研究会 2021-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