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퓨린 대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퓨린 대사는 퓨린의 생합성, 분해, 조절 및 회수 경로를 포함하는 복잡한 대사 과정이다. 퓨린은 뉴클레오타이드 형태로 합성되며, 이노신 일인산(IMP)은 퓨린 뉴클레오타이드 생합성의 핵심 중간체이다. IMP는 아데노신 일인산(AMP)과 구아노신 일인산(GMP)으로 전환되며, 퓨린 대사는 효소에 의해 조절된다. 퓨린 대사 이상은 통풍, 면역 결핍증, 암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퓨린 대사 조절은 약물 치료의 목표가 된다. 생명 기원 연구에서도 퓨린 리보뉴클레오사이드 합성이 중요한 요소로 연구되며, 퓨린 생합성 경로는 생명의 세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사경로 - 스테로이드
    스테로이드는 4개의 융합된 고리 구조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로, 콜레스테롤, 스테로이드 호르몬, 담즙산 등 생물학적 활성 분자를 포함하며, 메발론산 경로를 통해 생합성되어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고 의학적으로 사용되지만 오남용 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 대사경로 - 시트르산 회로
    시트르산 회로는 아세틸-CoA를 이산화탄소로 산화시켜 NADH와 FADH₂를 생성, ATP 생산 및 생합성에 기여하며,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를 연결하는 중심적인 대사 경로이다.
  • 퓨린 - 아데노신 삼인산
    아데노신 삼인산(ATP)은 아데닌, 리보스, 세 개의 인산기로 구성된 뉴클레오티드로서, 고에너지 인산 결합의 가수분해를 통해 에너지를 방출하여 세포 과정에 사용되는 생명체의 주요 에너지 저장 및 전달 분자이며, 다양한 대사 경로를 통해 생성 및 재생될 뿐만 아니라 세포 신호 전달과 DNA 및 RNA 합성에도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 퓨린 - 아자티오프린
    아자티오프린은 장기 이식 거부 반응 예방 및 자가면역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억제제이며, 다양한 질환에 사용되지만 부작용과 유전자형에 따른 차이가 보고되었고, 사이클로스포린 등의 도입으로 사용이 일부 대체되었다.
퓨린 대사
개요
아데노신 삼인산
아데노신 삼인산
경로 이름퓨린 대사
관련 질병통풍
레쉬-니한 증후군
켈리-시그밀러 증후군
상세 정보
퓨린 뉴클레오타이드의 이화퓨린 뉴클레오타이드의 분해는 요산 형성을 유발한다.
관련된 대사 장애퓨린 대사 장애는 요산 생성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통풍을 유발할 수 있다.
관련 질환
레쉬-니한 증후군이 질환은 HGPRT 효소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며, 퓨린 대사 경로에 영향을 미쳐 요산 과다 생산 및 신경학적 문제로 이어진다.
켈리-시그밀러 증후군이 질환은 HGPRT 효소의 부분적인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며, 레쉬-니한 증후군과 유사하지만 증상이 더 경미하다.
주요 단계
아데노신과 구아노신아데노신구아노신은 퓨린 뉴클레오타이드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이들의 대사는 에너지 생산과 핵산 합성에 필수적이다.
요산 형성퓨린 염기의 최종 대사 산물인 요산은 과도하게 축적될 경우 통풍과 같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관련 효소
HGPRTHGPRT는 퓨린 염기를 재활용하는 데 중요한 효소이며, 결핍 시 레쉬-니한 증후군 또는 켈리-시그밀러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
아데노신 데아미네이스아데노신 데아미네이스는 아데노신이노신으로 전환하는 효소이며, 면역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잔틴 산화 효소잔틴 산화 효소는 hypoxanthine을 잔틴으로, 잔틴요산으로 산화시키는 효소이며, 통풍 치료의 표적이 된다.

2. 생합성

퓨린은 생물학적으로 뉴클레오타이드 형태, 특히 리보스 5-인산과 염기가 결합한 리보뉴클레오타이드 형태로 합성된다. 아데닌구아닌은 모두 이노신산(IMP)에서 유래하며, IMP는 퓨린 고리 시스템이 완전히 형성된 첫 번째 화합물이다. 퓨린 염기는 리보스 5-인산과 결합한 뉴클레오티드(리보타이드)로 합성된다는 점에서, 염기로 합성된 후 뉴클레오타이드가 되는 피리미딘 염기와는 다르다. 퓨린 생합성은 먼저 포스포리보실 이인산(PRPP)에서 이노신산(IMP)을 합성하고, IMP로부터 각각 구아닐산(GMP)과 아데닐산(AMP)이 유도되는 방식으로 일어난다.

2. 1. IMP의 합성



이노신 일인산(IMP)은 리보스 5-인산으로부터 복잡한 대사 경로를 통해 합성된다. 퓨린 고리를 구성하는 5개의 탄소 원자와 4개의 질소 원자는 아스파르트산, 이산화탄소, 글리신, 폼산, 글루타민과 같은 여러 분자들로부터 유래한다. 퓨린 고리의 구체적인 구성 원자는 다음과 같다.

  • 글리신: 2개의 탄소 원자와 1개의 질소 원자
  • 글루타민: 2개의 질소 원자
  • 아스파르트산: 1개의 질소 원자
  • 폼산 (10-폼일테트라하이드로폴산의 형태로 공급): 2개의 탄소 원자
  • 탄산수소염: 1개의 탄소 원자


폼산에서 유래한 2개의 탄소 원자는 퓨린 고리에서 두 질소 원자 사이를 연결하는 2번 탄소와 8번 탄소를 구성한다.

핵심 조절 단계는 리보스-인산 다이포스포키네이스에 의해 리보스 5-인산으로부터 포스포리보실 피로인산(PRPP)이 생성되는 단계이다. 리보스-인산 다이포스포키네이스는 무기 인산에 의해 활성화되고 퓨린 뉴클레오타이드에 의해 불활성화된다. 포스포리보실 피로인산(PRPP)은 퓨린 합성뿐만 아니라 피리미딘 합성 및 회수 경로에도 사용된다.

첫 번째 개입 단계는 아미도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레이스(글루타민-PRPP 아미도트랜스퍼레이스)에 의해 포스포리보실 피로인산(PRPP)과 글루타민이 포스포리보실아민, 글루탐산, 피로인산으로 전환되는 반응이다. 아미도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레이스는 포스포리보실 피로인산에 의해 활성화되고, AMP, GMP, IMP에 의해 저해된다.

IMP 합성 과정은 이후 여러 단계를 거쳐 진행되며, 각 단계는 특정 효소에 의해 촉매된다.

2. 1. 1. IMP 합성 경로의 각 단계

IMP 합성 경로의 단계
단계EC 번호효소기질생성물설명
12.4.2.14아미도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레이스PRPP, 글루타민, H2OPRA, 글루탐산, PPiPRPP에 의해 활성화, AMP, GMP, IMP에 의해 저해됨.
26.3.4.13GAR 합성효소PRA, 글리신, ATPGAR, ADP, Pi
32.1.2.2GAR 트랜스폼일레이스GAR, 10-폼일테트라하이드로폴산FGAR, THF
46.3.5.3FGAR 아미도트랜스퍼레이스FGAR, 글루타민, ATP, H2OFGAM, 글루탐산, ADP, Pi
56.3.3.1AIR 합성효소 (FGAM 고리화효소)FGAM, ATPAIR, ADP, Pi, H2O
64.1.1.21AIR 카복실화효소AIRCO2CAIR
5.4.99.18N5-CAIR 뮤테이스HCO3-, ATPADP, Pi
76.3.2.6SAICAR 합성효소CAIR, 아스파르트산, ATPSAICAR, ADP, Pi
84.3.2.2SAICAR 분해효소SAICARAICAR, 푸마르산푸마르산은 시트르산 회로와 연결됨[11]
92.1.2.3AICAR 트랜스폼일레이스AICAR, 10-폼일테트라하이드로폴산FAICAR, THF
103.5.4.10IMP 생성효소FAICARIMP, H2O



진핵생물에서 2, 3, 5단계는 삼기능성 퓨린 생합성 단백질 아데노신-3에 의해 촉매된다. 9, 10단계는 이기능성 퓨린 생합성 단백질 PURH에 의해 촉매된다.

2. 2. IMP로부터 GMP의 생합성

이노신 일인산(IMP)은 IMP 탈수소효소에 의해 잔토신 일인산(XMP)으로 전환된다.[1] 이 반응에서 IMP는 산화되어 XMP가 되고, 이 과정에서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NAD+)는 NADH로 환원된다.[1]

XMP는 GMP 생성효소(XMP-글루타민 아미도트랜스퍼레이스)에 의해 구아노신 일인산(GMP)으로 전환된다.[2] 이 반응에는 아데노신 삼인산(ATP), 글루타민, 물(HO)이 필요하며, 아데노신 일인산(AMP), 피로인산(PP), 글루탐산이 부산물로 생성된다.[2]

GMP 환원효소는 GMP를 다시 IMP로 전환하는 반응을 촉매한다.[3] 이 과정에서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 인산(NADPH)이 NADP+로 산화되고, 암모니아(NH)가 방출된다.[3]

IMP로부터 GMP 합성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
EC 번호효소명기질생성물
1.1.1.205IMP 탈수소효소이노신산(IMP), NAD+, HO잔토신 일인산(XMP), NADH, H+
6.3.5.2GMP 생성효소잔토신 일인산(XMP), ATP, 글루타민(Gln), HO구아노신 일인산(GMP), AMP, PP, 글루탐산(Glu)
1.7.1.7GMP 환원효소구아노신 일인산(GMP), NADPH, H+이노신산(IMP), NADP+, NH


2. 3. IMP로부터 AMP의 생합성

이노신 일인산(IMP)은 아데닐로석신산 생성효소(아데닐로석신산 합성효소)에 의해 아데닐로석신산으로 전환된다.[1]

: 이노신 일인산(IMP) + 아스파르트산 + GTP → 아데닐로석신산 + GDP + Pi

아데닐로석신산은 아데놀로석신산 분해효소에 의해 아데노신 일인산(AMP)과 푸마르산으로 전환된다.[1]

AMP 탈아미노효소는 AMP를 다시 IMP로 전환한다.[1]

IMP로부터 AMP의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1]
EC 번호효소명기질생성물
6.3.4.4아데닐로숙신산 합성효소IMPGTP, 아스파르트산GDP, Pi아데닐로숙신산
4.3.2.2아데닐로숙신산 분해효소아데닐로숙신산푸마르산AMP
3.5.4.6AMP 탈아미노효소AMPH2ONH3IMP


3. 분해

퓨린은 여러 효소들에 의해 분해된다. 음식에서 유래된 퓨린도 여러 효소에 의해 분해된다.

3. 1. GMP의 분해

구아노신 일인산(GMP)은 뉴클레오타이드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구아노신으로 전환된다.[1]

: 구아노신 일인산(GMP) + H2O → 구아노신 + Pi

구아노신은 뉴클레오사이드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구아닌으로 전환된다.[1]

: 구아노신 + H2O → 구아닌 + 리보스

구아닌은 구아닌 탈아미노효소에 의해 잔틴으로 전환된다.[1]

: 구아닌 + H2O → 잔틴 + NH3

잔틴은 잔틴 산화효소에 의해 요산으로 전환된다.[1]

: 잔틴 + H2O + O2 → 요산 + H2O2

3. 2. AMP의 분해

아데노신 일인산(AMP)은 뉴클레오타이드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아데노신으로 전환된 후, 아데노신 탈아미노효소에 의해 이노신으로 전환된다. 이노신은 뉴클레오사이드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하이포잔틴으로 전환되고, 하이포잔틴은 잔틴 산화효소에 의해 잔틴을 거쳐 요산으로 분해된다.[1]

AMP는 AMP 탈아미노효소에 의해 이노신산으로 전환된 후, 뉴클레오티다아제에 의해 이노신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이후 과정은 위와 동일하게 잔틴 산화효소를 통해 요산으로 분해된다.[1]

4. 퓨린 뉴클레오타이드 생합성의 조절

포스포리보실 피로인산(PRPP)이 아미도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레이스(글루타민-PRPP 아미도트랜스퍼레이스)에 의해 포스포리보실아민으로 전환되는 단계는 퓨린 생합성의 주요 조절 지점이다.[1] 아미도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레이스는 다른 자리 입체성 조절 효소이며, IMP, GMP, AMP는 이 효소의 저해제이고, 포스포리보실 피로인산(PRPP)은 활성제이다.[1]

글루타민과 PRPP로부터 아미도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라제에 의해 촉매되는 5'-포스포리보실아민의 형성은 퓨린 합성에 대한 조절 지점이다.[2] 이 효소는 알로스테릭 효소이므로, 고농도의 IMP, GMP 및 AMP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들은 효소에 결합하여 억제 효과를 발휘하는 반면, 많은 양의 PRPP는 효소에 결합하여 활성화를 유발한다.[2] IMP, GMP 및 AMP는 억제제인 반면 PRPP는 활성제이다.[2] 5'-포스포리보실, 아미노이미다졸 및 IMP의 형성 사이에는 알려진 조절 단계가 없다.[2]

포스포리보실 이인산(PRPP)의 합성은 조절점으로 중요하며, 이를 촉매하는 PRPP 합성효소의 활성은 퓨린 리보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음성적으로 조절된다.[3] 단, PRPP는 피리미딘 대사나 구조 경로에도 이용되는 대사 중간체이며, PRPP 합성효소 자체는 퓨린 생합성의 첫 번째 효소가 아니다.[3]

퓨린 뉴클레오타이드 생합성의 조절
EC 번호효소명기질생성물
2.7.6.1리보오스 인산 디포스포키나아제R5P, ATPAMP, PRPP
2.4.2.14아미도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라제PRPP, Gln, HOGlu, PPi, PRA


5. 회수 경로

세포 내 핵산의 전환 또는 음식물 섭취를 통해 생성된 퓨린은 회수되어 새로운 뉴클레오타이드 합성에 재사용될 수 있다.


  • 아데닌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레이스(APRT)는 아데닌을 회수하여 아데노신 일인산(AMP)을 생성한다.
  • 하이포잔틴-구아닌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레이스(HGPRT)는 구아닌하이포잔틴을 회수한다.[12] 하이포잔틴-구아닌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레이스의 유전적 결핍은 레쉬-니한 증후군을 일으킨다.[3]


효소반응 물질생성 물질
아데닌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레이스(APRT)아데닌 + 포스포리보실 피로인산(PRPP)아데노신 일인산(AMP) + PPi
하이포잔틴-구아닌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레이스(HGPRT)구아닌 또는 하이포잔틴 + 포스포리보실 피로인산(PRPP)구아노신 일인산(GMP) 또는 이노신 일인산(IMP) + PPi


6. 대사 이상

퓨린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이상이 생기면 다양한 유전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퓨린 대사 이상은 DNARNA에 삽입될 수 있는 유해한 뉴클레오사이드 삼인산으로부터 발생하여 유전 정보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유전적 장애와 변이를 일으켜 여러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6. 1. 퓨린 대사 이상 관련 질환

퓨린과 피리미딘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이상이 생기면, 여러 유전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퓨린 및 피리미딘 대사 이상 질환의 증상으로는 통풍, 빈혈, 간질, 발달 지연, 난청, 강박 관념, 신장 이상 또는 신장 결석, 면역력 상실 등이 있다.[13]

퓨린 대사 이상은 DNARNA에 삽입될 수 있는 유해한 뉴클레오사이드 삼인산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유전 정보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전적 장애와 변이를 더욱 초래하고, 그 결과 여러 종류의 질병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질병들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4]

  • 아데노신 탈아미노효소의 소실에 의한 중증 면역결핍증[4]
  • 하이포잔틴-구아닌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레이스의 소실에 의한 고요산혈증 및 레쉬-니한 증후군[4]
  • IMP 탈수소효소와 같은 효소의 활성이 증가함에 따라 다른 종류의 암 발생[4]

7. 약물 요법

퓨린 대사의 조절은 약물 치료에 활용될 수 있다. 퓨린 합성 저해제는 세포, 특히 백혈구의 증식을 억제한다. 아자티오프린장기 이식, 자가면역 질환 (예: 류마티스 관절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염증성 장 질환에 사용되는 면역억제제이다. 마이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은 장기 이식 시 거부 반응을 예방하는 데 사용되는 면역억제제이며, 이노신 일인산 탈수소효소(IMPDH)를 차단하여 퓨린 합성을 억제한다.[5] 메토트렉세이트엽산 대사를 차단하여 간접적으로 퓨린 합성을 억제하는 디히드로폴산 환원효소 억제제이다. 알로푸리놀은 잔틴 산화환원효소를 억제하여 체내 요산 수치를 낮추는 약물로, 통풍 치료에 유용하다.

7. 1. 퓨린 대사 관련 약물

퓨린 대사의 조절은 약물치료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퓨린 합성 저해제는 세포, 특히 백혈구의 증식을 저해한다. 이러한 저해제로는 장기 이식, 류머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질환, 크론병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염증성 장질환에 사용되는 면역억제제인 아자티오프린이 있다.

마이코페놀산은 장기 이식에서 거부 반응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면역 억제제이다. 마이코페놀산은 이노시톨 일인산 탈수소효소를 차단함으로써 퓨린 합성을 저해한다. 또한 메토트렉세이트는 폴산의 대사를 차단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퓨린 합성을 저해한다(메토트렉세이트는 다이하이드로폴산 환원효소의 저해제이다).

알로퓨리놀은 잔틴 산화효소를 저해해서 체내 요산의 수준을 낮추는 약물이다. 알로퓨리놀은 과도한 요산에 의해 관절에 결정이 형성되는 질병인 통풍의 치료에 유용하다.

8. 생명 기원 전 퓨린 리보뉴클레오사이드 합성

생명이 어떻게 발생했는지 이해하려면, 그럴듯한 생명 기원 전 조건에서 생명의 핵심 구성 요소를 형성할 수 있는 화학적 경로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Nam 등[6]은 퓨린 및 피리미딘 뉴클레오베이스가 리보스와 직접적으로 축합하여 수성 미세 액적에서 리보뉴클레오사이드를 생성한다는 것을 입증했는데, 이는 RNA 형성을 이끄는 핵심 단계이다. 또한, Becker 등[7]은 퓨린 리보뉴클레오사이드 합성을 위한 그럴듯한 생명 기원 전 과정을 제시했다.

9. 생명의 세 영역에서의 퓨린 생합성

진핵생물, 세균, 고세균은 모두 퓨린을 ''de novo'' 생합성할 수 있다. 이는 생명체에게 퓨린이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진핵생물과 세균의 생합성 경로는 매우 유사하지만, 고세균은 더 다양한 경로를 가진다.[8]

연구된 고세균 종의 퓨린 생합성 능력은 다음과 같다.

연구된 고세균 종퓨린 생합성 유전자 보유
65종58종 (거의 완전하거나 완전한 세트)
연구된 고세균 종퓨린 암호화 유전자 미보유
65종7종 (완전히 또는 거의 없음)



퓨린을 합성할 수 없는 고세균은 성장을 위해 외부에서 퓨린을 얻는 것으로 보이며,[1] 이는 외부 퓨린이 있어야 성장 가능한 자낭균 곰팡이 ''Neurospora crassa''의 퓨린 돌연변이체와 유사하다.[9]

참조

[1] 논문 Substrate specificity of glycinamide ribonucleotide synthetase from chicken liver 1996-04-01
[2] 서적 Biochemistry Cengage Learning 2016
[3] 논문 Establishment of correlation between in-silico and in-vitro test analysis against Leishmania HGPRT to inhibitors 2016-02-01
[4] 논문 Defects in purine nucleotide metabolism lead to substantial incorporation of xanthine and hypoxanthine into DNA and RNA 2012-02-01
[5] 웹사이트 Mycophenolate Monograph for Professionals https://www.drugs.co[...] 2019-10-28
[6] 논문 Abiotic synthesis of purine and pyrimidine ribonucleosides in aqueous microdroplets 2018-01-01
[7] 논문 A high-yielding, strictly regioselective prebiotic purine nucleoside formation pathway 2016-05-01
[8] 논문 Purine biosynthesis in archaea: variations on a theme 2011-12-01
[9] 논문 Imidazole compounds accumulated by purine mutants of ''Neurospora crassa'' 1961-01-01
[10] 저널 Substrate specificity of glycinamide ribonucleotide synthetase from chicken liver 1996-04-05
[11] 서적 Biochemistry 2016-02-11
[12] 저널 Establishment of Correlation between In-Silico &In-Vitro Test Analysis against Leishmania HGPRT to inhibitors 2015-11-01
[13] 저널 Defects in purine nucleotide metabolism lead to substantial incorporation of xanthine and hypoxanthine into DNA and RNA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