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5년 KBO 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5년 KBO 리그는 KBO의 브랜드 통합에 따라 리그 명칭이 변경되었고, kt 위즈의 합류로 팀당 경기 수가 증가했다. 4위에게 1승 어드밴티지를 부여하는 와일드카드 결정전이 신설되어 5강 체제로 운영되었으며, 이닝 중 투수 교체 시간 단축 등 경기 관련 규정이 변경되었다. 삼성 라이온즈가 정규 시즌 1위를 차지했고, 두산 베어스가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다. 올스타전은 드림 올스타가 승리했으며, KBO 포스트시즌은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시작으로 한국시리즈까지 치러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5년 야구 - 2015년 KBO 올스타전
    2015년 KBO 올스타전은 드림 올스타와 나눔 올스타 팀으로 나뉘어 진행되었고, 투수 부문 투표에 중간 계투 부문이 추가되었으며, 드림 올스타의 승리, 강민호의 미스터 올스타 선정, 그리고 사회공헌활동을 위한 수익금 사용과 일부 논란이 있었다.
  • 2015년 야구 - 2015년 WBSC 프리미어 12
    2015년 WBSC 프리미어 12는 세계 야구 소프트볼 연맹이 주최하고 일본과 중화민국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하고 김현수가 MVP를 수상했다.
  • KBO 리그 시즌 - 2017년 KBO 리그
    2017년 KBO 리그는 FA 제도 개편, 감독 교체, 비디오 판독 시스템 개선 등 변화 속에서 KIA 타이거즈가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으며, 김선빈의 고타율, 최정의 홈런 및 장타율, 러프의 타점, 피어밴드의 평균자책점 등 주요 기록들이 나왔다.
  • KBO 리그 시즌 - 2000년 한국프로야구
    2000년 한국프로야구는 현대 유니콘스가 우승하고 매직리그와 드림리그로 나뉘어 정규시즌이 진행되었으며, 현대 유니콘스가 통합 1위를 기록했지만 한국시리즈에서 삼성 라이온즈에게 패해 준우승했다.
  • 2015년 대한민국 - 아리랑 3A호
    아리랑 3A호는 대한민국에서 개발하여 2015년에 발사된 지구 관측 위성으로, 고해상도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통해 주야간으로 지구를 정밀하게 관측하며 기후 변화 분석과 재해 감시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위성 영상이 상용 판매된다.
  • 2015년 대한민국 -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는 대한민국 광주광역시에서 "빛나는 내일을 향하여"라는 슬로건과 '누리비' 마스코트를 사용하여 개최된 하계 스포츠 경기 대회로, 육상, 수영, 농구 등 다양한 종목이 진행되었으나 메르스 유행과 북한 불참, 경제적 효과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2015년 KBO 리그
시즌 정보
리그KBO 리그
스포츠야구
2015 타이어뱅크 KBO 리그 로고
기간3월 28일 – 10월 6일
참가 팀 수10
팀당 경기 수144
시즌정규 시즌
정규 시즌 우승팀삼성 라이온즈
시즌 MVP에릭 테임즈 (NC)
포스트시즌
와일드카드 우승팀넥센 히어로즈
와일드카드 준우승팀SK 와이번스
준플레이오프 우승팀두산 베어스
준플레이오프 준우승팀넥센 히어로즈
플레이오프 우승팀두산 베어스
플레이오프 준우승팀NC 다이노스
한국시리즈
한국시리즈2015년 한국시리즈
한국시리즈 우승팀두산 베어스
한국시리즈 준우승팀삼성 라이온즈
한국시리즈 MVP정수빈 (두산)
시즌 목록
이전 시즌 및 다음 시즌
이전 시즌2014년
다음 시즌2016년
정규 시즌 정보
정규 시즌 우승팀삼성 라이온즈
시즌 MVP에릭 테임즈
최우수 신인구자욱
포스트시즌 정보
와일드카드넥센 2-0 SK
준플레이오프두산 3-1 넥센
플레이오프 우승팀두산 3-2 NC
한국시리즈두산 4-1 삼성
한국시리즈 우승팀두산 베어스
한국시리즈 최우수 선수정수빈

2. 달라지는 점


  • KBO의 브랜드 통합 작업에 따라 1군 리그 명칭은 '''KBO 리그''', 2군 리그 명칭은 '''KBO 퓨처스리그'''로 변경되었다. 시범경기는 'KBO 시범경기', 정규 시즌은 'KBO 정규시즌', 올스타전과 포스트시즌은 각각 '''KBO 올스타전''', '''KBO 포스트시즌'''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19]
  • kt 위즈의 합류로 팀당 경기 수가 기존 128경기(총 576경기)에서 144경기(총 720경기)로 늘어났다.[1] 각 팀은 서로 16번씩 경기를 치렀다.
  • 시즌 중반인 7월에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가 열렸다.
  • 외국인 선수 보유는 KT는 2년간(2015시즌, 2016시즌) 4명 보유에 3명 출전으로 변경되었다. (외국인 선수 보유 인원을 한도까지 사용할 경우, 모두 투수로 뽑거나 모두 타자로 뽑을 수 없다.)
  • kt 위즈가 합류함에 따라 팀 편성은 삼성, SK, 두산, 롯데, KT VS LG, KIA, 한화, 넥센, NC의 '''드림 올스타''' VS '''나눔 올스타'''로 변경되었다.
  • 포스트시즌에 4위에게 1승 메리트를 부여하고 4위와 5위가 4위 홈에서 2경기를 치르는 3판 2선승제 와일드카드 결정전이 신설되어 5강 체제로 전환되었다. 5위 팀은 2경기 모두 이겨야 하지만, 4위 팀은 무승부가 나도 자동 준플레이오프 진출이 된다.[2]
  • 4-5월과 9-10월에 한하여 일요일에는 오후 2시와 오후 5시로 경기를 나누어 편성할 계획이었다. 5경기 중 4경기가 오후 2시에 시작하고, 나머지 1경기는 오후 5시에 열렸다.[20] 6월에는 5경기 다 5시에 시작하며 7~8월에는 5경기 다 6시에 시작한다. 그러나 9월 13일부터 일요일 5경기가 다 2시에 시작되었다.
  • KBO 퓨처스리그는 기존 북부리그, 남부리그를 폐지하고 3개조로 리그가 편성된다. 새로운 리그 명칭은 북부 리그(경찰, LG, 두산, KT), 중부 리그(SK, 한화, 고양, 화성)와 남부 리그(상무, 삼성, 롯데, KIA)이다.[21]
  • 1군 엔트리는 27명 등록, 25명 출전으로 변경되어 1군 엔트리 등록 선수가 한 명 늘었다.
  • 포스트시즌 엔트리 인원이 27명에서 28명으로 1명 늘었다.
  • 신고선수는 육성 선수로 명칭이 변경되며 정식 선수 등록일자도 6월 1일에서 5월 1일로 변경했다.
  • 한화 이글스가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의 명칭을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로 변경했다.
  • 2015년 3월 31일부로 인천 문학야구장의 명칭을 인천SK행복드림구장으로 변경했다.

3. 새로워진 규정

2015년 KBO 리그에서는 경기 시간 단축 및 원활한 진행, 선수단 및 관계자 윤리 의식 강화를 위해 여러 규정이 신설되거나 강화되었다.


  • 이닝 중 투수 교체 시간은 2분 45초에서 2분 30초로 단축되었다.
  • 타자 등장 시 배경음악(BGM)은 10초 이내로 제한하고, 타자는 BGM 종료 전에 타석에 들어서야 한다. 당초에는 위반 시 투수에게 투구를 지시하여 스트라이크를 선언했으나, 2015년 3월 17일 시범경기부터 벌금 20만 원 부과로 변경되었다.
  • 공수 교대 시간 2분이 지나도 첫 타자가 타석에 들어오지 않으면 스트라이크를 선언하던 규정 역시 2015년 3월 17일 시범경기부터 벌금 20만 원 부과로 바뀌었다.
  • 타자의 불필요한 타임 요청은 금지되며, 타석에 들어선 후에는 최소 한 발을 타석 안에 두어야 한다. 이 규정 위반 역시 초기에는 스트라이크 선언이었으나, 2015년 3월 17일 시범경기부터 벌금 20만 원 부과로 변경되었다.
  • 타자는 볼넷이나 사구로 출루할 때 뛰어서 1루로 가야 하며, 보호 장비는 1루 도착 후 주루 코치에게 전달해야 한다(부상 제외).
  • 감독이 어필할 때 수석 코치의 동행은 금지되며, 위반 시 해당 코치는 퇴장당한다.
  • 구단 임직원, 심판위원, 감독, 코치, 선수가 리그나 구단을 공개적으로 비방하거나 인종 차별적 발언 등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경우에 대한 제재 규정이 신설되었다.
  • 감독은 심판에게 5분 이상 항의할 수 없으며, 초과 시 스피드 업 규정에 따라 퇴장 조치된다.

4. 구단별 캐치프레이즈 (슬로건)


  • 드림 올스타


삼성 라이온즈는 'Together, Good to Great!', SK 와이번스는 'ONE TEAM! ONE SPIRIT!', 두산 베어스는 'TEAM DOOSAN! HUSTLE DOO', 롯데 자이언츠는 'Team first, Fan first!', KT 위즈는 '마법을 현실로! 승리의 kt wiz'를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 나눔 올스타


넥센 히어로즈의 슬로건은 'Go for the championship!'이다. NC 다이노스는 '거침없이 가자'를 슬로건으로, '전력질주'를 2015년 캐치프레이즈로 사용했다. LG 트윈스는 '우리는 생각보다 훨씬 강하다! 더 높은 곳을 향한 2015!'를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KIA 타이거즈의 슬로건은 'All New Stadium, All New KIA TIGERS!!'이다. 한화 이글스는 '불꽃 한화! 투혼 이글스!'를 슬로건으로 사용했다.

4. 1. 드림 올스타

삼성 라이온즈는 'Together, Good to Great!', SK 와이번스는 'ONE TEAM! ONE SPIRIT!', 두산 베어스는 'TEAM DOOSAN! HUSTLE DOO', 롯데 자이언츠는 'Team first, Fan first!', KT 위즈는 '마법을 현실로! 승리의 kt wiz'를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4. 2. 나눔 올스타

넥센 히어로즈의 슬로건은 'Go for the championship!'이다. NC 다이노스는 '거침없이 가자'를 슬로건으로, '전력질주'를 2015년 캐치프레이즈로 사용했다. LG 트윈스는 '우리는 생각보다 훨씬 강하다! 더 높은 곳을 향한 2015!'를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KIA 타이거즈의 슬로건은 'All New Stadium, All New KIA TIGERS!!'이다. 한화 이글스는 '불꽃 한화! 투혼 이글스!'를 슬로건으로 사용했다.

5. 선수 이동

5. 1. 시즌 전

2015년 KBO 리그 시즌 전에는 여러 선수 이동이 있었다.

  • KT 위즈 특별지명


KT 위즈는 연고지 우선지명 선수로 주권, 유희운을 지명했다. 그리고, 신생팀 지원에 따라 9개 구단에서 20인 보호선수 외 특별지명으로 정현(삼성 라이온즈), 장시환(넥센 히어로즈), 이성민(NC 다이노스), 배병옥(LG 트윈스), 김상현(SK 와이번스), 정대현(두산 베어스), 용덕한(롯데 자이언츠), 이대형(KIA 타이거즈), 윤근영(한화 이글스)을 영입했다.[22]

  • 신인 드래프트


2015년 신인 드래프트에서는 각 팀이 주요 선수들을 지명했다. 주요 지명 선수로는 삼성 라이온즈의 김영한, 장필준, 두산 베어스남경호, 김민혁, KIA 타이거즈이민우, 황대인, NC 다이노스의 이호중, 구창모, KT 위즈의 주권, 홍성무, SK 와이번스의 이현석, 조한욱, 롯데 자이언츠의 강동관, 넥센 히어로즈의 최원태, 김해수, LG 트윈스김재성, 안익훈, 한화 이글스김범수, 김민우 등이 있다.

  • FA 및 보상선수 이적


FA 시장에서는 박경수, 박기혁, 김사율(이상 KT 위즈), 장원준(두산 베어스), 권혁, 배영수,[23] 송은범(이상 한화 이글스) 등이 팀을 옮겼다. FA 영입에 따른 보상선수로는 김민수(한화→삼성, 권혁 보상), 임기영(한화→KIA, 송은범 보상),[22] 정재훈(두산→롯데, 장원준 보상) 등이 이적했다.

  • 방출 및 은퇴


장성호(롯데 자이언츠), 임재철, 권용관(이상 LG 트윈스) 등이 방출되었고, 양영동(LG 트윈스), 강명구, 채상병(이상 삼성 라이온즈), 제춘모(SK 와이번스) 등이 은퇴했다. 방출 후 장성호, 김기표(이상 KT 위즈), 임재철(롯데 자이언츠), 권용관, 임경완, 오윤(이상 한화 이글스), 이대환, 이지혁(NC 다이노스), 박기민(두산 베어스)이 이적했다.

  • 군 입대


상무에는 이수민, 김헌곤, 김민수(이상 삼성), 김희원, 이상호, 권희동(이상 NC), 김혁민(한화), 이용찬, 이원석(이상 두산), 허건엽, 한동민(이상 SK), 김선빈, 임기영(이상 KIA), 강윤구(넥센), 김재민(LG), 송주은(롯데), 정현(KT)이 입대했다. 경찰청에는 안규현, 이현동, 정병곤(이상 삼성), 김사훈, 신본기, 전준우(이상 롯데), 안치홍, 이경록(이상 KIA), 황영국, 박준혁(이상 한화), 홍상삼, 이성곤(이상 두산), 윤영삼(넥센), 송윤준(LG), 김태우(NC), 김도현(SK), 신민재(KT)가 입대했다.

  • 해외 진출 및 국내 복귀


강정호피츠버그 파이리츠로 해외 진출하였고, 윤석민은 볼티모어 오리올스에서 KIA 타이거즈로 복귀했다.

  • 외국인 선수 영입 및 재계약


각 팀은 외국인 선수 영입 및 재계약을 진행했다. KT는 앤디 마르테, 필 어윈, 크리스 옥스프링을, 넥센은 라이언 피어밴드, 브래드 스나이더를, 롯데는 짐 아두치, 브룩스 레일리, 조쉬 린드블럼을, LG는 루카스 하렐, 헨리 소사, 잭 한나한을, 삼성은 알프레도 피가로, 타일러 클로이드를, 한화는 셰인 유먼, 미치 탈보트, 나이저 모건, 에스밀 로저스를, KIA는 필립 험버, 조쉬 스틴슨을, 두산은 잭 러츠를, SK는 메릴 켈리, 앤드류 브라운을 신규 영입했다. 재계약 선수로는 두산의 유네스키 마야, 더스틴 니퍼트, 넥센의 앤디 밴 헤켄, SK의 트래비스 밴와트, NC의 찰리 쉬렉, 에릭 해커, 에릭 테임즈, KIA의 브렛 필, KT의 앤드루 시스코, 댄 블랙, 삼성의 야마이코 나바로가 있다.

선수포지션KBO 입단 년도타율홈런타점비고
두산 베어스자크 루츠3루수2015.11113팀에서 방출
데이비슨 로메로3루수2015.2531250자크 루츠를 대체하여 로스터에 합류
한화 이글스나이저 모건외야수2015.27305
제이크 폭스포수/외야수2015.278725
KIA 타이거즈브렛 필1루수2014.32522101
LG 트윈스잭 한나한1루수2015.327422부상으로 팀에서 방출
루이스 히메네스1루수2015.3121146잭 한나한을 대체하기 위해 영입
롯데 자이언츠짐 아두치1루수2014.31428106
NC 다이노스에릭 테임즈1루수2014.38147140KBO 최우수 선수, KBO 올스타, KBO 타격왕, KBO 출루율 1위, KBO 장타율 1위, KBO 득점 1위, 골든글러브
넥센 히어로즈브래드 스나이더외야수2015.2812671
삼성 라이온즈야마이코 나바로2루수2014.28748137KBO 올스타, 골든글러브
SK 와이번스앤드류 브라운외야수2015.2612876


5. 2. 시즌 중

2015년 시즌 중 여러 선수들의 이동이 있었다.
트레이드를 통해,

양훈이 한화 이글스에서 넥센 히어로즈로,

이성열과 허도환이 넥센 히어로즈에서 한화 이글스로 이적했다.

LG 트윈스에서는 윤요섭박용근이 KT 위즈로, 이준형이 KT 위즈에서 LG 트윈스로 트레이드되었다.

KT 위즈의 박세웅, 안중열, 이성민, 조현우는 롯데 자이언츠로,

롯데 자이언츠의 장성우, 최대성, 윤여운, 하준호, 이창진은 KT 위즈로 이적했다.

한화 이글스유창식, 김광수, 노수광, 오준혁은 KIA 타이거즈로,

KIA 타이거즈의 임준섭, 이종환, 박성호는 한화 이글스로 트레이드되었다.

KT 위즈의 용덕한NC 다이노스로, NC 다이노스의 홍성용, 오정복은 KT 위즈로 이적했다.

SK 와이번스진해수, 여건욱, 임훈은 LG 트윈스로,

LG 트윈스의 신재웅, 신동훈, 정의윤은 SK 와이번스로 이적했다.

시즌 중 은퇴한 선수로는 삼성 라이온즈진갑용(전력분석원), KIA 타이거즈최희섭(3군코치), SK 와이번스박진만(1군코치), KT 위즈의 신명철(3군코치), 한화 이글스마일영(육성군 투수 보조코치)이 있다.
방출된 선수로는 한화 이글스임경완, 마일영이 있으며, 임경완은 이후 시드니 블루삭스로 이적했다.
방출된 외국인 선수로는 두산 베어스잭 러츠(성적 부진 및 허리 부상), 유네스키 마야(성적 부진), 한화 이글스나이저 모건(성적 부진 및 허리 부상), 쉐인 유먼(어깨 부상), KT 위즈의 앤드루 시스코(성적 부진), 필 어윈(성적 부진), NC 다이노스의 찰리 쉬렉(성적 부진), LG 트윈스잭 한나한(허리 부상), SK 와이번스트래비스 밴와트(팔뼈 부상), KIA 타이거즈필립 험버(성적 부진)가 있다.
새롭게 영입된 외국인 선수로는 한화 이글스제이크 폭스, 에스밀 로저스, 두산 베어스데이빈슨 로메로, 앤서니 스와잭, KT 위즈의 댄 블랙, 저스틴 저마노, NC 다이노스재크 스튜어트, LG 트윈스루이스 히메네스, SK 와이번스크리스 세든, KIA 타이거즈에반 믹이 있다.

각 팀은 최대 3명의 외국인 선수를 영입할 수 있었으며, 2014년부터 외국인 선수 중 최소 1명은 야수여야 한다는 규정이 시행되었다.

선수포지션KBO 입단 년도타율홈런타점비고
두산 베어스자크 루츠3루수2015.11113팀에서 방출
데이비슨 로메로3루수2015.2531250자크 루츠를 대체하여 로스터에 합류
한화 이글스나이저 모건외야수2015.27305
제이크 폭스포수/외야수2015.278725
KIA 타이거즈브렛 필1루수2014.32522101
LG 트윈스잭 한나한1루수2015.327422부상으로 팀에서 방출
루이스 히메네스1루수2015.3121146잭 한나한을 대체하기 위해 영입
롯데 자이언츠짐 아두치1루수2014.31428106
NC 다이노스에릭 테임즈1루수2014.38147140KBO 최우수 선수, KBO 올스타, KBO 타격왕, KBO 출루율 1위, KBO 장타율 1위, KBO 득점 1위, 골든글러브
넥센 히어로즈브래드 스나이더외야수2015.2812671
삼성 라이온즈야마이코 나바로2루수2014.28748137KBO 올스타, 골든글러브
SK 와이번스앤드류 브라운외야수2015.2612876


6. KBO 시범경기

2015년 KBO 시범경기는 3월 7일부터 3월 22일까지 진행되었다. 각 팀은 전년도 순위의 앞뒤 순위 팀을 제외한 7개 팀과 2연전씩 총 14경기를 치렀다. 시범경기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구단승률승차기타
1위넥센 히어로즈6230.6670.0
2위NC 다이노스7240.6360.0
3위두산 베어스6240.6000.5
4위LG 트윈스7150.5830.5
롯데 자이언츠7050.5830.5
6위SK 와이번스5340.5561.0
7위KIA 타이거즈5160.4552.0
8위삼성 라이온즈5070.4172.5
9위KT 위즈4080.3333.5
10위한화 이글스3090.2504.5


7. KBO 정규시즌

2015년 KBO 리그는 3월 28일부터 9월 13일까지 정규 시즌이 진행되었고, 잔여 경기는 9월 15일부터 10월 6일까지 치러졌다.[1] 개막 경기는 2013년도 순위를 기준으로 1-6위 팀, 2-7위 팀, 3-8위 팀, 4-9위 팀, 5위 팀-KT 간 경기로 편성되어 대구(SK:삼성), 잠실(NC:두산), 광주(LG:KIA), 목동(한화:넥센), 사직(KT:롯데) 등 5개 구장에서 2연전으로 진행되었다. 개막 경기 원정 5팀은 3월 31일부터 홈경기로 3연전을 치렀다.[1]

2015년 경기 일정은 구단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고, 주말 및 공휴일 경기 수를 균등하게 편성했다. 팀 간 16차전(홈 8경기, 원정 8경기)으로 총 715경기를 우선 편성했고, 개막 2연전으로 제외된 5경기는 우천 순연 경기와 함께 9월 15일 이후로 재편성되었다.[1] kt 위즈의 KBO 리그 참가로 인해, 2015년 KBO 리그 정규 시즌 경기 수는 각 팀당 144경기로 증가했다 (2014년에는 각 팀당 128경기).[1] 각 팀은 서로 16번씩 경기를 치렀다.[1]

어린이날 경기는 격년제 편성에 따라 넥센, NC, 두산, 롯데, 한화의 홈 구장에서 개최되었다.

7. 1. 팀 순위

wikitext

2015년 KBO 리그 정규시즌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3]

순위구단경기승률승차
1삼성 라이온즈144880560.6110.0
2NC 다이노스144843570.5966.5
3두산 베어스144790650.5499.0
4넥센 히어로즈144781650.5459.5
5SK 와이번스144692730.48618.0
6한화 이글스144680760.47220.0
7KIA 타이거즈144670770.46521.0
8롯데 자이언츠144661770.46221.5
9LG 트윈스144642780.45123.0
10KT 위즈144521910.36435.5



삼성 라이온즈가 88승 56패로 정규시즌 1위를 차지하여 한국시리즈에 직행했고, NC 다이노스는 84승 3무 57패로 2위를 기록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3] 두산 베어스는 79승 65패로 3위를 차지하여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며, 넥센 히어로즈SK 와이번스는 각각 78승 1무 65패, 69승 2무 73패로 4, 5위를 기록하여 와일드카드 결정전에 진출했다.[3]

7. 2. 시즌 기록

2015년 KBO 리그에서 나온 각종 첫 기록들은 다음과 같다.

3월 28일, 정재훈(롯데 자이언츠)은 사직 KT전에서 통산 5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3월 31일, 임창용(삼성 라이온즈)은 수원 KT전에서 9회말 1이닝 무실점으로 개인통산 200번째 세이브를 달성했다. 이는 김용수(227세이브), 구대성(214세이브), 오승환(277세이브)에 이은 프로통산 4번째 기록이다.

4월 1일, 이종욱(NC 다이노스)은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넥센 히어로즈와의 경기 4회초 피어밴드를 상대로 안타를 기록하며 역대 63번째 1100안타를 기록했다. 4월 3일, 최진행(한화 이글스)은 마산 NC전 9회초 민성기를 상대로 홈런을 기록하며 개인 통산 100번째 홈런을 달성했다(역대 69번째). 4월 9일, 에릭 테임즈(NC 다이노스)는 광주 KIA전에서 사이클링히트를 달성했다. 이는 프로통산 17번째이자, 2001년 매니 마르티네스 이후 14년 만에 나온 외국인 선수 2번째 기록이다. 같은 날, 유네스키 마야(두산 베어스)는 잠실 넥센전에서 9이닝 8탈삼진 3볼넷 무안타 무사사구로 노히트노런을 달성했다. 이는 프로통산 12번째이자, 2014년 찰리 쉬렉 이후 역대 2번째 외국인 투수 기록이다. 이승엽(삼성 라이온즈)은 같은 날 대구 롯데전 9회말 김승회를 상대로 내야안타를 기록하며 한일프로야구 통산 2400번째 안타를 달성했다. 4월 15일, 이종욱(NC 다이노스)은 사직야구장 롯데전 2회초 이상화, 장성우 배터리를 상대로 도루를 기록하며 역대 9번째 300도루를 기록했다. 4월 18일, 이호준(NC 다이노스)은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 한화전 8회초 배영수를 상대로 안타를 기록하며 역대 19번째 1600안타를 기록했다. 4월 22일, 이호준(NC 다이노스)은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삼성전 4회말 차우찬을 상대로 안타를 기록하며 역대 10번째 2800루타를 기록했다.

5월 5일, 이호준(NC 다이노스)은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KIA전 4회초 험버를 상대로 2루타를 기록하며 역대 16번째 300 2루타를 기록했다. 5월 26일, 테임즈(NC 다이노스)는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두산전에서 마야(4타점), 김수완(3타점), 박종기(1타점) 상대로 총 8타점을 기록하며 역대 13번째 한 경기 최다 타점을 기록했다. 5월 28일, 손민한(NC 다이노스)은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두산전 4회초 김현수를 상대로 1루 땅볼 아웃을 기록하며 역대 17번째 통산 7000타자 상대를 기록했다. 5월 31일, 손시헌(NC 다이노스)은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KIA전 출장으로 역대 87번째 통산 1100경기 출장을 기록했다. 5월 한 달간 NC 다이노스는 KT 위즈(5승), KIA 타이거즈(4승), 롯데 자이언츠(3승), 넥센 히어로즈(3승), 두산 베어스(3승), 삼성 라이온즈(2승)을 상대로 20승을 거두며 2009년 8월 KIA 타이거즈에 이어 역대 2번째 KBO 리그 월간 최다승을 기록했다.

6월 2일, 안지만(삼성 라이온즈)은 포항 롯데전에서 KBO 통산 150홀드를 최초로 기록했다. 6월 3일, 이승엽(삼성 라이온즈)은 포항 롯데전에서 KBO 리그 최초 개인통산 400홈런을 달성했다(한일 통산 559홈런). 같은 날, 최형우(삼성 라이온즈)는 개인 통산 1000안타를 기록했다(역대 72번째). 6월 14일, 홍성흔(두산 베어스)은 잠실 NC전에서 우타자 최초로 2000안타를 달성했다. 6월 18일, 이호준(NC 다이노스)은 수원KT위즈파크 KT전 1회초 정성곤을 상대로 2점홈런을 기록하며 역대 8번째 개인 통산 300홈런을 기록했다. 같은 날, 이종욱(NC 다이노스)은 역대 88번째 통산 1100경기 출장을, 손민한(NC 다이노스)은 역대 19번째 통산 1700이닝을 기록했다. 6월 19일, 이호준(NC 다이노스)은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한화전 출장으로 역대 4번째 통산 1100타점을 기록했다. 6월 21일, 이종욱(NC 다이노스)은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한화전 7회말 권혁, 정범모 배터리를 상대로 도루를 기록하며 역대 9번째 10년 연속 두 자릿수 도루를 기록했다. 6월 24일, 손민한(NC 다이노스)은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KIA전 출장으로 역대 13번째 통산 120승을 기록했다. 6월 26일, 이호준(NC 다이노스)은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LG전 2회초 루카스를 상대로 안타를 기록하며 역대 9번째 2900루타를 기록했다.

7월 3일, 테임즈(NC 다이노스)는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 한화전 8회초 송창식, 조인성 배터리를 상대로 도루를 기록하며 역대 39번째 20홈런-20도루를 기록했다. 7월 11일, 목동야구장에서 NC 다이노스용덕한, 박민우, 조영훈, 나성범, 테임즈넥센 히어로즈 전에서 5타자 연속 2루타를 치면서 역대 1번째 5타자 연속 2루타를 기록했다. 7월 16일, 박병호(넥센 히어로즈)는 포항 삼성전에서 4년 연속 30홈런을 달성했다. 이는 이승엽, 타이론 우즈 다음으로 역대 3번째 기록이다. 7월 28일, 김원섭(KIA 타이거즈)은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SK전에서 120번째로 1000경기를 달성했고, 팀의 승리에 기여하는 스리런 굿바이 홈런(상대투수 정우람)을 날려 세계최초로 1000경기 끝내기 홈런을 날린 타자가 되었다.

8월 17일, 박병호(넥센 히어로즈)는 만루홈런으로 개인 통산 200홈런을 달성했다.

9월에는 여러 기록들이 나왔다. 최정 (SK 와이번스)은 10년 연속 두 자릿수 홈런을 달성했다(통산 9번째, 상대투수: 임창민). 9월 15일, 이호준(NC 다이노스)은 마산 KT전에서 역대 17번째 개인 통산 1700안타와 역대 27번째 3년 연속 20홈런을 동시에 기록했다. 같은 날, 이호준(NC 다이노스)의 만루 홈런으로 NC 다이노스는 리그 최초로 팀 소속 선수 3명 이상(나성범, 이호준, 테임즈)이 한 시즌 100타점을 기록한 팀이 되었다. 9월 18일, 나성범(NC 다이노스)은 대전 한화전에서 역대 17번째 한 시즌 100타점-100득점을 기록했다. 9월 20일, 박석민(삼성 라이온즈)은 사직 롯데전에서 역대 단일 시즌 최다 타점(9타점, 1회초 2점 홈런/3회초 3점 홈런/4회초 만루 홈런)을 기록했다(종전 8타점). 9월 21일, 박병호(넥센 히어로즈)는 마산 NC전에서 50홈런과 함께 시즌 358루타로 최다 루타를 기록했다(종전 1999년 이승엽의 356루타). 9월 22일, 박용택(LG 트윈스)은 광주 KIA전에서 KBO 리그 최초로 4년 연속 150안타를 기록했다. 9월 23일, 박한이(삼성 라이온즈)는 수원 KT전에서 역대 2번째 15년 연속 세 자릿수 안타(2001~2015년)를 기록했다(역대 1번째 선수 : 양준혁, 16년 연속 세 자릿수 안타(1993~2008년)). 같은 날, 삼성 라이온즈는 수원 KT전에서 총 10명의 선수가 100안타를 달성해 KBO 리그 한 구단 최다 인원 100안타 기록을 세웠다(종전 8명, '01(현대), '02(삼성), '10(두산, 롯데), '15(넥센)). 같은 날, 이재학(NC 다이노스)은 대구 삼성전에서 역대 47번째 3년 연속 세 자릿수 탈삼진을 기록했다. 9월 25일, NC 다이노스마산 LG전에서 KBO 리그 최초로 9타자 규정타석(나성범, 박민우, 테임즈, 이종욱, 이호준, 손시헌, 김종호, 지석훈, 김태군)을 기록했다. 9월 28일, 이재학(NC 다이노스)은 마산 한화전에서 역대 52번째 3년 연속 두 자릿수 승리를 기록했다. 같은 날, 테임즈(NC 다이노스)는 역대 14번째 한 시즌 100볼넷을 기록했다.

10월 2일, 테임즈(NC 다이노스)는 문학 SK전에서 리그 최초로 40홈런-40도루 기록을 달성하였다.

7. 3. 월간 MVP

wikitable


8. KBO 포스트시즌

2015년 KBO 포스트시즌은 2014년 10월 27일 단장 회의를 통해 변경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24] 4위 팀과 5위 팀이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벌여 승리 팀이 3위 팀과 준플레이오프를 치르고, 준플레이오프 승리 팀은 2위 팀과 플레이오프를, 플레이오프 승리팀은 정규 시즌 1위 팀과 한국시리즈를 치르는 방식이다.[2]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는 넥센 히어로즈가 SK 와이번스를 2-0으로 꺾고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4] 준플레이오프에서는 두산 베어스가 넥센 히어로즈를 3-1로 꺾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5][6][7][8] 플레이오프에서는 두산 베어스가 NC 다이노스를 3-2로 꺾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9][10][11][12][13]

2015년 한국시리즈에서는 두산 베어스가 삼성 라이온즈를 4-1로 꺾고 4번째 우승을 차지했다.[14][15][16][17][18]

9. KBO 올스타전

2015년 7월 18일 수원 야구장에서 열린 KBO 올스타전은 드림 올스타(삼성 라이온즈, 두산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SK 와이번스, KT 위즈)와 나눔 올스타(KIA 타이거즈, 한화 이글스, LG 트윈스, 넥센 히어로즈, NC 다이노스)의 경기로 진행되었다. 드림 올스타가 6-3으로 승리했다. 한국 올스타전은 한국시리즈 홈 필드 어드밴티지를 결정하지 않았다.

10. 경기 중계

2015년 KBO 리그 경기는 지상파 방송사인 KBS 2TV, MBC TV, SBS TV와 케이블 및 스카이라이프 채널인 MBC SPORTS+, SBS 스포츠, KBS N Sports, SKY Sports, SPOTV, IB 스포츠에서 중계했다.

한국시리즈의 경우 1차전과 4차전은 SBS TV에서, 2차전과 5차전은 MBC TV에서, 3차전은 KBS 2TV에서 중계했으며, SPOTV2와 IB 스포츠는 전 경기를 중계했다.

참조

[1] 뉴스 KBO to expand video replay in second half of season http://www.globalpos[...] Yonhap News Agency 2014-07-08
[2] 뉴스 KBO to expand video replay in second half of season http://www.globalpos[...] Yonhap News Agency 2014-07-08
[3] 웹사이트 Team Standings http://eng.koreabase[...] 2015-10-07
[4] 웹사이트 Boxscore: October 7, 2015 http://www.koreabase[...] Korea Baseball Organization 2015-10-31
[5] 웹사이트 Boxscore: October 10, 2015 http://www.koreabase[...] Korea Baseball Organization 2015-10-31
[6] 웹사이트 Boxscore: October 11, 2015 http://www.koreabase[...] Korea Baseball Organization 2015-10-31
[7] 웹사이트 Boxscore: October 13, 2015 http://www.koreabase[...] Korea Baseball Organization 2015-10-31
[8] 웹사이트 Boxscore: October 14, 2015 http://www.koreabase[...] Korea Baseball Organization 2015-10-31
[9] 웹사이트 Boxscore: October 18, 2015 http://www.koreabase[...] Korea Baseball Organization 2015-10-31
[10] 웹사이트 Boxscore: October 19, 2015 http://www.koreabase[...] Korea Baseball Organization 2015-10-31
[11] 웹사이트 Boxscore: October 21, 2015 http://www.koreabase[...] Korea Baseball Organization 2015-10-31
[12] 웹사이트 Boxscore: October 22, 2015 http://www.koreabase[...] Korea Baseball Organization 2015-10-31
[13] 웹사이트 Boxscore: October 24, 2015 http://www.koreabase[...] Korea Baseball Organization 2015-10-31
[14] 웹사이트 Boxscore: October 26, 2015 http://www.koreabase[...] Korea Baseball Organization 2015-10-27
[15] 웹사이트 Boxscore: October 27, 2015 http://www.koreabase[...] Korea Baseball Organization 2015-10-30
[16] 웹사이트 Boxscore: October 29, 2015 http://www.koreabase[...] Korea Baseball Organization 2015-10-30
[17] 웹사이트 Boxscore: October 30, 2015 http://www.koreabase[...] Korea Baseball Organization 2015-10-30
[18] 웹사이트 Boxscore: October 31, 2015 http://www.koreabase[...] Korea Baseball Organization 2015-10-31
[19] 뉴스 KBO, 브랜드 아이덴티티 통합…'KBO리그' http://sports.news.n[...] 엑스포츠뉴스 2015-02-11
[20] 뉴스 KBO, 선데이나이트 베이스볼 신설...하루 종일 야구 http://osen.mt.co.kr[...] OSEN 2015-01-23
[21] 뉴스 2015 KBO리그 '이렇게 달라진다' 5가지 사항 http://sports.news.n[...]
[22] 문서 국군체육부대 입대 및 2017년 팀 합류
[23] 문서 삼성 라이온즈 배영수 보상선수 지명 및 보상금액 수령
[24] 뉴스 KBO 2015년 포스트시즌, 4-5위 와일드카드 도입 http://sports.news.n[...] 일간스포츠 2014-10-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