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는 대한민국 광주에서 개최된 국제 대학생 스포츠 대회이다. 2009년 광주가 개최 도시로 선정되었으며, 에드먼턴과 타이베이도 유치 경쟁에 참여했으나, 에드먼턴은 경제적 문제로, 타이베이는 광주에 밀려 유치에 실패했다. 7월 3일부터 14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육상, 농구, 축구 등 21개 종목에서 경기가 펼쳐졌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47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으며, 러시아와 중국이 그 뒤를 이었다. 대회 기간 중 메르스 확산 우려와 북한의 불참 선언 등의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축구 남자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축구 남자 경기는 광주와 전남북 7개 도시에서 19개국이 참가하여 이탈리아가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한 남자 축구 토너먼트이다. -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축구 남자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축구 남자 경기는 광주와 전남북 7개 도시에서 19개국이 참가하여 이탈리아가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한 남자 축구 토너먼트이다. -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한민국 선수단
2015년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단은 유도, 태권도, 양궁 등 19개 종목에서 금메달 30개, 은메달 21개, 동메달 29개를 획득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제28회 하계 유니버시아드 |
영문 명칭 | XXVIII Summer Universiade |
개최 도시 | 광주, 대한민국 |
모토 | 내일을 밝히다 |
모토 (한국어) | 창조의 빛, 미래의 빛 |
모토 (로마자 표기) | Changjoui Bich, Milaeui Bich |
참가국 | 143개국 |
참가 선수 | 12,885명 |
경기 종목 | 21개 종목 (272개 세부 종목) |
개막일 | 2015년 7월 3일 |
폐막일 | 2015년 7월 14일 |
개막 선언 | 박근혜 |
선수 선서 | 김성연 및 김국영 |
심판 선서 | 김대남 및 박미선 |
성화 점화 | 박찬호 및 양학선 |
주 경기장 | 광주 유니버시아드 주 경기장 |
공식 웹사이트 | gwangju2015.com (보관됨) |
이전 대회 | 카잔 2013 |
다음 대회 | 타이베이 2017 |
이전 동계 대회 | 그라나다-슈트르프스케플레소 2015 |
다음 동계 대회 | 알마티 2017 |
조직 위원회 | |
주최 | 국제대학스포츠연맹 |
주관 | 대한대학스포츠위원회 (KUSB) 2015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조직위원회 (GUOC) |
경기 종목 (세부) | 정식 13개, 선택 8개 |
지도 정보 | |
로고 | |
![]() |
2. 대회 유치 과정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개최를 위해 캐나다 에드먼턴, 타이완 타이베이, 대한민국 광주가 초기 경쟁을 벌였다. 에드먼턴은 1978년 코먼웰스 게임과 198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를 개최하면서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었으나,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해 유치 신청을 철회했다. 최종 후보는 광주와 타이베이로 압축되었고, 2009년 5월 23일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은 광주를 개최지로 선정했다.[1] 광주는 2013년 대회 유치에도 도전했으나 실패했고, 두 번째 도전에서 성공했다.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는 다음과 같은 종목들이 진행되었다.
3. 경기 종목
3. 1. 정식 종목
4. 경기장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는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북도 일원에서 개최되었으며, 각 종목별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
종목 | 소재지 | 경기장 | 비고 |
---|---|---|---|
골프 | 나주시 | 골드레이크 컨트리클럽 | |
기계체조 | 광주광역시 | 광주여자대학교 유니버시아드 체육관 | |
농구 | 광주광역시 | 동강대학교 체육관 | 결승전 |
광주광역시 | 광주대학교 체육관 | ||
무안군 | 무안실내체육관 | ||
영광군 | 영광스포티움 국민체육센터 | ||
다이빙 | 광주광역시 | 남부대학교 국제수영장 | |
리듬체조 | 광주광역시 | 광주여자대학교 유니버시아드 체육관 | |
배구 | 광주광역시 | 염주종합체육관 | 결승전 |
광주광역시 | 호남대학교 체육관 | ||
나주시 | 동신대학교 체육관 | ||
순천시 | 팔마체육관 | ||
배드민턴 | 화순군 | 화순하니움문화스포츠센터 | |
사격 | 나주시 | 전라남도종합사격장 | |
수구 | 광주광역시 | 염주실내수영장 | |
수영 | 광주광역시 | 남부대학교 국제수영장 | 경영/다이빙/싱크로나이즈 |
나주시 | 장성호 | 오픈워터 | |
야구 | 광주광역시 |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 결승전 |
광주광역시 | 무등야구장 | ||
양궁 | 광주광역시 | 광주국제양궁장 | |
유도 | 광주광역시 | 염주비트고을체육관 | |
육상 | 광주광역시 | 광주월드컵경기장 | |
조정 | 충주시 | 탄금호 | |
축구 | 광주광역시 | 호남대학교 축구장 | |
나주시 | 나주종합운동장 | 결승전 | |
보성군 | 보성공설운동장 | ||
영광군 | 영광스포티움 | ||
목포시 | 목포국제축구센터 | ||
정읍시 | 정읍종합경기장 | ||
탁구 | 장성군 | 장성홍길동체육관 | |
태권도 | 광주광역시 | 조선대학교 체육관 | |
테니스 | 광주광역시 | 진월국제테니스장 | |
광주광역시 | 염주실내테니스장 | ||
펜싱 | 광주광역시 | 김대중컨벤션센터 | |
핸드볼 | 광주광역시 | 전남대학교 체육관 | |
나주시 | 나주실내체육관 | 결승전 | |
구례군 | 구례실내체육관 | ||
농구 | 전주시 | 전주실내체육관 | |
배구 | 고창군 | 고창군립체육관 | |
축구 | 고창군 | 고창공설운동장 |
4. 1. 광주광역시
종목 | 경기장 | 비고 |
---|---|---|
기계체조 | 광주여자대학교 유니버시아드 체육관 | |
농구 | 동강대학교 체육관 | 결승전 |
농구 | 광주대학교 체육관 | |
다이빙 | 남부대학교 국제수영장 | |
리듬체조 | 광주여자대학교 유니버시아드 체육관 | |
배구 | 염주종합체육관 | 결승전 |
배구 | 호남대학교 체육관 | |
수구 | 염주실내수영장 | |
수영 | 남부대학교 국제수영장 | 경영/다이빙/싱크로나이즈 |
야구 |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 결승전 |
야구 | 무등야구장 | |
양궁 | 광주국제양궁장 | |
유도 | 염주비트고을체육관 | |
육상 | 광주월드컵경기장 | 개·폐회식 |
축구 | 호남대학교 축구장 | |
태권도 | 조선대학교 체육관 | |
테니스 | 진월국제테니스장 | |
테니스 | 염주실내테니스장 | |
펜싱 | 김대중컨벤션센터 | |
핸드볼 | 전남대학교 체육관 |
4. 2. 전라남도
개최지 | 경기장 | 종목 | 비고 |
---|---|---|---|
나주시 | 골드레이크 컨트리클럽 | 골프 | |
무안군 | 무안실내체육관 | 농구 | |
영광군 | 영광스포티움 국민체육센터 | 농구 | |
나주시 | 동신대학교 체육관 | 배구 | |
순천시 | 팔마체육관 | 배구 | |
화순군 | 화순하니움문화스포츠센터 | 배드민턴 | |
나주시 | 전라남도종합사격장 | 사격 | |
나주시 | 장성호 조정경기장 | 수영 | 오픈워터 |
나주시 | 나주종합운동장 | 축구 | 결승전 |
보성군 | 보성공설운동장 | 축구 | |
영광군 | 영광스포티움 | 축구 | |
목포시 | 목포국제축구센터 | 축구 | |
장성군 | 장성홍길동체육관 | 탁구 | |
장성군 | 장성호 | 수영 | |
나주시 | 나주실내체육관 | 핸드볼 | 결승전 |
구례군 | 구례실내체육관 | 핸드볼 |
4. 3. 전라북도
4. 4. 충청북도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조정 경기는 충주시 탄금호에서 열렸다.5. 선수촌
광주 유니버시아드 선수촌은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에 위치하며, 현대건설이 시공하였다. 1단지는 8개동 763세대, 2단지는 7개동 778세대, 3단지는 20개동 2,185세대로 구성되어 있다. 2015년 7월 준공되었고, 2016년 4월부터 주거 단지로 사용될 예정이다.
6. 대회 상징
2015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의 마스코트는 '누리비'이다. 누리비는 '세상'을 뜻하는 '누리'와 '날다'를 뜻하는 '비'의 합성어로, 전 세계 청년들의 소통을 상징한다.
대회 슬로건은 "빛나는 내일을 향하여"(Light Up Tomorrow|라이트 업 투모로우영어)이다. 이는 '빛의 도시' 광주의 정체성과 21세기 첨단산업 시대의 중심 도시로서의 위상을 나타낸다. 또한 유니버시아드에 참가하는 선수들의 도전 정신과 더 나은 미래를 향한 광주의 노력을 담고 있다.
엠블럼은 "빛의 날개"로, 유니버시아드를 상징하는 'U'자 모양이다. 5개의 파란색 날개는 세계의 바다를, 6개의 빨간색 날개는 6개 대륙을 나타내며, 겹쳐진 빛은 선수들 간의 조화와 우정을 의미한다.
6. 1. 마스코트

2015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의 공식 마스코트는 ''누리비''라는 이름의 빛의 천사이다. 누리비라는 이름은 한국어로 '세상'을 뜻하는 '누리'와 '날다'를 뜻하는 '비'의 합성어이다. 세계 청년들의 소통의 다리이자 광주 유니버시아드 비전의 상징으로 묘사되며, 세상에 빛을 전달하는 창조의 희망을 전파하는 빛의 전령으로 설명된다.[2]
6. 2. 슬로건
"빛나는 내일을 향하여"(Light Up Tomorrow)(Light Up Tomorrow|라이트 업 투모로우영어)이다. 이는 광주라는 도시 이름에서 유래한 '빛의 도시'라는 정체성과 21세기 첨단산업 시대의 중심 도시로서의 위상, 유니버시아드에 참가하는 전 세계 대학생 선수들의 도전 정신과 열정, 선수들의 더 나은 성적에 대한 기대, 유니버시아드를 통해 세계의 미래를 밝게 하는 광주의 노력, 더 나은 미래를 향한 지속 가능한 발전의 계기를 만들고자 하는 도시의 의지, 그리고 광주가 유니버시아드의 새로운 기준을 세우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낸다.[3]6. 3. 엠블럼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의 엠블럼은 "빛의 날개"이다. 독특한 'U'자 모양은 유니버시아드 경기를 연상시킨다. 이 엠블럼은 모든 역경을 극복하고 경쟁하는 선수들의 열정, 역동적인 스포츠 분위기, 전 세계 국가들의 조화, 그리고 광주가 세계적인 인지도와 찬사를 얻고자 하는 비전을 나타낸다. 5개의 파란색 날개는 세계의 바다를, 6개의 빨간색 날개는 세계 6개 대륙을 나타낸다. 겹쳐진 빛은 유니버시아드에 참가하는 세계 대학생 선수들 간의 조화와 우정을 의미한다. 하늘로 날아오르는 U자 모양의 날개에서 나오는 빛은 유니버시아드 기간 동안 세계적인 도시로서 더 높은 곳을 목표로 하는 광주를 상징한다.[4]7. 참가국
참가국 | 참가 인원 |
---|---|
아프가니스탄 | 3명 |
알제리 | 34명 |
앙골라 | 1명 |
앵귈라 | 2명 |
아르헨티나 | 81명 |
아르메니아 | 12명 |
아루바 | 2명 |
오스트레일리아 | 180명 |
오스트리아 | 25명 |
아제르바이잔 | 8명 |
방글라데시 | 2명 |
바베이도스 | 2명 |
벨라루스 | 22명 |
벨기에 | 35명 |
베냉 | 2명 |
부탄 | 8명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보츠와나 | 16명 |
브라질 | 199명 |
불가리아 | 4명 |
부르키나파소 | 2명 |
부룬디 | 2명 |
카메룬 | 12명 |
캐나다 | 232명 |
차드 | 1명 |
칠레 | 72명 |
중국 | 370명 |
콜롬비아 | 56명 |
코모로 | 2명 |
코스타리카 | 2명 |
크로아티아 | 23명 |
쿠바 | 2명 |
퀴라소 | |
키프로스 | 19명 |
체코 | 145명 |
덴마크 | 22명 |
콩고 민주 공화국 | 2명 |
도미니카 공화국 | 10명 |
에콰도르 | 1명 |
엘살바도르 | 2명 |
적도 기니 | |
에스토니아 | 85명 |
에티오피아 | 2명 |
핀란드 | 78명 |
프랑스 | 224명 |
가봉 | 5명 |
감비아 | 1명 |
조지아 | |
독일 | 115명 |
가나 | 17명 |
아이티 | 3명 |
온두라스 | 1명 |
홍콩 | 79명 |
헝가리 | 117명 |
인도 | 98명 |
인도네시아 | 40명 |
이란 | 84명 |
아일랜드 | 64명 |
이스라엘 | 27명 |
이탈리아 | 205명 |
코트디부아르 | |
자메이카 | 10명 |
일본 | 350명 |
요르단 | 22명 |
카자흐스탄 | 94명 |
케냐 | 9명 |
대한민국 (개최국) | 379명 |
키르기스스탄 | 21명 |
라트비아 | 46명 |
레바논 | 52명 |
라이베리아 | 1명 |
리히텐슈타인 | 1명 |
리투아니아 | 71명 |
룩셈부르크 | 10명 |
북마케도니아 | |
마다가스카르 | 2명 |
말레이시아 | 107명 |
말리 | 10명 |
몰타 | 11명 |
모리셔스 | 2명 |
멕시코 | 170명 |
미크로네시아 연방 | 1명 |
몰도바 | |
모나코 | 1명 |
몽골 | 99명 |
몬테네그로 | 33명 |
모로코 | 12명 |
모잠비크 | 24명 |
나미비아 | 1명 |
네팔 | 22명 |
네덜란드 | 58명 |
뉴질랜드 | 66명 |
니제르 | 2명 |
나이지리아 | 51명 |
북마리아나 제도 | |
노르웨이 | 53명 |
오만 | 33명 |
파키스탄 | 8명 |
팔레스타인 | 2명 |
파나마 | 7명 |
파라과이 | 3명 |
페루 | 1명 |
필리핀 | 78명 |
폴란드 | 153명 |
포르투갈 | 45명 |
카타르 | 17명 |
루마니아 | 58명 |
러시아 | 453명 |
르완다 | 2명 |
세네갈 | 7명 |
세르비아 | 92명 |
시에라리온 | 16명 |
싱가포르 | 18명 |
슬로바키아 | 50명 |
슬로베니아 | 45명 |
솔로몬 제도 | 2명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11명 |
스페인 | 17명 |
스리랑카 | 54명 |
수리남 | 2명 |
에스와티니 | 2명 |
스웨덴 | 80명 |
스위스 | 103명 |
중화 타이베이 | 234명 |
타지키스탄 | 8명 |
탄자니아 | 2명 |
태국 | 107명 |
트리니다드 토바고 | |
튀니지 | 2명 |
터키 | 112명 |
우간다 | 33명 |
우크라이나 | 134명 |
영국 | 64명 |
미국 | 373명 |
우루과이 | 39명 |
우즈베키스탄 | 34명 |
베네수엘라 | 92명 |
베트남 | 6명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
잠비아 | 8명 |
짐바브웨 | 23명 |
8. 대회 일정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일정 | |||||||||||||||||||||||||
---|---|---|---|---|---|---|---|---|---|---|---|---|---|---|---|---|---|---|---|---|---|---|---|---|---|
7월 | 2일 | 3일 | 4일 | 5일 | 6일 | 7일 | 8일 | 9일 | 10일 | 11일 | 12일 | 13일 | 14일 | ||||||||||||
개/폐회식 | O | C | |||||||||||||||||||||||
골프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4 | |||||||||||||||||||||
기계체조 | bgcolor=#FFDF80| | 2 | 2 | 10 | |||||||||||||||||||||
농구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2 | ||||||||||||||||
다이빙 | bgcolor=#FFDF80| | 2 | 2 | 2 | 1 | 1 | 5 | ||||||||||||||||||
리듬체조 | bgcolor=#FFDF80| | 2 | 6 | ||||||||||||||||||||||
배구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1 | 1 | |||||||||||||||
배드민턴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1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5 | |||||||||||||||||||
사격 | 6 | 6 | 2 | 8 | 6 | 6 | |||||||||||||||||||
수구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1 | 1 | ||||||||||||||
수영 | 3 | 6 | 6 | 7 | 3 | 7 | 8 | 2 | |||||||||||||||||
야구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1 | ||||||||||||||||||||
양궁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5 | 5 | ||||||||||||||||||||
유도 | 4 | 4 | 4 | 4 | 2 | ||||||||||||||||||||
육상 | 2 | 12 | 13 | 9 | 14 | ||||||||||||||||||||
조정 | bgcolor=#FFDF80| | 5 | 8 | ||||||||||||||||||||||
축구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1 | 1 | |||||||||||||||
탁구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2 | 1 | 2 | 2 | |||||||||||||||||
태권도 | 2 | 3 | 4 | 4 | 4 | 4 | 2 | ||||||||||||||||||
테니스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2 | 5 | |||||||||||||||||
펜싱 | 2 | 2 | 2 | 2 | 2 | 2 | |||||||||||||||||||
핸드볼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bgcolor=#FFDF80| | 2 | |||||||||||||||||||
7월 | 2일 | 3일 | 4일 | 5일 | 6일 | 7일 | 8일 | 9일 | 10일 | 11일 | 12일 | 13일 | 14일 |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는 7월 3일에 개막하여 7월 14일에 폐막했다. 각 종목별 경기 일정은 위 표와 같다.
9. 메달 집계
순위 | 국가·지역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총계 |
---|---|---|---|---|---|
1 | 대한민국 | 47 | 32 | 29 | 108 |
2 | 러시아 | 34 | 39 | 49 | 122 |
3 | 중국 | 34 | 22 | 16 | 72 |
4 | 일본 | 25 | 25 | 35 | 85 |
5 | 미국 | 20 | 15 | 18 | 53 |
6 | 프랑스 | 13 | 9 | 8 | 30 |
7 | 이탈리아 | 11 | 14 | 17 | 42 |
8 | 우크라이나 | 8 | 17 | 6 | 31 |
9 | 이란 | 7 | 2 | 6 | 15 |
10 | 중화 타이베이 | 6 | 12 | 18 | 36 |
11 | 카자흐스탄 | 6 | 0 | 4 | 10 |
12 | 독일 | 5 | 5 | 8 | 18 |
13 | 리투아니아 | 5 | 1 | 3 | 9 |
14 | 폴란드 | 4 | 10 | 4 | 18 |
15 | 오스트레일리아 | 4 | 3 | 12 | 19 |
16 | 벨라루스 | 4 | 3 | 5 | 12 |
17 | 영국 | 3 | 4 | 4 | 11 |
18 | 체코 | 3 | 3 | 3 | 9 |
19 | 벨기에 | 3 | 1 | 3 | 7 |
20 | 태국 | 2 | 7 | 9 | 18 |
21 | 캐나다 | 2 | 4 | 2 | 8 |
22 | 터키 | 2 | 2 | 12 | 16 |
23 | 브라질 | 2 | 2 | 4 | 8 |
24 | 몽골 | 2 | 1 | 2 | 5 |
25 | 남아프리카 공화국 | 2 | 0 | 4 | 6 |
26 | 아제르바이잔 | 2 | 0 | 1 | 3 |
27 | 도미니카 공화국 | 2 | 0 | 0 | 2 |
28 | 루마니아 | 1 | 3 | 3 | 7 |
29 | 자메이카 | 1 | 3 | 1 | 5 |
29 | 뉴질랜드 | 1 | 3 | 1 | 5 |
31 | 세르비아 | 1 | 2 | 4 | 7 |
32 | 에스토니아 | 1 | 2 | 1 | 4 |
32 | 포르투갈 | 1 | 2 | 1 | 4 |
34 | 인도 | 1 | 1 | 3 | 5 |
35 | 아일랜드 | 1 | 1 | 1 | 3 |
35 | 코트디부아르 | 1 | 1 | 1 | 3 |
37 | 헝가리 | 1 | 0 | 3 | 4 |
38 | 키프로스 | 1 | 0 | 2 | 3 |
39 | 아르메니아 | 1 | 0 | 0 | 1 |
39 | 바베이도스 | 1 | 0 | 0 | 1 |
39 | 우간다 | 1 | 0 | 0 | 1 |
39 | 우즈베키스탄 | 1 | 0 | 0 | 1 |
43 | 멕시코 | 0 | 3 | 2 | 5 |
44 | 크로아티아 | 0 | 3 | 0 | 3 |
44 | 모로코 | 0 | 3 | 0 | 3 |
46 | 슬로바키아 | 0 | 2 | 2 | 4 |
47 | 라트비아 | 0 | 2 | 1 | 3 |
48 | 네덜란드 | 0 | 1 | 7 | 8 |
49 | 인도네시아 | 0 | 1 | 3 | 4 |
50 | 알제리 | 0 | 1 | 0 | 1 |
50 | 보츠와나 | 0 | 1 | 0 | 1 |
50 | 부르키나파소 | 0 | 1 | 0 | 1 |
50 | 홍콩 | 0 | 1 | 0 | 1 |
50 | 노르웨이 | 0 | 1 | 0 | 1 |
50 | 슬로베니아 | 0 | 1 | 0 | 1 |
56 | 스페인 | 0 | 0 | 3 | 3 |
56 | 스위스 | 0 | 0 | 3 | 3 |
58 | 핀란드 | 0 | 0 | 2 | 2 |
58 | 말레이시아 | 0 | 0 | 2 | 2 |
58 | 스웨덴 | 0 | 0 | 2 | 2 |
58 | 베트남 | 0 | 0 | 2 | 2 |
62 | 아르헨티나 | 0 | 0 | 1 | 1 |
62 | 덴마크 | 0 | 0 | 1 | 1 |
62 | 키르기스스탄 | 0 | 0 | 1 | 1 |
합계 | 272 | 270 | 327 | 869 |
10. 논란
2015년 대한민국 메르스 유행으로 인해 대회 개최에 대한 우려가 있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유엔의 북한인권사무소 서울 설치를 이유로 대회에 불참했다.[1]
10. 1. 메르스 확산 우려
2015년 대한민국 중동호흡기증후군 유행이 끝나지 않아 국외 관광객 수가 감소하고 여러 행사가 연기 및 취소되는 가운데, 대회 역시 이를 우려하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예정대로 개최하며 방역에 충실한다는 계획이었다.[1] 그러나 2015년 대한민국 중동호흡기증후군 유행은 광주광역시에는 큰 영향과 타격을 미치지 않아 대회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10.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불참 선언
북한 전극만 대학생체육협회 위원장은 FISU 에릭 생트롱 사무총장 앞으로 보낸 서한에서 "우리는 FISU와의 약속을 이행하고 독립적이고 평화적인 한반도 통일이라는 대의의 실현을 위한 우호적인 토양을 조성하기 위해 대회 참가를 위해 필요한 조치들을 취했었다."고 밝혔다.[1]이어 전 위원장은 "하지만 우리 측의 반복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남한 정부는 군사적 대립을 계속하였고 서울에 ‘북한인권사무소’의 설치 확인을 발표하였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하여 ‘인권’문제를 들먹이며 남북관계를 극한으로 밀고 나갔다. 그리하여 우리가 대회에 참가하고자 하는 분위기를 냉각시켰다."고 유엔의 북한인권사무소 개설이 광주U대회 불참 사유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1]
김윤석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 조직위원회 사무총장은 "지난 19일 오후 6시 31분 평소 U대회 조직위와 북한이 교신하는 이메일 계정으로 '북한은 이번 대회에 참가할 수 없다. UN 북한인권사무소를 서울에 개설했기 때문에 정치적인 이유로 갈 수 없다'는 내용의 편지를 받았다"고 시청 브리핑룸에서 가진 긴급기자회견에서 밝혔다.[1]
북한은 지난 3월 육상과 여자 축구 등 8개 종목에 108명의 선수단을 파견하겠다고 참가신청서를 제출하고 이후 대표단장 회의까지 참석, 대회 참가를 기정사실화하는 것처럼 보였으나 지난 3일 자정 끝난 광주유니버시아드 개인별 엔트리 마감 결과 선수등록을 하지 않았다.[1]
이후 윤장현 광주 U대회 조직위원장은 지난 18일 내외신 기자회견을 갖고 북한 선수단과 응원단의 참가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1]
윤 위원장은 특히 국내 메르스 사태와 관련해서는 "광주는 메르스로부터 안전하며 U대회에 참가하는 선수단과 임원진은 입국에서 출국까지 모든 과정에서 철저하고 완벽하게 보호될 것"이라고 강조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Universiades for 2015 attributed
http://www.fisu.net/[...]
2010-07-06
[2]
웹사이트
Symbol 2015 Gwangju
http://www.gwangju20[...]
2016-03-04
[3]
웹사이트
Symbol 2015 Gwangju
http://www.gwangju20[...]
2016-03-04
[4]
웹사이트
Symbol 2015 Gwangju
http://www.gwangju20[...]
2016-03-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