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갑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갑주는 사람이나 차량, 동물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어구의 총칭이다. 갑옷은 가죽이나 직물에서 금속 판, 복합 재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재료로 제작되었으며, 고대부터 현대까지 군사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개인 갑옷은 산업 혁명과 총기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차량 갑옷은 해군 함선, 전차, 항공기 등에 적용되어 방어 능력을 향상시켰다. 말과 코끼리 등 동물을 위한 갑옷도 존재했으며, 특히 말 갑옷은 중세 유럽 기사 시대에 중요한 방어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갑 (군사) - 마갑
    말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갑옷인 마갑은 콧부리개, 크리니에 등 다양한 부품으로 구성되며, 고대부터 여러 문화권에서 사용되었고 한국, 중국, 일본 등 각 국가별로 독자적인 형태를 가진다.
  • 장갑 (군사) - 균질압연장갑
    균질압연장갑은 균일한 구조와 조성을 가진 강철 장갑으로, 전차 장갑 및 대전차포 성능 측정 기준으로 사용되었으나, 현대에는 복합 장갑에 밀려 주 장갑재로는 사용되지 않지만 장갑차의 기본 구조 형성 및 다른 장갑 재료 성능 비교 기준으로 활용된다.
  • 보호복 - 더스터
    더스터는 자동차 여행 시대에 먼지로부터 옷을 보호하기 위해 입던 헐렁한 긴 코트였으나, 자동차 기술 발전으로 필요성이 줄어들었고, 이후 대중문화의 상징이 되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보호복 - 방진 마스크
    방진 마스크는 유해 먼지를 걸러내도록 설계된 호흡기로,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국가별로 규정이 있고, 대한민국에서는 KF80 등급, 미국에서는 NIOSH 승인 마스크가 사용된다.
  • 갑주 - 갑옷
    갑옷은 개인을 보호하기 위해 제작된 보호구로,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소재와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방탄 성능은 운동 에너지 기준으로 측정된다.
  • 갑주 - 판갑
    판갑은 고대부터 중세까지 사용된 갑옷으로, 철판이나 가죽 비늘을 엮어 만들거나 수평 갑옷 조각을 연결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일본 갑옷에서 특히 발전했고 중동, 중앙아시아에서도 사용되었으며, 베링 해협 원주민들은 뼈나 상아로 만든 판갑을 사용했다.
갑주
갑옷
갑옷을 입은 전사의 그림
갑옷을 입은 전사의 그림
개요
종류판금 갑옷
사슬 갑옷
찰갑
경번갑
피 혁갑
옻 칠갑
섬유 갑옷
역사
사용 시기고대부터 근대까지
사용 목적전투 시 신체 보호
문화
갑옷의 상징성권력
위엄
용맹
갑옷의 구성 요소
머리투구
몸통흉갑
배갑
갑옷 치마
완갑
다리각반
군화
갑옷의 재료
금속
강철
청동
구리
가죽생 가죽
삶은 가죽
기타나무


기타
관련 용어무기
전쟁
기사
사무라이
바이킹

2. 용어

"갑주"의 영단어 armour는 중세 시대에 고대 프랑스어의 파생어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1297년부터 "전투 시 착용하는 우편물, 방어용 덮개"로 기록된다. 이 단어는 "무기 및 장비"를 의미하는 라틴어 armatura에서 파생된 고대 프랑스어 armure에서 유래되었으며, 루트 armare는 "무기 또는 장비"를 의미한다.[26]

파리스 보르도네의 ''갑옷을 입은 신사와 두 명의 시종''


"갑옷"이라는 단어는 고대 프랑스어의 파생어로서 중세 시대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1297년에는 "전투에서 착용하는 방어 덮개"로 기록되어 있다. 이 단어는 고대 프랑스어 armure|아르뮈르fro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시 "무기 및/또는 장비"를 의미하는 라틴어 armatura|아르마투라la에서 파생되었고, 그 어원은 "무기 또는 장비"를 의미하는 armare|아르마레la이다.[1]

3. 개인 갑옷

개인 갑옷은 역사 전반에 걸쳐 다양한 재료와 기술을 사용하여 발전해 왔다. 가죽이나 직물을 보호용으로 사용한 것부터 시작하여[2] 사슬 갑옷과 금속판 갑옷을 거쳐 오늘날의 현대적인 복합 갑옷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졌다. 대부분의 군사사에서 금속 개인 갑옷의 제조가 갑옷 기술과 활용을 지배해 왔다.

3. 1. 역사

갑옷은 기록된 역사 전반에 걸쳐 사용되었다. 가죽이나 직물을 보호용으로 사용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사슬 갑옷과 금속판 갑옷을 거쳐 오늘날의 현대적인 복합 갑옷으로 진화하는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졌다. 군사 역사의 대부분 동안 금속 개인 갑옷 제조가 갑옷의 기술과 사용을 지배해 왔다.

갑옷은 목재 적층, 채광, 금속 정련, 차량 제조, 가죽 가공, 이후의 장식 금속 가공을 포함하여 고대 세계의 많은 중요한 기술 개발을 주도했다. 갑옷의 생산은 산업 혁명에 영향을 미쳤으며 야금 및 엔지니어링의 상업적 발전을 촉진했다. 또한 갑옷은 총기 개발에 중요한 요소였으며, 이는 결국 전쟁에 혁명을 일으켰다.

청동 갑옷과 멧돼지 엄니 조각이 있는 헬멧
덴드라 갑주(The Dendra panoply), 미케네 그리스의 갑옷,


갑옷 발달의 중요한 요인으로는 갑옷 생산의 경제적, 기술적 필요성이 있었다. 예를 들어, 판금 갑옷은 중세 유럽에서 처음 등장했는데, 워터해머(Trip hammer)가 판을 더 빠르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면서부터이다. 갑옷의 발전은 종종 전투에서 점점 더 효과적인 무기의 발전과 병행되어 왔으며, 갑옷 제작자들은 기동성을 희생하지 않으면서 더 나은 방어구를 만들려고 노력했다.

유럽 역사에서 잘 알려진 갑옷 종류로는 로리카 하마타, 로리카 스쿠아마타, 로마 군단로리카 세그멘타타, 초기 중세 시대의 사슬 갑옷 호버크, 후기 중세르네상스 시대의 기사들이 착용한 완전한 강철 판금 갑옷, 그리고 제1차 세계 대전(1914~1915)의 첫 해까지 여러 유럽 국가에서 중기병이 착용한 흉갑과 등판 등이 있다. 일본 봉건 시대의 사무라이 전사들은 19세기까지 수백 년 동안 다양한 종류의 갑옷을 사용했다.

3. 1. 1. 초기

역사상 최초의 갑옷 기록은 오늘날 남부 이라크수메르에서 발견된 독수리 비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3][4] 이집트 신왕국, 주나라, 인도 왕조의 기록에서 다양한 형태의 찰갑을 확인할 수 있다. 4세기경 일본에서 흉갑투구가 제작되었다.[5] 보병이 착용한 '단고(Tankō)'와 기병이 착용한 '케이코(Keikō)'는 가죽 끈으로 연결된 철판으로 제작된 초기 일본 갑옷의 사무라이 이전 형태였다. 일본 찰갑('케이코')은 한반도를 거쳐 5세기경 일본에 도달했다.[6] 이 초기 일본 찰갑은 소매 없는 재킷, 다리 보호대, 헬멧의 형태를 취했다.[7]

3. 1. 2. 13세기~18세기 유럽

13세기에서 15세기 이탈리아 등지에서 초기 판갑은 철로 만들어졌다. 철 갑옷은 더 단단한 강철 표면을 만들기 위해 침탄 또는 표면 경화될 수 있었다.[11] 15세기에는 흑사병 이후 노동력이 비싸져서 노동력이 덜 필요한 판갑이 쇠사슬 갑옷보다 저렴해졌다.[12] 쇠사슬 갑옷은 겨드랑이, 팔꿈치 안쪽, 사타구니와 같이 판갑으로 충분히 보호할 수 없는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계속 사용되었다. 판갑의 또 다른 장점은 창받이를 가슴판에 장착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12]

작은 두개골 덮개는 목 뒤와 머리 옆을 보호하기 위해 아래로 길어진 바시넷(bascinet)으로 발전하여 더 큰 헬멧이 되었다. 14세기 후반에는 여러 새로운 형태의 완전히 덮인 헬멧이 도입되었다.

1400년경 롬바르디의 무기고에서 판갑의 완전한 갑주가 개발되었다.[13]

15세기 초, 무기 발전으로 보병은 전장에서 갑옷을 입은 기사를 물리칠 수 있게 되었다. 군대가 커지고 갑옷이 두꺼워지면서 갑옷에 사용된 금속의 품질이 저하되었고, 이로 인해 더 큰 기병마의 사육이 필요했다. 14~15세기 동안 갑옷의 무게가 15kg을 넘는 경우는 드물었지만, 16세기 후반에는 25kg에 달했다.[14] 따라서 16세기 후반 갑옷의 증가된 무게와 두께는 상당한 저항력을 제공했다.

3. 1. 3. 이후

16세기 중반부터 보병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갑옷의 구성 요소가 하나씩 제거되기 시작했다. 등판과 가슴판은 18세기와 나폴레옹 시대에 유럽의 여러 중기병 부대에서 20세기 초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머스킷의 등장으로 판 갑옷을 뚫을 수 있게 되자, 기병은 화력에 더 주의해야 했다. 일본에서는 19세기 후반까지 갑옷이 사용되었으며, 갑옷이 사용된 마지막 주요 전투는 1868년에 있었다.[15] 사무라이 갑옷은 1877년 세이난 전쟁에서 잠시 사용되었다.[16]

기사의 시대는 끝났지만, 갑옷은 여러 방면에서 계속 사용되었다. 미국 남북 전쟁의 군인들은 철과 강철 조끼를 구매했는데(양측 모두 방탄복을 고려했지만 거부했다), 효과는 매우 다양했다. 어떤 조끼는 총알을 막아 생명을 구했지만, 어떤 조끼는 조잡하게 만들어져 비극을 초래했다. 조끼는 무게 증가와 동료 병사들의 비난으로 인해 많은 병사들이 버렸다.[17]

제1차 세계 대전 초기, 수천 명의 프랑스 흉갑기병이 독일 기병과 교전했다. 당시 빛나는 금속 흉갑은 어두운 페인트로 덮였고, 나폴레옹 양식 헬멧은 캔버스 랩으로 덮여 있었다. 이 갑옷은 총검, 사브르, 과 같은 날붙이 무기에 대한 방어만을 위한 것이었다. 기병은 참호전으로 보호받을 수 있었던 보병과 달리, 연발총, 기관총, 포병을 경계해야 했다.

3. 2. 현대

현대의 방탄복케블라, 다이니마, 트와론, 스펙트라 등 방탄 직물과 세라믹 또는 금속 판으로 만들어진다. 경찰관, 경비원, 교도관 및 일부 군에서 방탄복을 흔히 사용한다.

미국 육군은 인터셉터 방탄복을 채택했는데, 이 방탄복은 가슴, 측면 및 등에 향상된 소형 화기 보호 삽입물(ESAPI)을 사용한다. 각 판은 10m 거리에서 7.62×51mm NATO AP탄의 3발까지 막도록 설계되었다.[18] 드래곤 스킨은 현재 테스트 중이며 혼합된 결과를 보이는 또 다른 방탄복이다. 2019년 기준으로, 드래곤 스킨은 기존 판에 비해 너무 무겁고, 비싸고, 신뢰할 수 없다고 여겨졌으며, 현대적인 미군 IOTV 방탄복에 비해 보호 성능이 시대에 뒤떨어져 있고, 테스트에서도 IBA보다 성능이 떨어진다고 평가되었다.

영국군은 자체적인 방탄복인 오스프리를 사용한다. 이 방탄복은 미국의 개선된 외피 전술 조끼, 병사용 판 캐리어 시스템, 모듈형 전술 조끼와 동일한 일반적인 기준을 충족한다.

러시아군 역시 6B43부터 6B45까지 다양한 모델의 방탄복을 사용한다. 이들의 방탄복은 GOST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지역적 상황으로 인해 기술적으로 전반적으로 더 높은 보호 수준을 제공한다.

4. 차량 갑옷

차량 갑옷은 해군 함선, 열차, 장갑 전투 차량, 항공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었다. 철갑함 건조에 사용된 최초의 현대식 장갑판 생산 기술은 전함 개발로 이어졌고,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최초의 전차가 생산되었다. 항공 장갑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조종사와 항공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4. 1. 역사

최초의 현대식 장갑판 생산 기술은 해군이 철갑함 건조에 사용하여 전함 개발로 이어졌다. 최초의 전차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생산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조종사와 항공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항공 장갑이 사용되었다.

현대 지상군에서 장갑의 의미는 전투에서 군대의 역할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기갑전이 발달하면서 기계화보병은 장갑 전투 차량에 탑재되어 경보병을 대체했다. 현대 기갑전에서 전차와 보병전투차로 무장한 기갑부대는 중기병, 경기병, 용기병의 역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기갑전 분야에 속한다.

4. 1. 1. 함선

최초의 현대식 장갑판 생산 기술은 해군이 철갑함 건조에 사용했다.[19] 1859년 프랑스 해군이 최초의 철갑선 글로르프랑스어를 진수했다. 이는 영국 로열 해군이 이에 대항하는 배를 건조하도록 자극했다. 이듬해 영국은 HMS 워리어를 진수했는데, 이는 크기가 두 배였고 철제 선체 위에 철갑을 덮고 있었다. 1862년 햄프턴 로드 해전에서 철갑선 간의 첫 번째 전투가 벌어진 후, 철갑선이 해상에서 가장 강력한 군함으로서 전열함을 대체했음이 분명해졌다.[20]

철갑선은 원양 전함, 연안 방어함, 장거리 순양함 등 여러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19세기 말 군함 설계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철갑선은 증기 엔진을 보조하기 위해 돛을 달았던 나무 선체에서 20세기에 익숙한 강철로 건조된 포탑형 전함과 순양함으로 변모했다. 이러한 변화는 더 강력한 해군 함포의 개발, 더욱 정교한 증기 기관, 그리고 강철 조선을 가능하게 한 금속 공학의 발전에 의해 추진되었다.

철갑선 시대의 급격한 변화는 많은 배들이 완성되자마자 구식이 되었고, 해군 전술이 유동적인 상태에 놓이게 했다. 많은 철갑선은 해군 충각 또는 어뢰를 사용하도록 건조되었으며, 이는 많은 해군 설계자들이 해상 전투의 중요한 무기로 간주했다. 철갑선 시대의 명확한 종말은 없지만, 1890년대 말 무렵에는 '철갑선'이라는 용어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새로운 배들은 점점 더 표준적인 패턴으로 건조되었으며 전함 또는 장갑 순양함으로 지정되었다.

4. 1. 2. 열차

외부에 금속판이 부착된 열차
1915년 장갑 열차


장갑 열차는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미국 남북 전쟁(1861–1865), 프랑스-프로이센 전쟁(1870–1871), 제1차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1880–81 및 1899–1902), 폴란드-소련 전쟁(1919–1921), 제1차 세계 대전(1914–1918), 제2차 세계 대전(1939–1945),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1946–1954) 등 여러 전쟁에서 사용되었다. 러시아 내전(1918-1920)에서 장갑 열차가 가장 집중적으로 사용되었다.

4. 1. 3. 장갑 전투 차량

고대 공성 무기는 보통 나무 갑옷으로 보호되었으며, 쉽게 불에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젖은 가죽이나 얇은 금속으로 덮여 있는 경우가 많았다.

최초의 현대식 장갑 전투 차량은 1900년경에 개발된 장갑차였다. 이것은 철판으로 보호되는 일반적인 바퀴 달린 자동차로 시작되었으며, 일반적으로 기관총을 장착했다.[21]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서부 전선참호전 교착 상태는 전차 개발을 촉진했다. 전차는 적의 소총과 기관총 사격 아래에서 진격하고 자체 중포로 대응할 수 있는 장갑 기계로 구상되었다. 이는 포격과 참호로 훼손된 지형을 횡단하기 위해 무한궤도를 사용했다.

4. 1. 4. 항공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조종사와 항공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항공 장갑이 사용되었다. 생존 편향에 대한 대응으로, 항공기에 승무원과 엔진, 연료 탱크와 같은 취약한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장갑판이 추가되었다. 자체 밀폐 연료 탱크는 추가적인 보호 기능을 제공했다.[1]

4. 2. 현대

현대 지상군에서 장갑의 의미는 전투에서 병력의 역할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기갑전이 발달하면서 기계화보병은 장갑 전투 차량에 탑재되어 여러 상황에서 경보병을 대체했다. 현대 기갑전에서 전차보병전투차를 갖춘 기갑 부대는 중기병, 경기병, 용기병의 역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기갑전에 속한다.

5. 동물 갑옷

군마갑옷은 적어도 기원전 2000년부터 사용되었다. 고대 이집트, 아시리아, 페르시아, 로마를 포함한 고대 문명의 기병은 말을 천, 가죽 및 금속으로 된 보호구로 덮었다. 일부는 보병과 기마 궁수를 공격하는 데 사용되는 기갑 말과 기수로 구성된 중기병 부대를 형성했다.[27] 특히 유럽 기사들이 사용했을 때 말 갑옷은 ''바딩''(bard 또는 barb라고도 표기)이라고 불린다. 늦은 중세 시대 동안 기사의 말이 표적이 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바딩이 발전하였다.

전투 코끼리는 고대에는 갑옷 없이 처음 사용되었지만, 적의 무기에 부상을 입은 코끼리가 전장을 떠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갑옷이 도입되었다. 코끼리 갑옷은 종종 딱딱한 가죽으로 만들어지며, 습기가 있는 상태에서 코끼리 한 마리에 장착한 다음 건조하여 딱딱한 껍질을 만들었다. 또는 금속 갑옷 조각을 두꺼운 천에 꿰매는 경우도 있었다. 나중에 찰갑이 도입되었다. 완전한 판금 갑옷은 비용이 많이 들고 동물이 과열될 위험이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War elephant display in a museum
로열 아머리즈 박물관의 전차 코끼리 갑옷 모형

5. 1. 말 갑옷

군마갑옷은 적어도 기원전 2000년부터 사용되었다. 고대 이집트, 아시리아, 페르시아, 로마를 포함한 고대 문명의 기병은 말을 천, 가죽 및 금속으로 된 보호구로 덮었다. 일부는 보병과 기마 궁수를 공격하는 데 사용되는 기갑 말과 기수로 구성된 중기병 부대를 형성했다.[27] 특히 유럽 기사들이 사용했을 때 말 갑옷은 ''바딩''(bard 또는 barb라고도 표기)이라고 불린다.

기사의 갑옷 방어가 더욱 효과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늦은 중세 시대 동안 기사의 말이 표적이 되었다. 14세기 배넉번 전투에서 스코틀랜드인들이 보병으로 말을 살해하고, 같은 세기에 크레시 전투에서 잉글랜드 장궁병들이 말을 쏘고 하마한 프랑스 왕국 기사들을 중보병이 죽이는 등, 영국군은 이러한 취약점을 이용했다. 바딩은 이러한 사건에 대한 대응으로 발전했다.

말 갑옷은 퀴르 부이(경화 가죽)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러한 예는 특히 드물게 남아있다.[25]

5. 2. 코끼리 갑옷

전투 코끼리는 고대에는 갑옷 없이 처음 사용되었지만, 적의 무기에 부상을 입은 코끼리가 전장을 떠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갑옷이 도입되었다. 코끼리 갑옷은 종종 딱딱한 가죽으로 만들어지며, 습기가 있는 상태에서 코끼리 한 마리에 장착한 다음 건조하여 딱딱한 껍질을 만들었다. 또는 금속 갑옷 조각을 두꺼운 천에 꿰매는 경우도 있었다. 나중에 찰갑이 도입되었다.

완전한 판금 갑옷은 비용이 많이 들고 동물이 과열될 위험이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armour in English https://web.archive.[...] 2016-04-12
[2] 웹사이트 armour | History, Types, Definition,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3] 서적 From Sumer to Rome: The Military Capabilities of Ancient Armies https://books.google[...] ABC-CLIO 1991
[4] 서적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7
[5] 문서 Farris 1998, p. 75 https://books.google[...]
[6] 문서 Robinson 2002, p. 10
[7] 문서 Robinson 2002, pp. 169–170
[8] 문서 Fagan 2004
[9] 문서 Gabriel 2007, p. 79 https://books.google[...]
[10] 웹사이트 Intriguojanti vieno šedevro istorija – Žygimanto Augusto vaikiškų šarvų paroda https://www.valdovur[...] 2023-04-23
[11] 문서 Williams 2003, pp. 740–41
[12] 문서 Williams 2003, p. 55
[13] 문서 Williams 2003, p. 53
[14] 문서 Williams 2003, p. 916
[15] 문서 Robinson 1951
[16] 문서 Robinson 2002, p. 208 https://books.google[...]
[17] 문서 Stewart, pp. 74–75
[18] 문서 ArmorUP
[19] 문서 Sondhaus, pp. 73–74
[20] 문서 Sondhaus, p. 86
[21] 서적 The Guinness Book of Tank Facts and Feats Guinness Superlatives Limited 1980
[22] 서적 The Armored Horse in Europe, 1480–1620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3] 서적 The Savaran: The Original Knights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95
[24] 웹사이트 Horse Armor of Duke Ulrich of Württemberg http://philamuseum.o[...]
[25] 문서 Phyrr et al., 57–59
[26] 웹인용 Definition of armour in English https://web.archive.[...] 2016-04-12
[27] 서적 The Armored Horse in Europe, 1480–1620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