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근대미술관 (파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근대미술관 (파리)은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미술관으로, 1750년 뤽상부르 미술관으로 시작하여 팔레 드 도쿄 시대를 거쳐 1977년 퐁피두 센터로 이전하면서 현재의 위치에 자리 잡았다. 야수파 이후의 근대 미술 작품들을 중심으로 회화, 조각,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으며, 아틀리에 브랑쿠시와 칸딘스키 도서관 등의 부속 시설을 갖추고 있다. 한국 작가들의 작품을 다수 소장하고 있으며, 한국 미술계와도 교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7년 설립된 미술관 - 상파울루 미술관
상파울루 미술관은 1947년 개관하여 라틴 아메리카 최대 서양 미술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으며, 건축가 리나 보 바르디가 설계한 독특한 건물은 상파울루의 랜드마크이다. - 파리 4구의 건축물 - 생트샤펠
생트샤펠은 프랑스 파리에 있는 고딕 양식의 왕실 예배당으로, 루이 9세가 예수 수난의 성유물을 보관하기 위해 1248년에 완공되었으며, 빛나는 양식의 대표적인 건축물로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이 특징이다. - 파리 4구의 건축물 - 바스티유 광장
바스티유 광장은 프랑스 파리에 위치하며 프랑스 혁명의 상징적인 장소였던 바스티유 감옥 터에 조성되어 7월 혁명 기념비와 오페라 바스티유 등이 있는 역사적 시민 휴식 공간이다. - 파리의 미술관 - 마욜 미술관
마욜 미술관은 아리스티드 마욜의 작품 전시를 위해 설립되어 조각품과 소장품, 근현대 미술 작품을 소장하며, 1995년 파리에 개관했다. - 파리의 미술관 - 오르세 미술관
오르세 미술관은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국립 미술관으로, 19세기 미술 작품을 주로 소장하고 있으며, 1900년 파리 만국 박람회를 위해 지어진 오르세 역 건물을 개조하여 1986년에 개관, 인상주의 및 후기 인상주의 컬렉션으로 특히 유명하다.
국립근대미술관 (파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 국립 근대 미술관 |
프랑스어 명칭 | Musée national d'Art moderne (MNAM) |
위치 | 조르주 퐁피두 센터, place Georges Pompidou, 75004 파리 퐁피두 센터-메스, Human Rights square, 57000 메스 |
대중교통 | 람부토, 오텔 드 빌 |
면적 | 18,500 m² (전시 공간) |
전체 면적 | 28,000 m² |
개관 | 1947년 6월 9일 |
웹사이트 | 조르주 퐁피두 센터 공식 웹사이트 |
조직 | |
소장품 | 약 100,000점 |
관람객 수 | 1,501,040 명 (2021년) |
디렉터 | 자비에 레이 |
컬렉션 | |
분야 | 근대 미술, 현대 미술 (20~21세기) |
주요 소장품 | 아틀리에 브랑쿠시 산업 창조 센터 (프랑스어版) 컬렉션 |
2. 역사
1750년 루이 15세가 프랑스 최초의 미술관으로 뤽상부르 미술관을 설립하면서 국립 근대 미술관의 역사가 시작되었다.[12][13] 이후 뤽상부르 미술관은 여러 차례 변화와 이전을 거쳤다.
1932년 뤽상부르 미술관과 별관이 협소해지자 새로운 근대 미술관 설립이 제안되었다. 프랑스 정부도 국립 근대 미술관 건립 계획을 발표했고, 두 구상이 충돌하여 결국 파리 만국 박람회에 맞춰 건설하는 건물에 파리 시립 근대 미술관과 국립 근대 미술관을 병설하게 되었다.
1946년 제2차 세계 대전이후, 파리 시립 근대미술관은 재개관하여 "예술과 레지스탕스" 기획전을 열었으나, 국립 근대미술관은 1947년에 개관식을 가졌다.
이후 1977년 퐁피두 센터가 개관하면서 현재의 모습으로 자리 잡았다.
2. 1. 뤽상부르 미술관 시대 (1750-1937)
1750년 루이 15세가 프랑스 최초의 미술관으로 뤽상부르 미술관을 설립하면서 국립 근대 미술관의 기원이 시작되었다.[12][13] 1818년 뤽상부르 미술관은 소장한 작품 중, 작가가 사망한 지 10년이 지난 작품은 루브르 박물관으로 옮기고, 그 외 작가의 작품을 소장하는 프랑스 최초의 현대 미술관 (생존 화가 미술관)이 되었다.[12][13]1880년까지 전시 작품은 주로 살롱에서 구입한 것으로, 궁정 취향을 반영한 고전주의적인 역사화, 초상화, 풍경화 등 기존 장르의 작품이 대부분이었다. 쿠르베나 밀레 등 새로운 경향의 화가 작품이 화가의 가족이나 미술품 수집가 등에 의해 기증되어 소장품에 포함된 것은 1880년 살롱의 민영화 이후이다. 또한, 이 이후에는 윈슬로 호머나 휘슬러 등의 프랑스 국외 화가의 작품도 수집하였으며, 컬렉션이 정리된 1922년에 주 드 폼 국립 미술관으로 이동하여 외국인 화가의 특별 전시실이 설치되었다.[13]
1886년에는 뤽상부르 미술관 근처의 페루 거리 (파리 6구)에 있던 오랑주리 (오렌지 재배용 온실; 파리 1구의 오랑주리 미술관의 오랑주리와는 달리 "오랑주리 페루"라고 불렸다)를 개조하여 현대 미술관이 설립되었고, 뤽상부르 미술관의 소장품 일부가 이곳으로 이동되었다.[14]
2. 2. 팔레 드 도쿄 시대 (1937-1977)
1937년 파리 만국 박람회에 맞춰 건설된 "근대 미술 궁전"은 알베르 르브룅 대통령에 의해 낙성되었고, 후에 팔레 드 도쿄로 개명되었다.[15][16]하지만 국립근대미술관은 마무리 공사가 필요했고,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공사가 중단되어 1939년으로 예정되었던 개관식이 1942년까지 연기되었다. 1942년의 개관도 부분적인 것이었고, 군정이 실시되었던 점령 지역의 창고에서 가져올 수 있었던 작품은 전체의 3분의 1 정도였다. 1922년에 즈 드 폼 국립미술관으로 이동한 외국인 화가의 작품도, 전시 중에는 샹보르 성으로 옮겨 보관했기 때문에 전시할 수 없었다.[17]
2. 3. 퐁피두 센터 시대 (1977-현재)
1974년, 국립근대미술관 소장품 중 야수파(1905년) 이후의 작품을 퐁피두 센터로 옮겼다. 1977년 퐁피두 센터가 개관하면서 국립근대미술관도 현재의 위치에 자리 잡았다.[16][18] 1870년 이전에 태어난 후기 인상주의 화가의 작품은 오르세 미술관에 수장되었다.[16][18]3. 컬렉션
국립근대미술관(파리)은 회화, 조각, 그래픽 아트, 사진, 실험 영화, 비디오 아트, 뉴미디어, 산업 디자인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특히 20세기 초 야수파, 입체주의, 초현실주의 등 아방가르드 미술과 현대 미술 컬렉션이 방대하다. 한국 작가로는 백남준, 이응로 등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1947년 이후, 룩셈부르크 미술관 소장 작품에 작가, 상속자, 수집가들의 기증이 더해져 대규모 컬렉션이 형성되었다.[19] 1974년 소장품 중 야수파(1905년) 이후의 작품을 퐁피두 센터로 옮겼으며, 1977년 퐁피두 센터가 개관했다. 1870년 이전에 태어난 후기 인상주의 화가의 작품은 팔레 드 도쿄에 남아 있었지만, 1986년에 오르세 미술관으로 옮겨졌다.[16][18]
3. 1. 주요 소장 작가 및 작품
국립근대미술관(파리)은 야수파, 표현주의, 입체주의, 다다, 추상 미술, 초현실주의 등 다양한 양식의 근현대 미술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1947년 이후, 룩셈부르크 미술관 소장품에 작가, 상속자, 수집가들의 기증이 더해져 대규모 컬렉션이 형성되었다.[19]미술관은 조형 예술뿐만 아니라 그래픽 아트, 사진, 실험 영화, 비디오 아트, 뉴미디어, 산업 디자인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수집하며, 내부에는 작은 전시실이 많아 1905년 이후의 화가 또는 유파별로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19]
주요 소장 작가 및 작품은 다음과 같다:
- 앙리 마티스, 앙드레 드랭, 모리스 드 블라맹크, 라울 뒤피, 알베르 마르케, 앙리 루소, 폴 시냐크, 조르주 브라크, 파블로 피카소, 장 메젱제, 알베르 글레즈, 페르낭 레제, 후안 그리스, 프리다 칼로, 에른스트 루트비히 키르히너, 아우구스트 마케, 알렉세이 폰 야블렌스키, 에밀 놀데, 오스카 코코슈카, 오토 딕스, 게오르그 그로스, 쿠르트 슈비터스, 마르셀 뒤샹, 프란시스 피카비아, 카를로 카라, 움베르토 보초니, 자코모 발라, 지노 세베리니, 마르크 샤갈, 나탈리아 곤차로바, 미하일 라리오노프, 알렉산드르 로드첸코, 프란티셰크 쿠프카, 피에트 몬드리안, 테오 반 되스부르흐, 파울 클레, 바실리 칸딘스키, 카지미르 말레비치, 자크 빌롱, 로베르 들로네, 소니아 들로네, 조르주 루오, 발튀스, 막스 베크만, 콘스탄틴 브랑쿠시, 알렉산더 칼더, 차임 수틴,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키스 반 동겐, 장 아르프, 조르조 데 키리코, 앙드레 브르통, 르네 마그리트, 막스 에른스트, 호안 미로, 맨 레이, 알베르토 자코메티, 살바도르 달리, 니콜라 드 스탈, 앙드레 마송, 이브 탕기, 장 팅겔리, 시몽 헝타이, 이브 클랭, 잭슨 폴록, 마크 로스코, 바넷 뉴먼, 빌렘 데 쿠닝, 프랜시스 베이컨
- 팝 아트: 앤디 워홀, 리처드 해밀턴, 로버트 라우센버그, 로이 리히텐슈타인, 댄 플래빈, 에두아르도 아로요, 댄 그레이엄, 다니엘 뷔렌, 조지 브레히트, 아르망 페르난데스, 세자르 발다치니, 빌 비올라, 아니쉬 카푸어, 빔 델보예, 니키 드 생 팔, 야코브 아감, 빅토르 바자렐리, 존 케이지, 신디 셔먼, 디터 로트, 요제프 보이스, 부르한 도간차이, 장 뒤뷔페, 백남준, 볼프 포스텔, 길버트 & 조지, 데이비드 호크니, 루이즈 부르주아, 아트 & 랭귀지
건축 및 디자인 분야에서는 필립 스탁, 장 누벨, 도미니크 페로 등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3. 1. 1. 근대 미술 (1905년 이후)
야수파, 표현주의, 입체주의, 다다, 추상 미술, 초현실주의 등 다양한 양식의 현대 미술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주요 작가 및 작품은 다음과 같다.- '''야수파''': 앙리 마티스 (『창가의 바이올리니스트』, 『루마니아 블라우스』, 『붉은 실내』 등), 모리스 드 블라맹크 (『붉은 나무가 있는 풍경』, 『자화상』), 조르주 브라크 (『기타를 든 여인』, 『기타를 든 남자』, 『살롱』 등), 라울 뒤피 (『생타드레스 해변』, 『트루빌 포스터』, 『깃발로 장식된 거리』 등), 조르주 루오 (『거울 앞의 여인』, 『상처 입은 광대』, 『깊은 연못에서』 등), 앙드레 드랭 (『콜리우르의 풍경』, 『두 척의 작은 배』, 『홍차 컵』), 알베르 마르케 (『망강의 아틀리에에서 그리는 마티스』, 『로테르담』, 『강변』 등)
- '''입체주의''': 파블로 피카소 (『발레 "파라드"의 막』, 『독서하는 부인』, 『아를랭 (아를랭 분장을 한 화가 살바도르)』 등), 페르낭 레제 (『결혼』, 『독서』, 『두 마리의 앵무새가 있는 구성』 등), 후안 그리스 (『아침 식사』, 『기타』), 조르주 브라크, 알베르 글레즈, 장 메탱제
- '''표현주의・신즉물주의''': 에른스트 루트비히 키르히너, 막스 페히슈타인, 아우구스트 마케, 알렉세이 폰 야블렌스키, 에밀 놀데, 오스카 코코슈카, 오토 딕스 (『브뤼셀 거울 방의 추억』, 『저널리스트 실비아 폰 하르덴의 초상』), 게오르그 그로스
- '''다다이즘・바우하우스''': 마르셀 뒤샹 (『샘』), 파울 클레 (『정원 속의 화살』, 『리드미컬한 것』, 『항구의 범선』), 프란시스 피카비아 (『르 뤼실레』, 『스핑크스』, 『카코딜산염의 눈』 등)
- '''추상 회화''': 바실리 칸딘스키 (『생-클루 공원, 희미한 가로수길』, 『하늘의 파란색』, 『검은 호가 있는 그림』 등), 로베르 들로네 (『시인 필립 수포』, 『약동, 살아있는 기쁨』, 『도시 No. 2』), 피에트 몬드리안 (『뉴욕 시티 I』, 『빨강, 파랑, 흰색의 구성 II』), 콘스탄틴 브랑쿠시
- '''파리파''': 마르크 샤갈 (『러시아와 당나귀와 기타』, 『잔을 드는 두 초상』, 『흰 깃의 벨라』),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붉은 얼굴』, 『모이즈 키슬링』), 샤임 수틴 (『종업원』, 『칠면조가 있는 정물』), 후지타 츠구하루 (『카페』, 『우정』, 『꽃이 핀 강변, 노트르담』)
- '''초현실주의''': 조르조 데 키리코 (『어느 오후의 멜랑콜리』, 『기욤 아폴리네르의 초상』, 『두 인물』), 살바도르 달리 (『보이지 않는 사자, 말, 잠자는 여자』, 『부분 환영, 피아노에 나타난 레닌의 여섯 초상』), 르네 마그리트 (『여름의 계단』, 『두 개의 비밀』, 『여행의 추억』 등), 막스 에른스트 (『해부 - 신부』, 『위뷔 황제』, 『키마이라』 등), 호안 미로 (『청색 II』, 『시에스타』, 『그림』 등), 만 레이 (『앵그르의 바이올린』), 이브 탕기 (『여름 4시, 희망…』, 『바위 창문이 있는 궁전』)
- '''코브라''': 아스게르 요른, 카렐 아펠
- '''구타이 미술 협회''': 시라가 가즈오 (『지연성혼세마왕』), 무라카미 사부로, 다나카 아츠코, 시마모토 쇼조 (『이 위를 걸어주세요』), 도모토 나오지로 (『회화』(1960), 『회화』(1962)), 이마이 토시미츠
- '''키네틱 아트''': 빅토르 바자렐리, 야코브 아감
3. 1. 2. 현대 미술 (1960년 이후)
팝 아트는 리처드 해밀턴, 앤디 워홀(주요 소장 작품 '10명의 리즈'), 로버트 라우센버그, 로이 리히텐슈타인(소장 작품 '4개의 패널이 있는 모듈 그림', '핫도그') 등의 작품으로 대표된다.[19]누보 레알리슴은 이브 클랭(주요 소장 작품 '청색 시대의 인체 측정', '위대한 청색의 식인 행위'), 장 팅겔리, 니키 드 생팔(소장 작품 '신부', '십자가형', '사격'), 아르망, 세자르 발다치니 등의 작품으로 대표된다.[19]
플럭서스는 존 케이지, 요제프 보이스, 백남준, 오노 요코 등의 작품으로 대표된다.[19]
미니멀리즘은 댄 플래빈, 도널드 저드, 솔 르윗 등의 작품으로 대표된다.[19]
개념 미술은 조셉 코수스, 로렌스 위너, 마르셀 브로타에르스 등의 작품으로 대표된다.[19]
보디 아트는 마리나 아브라모비치 등의 작품으로 대표된다.[19]
신표현주의는 게오르그 바젤리츠, 안젤름 키퍼 등의 작품으로 대표된다.[19][21]
3. 1. 3. 건축 및 디자인
1992년, 1969년에 설립된 산업 디자인에 관한 프랑스 문화 기관인 "산업 창조 센터(CCI)"와 국립 근대 미술관의 통합으로 인해, 다음 디자이너들의 컬렉션이 국립 근대 미술관에 소장되었다.[19]디자이너 |
---|
오토 바그너 |
페터 베렌스 |
헤리트 리트벨트 |
마르셀 브로이어 |
르 코르뷔지에 |
샤를로트 페리앙 |
루트비히 미스 반 데어 로에 |
장 프루베 |
레이 & 찰스 임스 |
에로 사리넨 |
야나기 소리 ([https://www.centrepompidou.fr/cpv/ressource.action?param.id=FR_R-fe19880624f052e296d5ca10388db1¶m.idSource=FR_P-fe19880624f052e296d5ca10388db1 바타플라이 스툴]) |
이사무 노구치 |
필립 스탁 |
장 누벨 |
도미니크 페로 |
4. 부속 시설
국립근대미술관에는 콘스탄틴 브랑쿠시가 기증한 아틀리에와 20세기 예술 전문 도서관인 칸딘스키 도서관이 있다.
4. 1. 아틀리에 브랑쿠시
1956년, 조각가 콘스탄틴 브랑쿠시(1876-1957)는 사후 자신의 아틀리에 전체(미완성 작품, 밑그림, 가구, 책장, 레코드 캐비닛, 사진 등)를 재건축한다는 조건으로 국가에 기증했다. 렌조 피아노가 재건축을 담당하여 1997년에 완성되었다.[22]4. 2. 칸딘스키 도서관
2002년에 완공된 칸딘스키 도서관은 20~21세기 예술 전문 도서관으로, 특히 시각 예술 및 관련 시각 매체에 관한 자료(서지, 고문서, 사진, 시청각 자료)를 갖추고 있다. 또한 20세기 예술가에 관한 서적, 사문서, 원고 등 미술품 수집가나 예술가 본인이 기증한 풍부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칸딘스키 도서관은 연구자에 한하여 이용 가능하다.5. 한국과의 관계
1997년 9월 20일부터 12월 14일까지 도쿄도 현대 미술관에서 ''퐁피두 컬렉션 전''이 개최되었다.[25] 퐁피두 센터가 개관 20주년을 맞아 개수 공사에 들어가면서, 국립근대미술관의 대표작들을 전시하였다.
2007년 2월 7일부터 5월 7일까지는 국립 신미술관에서 ''이방인(에트랑제)들의 파리 1900-2005''가 개최되었다.[26][27] 파리에서 활동한 외국인 예술가들의 작품을 전시하였다.
2018년, 프랑스에서 자포니즘 2018이 개최되었고, 퐁피두 센터에서는 이케다 료지전 (6월 15일 - 8월 27일)과 안도 다다오전 (10월 10일 - 12월 31일)이 열렸다.
국립근대미술관 (파리)는 백남준, 이응로 등 한국 작가들의 작품을 다수 소장하고 있으며, 한국 미술계와의 교류도 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역대 관장
재임 기간 | 이름 |
---|---|
2021년 – 현재 | 자비에 레이[6] |
2013년 – 2021년 | 베르나르 블리스텐 |
2000년 – 2013년 | 알프레드 파크망 |
1997년 – 2000년 | 베르너 슈피스 |
1992년 – 1997년 | 제르맹 비아트 |
1991년 – 1992년 | 도미니크 보조 |
1987년 – 1991년 | 장 위베르 마르탱 |
1986년 – 1987년 | 베르나르 세이송 |
1981년 – 1986년 | 도미니크 보조 |
1973년 – 1981년 | 폰투스 훌텐 |
1968년 – 1973년 | 장 르메르 |
1965년 – 1968년 | 베르나르 도리발 |
1945년 – 1965년 | 장 카수 |
1941년 – 1944년 | 피에르 라두에 |
1940년 | 장 카수 |
참조
[1]
간행물
The Art Newspaper list of most visited art museums in 2021
The Art Newspaper
2022-03-28
[2]
웹사이트
Atelier Brancusi, Centre Pompidou
http://www.centrepom[...]
[3]
웹사이트
Collector's heirs ask museum to return Nazi-looted painting
https://www.jta.org/[...]
2023-11-07
[4]
웹사이트
Gifts From Hitler? Pompidou Admits Harboring Three Nazi-Looted Paintings Since 1973
http://artinfo.com/n[...]
2023-11-07
[5]
웹사이트
France returns Pechstein painting looted in occupied Paris to heirs of Hugo Simon, a banker and leading figure in German cultural life
https://www.theartne[...]
2023-11-07
[6]
뉴스
French culture ministry names 39-year-old Xavier Rey director of Centre Pompidou’s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
https://www.theartne[...]
The Art Newspaper
2021-07-28
[7]
웹사이트
L'histoire des collections – Centre Pompidou
https://www.centrepo[...]
2018-08-22
[8]
뉴스
Après Bruxelles, le Centre Pompidou vise Shanghai en 2019
https://www.lejdd.fr[...]
2018-08-21
[9]
문서
ただし、ポンピドゥー・センターで開催される企画展の内容・規模に応じて5階のみを常設展とする場合もあり、展示作品も随時変更される。
[10]
뉴스
CCI Centre de Création Industrielle {{!}} Centre Pompidou
https://www.centrepo[...]
2018-08-21
[11]
뉴스
Constantin Brancusi {{!}} Centre Pompidou
https://www.centrepo[...]
2018-08-21
[12]
웹사이트
Histoire {{!}} Musee du Luxembourg
https://museeduluxem[...]
2018-08-21
[13]
웹사이트
Musée d'Orsay: Peinture
http://www.musee-ors[...]
2018-08-21
[14]
웹사이트
Les musées du Luxembourg - Sénat
http://www.senat.fr/[...]
2018-08-21
[15]
웹사이트
http://theses.enc.sorbonne.fr/2004/teneze
http://theses.enc.so[...]
2018-08-21
[16]
웹사이트
Musée national d'art moderne-Service des manifestations.
http://archivesetdoc[...]
2018-08-21
[17]
웹사이트
フランコフォニア / ルーブルの記憶について (喜多崎 親)
http://francofonia.j[...]
当時は同じように、ルーヴル美術館の作品も第二次世界大戦が始まる少し前から地方に移動した
2018-08-21
[18]
뉴스
Histoire(s) d'une collection {{!}} Centre Pompidou
https://www.centrepo[...]
2018-08-21
[19]
뉴스
Musée - Niveau 5 {{!}} Centre Pompidou
https://www.centrepo[...]
2018-08-21
[20]
웹사이트
ソッツ・アート
http://artscape.jp/d[...]
ソッツ・アート:1970年代以降、旧ソ連で展開された美術運動。72年頃、モスクワで大衆文化のイメージを流用した作品を制作していたコマール&メラミッドの二人が、自作の傾向をこう呼んだことに端を発する。当時の旧ソ連では、建国以来の社会主義リアリズムが硬直化していたため、それに反発した多くの若手アーティストが、以後“東側の「ポップアート」”とでも呼ぶべきこの運動に新たな表現の可能性を託すようになった。もちろん、政府はこの運動を認めず反体制的というレッテルを貼ったため、ソッツ・アートの展覧会は国内では開催できず、多くの作家は国外に移住、代表的作家であるE・ブラトフやI・カバコフの作品がそのパロディの質を高く評価されたのは西側においてであった。このように、「ソッツ・アート」は一種の反権力装置として機能していたので、80年代後半以降、ゴルバチョフの開放政策によって仮想敵を失い失速してしまったのは、当然といえば当然の趨勢と言えよう。なお、『美術手帖 特集=モスクワ1990』(美術出版社、1990年6月号)は、「ソッツ・アート」を意欲的に紹介した好企画.[執筆者:暮沢剛巳]
2018-08-22
[21]
웹사이트
フィギュラシオン・リーブル
http://artscape.jp/a[...]
1980年代にアメリカやヨーロッパで同時多発的に生まれた具象絵画運動のうち、フランスにおいてエルヴェ・ペルドリオルを主唱者として興ったムーヴメント。主要メンバーはロバート・コンバス、エルヴェ・ディ・ローザ、レミ・ブランシャー、フランソワ・ボワスロンら。彼らは81年に批評家ベルナール・ラマルシュ=ヴァデルのロフトで行なわれた「Finir en beauté」展で知り合う。翌年にはニューヨークで展示をし、キース・ヘリングやケニー・シャーフなどアメリカのバッド・ペインティングに代表されるアーティストと交流を深める。84年にはパリ市近代美術館で「5/5 Figuration Libre, France-USA」展を開催、ジャン=ミシェル・バスキアやヘリングらを招聘している。イタリアのトランス・アヴァンギャルディアやドイツのネオ・エクスプレッショニズムに比べ、フィギュラシオン・リーブルはより大衆芸術にインスパイアされていると指摘される。バンド・デシネやSF、子どものデッサン、ロック・ミュージック、映画、写真、雑誌、郊外の若者文化などに影響を受けた、激しい、または単純なグラフィックとはっきりとした色彩が特徴的である。パリのメトロの駅構内に巨大な絵画を直接描いたり、クラブの壁をマンガのようなコマ割りや激しい筆致のキャラクターで埋め尽くしたりと、グラフィティの要素も強い。モンスターやロボット、アフリカの想像上の木やサーカス、広告、工業製品などをモチーフにしたものなど、ハイカルチャーとサブカルチャー、西洋文化と非西洋文化を自由に横断し、価値のヒエラルキーから逸脱している。フィギュラシオン・リーブル全盛の84年には、ポンピドゥー・センター近くにディ・ローザがブティックをオープンし、彼らの作品のキャラクターを商品化したフィギュアやグッズを販売するなど、アートがユースカルチャーの一部として流行した。[著者: 栗栖智美]
2018-08-21
[22]
웹사이트
INA - Jalons - L'atelier Brancusi à Beaubourg, un autre regard sur la création - Ina.fr
https://fresques.ina[...]
2018-08-21
[23]
웹사이트
Portail général
http://bibliothequek[...]
2018-08-21
[24]
웹사이트
La Bibliothèque Kandinsky – Centre Pompidou
https://www.centrepo[...]
2018-08-21
[25]
웹사이트
ポンピドー・コレクション展
http://www.mot-art-m[...]
2018-08-24
[26]
뉴스
異邦人(エトランジェ)たちのパリ 1900-2005 {{!}} 国立新美術館
https://www.museum.o[...]
2018-08-24
[27]
웹사이트
国立新美術館 平成18年度活動報告
https://www.nact.jp/[...]
国立新美術館
2020-03-03
[28]
간행물
Visitor Figures 2013: Museum and exhibition attendance numbers compiled and analysed
http://www.museus.go[...]
디 아트 뉴스페이퍼
2014-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