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력은 타인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으로, 사회, 정치,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된다. 권력 연구는 니콜로 마키아벨리와 데이비드 흄의 고전적인 연구에서 시작되었으며, 막스 베버는 권력을 사회 관계 속에서 저항을 거슬러 자신의 의지를 강요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정의했다. 스티븐 룩스는 권력의 세 가지 차원을 제시했으며, 미셸 푸코는 권력을 복합적이고 전략적인 현상으로 보았다. 권력 전략은 소프트 파워와 하드 파워, 합리성과 비합리성, 일방적과 쌍방적 전략으로 분류되며, 권력의 균형과 심리학적 연구가 이루어진다. 권력의 다섯 가지 기초(합법적 권력, 전문적 권력, 준거적 권력, 보상적 권력, 강압적 권력)와 마르크스주의, 푸코, 아렌트의 권력 이론 등이 존재하며, 대한민국 헌법은 삼권 분립을 통해 권력 균형을 이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권력 - 권력 의지
권력 의지는 니체 철학의 핵심 개념으로, 힘을 추구하고 자기 극복을 통해 성장하려는 의지를 의미하며, 생명체의 본질적 욕구 설명, 기존 도덕과 가치관 비판, 초인 사상 제시 등에 사용되었고, 후대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으나 왜곡 사례도 존재하며, 자기 극복과 창조적 힘으로 발전하여 영원회귀 사상과도 연결된다. - 권력 - 생명정치
생명정치는 국가 권력이 개인의 삶과 신체에 대한 통제를 행사하는 방식을 탐구하는 개념이며, 미셸 푸코는 이를 인구의 생물학적 측면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정의하고, 현대 사회에서 생명공학, 팬데믹, 정보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된다. - 정치철학 개념 - 생태주의
생태주의는 환경 문제를 사회, 경제, 정치적 문제와 연관지어 사회 전반의 변화를 통해 해결하려는 사상으로, 생태 낭만주의와 생태 합리주의를 포함한 다양한 분파를 가지며 자본주의, 기술, 성장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시하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 재정립을 추구한다. - 정치철학 개념 - 불의
불의는 공정함이나 도덕적 올바름이 결여된 상태를 의미하며, 정의의 반대 개념으로 여겨지지만, 정의와 독립적인 속성을 지닌다는 견해도 있고, 인간의 이기심, 결함 있는 의사 결정, 사회 구조적 문제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대중문화 작품에서도 중요한 주제로 다뤄진다. - 다수자-소수자 관계 - 사회화
사회화는 개인이 사회 구성원으로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가치관 등을 학습하고 내면화하는 과정으로,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되며, 콜버그, 에릭슨, 미드 등의 이론과 사회적 사전 프로그래밍 가설로 설명되고, 초기 사회화, 이차 사회화, 성별 사회화, 정치 사회화 등 다양한 유형과 계획된 사회화, 자연적 사회화, 긍정적 사회화, 부정적 사회화 등으로 구분되며, 한국 사회는 급격한 사회 변화와 함께 학교 문화, 젠더 사회화 등 새로운 과제를 맞이하고 있다. - 다수자-소수자 관계 - 민족
민족은 언어, 종교, 문화, 역사적 경험 등 특정 문화적 특징을 공유하며 다른 집단과 구별되는 사회 집단으로, 본질주의적, 구성주의적 관점으로 설명될 수 있고, 민족주의, 민족자결 등 다양한 사회 현상과 관련되며, 모어, 생활 양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 권력 | |
|---|---|
| 사회 및 정치적 권력 | |
![]() | |
| 정의 | 다른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 |
| 권력의 유형 | 사회적 권력 정치적 권력 |
| 권력의 원천 | 지위 부 지식 힘 카리스마 영향력 |
| 사회적 권력 | |
| 정치적 권력 | |
| 권력의 행사 | |
| 권력과 관련된 개념 | |
| 권력의 이론 | |
| 추가 이미지 | |
2. 권력 연구사
권력 연구는 니콜로 마키아벨리, 데이비드 흄 등의 고전적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15세기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통치에 필요한 요소로 군사력과 법률을 거론했으며, 독립 국가를 통치하기 위한 상비군 설치의 중요성을 주장했다. 데이비드 흄은 군사적 정복, 식민지화 등 모든 정치 변동에서 폭력이 발견되는 것을 지적하고, 권력 연구를 통해 기존의 도덕적 정치이론에 비교되는 실증주의적 정치이론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막스 베버는 권력을 사회 관계 속에서 저항을 무릅쓰고 자신의 의지를 강요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정의했다. 이 개념은 시카고 학파의 찰스 메리엄, 해럴드 라스웰, 국제정치학의 한스 모겐소 등의 연구에 영향을 주었다. 해럴드 라스웰은 권력을 사회의 다양한 가치와 연결시켜 파악하고, 행위의 결과 중대한 가치의 박탈이 예상되는 관계로 정의하여, 권력이 제도의 외부나 비공식적인 영역에서도 나타날 수 있음을 밝혔다.
스티븐 룩스는 ''Power: A Radical View''에서 권력의 세 가지 차원을 제시하며 포괄적인 설명을 제공했고,[99] 미셸 푸코는 권력을 "주어진 사회적 환경 속에서 일어나는 복합적이고 전략적인 현상"으로 보았다.[100]
2. 1. 마키아벨리와 흄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통치에 군사력과 법률이 필수적이라고 보았으며, 특히 상비군 설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마키아벨리의 현실주의 정치사상은 권력 연구의 이론적 기초가 되었다.[99] 데이비드 흄은 모든 정치 변동에서 폭력이 발견됨을 지적하고, 권력 연구를 통해 실증주의적 정치 이론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흄은 논문 〈정치를 과학의 경지로 높이기 위해서〉(1742년)에서 권력이 표현되는 통치 형태에 주목하고, 인간의 성격과 기질을 배제하면서 보다 엄밀한 과학적 방법으로 정치를 연구해야 한다고 보았다.[99]2. 2. 막스 베버
막스 베버는 권력을 사회 관계 속에서 저항을 무릅쓰고 자신의 의지를 강요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정의했다.[98] 이 개념은 시카고 학파의 찰스 메리엄, 해럴드 라스웰, 국제정치학의 한스 모겐소 등의 후대 연구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98]2. 3. 라스웰과 시카고 학파
해럴드 라스웰은 권력을 사회의 다양한 가치와 연결시켜 파악했으며, 행위의 결과로 중대한 가치 박탈이 예상되는 관계로 정의했다. 그는 권력이 제도의 외부, 비공식적인 영역에서도 나타날 수 있음을 밝혔다.2. 4. 스티븐 룩스와 미셸 푸코
스티븐 룩스(Steven Lukes)는 ''Power: A Radical View''에서 권력의 세 가지 차원(결정, 의제 설정, 사상 통제)을 제시하여 권력에 대한 포괄적인 설명을 제공했다.[99] 룩스는 권력이 인간 행동을 제한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지만, 동시에 행동을 가능하게도 한다고 보았다. 그는 20세기 초반에 이론화된 제한된 권력 양식을 비판하며, 그람시와 알튀세르의 통찰력을 내장한 '비판적'인 세 번째 차원을 추가했다.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Michel Foucault)는 권력을 "주어진 사회적 환경 속에서 일어나는 복합적이고 전략적인 현상"으로 정의했다.[100] 푸코는 권력이 구조화되어 제약과 가능성을 동시에 포함한다고 보았다. 그는 정체성을 포함한 인간 정체성의 모든 측면이 권력 관계의 산물이며, 권력은 대리인의 무지에 의존한다고 주장했다. 푸코는 생물학적 권력의 출현과 발견, 인구의 생물학적, 정치적 기술이 이 사실을 강조한다고 보았다. 그는 권력이 단일한 사람, 그룹, 또는 장치가 아니라, 가능한 조용하고 효율적으로 대리인이 필요로 하는 것을 보장하는 장치를 통해 지급된다고 설명했다. 푸코는 정치경제학자 장 밥티스트 앙투안 오제 드 몽티옹(Jean Baptiste Antoine Auget de Montyon)의 세평에 반해, 그의 비서 장 밥티스트 모오(Jean-Baptise Moheau)가 드러내고 생물학자 장 밥티스트 라마르크(Jean-Baptiste Lamarck)와 계속적으로 관련 있는 복수의 형용사와 환경 안의 물, 공기, 빛과 같은 환경 안의 종을 강조함으로써 공적인 환경과 자연환경이라는 사회적, 정치적인 상호작용의 두 형태와 인구의 기능과 관련이 있다고 인용하였다. 푸코에 따르면 통치권, 생물학적 종의 정치적, 사회적 관계 안의 영토와 징계 공간에서 환경은 이전의 관념과 근본적으로 다른 권력을 위한 표적의 중재로 나타난다.[117]
3. 권력 전략
사람들은 일상에서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주기 위해 다양한 권력 전략을 사용한다. 이러한 전략에는 괴롭힘, 협력, 불평, 비판, 요구, 회피, 영감주기, 조종, 협상, 사회화, 탄원 등이 있다.[101][102]
게임 이론은 왈라스식 합리적 선택 이론을 바탕으로 권력 관계를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합리적 선택 이론에서 인간은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가능한 행동 중 하나를 선택하는 '행위자'로 간주된다. '권력 있는' 행위자는 다른 행위자의 선택을 제한하거나, 행동 비용을 변경하거나, 특정 행동의 결과 가능성을 바꾸거나, 믿음을 변화시킬 수 있다.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John Kenneth Galbraith)는 저서 『권력의 해부(The Anatomy of Power)』(1983)에서 권력의 유형을 '응보적'(징벌적), '보상적'(자원 사용), '조건적'(설득)으로 요약했다.[19] 그는 권력의 원천을 '개인적'(개인), '물질적'(자원), '조직적'(조직 구조)으로 제시했다.[20] 정치적 행위자들은 목표 달성을 위해 공개적 공격, 협력, 조작 등 다양한 전술을 사용한다.[47]
3. 1. 소프트 파워와 하드 파워
소프트 파워는 영향을 미치는 개인과 그 대상들과의 관계를 이용하는 간접적이고 대인관계적인 전략이다. (예: 협력, 사회화)[101][102] 반대로 하드 파워는 가혹하고 강압적이며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결과에 의존한다. 그러나, 많은 상황에서 사회적인 배제에 대한 두려움이 신체적인 처벌보다 훨씬 강한 동기부여책이 되기 때문에, 하드 파워가 소프트 파워보다 더 강력한 것은 아니다.[101][102]3. 2. 합리성과 비합리성
합리성 전략은 추론, 논리, 그리고 타당한 판단을 이용하는 반면, 비합리성 전략은 감정이나 허위 정보에 의존한다.[101][102] 합리성 전략의 예로는 협상과 설득이 있으며, 비합리성 전략의 예로는 회피와 비방이 있다.3. 3. 일방적과 쌍방적
협상과 협력과 같은 쌍방적 전략은 영향을 끼치는 사람과 그 대상 간의 상호성을 포함한다.[102] 반대로, 일방적 전략은 대상이 되는 사람들의 아무런 참여 없이 이루어진다.[102] 일방적 전략에는 관계 단절과 ''기정사실화''가 있다.[49]3. 4. 권력 전략 선택
사람들은 상황, 대상, 성격 등에 따라 다른 권력 전략을 선택한다. 일상에서 흔히 쓰이는 권력 전략에는 괴롭힘, 협력, 불평, 비판, 요구, 회피, 영감주기, 조종, 협상, 사회화, 탄원 등이 있다.[101][102] 이러한 전략들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쌍방적 전략: 협력이나 협상처럼 영향을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이 서로 상호작용한다.
- 일방적 전략: 대상이 되는 사람의 참여 없이 이루어진다.
사람들은 상대방에 따라 다른 전략을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대인 관계를 중시하는 사람들은 부드럽고 합리적인 전략을 선호한다.[101] 반면,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마키아벨리적인 사람들은 비합리적인 전략을 쓰기도 한다. 외향적인 사람은 내향적인 사람보다 다양한 권력 전략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103] 또한, 남성은 일방적이고 직접적인 전략을, 여성은 쌍방적이고 간접적인 전략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101] 사람들은 집단의 상황이나 상대방에 따라 전략을 바꾸기도 하며, 저항에 부딪히면 부드러운 전략에서 강압적인 전략으로 바꾸는 경향이 있다.[104][105]
권력 전술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차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48][49]
- 소프트 및 하드: 소프트 전술은 관계를 이용하며, 더 간접적이고 대인적이다(예: 협력, 사교). 하드 전술은 가혹하고, 강압적이며, 직접적이다. 하지만 하드 전술이 항상 더 강력한 것은 아니다.
- 합리적 및 비합리적: 합리적 전술은 추론, 논리를 이용하는 반면(예: 협상, 설득), 비합리적 전술은 감정이나 허위 정보에 의존한다(예: 회피, 깎아내리기).
- 일방적 및 양방적: 양방적 전술은 상호성을 포함하지만(예: 협력, 협상), 일방적 전술은 대상의 참여 없이 이루어진다(예: 관계 단절, ''기정사실화'').
사람들은 권력 전술 사용에 있어 다양한 경향을 보인다. 대인 지향적인 사람들은 소프트하고 합리적인 전술을 선호한다.[48] 외향적인 사람들은 내향적인 사람들보다 더 다양한 권력 전술을 사용한다.[50] 사람들은 집단 상황과 상대방에 따라 다른 전술을 선택하며, 저항에 직면하면 소프트 전술에서 하드 전술로 전환하기도 한다.[51][52]
4. 권력의 균형
권력은 상호적이고 관계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사회학자들은 관계 당사자 간의 힘의 균형에 주목한다.[53][54] 모든 관계에서 모든 당사자는 어떠한 권력을 가지며, 사회학적 권력 검사는 상대의 강점을 발견하고 묘사하는 것을 고려한다. 사회학자들은 보통 대상자들이 권력보다 제한적인 측면에서 서로 동등하거나 비슷한 위치에 있을 때 관계를 분석한다. 따라서 '권력'은 일방적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그렇지 않다면 '권력'의 모든 측면은 관계에서 설명될 수 없으며 의미를 잃을 것이다. 권력이 타고난 것이 아니며 다른 사람에게 부여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권력을 얻기 위해 우리는 권력의 현재 모습을 소유하거나 조절한다.[106]
5. 심리학적 연구
권력은 감정이입 격차와 관련되며, 권력을 가진 사람과 가지지 않은 사람은 정신적인 결과에 영향을 받는다. 권력 갈등을 탐구하기 위한 연구는 1968년에도 이루어졌다.[108]
D. 켈트너(D. Keltner)와 그의 동료들이 개발한[64] 접근/억제 이론(approach/inhibition theory)은 권력을 가지고 권력을 사용하는 것이 개인의 심리적 상태를 변화시킨다고 가정한다. 이 이론은 권력이 접근 경향을 증진시키는 반면, 권력 감소는 억제 경향을 증진시킨다고 주장한다. 접근/억제 이론에 따르면 권력은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친다.
- 행동 촉구: 사람들에게 행동을 취하도록 한다.
- 환경 변화 민첩성: 집단 및 환경 변화에 개인이 더욱 민첩하게 반응하게 한다.[65]
- 적극성: 목소리를 내고, 먼저 행동하고, 협상을 주도할 가능성이 높다.[66]
- 목표 집중: 주어진 상황에 적절한 목표에 더 집중하고, 직장 환경에서 작업 관련 활동을 더 많이 계획하는 경향이 있다.[67]
- 긍정적 감정: 행복과 만족감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을 더 많이 경험하고, 권력이 낮은 개인보다 더 많이 미소짓는다.[68]
- 미래 낙관: 미래에 대한 낙관론과 관련이 있는데, 그 이유는 더 권력 있는 개인들이 환경의 더 긍정적인 측면에 주의를 집중하기 때문이다.[69]
- 실행 기능 향상: 주의 집중, 의사결정, 계획 및 목표 선택을 조정하는 내부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실행적 인지 기능을 더 빠르고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경향이 있다.[70]
- 위험 감수: 위험하거나 부적절하거나 비윤리적인 결정을 내리고 종종 자신의 경계를 넘는 경향이 있다.[71][72]
- 부정적 정서 유발: 특히 집단 내 갈등이 있을 때, 자신의 부하 직원들에게 부정적인 정서적 반응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73]
- 자기 평가 및 타인 평가 왜곡: 개인이 권력을 얻으면 자기 평가는 더 긍정적으로 되는 반면, 다른 사람에 대한 평가는 더 부정적으로 된다.[74]
- 사회적 배려심 약화: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75]
- 고정관념: 부하 직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데 시간을 덜 쓰고 종종 그들을 고정관념적인 방식으로 인식한다.[76]
- 강압적 전술: 더 강압적인 전술을 사용하고, 자신과 부하 직원 간의 사회적 거리를 늘리고, 권력이 없는 개인은 신뢰할 수 없다고 믿으며, 권력이 없는 개인의 업무와 능력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77]
5. 1. 감정이입 격차
“권력은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정의된다.”[107] 권력을 얻는 주요 동기 중 하나는 특권, 영광, 명성을 얻는 것이다. 권력은 감정이입의 격차와 관련되는데, 이는 상호 관계를 제한하고 권력 차이를 비교하기 때문이다.[108]최근 실험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권력이 클수록 타인의 관점을 취하는 정도가 낮아져 공감 능력이 낮아진다.[42][43] 애덤 갈린스키(Adam Galinsky) 등의 연구에 따르면, 권력이 없는 사람들은 이마에 E를 그릴 때 다른 사람들이 알아볼 수 있도록 그리는 비율이 높았다.[42][43] 권력 있는 사람들은 불쾌한 선풍기를 끄는 등 행동에 나설 가능성이 더 높고, 방관자 효과와 반대로 곤경에 처한 사람을 돕는 경우가 더 많았다.[44]
대학생 대상 연구에서는 '권력' 관련 단어를 통해 권력을 느끼도록 유도된 사람들이 외부 압력에 덜 취약하고, 정직한 피드백을 제공하며, 창의성이 높았다.[45]
5. 2. 과거의 연구
초기 연구는 권력이 증가하면 보상과 관련되어 접근을 용이하게 만드는 반면, 권력이 감소하면 제약, 위협, 처벌과 연관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08] 권력은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오고 협상 전략을 발달시키게 한다.후기 연구는 권력 차이가 전략적 고려사항을 야기한다고 제시한다.[108] 여기서 전략적인 것이란 누군가가 결정자를 반대하거나 상처를 주려고 할 때 방어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더 많은 권력을 가진 사람과 부딪히는 것은 전략적인 고려사항을 야기시키는 반면, 덜 권력적인 사람과 부딪히는 것은 사회적인 책임을 야기한다고 결론지어졌다.[108]
5. 3. 흥정 게임
흥정 게임은 2003년과 2004년에 연구되었다. 이 연구들은 주어진 상황에서 다른 권력 안에서 이루어진 행위를 비교했다.[108]최후통첩 게임에서는 권력을 가진 사람이 최후통첩을 제안하고, 그 제안을 받는 사람은 그 제안을 받아들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제안자와 수령인 모두 아무런 보상을 받지 못한다.[108] 독재자 게임에서는 권력을 가진 사람이 제안을 하고, 받는 사람은 그 제안을 무조건 받아들여야 한다. 받는 사람은 제안을 거절할 선택권이 전혀 없다.[108]
독재자 게임은 제안을 받는 사람에게 아무런 권력이 주어지지 않지만, 최후통첩 게임은 받는 사람에게 약간의 권력을 준다. 독재자 게임에서 제안하는 사람은 최후통첩 게임에서 제안하는 사람보다 덜 전략적으로 행동한다고 관찰되었다.[108]
상대방이 완전히 권력을 가지고 있지 않을 때, 제안을 하는 사람, 즉 권력을 가진 사람의 행동에서 종종 전략, 사회적 책임, 도덕적인 고려가 부족한 점이 관찰된다.[108]
6. 이론
권력 개념은 17세기 역학의 발전을 배경으로 출현하였다. 물체가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를 통해 역학적 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처럼, 특정 "권력 수단"이나 "기초 가치"를 가짐으로써 타인을 그 뜻에 반하여 행동하게 하는 "힘"을 보유한다는 "실체적 권력관"이 성립되었다.[98]
권력은 사회 모든 영역에서 성립 가능하다. 정치적 측면에서 사용되는 권력은 일정 범위의 주민에게 강제력을 행사하고 복종시키는 힘을 의미하며, 오늘날 정치권력은 일반적으로 '''국가권력'''을 지칭한다. 국가는 법 제정권, 경찰, 군대, 정부, 관료 집단을 독점하여 통치권을 확보한다. 물리적 강제력만으로는 정치적 정당성 확보와 안정적 지배가 어렵기 때문에(권위의 결여), 정치권력은 피지배자에게서 자발적 동의와 복종을 얻어야 한다.
니콜로 마키아벨리와 데이비드 흄은 근대적 권력 연구의 선구자이다. 마키아벨리는 통치에 군사력과 법률이 필수적이며, 상비군 설치가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그의 현실주의 정치사상은 권력 연구의 이론적 기초가 되었다. 흄은 정치 변동에서 폭력을 발견하고, 권력 연구를 통해 실증주의적 정치이론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논문 〈정치를 과학의 경지로 높이기 위해서〉(1742년)에서 통치 형태에 주목하고, 인간의 성격과 기질을 배제하며 과학적 방법으로 정치를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막스 베버는 권력을 사회 관계 속에서 저항을 이겨내고 자신의 의지를 관철하는 가능성으로 정의했다. 이 개념은 시카고 학파의 찰스 에드워드 메리엄과 해럴드 라스웰, 국제정치학의 한스 모건소 등 후대 연구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라스웰은 권력을 사회의 다양한 가치와 연결하여, 특정 행위에 반하는 결과로 중대한 가치가 박탈되는 관계로 정의했다. 이는 재산, 사회적 지위, 명성 박탈 등을 포함한다. 라스웰은 권력이 정부 조직 내부뿐 아니라 외부, 비공식적 영역에서도 존재함을 밝혔다.
토마스 홉스는 권력을 "어떤 미래의 명백한 선을 얻기 위한 현재의 수단"으로 정의했다(''리바이어던'', 10장). 프리드리히 니체의 사상은 20세기 권력 분석의 기반이 되었다. 그는 "권력 의지" 개념을 통해 환경 통제와 타인 지배를 강조했다. 알프레드 아들러를 비롯한 일부 심리학 학파는 권력 역학을 이론의 핵심으로 삼았다. 폴 틸리히는 법을 권력의 구조화/표현으로 보고, "성사적", 신정 정치적 단계를 거쳐 세속적 합리적 방식으로 발전한다고 보았다.[40]
스티븐 룩스(Steven Lukes)는 ''Power: A Radical View''에서 권력의 세 가지 차원을 제시하며, 권력이 인간 행동을 제한하고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99] 미셸 푸코는 권력을 "주어진 사회적 환경 속에서 일어나는 복합적이고 전략적인 현상"으로 정의하고, 제약과 가능성을 모두 포함하는 구조화된 개념으로 보았다.[100]
사회심리학자 존 R. P. 프렌치와 버트램 레이븐은 1959년의 연구에서[8] 권력의 작용 방식을 분석하기 위해 권력의 원천에 대한 체계를 개발했다. 프렌치와 레이븐이 제시한 권력의 다섯 가지 기반은 해당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6. 1. 권력의 다섯 가지 기초 (프렌치와 레이븐)
사회심리학자 존 R. P. 프렌치와 버트램 레이븐은 1959년의 고전적인 연구에서[8] 특정 관계에서 권력이 어떻게 작용하는지(혹은 작동하지 않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권력의 원천에 대한 체계를 개발했다. 이들은 권력이란 주어진 관계 A-B에서, A가 B에 대해 시도하는 주어진 영향력 행사가 B에 대한 A의 바람직한 변화를 더 가능하게 만드는 상태라고 정의했다. 이러한 권력은 근본적으로 ''상대적''이며, A와 B 각자가 자신들의 관계에 적용하는 특정한 이해에 달려 있다. 또한, B가 A의 자질을 인식하여 A가 의도하는 방식으로 변화하도록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109]프렌치와 레이븐은 다른 사소한 범주를 배제하지 않으면서 다섯 가지 주요 권력 기반을 제시했다. 이후 가레스 모건은 1986년 저서 ''조직의 이미지''[9]에서 추가적인 기반을 제시하기도 했다. 프렌치와 레이븐이 제시한 권력의 다섯 가지 기반은 합법적 권력, 전문적 권력, 준거적 권력, 보상적 권력, 강압적 권력이다.
각 권력 기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합법적 권력: 조직 내 직책 보유자의 상대적 지위와 직무로 인한 권력이다.
- 전문적 권력: 개인의 기술이나 전문 지식, 그리고 조직이 그러한 기술과 전문 지식을 필요로 하는 것에서 비롯되는 권력이다.
- 준거적 권력: 개인의 힘 또는 능력이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고 충성심을 구축하게 하는 권력이다.
- 보상적 권력: 권력을 행사하는 사람이 가치 있다고 여기는 물질적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에 기반한 권력이다.
- 강압적 권력: 부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권력으로, 다른 사람을 강등시키거나 보상을 주지 않는 능력을 포함한다.
6. 1. 1. 합법적 권력
정당한 권력은 조직 내에서 직책 보유자의 상대적 지위와 직무로 인한 개인의 권력이다. 정당한 권력은 직책 보유자에게 위임된 공식적인 권한이다.[109] 이는 일반적으로 제복, 직함 또는 인상적인 사무실과 같은 다양한 권력의 속성을 수반한다. 위치 권력이라고도 불린다.[9] 간단히 말해, 권력은 '상향식' 또는 '하향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하향식 권력'''을 통해 회사의 상급자는 조직 목표 달성을 위해 부하 직원에게 영향을 미친다. 회사가 '''상향식 권력'''을 보일 때는 부하 직원이 상사 또는 상급자의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6. 1. 2. 전문적 권력
전문적 권력은 개인의 기술이나 전문 지식, 그리고 조직이 그러한 기술과 전문 지식을 필요로 하는 것에서 비롯되는 권력이다. 다른 유형의 권력과 달리, 전문적 권력은 보통 매우 구체적이며 전문가가 훈련받고 자격을 갖춘 특정 분야에 국한된다.[112] 전문가는 상황을 이해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며, 견고한 판단을 내리고,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난 성과를 낼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다. 이때문에 사람들은 전문가의 말을 경청하는 경향이 있다. 개인이 전문성을 보여줄 때, 사람들은 그들을 신뢰하고 그들이 말하는 것을 존중한다. 해당 분야의 전문가로서 그들의 아이디어는 더욱 가치가 있을 것이며, 다른 사람들은 그 분야에서 리더십을 발휘하기를 기대할 것이다.[112]6. 1. 3. 준거적 권력
준거적 권력은 개인의 힘 또는 능력이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고 충성심을 구축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권력자의 카리스마와 대인 관계 기술에 기반한다. 특정 개인적 성향 때문에 존경을 받을 수 있는데, 그 존경은 대인관계에 영향을 주는 기회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111] 민족주의와 애국주의는 포착하기 어려운 종류의 준거적 권력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군인들은 전쟁에서 국가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서 싸운다. 이것은 두 번째로 덜 명백한 권력이지만, 가장 효과적이기도 하다.[111]광고주들은 오랫동안 상품 홍보를 위해 스포츠 인물들의 준거적 권력을 사용해 왔다. 스포츠 스타의 카리스마적인 매력은 그 스타가 스포츠 경기장 밖에서의 실제 신뢰성을 거의 가지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홍보의 수용을 야기시키기도 한다.[111] 호감이 가는 사람이지만 진실성과 성실함이 부족한 사람이 권력을 가지고, 그 권력을 그 집단의 지위를 희생하면서 개인의 이익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 권력 남용이 발생할 수 있다. 준거적 권력은 혼자서는 불안정하며 권력을 오래 지속하고자 하거나 존경을 바라는 지도자로는 불충분하다. 다른 종류의 권력이 함께 결합되었을 때, 준거적 권력은 크게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112]
6. 1. 4. 보상적 권력
보상적 권력은 권력을 행사하는 사람이 가치 있다고 여기는 물질적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에 기반한다. 이는 권력을 가진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혜택, 휴가, 선물, 승진, 임금 인상과 같은 보상을 줄 수 있는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113]이러한 권력은 분명한 효과를 가지지만, 남용될 경우 비효율적일 수 있다. 보상적 권력을 남용하는 사람은 지나치게 강압적이거나 성급하게 일을 처리하도록 다른 사람을 압박할 수 있다. 사람들은 원하는 행동을 하면 보상을 받을 것이라고 기대할 때, 그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113]
하지만 이러한 권력 기반에는 한계가 있다. 권력을 가진 사람이 원하는 만큼 보상을 통제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임금 인상을 완전히 통제하지 못할 수 있으며, 경영진도 종종 승진을 독단적으로 결정할 수 없다. 심지어 CEO조차도 특정 조치를 취하려면 이사회의 승인을 받아야 할 수 있다. 따라서 권력을 가진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보상이 소진되거나, 보상이 더 이상 사람들에게 가치 있게 여겨지지 않으면 권력은 약화된다. 또한, 동일한 동기 부여 효과를 유지하려면 보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커져야 할 필요가 있다. 보상이 정기적으로 주어지면 사람들은 그 보상에 무뎌져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112]
6. 1. 5. 강압적 권력
강압적 권력은 부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다른 사람을 강등시키거나 보상을 주지 않는 능력이 포함된다. 가치 있는 보상을 얻고 싶어하거나, 보상을 받지 못할까 봐 두려워하는 마음은 권력에 복종하게 만든다. 강압적 권력은 가장 확실하지만, 이를 경험한 사람들이 분한 감정을 느끼고 저항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효과적인 권력은 아니다. 위협과 처벌은 강압의 가장 흔한 도구이다. 누군가가 해고, 강등, 특권 박탈, 원치 않는 임무 부여 등을 당할 것이라고 암시하거나 위협하는 것은 모두 강압적 권력의 예시이다.[112] 강압적 권력을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것은 조직에 거의 적합하지 않으며, 이러한 형태의 권력만을 사용하면 매우 냉정하고 질 낮은 리더십을 야기할 수 있다.[112]6. 2. 대인관계 속에서의 권력 이론
권력은 인지, 상대적 개념, 기초 자원, 최소이익과 의존 권력, 가능 또는 불가능, 특권 등 다양한 측면으로 설명될 수 있다.- 힘은 인식이다: 객관적인 힘을 가진 사람도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기 어려울 수 있다. 힘의 신호를 보내고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힘 있는 사람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공공연하게 힘 있는 행동을 하지 않아도 영향력 있는 사람이 되기도 한다.[13]
- 힘은 관계적 개념이다: 힘은 관계 속에 존재한다. 문제는 한 사람이 자신의 파트너와 비교해 얼마나 상대적인 힘을 가지는가이다. 친밀하고 만족스러운 관계의 파트너들은 다양한 영역에서 서로에게 영향을 미친다.[13]
- 힘은 자원 기반이다: 힘은 자원을 둘러싼 투쟁을 나타낸다. 자원이 부족하고 가치가 높을수록 힘겨루기는 치열해진다. 희소성 가설은 자원을 얻기 어렵거나 수요가 높을 때 가장 큰 힘을 갖는다고 말한다. 그러나 희소한 자원은 관계 내에서 가치가 있을 때만 힘으로 이어진다.[13]
- 최소 관심 및 의존성 힘의 원칙: 잃을 것이 적은 사람이 관계에서 더 큰 힘을 갖는다. 의존성 힘은 관계나 파트너에게 의존하는 사람이 힘이 약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특히 파트너가 무관심하고 자신을 떠날 수 있다는 것을 알면 더욱 그렇다. 상호의존성 이론에 따르면 대안의 질은 현재 관계가 아니라면 가질 수 있는 관계와 기회의 유형을 나타낸다. 최소 관심의 원칙은 긍정적인 감정의 강도에 차이가 있다면, 가장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파트너가 힘에서 불리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관계에 대한 관심과 관계적 힘의 정도는 반비례한다.[13]
- 힘은 가능하게 하거나 무력하게 한다: 힘은 가능하게 하는(enabling) 것이거나 무력하게 하는 것이 될 수 있다. 협박이 아닌 사회적 기술을 반영하는 지배적인 행동을 할 때 다른 사람에게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개인의 힘은 다른 사람에 의한 압력과 과도한 사회적 영향 또는 상황적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한다. 자신감 있고 차분하게 의사소통하는 사람은 목표를 달성하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힘은 파괴적인 의사소통 패턴으로 이어질 때 무력하게 할 수 있다. 힘이 약한 사람이 불만을 표현하는 것을 주저하는 냉각 효과(chilling effect)와 한 사람이 요구하고 다른 사람이 방어적이 되어 물러서는 요구-철회 패턴(demand-withdrawal pattern)으로 이어질 수 있다. 두 효과 모두 관계 만족도에 부정적이다.[13]
- 힘은 특권이다: 특권 원칙은 더 많은 힘을 가진 파트너가 규칙을 만들고 깨뜨릴 수 있다고 말한다. 힘 있는 사람은 관습(norm)을 위반하고, 관계 규칙을 깨고, 힘 없는 사람만큼의 처벌 없이 상호 작용을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행동은 힘 있는 사람의 힘에 대한 의존성을 강화한다. 또한, 힘 있는 사람은 언어적 및 비언어적 상호 작용을 관리할 특권을 갖는다. 힘 없는 사람보다 대화를 시작하고, 주제를 바꾸고, 다른 사람을 방해하고, 접촉을 시작하고, 토론을 끝낼 수 있다. (지배 표현 참조)[13]
6. 3. 마르크스주의와 권력
맑스주의적 전통에서, 안토니오 그람시는 문화적 헤게모니를 생성하는 이데올로기의 역할을 정교화하였으며, 이것은 자본주의와 민족국가의 권력을 강화하는 하나의 방식이 되었다.[115] 그람시는 군주론을 쓴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견해를 참고하여, 서구 유럽에서는 공산주의 혁명이 일어나지 않은 반면 러시아에서는 일어났다고 주장되는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이러한 헤게모니를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켄타우로스로 개념화했다. 켄타우로스의 뒷부분인 짐승은 더 고전적이고 물질적인 권력의 이미지와 강압과 폭력에 의한 권력을 나타낸다. 그러나 그는 자본주의적 헤게모니는 '동의'를 통해 권력을 투영하는 인간적인 얼굴, 즉 앞부분에 더욱 강하게 의존한다고 주장했다. 러시아에서는 이러한 권력이 부족하여 혁명이 가능했다. 그러나 서구 유럽, 특히 이탈리아에서는 자본주의가 '동의적인' 권력을 행사하여 노동 계급이 자신들의 이익이 자본가들의 이익과 같다고 믿도록 설득하는 데 성공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혁명은 피할 수 있었다.그람시는 권력 구조에서 이데올로기의 중요성을 강조했지만, 미셸 배럿과 같은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스트 작가들은 가정 생활의 미덕을 칭찬하는 데 있어 이데올로기의 역할을 강조한다. 이 관점을 설명하기 위한 고전적인 주장은 여성을 '예비군 노동력'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전시에는 여성이 남성적인 일을 수행하는 것이 받아들여지지만, 전후에는 역할이 쉽게 바뀐다. 따라서 배럿에 따르면, 자본주의적 경제 관계의 파괴는 여성 해방에 필요하지만 충분하지 않다.[14]
6. 4. 푸코의 권력 이론
미셸 푸코에 따르면, 진정한 권력은 항상 그 작동자들의 무지에 의존한다. 어떤 개인, 집단, 행위자도 장치(기계 또는 기구)를 운영하지 않지만, 권력은 가능한 한 효율적이고 조용하게 장치를 통해 분산되어 그 작동자들이 필요한 모든 일을 하도록 한다. 바로 이러한 작용 때문에 권력은 탐지되기 어렵고 '합리적인' 조사에도 숨겨져 있다.[16] 푸코는 생물학적 권력의 출현과 인구의 생물학적, 정치적 기술이 이 사실을 강조한다고 보았다.푸코는 정치 경제학자 장-바티스트 앙투안 오제 드 몽티옹(Jean Baptiste Antoine Auget de Montyon)이 쓴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그의 비서 장-바티스트 모호(Jean-Baptise Moheau, 1745~1794)가 쓴 Recherches et considérations sur la population de la France|프랑스 인구에 대한 연구와 고찰프랑스어(1778)이라는 책을 인용하며, 생물학자 장-바티스트 라마르크(Jean-Baptiste Lamarck)를 강조한다. 라마르크는 'milieu'(환경)를 복수형 형용사로 언급하며, 환경을 단순히 물, 공기, 빛으로 보는 것이 환경 내에서 종, 이 경우 인류를 확인하는 것과 같다고 주장한다. 이는 인구와 그 사회적, 정치적 상호 작용의 기능과 관련이 있으며, 둘 다 인공적이고 자연적인 환경을 형성한다. 푸코에 따르면, 이러한 환경은 권력의 개입 목표로 나타나며, 이는 사회적, 정치적 관계로 얽혀 있는 주권, 영토, 규율 공간에 대한 이전의 개념과 근본적으로 다르다.[16]
푸코는 그의 저서 ''감시와 처벌''에서 "순종적인 몸"이라는 개념을 창안하고 발전시켰다. 그는 "순종적인 몸은 복종시키고, 사용하고, 변형시키고, 개선할 수 있는 몸이다."라고 썼다.[17]
6. 5. 아렌트의 권력 이론
한나 아렌트는 정치학이 권력 관계를 '명령'과 '복종'이라는 차원에서 사고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하며 정치 사상사에서 공화주의의 전통을 환기하였다. 그러면서 공화주의 전통은 권력을 집합적인 임파워먼트의 형태로 이해하는데, 권력은 정부가 단순히 시민들로부터 복종을 명령할 수 있는 능력이라기보다는 건전한 정부가 의존할 수 있는 토대로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권력은 단순히 행사하는 것이 아니라 협력하여 행사하는 인간의 능력에 조응되는 것이며, 권력은 결코 개인의 자산이 아니라 집단에 속하는 것이며 그 집단이 유지되는 한 존재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막스 파슨스와 비교할 때, 파슨스는 권력을 사회체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본 반면, 아렌트는 권력을 법에 의한 통치와 지배를 정당화하는 것으로 보면서 권력과 폭력을 구분하였다. 권력은 항상 정당한 권력이며, 폭력은 그 자체로는 결코 정당화 될 수 없다.[96]7. 일본국 헌법과 권력
행정, 입법, 사법의 삼권 분립을 통해 권력의 균형과 견제가 이루어진다. 또한 공무원의 권력 남용은 경계받고 있다.[1]
8. 대한민국 헌법과 권력
대한민국 헌법은 행정, 입법, 사법의 삼권 분립을 통해 권력의 균형과 견제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공무원의 권력 남용을 경계하고 있다.[1]
9. 특별권력관계
특별권력관계는 공법상의 원인에 의해 성립하는, 공권력과 국민 간의 법률관계를 말한다.
이는 공무원의 근무 관계, 국공립대학교의 재학 관계, 수감 관계 등 성질이 다른 법률관계를, 어떤 국민이 공권력에 복종한다는 관계로 파악하고, 명령이나 강제에 대해 개별적인 근거는 필요 없으며, 더 나아가 법원의 사법심사권이 미치지 않는다고 여겨졌다. 법치주의 하에서는 채택되지 않고 있다.
참조
[1]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Politics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9-02-26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POWER
https://www.merriam-[...]
2024-10-11
[3]
학술지
Power in International Politics
2005
[4]
논문
Puzzles about Power
https://oxford.un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5]
웹사이트
Authority Definition, Types & Use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6]
학술지
Hard power, soft power, smart power
2008
[7]
서적
Hard power and soft power: the utility of military force as an instrument of policy in the 21st century
Lulu. com
2011
[8]
서적
'The bases of social powe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59
[9]
Ph.D. dissertation
Everyday Experiences of Power
http://trace.tenness[...]
University of Tennessee
2010-08
[10]
서적
Management
Barron's Educational Series
2008
[11]
서적
Power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 mobilizing power to implement change
Addison-Wesley
1988
[12]
뉴스
Chanel shoes, but no salary: How one woman exposed the scandal of the French fashion industry
https://www.theguard[...]
2018-09-02
[13]
서적
Close Encounters: Communication in Relationships
Sage
2011
[14]
서적
Introducing Social Theory
Polity Press
2008
[15]
Course pack
Political Theory
http://trace.tenness[...]
Eiilm University
[16]
서적
Lectures at the College de France, 1977–78: Security, Territory, Population
2007
[17]
서적
Discipline and punish : the birth of the prison
Vintage Books
1995
[18]
서적
2011
[19]
서적
The Anatomy of Power
[20]
서적
The Anatomy of Power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21]
서적
From dictatorship to democracy: A conceptual framework for liberation
http://www.aeinstein[...]
The Albert Einstein Institution
[22]
웹사이트
Gene Sharp: Author of the nonviolent revolution rulebook
https://www.bbc.co.u[...]
2011-02-21
[23]
서적
Vom Erweitern der Möglichkeiten
VS-Verlag
2011
[24]
학술지
Introducing a Model for Analyzing the Possibilities of Power, Help and Control
http://nbn-resolving[...]
2014
[25]
서적
Wirtschaft und Gesellschaft. Grundriss der verstehenden Soziologie
Mohr
1972
[26]
서적
Macht in der Sozialen Arbeit – Interaktionsverhältnisse zwischen Kontrolle, Partizipation und Freisetzung
Jacobs
2011
[27]
서적
Erkennen und Entscheiden. Grundlagen und Konsequenzen eines erkenntnistheoretischen Konstruktivismus für die Soziale Arbeit
Beltz Juventa
2013
[28]
서적
Systemische Theorie und Therapie: ein Handwörterbuch
Asanger
1994
[29]
서적
Ökologie des Geistes: anthropologische, psychologische, biologische und epistemologische Perspektiven
Suhrkamp
1996
[30]
서적
Wissen und Gewissen. Versuch einer Brücke
Suhrkamp
1996
[31]
웹사이트
Unmarked Categories
https://ebrary.net/2[...]
[32]
학술지
Straight talking: the sociolinguistics of heterosexuality
https://www.cairn-in[...]
2014
[33]
학술지
"Speaking as a Heterosexual": (How) Does Sexuality Matter for Talk-in-Interaction?
https://www.research[...]
2005-07
[34]
서적
Fragments of an anarchist anthropology
Prickly Paradigm Press
[35]
서적
Counter power : making change happen
World Changing
2011
[36]
논문
Counterpower: Making Change Happen (book review)
http://www.theecolog[...]
2016-01-08
[37]
논문
Ideas about power: Representation and counterpower
http://newint.org/fe[...]
2014-10-16
[38]
서적
Paths in Utopia
Syracuse University Press
1996
[39]
서적
Counter Power Making Change Happen
New Internationalist
2014-10-16
[40]
서적
Karl Jaspers: Politics and Metaphys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4-04-07
[41]
간행물
Competition-trapping the Concept of Power
https://www.research[...]
2011
[42]
논문
Power Hour: Psychology test at the Time 100 party
http://www.newyorker[...]
2008-06-22
[43]
웹사이트
Academics and Faculty: Adam Galinsky
http://www.kellogg.n[...]
Northwestern University
[44]
웹사이트
How power shapes executive choice
http://www.kellogg.n[...]
Northwestern University
2008-05-07
[45]
서적
Gender and Rural Development: Introduction
LIT Verlag Münster
[46]
논문
Less power or powerless? Egocentric empathy gaps and the irony of having little versus no power in social decision making
2008-01-01
[47]
서적
Realpolitik: A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48]
논문
Power strategies in intimate relationships
http://www.peplaulab[...]
1980-04-01
[49]
논문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a power/interaction model of interpersonal influence
1998-02-01
[50]
논문
Stability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effects from adolescence to young adulthood: Results of Croatian longitudinal twin study of personality
2007-02-01
[51]
논문
Social power bases: A meta-analytic examination of interrelationships and outcomes
1993-07-01
[52]
논문
Subordinates' resistance and managers' evaluations of subordinates' performance
http://digitalcommon[...]
2019-09-24
[53]
서적
Mediation in the Workplace: A Guide for Training, Practice, and Administration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20-07-12
[54]
서적
The Balance of Power in Society: And Other Essays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20-07-12
[55]
서적
Reflect & Relate: An introduction to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edford/St. Martin's
2009-07-15
[56]
서적
Power Currency
https://books.google[...]
Rand-Smith Publishing LLC
2020-07-12
[57]
서적
Foundations of Comparative Politics
CQ Press
2019
[58]
논문
Political Control
[59]
논문
Autocracies and the Control of Societal Organizations
2021-01-01
[60]
논문
Now out of Never
https://ir.lib.uwo.c[...]
2023-04-09
[61]
논문
Propaganda and Protest in Autocracies
2020-12-10
[62]
서적
Authoritarianism: What Everyone Needs to Know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1-12
[63]
서적
Group Dynamics
Wadsworth
2010
[64]
논문
Power, approach, and inhibition
2003
[65]
논문
A reciprocal influence model of social power: Emerging principles and lines of inquiry
2008
[66]
논문
Power, propensity to negotiate, and moving first in competitive interactions
2007
[67]
논문
Power and affordances: When the situation has more power over powerful than powerless individuals
2008
[68]
논문
Effects of power on emotion and expression during a controversial discussion
2006
[69]
논문
Power, optimism, and risk-taking
2006
[70]
논문
Lacking power impairs executive functions
2008
[71]
논문
Moral integrity in leadership: Why it matters and why it may be difficult to achieve
APA Press
[72]
논문
The mandate phenomenon
[73]
논문
Leader power motive and group conflict as influences on leader behavior and group member self-affect
[74]
논문
Why's my boss always holding me down? A meta-analysis of power effects on performance evaluation
[75]
논문
Power and perspectives not taken
[76]
논문
Controlling other people: The impact of power on stereotyping
[77]
논문
The powerholders
Aldine
[78]
논문
Social power
Guilford
[79]
논문
Motivated compliance with bases of social power
[80]
논문
Power and influence in the context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Information Age
[81]
논문
Supervisors' beliefs and subordinates' intrinsic motivation: A behavioral confirmation analysis
[82]
논문
The ripple effect in discipline
[83]
논문
Endorsement of formal leaders: An integrative model
[84]
논문
Components of authority as determinants of compliance
[85]
논문
Is Punishment Effective? Coercive Strategies in Social Exchange
[86]
논문
An experimental study of factors affecting the mobilization of revolutionary coalitions
[87]
논문
Compliance, identification, and internalization: Three processes of attitude change
[88]
논문
Processes of opinion change
[89]
서적
Literacy for All Students: An Instructional Framework for Closing the Gap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2-04-27
[90]
서적
Students as Researchers: Creating Classrooms that Matt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01-04
[91]
웹사이트
Transcript of "Why ordinary people need to understand power"
https://www.ted.com/[...]
2014-08-14
[92]
서적
Knowledge and Critical Pedagogy: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8-06-19
[93]
웹사이트
権力
https://ejje.weblio.[...]
[94]
웹사이트
1957
[95]
웹사이트
権威
https://kotobank.jp/[...]
[96]
간행물
1984
[97]
웹사이트
1957
[98]
간행물
1984
[99]
서적
Power : a radical view
Palgrave Macmillan
2004
[100]
서적
Power/Knowledge
Pantheon Books
[101]
논문
Power strategies in intimate relationships
[102]
논문
[103]
논문
Stability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effects from adolescence to young adulthood: results of Croatian longitudinal twin study of personality
[104]
논문
Social power bases: A meta- analytic examination of interrelationships and outcomes
[105]
논문
Subordinates' resistance and managers' evaluations of subordinates' performance
[106]
서적
Reflect & Relate, an introduction to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edford/St. Martin's
[107]
저널
Less power or powerless? Egocentric empathy gaps and the irony of having little versus no power in social decision making
2008-01-01
[108]
저널
Less power or powerless? Egocentric empathy gaps and the irony of having little versus no power in social decision making
2008-01-01
[109]
서적
The bases of social powe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4-05-23
[110]
웹사이트
Everyday Experiences of Power
http://trace.tenness[...]
2010
[111]
서적
Management
[112]
웹사이트
French and Raven's Five Forms of Power
http://www.mindtools[...]
2012-04-27
[113]
웹사이트
power-sociology
http://www.answers.c[...]
[114]
서적
Close encounters: Communication in Relationships
SAGE
2011
[115]
서적
Introducing Social Theory
Polity Press
2008
[116]
웹사이트
Eiilm University Political Theory the part of "Tarnow"
http://www.eiilmuniv[...]
2014-05-16
[117]
서적
Lectures at the College de France, 1977–78: Security, Territory, Population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