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스도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도론은 "예수는 누구이며, 무엇을 했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발전해온 개념과 용어들을 포괄하는 기독교 신학의 한 분야이다. '위로부터의 그리스도론'과 '아래로부터의 그리스도론'으로 대표되는 다양한 접근 방식이 있으며, 우주적 그리스도론, 강생, 부활, 구원 등 여러 주제를 다룬다. 또한, 초기 교회에서는 낮은 기독론과 높은 기독론이 발전했으며, 교의사에서는 예수의 신성과 인성의 일치에 대한 논쟁이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속죄, 탄생, 십자가형과 부활, 삼중 직무, 마리아론 등 다양한 주제들이 그리스도론의 주요 내용으로 다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철학 - 토미즘
    토미즘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으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기독교 신앙과 조화시켜 스콜라 철학에 영향을 주었고 토마스주의 학파를 형성했으며, 존재론, 인과론, 신의 존재 증명, 자연법, 자유의지 등을 다루는 철학 체계이지만, 이단 논쟁과 쇠퇴기를 겪기도 하며 근현대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기독교 철학 - 로고스
    로고스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비롯된 다의어로, 철학, 종교, 심리학 등 다양한 사상에서 이성, 논리, 세계의 원리, 신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핵심 개념으로 사용된다.
  • 삼위일체 - 아타나시우스 신경
    아타나시우스 신경은 기독교의 주요 신조로, 삼위일체와 그리스도의 신인성을 강조하며, 전통적으로 아타나시우스의 저작으로 여겨졌으나 현대에는 남부 골 지방에서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서방 교회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영원한 저주"와 같은 구절로 논쟁을 일으키기도 한다.
  • 삼위일체 - 가톨릭 신학
    가톨릭 신학은 가톨릭교회의 교리와 신앙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설명하는 학문으로, 하느님과의 만남을 통해 드러나는 계시를 바탕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완성된 계시를 중심으로 하느님을 향한 인간의 갈망, 삼위일체, 성사, 구원론, 사후 세계 등을 다루며 현대 사회 문제에 대한 교회의 입장을 제시하고 다른 교파와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 가톨릭 신학과 교리 - 시복
    시복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이 죽은 이의 덕과 기적을 인정하여 복자로 선포하는 절차로, 초기에는 지역 주교가 권한을 가졌으나 현재는 교황청 시성성에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진행되며, 시복된 이는 특정 지역이나 공동체에서 기념된다.
  • 가톨릭 신학과 교리 - 신앙교리성
    신앙교리성은 가톨릭교회 내에서 신앙과 윤리 도덕에 대한 교리를 증진 및 보존하며, 신앙에 대한 위반, 윤리적 문제, 성사 집행과 관련된 범죄를 심리하는 교황청의 기관으로, 이단 심판을 담당했던 검사성성이 그 기원이다.
그리스도론
개요
그리스도 전능자
그리스도 전능자
분야기독교 신학
학문신학
어원고대 그리스어 Χριστός (Khristós)와 -λογία (-logia)의 합성어
정의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에 대한 신학적 연구
주요 개념
칭호그리스도 (메시아)
주 (키리오스)
신성하느님의 아들
하느님 아들
위격로고스
성육신
선재
능동적 순종
상호교류
본질 동일성
높여짐
낮아짐
신인
호모이오마
위격적 연합
위격
페르소나
역할모방
중재
케노시스
신적 순응
속성지식
사랑
완전성
지혜
직무삼중직
구원자구원자
교리
그리스도론적 교리양자론
아폴리나리스주의
유티케스주의
칼케돈주의
네오
가현설
단능설
양의설
단의설
양성론
단성론
미아피지스주의
헤노티콘
동질
유사 본질
호모이아
네스토리우스주의
테오파스키즘
교파별 교리초칼빈주의
루터교 그리스도론

2. 용어 및 개념

수 세기 동안 그리스도론은 "예수는 누구이며, 그는 무슨 일을 하였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다양한 용어와 개념을 발전시켜 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신학적 논쟁과 기독교 분열이 발생하기도 했지만, 중세 이후 체계적인 접근법이 발전하면서 그리스도론은 더욱 정교화되었다.[126][127][128][119][129][130]


  • '''위로부터의 그리스도론'''은 요한 복음서에 나타난 '말씀'(로고스)으로서 그리스도의 신성과 선재(先在)를 강조한다. 이는 하느님이 인간의 본성을 취했다는 개념을 통해 그리스도의 신성적 측면에서 그의 활동을 연구하는 방식이다.[126][127]
  • '''아래로부터의 그리스도론'''은 예수의 인간적 측면과 활동(기적, 비유 등)에서 시작하여 그의 신성과 강생의 신비를 탐구하는 접근 방식이다.[128][127]
  • '''우주적 그리스도론'''은 사도 바울로가 처음 제시한 개념으로, 하느님의 아들인 예수가 세상에 온 방식과 그를 통해 코스모스(우주)의 본질이 어떻게 영원히 변화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춘다.[119][129]


그 외에도 강생, 부활, 구원 등이 그리스도론의 주요 주제로 다루어지며, 안셀모, 베르나르도 등이 발전시킨 '수도적 그리스도론', 프란치스코회의 신심에서 비롯된 '대중적 그리스도론', 토마스 아퀴나스 등 신학자들의 '스콜라적 그리스도론' 등 다양한 접근법이 존재한다.[130]

라파엘로의 성 바울로의 아레오파고스 연설 (1515년). 사도행전 17장 16-34절에서 사도 바울로는 그리스인 청중에게 그리스도에 대한 근본 개념을 전달하고자 노력했다.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예수의 생애, 죽음, 부활과 관련된 새로운 개념을 다루기 위해 새로운 용어와 사상을 사용해야 했다. 기존의 용어와 체계로는 이러한 종교적 개념을 전달하기에 불충분했기 때문이다.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때때로 그리스 철학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청중에게 자신들의 개념을 설명해야 했고, 이는 그리스도의 본성을 이해하고 설명하려는 시도로서 그리스도론의 시작에 영향을 미쳤다.[131]

예수의 '주님'이라는 호칭은 신약 그리스도론 발전의 핵심이다.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이를 자기네 사상의 중심에 놓고, 그리스도의 신비와 관련된 다른 문제들을 이해하려고 노력했기 때문이다. '주님'을 뜻하는 그리스어 '키리오스'는 온 세상에 대한 예수의 절대적인 주권을 의미한다.[134][135][136]

3. 교의사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예수의 생애, 죽음, 부활, 그리고 구원과 구속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다루기 위해 새로운 용어와 관념을 사용해야 했다.[131] 기존의 체계로는 이러한 종교적 개념을 전달하기에 부족했기 때문에, 그리스도의 본성을 이해하고 설명하려는 시도로서 그리스도론이 시작되었다.[131]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때때로 그리스 철학의 영향을 받은 청중에게 자신들의 개념을 설명해야 했으며, 사도행전 17장 16-34절에 나오는 사도 바울로의 아레이오스 파고스 연설은 그 대표적인 예시이다.[131][132][133] 예수의 '주님'(키리오스) 호칭은 신약성경 그리스도론 발전의 핵심이며,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이 호칭을 통해 예수의 절대적인 권위를 이해하려고 노력했다.[134] 초기 기독교 신앙에서 키리오스라는 개념은 처음부터 그리스도가 하느님과 결합되어 함께 있었다는 그리스도의 선재를 포함하고 있었다.[134][135] 아람어 '마리'는 '선생님' 이상의 의미를 지닌 정중한 표현으로, 랍비와 유사했으며, 그리스어로 번역될 때는 '키리오스'로 번역되었다. 마리는 예수와 제자들 사이의 관계를, 키리오스는 온 세상에 대한 예수의 절대적인 주권을 의미했다.[136]

사도 시대와 그 이후의 논쟁에 대해서는 각각 해당 섹션을 참조하라.

3. 1. 사도 시대 그리스도론

예수는 직접 글을 남기지 않았기 때문에, 사도 시대 그리스도론 연구는 초기 기독교 문헌에 기반한다. 복음서는 예수의 삶과 활동을 전하지만, 그의 일대기 전체를 시간 순서대로 기록하는 데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137] 마태오 복음서, 마르코 복음서, 루가 복음서 등 공관 복음서는 예수의 인성, 설교, 비유, 기적을 강조한다. 반면에 요한 복음서는 예수의 신성에 초점을 맞추어 앞의 세 복음서와는 다른 시각을 보여준다. 요한 복음서 1장 1절-14절은 말씀으로 번역되는 로고스로서 예수의 신성과 더불어 그의 선재를 나타내는데 할애하고 있으며, “모든 것이 그분을 통하여 생겨났고 그분 없이 생겨난 것은 하나도 없다”는 요한 복음서 1장 3절에서 볼 수 있듯이 그리스도의 우주적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118]

사도 시대의 그리스도론에 가장 중요한 공적을 남긴 이는 바울로이다. 바울로의 그리스도론은 그리스도의 선재[138]와 그리스도의 키리오스로서의 신원 증명[119]에 중점을 두고 있다. 바울로 서간은 예수를 가리켜 거의 230번에 걸쳐 키리오스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리스도를 주님으로 고백하는 것이 그리스도인의 참된 표지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139] 바울로는 그리스도가 하느님의 아들이라는 사실 때문에 기독교의 계시가 이전까지의 모든 하느님의 자기 계시보다 우위를 차지한다고 보았다.[118]

3. 2. 사도 시대 이후 논쟁

사도 시대 이후, 예수의 단일한 위격 안에서 신성과 인성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지에 대한 많은 논쟁이 있었다.[140][141] 2세기에는 교회 내부에서 그리스도론에 대한 다양한 주장이 나타났다.[142] 예수의 인성을 부인하는 영지주의 계열의 가현설과 예수의 신성을 부정하거나 경시하는 에비온주의, 사벨리우스주의 등이 있었으며, 이러한 주장들은 초기 교황들에 의해 이단으로 단죄되었다.[142]

4세기 초, 알렉산드리아의 사제 아리우스는 종속론적인 그리스도론(아리우스주의)을 주장하여 교회를 분열시켰다. 아리우스는 성부만이 유일한 하느님이며, 성자(로고스)는 성부에 의해 창조되었으므로 완전한 신이 아닌 반신(半神)이라고 주장했다. 즉, 예수는 참하느님이 아닌 중간적 존재로 여겨졌다. 이집트 등에서 아리우스의 주장이 널리 지지를 받자,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가 소집되어 아리우스주의를 이단으로 단죄하고 아리우스를 파문했다.[143]

제1차 니케아 공의회는 니케아 신경을 통해 성부와 성자가 '동일본체'(ὁμοούσιος|호모우시오스grc)라고 선언하며, 예수 그리스도가 하느님과 신적 본질이 동일하다고 결정했다.[144] 그러나 이후에도 아리우스주의 문제는 계속되었고,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다시 한번 단죄되었다. 이 공의회는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을 통해 아리우스주의뿐만 아니라 반아리우스주의와 아폴리나리스주의도 단죄하고 삼위일체 교리를 확립했다.[145][146]

5세기 초,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치릴로와 안티오키아 학파의 네스토리우스는 예수의 신성과 인성의 관계에 대해 대립했다. 치릴로는 로고스와 인간이 하나임을 강조하며 예수는 하느님이라고 주장한 반면, 네스토리우스는 예수가 온전한 인간임을 강조하며 로고스가 인간 예수 안에 머문다고 이해했다.[147] 431년 에페소 공의회는 치릴로의 주장을 인정하고 네스토리우스를 단죄하며, 성모 마리아를 '하느님의 어머니'(테오토코스)로 선포했다.[148][149]

그러나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수도원장 에우티케스는 그리스도의 신성만을 강조하는 단성설을 주장하여 논쟁이 재점화되었다. 451년 칼케돈 공의회는 에우티케스주의를 단죄하고 칼케돈 신경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가 신성과 인성에 있어 모두 완전하며, 두 본성이 하나의 위격 안에서 결합되어 있다는 교리를 확립했다.[150][151][152]

칼케돈 공의회 이후에도 단성설 논쟁은 지속되었으며, 553년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153] 680-681년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를 통해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에 따른 두 의지와 두 작용이 존재한다는 것이 선포되었다.[154]

4. 주요 주제

기독교 신학에서 그리스도론의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다.


  • 속죄: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을 통해 인간이 하느님과 화해하고 죄, 특히 원죄를 용서받는 것을 의미한다.
  • 탄생과 거룩한 이름: 예수의 탄생은 초기 기독교부터 그의 인격에 관한 기독론적 문제에 영향을 미쳤다. 마태복음 1장 23절은 예수를 "우리와 함께 하시는 하나님"으로 묘사하며, '임마누엘'이라는 이름은 마태복음 28장 20절에서 예수께서 세상 끝날까지 신자들과 함께 하실 것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 십자가형과 부활: 십자가형예수의 부활은 기독론적 분석의 중요한 배경이다. 사도행전은 예수의 죽음이 하나님의 계획에 따른 것이라고 확신하며, 바울은 십자가형과 부활을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복음의 핵심 메시지로 제시한다.
  • 삼중 직무: 예수가 예언자, 제사장, 왕의 세 가지 직무를 수행했다는 구약 성경의 가르침에 기초한 기독교 교리이다.
  • 마리아론: 일부 기독교인,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마리아를 통해 그리스도를 더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믿으며 마리아론을 기독론의 핵심 요소로 간주한다. 그러나 개신교는 마리아론의 많은 주장이 성경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비판한다.

4. 1. 속죄

기독교 신학에서 속죄는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적인 고난과 죽음을 통해 인간이 하느님과 화해할 수 있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는 죄, 특히 원죄에 대한 용서 또는 사면을 통해 하느님과 그의 창조물 사이의 화해를 가능하게 한다.

4. 2. 탄생과 거룩한 이름

예수의 탄생은 초기 기독교부터 그의 인격에 관한 기독론적 문제에 영향을 미쳤다. 누가의 기독론은 그리스도의 현세적, 천상적 존재의 이중성에 대한 변증법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마태의 기독론은 예수의 사명과 구세주로서의 역할에 초점을 맞춘다.[94][95] 마태복음 1장 21절의 구원적 강조는 후에 신학적 문제와 예수 성명에 대한 신심에 영향을 미쳤다.[96][97][98]

마태복음 1장 23절은 마태복음의 "임마누엘 기독론"의 핵심을 제공한다. 마태복음 1장 23절부터 시작하여 마태복음은 예수를 "우리와 함께 하시는 하나님"으로 식별하고 복음서 전체의 핵심적인 부분에서 임마누엘적 특성을 발전시키는 데 분명한 관심을 보여준다.[99] '임마누엘'이라는 이름은 신약성경의 다른 곳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마태는 마태복음 28장 20절 ("내가 세상 끝날까지 항상 너희와 함께 있으리라")에서 이를 기반으로 예수께서 시대의 끝까지 신자들과 함께 하실 것임을 나타낸다.[99][100] 울리히 루츠에 따르면, 임마누엘 모티프는 마태복음 전체를 1장 23절과 28장 20절 사이에 묶어놓으며, 다른 여러 구절에서 명시적이고 암묵적으로 나타난다.[101]

4. 3. 십자가형과 부활

예수의 십자가형과 그 이후의 예수의 부활에 대한 기록은 바울 서신에서부터 정경 복음서에 이르기까지 기독론적 분석을 위한 풍부한 배경을 제공한다.[102]

사도행전에 제시된 기독론의 핵심 요소는 예수의 십자가형 죽음이 "하나님의 미리 아심과 정하신 뜻대로" 일어났다는 확신이다.[103] 이 관점에서, 사도행전 2:23에서처럼, 십자가는 스캔들로 여겨지지 않으며, "불법한 자들의 손"에 의한 예수의 십자가형은 하나님의 계획을 이룬 것으로 본다.[103][104]

바울의 기독론은 예수의 죽음과 부활에 특별한 초점을 맞춘다. 바울에게 예수의 십자가형은 그의 부활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갈라디아서 6장 12절에 사용된 "그리스도의 십자가"라는 용어는 복음의 메시지를 요약한 것으로 볼 수 있다.[105] 바울에게 예수의 십자가형은 역사 속의 고립된 사건이 아니라, 고린도전서 2장 8절에서처럼, 중요한 종말론적 결과를 가져온 우주적 사건이었다.[105] 바울의 관점에서, 죽기까지 순종한 예수 (빌립보서 2장 8절)는 하나님의 계획에 따라 "정하신 때에" (로마서 5장 6절) 죽었다.[105] 바울에게 "십자가의 능력"은 예수의 부활과 분리될 수 없다.[105]

4. 4. 삼중 직무

예수 그리스도의 삼중 직무(라틴어: munus triplexla)는 구약 성경의 가르침에 기초한 기독교 교리이다. 유세비우스가 묘사하고 존 칼빈이 발전시킨 이 교리는 예수 그리스도가 지상 사역에서 예언자, 제사장, 왕의 세 가지 직무를 수행했다고 명시한다. 구약 성경에서 이 세 직무 중 하나에 임명되는 것은 머리에 기름을 붓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따라서 "기름 부음 받은 자"를 의미하는 ''메시아''는 삼중 직무 개념과 연관된다. 왕의 직무가 메시아와 가장 자주 연관되지만, 예수의 제사장 역할 또한 신약 성경, 특히 히브리서 7장부터 10장까지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4. 5. 마리아론

일부 기독교인,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는 마리아론을 기독론의 핵심 요소로 간주한다.[106] 이들은 마리아론이 기독론의 논리적이고 필요한 결과일 뿐만 아니라, 마리아를 통해 그리스도가 누구이며 무엇을 했는지 더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마리아론 없이는 기독론이 불완전하다고 믿는다.[107]

개신교는 마리아론의 많은 주장이 성경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비판한다.[108] 로마 가톨릭교회의 마리아 숭배와 가르침에 대한 개신교의 강한 반발은 에큐메니즘 대화의 중요한 문제였다.[109]

요제프 라칭거 추기경(후일 교황 베네딕토 16세)은 로마 가톨릭 마리아론에 대해 "진정한 마리아 의식의 등장은 기독론적 본질이 완전히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시금석 역할을 한다"라고 표현했다.[110] 또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진실로 돌아가려면 마리아에게 돌아가야 한다"라고 강조했다.[111]

참조

[1] 간행물 "An Embarrassing Misrepresentation" http://wwwuser.gwdg.[...] 2007-10-11
[2] 서적 The Origin of Divine Christ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Is Jesus God? A Historical Evaluation Concerning the Deity of Christ https://ethosinstitu[...] 2019-02-18
[4] 서적 Jesus and Divine Christology Eerdmans
[5] 웹사이트 Jesus and Divine Christology https://www.eerdmans[...] 2024-12-17
[6] 웹사이트 "The Work of Jesus Christ: Summary" https://www.biblical[...]
[7] 웹사이트 "Lecture 8: The Work of Jesus Christ: Summary" https://www.biblical[...] 2019-03-02
[8] 웹사이트 Christology {{!}} Definition, History, Doctrine, Summary, Importance,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5-10
[9]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Christology https://www.newadven[...] 2023-05-10
[10] 웹사이트 THINKAPOLOGETICS.COM: Jesus- A Functional or Ontological Christology? http://thinkapologet[...] 2009-05-11
[11] 서적 Christology from Within and Ahead: Hermeneutics, Contingency, and the Quest for Transcontextual Criteria in Christology https://books.google[...] BRILL 2001
[12] 논문 Filiation divine du Christ et filiation divine des chrétiens dans les écrits de Justin Martyr https://www.academia[...] 2011-01-01
[13] 서적 Introducing Christian Doctrine
[14] 서적 Aton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atonement http://www.collinsdi[...] 2012-10-03
[16] 서적 Christus Victor: An Historical Study of the Three Main Types of the Idea of Atonement SPCK; New York: Macmillan
[17] 서적 The Cross of Christ Macmillan & Co
[18] 문서 Theories of the Atonement
[19] 논문 Christ's Atonement as the Model for Civil Justice https://digitalcommo[...]
[20] 서적 Living With Confidence in a Chaotic World Thomas Nelson, Inc.
[21] 문서 Renegade Gospel, The Jesus Manifold
[22] 성경
[23] 서적 Creation and redemption: a study in Pauline theology Brill Publishers
[24] 서적 Mercer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25] 서적 Karl Barth's christology
[26] 서적 Historical Theology: An Introduction
[27] 성경
[28] 서적 The Christology of the New Testament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59-01-01
[29] 서적 Christology: Biblical And Historical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2005-01-01
[30] 서적 The Christology of the New Testament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59-01-01
[31] 웹사이트 Incarnation Christology, Angels, and Paul https://ehrmanblog.o[...] 2013-02-14
[32] 문서 How Jesus became God
[33] 서적 The Resurrection
[34] 웹사이트 "The Earliest Christology" https://ehrmanblog.o[...] 2013-02-06
[35] 성경
[36] 성경 Acts 9:26–28
[37] 성경 Acts 15:2
[38] 웹사이트 '"Early High Christology": A "Paradigm Shift"? "New Perspective"?' https://larryhurtado[...] 2015-07-10
[39] 웹사이트 The Early High Christology Club and Bart Ehrman – An Excerpt from 'How God Became Jesus' https://zondervanaca[...] HarperCollins 2014-03-27
[40] 웹사이트 The Origin of "Divine Christology"? https://larryhurtado[...] 2017-10-09
[41] 서적 Honest to God 1963
[42] 서적 The Metaphor of God Incarnate https://books.google[...]
[43] 서적 How on earth did Jesus become a god?: historical questions about earliest devotion to Jesus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20-10-16
[44] 간행물 An Embarrassing Misrepresentation http://wwwuser.gwdg.[...] Free Inquiry 2007-10-01
[45] 서적 The challenge of Jesus : rediscovering who Jesus was and is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20-10-16
[46] 서적 The Origin of Divine Christ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47] 웹사이트 Is Jesus God? A Historical Evaluation Concerning the Deity of Christ https://ethosinstitu[...] 2019-02-18
[48] 서적 Jesus and Divine Christology Eerdmans
[49] 서적 Jesus and Divine Christology Eerdmans
[50] 웹사이트 Jesus and Divine Christology https://www.eerdmans[...] 2024-12-17
[51] 서적 Paul and Palestinian Judaism Fortress Press
[52] 서적 Jesus, Paul, and the Law: Studies in Mark and Galatians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20-05-15
[53] 웹사이트 St. Paul the Apostle – Theological views https://www.britanni[...] 2020-05-15
[54] 서적 The Witness of Jesus, Paul and John: An Exploration in Biblical Theology 2008
[55] 학술지 John and Jesus 1975
[56] 성경 2 Corinthians 5:17
[57] 성경 Colossians 1:20
[58] 학술지 Celebrating God's Plan of Creation/Salvation 2014
[59] 성경 Colossians 1:15
[60] 서적 Encyclopedia of theology: a concise Sacramentum mundi 2004
[61] 성경 John 1:3
[62] 웹사이트 Internet History Sourcebooks: Medieval Sourcebook https://sourcebooks.[...] 2023-05-10
[63] 문서 The Seven Ecumenical Councils of the Undivided Church Wm. B. Eerdmans 1955
[64] 서적 God Against the Gods: The History of the War Between Monotheism and Polytheism 2004
[65] 서적 The Closing of the Western Mind: The Rise of Faith and the Fall of Reason 2002
[66]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1776-1788
[67] 서적 A concise dictionary of theology 2004
[68] 서적 The Creed: The Apostolic Faith in Contemporary Theology https://books.google[...] Twenty-Third Publications 2023-03-14
[69] 서적 Mary and the Saints https://books.google[...] Loyola Press 2010-06-01
[70] 서적 Essential Theological Terms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5-01-01
[71] 서적 Doctrine and Practice in the Early Church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1992
[72] 서적 Systematic Theology https://books.google[...] Kregel Academic 2023-03-14
[73]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Eastern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3-03-14
[74] 서적 Fundamentals of Catholicism: God, Trinity, Creation, Christ, Mary https://books.google[...] Ignatius Press 2023-03-14
[75] 서적 Mary, Mother of God Carl E. Braaten and Robert W. Jenson 2004
[76] 서적 The Story of Christian Theology: Twenty Centuries of Tradition Reform InterVarsity Press 1999
[77] 웹사이트 The Fifth Ecumenical Council – Greek Orthodox Archdiocese of America http://www.goarch.or[...] 2015-03-05
[78] 웹사이트 The Sixth Ecumenical Council – Greek Orthodox Archdiocese of America http://www.goarch.or[...] 2015-03-05
[79] 서적 The Westminster Dictionary of Christian Theology Alan Richardson and John Bowden 1983
[80] 웹사이트 The Seventh Ecumenical Council – Greek Orthodox Archdiocese of America http://www.goarch.or[...] 2015-03-05
[81] 서적 Christology: Biblical And Historical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2023-03-14
[82] 간행물 The Christian Philosophy of Saint Thomas Aquinas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83] 서적 Christology: Biblical And Historical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2023-03-14
[84] 서적 Aquinas as Authority: A Collection of Studies Presented at the Second Conference of the Thomas Insituut Te Utrecht, December 14-16, 2000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023-03-14
[85] 서적 Christology: Key Readings in Christian Thought Jeff Astley, David Brown, [[Ann Loades]] 2009
[86] 서적 The Three Forms of Unity Canon Press
[87] 서적 Calvin's Christology Stephen Edmondson 2004
[88] 서적 Calvin's First Catechism I. John Hesselink 1997
[89] 웹사이트 Jesus - The debate over Christology in modern Christian thought https://www.britanni[...] 2023-05-10
[90] 서적 Encyclopedia of Theology: a concise Sacramentum mundi Karl Rahner 2004
[91] 서적 The eschatology of Hans Urs von Balthasar Nicholas J. Healy 2005
[92] 서적 Pastoral Constitution Gaudium et Spec Second Vatican Council 1983
[93] 문서 Dilexit nos https://www.vatican.[...] Pope Francis 2024-12-11
[94] 서적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Georg Strecker 2000
[95] 서적 Matthew [[Grant R. Osborne]] 2010
[96] 서적 Matthew 1–13 Manlio Simonetti 2001
[97] 서적 Matthew 1-2/ Luke 1–2 Louise Perrotta 2004
[98] 서적 All the Doctrines of the Bible Herbert Lockyer 1988
[99] 서적 Matthew's Emmanuel David D. Kupp 1997
[100] 서적 Who do you say that I am?: essays on Christology Jack Dean Kingsbury, Mark Allan Powell, David R. Bauer 1999
[101] 서적 The theology of the Gospel of Matthew Ulrich Luz 1995
[102] 서적 Who do you say that I am? Essays on Christology Jack Dean Kingsbury, Mark Allan Powell, David R. Bauer 1999
[103] 서적 New Testament christology Frank J. Matera 1999
[104] 서적 The speeches in Acts: their content, context, and concerns Marion L. Soards 1994
[105] 서적 Christology Hans Schwarz 1998
[106] 간행물 Mariology Is Christology http://www.zenit.org[...]
[107] 서적 The mystery of Mary Gracewing Press
[108] 서적 Evangelical Dictionary of Theology Baker Academic
[109] 서적 Mariology Wm. B. Eerdmans; Brill
[110] 간행물 Communio
[111] 서적 Mariology: A Guide for Priests, Deacons, seminarians, and Consecrated Persons
[112] 웹사이트 그리스도론 https://ko.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4-05-14
[113] 웹사이트 キリスト論 https://kotobank.jp/[...] 小学館、コトバンク 2024-05-14
[114] 웹사이트 カルケドン公会議 https://kotobank.jp/[...] 平凡社、コトバンク 2024-05-14
[115] 서적 Christology: A Biblical, Historical, and Systematic Study of Jesus
[116] 서적 An Evangelical Christology: Ecumenic and Historic https://books.google[...] Regent College Publishing 2016-05-09
[117] 서적 How God Became Jesus: The Real Origins of Belief in Jesus' Divine Nature – A Response to Bart Ehrman https://books.google[...] Zondervan 2014-03-25
[118]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Christology http://www.newadvent[...]
[119] 서적 Christ in Christian Tradition: From the Apostolic Age to Chalcedon https://books.google[...]
[120] 뉴스 교회사 속 세계공의회(10) 칼케돈 공의회(하)(451년) http://www.cpbc.co.k[...] 2011-04-17
[121] 인용 The Christian Philosophy of Saint Thomas Aquinas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22] 서적 Christology: Biblical And Historical https://books.google[...]
[123] 서적 Christology: A Biblical, Historical, and Systematic Study of Jesus https://books.google[...]
[124] 서적 Aquinas as authority https://books.google[...]
[125] 서적 Christology: Key Readings in Christian Thought
[126] 서적 양자물리학 그리고 기독교신학 연세대학교 출판부
[127] 서적 Jesus God and Man
[128] 서적 Christology: A Biblical, Historical, and Systematic Study of Jesus
[129] 서적 The Witness of Jesus, Paul and John: An Exploration in Biblical Theology
[130] 서적 Christology: Biblical And Historical https://books.google[...]
[131] 서적 Christianity: an introduction
[132] 서적 Creation and redemption: a study in Pauline theology Brill Publishers
[133] 서적 Mercer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134] 서적 Christology: Biblical And Historical https://books.google[...]
[135] 서적 The Christology of the New Testament https://books.google[...]
[136] 서적 The Christology of the New Testament https://books.google[...]
[137] 서적 Encyclopedia of theology: a concise Sacramentum mundi
[138] 서적 Dictionary of Paul and His Letters: A Compendium of Contemporary Biblical Scholarship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09-09-20
[139] 서적 Christology: A Biblical, Historical, and Systematic Study of Jesus
[140]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Brill
[141] 인용 Who is Jesus? : an introduction to Christology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142] 서적 그리스도론 하느님 아드님의 드라마 생활성서사 2009
[143] 서적 그리스도론 하느님 아드님의 드라마 생활성서사 2009
[144] 서적 그리스도론 하느님 아드님의 드라마 생활성서사 2009
[145] 서적 그리스도론 하느님 아드님의 드라마 생활성서사 2009
[146] 서적 그리스도론 하느님 아드님의 드라마 생활성서사 2009
[147] 뉴스 교회사 속 세계공의회(6) 에페소 공의회(상) (431년) http://www.cpbc.co.k[...] 2011-03-20
[148] 서적 그리스도론 하느님 아드님의 드라마 생활성서사 2009
[149] 뉴스 "[교회사 속 세계공의회] (7) 에페소 공의회(하)(431년)" http://www.cpbc.co.k[...] 2011-03-27
[150] 뉴스 교회사 속 세계 공의회(8) 칼케돈 공의회(상)(451년) http://www.cpbc.co.k[...] 2011-04-03
[151] 서적 그리스도론 하느님 아드님의 드라마 생활성서사 2009
[152] 서적 그리스도론 하느님 아드님의 드라마 생활성서사 2009
[153] 서적 그리스도론 하느님 아드님의 드라마 생활성서사 2009
[154] 서적 그리스도론 하느님 아드님의 드라마 생활성서사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