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당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당명은 8세기 일본에서 율령제 정비 과정에서 당나라 관직 체계를 참조하여 사용하기 시작한 명칭으로, 관직이나 부서를 지칭하는 별칭으로 사용되었다. 당명은 조정의 공식 기록에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사적인 문서나 에도 시대 무가 관위의 별칭으로 사용되었고,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내각 제도에도 계승되었다. 주요 당명으로는 천황, 황후, 황태자, 관직 등을 지칭하는 다양한 명칭이 있었으며, 역사적 기록이나 인물의 통칭, 가문의 통칭으로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칭호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일본의 칭호 - 공경
    공경은 고대 중국에서 유래하여 일본 궁중 관리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며, 율령 체제에서 대신들을 포함하고 메이지 유신 이후 화족 제도가 창설되면서 폐지되었다.
당명
일반 정보
정의율령제 하의 관직명 또는 부서를 중국식 관제에 맞춰 부르는 명칭
용도율령제 관직명의 단순 번역
격식 있는 문서 작성 시
대외 관계
개인의 중국풍 이름 (예: 당호(唐號))
역사적 배경
기원일본 율령제
사용 시기나라 시대
헤이안 시대
이후 시대 (제한적)
특징
목적관직 체계의 이해를 돕기 위함
외교적 상황에서 위상 높임
예시태정관 → 상서성
납언 → 중서문하
민부성 → 호부
참고 사항
관련 용어화명(和名)
당풍(唐風)
국풍(国風)

2. 당명의 기원과 역사

당명은 8세기일본에서 율령제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당나라의 관직 체계를 참조하면서 유래했다. 당풍의 직명 및 부서명은 일종의 아칭(별칭)으로 사용되었다.

당명은 조정의 공식적인 위기(位記) 등에는 기록되지 않았지만, 서간(書簡)·일기·한시 등 사적인 문서에는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무가 관위에 부수되는 아칭으로서 존속했고, 메이지 유신으로 율령제가 명실상부하게 종언을 맞이한 후에도 메이지 초기의 태정관제에 부수되어 계승되었다.

2. 1. 율령제와 당풍 관직명

8세기 전반, 다이호 율령요로 율령에 의해 2관 8성 이하의 직제가 정비되고 백관의 직명이 제정된 전후부터 이미 유사한 직무를 가진 당풍의 직명 및 부서명을 일종의 아칭으로 사용하는 일이 행해졌다. 덴표호지 2년(758년) 후지와라 나카마로(에미노 오시카츠)가 정권을 잡자 백관명을 모두 당명으로 바꾸게 되었다.

764년 나카마로 실각 후에는 구체제로 돌아갔지만, 그 후에도 관직의 별명·아칭으로서 당풍의 관명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나라 시대 후반부터 헤이안 시대에 걸쳐 생긴 다양한 령외의 관에 대해서도 당명이 붙여졌다.

이러한 당명은 본가 중국 역대 왕조의 직제와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일대일로 치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몇몇 직에서는 중복되는 것이 있고, 반대로 하나의 직에 여러 개의 당명이 있는 것도 적지 않다.

2. 2. 후지와라 나카마로 정권과 당풍 관직명

후지와라 나카마로(에미노 오시카츠)가 정권을 잡은 덴표호지 2년(758년) 모든 관직명을 당나라식으로 바꾸었다. 덴표호지 8년(764년) 나카마로가 실각한 후에는 원래 체제로 돌아갔지만, 이후에도 당풍 관직명이 별명이나 아칭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후지와라 나카마로 정권에서의 관직 명칭 변경
관직신명칭관직신명칭관직신명칭관직신명칭
태정관건정관태정대신대사좌대신대부우대신대보
대납언어사대부자미중대곤궁관중무성신부성식부성문부성
치부성예부성민부성인부성병부성무부성형부성의부성
대장성절부성궁내성지부성탄정대규정대도서료내사국
음양료대사국중위부진국위대장대위소장효기장군
원외소장차장위문부사문위위사부용사위병위부호분위


2. 3. 령외관과 당명

나라 시대 후반부터 헤이안 시대에 걸쳐 구로도노토, 검비위사 등 다양한 령외관이 생겨났고, 이들 관직에도 당나라식 이름(당명)이 붙여졌다. 사가 천황은 당풍 문화에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인물이다.[2]

2. 4. 에도 시대와 메이지 유신 이후의 당명

에도 시대에는 무가 관위에 부수되는 아칭으로 당명이 사용되었고, 메이지 유신으로 율령제가 명실상부하게 종언을 맞이한 후에도 메이지 초기의 태정관제에 부수되어 계승되었다.

1885년에는 내각 제도가 발족했지만, 여기에서도 당명의 전통은 계승되어 내각총리대신을 "수상", 외무대신을 "외상" 등으로 불렀다. 또한 내각 제도와 함께 설치된 추밀원 의장을 "추상", 내대신을 "내부"라고도 불렀다.

3. 주요 당명 일람

덴표호지 2년(758년) 후지와라 나카마로가 정권을 잡자, 백관명을 모두 당명으로 바꾸었다. 덴표호지 8년(764년) 나카마로가 실각한 후에는 구체제로 돌아갔지만, 그 후에도 관직의 별명이나 아칭으로서 당풍의 관명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나라 시대 후반부터 헤이안 시대에 걸쳐 생긴 다양한 령외관에 대해서도 당명이 붙여졌다.

메이지 유신으로 율령제가 명실상부하게 종언을 맞이한 후에도, 메이지 초기의 태정관제에 부수되어 계승되었다. 1885년 내각 제도가 발족하면서 내각총리대신을 "수상", 외무대신을 "외상" 등으로 불렀다.

이관팔성의 관위를 가진 자는 경과 마찬가지로 당명을 사용했다. (예: 중무대보·중무소보 → 중서)

부서명·관명당명 (좌우 관이 있는 경우, 원칙적으로 각 당명의 앞에 좌우를 붙임)
내리구중(九重), 금중(禁中), 자금(紫禁), 구금(九禁), 봉금(鳳禁), 봉궐(鳳闕), 위궐(魏闕), 용궐(龍闕), 상궐(象闕), 북궐(北闕), 자궐(紫闕), 자정(紫庭), 신경(宸居), 단지(丹墀), 용도(龍圖), 요도(瑶圖), 나도(蘿圖), 금륜(金輪), 예각(藝閣), 봉황성(鳳凰城), 봉래궁(蓬萊宮), 형일(兄日), 자월(姉月), 봉력(鳳曆)
후궁장추궁(長秋宮), 장신궁(長信宮), 요모문(堯母門), 란전(蘭殿), 란성(蘭省), 초원(椒園), 초방(椒房), 궁액(宮掖), 액정(掖庭), 후정(後庭)
친왕대왕(大王), 죽원(竹園), 란반(蘭坂), 련지(蓮池), 양원(梁園), 강도(江都), 반석(磐石), 종지(宗枝), 천지(天枝), 제엽(帝葉), 번왕(藩王), 번저(藩邸), 토원(兎園), 용수(龍岫), 회남(淮南), 천손(天孫), 경예(瓊蘂), 낙선(樂善), 연찬(延賛)
내친왕상양(湘陽), 상황지화(牀黄之華)
섭정섭록(摂ろく), 가재(家宰), 대재(大宰), 납록(納ろく), 부의(負扆), 수의(垂衣), 대록(大ろく), 곡부(曲阜)
관백총기백관(惣己百官), 박륙(博陸), 집병(執柄), 섭록(摂ろく), 아형(阿衡), 태합(太閤)
섭정관백집정(執政), 집병(執柄), 섭록(摂ろく), 박륙(博陸), 보좌(補佐)
신기백대상백(大常伯), 대상경(大常卿), 대복령(大卜令), 사부상서(祠部尚書)
내대신내부(内府), 내승상(内丞相)
대신 일반승상(丞相), 상부(相府), 복야(僕射), 괴문(槐門), 삼괴(三槐), 삼대(三台), 삼정(三旌), 련부(蓮府), 련막(蓮幕), 황각(黄閣), 동각(東閣), 상악(象岳), 제천(濟川), 염매(鹽梅)
준대신의동삼사(儀同三司)
중납언황문시랑(黄門侍郎) 또는 약칭 황문(黄門), 문하시랑(門下侍郎)
소납언상서 랑(尚書郎), 문하급사(門下給事)
시종拾遺|습유중국어
장인소내알자감, 황문서
장인두관주관수(貫主), 연수
장인시중(侍中), 석랑(夕郎), 석배랑(夕拝郎), 선랑(仙郎), 곤선(紺蟬)
외기사관(史官), 문하록사(門下録事), 외사(外史), 주서(主書)
대변대승(大丞)
중변중승(中丞), 사랑중(司郎中)
소변사랑소승(司郎少丞)
대사상서도사(尚書都事), 상서주사(尚書主事), 대도사(大都事)
치부성예부(禮部), 춘관(春官)
치부경예부(禮部) 상서(尚書), 대상경(大常卿)
민부성호부(戸部), 지관(地官)
민부경호부(戸部) 상서(尚書)
병부성병부(兵部), 하관(夏官), 위위(衛尉)
병부경병부(兵部) 상서(尚書), 하관상서(夏官尚書), 위위상서(衛尉尚書), 위위경(衛尉卿)
형부성형부(刑部), 추관(秋官), 대리(大理)
형부경형부상서(刑部尚書), 대리경(大理卿)
대장성대부(大府), 대부사(大府寺), 천관(天官), 외관(外官)
대장경대부경(大府卿), 장부상서(蔵部尚書)
궁내성공부(工部), 동관(冬官), 사농사(司農寺), 전중성(殿中省)
궁내경공부상서(工部尚書), 금성상서(禁省尚書), 사농경(司農卿), 광록경(光禄卿), 전중감(殿中監), 소부감(小府監)
근위장감위장사(衛長史), 친위교위(親衛校尉), 친위군장사(親衛軍長史), 참군(參軍), 천우장(千牛長), 록사(録事)
근위장조친위록사(親衛録事), 병조기당(兵曹騎當)
병위독무위대장군(武衛大將軍), 위위대장군(威衛大將軍), 진군대장군(鎮軍大將軍)
병위좌무위장군(武衛將軍), 위위장군(威衛將軍), 진군장군(鎮軍將軍), 응양장군(鷹揚將軍)
병위위무위장사(武衛長史), 무위교위(武衛校尉), 위위장사(威衛長史), 진군장사(鎮軍長史)
병위지무위록사(武衛録事), 진군록사(鎮軍録事)
위문부금오(金吾), 감부(監府), 감문(監門)
위문독성문교위(城門校尉), 금오대장군(金吾大將軍), 감문위대장군(監門衛大將軍), 감문대장군(監門大將軍)
위문좌금오장군(金吾將軍), 감문위장군(監門衛將軍), 감문장군(監門將軍), 금오차장(金吾次將), 감문차장(監門次將)
위문위금오장사(金吾長史), 금오소위(金吾少尉), 감문위장사(監門衛長史), 록사참군(録事參軍)
위문지금오록사(金吾録事), 감문록사(監門録事)
대재부도독부(都督府), 대도독부
대재수도독(都督), 도독
대재대이도독장사, 도독대경
대재소이도독사마, 도독소경
대재감도독록사, 도독낭중, 참군사
대재전도독록사, 도독주부
국사(~)장사(長史), 별가(別駕)
국사(~)참군사(參軍事), 사마(司馬)
국사(~목)주부(主簿)
검비위사별당대리경(大理卿)
검비위사위정위(廷尉)
탄정대상대(霜台)
탄정윤어사대부(御史大夫)
중궁대부・황후궁대부장추감(長秋監)
대선대부광록경(光禄卿)
수리직장작(匠作)
수리대부장작대윤(匠作大尹), 장작감(将作監), 장작대장(将作大匠)
현번료홍려시(鴻臚寺), 숭현서(崇玄署), 전객서(典客署)
현번두홍려경(鴻臚卿)
경직경조부(京兆府), 풍익(馮翊), 부풍(扶風)
좌경대부・우경대부경조윤(京兆尹)
시사시서(市署)
시정시령(市令)
병고두무고령(武庫令)
마두전구(典厩)
감해유사구감(勾勘)


  • '''산위'''의 당명

위계당명 (산관 참조)
정일품산계、(무인) 무산계
종일품개부의동삼사、(무인) 표기대장군
정2품특진、상주국、(무인) 보국대장군
종2품광록대부、(무인) 진군대장군
정3품금자광록대부、(무인) 관군대장군
종3품은청광록대부、(무인) 운휘대장군
정4품정의대부、(무인) 충무대장군
정4품하통의대부、(무인) 장무대장군
종4품태중대부、(무인) 선위대장군
종4품하중대부、(무인) 명위대장군
정5품중산대부、(무인) 정원장군
정5품하조의대부、(무인) 녕원장군
종5품조청대부、(무인) 유기대장군
종5품하조산대부、(무인) 유격장군
정6품조의랑、(무인) 유무교위
정6품하승의랑
종6품봉의랑
종6품하통직랑
정7품조청랑
정7품하선덕랑
종7품조산랑
종7품하정의랑
정8품급사랑
정8품하징사랑
종8품승봉랑
종8품하승무랑


3. 1. 천황 및 황족 관련

南面之主중국어, 九五之尊중국어, 一人중국어 등은 천황의 당명이다. 황후, 중궁의 당명으로는 장추궁(長秋宮), 椒房중국어, 椒庭중국어 등이 있다. 황태자는 동궁(東宮), 青宮중국어, 昭陽중국어 등으로 불렸으며, 태상천황선동(仙洞), 芝砌중국어, 具茨山중국어 (구자산) 등으로 불렸다.

3. 2. 관직 관련

부서명·관명당명 (좌우 관이 있는 경우, 원칙적으로 각 당명의 앞에 좌우를 붙임)
신기관대상사(大常寺)
태정관상서성(尚書省), 난대(鸞台), 란성(蘭省), 도성(都省), 괴서(槐署)
태정대신상국(相國), 사공(司空), 태사(太師), 태위(太尉), 태보(太保), 태부(太傅), 태평후(太平侯), 태합(大閤)[1]
좌대신좌부(左府), 좌승상(左丞相), 좌복야(左僕射), 좌태합(左太閤), 좌상각(左相閤), 좌각(左閤)
우대신우부(右府), 우승상(右丞相), 우복야(右僕射), 우태합(右太閤), 우상각(右相閤), 우각(右閤)
대납언아상(亜相), 아괴(亜塊), 문하 시중(門下侍中)
참의재상(宰相), 상공(相公), 간의대부(諌議大夫)
중무성중서성(中書省), 자미성(紫微省), 전중성(殿中省), 봉각(鳳閣)
식부성이부(吏部)성, 리부(吏部)


3. 3. 군사 관련

근위부에는 우림(羽林)과 친위(親衛)가 있었다.[2] 근위대장에는 우림대장군(羽林大將軍), 친위대장군(親衛大將軍) 등이 있었다.[2] 병위부에는 무위(武衛), 위위(威衛), 응양(鷹揚) 등이 있었다.[2]

3. 4. 지방관 관련

국사(~)의 당명으로는 태수(太守), 자사(刺史)[3], 이천석(二千石) 등이 있었다.

4. 역사적 명칭에 나타난 당명

8세기 전반, 다이호 율령요로 율령에 의해 2관 8성 이하의 직제가 정비되고 백관의 직명이 제정된 전후부터 당풍의 직명 및 부서명을 일종의 아칭으로 사용하는 일이 있었다. 덴표호지 2년(758년), 후지와라 나카마로(에미노 오시카츠)가 정권을 잡자 백관명을 모두 당명으로 바꾸었다.[4]

후지와라 나카마로 정권에서의 관직 명칭 변경[4]
관직신명칭관직신명칭관직신명칭관직신명칭
태정관건정관태정대신대사좌대신대부우대신대보
대납언어사대부자미중대곤궁관중무성신부성식부성문부성
치부성예부성민부성인부성병부성무부성형부성의부성
대장성절부성궁내성지부성탄정대규정대도서료내사국
음양료대사국중위부진국위대장대위소장효기장군
원외소장차장위문부사문위위사부용사위병위부호분위



덴표호지 8년(764년) 나카마로가 실각한 후에는 구체제로 돌아갔지만, 그 후에도 관직의 별명이나 아칭으로서 당풍의 관명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나라 시대 후반부터 헤이안 시대에 걸쳐 생긴 다양한 령외의 관에도 당명이 붙여졌다.[4]

이러한 당명은 본가인 중국 역대 왕조의 직제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아 일대일로 치환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몇몇 직에서는 중복되는 것이 있고, 반대로 하나의 직에 여러 개의 당명이 있는 것도 적지 않았다.[4]

당명은 조정의 정식적인 위계 등에는 기록되지 않았지만, 서간, 일기, 한시 등 사적인 문서에는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에도 시대에도 무가 관위에 부수되는 아칭으로서 존속했고, 메이지 유신으로 율령제가 명실상부하게 종언을 맞이한 후에도 메이지 초기의 태정관제에 부수되어 계승되었다.[4]

1885년 내각 제도가 발족하면서 내각총리대신을 "수상", 외무대신을 "외상" 등으로 불렀다. 또한 추밀원 의장을 "추상", 내대신을 "내부"라고도 불렀다.[4]

4. 1. 서명


  • '''이부왕기(吏部王記)』''': 시게아키라 친왕의 일기. 식부경(이부상서)에서 유래했다.[4]
  • '''산괴기(山槐記)』''': 나카야마 다다치카의 일기. 대신(괴문)에서 유래했다.
  • '''금괴화가집(金槐和歌集)』''': 미나모토노 사네토모의 가집. 별명은 『가마쿠라 우다이진 가집』이다. "금"은 가마쿠라의 '가마(鎌)'를, "괴"는 괴문(대신)을 뜻한다.

4. 2. 가문의 통칭

우림가공가의 격 중 하나이다. 고노에쇼쇼·주장의 관직에서 가직으로 삼은 것에서 유래하였다.[4]

교조가는 무로마치 막부간령을 배출한 호소카와씨 적류이다. 우쿄다이부 = 교조윤에서 유래하였다.[4]

4. 3. 인명의 통칭

관승상(菅丞相)우대신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를 가리키는 말로, 우대신이 우승상(右丞相)에서 유래했다는 데에서 비롯되었다. 단, 인형 조루리·가부키의 명작 『스가와라 전수 습자감』에서는 "칸'''쇼'''조"라고 한다.[4]

평상국(平相国)태정대신 다이라노 기요모리를 가리키는 말로, 태정대신이 상국(相国)에서 유래했다는 데에서 비롯되었다. 기요모리는 출가 후 입도상국(入道相国)이라고도 불렸다.[4]

미토 황문(水戸黄門)은 미토번주·권중납언 도쿠가와 미츠쿠니를 가리키는 말로, 권중납언이 황문(黄門)에서 유래했다는 데에서 비롯되었다.[4]
태합(太閤)관백(및 그 퇴임자)을 이르는 말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대표적이다.[5] 임진왜란과 관련하여 한국사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 칭호이다.

5. 현대 사회와 당명

현대 일본 사회에서도 일부 당명은 관용구처럼 사용되고 있다. 내각총리대신을 "수상"이라고 부르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외무대신을 "외상"이라고 부르는 것도 당명의 흔적이다.

참조

[1] 문서 後に関白職を子弟に譲った前関白の称となる。さらに出家した前関白は「禅定太閤」「禅閤」という。
[2] 문서 『[[職原抄]]』によれば本来は近衛大将に用いたものだが、[[源頼朝]]が右近衛大将(右大将)に任官後に[[征夷大将軍]]に就任したことから、以後は征夷大将軍の唐名としても扱われるようになる。
[3] 문서 [[受領]]名を唐名にする場合、国名は「○州」とした。例:[[美濃国|美濃]]→濃州、[[三河国|三河]]→三州など。
[4] 문서 式部卿の唐名であるが、親王任官職であるため実質的な長官である式部大輔にも用いられるようになった。
[5] 서적 太閤記 岩波書店 1996
[6] 웹사이트 『「信長=男色家」に根拠なし…森蘭丸や前田利家を寵愛したという通説は後世の勝手な創作だった』 https://president.jp[...] プレジデント社 2023-06-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