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로표지 및 신호에 관한 빈 협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로표지 및 신호에 관한 빈 협약은 1968년 비엔나에서 체결되어 1978년에 발효된 국제 협약으로, 도로 교통 표지 및 신호에 대한 표준화를 목표로 한다. 이 협약은 1949년 제네바 의정서를 개정 및 확대하여 표지 가독성, 회전 교차로 우선 순위, 터널 안전 개선 등 새로운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협약에 따른 표지들은 주의, 우선순위, 금지, 의무, 특별 규제, 정보 등을 나타내며, 표지판의 모양, 색상, 기호 등을 규정한다. 2022년 10월 현재 71개 당사국과 35개 서명국이 있으며, 대한민국은 서명국이지만 아직 비준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통 조약 - 헤이-뷔노 바리야 조약
    헤이-뷔노 바리야 조약은 1903년 미국과 파나마가 체결한 조약으로, 미국이 파나마 운하 건설 및 운영에 필요한 권리를 확보하여 파나마 지협의 운하 지대에 대한 통치권을 얻었으나, 파나마에 불리한 조건과 미국의 과도한 영향력으로 비판받았으며, 1977년 토리호스-카터 조약으로 대체되어 파나마 운하의 통제권이 파나마로 이전되었다.
  • 1978년 발효된 조약 - 미주인권협약
    미주인권협약은 미주기구 회원국 간 인권 조약으로, 미주 지역 내 개인의 자유와 사회 정의 시스템을 강화하고 인간의 기본적 권리 보호를 목표로 시민적, 정치적 권리 외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까지 보장하며, 미주인권재판소 해석 및 의정서를 통해 내용이 확대되어 왔다.
  • 1978년 발효된 조약 - 특허협력조약
    특허협력조약(PCT)은 1970년에 체결되어 1978년에 발효된 국제 조약으로, 여러 국가에 특허를 출원하는 절차를 간소화하며, 단일 출원을 통해 여러 국가에서 특허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로표지 및 신호에 관한 빈 협약
조약 정보
이름도로표지 협약
세계 지도, 도로 표지 및 신호에 관한 비엔나 협약의 서명 상태 표시
2023년 4월 기준 서명 및 비준
서명일1968년 11월 8일
서명 장소
발효일1978년 6월 6일
발효 조건15개국 비준
서명국35
당사국71
기탁자유엔 사무총장
사용 언어중국어,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2. 역사

도로 표지와 신호의 국제적 통일을 목표로 한 이 협약은 이전의 국제 규범들을 바탕으로 발전했다. 1931년 제네바 도로 신호 통일 협약과 이를 계승한 1949년 제네바 도로 표지 및 신호에 관한 의정서를 개정하고 실질적으로 확대한 것이다.[1]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시작된 도로 표지판 통일 노력은[9] 1968년 11월 8일 비엔나에서 열린 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 주관 도로 교통 회의에서 이 협약의 채택으로 결실을 보았으며, 협약은 1978년 6월 6일 발효되었다. 이 회의에서는 도로 교통에 관한 비엔나 협약도 함께 채택되었다.

협약은 20세기 유럽 대륙 서부에서 발전된 도로 교통 표지에 대한 합의를 기반으로 하며, 가능한 한 보편성을 확보하기 위해 일부 변형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위험 경고 표지는 삼각형 또는 정사각형 다이아몬드 모양일 수 있고, 노면 표시는 흰색 또는 노란색일 수 있다. 2003년에는 표지 가독성 향상, 회전 교차로 우선 순위 명확화, 터널 안전 개선 등을 위한 개정이 이루어졌다.

비록 모든 유엔 회원국이 협약을 비준한 것은 아니지만, 협약에 명시된 표지와 원칙은 세계 여러 지역 교통 법규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남아프리카 개발 공동체(SADC)의 SADC-RTSM이나 미국의 통일 교통 통제 장치 매뉴얼(MUTCD)과 같이 지역별로 다른 규약을 따르는 경우도 있다.[2]

2. 1. 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와 협약 채택

이 협약은 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1968년 10월 7일부터 11월 8일까지 비엔나에서 개최한 도로 교통 회의에서 합의되었다. 회의 결과 협약은 1968년 11월 8일 비엔나에서 체결되었으며, 1978년 6월 6일에 발효되었다. 이 회의에서는 국제적인 교통 법규를 표준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도로 교통에 관한 비엔나 협약도 함께 채택되었다.[9]

2. 2. 제네바 의정서 및 협약 개정

빈 협약은 이전의 국제적인 노력을 바탕으로 제정되었다. 1931년 제네바에서 체결된 '도로 신호 통일 협약'이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1949년 '제네바 도로 표지 및 신호에 관한 의정서'가 마련되었다.[1]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도로 표지판을 국제적으로 통일하려는 움직임 속에서, 1949년 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 산하 위원회에서 표지판 통일안이 제안되었다. 이 안은 1952년 유엔 총회에서 채택되었고, 1953년에는 68개국이 참여한 '유엔 도로 표지판(도로 표지판 및 신호에 관한 의정서)'이 발행되었다.[9] 빈 협약은 이러한 1949년 제네바 의정서를 개정하고 내용을 실질적으로 확대한 것으로, 1968년 유엔 도로 교통 회의에서 성립되었다.[1][9] 비엔나 협약과 제네바 의정서는 모두 20세기 유럽 대륙 서부에서 발전된 도로 교통 표지에 대한 합의를 기반으로 한다. 2003년에는 표지 가독성 향상, 회전 교차로 우선 순위 명확화, 터널 안전 개선을 위한 새로운 표지 도입 등을 내용으로 하는 개정안이 채택되었다.

2. 3. 기타 협약

남아프리카 개발 공동체(SADC)가 제공하는 SADC-RTSM이라는 대체 협약은 남아프리카 10개국에서 사용된다. SADC-RTSM의 많은 규칙과 원칙은 비엔나 협약과 유사하다.

미국에서는 표지판이 미국 연방 고속도로 관리청의 통일 교통 통제 장치 매뉴얼(MUTCD)을 기반으로 한다. MUTCD의 표지판은 텍스트 위주인 경우가 많지만, 일부 표지판은 그림 문자도 사용한다. 캐나다와 호주는 MUTCD를 기반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을 사용한다. 남아메리카, 아일랜드, 여러 아시아 국가(캄보디아, 일본, 태국,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및 뉴질랜드의 도로 표지판은 비엔나 협약과 MUTCD의 영향을 모두 받는다. 중앙 아메리카의 도로 표지판은 MUTCD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미국 MUTCD와 동일한 중앙 아메리카 통합 시스템(SICA)인 Manual Centroamericano de Dispositivos Uniformes para el Control del Transitospa를 기반으로 한다.[2]

3. 규칙

도로표지 및 신호에 관한 빈 협약은 국제 도로 교통의 안전과 원활한 소통을 위해 도로표지, 노면 표시, 신호등에 대한 통일된 규칙을 마련하고 있다. 이 협약은 각 체약국이 자국의 교통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기준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도로표지: 기능에 따라 주의표지, 우선순위표지, 금지표지, 의무표지, 특별규제표지, 정보·시설·서비스 표지, 방향·위치·안내 표지, 부가표지의 8가지로 분류하고, 각 표지의 형태, 색상, 크기, 사용 기호 등에 대한 세부 규정을 명시한다.
  • 노면 표시: 차선, 정지선, 문자, 기호 등 도로 노면에 표시되는 표식의 색상(백색 또는 황색), 높이 제한(6mm 이하), 도로표지병 등의 높이 제한(15mm 이하) 및 사용 기준을 규정한다.
  • 신호등: 교통 신호등의 색상별 의미(예: 녹색-진행, 황색-주의/정지 준비, 적색-정지)와 형태, 설치 위치, 점멸 신호의 의미 등을 통일하여 규정한다.


이러한 규칙들은 각 체약국이 자국의 교통 법규 및 표지 시스템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데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하며, 국경을 넘나드는 운전자들이 일관된 교통 신호 체계를 이해하고 따를 수 있도록 돕는다. 각 규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도로 표지

빈 협약 제2조는 모든 도로 표지를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이 8개의 분류(A부터 H까지)로 나누어 규정하고 있다. 각 분류는 고유한 목적과 디자인 특징을 가진다.

  • '''A''': 주의표지 - 도로상의 위험을 운전자에게 미리 경고한다.
  • '''B''': 우선순위표지 - 교차로나 특정 구간에서 차량의 통행 우선권을 지정한다.
  • '''C''': 금지표지 - 특정 행위(예: 진입, 주정차, 추월 등)를 금지하거나 제한한다.
  • '''D''': 의무표지 - 특정 행위(예: 직진, 우회전, 자전거 통행 등)를 강제하거나 지시한다.
  • '''E''': 특별규제표지 - 특정 규칙이나 규제가 적용되는 구역(예: 주거지역, 보행자 구역)의 시작과 끝을 알린다.
  • '''F''': 정보, 편의 또는 서비스 표지 - 도로 이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나 주변의 편의 시설(예: 주유소, 휴게소, 병원) 또는 서비스를 안내한다.
  • '''G''': 위치 및 방향 지시 표지 - 목적지까지의 방향, 거리, 도로 번호, 지명 등 위치 및 경로 정보를 제공한다.
  • '''H''': 부가표지 - 다른 주 표지판과 함께 설치되어 그 의미를 보충하거나 적용되는 특정 조건(예: 시간, 거리, 날씨, 특정 차량)을 명시한다.


협약은 이러한 각 분류의 표지판에 대해 형태, 색상, 크기, 사용될 기호나 그림문자 등에 대한 세부적인 규정을 명시하고 있다. 여러 기호나 규격이 허용되는 경우, 각 국가는 통일된 기준을 채택하여 전국적으로 일관성 있게 사용해야 한다. 표지판에 사용되는 문자(예: 정지 표지판의 'Stop')는 해당 국가의 공용어 또는 영어와 같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언어로 표기될 수 있다. 또한, 야간이나 악천후 시에도 운전자가 표지판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야간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표지판이 헤드라이트 불빛을 반사하는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각 표지 분류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1. 주의 표지 (A)

주의표지는 도로상의 위험을 운전자에게 미리 알리기 위한 표지이다. 빈 협약 제2조에 따라 주의표지는 'A' 분류로 지정되며, 주로 두 가지 형태가 사용된다.

형태배경테두리크기기호예시
정삼각형백색 또는 황색적색0.9m (대형)
0.6m (소형)
흑색 또는 암청색 등
정삼각형 주의표지 (백색 배경) 예시
정삼각형 주의표지 (황색 배경) 예시
마름모 (다이아몬드)황색흑색0.6m (대형)
0.4m (소형)
흑색 또는 암청색 등
마름모 주의표지 예시


  • 정삼각형 형태: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흰색 또는 노란색 배경에 빨간색 테두리를 가진다. 기호는 검은색 또는 짙은 파란색으로 표시된다.
  • 마름모 형태: 일부 국가(예: 아일랜드,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등)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노란색 배경에 검은색 테두리와 기호를 사용한다.


빈 협약은 주의 표지에 사용할 수 있는 기호와 그림문자를 정하고 있으며, 여러 기호가 허용되는 경우 각 국가는 통일된 기호를 지정하여 사용해야 한다. 야간에 사용될 필요가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교통표지는 헤드라이트 불빛으로 멀리서도 식별 가능하도록 충분히 반사되어야 한다.

3. 1. 2. 우선순위 표지 (B)

우선순위 표지는 교차로나 도로의 특정 구간에서 어느 차량에게 통행 우선권이 있는지를 나타낸다. 빈 협약에서는 B 그룹으로 분류하며, 다음과 같은 종류와 특징을 가진다.

표지판 종류모양바탕테두리크기기호예시
우선권 표지판
양보 표지판역삼각형흰색 또는 노란색빨간색0.9m (대형), 0.6m (소형)없음
양보 표지판 (백색 바탕)
양보 표지판 (황색 바탕)
정지 표지판팔각형빨간색흰색0.9m (대형), 0.6m (소형)흰색 Stop 글자
정지 표지판 (팔각형)
원형흰색 또는 노란색빨간색0.9m (대형), 0.6m (소형)빨간색 역삼각형 안 검정색 또는 짙은 파란색 Stop 글자
정지 표지판 (원형, 백색 바탕)
정지 표지판 (원형, 황색 바탕)
우선 도로마름모흰색검정색0.5m (대형), 0.35m (소형)노란색 또는 주황색 사각형
우선 도로 표지판 (황색 사각형)
우선 도로 표지판 (주황색 사각형)
우선 도로 종료마름모흰색검정색0.5m (대형), 0.35m (소형)노란색 또는 주황색 사각형 위 검정색 또는 회색 대각선
우선 도로 종료 표지판 (황색 사각형, 검정 사선)
우선 도로 종료 표지판 (주황색 사각형, 회색 사선)
마주 오는 차량에 대한 우선권 (양보)원형흰색 또는 노란색빨간색명시되지 않음검정색 화살표(진행 방향), 빨간색 화살표(마주 오는 방향)
마주 오는 차량 우선 표지판 (백색 바탕, 본인 양보)
마주 오는 차량 우선 표지판 (황색 바탕, 본인 양보)
마주 오는 차량에 대한 우선권 (우선)직사각형파란색없음명시되지 않음흰색 화살표(진행 방향, 우선), 빨간색 화살표(마주 오는 방향)
내 차량 우선 표지판 (본인 우선)

정지 표지판의 'Stop' 문구는 해당 국가의 언어영어로 표기될 수 있다.

3. 1. 3. 금지 표지 (C)

표지 종류모양바탕테두리크기기호예시
표준 금지표지원형백색 또는 황색적색0.6m (대)
0.4m (소)
다양함; 흑색 또는 짙은 파란색
표준 금지표지 (백색 바탕)
표준 금지표지 (황색 바탕)
주차금지원형청색적색0.6m (대)
0.2m (소)
없음
주차금지 (청색 바탕)
원형백색 또는 황색적색0.6m (대)
0.2m (소)
주차를 나타내는 첫 글자 또는 그림 문자;
흑색 또는 짙은 파란색
주차금지 (백색 바탕)
주차금지 (황색 바탕)
정차금지원형청색적색0.6m (대)
0.4m (소)
없음
정차금지
금지 해제원형백색 또는 황색없음0.6m (대)
0.4m (소)
흑색 또는 회색 대각선
금지 해제


3. 1. 4. 의무 표지 (D)

빈 협약에서 D 분류로 지정된 의무표지는 특정 행위를 강제하거나 지시하는 도로표지이다. 의무 표지의 기본적인 형태와 규격은 다음과 같다.

표지 종류형태배경테두리크기기호예시
표준 의무 표지원형청색없음, 흰색0.6m (대형)
0.4m (소형)
0.3m (초소형)
흰색
의무 표지 (청색 바탕)
원형흰색 또는 황색적색0.6m (대형)
0.4m (소형)
0.3m (초소형)
검정색 또는 짙은 파란색
의무 표지 (흰색 바탕)
의무 표지 (황색 바탕)



의무 표지는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특정 방향으로의 진행, 특정 차로 이용, 혹은 특정 행위(예: 자전거 전용도로, 보행자 전용도로) 등을 강제하는 데 사용된다. 표지판의 기호는 해당 의무 내용을 시각적으로 나타낸다.

3. 1. 5. 특별 규제 표지 (E)

빈 협약에서 규정하는 특별 규제 표지(E)는 특정 규칙이나 규제가 적용되는 구역임을 알리는 표지판이다. 이 표지판의 일반적인 형태와 색상 등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형태배경테두리크기기호예시
사각형파란색규정 없음규정 없음흰색 등
특별 규제 표지 예시 1
밝은색검정색 등
특별 규제 표지 예시 2


3. 1. 6. 정보, 편의 또는 서비스 표지 (F)

정보, 시설 또는 서비스 표지판(F)은 도로 이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나 근처의 편의 시설, 서비스 등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빈 협약에서는 이 표지판들의 구체적인 모양이나 크기, 테두리에 대한 규정을 명시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배경색은 청색 또는 녹색을 사용하며, 표지판 안에는 흰색이나 노란색 바탕의 사각형 안에 해당 시설이나 서비스를 나타내는 다양한 기호나 그림문자를 표시한다.

정보 표지(응급처치소) 예시

3. 1. 7. 위치 및 방향 지시 표지 (G)

빈 협약에 따른 위치 및 방향 지시 표지(G)는 운전자에게 목적지, 방향, 위치 또는 기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 표지들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표지판 종류모양바탕테두리크기기호예시
정보 표지판직사각형, 때로는 화살표 머리가 있음밝은색명시되지 않음명시되지 않음다양함, 어두운색
캠핑장 방향 안내 표지 예시
어두운색명시되지 않음명시되지 않음다양함, 밝은색
주요 도로 방향 안내 표지 예시
자동차전용도로직사각형청색 또는 녹색명시되지 않음명시되지 않음다양함, 흰색
자동차전용도로 시작 표지(청색 바탕) 예시
자동차전용도로 시작 표지(녹색 바탕) 예시
임시직사각형황색 또는 주황색명시되지 않음명시되지 않음다양함, 검정색
공사 안내 등 임시 표지 예시


3. 1. 8. 부가 표지 (H)

부가 표지(H)는 다른 도로표지판과 함께 설치되어 주 표지판의 의미를 보충하거나 특정 조건(시간, 거리, 차량 종류 등)을 명시하는 역할을 한다. 빈 협약에서는 부가 표지의 구체적인 형태나 크기를 규정하지 않으며, 내용 전달에 적합하도록 설계할 수 있게 허용한다.

부가 표지의 색상 조합 및 규격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표지판 종류모양바탕테두리크기기호예시
보조 표지명시되지 않음흰색, 파란색 또는 노란색검정색, 파란색 또는 빨간색명시되지 않음다양함, 검정색 또는 짙은 파란색
빈 협약 부가 표지 예시 (밝은 배경)
검정색, 빨간색 또는 짙은 파란색흰색, 파란색 또는 노란색명시되지 않음다양함, 흰색, 파란색 또는 노란색
빈 협약 부가 표지 예시 (어두운 배경)


3. 2. 노면 표시

빈 협약은 도로 노면에 표시하는 표식에 대한 규정을 포함하고 있다. 모든 노면 표식은 그 높이가 6mm 이하여야 하며, 도로표지병이나 반사경과 같은 시설물의 경우 노면으로부터 15mm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11][3] 노면 표식의 색상은 백색 또는 황색으로 표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11][3]

차선은 일반적으로 파선(점선)으로 표시해야 한다. 다만,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어렵거나 도로 폭이 좁아지는 등 특별한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연속선(실선)을 사용할 수 있다. 노면 표식의 길이와 너비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협약에서 구체적인 크기를 명시하고 있지는 않다.

도로 노면에 글자를 표시할 경우에는 지명이나 "정지"(Stop), "택시"(Taxi)와 같이 여러 언어권에서 보편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단어를 사용해야 한다.[11][3]

3. 3. 신호등

빈 협약은 신호등의 색상과 그 의미, 신호가 사용되는 장소와 목적 등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유형모양색상위치의미
비점멸일반형
녹색 신호등
녹색교차로, 터널 또는 다리 입구진행
황색 신호등
황색교차로, 철길 건널목, 도개교, 공항, 소방서 또는 페리 터미널가능하면 정지 (안전하게 멈출 수 있는 경우)
적색 신호등
적색교차로정지
적색 및 황색 동시 신호등
적색 및 황색교차로신호 변경 예고 (곧 녹색 신호로 바뀔 것임을 알림)
왼쪽 화살표녹색교차로좌회전 차량만 녹색 신호에 따라 진행 가능
오른쪽 화살표녹색교차로우회전 차량만 녹색 신호에 따라 진행 가능
위쪽 화살표녹색교차로직진 차량만 녹색 신호에 따라 진행 가능
아래쪽 화살표
녹색 아래 화살표 차선 신호
녹색차선 위해당 차선 이용 가능
십자(×)
적색 X 차선 신호
적색차선 위해당 차선 진입 불가 (차선 폐쇄)
대각선 하향 화살표
황색/백색 대각선 화살표 차선 신호
황색 또는 백색차선 위차선 폐쇄 예정,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차선 변경 필요
점멸일반형
교대 점멸 적색 신호등
이중 적색 (교대로 점멸)철길 건널목, 도개교, 공항, 소방서 또는 페리 터미널정지
백색 점멸 신호등 (철길 건널목)
월광 백색철길 건널목진행
황색 점멸 신호등
황색 점멸교차로를 제외한 모든 곳주의하며 진행
황색 점멸 신호등 (교차로)
황색 점멸교차로우선도로 표지() 또는 양보 표지()에 따라 통행 우선권 결정. 해당 표지가 없는 경우 일반적인 통행 우선 규칙에 따름.



적색 점멸 신호는 위에 명시된 특정 위치(건널목, 도개교, 공항, 소방서, 페리 터미널 등)에서만 사용해야 하며,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협약 위반이다. 적색 신호등은 신호등 배열이 세로인 경우 가장 위에 위치해야 하고, 가로인 경우 마주 오는 차량 진행 방향에 가장 가까운 쪽에 설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한국과 같이 우측 통행 국가에서는 가장 왼쪽에, 일본과 같은 좌측 통행 국가에서는 가장 오른쪽에 적색등이 위치한다.

4. 협약 당사자

2022년 10월 기준으로 이 협약에는 71개의 당사국과 35개의 서명국(가입 회원 포함)이 있다.[12][4]

유럽 국가 중에서는 아일랜드, 아이슬란드, 몰타가 협약에 가입하지 않았으며, 안도라는 서명은 했지만 아직 비준하지 않았다.[13][4]

아시아에서는 캄보디아, 라오스, 대한민국이 서명국이지만 아직 협약을 비준하지 않은 상태이다.[14][4] 협약에 가입하지 않은 주요 아시아 국가로는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이 있다.[4]

협약에 서명하지 않은 일부 국가들도 자발적으로 빈 협약의 표지판 규정을 채택하여 사용하기도 한다.[5]

4. 1. 비준국

2022년 10월 기준, 이 협약에는 86개의 당사국(비준 또는 가입국)이 있다.[4]



유럽 국가 중에서는 안도라, 아일랜드, 아이슬란드, 몰타, 모나코가 이 협약에 가입하지 않았다.[4]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말레이시아, 중화인민공화국(홍콩마카오 포함), 중화민국 (타이완), 이스라엘, 일본, 요르단, 레바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오만, 팔레스타인, 시리아, 예멘이 가입하지 않았다. 캄보디아, 라오스, 대한민국은 협약에 서명했지만, 아직 비준하지는 않았다.[4]

그 외 협약에 서명하지 않은 다른 국가들 중 일부는 자발적으로 빈 협약 표지판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5]

4. 2. 서명국

2022년 10월 기준으로, 다음 국가들은 협약에 서명하였으나 아직 비준하지 않았다.

4. 3. 비가입국

유럽 국가 중 이 협약에 가입하지 않은 국가는 안도라, 아일랜드, 아이슬란드, 몰타, 모나코이다.[4]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말레이시아, 중화인민공화국(홍콩마카오 포함), 중화민국 (타이완), 이스라엘, 일본, 요르단, 레바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오만, 팔레스타인, 시리아, 예멘이 가입하지 않았다.[4] 캄보디아, 라오스, 대한민국은 모두 서명국이지만, 아직 협약을 비준하지 않았다.[4]

그 외 다른 국가들은 이 협약에 서명하지 않았지만, 일부는 자발적으로 빈 협약 표지판을 채택하고 있다.[5]

참조

[1] 간행물 Protocol on Road Signs and Signals https://treaties.un.[...] 1949-09-19
[2] 웹사이트 "Manual Centroamericano de Dispositivos Uniformes para el Control del Transito 2014" https://irp.cdn-webs[...] SIECA 2024-01-05
[3] 서적 Convention on Road Signs and Signals https://treaties.un.[...] 1968-11-08
[4] 웹사이트 Chapter XI Transport and Communications - B. Road Traffic - 20. Convention on Road Signs and Signals https://treaties.un.[...] United Nations 2022-01-16
[5] 웹사이트 Road Traffic signs in Andorra https://www.adcidl.c[...] 2024-08-01
[6] 문서 Central American Manual Of Uniform Devices For The Control Of Transit
[7] 웹사이트 PROTOCOL ON ROAD SIGNS AND SIGNALS http://geocities.com[...] 2009-10-26
[8] 웹사이트 1931 年道路信号統一条約 http://members.jcom.[...] Members.jcom.home.ne.jp
[9] 웹사이트 世界の道路標識 https://www.mlit.go.[...]
[10] 간행물 Protocol on Road Signs and Signals https://treaties.un.[...] 1949-09-19
[11] 서적 Convention on Road Signs and Signals https://treaties.un.[...] 1968-11-08
[12] 웹인용 Chapter XI Transport and Communications - B. Road Traffic - 20. Convention on Road Signs and Signals https://treaties.un.[...] United Nations 2022-01-16
[13] 웹인용 Chapter XI Transport and Communications - B. Road Traffic - 20. Convention on Road Signs and Signals https://treaties.un.[...] United Nations 2022-01-16
[14] 웹인용 Chapter XI Transport and Communications - B. Road Traffic - 20. Convention on Road Signs and Signals https://treaties.un.[...] United Nations 2022-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