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럼피스킨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럼피스킨병은 럼피스킨병 바이러스(LSDV)에 의해 발생하는 소 질병으로, 피부 결절, 발열, 식욕 부진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LSDV는 폭스바이러스과에 속하는 이중 가닥 DNA 바이러스로, 주로 흡혈성 절지동물에 의해 전파되며, 소, 물소, 기린 등 다양한 동물에게 영향을 미친다. 럼피스킨병은 아프리카에서 시작되어 중동,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으며, 2023년 대한민국에서도 발생하여 백신 접종과 방역 조치가 시행되었다. 특별한 치료법은 없으며 백신 접종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

2. 럼피스킨병 바이러스 (LSDV)

럼피스킨병 바이러스(LSDV)는 이중 가닥 DNA 바이러스로, ''Poxviridae''과 capripoxvirus 속에 속한다.[2] 카프리폭스바이러스 속은 LSDV, 양두창 바이러스, 염소두창 바이러스로 구성된다.[2]

포크스바이러스과(Poxviridae) 바이러스의 전형적인 벽돌 모양 구조


럼피스킨병 바이러스는 벽돌 모양을 하고 있으며, 다른 포크스바이러스과 바이러스에 비해 더 타원형이며 큰 측면체를 가지고 있다. 럼피스킨병 바이러스 입자의 평균 크기는 320nm x 260nm이다.

럼피스킨병 바이러스는 151-kbp 게놈을 가지며, 이는 동일한 2.4 kbp 역방향 말단 반복 서열로 둘러싸인 중앙 코딩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156개의 유전자를 포함한다.[2]

2. 1. 분류

럼피스킨병 바이러스(LSDV)는 이중 가닥 DNA 바이러스이다. 이는 ''Poxviridae''과 capripoxvirus 속에 속한다.[2] 카프리폭스바이러스(CaPV)는 Chordopoxvirus(ChPV) 아과 내 8개의 속 중 하나이다.[2] 카프리폭스바이러스 속은 LSDV, 양두창 바이러스, 염소두창 바이러스로 구성된다.[2] CaPV 감염은 혈청학적으로 서로 구별할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 특정 지리적 분포 내에서 숙주 특이적이다.[2]

2. 2. 구조



럼피스킨병 바이러스는 벽돌 모양을 하고 있으며, 다른 포크스바이러스과 바이러스에 비해 더 타원형이며 큰 측면체를 가지고 있다. 럼피스킨병 바이러스 입자의 평균 크기는 320nm x 260nm이다.

2. 3. 유전체

럼피스킨병 바이러스는 151-kbp 게놈을 가지며, 이는 동일한 2.4 kbp 역방향 말단 반복 서열로 둘러싸인 중앙 코딩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156개의 유전자를 포함한다.[2] LSDV와 다른 속의 현생 포스 바이러스를 비교했을 때 146개의 보존된 유전자가 존재한다.[2] 이 유전자들은 전사 및 mRNA 생합성, 뉴클레오티드 대사, DNA 복제, 단백질 처리, 바이러스 입자 구조 및 조립, 바이러스 독성 및 숙주 범위를 담당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한다.[2] 중앙 게놈 영역 내에서 LSDV 유전자는 다른 포유류 폭스 바이러스의 유전자와 높은 수준의 공선성 및 아미노산 동일성을 공유한다.[2] 유사한 아미노산 동일성을 가진 바이러스로는 수이폭스바이러스, 야타폭스바이러스, 레포리폭스바이러스가 있다.[2] 그러나 말단 영역에서는 공선성이 중단된다.[2] 이 영역에서 폭스 바이러스 상동체는 존재하지 않거나 아미노산 동일성이 낮은 비율로 나타난다.[2] 이러한 차이점의 대부분은 바이러스 독성 및 숙주 범위와 관련된 유전자를 포함한다.[2] Chordopoxviridae에 고유하게, LSDV는 다른 폭스바이러스 속에서 발견되는 인터루킨-10 (IL-10), IL-1 결합 단백질, G 단백질 결합 CC 케모카인 수용체, 표피 성장 인자 유사 단백질의 상동체를 포함한다.[2]

3. 역학

럼피스킨병 바이러스(LSDV)는 주로 얼룩소에 영향을 미치지만, 기린, 물소, 임팔라에서도 발생한 사례가 있다.[3] 홀스타인 프리시안과 저지 소와 같이 얇은 가죽을 가진 ''Bos taurus'' 품종의 소가 질병에 가장 취약하며, 아프리카너 소와 아프리카너 교배종을 포함한 두꺼운 가죽의 ''Bos indicus'' 품종은 질병의 징후가 덜 심각하다.[4] 이는 ''Bos taurus'' 품종에 비해 ''Bos indicus'' 품종이 외부 기생충 감염에 대한 감수성이 감소하기 때문일 것이다.[5] 어린 송아지와 최고 젖 분비 시기의 암소는 더 심각한 임상 증상을 보이지만, 모든 연령대에서 질병에 걸릴 수 있다.[4]

3. 1. 전파

럼피스킨병은 주로 침파리속(Stomoxysla[27])과 깨다시등에속(Haematopotala[28]) 등 흡혈성 절지동물[29]에 의해 전파되며, 피, 코와 눈 분비물[30]을 통한 간접 접촉, 감염된 야생동물(들소)과 소의 상호 작용[31]으로도 전염된다.

럼피스킨병의 발병은 고온 다습한 환경과 관련이 있다.[7] 습한 여름과 가을철에 특히 저지대나 물가 근처에서 더 유행하는 경향이 있지만, 건기에도 발병할 수 있다.[4] 모기와 파리와 같은 흡혈 곤충은 질병을 전파하는 기계적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 바이러스는 ''Stomoxys'', ''Biomyia fasciata'', 등에 (Tabanidae), ''Glossina'', 그리고 ''Culicoides'' 종에서 분리되었다.[4] 럼피스킨병의 발병은 동물 이동, 면역 상태, 바람 및 강우 패턴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는 매개체 개체군에 영향을 미친다.[6]

이 바이러스는 혈액, 콧물, 눈물 분비물, 정액 및 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 이 질병은 또한 감염된 젖을 통해 젖먹이 송아지에게 전파될 수 있다.[4] 실험적으로 감염된 소에서 럼피스킨병 바이러스는 발열 발생 11일 후에 침, 22일 후에 정액, 33일 후에 피부 결절에서 발견되었다. 이 바이러스는 소변이나 소똥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3. 2. 감수성 동물

럼피스킨병(LSDV)은 주로 얼룩소에 영향을 미치지만, 기린, 물소, 임팔라에서도 발생한 사례가 있다.[3] 홀스타인 프리시안과 저지 소와 같이 얇은 가죽을 가진 ''Bos taurus'' 품종의 소가 질병에 가장 취약하다. 아프리카너 소와 아프리카너 교배종을 포함한 두꺼운 가죽을 가진 ''Bos indicus'' 품종은 질병의 징후가 덜 심각하다.[4] 이는 ''Bos taurus'' 품종에 비해 ''Bos indicus'' 품종이 외부 기생충 감염에 대한 감수성이 감소하기 때문일 것이다.[5] 어린 송아지와 최고 젖 분비 시기의 암소는 더 심각한 임상 증상을 보이지만, 모든 연령대에서 질병에 걸릴 수 있다.[4]

4. 임상 증상

럼피스킨병의 첫 징후는 발열이며, 이후 0.5~5cm 크기의 피부 병변이 반점에서 구진, 결절로 3~4일 동안 발전한다.[25] 이 병변은 입, 코, 눈 분비물과 함께 기면, 식욕 부진을 동반하며, 젖을 생산하는 동물은 젖 생산량이 급격히 감소한다.[25] 결절 위치에 따라 절름발이가 나타날 수 있고,[26] 생식기, 축 늘어진 부위, 사지에 부종이 생길 수 있다.[26] 가슴 부종(Brisket oedema)과 림프절병증(Lymphadenopathy)도 보고되었다.[25] 1~2주 후 피부 결절은 괴사하여 딱지가 생기고, 2차 세균 감염이나 구더기증에 취약해질 수 있다.[25] 드물게 사망하기도 한다.[26]

4. 1. 잠복기

럼피스킨병은 감염 후 약 7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다.[25]

4. 2. 주요 증상

럼피스킨병은 감염 후 약 7일 동안 잠복기를 거친다.[25] 첫 징후는 발열이며, 이후 0.5~5cm 크기의 피부 병변이 반점에서 구진, 결절로 3~4일 동안 발전한다.[25] 이 병변은 입, 코, 눈 분비물과 함께 기면, 식욕 부진을 동반하며, 젖 생산 동물은 젖 생산량이 급격히 감소한다.[25] 결절 위치에 따라 절름발이가 나타날 수 있고,[26] 생식기, 축 늘어진 부위, 사지에 부종이 생길 수 있다.[26] 가슴 부종(Brisket oedema)과 림프절병증(Lymphadenopathy)도 보고되었다.[25] 1~2주 후 피부 결절은 괴사하여 딱지가 생기고, 2차 세균 감염이나 구더기증에 취약해질 수 있다.[25] 드물게 사망하기도 한다.[26]

5. 예방 및 치료

럼피스킨병은 효과적인 치료법이 아직 개발되지 않아 예방이 중요하다. 럼피스킨병 예방을 위해서는 백신 접종과 함께 철저한 방역 조치가 필요하다. 농장 주변 물웅덩이를 제거하고, 주기적으로 분변을 처리하며, 포충기를 사용해 곤충을 방제하고, 주사기 재사용을 금지하는 등 청결한 농장 환경 관리가 필요하다.[1] 럼피스킨병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방역당국에 신고해야 한다.[1]

5. 1. 백신

럼피스킨병은 백신 접종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54만두 분의 백신을 확보했으며 추가로 백신을 확보했다.[4]

럼피스킨병에 대항하는 아단위 백신(Sub-unit vaccine)인 다중 항원 결정 인자 단백질(multi-epitope protein)의 설계 후보가 Scientific Reports지에 다루어진 적이 있다.[32]

럼피스킨병(LSDV)에 대한 면역에는 두 가지 접근 방식이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네슬링(Neethling) 바이러스 균주를 먼저 계란의 융모양막에서 20번 계대 배양하여 약독화시켰다. 현재 백신 바이러스는 세포 배양에서 증식된다. 케냐에서는 양두 또는 염소두 바이러스로 생산된 백신이 소에게 면역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그러나 양과 염소에서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약독화 수준은 소에게는 충분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생백신은 감수성 있는 양과 염소 개체군에게 감염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양두 또는 염소두가 이미 풍토병으로 존재하는 국가에 한해 양두 및 염소두 백신 사용이 제한된다.

럼피스킨병(LSDV)에 대한 적절한 방어를 보장하기 위해 감수성 있는 성우는 매년 예방 접종을 받아야 한다. 접종 부위에서 소의 약 50%가 10mm에서 20mm 정도 부어오른다.[4] 이 부기는 몇 주 안에 사라진다. 젖소는 접종 시 일시적으로 우유 생산량이 감소할 수 있다.[4]

5. 2. 방역 조치

농림축산식품부는 럼피스킨병 백신을 54만두분을 확보했으며 추가로 백신을 더 확보했다.[1] 럼피스킨병 예방을 위해 농장 주변 물웅덩이를 제거하고, 주기적으로 분변을 처리하며, 포충기를 사용해 곤충을 방제하고, 주사기 재사용을 금지하는 등 청결한 농장 환경 관리가 필요하다. 럼피스킨병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방역당국에 신고해야 한다.[1]

6. 대한민국의 럼피스킨병 발생 현황

2023년 10월 20일,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의 한우 농장에서 럼피스킨병이 대한민국 최초로 발생했다. 정부는 가축 전염병 위기 경보를 '심각'으로 격상하고, 전국적인 일시이동중지명령을 내렸다.[1]

이후 럼피스킨병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으며, 정부는 백신 접종과 방역 조치를 강화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0월 22일부터 25일까지 충청남도, 경기도, 인천광역시, 충청북도, 강원특별자치도, 전라북도에 순차적으로 일시이동중지명령을 내렸다.[3],[4],[5],[6]

10월 25일, 정부는 11월 초까지 전국 소 농가에 백신 접종을 시행하기로 하고, 10월 말까지 백신 400만 마리분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감염 발생 지역의 소 이동은 중단하되, 도축장 출하는 허용하기로 했다.[6]

10월 28일, 럼피스킨병 확진 사례는 6개 시도 총 55건으로 늘었고, 매몰 처분됐거나 예정인 소는 3,700마리가 넘었다. 한우 도매가격은 1주일 전보다 13% 올라 kg당 2만을 넘었고, 우시장은 문을 닫았다. 정부는 튀르키예에서 수입한 백신 128만 마리분을 10월 29일부터 확진 농가가 나온 지자체에 우선 공급하고, 11월 초까지 전국 접종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8]

6. 1. 발생 초기 (2023년 10월)

2023년 10월 20일,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의 한우 농장에서 럼피스킨병이 대한민국 최초로 발생하였다.[1] 농림축산식품부는 가축 전염병 위기 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격상하고, 10월 20일 14시부터 10월 22일 14시까지 전국에 일시이동중지명령을 내렸다.[1]

이후 10월 21일에는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의 한우 농장과 경기도 평택시 청북읍의 젖소 농장,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의 젖소 농장에서 추가 확진 사례가 발생했다.[2] 10월 22일에는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과 평택시 포승읍의 젖소 농장, 충청남도 태안군 이원면과 서산시 부석면의 한우 농장에서 추가 확진이 이어졌다.[3]

10월 24일,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축산 농가 3곳, 충청남도 홍성군, 서산시, 당진시에서 5곳,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한우 농장 등에서 확진 사례가 추가되었다.[4] 중앙사고수습본부는 10월 24일 오후 3시 기준, 럼피스킨병 확진 사례가 총 27건 발생했다고 밝혔다.[4]

10월 26일에는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우천면의 농가에서 감염 확진 사례가 발생했다.[5] 10월 28일 기준, 6개 시도에서 총 55건의 확진 사례가 발생했으며, 3,700마리가 넘는 소가 매몰 처분되었거나 예정되었다.[6]

10월 29일에는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농가에서, 10월 30일에는 강원도 고성군에서 감염 확진 사례가 발생했다.[7] 10월 30일까지 확진받은 농가는 서산시 9곳, 당진시 7곳, 강화군 4곳, 평택시 3곳, 화성시 3곳, 김포시 2곳, 양구군 1곳, 수원시 1곳, 음성군 1곳, 태안군 1곳, 홍성군 1곳, 부안군 1곳, 강원도 2곳, 전라남도 1곳이다.[7]

정부는 확산세를 막기 위해 10월 28일, 튀르키예에서 수입한 백신 128만 마리분을 긴급히 들여왔으며,[6] 11월 초까지 전국 소 농가에 백신 접종을 완료할 계획이다.[5]

날짜지역비고
10월 20일충청남도 서산시최초 발생
10월 21일충청남도 당진시, 경기도 평택시, 충청남도 서산시추가 발생
10월 22일경기도 김포시, 경기도 평택시, 충청남도 태안군, 충청남도 서산시추가 발생
10월 24일인천광역시 강화군, 충청남도 홍성군, 서산시, 당진시,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추가 발생
10월 26일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추가 발생
10월 28일6개 시도 총 55건
10월 29일전라남도 무안군추가 발생
10월 30일강원도 고성군추가 발생


6. 2. 확산 및 대응 (2023년 10월 ~ 11월)

2023년 10월 20일,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의 한우 농장에서 럼피스킨병이 처음으로 확진되었다.[1] 농림축산식품부는 가축 전염병 위기 경보를 '심각'으로 격상하고, 10월 20일 14시부터 10월 22일 14시까지 전국에 일시이동중지명령을 내렸다.[1]

이후 확진 사례는 다음과 같이 발생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다음과 같이 일시이동중지명령을 내렸다.

  • 10월 22일 14시 ~ 10월 24일 14시: 충청남도, 경기도, 인천광역시[3]
  • 10월 23일 11시 ~ 10월 24일 14시: 충청북도[4]
  • 10월 24일 13시 ~ 10월 25일 14시: 강원특별자치도[5]
  • 10월 25일 16시 ~ 10월 26일 16시: 전라북도[6]


10월 24일 오후 3시 기준, 중앙사고수습본부는 럼피스킨병 확진 사례가 총 27건 발생했다고 밝혔다.[5] 10월 25일, 정부는 11월 초까지 전국 소 농가에 백신 접종을 시행하기로 하고, 10월 말까지 백신 400만 마리분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6] 감염 발생 지역의 소 이동은 중단하되, 도축장 출하는 허용하기로 했다.[6]

10월 28일, 럼피스킨병 확진 사례는 6개 시도 총 55건으로 늘었고, 매몰 처분됐거나 예정인 소는 3,700마리가 넘었다.[8] 한우 도매가격은 1주일 전보다 13% 올라 kg당 20000KRW을 넘었고, 우시장은 문을 닫았다.[8] 정부는 튀르키예에서 수입한 백신 128만 마리분을 10월 29일부터 확진 농가가 나온 지자체에 우선 공급하고, 11월 초까지 전국 접종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8]

10월 말까지 확진받은 농가는 다음과 같다.


6. 3. 소강 및 후속 조치 (2023년 11월 이후)

럼피스킨병 확산세는 백신 접종과 강화된 방역 조치 덕분에 둔화되었다.[1] 정부는 럼피스킨병의 재발을 막기 위한 후속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1]

2023년 10월 25일, 정부는 11월 초까지 전국의 소 농가에 백신 접종을 시행하기로 결정했다.[2] 이를 위해 10월 말까지 백신 400만 마리분을 확보할 계획을 세웠다.[2] 감염이 발생한 지역에서는 소의 이동을 전면 중단했지만, 도축장으로의 출하는 허용했다.[2]

10월 28일, 튀르키예에서 수입한 백신 128만 마리분이 처음으로 국내에 들어왔다.[3] 이 백신은 10월 말까지 두 차례에 걸쳐 추가로 수입될 예정이었다.[3] 정부는 10월 29일부터 수입 백신을 확진 농가가 발생한 지방자치단체에 우선 공급하고, 점차 접종 범위를 확대하여 11월 초까지 전국적인 접종을 완료할 계획이었다.[3]

10월 29일, 정부와 여당은 고위당정협의회를 개최하여 럼피스킨병 확산 상황을 점검하고 축산 농가 방역 지원 대책을 논의했다.[4]

7. 기타 국가의 럼피스킨병 발생 현황

럼피스킨병은 1929년 잠비아에서 처음 발생했다. 처음에는 독성 물질이나 곤충 물림에 의한 과민 반응으로 여겨졌다. 1943년부터 1945년까지 보츠와나, 짐바브웨,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추가 사례가 발생했다. 1949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약 800만 마리의 소가 감염되어 큰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 1950년대와 1980년대 사이에는 아프리카 전역으로 확산되어 케냐, 수단, 탄자니아, 소말리아, 카메룬의 소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1989년에는 이스라엘에서 럼피스킨병이 발생했는데, 이는 사하라 사막 북쪽이자 아프리카 대륙 밖에서 발생한 최초의 사례였다.[6] 이 발병은 이집트 이스마일리아에서 바람에 실려온 감염된 Stomoxys calcitrans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1989년 8월과 9월 사이 37일 동안 Peduyim에 있는 17개 낙농장 중 14곳이 감염되었고,[7] 마을의 모든 소와 소규모 양, 염소 무리가 도살되었다.[7]

7. 1. 아시아

럼피스킨병은 2019년 7월 방글라데시 축산 부서에 처음 보고되었다.[8] 이 발병으로 50만 마리의 소가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었다.[8] 식량 농업 기구(FAO)는 대규모 백신 접종을 권장했다.[8] 파밤나방의 유입과 이 소의 질병이 불과 몇 달 사이에 발생한 결과, FAO, 세계 식량 계획, 방글라데시 정부 관계자 등은 방글라데시의 가축 질병 감시 및 비상 대응 능력을 개선하기 시작하기로 합의했다.[8] 바이러스가 방글라데시에 유입된 경로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9]

2022년 파키스탄 럼피스킨병 발생으로 7,000마리가 넘는 소가 사망했다.[10] 같은 해 7월부터 9월 사이에 인도에서는 인도 럼피스킨병 발생으로 80,000마리가 넘는 소가 사망했다.[11][12] 라자스탄 주에서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13] 여러 주에서 소의 주간 및 구획 간 이동이 제한되었고,[14][15][16] 인도 농업 연구 위원회 연구소에서는 자국산 백신 개발을 시작했다.[17] 염소두 백신이 사용되고 있으며, 2022년 9월까지 1,500만 도스가 투여되었다.[18] 인도에는 염소두 백신을 제조하는 시설이 최소 3곳 있으며,[19][20][21] 시험 권한이 있는 기관이 확대되었다.[22]

2023년 6월, 럼피스킨병은 네팔의 코시주로 확산되어 10,000마리가 넘는 소가 사망했다.[23]

7. 2. 중동 및 유럽

지난 10년간 럼피스킨병은 중동, 유럽, 서아시아 지역에서 발생이 보고되었다.[6]

참조

[1] 논문 Serum Biochemistry of Lumpy Skin Disease Virus-Infected Cattle 2016
[2] 논문 Genome of Lumpy Skin Disease Virus 2001-08-01
[3] 웹사이트 Poxviridae http://www.ivis.org/[...] 2006-07-25
[4] 서적 Infectious Diseases of Livestock Oxford University Press
[5] 논문 Resistance of cattle of various genetic groups to the tick Rhipicephalus microplus and the relationship with coat traits 2012-05-25
[6] 서적 OIE Terrestrial Manual http://www.oie.int/f[...] World Organisation for Animal Health
[7] 논문 Spread of Lumpy Skin Disease in Israeli Dairy Herds https://www.research[...] 1995-07-22
[8] 웹사이트 Co-ordinating a response to Fall Armyworm and Lumpy Skin Disease in Bangladesh, FAO in Bangladesh https://www.fao.org/[...] 2021-02-12
[9] 논문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lumpy skin disease virus (LSDV) emerged in Bangladesh reveals unique genetic features compared to contemporary field strains 2021
[10] 웹사이트 Lumpy skin disease kills 7,500 cattle http://tribune.com.p[...] 2022-10-03
[11] 웹사이트 Current outbreak of lumpy skin disease distinct from 2019, need large-scale genomic surveillance: Study https://www.newindia[...] 2022-09-24
[12] 뉴스 The evolution of lumpy skin disease virus https://www.thehindu[...] The Hindu 2022-09-24
[13] 웹사이트 Lumpy skin disease: Lakhs of cattle suffer, Rajasthan worst-hit https://www.hindusta[...] 2022-10-03
[14] 웹사이트 Lumpy skin disease: Haryana bans interstate, interdistrict movement of cattle https://www.hindusta[...] 2022-09-24
[15] 웹사이트 Lumpy Skin Disease: Maha Now Bans Interstate Cattle Transport & Markets https://timesofindia[...] 2022-09-24
[16] 웹사이트 UP Government Bans Cattle Trade With 4 States to Prevent Lumpy Skin Disease https://www.thequint[...] 2022-09-24
[17] 웹사이트 Lumpy skin disease outbreak: Indigenous vaccine still awaits emergency-use clearance https://www.downtoea[...] 2022-09-24
[18] 웹사이트 Over 67,000 cattle died so far from lumpy skin disease in India: Centre https://www.business[...] 2022-09-24
[19] 뉴스 Hester Bio spurts on ensuring adequate supply of Goat Pox Vaccine in India https://www.business[...] Business Standard India 2022-10-03
[20] 웹사이트 Indian Immunologicals launches Goat Pox Vaccine https://www.thehindu[...] The Hindu 2022-10-03
[21] 웹사이트 Telangana only state manufacturing goat pox vaccine in India https://telanganatod[...] 2022-09-24
[22] 뉴스 Farm varsity lab gets nod for Lumpy Skin Disease testing https://www.hindusta[...] 2022-09-24
[23] 뉴스 Lumpy skin epidemic sweeps nation https://kathmandupos[...] Kathmandu Post 2023-06-16
[24] 웹사이트 国内におけるランピースキン病発生に伴う防疫対策の徹底について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4-05-21
[25] 서적 Encyclopedia of Virology https://www.google.n[...] Elsevier Science
[26] 서적 Black's Veterinary Dictionary https://www.google.n[...] Bloomsbury Publishing
[27] 논문 Retention of lumpy skin disease virus in Stomoxys spp (Stomoxys calcitrans, Stomoxys sitiens, Stomoxys indica) following intrathoracic inoculation, Diptera: Muscidae https://www.ncbi.nlm[...] 2021
[28] 논문 Experimental evidence of mechanical lumpy skin disease virus transmission by Stomoxys calcitrans biting flies and Haematopota spp. horseflies https://www.ncbi.nlm[...] 2019
[29] 논문 The immune response to lumpy skin disease virus in cattle is influenced by inoculation route https://www.ncbi.nlm[...] 2022
[30] 논문 Non-vector-borne transmission of lumpy skin disease virus https://www.ncbi.nlm[...] 2020
[31] 논문 Case report: Lumpy skin disease in an endangered wild banteng ( Bos javanicus) and initiation of a vaccination campaign in domestic livestock in Cambodia https://www.ncbi.nlm[...] 2023
[32] 논문 Design of a multi-epitope protein as a subunit vaccine against lumpy skin disease using an immunoinformatics approach https://www.ncbi.nlm[...]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