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뭉치 주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뭉치 주석은 언어학 및 텍스트에 정보를 추가하는 작업으로, 품사 주석, 구문 주석, 의미 주석, 담화 주석 등으로 확장될 수 있다. 주석 말뭉치는 원시 말뭉치로 환원 가능해야 하며, 주석을 분리하고 정보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주석서는 고대 언어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한국, 중국, 인도 등 다양한 국가에서 고전 텍스트에 대한 주석 작업이 이루어졌다. 현대에는 교육, 법률, 소프트웨어 개발, 디지털 이미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프로그래밍에서는 코드의 이해를 돕고, 법률에서는 법령 해석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기계 학습을 활용한 의미적 레이블링 기술은 표 형식 데이터에 주석을 추가하는 데 사용되며, DNA 주석은 게놈 내 유전자 위치를 식별하는 데 필수적이다.
언어학에서 주석은 텍스트에 추가 정보를 부여하는 작업으로, 말뭉치 구축 및 자연어 처리(NLP) 기술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가장 기초적인 품사 주석은 기계적 형태 분석의 발전으로 정확도가 높아져 작업이 쉬워졌지만, 여전히 수작업으로 오류를 수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여러 연구자들이 합의된 태그를 이용하여 꾸준히 보완해야 한다.[71]
2. 언어학 및 텍스트 주석
말뭉치 주석은 다음 세 가지 기준을 지켜야 한다.[71]
# 원시 말뭉치로 환원 가능해야 한다.
# 주석만 따로 분리 가능해야 한다.
# 주석 정보(작업자, 정확도, 주석 체계, 작업 시기)를 명기해야 한다.
말뭉치 주석을 공개하는 것은 연구 결과 공유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말뭉치 구축은 많은 노력이 필요하므로 중복 작업을 피하고, 다른 연구자들이 새로운 관점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말뭉치 주석은 기본적으로 품사 주석에서 시작하여 구문 주석, 의미 주석, 담화 주석 등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연구 목적에 따라 운율 주석(prosodic annotation), 화용 주석(pragmatic annotation), 문체 주석(stylistic annotation) 등 다양한 주석이 가능하다.[71] 문헌 주석은 텍스트와 물리적 문서에 대한 추가적인 역사적 맥락을 설명하거나 추가하여 이해를 돕기 위해 주석 기술을 자주 사용하는 학문 분야이다.[7]
주석의 목적 중 하나는 데이터를 컴퓨터 지원 분석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다. 주석 체계는 태그를 사용하여 데이터 세트 전체에서 일관성을 유지하고, 이전에 태그가 지정된 데이터의 검증을 가능하게 한다.[52] 언어 주석에는 treebank에서의 구문 및 관계 주석과 같이 다양한 형식과 도구가 개발되어 있다.[53]
언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므로, 옛 책 등에 보이는 어휘는 당대 언어에 의한 해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주석서가 만들어진다.[55]
2. 1. 품사 주석
품사 주석(Part-of-Speech tagging, POS tagging)은 문장의 각 단어에 해당 품사를 태깅하는 작업이다. 이는 가장 기초적인 주석 단계이지만, 형태소 분석의 정확도에 따라 난이도가 달라질 수 있다.[71] 다어절 단어, 준말, 중의성 등의 처리가 중요하며, 주석 태그의 종류와 기준을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71]
한국어의 경우, 띄어쓰기 오류, 의존 명사, 어미/조사, 복합 명사/보조 용언 등의 처리 방식에 대한 세밀한 지침이 필요하다.[71]
예를 들어, '~에 대하여'는 하나의 조사로, 'in spite of'는 하나의 전치사로 처리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준말의 경우 'hasn't'는 'has/VERB n't/NEG'와 같이 나누어야 하지만, '논자시'를 '논문 제출 자격 시험'으로 풀어서 쓰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은 추후 검토가 필요하다는 주석을 추가하여 처리할 수 있다.[71]
주석의 종류는 너무 많지 않아야 한다. 50개를 넘으면 효율이 떨어진다는 보고가 있으며, 분명한 기준을 제시할 수 없는 범주는 만들지 않는 것이 좋다. 주석을 명명할 때는 간결성(conciseness), 명료성(perspicuity), 분석가능성(analysability)을 고려해야 한다. 영어권에서는 TEI(Text Encoding Initiative)를 표준으로 따르는 것이 좋다.[71]
2. 2. 구문 주석
구문 주석(syntactic annotation)은 문장의 구조를 분석하여 단어 간의 관계를 표시하는 작업이다. 자동 구문 분석기 개발과 통사 정보에 기반한 어휘 정보 추출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휘 중의성이 있는 단어라도 구문 정보가 조합되면 나머지를 버리고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71]
구문 주석이 완료된 말뭉치를 트리뱅크(Treebank)라 부르는데, 이는 구구조 분석을 좀 더 정교하게 만든 수형도(tree structure)의 집합이다. 트리뱅크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기초 구문 분석(skeleton parsing)을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애매하거나 너무 상세한 단계까지 주석 작업을 하지 않는 것이다. 사람이 빠른 속도로 비교적 정확한 트리뱅크를 우선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정교함보다는 정확함을 우선시한다. 구문 주석은 복잡도가 품사 주석에 비해 높기 때문에 일관된 기준을 제시하는 것보다는 적절한 것과 적절하지 못한 것의 예를 모아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이런 사례는 추후 신규 작업자에 대한 매뉴얼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매뉴얼에 맞추어 기존 트리뱅크를 수정해 나가는 순환 과정을 통해 기초 구문 분석 결과가 점차 상세화될 수 있다.
대표적인 트리뱅크는 다음과 같다.
이름 | 구축 연도 | 국가 | 규모 | 특징 |
---|---|---|---|---|
펜 트리뱅크(Penn Treebank) | 1990-1992 | 미국 | 330만 어절 이상 | 주로 월 스트리트 저널 문장, 공개되어 접근 용이 |
네이메헌 트리뱅크(Nijmegen Treebank) | 1980년대 | 네덜란드 | ||
수잔 말뭉치(The SUZANNE Corpus) | 1995 | 영국 | 13만 어절 | 전량 수작업, 상세한 주석 |
헬싱키 제약 문법(The Helsinki Constraint Grammer) | 1995 | 핀란드 | 구구조 분석이 아닌 중심어 의존 트리 방식 |
2. 3. 의미 주석
의미 주석(semantic annotation)은 단어의 의미를 명확히 하여 중의성을 해소하는 작업이다. 예를 들어 'can'은 조동사일 수도 있고 깡통일 수도 있는데, 의미 주석은 'can'이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지 명시한다. 'window'처럼 명사로만 쓰이는 경우에도 운영 체제를 의미하는지, 창문을 의미하는지 구분해준다.[71]어휘의 의미적 분류는 로제(Roget) 이후 여러 연구자들이 시도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워드넷(WordNet)이다. 워드넷은 대규모로 구축되었고 지속적으로 수정되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의미 분류 체계이다. 따라서 워드넷을 이용한 의미 주석 말뭉치가 많이 존재한다.[71]
의미 주석은 문서의 유형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문서 자동 분류 시스템 개발에 응용되고 있다. 웹 상의 수많은 문서를 관련성이 높은 것끼리 묶어 보여주는 데 사용된다.[71]
2. 4. 담화 주석
담화 주석(discourse annotation)은 대화나 텍스트의 흐름을 분석하여 문장 간의 관계를 표시하는 작업이다. 담화 분석은 담화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담화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는 어디에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이를 응용하면 자동 응답 시스템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71]담화 분석에서 대화를 연결해주는 가장 중요한 고리는 대화와 대화를 이어주는 조응어(anaphora)이다. 조응어의 위치와 생략 등에 대해 주석을 달 수 있으며, 이 주석의 양이 늘어나면 점차 자동 주석뿐 아니라 담화 수준의 대화 시스템 개발도 가능해질 것이다.[71]
전방 조응 정보는 구체적인 대상인 선행사와 그를 가리키는 대용형을 표시해야 하고, 해당 대용형이 생략되었다면 생략된 위치를 지정해 줄 수 있다. 전방 조응 정보는 기술하려면 얼마든지 깊게 기술할 수 있어서, 어떤 목적으로 어느 수준까지 기술할 것인가를 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71]
- Asked if he would (1 appeal 1), Smith would only say that he may
- 나도 (1 김밥 1)을 먹었고, 엄마도
- 나도 (1 김밥 1)을 먹었고, 엄마도
잘 알려진 전방 조응 정보 주석 체계는 다음과 같다.[71]
주석 체계 |
---|
유크렐 담화 주석 체계 (The UCREL Discourse Annotation Scheme) |
드 로차 주석 체계 (De Rocha's annotation scheme) |
험프리 주석 체계 (Gaizauskas and Humphries' annotation scheme) |
보틀리 주석 체계 (Botley's annotation scheme) |
2. 5. 기타 주석
말뭉치 주석은 연구자가 자신의 필요에 의해 말뭉치에 표지를 다는 것이기 때문에, 품사 주석, 구문 주석, 의미 주석, 담화 주석 외에도 다양한 주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율 주석(prosodic annotation), 화용 주석(pragmatic annotation), 문체 주석(stylistic annotation) 등이 있다.[71]3. 주석서 (역사적 문헌 주석)
언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옛 책 등에 보이는 어휘 등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이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당대의 언어로 된 해석이 필요하며, 이렇게 만들어지는 것이 주석서이다.[55] 주석서는 고전 문헌의 이해를 돕기 위해 어휘, 문장, 내용 등에 대한 해석을 제공하는 문헌을 말한다.
사본의 여백에 주석이 적히는 경우도 있었다(Scholia|스코리아영어).[63]
3. 1. 한국의 주석서
일본에서는 『고킨와카슈』, 『이세 이야기』, 『겐지모노가타리』, 『와칸로에이슈』, 『일본서기』, 『고세이바이시키모쿠』, 『쇼쿠겐쇼』 등의 주석서가 전통적으로 쓰여졌다.[56] 무로마치 시대에는 고산 선승과 공가 학자들이 와카, 이야기, 시키모쿠, 의학서, 한적 등 다방면에 걸쳐 주석서를 출판하였다.[57]3. 2. 중국의 주석서
고대 중국의 전통적인 학문에서 주석은 중요한 존재이다. 경서를 비롯한 중요한 고전에 대해 학자가 주석을 붙인 형식의 서적이 많이 저술되었으며, 이는 현재에도 중국 연구의 기초가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주자학 연구를 수행할 때, 주희가 『사서』에 대해 주석을 붙인 『사서장구집주』가 그 재료가 되는 식이다.이 주석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으며, 훈고학에 대표되는 한자의 의미를 일일이 기록하는 형식의 것과, 인지도가 떨어진 인명·지명의 해설, 이해하기 어려운 문장의 요약 등이 있다. 또한 주석이 붙는 대상이 되는 책도 경서, 역사서, 문학 작품, 노자나 장자 등에서 개인의 문집까지, 다방면에 걸쳐 있다.
대표적인 주석은 다음과 같다.
- 정현의 『주례』, 『의례』, 『예기』 주 (경서에 대한 주)
- 곽상의 『장자』 주 (노장 서적에 대한 주)
- 배송지의 『삼국지』 주 (사서에 대한 주)
- 이선의 『문선』 주 (문학서에 대한 주)
3. 3. 인도의 주석서
인도에서는 4개의 베다(삼히타)에 대한 주석서로서 쓰인 문헌군(브라흐마나, 아란야카, 우파니샤드)을 시작으로, 『바가바드 기타』에 대한 주석서, 불교의 불전 등에 대한 주석서 (예를 들면 팔리어 경전에 대한 앗타카타, 용수의 『중론』에 대한 여러 주석) , 육파 철학의 수트라 등에 대한 주석서 (예를 들면 『브라흐마 수트라』에 대한 샹카라의 주석)가 옛날부터 쓰였다. 육파 철학은 사상서를 새로 만드는 것보다 주석에 재주석, 재재주석을 거듭하는 것을 중심으로 사상을 전개했다.3. 4. 기타 국가의 주석서
히브리어 성경에 대한 Jewish commentaries on the Bible|히브리어 성경에 대한 유대교 주석|label=주석영어, 성경에 대한 성경 주석서, 코란에 대한 타프시르,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에 대한 주석(Homeric scholarship|호메로스 주석|label=호메로스 주석영어), 플라톤의 저작에 대한 주석(Commentaries on Plato|플라톤 주석|label=플라톤 주석영어),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에 대한 주석(Commentaries on Aristotle|아리스토텔레스 주석|label=아리스토텔레스 주석영어), 유클리드 원론, 알마게스트, 로마법 대전 등에 대한 주석서가 전통적으로 쓰였다.[63]4. 현대적 활용
현대 사회에서 말뭉치 주석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교육 및 학습: 학생들이 텍스트를 적극적으로 읽고 이해하도록 돕는다. 형광펜으로 밑줄을 긋거나 핵심 내용을 표시하고, 자신의 생각과 질문을 기록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된다.[3][8]
- 법률: 톰슨 로이터와 렉시스넥시스 같은 법률 출판사들은 법령의 주석 처리된 버전을 출판하며, 해당 법령을 해석한 법원 판례 정보를 제공한다.[51]
-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그래밍에서 주석은 소스 코드 내용을 보충, 설명한다.[69]
- 디지털 이미징: 디지털 영상 분야에서 주석은 기본 이미지를 변경하지 않고 이미지 위에 겹쳐지는 가시적인 메타데이터를 의미한다.[50]
- 기타: 수학 표현식에 자연어 의미 주석을 달아 모호성을 제거하거나,[9][10] 유튜브에서 동영상 내용에 대한 추가 설명을 제공하기도 했다(2019년 1월 15일 서비스 종료).[18] CSV 및 XLS 형식의 표 데이터에 의미적 주석을 할당하는 의미적 레이블링 기술도 있다.[20][21][22][23]
4. 1. 교육 및 학습
학생들은 텍스트를 적극적으로 읽고 이해하기 위해 형광펜으로 밑줄을 긋거나, 핵심 내용을 표시하고, 자신의 생각과 질문을 기록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주석을 활용한다.[3][8] 주석은 학습 내용을 쉽게 다시 참조하거나, 주해서를 추가하여 학습을 돕고, 텍스트와 사전 지식 또는 진행 중인 주제 간의 연관성을 찾는 데 유용하다.[8]주석은 자료에서 직접 또는 요약하여 인용한 출처를 밝히거나, 자신의 의견이 아닌 내용의 출처를 명시하고, 본문 이해에 도움이 되는 보충 정보를 제공하는 등 학습 및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65] 인지적 관점에서 주석은 학습자가 특정 시각적 정보에 집중하도록 돕고, 서로 다른 지식 수준을 가진 사람들 간의 공통 기반을 확립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14][16]
4. 2. 법률
미국에서 톰슨 로이터와 렉시스넥시스 같은 법률 출판사들은 법령의 주석 처리된 버전을 출판하며, 해당 법령을 해석한 법원 판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51] 연방 미국 법전과 주 법령 모두 법원의 해석을 받으며, 주석 처리된 법령은 법률 연구에서 가치 있는 도구이다.[51]4. 3.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그래밍에서 주석은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 내용을 보충, 설명, 해설하는 역할을 한다.[69] 컴파일러 등은 주석 내용을 무시하고 소스 코드에서 프로그램을 생성하지만, 소스 코드를 읽는 사람은 주석을 통해 소스 코드 및 프로그램의 본질을 이해한다.자바에는 일반적인 주석 외에 어노테이션이라는 특별한 주석 문법이 있다.[70] 자바 어노테이션은 소스 코드에 "@명령문" 형태로 작성되며, 컴파일 옵션이나 라이브러리 지시에 따라 처리계가 해석한다. 어노테이션 명령이 반드시 프로그램 동작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며, 처리계가 무시할 수도 있다.
4. 4. 디지털 이미징
디지털 영상 분야에서 주석은 기본 이미지(마스터 이미지)를 변경하지 않고 이미지 위에 겹쳐지는 가시적인 메타데이터를 의미하며, 스티커 메모, 가상 레이저 포인터, 원, 화살표, 검은색 마스크 등을 포함한다.[50] 의료 영상 분야에서 주석은 종종 관심 영역으로 지칭되며 DICOM 형식으로 인코딩된다. 자동 이미지 주석은 이미지 검색 시스템을 위해 이미지를 분류하는 데 사용된다.[48]4. 5. 기타 분야
수학 표현식(기호 및 공식)은 자연어 의미로 주석을 달 수 있다. 기호가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으므로(예: "E"는 "에너지" 또는 "기대값" 등) 모호성을 제거하는 데 필수적이다.[9][10] 주석 과정은 추천을 통해 촉진되고 가속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키미디어에서 호스팅하는 "AnnoMathTeX"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11][12][13]2019년 1월 15일, 약 10년간 서비스를 한 후 유튜브에서 주석 기능이 제거되었다.[18] 유튜브 측은 이 기능이 작은 모바일 화면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악용되는 사례가 있다고 밝혔다.
CSV 및 XLS를 포함한 표 형식 데이터에 의미적 주석을 할당하는 과정을 의미적 레이블링이라고 한다. '''의미적 레이블링'''은 온톨로지에서 표 형식 데이터에 주석을 할당하는 과정이다.[20][21][22][23] 이 과정은 의미적 주석이라고도 한다.[24][23] 의미적 레이블링은 (반)자동 방식으로 수행되는 경우가 많다. 의미적 레이블링 기술은 개체 열,[23] 숫자 열,[20][22][25][26] 좌표,[27] 등에서 작동한다.[27][26]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Data Annotation
https://macgence.com[...]
2023-08-17
[2]
웹사이트
Types of Data Annotation
https://www.maanz-ai[...]
2024-03-30
[3]
논문
Training disciplinary genre awareness through blended learning: An exploration into EAP students' perceptions of online annotation of genres across disciplines
https://linkinghub.e[...]
2021-09
[4]
논문
Becoming Entangled: An Analysis of 5th Grade Students Collaborative Multimodal Composing Practices
http://dx.doi.org/10[...]
2018-03
[5]
서적
Web Writing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5-04-21
[6]
서적
Filming, Researching, Annotating: Research Video Handbook
http://dx.doi.org/10[...]
2021-05-26
[7]
서적
Textual Scholarship: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10-28
[8]
논문
The function of annotations in the comprehension of scientific texts: Cognitive load effects and the impact of verbal ability
http://link.springer[...]
2005-09
[9]
논문
Introducing MathQA: a Math-Aware question answering system
Emerald Publishing Limited
2018-09-12
[10]
간행물
Representing Mathematical Formulae in Content MathML using Wikidata
https://openreview.n[...]
2018
[11]
웹사이트
AnnoMathTeX Formula/Identifier Annotation Recommender System
http://annomathtex.w[...]
[12]
서적
Proceedings of the 13th ACM Conference on Recommender Systems
https://www.gipp.com[...]
2019-09-17
[13]
서적
Companion Proceedings of the Web Conference 2021
https://www.gipp.com[...]
2021-04-14
[14]
서적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https://telearn.arch[...]
Springer
2006
[15]
논문
Communication spaces
2014
[16]
서적
Using Langua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17]
논문
Smartphones as multimodal communication devices to facilitate clinical knowledge processes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013
[18]
뉴스
YouTube annotations will disappear for good in January
https://www.theverge[...]
2018-11-27
[19]
웹사이트
Web Annotation Data Model
http://www.w3.org/TR[...]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4-12-11
[20]
논문
Typology-based semantic labeling of numeric tabular data
https://content.iosp[...]
2021-01-01
[21]
논문
Learning the semantics of structured data sources
https://doi.org/10.1[...]
2016-03-01
[22]
서적
Knowledge Engineering and Knowledge Management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8
[23]
논문
Balancing coverage and specificity for semantic labelling of subject columns
https://www.scienced[...]
2022-03-15
[24]
웹사이트
Understanding a large corpus of web tables through matching with knowledge bases: an empirical study
https://www.semantic[...]
2015-12-17
[25]
서적
The Semantic Web – ISWC 2016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6
[26]
서적
Proceedings of the 2013 ACM SIGMO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nagement of Data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2013-06-22
[27]
서적
Proceedings of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b Intelligence, Mining and Semantics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2015-07-13
[28]
서적
Machine Learning: The Art and Science of Algorithms that Make Sense of Data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29]
학위논문
Knowledge-Graph-Based Semantic Labeling of Tabular Data
https://oa.upm.es/64[...]
E.T.S. de Ingenieros Informáticos (UPM)
2020
[30]
서적
The Semantic Web – ISWC 2016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6
[31]
문서
Fuzzy c-Means Library
https://github.com/o[...]
Ontology Engineering Group (UPM)
2022-01-29
[32]
문서
fuzzy-c-means
https://github.com/o[...]
Ontology Engineering Group (UPM)
2022-12-12
[33]
논문
Annotating and searching web tables using entities, types and relationships
https://doi.org/10.1[...]
2010-09-01
[34]
논문
Recovering semantics of tables on the web
https://doi.org/10.1[...]
2011-06-01
[35]
논문
Linear approximation of the quantile–quantile plot for semantic labelling of numeric columns in tabular data
https://linkinghub.e[...]
2024-03
[36]
논문
Exploiting a Web of Semantic Data for Interpreting Tables
https://ebiquity.umb[...]
2010-04-26
[37]
웹사이트
OWL Web Ontology Language Reference
https://www.w3.org/T[...]
2022-09-22
[38]
간행물
TAIPAN: Automatic Property Mapping for Tabular Data
http://dx.doi.org/10[...]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2-09-22
[39]
논문
Effective and efficient Semantic Table Interpretation using TableMiner+
https://www.medra.or[...]
2017-08-07
[40]
서적
Assigning Semantic Labels to Data Source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5
[41]
서적
Entity discovery and annotation in tables
https://hal.inria.fr[...]
ACM Press
2013
[42]
웹사이트
About: capital of
https://dbpedia.org/[...]
2022-09-22
[43]
논문
Open information extraction from the web
https://doi.org/10.1[...]
2008-12-01
[44]
웹사이트
Web Data Commons - T2Dv2
http://webdatacommon[...]
2022-07-18
[45]
웹사이트
Semantic Web Challenge on Tabular Data to Knowledge Graph Matching
https://www.cs.ox.ac[...]
2022-09-30
[46]
웹사이트
JDK 5.0 Developer's Guide: Annotations
http://java.sun.com/[...]
Sun Microsystems
2007-12-18
[47]
뉴스
Characterizing the Usage, Evolution and Impact of Java Annotations in Practice
https://hal.inria.fr[...]
[48]
논문
A review on automatic image annotation techniques
2012
[49]
웹사이트
Medical Definition of Genome annotation
https://www.medicine[...]
2021-09-09
[50]
논문
Annotation of enhanced radiographs for medical image retrieval with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2018-11-12
[51]
서적
Legal Knowledge and Information Systems
IOS Press
2013
[52]
뉴스
Annotation Schemes {{!}} CAWSE
https://cawse.transc[...]
2017-02-05
[53]
웹사이트
LinguisticAnnotation
http://annotation.ex[...]
[54]
문서
この意味での「[[wikt:註|註]]」と「[[wikt:注|注]]」は同音同義で、[[当用漢字]]以前でも「註釋」と「注釋」の表記がともに用いられた。「註」は[[常用漢字]]外。
[55]
서적
漢字と中国人:文化史をよみとく
岩波書店
[56]
웹사이트
注釈学事始め {{!}} 明星大学 人文学部日本文化学科
https://www.jc.meise[...]
2009
[57]
웹사이트
室町の学問と知の継承
https://www.ehime-u.[...]
愛媛大学
2020-02-15
[58]
서적
中国人と書物 : その歴史と文化
あるむ
[59]
서적
Chūgoku kotengaku no katachi
https://www.worldcat[...]
[60]
서적
Ajia rekishi kenkyū nyūmon.
https://www.worldcat[...]
同朋舎
1983.11-1987.6
[61]
서적
Kunkogaku kogi : Chugoku kogo no yomikata.
https://www.worldcat[...]
アルヒーフ
2003.12
[62]
서적
インド思想史
東京大学出版会
[63]
논문
「ステファヌス版」以前以後―『プラトン著作集』の伝承史から―
https://hdl.handle.n[...]
京都大学附属図書館
[64]
서적
新編 校正技術〈上巻〉校正概論・編集と製作の知識・縦組の校正編
日本エディタースクール出版部
[65]
서적
論文の書き方
講談社
[66]
웹사이트
「注」の形式と縦組での「傍注」の利用
https://www.jagat.or[...]
日本印刷産業連合会
2018-08-01
[67]
서적
新編 校正技術〈上巻〉校正概論・編集と製作の知識・縦組の校正編
日本エディタースクール出版部
[68]
서적
新編 校正技術〈上巻〉校正概論・編集と製作の知識・縦組の校正編
日本エディタースクール出版部
[69]
서적
Software Maintenance: Concepts and Practice
World Scientific
[70]
웹사이트
Annotations
http://download.orac[...]
サン・マイクロシステムズ
2011-09-30
[71]
서적
Corpus Annotation : Linguistic Information from Computer Text Corpora
Longman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